KR102312888B1 -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888B1
KR102312888B1 KR1020150066854A KR20150066854A KR102312888B1 KR 102312888 B1 KR102312888 B1 KR 102312888B1 KR 1020150066854 A KR1020150066854 A KR 1020150066854A KR 20150066854 A KR20150066854 A KR 20150066854A KR 102312888 B1 KR102312888 B1 KR 10231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unit
information
medi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822A (ko
Inventor
정희연
김성환
박레이나
이수인
최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888B1/ko
Priority to US14/937,177 priority patent/US9977490B2/en
Priority to PCT/KR2015/013486 priority patent/WO2016182163A1/en
Priority to EP15891978.7A priority patent/EP3295282A4/en
Priority to CN201580079084.5A priority patent/CN107533389B/zh
Publication of KR2016013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1Nibs; Writing-points with ink reservoirs, e.g. funnel-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4Combinations of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입력장치,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입력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제1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 또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제2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2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Description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INPUT APPARATUS,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입력모드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이에 작성한 내용을 전자기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에 구비된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펜으로 종이에 작성한 내용을 저장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사용자들이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가 구비된 입력장치와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수신기에 저장된 내용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로 옮겨서 별도로 확인하여야 하였으므로, 실시간으로 작성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작성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수신기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사용자는 여전히 입력장치 및 수신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 상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종이에 기재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종이로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용이한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사용 중인 입력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연결장치 및 입력장치 없이 전자기기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종이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종이에 입력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제1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 또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제2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2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필기부재; 및 상기 필기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입력한 정보를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송신센서는 초음파 송신센서 및 적외선 송신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는 상기 제1 입력모드에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매체는 잉크 또는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는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필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의 각각의 필기부재는 상이한 색상의 표시매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입력부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입력부는 선택적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입력부는 전자유도방식(Electro Magnetic Resonance)으로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피입력매체는 종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피입력매체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필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 입력매체에 입력한 정보를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는 상기 제2 입력모드에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는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필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의 각각의 필기부재는 상이한 색상의 표시매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브입력부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입력부는 선택적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센서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부를 구비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센서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제2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2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면에 상기 피입력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장치를 전자기기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입력장치의 제1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입력장치의 제2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2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피입력매체 또는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피입력매체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설정단계에서 상기 제1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입력장치의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함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제2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함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설정단계에서 상기 제2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모드 설정단계에서 상기 제1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상기 제1 입력부를 통해 상기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모드 설정단계 및 상기 정보 입력단계 사이에 전자기기에 제1 피입력매체를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표시단계 사이에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단계 및 상기 정보 입력단계 사이에 상기 입력장치로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필기영역을 설정하는 필기영역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표시단계 사이에 전송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조정되는 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필기부재의 사용 상태 및 비사용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송신센서, 수신센서 및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4에 표시된 Ⅶ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서브입력부가 제1 입력부 및 제2 입력부에 결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기기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도 8에 표시된 S200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도 8에 표시된 S1001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필기부재의 사용 상태 및 비사용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변형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서브입력부가 제1 입력부 및 제2 입력부에 결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도 8에 표시된 S200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도 8에 표시된 S1001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필기부재의 비사용 상태 및 사용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제1 입력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도 8에 표시된 S200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도 8에 표시된 S1001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도 8에 표시된 S200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도 8에 표시된 S1001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100),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1) 및 그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입력장치(1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장치로, 하우징(11), 터치스크린(12), 제1 수신센서(13a, 13b)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동을 위한 소정의 전장품 및 배터리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11)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하우징(11)은 외측에 제1 피입력매체(40)를 고정하는 고정부(14)를 구비한다. 이때, 제1 피입력매체(40)는 종이와 같이 소정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14)는 사용자가 후술할 입력장치(100)의 제1 입력부(1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제1 피입력매체(40)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고정된 자세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삽입홈(14a)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피입력매체(40)를 고정부(14)의 삽입홈(14a)에 삽입하여 제1 피입력매체(40)를 고정한다. 이때, 삽입홈(14a)의 크기는 하나의 제1 피입력매체(40)도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복수의 용지도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4)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수신센서(13a, 13b)가 배치된 하우징(11)의 측면을 따라 소정의 슬롯(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슬롯에 제1 피입력매체(4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고정부(11)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고정부(24)는 토션부(torsion portion)(24a), 푸시부(24b) 및 가압부(2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푸시부(24b)를 하우징(11) 측으로 가압하여 가압부(24c)가 하우징(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하우징(11)과 가압부(24c) 사이에 제1 피입력매체(40)를 삽입하고, 푸시부(24b)에 가하던 힘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24c)는 토션부(24a)의 힘에 의해 하우징(11)을 향해 가압되며 제1 피입력매체(40)를 고정한다.
터치스크린(12)은 사용자에게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2)은 하우징(11)의 전면에 구비된다.
아울러, 터치스크린(12)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입력장치(100)를 이용해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2 수신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수신센서는 정전식 터치센서, 감압식 터치센서, 광학식 터치센서 및 전자유도식 터치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센서(13a, 13b)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며, 입력장치(100)의 제1 입력부(110)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1 수신센서(13a, 13b)는 제1 입력부(110)의 송신센서(112a, 112b)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송신센서(112a, 112b)가 초음파 송신센서(112a)를 포함한다면, 제1 수신센서(131, 13b)도 초음파 수신센서(13a)를 포함하고, 송신센서(112a, 112b)가 적외선 송신센서(112b)를 포함한다면, 제1 수신센서(13a, 13b)도 적외선 수신센서(13b)를 포함한다. 아울러, 송신센서(112a, 112b)가 초음파 송신센서(112a) 및 적외선 송신센서(112b)를 모두 포함한다면, 제1 수신센서(13a, 13b)도 초음파 수신센서(13a) 및 적외선 수신센서(13b)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신센서(13a, 13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5)는 제1 수신센서(13a, 13b)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분석하고,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 및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몸체(101), 제1 입력부(110) 및 제2 입력부(120)를 포함한다.
