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445B1 -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 Google Patents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445B1
KR102309445B1 KR1020190146537A KR20190146537A KR102309445B1 KR 102309445 B1 KR102309445 B1 KR 102309445B1 KR 1020190146537 A KR1020190146537 A KR 1020190146537A KR 20190146537 A KR20190146537 A KR 20190146537A KR 102309445 B1 KR102309445 B1 KR 10230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sewage
toilet
bow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291A (ko
Inventor
이종인
김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디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9014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30Water injection in siphon for enhancing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1)의 후방 및 후방하부를 덮으며 하부가 개구된 커버부(113)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10);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와 동일한 평판 형상으로 되며,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가 결합되는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 상기 연결관(112)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한 주름관(130); 상기 세척수유입로(111a)와 연결되어 상기 보울(111)로의 세척수 유입시 상기 세척수유입로(111a)로부터 세척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세척수분기부(140); 상기 주름관(13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며, 상기 세척수분기부(140)로부터 분기된 세척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151)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탱크(152)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152a)로 배출되는 속도에 의해 상기 주 배출관(15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150); 상기 연결관(112)과 상기 오수 배출관(15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세척수 차단시 상기 오수 배출관(15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Variable Type Water Saving Closet Possible Separated Installation}
본 발명은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저수탱크내 배수관 또는 직수를 통해 수로에 유입된 일부의 물량이 분기되어 양변기의 오수 배출관 외주에 있는 보조 탱크에 저장되는 물량이 일정량 이상 되면, 보조탱크의 하중에 의해 보울 내의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가변식 절수 양변기의 설치시에, 바닥관과 연결될 양변기 몸체부의 하부가 결합될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를 미리 설치하도록 하고, 설치된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의 상부에 양변기 몸체부를 거치시킴으로써 양변기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분뇨배출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분뇨의 원활한 세척을 위해 변기 보울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이펀 원리는 역 U자관내의 수위와 변기내의 수위가 평형을 이룰 때는 물이 정체상태인 반면, 변기 보울내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 변기 보울내의 압력상승이 동반 되면서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사이펀관과의 압력차에 의해 변기 보울내의 물이 배출되는 원리를 말한다.
통상의 양변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울(bowl)(2)과, 상기 보울(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정량의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상기 보울(2)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5)에 의해 닫혀진 공급로(2a)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1)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탱크(1)에 설치된 배수레버(3)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3)에 연동하는 상기 배수구 패킹(5)이 배수구(10)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의 물이 그 공급로(2a)를 통해 보울(2)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보울(2) 내 수위 증가에 따라 보울(2) 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상기 보울의 배수로(2b)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울 내 침전된 대, 소변을 배수트랩(2c)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변기는 보울 내에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2c) 높이 이상의 수위를 항상 유지해야 하고 또 수세시에 상기 배수트랩(2c) 높이의 수압을 이길 수 있는 양의 물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의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변기는 보울 배출관 직경이 원활한 오물의 배출을 위해 KS규격 등을 통해 정해진 45미리 이상 즉 통상 45~55미리 정도가 되어야 함에 따라, 보울내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선 일명 사이펀 현상을 발생 시켜야 흡인력에 의해 세척이 되며, 이러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최소한 일시에 60미리 이상의 물을 보울 내부로 공급하여야 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변기는 보올 배출관 출구에 일명 제트(Jet)방식으로 이러한 사이폰 현상을 조기에 발생시켜 절수형 변기로 제작하거나 저수탱크를 설치하고 평상시 저수탱크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다가 사용시 저수탱크 내부에 설치된 약 65미리 전후의 배수관 구경에 부착된 개폐마개의 개방으로 저수탱크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를 통해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함으로서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여 세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양변기는 이러한 사이폰 발생을 위해 다량의 세척수량이 필요함으로서 초절수변기의 제작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기존 양변기의 절수한계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1131810호, 제10-1374544호, 제10-1442624호, 제10-1453013호, 제10-1638427호, 제10-1860833호, 제10-1860834호의 가변식 절수변기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이러한 가변식 절수변기는 기존 사이폰식 양변기에 비해 절수력은 인정되었으나, 가변장치를 도기에 부착하기 위해 도기 후면을 개방하였고, 가변장치의 부착 후 이를 밀폐하기 위해 후면커버를 부착하도록 한 다음 양변기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양변기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가변장치의 수리가 어려워, 상기 가변장치가 젓가락, 기저귀 등과 같은 대변, 소변 이외의 이물질 투입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가변관 자바라 고무의 찢어짐과 양변기의 막힘 등이 발생하면, 설치된 양변기 자체를 철거하여 수리한 후 재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A/S에 심각한 결함이 있었다.