몸체(101)는 입력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우징(11)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우징(11)이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면 몸체(101)도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11)이 금속재질로 형성된다면 몸체(101)도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101)의 형상은 사용자의 그립(grip)감을 좋게 하기 위해, 통상적인 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10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함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장치(100)에 가해지는 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 칩(ferrite chip)(102), 오링(O-ring)(103),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104) 및 코일(coil)(10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장치(100)의 제2 입력부(120)를 통해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하는 경우, 제2 입력부(120)의 팁(tip)(122)은 터치스크린(12)과 접촉하여 페라이트 칩(102)을 향해 소정 길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 입력부(110)의 필기부재(111)가 페라이트 칩(102)을 향해 소정 길이 이동하게 되어, 페라이트 칩(102)을 페라이트 코어(104)에 인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페라이트 코어(104)는 몸체(101)의 내부에 구비된 회로기판 등에 고정되어 있으며, 오링(103)은 탄성체로 형성되어 페라이트 칩(102)와 페라이트 코어(104)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페라이트 칩(102)과 페라이트 코어(104)가 인접함에 따라, 코어(105)의 인덕턴스(inductance)가 증대하고, 이에 따라, 몸체(101)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에서 발생하는 주파수가 변화된다. 이러한 주파수의 변화를 터치스크린(12)에 포함된 제2 수신센서(미도시)가 감지하므로, 사용자는 입력장치(100)를 통해 터치스크린(12)에 터치를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코어(105)의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를 통해 터치스크린(12) 또는 제1 피입력매체(40)에 가하는 힘을 감지하여 필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입력장치(100)를 통해 터치스크린(12) 또는 제1 피입력매체(40)에 선(line)을 입력하는 경우, 선의 굵기를 상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페라이트 칩(102), 오링(103), 페라이트 코어(104) 및 코일(105)을 이용한 터치 및 필압 감지는 공지의 사항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몸체(101)의 내부에는 입력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106)가 포함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입력장치(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충전할 수 있는 충전식이거나, 별도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일회용일 수 있다.
아울러, 몸체(101)의 타단부에는 후술할 제2 입력부(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07)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입력부(120)를 제1 입력부(110)로부터 분리하여 팁(122)이 결합홈(107)에 결합되도록 제2 입력부(120)를 몸체(101)의 타단부에 고정한다. 이때, 상술한 제2 입력부(120)와 몸체(101)는 스냅결합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고, 제2 입력부(120) 및 몸체(101)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결합을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입력부(120)를 몸체(101)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아울러, 결합홈(107)의 내부에는 후술할 송신센서(112a, 112b)를 활성화하기 위한 스위치(108)가 구비되어, 팁(122)이 결합홈(107)에 탈착됨에 따라 온(on)/오프(off)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송신센서(112a, 11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가압여부에 따라 온/오프가 조절되는 택타일 스위치(tactile witch)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광센서를 이용한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송신센서(112a, 112b)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센서(112a, 112b)의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제1 입력부(110)에서 발생하는 신호 및 제2 입력부(120)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중첩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10)는 몸체(10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필기부재(111) 및 송신센서(112a, 112b)를 포함한다.
필기부재(111)는 일단부가 몸체(101)의 일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며, 타단부가 페라이트 칩(102)과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필기부재(111)는 제1 피입력매체(40)에 입력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잉크 또는 흑연과 같은 표시매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필기부재(111)는 일반적인 볼펜심(ball pen lead) 또는 연필심(pencil lead)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필기부재(111)는 잉크 또는 흑연과 같은 표시매체가 소진된 경우, 교체하여야 하므로, 몸체(101)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필기부재(111)는 필압을 감지하거나, 제2 입력부(120)를 통해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페라이트 칩(102)을 가압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송신센서(112a, 112b)는 필기부재(111)에 의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입력한 내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하기 위해 소정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필기부재(111)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글씨를 입력하는 경우, 송신센서(112a, 112b)는 필기부재(111)가 이동하는 경로에 관한 좌표데이터를 송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수신센서(13a, 13b)는 이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 제어부(15)로 전달하고, 제어부(15)는 이를 터치스크린(12)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센서(112a, 11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기부재(111)의 이동 경로에 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송신하여야 하므로, 필기부재(111)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송신센서(112a, 112b)는 필기부재(111)의 이동 경로에 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장치(10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가한 필압 데이터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센서(112a, 112b)는 상술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초음파 송신센서(112a) 및 적외선 송신센서(11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0)는 송신센서(112a, 112b)를 2개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의 송신센서가 구비되어 상술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며, 더욱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위해 3개 이상의 송신센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품의 단가 및 수신감도를 고려하였을 때, 2개의 송신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입력장치(100)에 구비된 송신센서(112a, 112b)가 초음파 송신센서(112a) 및 적외선 송신센서(11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구비된 제1 수신센서(13a, 13b)가 송신센서(112)에 대응하여 초음파 수신센서(13a) 및 적외선 수신센서(13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입력장치(100)는 입력장치(100)를 통해 입력한 내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20)는 제1 입력부(11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캡부(121) 및 팁(122)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입력부(120)는 제1 입력부(110)의 일단부에 스냅결합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고, 제2 입력부(120) 및 몸체(101)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결합을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입력부(120)를 제1 입력부(110)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캡부(121)는 제2 입력부(120)의 외형을 형성하며, 일단부에는 팁(122)이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타단부는 제1 입력부(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입력부(110)의 일단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캡부(121)의 타단부는 제1 입력부(110)의 필기부재(11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1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입력부(120)를 통해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제2 입력부(120)의 수용홈(121a)에 제1 입력부(110)의 필기부재(111)가 수용되도록 제2 입력부(120) 및 제1 입력부(110)를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팁(122)은 필압감지 및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소정 길이만큼 페라이트 칩(10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하므로, 캡부(121)는 내부에 팁(12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팁용 구멍(121a)이 형성된다.
팁(122)은 일단부가 캡부(121)의 일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고, 타단부는 제1 입력부(110)의 필기부재(111)와 접촉된다. 아울러, 팁(122)은 필압을 감지하거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기부재(111)를 통해 페라이트 칩(102)을 가압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슬라이딩 가능하게 캡부(121)의 팁(tip)용 구멍(121a)에 결합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팁(122)의 타단부에는 필기부재(111)의 일단부에 배치된 접촉부(111a)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상방지홈(122a)이 형성된다. 즉, 제2 입력부(120)를 제1 입력부(110)에 결합하여 제2 입력부(120)를 통해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하며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손상방지홈(122a)을 구비한 팁(122)의 타단부는 필기부재(111)의 접촉부(111a)가 팁(122)의 타단부와 직접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필기부재(111)가 팁(122)에 의해 소정 길이 페라이트 칩(102)을 향해 이동하며 페라이트 칩(102)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손상방지홈(122a)에는 필기부재(111)의 접촉부(111a)를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보호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입력장치(100)는 제1 입력부(110) 및 제2 입력부(12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피입력매체(40)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여 서브입력부(130)가 하나인 경우를 설명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입력부(13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서브입력부(130)는 몸체(10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 필기부재(111)와 서브입력부(130)의 필기부재(131)가 연결되도록 일단부가 제1 입력부(110)에 결합된다. 아울러, 서브입력부(130)의 타단부는 타단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필기부재(131)가 제2 입력부의 팁(122)과 연결되도록 제2 입력부(120)에 결합된다.
서브입력부(130)의 필기부재(131)는 제1 피입력매체(40)에 입력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잉크 또는 흑연과 같은 표시매체를 포함한다. 다만, 서브입력부(130)의 필기부재(131)는 제1 입력부(110)의 필기부재(111)와 상이한 색상 또는 굵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서브입력부(130)를 제1 입력부(110) 및 제2 입력부(12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다양한 색상 또는 굵기의 필기부재(111, 131)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서브입력부(130)의 필기부재(131) 역시 잉크 또는 흑연과 같은 표시매체가 소진된 경우 교체가 필요하므로, 서브입력부(130)의 수용홈(130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서브입력부(130)의 필기부재(131)는 수용홈(130b)에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팁(122)에 가해진 가압력을 제1 입력부(110)의 필기부재(111)로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서브입력부(130)의 필기부재(131)의 일단부에 형성된 첨단(131a)은 제2 입력부(120)의 손상방지홈(122a)에 삽입되므로 첨단(131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기부재(131)의 타단부에는 손상방지홈(131b)이 형성되어 제1 입력부(110)의 필기부재(111)의 첨단(111a)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입력부(13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입력모드에서는 복수 개의 서브입력부(130)가 제1 입력부(110) 및 제2 입력부(120) 사이에 연속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입력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서브입력부(130)를 제1 입력부(110)에 결합하고, 사용을 원하지 않는 서브입력부는 몸체(10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입력부(120)에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작용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을 손가락 또는 전자기기(1)에 구비된 입력장치(100)를 이용해 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정보를 입력한다.
이 중, 입력장치(100)를 이용해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입력장치(100)를 분리한다(S100). 이때, 전자기기(1)는 전자기기(1)로부터 입력장치(100)를 분리함에 따라 자동으로 필기입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필기입력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장치(100)의 입력모드를 설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강의를 듣는다거나 회의에 참석하여 회의 내용을 기록해야 하는 경우와 같이 소정 내용을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를 통해 종이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입력부(1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2 입력부(120)를 제1 입력부(110)로부터 분리한다(S211). 이어서, 사용자는 제2 입력부(120)를 입력장치(100)의 몸체(101)의 타단부에 결합한다(S212). 이에 따라, 제2 입력부(120)의 팁(122)은 몸체(101)의 타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07)에 삽입되며, 스위치(108)를 가압하여 송신센서(112a, 112b)를 활성화한다(S213). 송신센서(112a, 112b)가 활성화됨에 따라 입력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고정부(14, 24)에 제1 피입력매체(40)를 고정한다(S301). 이때, 제1 피입력매체(4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고정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세로방향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제1 피입력매체(40)의 고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필기영역을 설정한다(S401).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100)를 이용하여 제1 피입력매체(40) 상에 4개의 포인트(21-24)를 지정하여 필기 가능한 영역을 설정한다. 이러한 4개의 포인트들(21-24)의 정보는 제1 수신부(13)를 거쳐 제어부(15)로 전달된다. 이후, 제어부(15)는 이러한 4개의 포인트들(21-24)을 기준값으로 하여 전달받은 신호를 기준값에 대한 좌표값으로 변환해 입력장치(100)의 이동 경로를 기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어서, 입력모드가 변경된 입력장치(100)는 제1 입력부(110)가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제1 입력부(1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소정 정보를 입력한다(S501). 이때, 제1 입력부(110)의 필기부재(111)에 의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입력한 정보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피입력매체(40)에 쓰여져 기록된다. 아울러, 서브입력부(130)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서브입력부(130)를 제1 입력부(110) 및 제2 입력부(12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제1 피입력매체(40)에 다양한 색상 또는 굵기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피입력매체(40)에 기록된 정보는 입력장치(100)의 송신센서(112a, 112b)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실시간 전송된다(S601).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된 정보는 제1 수신센서(13)에서 수신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며, 제1 수신센서(13)는 이를 제어부(15)로 전달한다.
또한, 제1 피입력매체(40)에 기록된 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15)는 이를 터치스크린(12)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사이즈를 조정한다(S701). 즉, 제어부(15)는 설정된 필기영역의 비율과 터치스크린(12)의 비율을 고려하여 기록된 정보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조정한다. 이렇게 사이즈가 조정된 정보는 터치스크린(12)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된다(S801).
이후, 정보의 입력이 완료(S901)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100)의 입력모드를 다시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다(S1001).
구체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입력부(120)를 입력장치(100)의 타단부로부터 분리한다(S1011). 이에 따라, 입력장치의 송신센서(112a, 112b)는 비활성화된다(S1012). 이어서, 사용자는 제2 입력부(120)를 제1 입력부(110)에 결합한다(S1013). 이렇게, 입력장치(100)의 입력모드를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 후, 사용자는 입력장치(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또한, 사용자는 정보를 입력한 제1 피입력매체(40)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분리하고, 별도로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100)의 제2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분리한 입력장치(100)를 그대로 사용하여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502).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S802). 이어서, 정보의 입력이 완료(S902)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아울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입력장치(100)가 결합된 상태로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써서 기록할 수 있으며, 이렇게 기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상술한 단계를 실시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히 입력장치(100)를 구비한 전자기기(1)만 휴대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입력장치(100)에 구비된 두 가지 모드를 피입력매체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과정이 간편하고, 또한, 각각의 입력모드가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송신센서(112a, 112b)를 온/오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반영하여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하지 않은 입력부(110, 120)를 외부로부터 은폐시켜 보호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를 설명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입력장치(200)의 제1 입력부(140) 및 제2 입력부(1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의 제1 입력부(14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입력부(110)와 달리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필기부재(111) 대신 팁(141)을 구비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입력부(14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입력부(110)와 동일하게 송신센서(112a, 112b)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제1 입력부(110)를 이용해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팁(141)은 수용홈(14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입력장치(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팁(141)은 페라이트 칩(102)을 가압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5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제2 입력부(120)와 달리 종이와 같은 피입력매체94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표시매체를 구비하는 필기부재(151)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기부재(151)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볼펜심 또는 연필심일 수 있다. 아울러, 필기부재(151)에 가해지는 필압을 감지하기 위해 필기부재(151)는 캡부(152)의 수용홈(15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소정 간격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제2 입력부(150)가 결합되는 제1 입력부(140)의 일단부에 스위치(208)가 구비되며, 이러한 스위치(208)는 제1 입력부(140)에 제2 입력부(150)가 결합됨에 따라 가압되어 송신센서(112a, 112b)를 활성화시키는 택타일 스위치일 수 있으며, 광센서를 이용한 스위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치(208)는 송신센서(112a, 11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입력장치(200)는 제1 입력부(140) 및 제2 입력부(15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종이와 같은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필기부재(161)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입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서브입력부(160)가 하나인 경우를 설명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입력부(16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서브입력부(160)는 몸체(10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 팁(141)과 서브입력부(160)의 필기부재(161)가 연결되도록 일단부가 제1 입력부(141)에 결합된다. 아울러, 서브입력부(160)의 타단부는 타단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필기부재(161)가 제2 입력부(150)의 필기부재(151)와 연결되도록 제2 입력부(150)에 결합된다.