한편, 기존 사이폰식 양변기나 가변식 절수 양변기는 대다수의 고층 공동주택이나 사무빌딩 그리고 공공기관 등에 설치된 오수 배관설비가 양변기 세척시 강력한 음압(minus pressure)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가변식 절수 양변기는 가변관이 임의로 하향동작하여 보올 내부 저수물량이 보올 배출구로 일부가 배출되므로서, 보올의 저수물량이 현저히 줄어 KS규격에서 요구하는 보올 내부 저수물량의 수봉(50mm)과 유수면적이 부족하여 세척불량이나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기존 사이폰식 양변기나 가변식 절수 양변기는 설치작업시 바닥 오수배관과의 연결을 위해 일명 "프렌지"라는 부품을 도기 하부에 결합하여 바닥배관과 연결작업을 해야 하나 무거운(약 30Kg~40Kg) 도기를 들고 도기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바닥 오수배관에 결합작업을 하는 것은 양변기를 설치하는 작업자에게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양변기의 무게가 무거워 바닥배관과 오수배관이 연통되도록 양변기를 바닥면에 발라진 시멘트, 몰탈 등의 상부에 안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 바닥관 또는 오수배출구가 막히는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 등과 함께 양생된 양변기를 분리시켜 수리하여야 하나 분리시 양변기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수리의 여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변기 몸체부의 하부가 결합될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양변기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변기 세척시 오수 배관설비로부터 발생되는 강력한 음압에 의해 가변관이 임의로 하향동작하여 보올 내부 저수물량이 보올 배출구로 일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1a)가 형성되고 세척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1)의 후방 및 후방하부를 덮으며 하부가 개구된 커버부(113)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10);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와 동일한 평판 형상으로 되며, 상부 외곽부위에는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 내측에 끼워지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1) 내측에는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의 커버부(113) 하부로 배출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01)으로 유도되기 위해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부로 요입된 요입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122)의 중앙부위에 상기 바닥관(101)과 연통되는 연통공(12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 외측 하부 부위에는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가 안착되어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가 화장실바닥에 설치되도록 단차진 단차부(124)가 형성된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 상기 연결관(112)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한 주름관(130); 상기 세척수유입로(111a)와 연결되어 상기 보울(111)로의 세척수 유입시 상기 세척수유입로(111a)로부터 세척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세척수분기부(140); 상기 주름관(13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주 배출관(151)과, 상기 주 배출관(151)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분기부(140)로부터 분기된 세척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배출홀(152a)이 구비된 보조 탱크(15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수분기부(140)로부터 분기된 세척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151)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탱크(152)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152a)로 배출되는 속도에 의해 상기 주 배출관(15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150); 상기 연결관(112)과 상기 오수 배출관(15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세척수 차단시 상기 오수 배출관(15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113)는, 외측벽(113a) 및 내측벽(113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벽으로 되고, 상기 내측벽(113b)의 하단에는 상기 내측벽(113b)의 하단과 상기 외측벽(113a)을 연결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113c)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상부에는 상기 단턱(113c)이 안착되고, 상기 단차부(124)에는 상기 외측벽(113a)이 안착되며, 상기 돌출부(121)와 상기 단턱(113c) 사이에는 실링부(12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113)의 측면 또는 후면에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음압 발생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14)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공(114)이 구비된 상기 커버부(113) 내측에 고정되며,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양압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공(114)으로 공기배출을 차단시키고,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부압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공(114)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압력에 의한 상기 보울(111)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출을 방지하는 압력방지판막(1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변기 몸체부의 하부가 결합될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를 화장실 바닥에 미리 