서브입력부(160)의 필기부재(161)는 피입력매체(40)에 입력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잉크 또는 흑연과 같은 표시매체를 포함한다. 다만, 서브입력부(160)의 필기부재(161)는 제2 입력부(150)의 필기부재(151)와 상이한 색상 또는 굴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서브입력부(160)를 제1 입력부(140) 및 제2 입력부(15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다양한 색상 또는 굵기의 필기부재(151, 161)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서브입력부(160)의 필기부재(161) 역시 잉크 또는 흑연과 같은 표시매체가 소진된 경우 교체가 필요하므로, 서브입력부(160)의 수용홈(162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서브입력부(160)의 필기부재(161)는 수용홈(162a)에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 입력부(150)의 필기부재(151)에 가해진 필압을 제1 입력부(140)의 팁(141)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서브입력부(160)의 필기부재(161)의 일단부에 형성된 첨단(161a)은 제2 입력부(150)의 손상방지홈(151b)에 삽입되므로 첨단(161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기부재(161)의 타단부에는 손상방지홈(161b)이 형성되어 제1 입력부(140)의 팁(141) 또는 제2 입력부(150)의 첨단(151a)이 서브입력부(160)에 결합되는 경우, 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입력부(16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입력모드에서는 복수 개의 서브입력부(160)가 제2 입력부(150)와 함께 입력장치(20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제2 입력모드에서는 제2 입력부(150) 및 복수 개의 서브입력부(160) 중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입력부를 선택적으로 제1 입력부(140)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사용을 원하지 않는 입력부는 입력장치(200)의 타단부에 결합한 채로 보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작용에 대해 도 11,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단계 중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S200 단계 및 S1001 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S100 단계, S301 단계, S401 단계, S501 단계, S502 단계, S601 단계, S701 단계, S801 단계, S802 단계, S901 단계, S902 단계 및 S1100 단계는 제1 입력모드와 제2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가 반대로 수행되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S200 단계에서 제1 입력모드가 설정되면 S502 단계가 수행되며, 제2 입력모드가 설정되면 S301 단계가 수행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입력장치(200)를 분리한다(S100). 이후, 사용자는 입력장치(200)의 입력모드를 설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입력부(140)를 통해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2 입력부(150)를 제1 입력부(140)로부터 분리한다(S221). 이에 따라, 스위치(208)에 가해지던 가압이 해제되어 송신센서(112a, 112b)가 비활성화된다(S222). 이어서, 사용자는 제2 입력부(150)를 입력장치(200)의 타단부에 결합한다(S223).
이어서, 사용자는 제1 입력부(140)를 통해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한다(S502). 이렇게 터치스크린(12)에 입력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터치스크린(12)을 통해 표시된다(S802). 이후,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S902), 사용자는 제2 입력부(150)를 제1 입력부(140)에 다시 결합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후 입력장치(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하거나(S1100), 피입력매체(40)에 제2 입력부(15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입력부(150)를 입력장치(200)의 타단부로부터 분리한다(S1021). 이어서, 제2 입력부(150)를 제1 입력부(140)에 결합하면(S1022), 스위치(208)가 가압되어 송신센서(112a, 112b)가 활성화된다(S1023).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장치(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하거나, 입력장치(200)를 통해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반면, S200 단계에서 제2 입력모드를 설정하면, 사용자는 S301 단계 및 S401 단계를 수행한다. 이후, 제2 입력부(150)를 통해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한다(S501). 이어서, S601 단계 및 S901 단계가 수행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S1001 단계가 생략되고, 사용자는 곧바로 입력장치(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할 수 있다(S1100).
아울러, 서브입력부(160)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서브입력부(160)를 제1 입력부(140) 및 제2 입력부(150)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피입력매체(40)에 다양한 색상 또는 굵기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를 설명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입력장치(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0)는 몸체(301), 제1 입력부(310) 및 제2 입력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0)의 몸체(30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0)의 몸체(101)와 대부분 유사하지만, 제1 입력부(310) 및 제2 입력부(320)가 입력장치(30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필압을 감지하는 구조가 제1 및 제2 입력부(310, 320)를 위해 각각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0)는 몸체(301)의 내부에 제1 입력부(310)를 위한 페라이트 칩(302a), 오링(303a), 페라이트 코어(304a) 및 코일(305a)이 제1 입력부(3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입력부(320)를 위한 페라이트 칩(302b), 오링(303b), 페라이트 코어(304b) 및 코일(305b)이 제2 입력부(3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페라이트 칩(302a, 302b), 오링(303a, 303b), 페라이트 코어(304a, 304b) 및 코일(305a, 305b)의 작용은 제1 실시예에서의 페라이트 칩(102), 오링(103), 페라이트 코어(104) 및 코일(105)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실시예에서의 입력장치(100)와 같이 배터리(306)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몸체(301)는 타단부에 제1 입력부(310)가 구비되며, 일단부에 제2 입력부(320)가 구비된다. 특히, 제1 입력부(310)가 구비된 타단부에는 필기부재(31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레버(313)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301a) 및 필기부재(311)의 일부가 외부로 인출되거나 몸체(301)의 내부로 인입되기 위한 필기부재용 구멍(301b)이 형성되어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돌출레버(313) 및 필기부재(311)를 설명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입력부(310)는 몸체(30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필기부재(311) 및 송신센서(312a, 312b)를 포함한다.
필기부재(311)는 몸체(301)에 형성된 필기부재용 구멍(301b)을 통해 몸체(301)의 타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도록 몸체(301)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필기부재(311)의 인출 또는 인입을 위해, 필기부재(311)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레버(313)를 구비한다. 돌출레버(313)는 몸체(301)에 형성된 가이드홈(301a)을 통해 몸체(301)의 외부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사용자는 이렇게 돌출레버(313)의 돌출된 부분을 가이드홈(301a)을 따라 조작하여 필기부재(311)를 몸체(301)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몸체(301)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필기부재(311)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314)를 구비한다. 돌기부(314)는 몸체(301)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으며, 필기부재(311)가 몸체(301)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에는 필기부재(311)와 페라이트 칩(302b)이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필기부재(311)가 몸체(301)의 외부로 인출된 경우에는 필기부재(311)의 필압을 감지하기 위해 필기부재(311)와 페라이트 칩(302b)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필기부재(311)가 몸체(301)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돌출레버(313)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돌기부(314)는 페라이트 칩(302b)와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후, 제1 입력부(31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돌출레버(313)를 가이드홈(301a)을 따라 도면의 우측으로 가압하여 필기부재(311)를 몸체(301)로부터 인출한다. 이에 따라, 돌출레버(313)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다만, 이 상태 만으로는 필기부재(311)가 페라이트 칩(302b)과 연결되지 않아, 필기부재(311)의 필압을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기부재(311)가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필기부재(31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314)가 페라이트 칩(302b)과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레버(313)를 가이드홈(301a)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돌출레버(313)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위치에 배치된다.
아울러, 돌출레버(313)는 제3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홈(301a)에 구비된 스위치(308)를 가압하여 송신센서(312a, 312b)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스위치(308)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필기부재(311)는 제1 실시예에서의 필기부재(111)와 동일하게 잉크 또는 흑연과 같은 표시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표시매체가 소진된 경우에는 필기부재(311)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0)의 경우 몸체(301)의 타단부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몸체(301)의 타단부의 일부를 개방하여 필기부재(311)를 교체할 수 있다.
송신센서(312a, 312b)는 제1 실시예에서의 송신센서(112a, 112b)와 마찬가지로 필기부재(311)에 의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입력한 내용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하기 위해 소정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송신센서(312a, 312b)는 제1 실시예에서의 송신센서(112a, 112b)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입력부(320)는 몸체(301)의 일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팁(322)을 포함한다. 이러한 팁(322)은 제1 실시예에서의 팁(122)과 달리, 일단부는 몸체(301)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지만, 타단부는 페라이트 칩(302a)과 직접 접촉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팁(322)은 제1 실시예에서의 팁(122)과 마찬가지로, 필압을 감지하거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페라이트 칩(302a)을 가압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슬라이딩 가능하게 팁용 구멍(321a)에 결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작용에 대해 도 11,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단계 중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S200단계 및 S1001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S100단계, S301단계, S401단계, S501단계, S502단계, S601단계, S701단계, S801단계, S802단계, S901단계, S902단계 및 S1100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입력장치(300)를 분리한다(S100).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분리된 입력장치(300)의 돌출레버(313)는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기부재(311)는 몸체(301)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장치(300)의 입력모드를 설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입력부(3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돌출레버(313)를 가이드홈(301a)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S231). 이에 따라, 필기부재(311)는 몸체(301)의 외부로 소정 길이 인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입력장치(30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필기부재(311)에 가해진 필압을 측정함과 동시에 필기부재(311)가 재차 몸체(301)의 내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다시 인입되지 않도록, 돌출레버(313)를 가이드홈(301a)을 따라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이동시킨다(S232). 이에 따라, 돌기부(314)는 페라이트 칩(302b)과 연결됨과 동시에 페라이트 칩(302b)에 의해 지지된다(S233). 또한, 돌출레버(313)는 제3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홈(301a)에 구비된 스위치(308)를 가압하여 송신센서(312a, 312b)를 활성화시킨다(S234).
이어서, S301단계 및 S401단계가 진행되고, 이후, 사용자는 제1 입력부(3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한다(S501).
이어서, S601단계 내지 S901단계가 진행되어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300)의 입력모드를 다시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다(S1001).
구체적으로,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돌출레버(313)를 제3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S1031). 이에 따라, 돌기부(314)는 페라이트 칩(302b)과 연결이 해제되며, 페라이트 칩(302b)으로부터 이격된다(S1032). 또한, 돌출레버(313)가 스위치(308)를 가압해제함에 따라 송신센서(312a, 312b)를 비활성화시킨다(S1033). 이어서, 사용자는 돌출레버(313)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S1034). 이에 따라, 필기부재(311)가 몸체(301)의 내부로 인입된다. 즉, 필기부재(31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필기부재(311)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기부재(31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입력장치(300)의 입력모드를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 후, 사용자는 입력장치(3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300)의 제2 입력부(3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분리한 입력장치(300)를 그대로 사용하여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502).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S802). 이어서, 정보의 입력이 완료(S902)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3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를 설명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입력장치(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400)는 몸체(401), 제1 입력부(410) 및 제2 입력부(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400)의 몸체(401)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0)의 몸체(301)와 대부분 유사하며, 특히, 제1 입력부(410) 및 제2 입력부(420)가 입력장치(40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필압을 감지하는 구조가 제1 및 제2 입력부(410, 420)를 위해 각각 구비되는 점이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400)의 필기부재(411)는 선택적으로 몸체(401)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몸체(401)의 내부로부터 인출되지 않으므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0)의 몸체(301)에 형성된 돌출레버(313)를 위한 가이드홈(301a)과 같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있다.
다만, 필기부재(411)에 가해지는 필압감지를 위해, 필기부재(411)는 페라이트 칩(402b) 측으로 소정 길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필기부재(411)가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부재용 구멍(401b)은 형성된다.
또한, 제1 입력부(4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커버(409)를 더 포함한다. 개폐커버(409)는 몸체(401)의 타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냅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개폐커버(409)가 결합되는 몸체(401)의 일부분에는 송신센서(412a, 412b)를 활성화시키는 스위치(408)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위치(408)는 개폐커버(409)가 몸체(401)에 결합됨에 따라 가압되는 경우에는 송신센서(412a, 412b)를 비활성화시키고, 개폐커버(409)가 몸체(401)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가압 해제되는 경우에는 송신센서(412a, 412b)를 활성화시킨다.