설치하고 양변기 몸체부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양변기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양변기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 도기로 된 양변기 설치작업할 때 양변기 몸체부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공과 바닥관과의 연결을 고려하기 위해 양변기 몸체부의 배출공과 바닥관과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면서 양변기 몸체부를 힘들게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배출공과 바닥관과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지 않고도 양변기 몸체부의 커버부의 하부 외곽부위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의 돌출부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양변기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양변기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기로 된 양변기 몸체부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서, 이물질 투입과 같은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양변기 세척문제나 고장이 발생된 경우, 저수탱크내 배수관 또는 직수를 통해 수로에 유입된 일부의 물량이 분기되어 양변기의 오수 배출관 외주에 있는 보조 탱크에 저장되는 물량이 일정량 이상 되면, 보조탱크의 하중에 의해 보울 내의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가변식 오수배출관의 수리하게 될 때, 양변기 몸체부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양변기 몸체부에 설치된 가변식 오수배출관을 수리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가변식 양변기와 같이 후면커버의 부착이 필요없으며, 수리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몰탈 등을 이용한 양변기 고정을 위한 양생시간이 필요없으므로 수리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변기 세척시 오수 배관설비로부터 발생되는 강력한 음압에 의해 가변관이 임의로 하향동작하여 보올 내부 저수물량이 보올 배출구로 일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올 내부 저수물량의 수봉(50mm)과 유수면적이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이 양호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의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의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는 직수용 양변기와 수조용 양변기는 세척수를 보울에 공급하는 방식에 따라, 직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직수용 양변기와, 수조에서 저수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수조용 양변기로 구별될 수 있으나, 세척수를 공급하는 방식만 다를 뿐 양변기 몸체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는 크게 양변기 몸체부(110);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 주름관(130); 세척수분기부(140); 오수 배출관(150); 탄성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와, 주름관(130), 세척수분기부(140), 오수 배출관(150) 및 탄성부(160)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1860834호(발명의 명칭: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조용 양변기는 수조가 더 구비된다.
양변기 몸체부(110)는 화장실의 바닥 또는 벽체에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는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과, 상기 보울(111)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 및 상기 보울(111)의 후방 및 후방하부를 덮는 커버부(113)로 구성된다.
상기 보울(111)은,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1a)가 형성되고, 세척수가 일정량 저장된다. 상기 보울(111)은 일반적인 좌변기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연결관(112)은 상기 보울(111)에 저장되는 오수를 상기 커버부(113)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보울(111)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112)에는 후술할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 배출관(150)이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113)는 상기 보울(111)의 후방 및 후방하부를 덮으며 하부가 개구된다. 상기 보울(111)로부터 상기 연결관(112) 및 상기 오수 배출관(150)을 통해 배출된 오수는 상기 커버부(113)의 개구된 하부로 낙하되게 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는,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와 동일한 평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는, 양변기 설치시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 설치를 위하여 화장실 바닥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는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몰탈 등으로 양생을 거쳐 바닥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는, 돌출부(121)와, 요입부(122)와, 연통공(123) 및 단차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1)는, 상부 외곽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 내측에 끼워지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122)는, 상상기 돌출부(121) 내측에는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의 커버부(113) 하부로 배출된 오물을 중앙부위로 유도되기 위해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부로 요입형성된다. 상기 요입부(122)는, 상기 보울(111)로부터 상기 연결관(112) 및 상기 오수 배출관(150)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커버부(113)의 개구된 하부로 낙하된 오수를 중앙부위로 유도되도록 한다.