다만, 스위치(408)를 생략하고, 송신센서(412a, 412b)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개폐커버(409)를 신호를 차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입력부(4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개폐커버(409)는 몸체(401)의 타단부로부터 분리하여 몸체(401)의 일단부, 즉, 제2 입력부(420)가 형성된 부분에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입력부(420)가 형성된 몸체(401)의 일단부에는 개폐커버(409)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제1 입력부(410) 몸체(401)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필기부재(411) 및 송신센서(412a, 412b)를 포함한다.
필기부재(411)는 일단부가 몸체에 형성된 필기부재용 구멍(401b)을 통해 몸체(401)의 외부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필기부재(411)는 필기부재용 구멍(401b)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기부재(411)에 걸리는 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타단부는 페라이트 칩(402b)와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4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필기부재(411)에 가해지는 필압을 감지한다.
또한, 필기부재(411)는 제1 실시예에서의 필기부재(111)와 동일하게 잉크 또는 흑연과 같은 표시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표시매체가 소진된 경우에는 필기부재(411)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400)의 경우, 제3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300)와 같이 몸체(401)의 타단부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몸체(401)의 타단부의 일부를 개방하여 필기부재(411)를 교체할 수 있다.
송신센서(412a, 412b)는 제1 실시예에서의 송신센서(112a, 112b)와 마찬가지로 필기부재(411)에 의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입력한 내용에 관한 정보를 전자기기(1)로 전송하기 위해 소정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송신센서(412a, 412b)는 제1 실시예에서의 송신센서(112a, 112b)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입력부(420)는 몸체(401)의 일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팁(422)을 포함한다. 이러한 팁(422)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팁(322)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작용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단계 중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S200단계 및 S1001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S100단계, S301단계, S401단계, S501단계, S502단계, S601단계, S701단계, S801단계, S802단계, S901단계, S902단계 및 S1100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입력장치(400)를 분리한다(S100).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분리된 입력장치(400)는 개폐커버(409)가 몸체(401)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장치(400)의 입력모드를 설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입력부(4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제1 입력부(410)를 이용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소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개폐커버(409)를 몸체(401)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개폐커버(409)는 제2 입력부(420)가 형성된 몸체(401)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다. 개폐커버(409)를 몸체(401)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개폐커버(409)에 의해 가압되고 있던 스위치(408)는 가압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송신센서(412a, 412b)가 활성화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408)를 생략하고 개폐커버(409)를 신호차폐재질로 형성하여, 개폐커버(409)를 몸체(401)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송신센서(412a, 412b)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S301단계 및 S401단계가 진행되고, 이후, 사용자는 제1 입력부(4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한다(S501).
이어서, S601단계 내지 S901단계가 진행되어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400)의 입력모드를 다시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다(S1001).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개폐커버(409)를 제1 입력부(410)가 형성된 몸체(401)의 타단부에 결합하며, 이에 따라 스위치(408)가 가압되어 송신센서(412a, 412b)를 비활성화시킨다. 스위치(408)가 생략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개폐커버(409)를 제1 입력부(410)가 형성된 몸체(401)의 타단부에 결합함에 따라, 송신센서(412a, 412b)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기부재(41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입력장치(400)의 입력모드를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 후, 사용자는 입력장치(4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400)의 제2 입력부(4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분리한 입력장치(400)를 그대로 사용하여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502).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S802). 이어서, 정보의 입력이 완료(S902)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4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를 설명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입력장치(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500)는 몸체(501) 및 제3 입력부(531)를 포함한다.
몸체(501)는 입력장치(5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몸체(50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함에 따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장치(500)에 가해지는 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0)와 동일하게 페라이트 칩(502), 오링(503), 페라이트 코어(504) 및 코일(505)을 포함한다. 아울러, 입력장치(500)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506)도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몸체(501)의 내부에 구비된다.
아울러, 몸체(501)의 일단부에는 제3 입력부(53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입력부용 구멍(521a)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501)의 외측면에는 송신센서(512a, 512b)를 온/오프 할 수 있는 스위치(508)가 구비된다.
제3 입력부(531)는 몸체(501)의 일단부에 형성된 입력부용 구멍(521a)에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500)의 경우에도 제3 입력부(531)를 통해 입력장치(500)에 가해지는 필압을 감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3 입력부(531)를 통해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입력부(531)는 종이와 같은 재질의 제1 피입력매체(40)에는 필기가 가능하나, 유리에는 필기가 되지않는 소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3 입력부(531)는 이더그라프(ethergraf)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3 입력부(531)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스위치(508)를 온(on)하여 송신센서(512a, 512b)를 활성화시킨 후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작용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단계 중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S200단계 및 S1001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S100단계, S301단계, S401단계, S501단계, S502단계, S601단계, S701단계, S801단계, S802단계, S901단계, S902단계 및 S1100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입력장치(500)를 분리한다(S100).
이후, 사용자는 입력장치(500)의 입력모드를 설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스위치(508)를 가압하여 송신센서(512a, 512b)를 활성화시킨다.
이어서, S301단계 및 S401단계가 진행되고, 이후, 사용자는 제3 입력부(531)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한다(S501).
이어서, S601단계 내지 S901단계가 진행되어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500)의 입력모드를 다시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다(S1001).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스위치(508)를 가압하여 송신센서(512a, 512b)를 비활성화시킨다. 이렇게, 입력장치(500)의 입력모드를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 후, 사용자는 입력장치(5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5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분리한 입력장치(500)를 그대로 사용하여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502). 이때, 제3 입력부(531)는 소재의 특성상 터치스크린(12) 상에 한 정보가 필기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S802). 이어서, 정보의 입력이 완료(S902)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5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를 설명함에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입력장치(6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600)는 몸체(601), 제1 입력부(610) 및 제2 입력부(620)를 포함한다.
몸체(601)는 입력장치(6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단부에는 제1 입력부(610) 및 제2 입력부(620)가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입력부용 구멍(601a)이 형성된다. 또한, 타단부에는 제2 입력부(620)를 몸체(601)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버튼(623)이 삽입된 인출버튼용 구멍(601b)이 형성된다. 아울러, 외측면에는 제2 입력부(620)를 몸체(601)의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버튼(624)이 삽입된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 및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에는 송신센서(612a, 612b)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스위치(608)가 구비된다.
아울러, 몸체(601)에는 제1 입력부(610)를 위한 페라이트 칩(602b), 오링(603b), 페라이트 코어(604b) 및 코일(605b)가 제1 입력부(6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배터리(606b)도 포함한다.
또한, 몸체(601)는 내측면에 제2 입력부(620)를 몸체(601)의 내부로 인입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631)가 연결되는 리브(601e)가 형성된다.