상기 연통공(123)은, 상기 요입부(122)의 중앙부위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01)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닥관(101)과 연통된다. 상기 보울(111)로부터 상기 연결관(112) 및 상기 오수 배출관(150)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커버부(113)의 개구된 하부로 낙하된 오수는, 상기 요입부(122)에 의해 중앙부위로 유도되고, 상기 요입부(122)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상기 연통공(123)을 통해 상기 바닥관(101)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단차부(124)는, 상기 돌출부(121) 외측 하부 부위에는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가 안착되어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가 화장실바닥에 설치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를 화장실 바닥에 고정할 때 상기 연통공(123)의 중심이 상기 바닥관(101)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화장실 바닥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는 도기로 될 수 있으나, 합성수지재로 되어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에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가 결합할 때 서로 부딪쳐 이들이 서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관(130)은 상기 보울(11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관(112)에 연결된다. 즉, 상기 주름관(130)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112)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분기부(140)는, 상기 세척수유입로(111a)와 연결되어 상기 보울(111)로의 세척수 유입시 상기 세척수유입로(111a)로부터 세척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한다.
상기 오수 배출관(150)은 상기 주름관(130)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13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오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오수 배출관(150)은, 상기 주름관(13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주 배출관(151)과, 상기 주 배출관(151)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분기부(140)로부터 분기된 세척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배출홀(152a)이 구비된 보조 탱크(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수분기부(140)로부터 분기된 세척수의 일부가 상기 보조 탱크(152)로 공급되게 되며 공급된 세척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보울(111)로부터 상기 주름관(130)을 거쳐 상기 주 배출관(151)을 통해 오수를 상기 커버부(113)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보조 탱크(152)에는 보조 배출홀(152a)이 구비되므로 상기 보조 탱크(152)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보조 탱크(152)로부터 배출되게 되며, 상기 보조 배출홀(152a)로 배출되는 속도에 의해 상기 주 배출관(15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부(160)는, 상기 연결관(112)과 상기 오수 배출관(15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세척수 차단시 상기 오수 배출관(15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오수 배출관(150)은 직립에 의해 오수의 배출을 방지하며, 분기된 세척수의 공급에 의한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가변식 오수배출장치를 사용하였으나, 직립에 의해 오수의 배출을 방지하며 분기된 세척수의 공급에 의한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오수를 배출할 수 있는 형태의 가변식 오수배출장치이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변기 몸체부의 하부가 결합될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를 화장실 바닥에 미리 설치하고 양변기 몸체부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양변기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양변기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 도기로 된 양변기 설치작업할 때 양변기 몸체부로부터 오수가 배출되는 배출공과 바닥관과의 연결을 고려하기 위해 양변기 몸체부의 배출공과 바닥관과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면서 양변기 몸체부를 힘들게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배출공과 바닥관과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지 않고도 양변기 몸체부의 커버부의 하부 외곽부위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의 돌출부에 결합시키기만 하면 양변기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양변기의 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도기로 된 양변기 몸체부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서, 사용자 부주의로 양변기 세척문제나 고장이 발생된 경우, 저수탱크내 배수관 또는 직수를 통해 수로에 유입된 일부의 물량이 분기되어 양변기의 오수 배출관 외주에 있는 보조 탱크에 저장되는 물량이 일정량 이상 되면, 보조탱크의 하중에 의해 보울 내의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가변식 오수배출관의 수리하게 될 때, 양변기 몸체부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가변식 오수 배출관을 수리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가변식 양변기와 같이 후면커버의 부착이 필요없게 된다.
양변기 몸체부(110)의 커버부(113)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에 결합되도록 할 때,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와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의 결합부위를 실링되도록 하여 화장실 내부로 악취가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실링부(125)를 채택한다.
상기 실링부(125)는,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와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의 결합부위에서 화장실 내부로 악취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링부(125)는 상기 단차부(124)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단차부(124)에 안착되는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의 커버부(113)와의 결합부위를 실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실링부(125)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며 잦은 물과의 접촉에 의해 물때가 끼는 등 관리가 어렵게 된다.
상기 실링부(125)를 커버부(113)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와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의 결합부위를 실링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113)는, 외측벽(113a) 및 내측벽(113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벽으로 되고, 상기 내측벽(113b)의 하단에는 상기 내측벽(113b)의 하단과 상기 외측벽(113a)을 연결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113c)이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양변기 몸체부(110)의 커버부(113)를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에 결합되도록 할 때, 상기 돌출부(121)의 상부에는 상기 단턱(113c)이 안착되고, 상기 단차부(124)에는 상기 외측벽(113a)이 안착되며, 상기 돌출부(121)와 상기 단턱(113c) 사이에는 실링부(125)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링부(125)를 상기 커버부(113) 내측으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는 상기 돌출부(121)의 전방에 양변기 몸체부(110)에 구비된 보울(111)의 하부부위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로 돌출된 전방돌출부(126)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해당층에서의 양변기 세척수 배출시 해당층의 서브 배출관을 통해 메인 배출관으로 배출될 때, 해당층 상층에서의 메인 배출관에서는 오수 배출시 메인 배출관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압력은 하강하는 부압(음압)이 걸리게 되고, 강압된 공기에 의해 해당층 상층에 설치된 양변기 보울에 수용된 세척수가 배출되게 되는 세척수 배출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출관 내의 부압에 의한 세척수 배출현상이 발생되면 양변기 보울에 수용된 세척수의 부존에 의해 배출관 내의 악취를 함유한 공기가 양변기 보울을 통해 화장실로 배출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렇게 오수 배출시 발생되는 메인 배출관의 부압에 의한 세척수 배출현상은 해당층과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더욱 심화되며, 고층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는 흔히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부압(음압)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는 공기유입공(114)과 압력방지판막(170)을 채택한다.
상기 공기유입공(114)은, 상기 커버부(113)의 측면 또는 후면에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음압 발생시 외부의 공기(즉, 화장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커버부(113)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방지판막(170)은, 상기 공기유입공(114)이 구비된 상기 커버부(113)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 압력방지판막(170)은 평상시에 폐쇄되어 상기 커버부(113) 외측으로 악취가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력방지판막(170)은,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양압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공(114)으로 공기배출을 차단시키고,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부압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공(114)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압력에 의한 상기 보울(111)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방지판막(170)은, 상기 커버부(113)에 내측에 위치하는 일측단부는 원형관형태로 되고, 타측단부는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판형태로 되어 타측단부로부터 일측단부로의 공기의 유입은 차단하고,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로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방지판막(170)은 타측단부로부터 일측단부로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타측단부가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된다.
상기 압력방지판막(170)은 원형관 형태로 된 일측단부를 상기 공기유입공(114)이 형성된 상기 커버부(113) 내측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위가 원형관 형태로 된 일측단부와 연통되는 공기통과공이 관통형성된 부착판(171)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유입공(114)과 및 압력방지판막(170)을 구비함으로써,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부압(음압) 발생시 개방되어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부압에 따른 보울 내부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변기 세척시 오수 배관설비로부터 발생되는 강력한 음압에 의해 가변관(즉, 오수 배출관(150))이 임의로 하향 회동작동하여 보울 내부 저수물량이 보울 외부로 일부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울 내부 저수물량의 수봉(50mm)과 유수면적이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양호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유입공(114)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공기유입공(114)이 일정간격을 이루는 행렬 또는 원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1 : 바닥관 110 : 양변기 몸체부
111 : 보울 111a : 세척수유입로
112 : 연결관 113 : 커버부
114 : 공기유입공 120 :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
121 : 돌출부 122 : 요입부
123 : 연통공 124 : 단차부
125 : 실링부 130 : 주름관
140 : 세척수분기부 150 : 오수 배출관
151 : 주 배출관 152 : 보조 탱크
152a : 보조 배출홀 160 : 탄성부
170 : 압력방지판막 171 : 부착판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1a)가 형성되고 세척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11)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보울(111)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2)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11)의 후방 및 후방하부를 덮으며 하부가 개구된 커버부(113)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10);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와 동일한 평판 형상으로 되며, 상부 외곽부위에는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 내측에 끼워지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1) 내측에는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의 커버부(113) 하부로 배출된 오물을 중앙부위로 유도되기 위해 구배가 형성되도록 하부로 요입된 요입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요입부(122)의 중앙부위에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01)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바닥관(101)과 연통되는 연통공(123)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 외측 하부 부위에는 상기 커버부(113)의 하단테두리가 안착되어 상기 양변기 몸체부(110)가 화장실바닥에 설치되도록 단차진 단차부(124)가 형성된 양변기 몸체부용 결합부(120);