제1 입력부(610)는 몸체(60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필기부재(611) 및 송신센서(612a, 612b)를 포함한다. 다만, 송신센서(612a, 612b)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필기부재(611)는 페라이트 칩(602b)과 접촉하도록 구비되며, 입력부용 구멍(601a) 및 제2 입력부(620)의 가이드에 의해 몸체(60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에 따라 필기부재(611)에 가해지는 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입력부(620)는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서브몸체(621), 팁(622), 인출버튼(623) 및 인입버튼(624)을 포함한다. 다만, 팁(622)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서브몸체(621)는 몸체(601)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브몸체(621)의 내부에는 팁(622)을 통해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함과 동시에 팁(622)에 가해지는 필압을 감지하기 위해 페라이트 칩(602a), 오링(603a), 페라이트 코어(604a) 및 코일(605a)을 구비한다.
아울러, 서브몸체(621)의 외측면에는 탄성부재(631)와 연결되는 고정리브(621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서브몸체(621)의 고정리브(621a)는 몸체(601)의 내측면에 형성된 리브(601e)에 연결된 탄성부재(631)와 연결되어, 탄성부재(631)로부터 제2 입력부(620)가 몸체(601)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인출버튼(623)은 몸체(601)의 타단부에 형성된 인출버튼용 구멍(601b)에 삽입되어 몸체(601)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서브몸체(621)의 후단부에 구비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인출버튼(623)에 제2 입력부(620)가 몸체(601)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부재(631)가 압축되고, 아울러, 인입버튼(624)이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에서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으로 이동하며 제2 입력부(620)의 일부가 몸체(601)의 외부로 인출된다.
인입버튼(624)은 몸체(601)의 내부에 구비되며, 인출버튼(623)과 연결된다. 아울러, 인입버튼(624)은 선택적으로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 및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2 입력부(620)의 팁(622)이 몸체(601)의 외부로 소정 길이 인출된 경우, 인입버튼(624)은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에 삽입되어 소정 부분이 몸체(601)의 외부로 노출되고, 탄성부재(631)에 의해 발생하는 도 30의 오른쪽 방향으로의 힘의 반대방향의 힘이 제1 면(624a)에 걸리게 된다. 즉, 인입버튼(624)은 제1 면(624a)이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에 의해 지지된다. 반면, 제2 입력부(620)의 팁(622)이 몸체(601)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 인입버튼(624)은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에 삽입되어 소정 부분이 몸체(601)의 외부로 노출된다. 아울러, 인입버튼(624)의 제1 면(624a)은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에 삽입되며 스위치(608)를 가압하여 송신센서(612a, 612b)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인입버튼(624)은 인출버튼(623)과 연결되는 지지부(624c)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부(624c)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인입버튼(624)의 몸체(60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몸체(601)의 내부방향으로 가압하면,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지며, 몸체(601)의 내부에서 몸체(601)의 내면을 슬라이딩하며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 및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 사이를 이동한다. 이렇게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 또는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 사이에 다다르면, 지지부(624c)의 복원력에 의해 인입버튼(624)이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 또는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에 삽입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의 작용에 대해 도 11,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단계 중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S200단계 및 S1001단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S100단계, S301단계, S401단계, S501단계, S502단계, S601단계, S701단계, S801단계, S802단계, S901단계, S902단계 및 S1100단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입력장치(600)를 분리한다(S100).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분리된 입력장치(600)의 제2 입력부(620)는 일단부가 몸체(601)의 외부로 소정 길이 노출되어 팁(622)이 몸체(60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장치(600)의 입력모드를 설정한다(S200).
구체적으로, 도 3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에 삽입되어 구속된 인입버튼(624)을 몸체(601)의 내부로 가압한다(S261). 이에 따라, 인입버튼(624)은 몸체(601)의 내부로 이동하며 제1 면(624a)에 가해지던 간섭이 해제된다. 이어서, 제2 입력부(620)는 탄성부재(631)에 의해 도 30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팁(622)이 몸체(601)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한다(S262). 아울러, 제2 입력부(620)가 도 30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입버튼(624)도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에 삽입되며 몸체(601)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다(S263). 또한, 이 과정에서 인입버튼(624)은 스위치(608)를 가압하여 송신센서(612a, 612b)를 활성화 시킨다(S264).
이어서, S301단계 및 S401단계가 진행되고, 이후, 사용자는 제1 입력부(610)를 통해 제1 피입력매체(40)에 정보를 입력한다(S501).
이어서, S601단계 내지 S901단계가 진행되어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600)의 입력모드를 다시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다(S1001).
구체적으로, 도 3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출버튼(623)을 도 30의 왼쪽 방향으로 가압한다(S1061). 이에 따라, 인입버튼(624)의 제2 면(624b)이 제2 인입버튼용 구멍(601d)에 슬라이딩하며 도 30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몸체(601)의 내부로 이동한다(S1062). 이에 따라, 송신센서(612a, 612b)에 가해지던 가압이 해제되어 송신센서(612a, 612b)가 비활성화된다(S1063). 이후, 인입버튼(624)은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에 삽입되어 제1 면(624a)이 제1 인입버튼용 구멍(601c)에 지지됨에 따라 고정된다(S1064).