    상기 연결관(112)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1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일방으로의 휨이 가능한 주름관(130);
    상기 세척수유입로(111a)와 연결되어 상기 보울(111)로의 세척수 유입시 상기 세척수유입로(111a)로부터 세척수의 일부가 분기되도록 하는 세척수분기부(140);
    상기 주름관(130)에 연결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주 배출관(151)과, 상기 주 배출관(151)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분기부(140)로부터 분기된 세척수가 공급되며 하부에 공급된 세척수를 배출되도록 하는 보조 배출홀(152a)이 구비된 보조 탱크(152)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수분기부(140)로부터 분기된 세척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어 주 배출관(151)을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상기 보조 탱크(152)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152a)로 배출되는 속도에 의해 상기 주 배출관(151)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150);
    상기 연결관(112)과 상기 오수 배출관(15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세척수 차단시 상기 오수 배출관(15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1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부(113)는, 외측벽(113a) 및 내측벽(113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벽으로 되고, 상기 내측벽(113b)의 하단에는 상기 내측벽(113b)의 하단과 상기 외측벽(113a)을 연결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113c)이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상부에는 상기 단턱(113c)이 안착되고, 상기 단차부(124)에는 상기 외측벽(113a)이 안착되며,
    상기 돌출부(121)와 상기 단턱(113c) 사이에는 실링부(12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13)의 측면 또는 후면에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음압 발생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공(114)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공(114)이 구비된 상기 커버부(113) 내측에 고정되며,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양압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공(114)으로 공기배출을 차단시키고, 오수 배출에 따른 메인 배출관으로부터 상기 커버부(113) 내부에 걸리는 부압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공(114)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개방되어 압력에 의한 상기 보울(111)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출을 방지하는 압력방지판막(1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1020190146537A 2019-11-15 2019-11-15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102309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37A KR102309445B1 (ko) 2019-11-15 2019-11-15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537A KR102309445B1 (ko) 2019-11-15 2019-11-15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291A KR20210059291A (ko) 2021-05-25
KR102309445B1 true KR102309445B1 (ko) 2021-10-06

Family

ID=7614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537A KR102309445B1 (ko) 2019-11-15 2019-11-15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4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391A (ja) * 1998-08-17 2000-02-29 Rinfuoosu Kogyo Kk 水洗便器の給気装置
KR101860834B1 (ko) *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24U (ko) * 1993-08-30 1995-03-20 자전거용 우산걸이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391A (ja) * 1998-08-17 2000-02-29 Rinfuoosu Kogyo Kk 水洗便器の給気装置
KR101860834B1 (ko) * 2017-06-20 2018-05-25 주식회사 와와 가변식 절수양변기의 오수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291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753B2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US5832546A (en) Flush toilet having a reseal water chamber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KR102309445B1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가변식 절수양변기
KR102309439B1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CN204898793U (zh) 节水马桶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CN101324082A (zh) 分排式无存水弯节水座便器
CN210049331U (zh) 一种高层建筑厨卫用给排水结构
CN2905918Y (zh) 用于楼房的节水箱式盥洗台
CN212835749U (zh) 一种节水静音、防堵、防返流溢味的马桶冲洗装置
CN2818588Y (zh) 马桶用水箱及使用该水箱的马桶和马桶洗脸盆联用节水装置
CN213014545U (zh) 一种低水箱坐便器
CN212896682U (zh) 一种小便斗自由排下水器
KR102133230B1 (ko) 초절수 양변기
CN216428476U (zh) 一种改进型蹲便器
CN212534372U (zh) 冲水改进的座便器
CN217105393U (zh) 一种直排式节水蹲便器
CN208121920U (zh) 一种储水式自清洁蹲便器
KR20210009948A (ko) 하우징이 구비된 양변기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CN201043284Y (zh) 楼房公用洗漱间废水再利用组合装置
CN101397807A (zh) 节水型一体化洁具
CN208167905U (zh) 一种马桶移位器
KR20220005373A (ko) 초절수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