이렇게, 입력장치(600)의 입력모드를 제2 입력모드로 변경한 후, 사용자는 입력장치(6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600)의 제2 입력부(6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분리한 입력장치(600)를 그대로 사용하여 터치스크린(12)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502). 이렇게 입력된 정보는 터치스크린(12)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S802). 이어서, 정보의 입력이 완료(S902)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6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한다(S11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하나의 입력장치로 터치스크린 및 종이와 같은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입력장치에 포함된 상이한 2 개의 입력모드의 전환이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장치 및 별도의 입력장치 없이, 단순히 전자기기에 구비된 하나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종이에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2; 터치스크린
13; 제1 수신센서
100, 200, 300, 400, 500, 600; 입력장치
110, 140, 210, 310, 510, 610; 제1 입력부
120, 150, 220, 320, 520, 620; 제2 입력부

Claims (25)

  1.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제1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1 입력부 또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제2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2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필기부재; 및
    상기 필기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입력한 정보를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센서는 초음파 송신센서 및 적외선 송신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는 상기 제1 입력모드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매체는 잉크 또는 흑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는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필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의 각각의 필기부재는 상이한 색상의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입력부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입력부는 선택적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는 전자유도방식(Electro Magnetic Resonance)으로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입력매체는 종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피입력매체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필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제2 입력부가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입력한 정보를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센서는 상기 제2 입력모드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는 상기 제2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필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입력부의 각각의 필기부재는 상이한 색상의 표시매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입력부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서브입력부는 선택적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7. 적어도 하나의 수신센서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부를 구비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센서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1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제2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2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모드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면에 상기 피입력매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1. 입력장치를 전자기기에서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입력장치의 제1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1 입력모드 및 상기 입력장치의 제2 입력부를 사용하는 제2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단계;
    상기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피입력매체 또는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피입력매체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설정단계에서 상기 제1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입력장치의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함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제2 입력모드는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함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단계에서 상기 제2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상기 제2 입력부를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제1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상기 제1 입력부를 통해 상기 피입력매체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모드 설정단계 및 상기 정보 입력단계 사이에 전자기기에 제1 피입력매체를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표시단계 사이에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입력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 및 상기 정보 입력단계 사이에 상기 입력장치로 상기 제1 피입력매체에 필기영역을 설정하는 필기영역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표시단계 사이에 전송된 정보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조정되는 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입력부를 상기 제1 입력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50066854A 2015-05-13 2015-05-13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54A KR102312888B1 (ko) 2015-05-13 2015-05-13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4/937,177 US9977490B2 (en) 2015-05-13 2015-11-10 Dual mode inpu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5/013486 WO2016182163A1 (en) 2015-05-13 2015-12-10 Inpu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891978.7A EP3295282A4 (en) 2015-05-13 2015-12-10 Inpu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580079084.5A CN107533389B (zh) 2015-05-13 2015-12-10 输入设备、具有该输入设备的电子设备和该电子设备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854A KR102312888B1 (ko) 2015-05-13 2015-05-13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822A KR20160133822A (ko) 2016-11-23
KR102312888B1 true KR102312888B1 (ko) 2021-10-15

Family

ID=5724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854A KR102312888B1 (ko) 2015-05-13 2015-05-13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77490B2 (ko)
EP (1) EP3295282A4 (ko)
KR (1) KR102312888B1 (ko)
CN (1) CN107533389B (ko)
WO (1) WO2016182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4812B2 (en) * 2013-05-14 2016-08-16 Acist Medica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device engagement
CN110083395B (zh) * 2019-04-15 2023-07-18 上海墨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方法、电子设备、可拆卸部件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9870A1 (en) * 2012-03-22 2013-09-26 Motorola Mobility, Inc. Dual mode active stylus for writing both on a capacitive touchscreen and paper
US20140050516A1 (en) * 2012-08-17 2014-02-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bination pen refill cartridge and active stylu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601A (en) * 1998-02-23 1999-09-28 Weiss; Marla Multi-segment writing implement
CN1249242A (zh) * 1999-10-15 2000-04-05 李刚 计算机笔式光学输入与书写同体笔
US6715950B2 (en) * 2002-06-17 2004-04-06 Allen C. Kim Multi-color marking pen assembly
US7009594B2 (en) * 2002-10-31 2006-03-07 Microsoft Corporation Universal computing device
US7702673B2 (en) * 2004-10-01 2010-04-20 Ricoh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creation and use of a mixed media environment
US20080030486A1 (en) 2006-08-04 2008-02-07 Quiteso Technologies, Llc Multi-functional pen input device
JP4375377B2 (ja) * 2006-09-19 2009-1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筆記情報処理システム、筆記情報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884929B2 (en) * 2009-06-08 2014-11-11 Jhuo-Nian WU Stylus auxiliary core for reducing the scratching of panels
JP2011123833A (ja) * 2009-12-14 2011-06-23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電子ペン
US20110236119A1 (en) * 2010-03-25 2011-09-29 Kevin Richer Block Crayon
CN202142017U (zh) * 2011-02-16 2012-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手写笔及移动终端
US8907931B2 (en) * 2011-06-20 2014-12-09 Sony Corporation Electronic terminal, input correction method, and program
EP2713251A4 (en) * 2011-07-04 2014-08-06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VIRTUAL HANDWRITTEN ENTRY
KR101940565B1 (ko) 2012-08-02 201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 장치
US10642376B2 (en) 2012-11-28 2020-05-05 Intel Corporation Multi-function stylus with sensor controller
US9430061B2 (en) * 2013-03-07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Ultrasonic hybrid input device and corresponding tuning method
US9256302B2 (en) 2013-07-22 2016-02-09 No Touch Technologies, Llc Stylus pen
CN104461090B (zh) * 2013-09-13 2018-03-20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6462262B (zh) * 2014-08-29 2020-04-24 株式会社和冠 位置指示器和位置指示器用芯状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9870A1 (en) * 2012-03-22 2013-09-26 Motorola Mobility, Inc. Dual mode active stylus for writing both on a capacitive touchscreen and paper
US20140050516A1 (en) * 2012-08-17 2014-02-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bination pen refill cartridge and active styl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163A1 (en) 2016-11-17
CN107533389B (zh) 2021-01-15
EP3295282A1 (en) 2018-03-21
US20160334863A1 (en) 2016-11-17
KR20160133822A (ko) 2016-11-23
US9977490B2 (en) 2018-05-22
CN107533389A (zh) 2018-01-02
EP3295282A4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9099B2 (en) Virtual reality viewer and input mechanism
JP4872111B2 (ja) 位置指示器
JP6767252B2 (ja) 電子ペン
Xia et al. NanoStylus: Enhancing input on ultra-small displays with a finger-mounted stylus
US20190339796A1 (en) Touch pen, touch device, and system for calligraphy practice
US8780040B2 (en) Handwriting input device
AU2014200307A1 (en) A touch p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he touch pe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US20110267306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the note recording method thereof
US20170060272A1 (en) Combined activation mechanism of retractable marker and power status for an electronic pen
EP2881851A1 (en) Paper medium,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program
US11803286B2 (en) Electronic pen
KR102312888B1 (ko) 입력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1662834B2 (en) Electronic erasing device and writ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3637232A1 (en) Handwriting board
JP2018037014A (ja) 手書き入力装置
KR20150063699A (ko) 스마트 펜
JPH1195903A (ja) 座標読取装置の座標指示器、座標読取装置及び座標読取システム
EP3474128A1 (en) Wiping device, touch system and method for erasing handwriting of touch system
CN205721680U (zh) 遥控器
US20240176433A1 (en) Electronic pen
CN219609603U (zh) 一种手写输入设备
KR200232197Y1 (ko) 다용도 스타일러스 펜
KR20160126656A (ko)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CN106066714B (zh) 遥控器
KR20150135848A (ko) 이레이저 기능을 갖는 전자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