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298B1 -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298B1
KR102309298B1 KR1020177013176A KR20177013176A KR102309298B1 KR 102309298 B1 KR102309298 B1 KR 102309298B1 KR 1020177013176 A KR1020177013176 A KR 1020177013176A KR 20177013176 A KR20177013176 A KR 20177013176A KR 102309298 B1 KR102309298 B1 KR 102309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mage
application
bent displa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211A (ko
Inventor
이도영
이주환
천시내
박시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0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어플리케이션 내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GUI를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 및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을 가지며, 사용자의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을 통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에 대한 빠른 실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본 명세서는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 및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을 가진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 및 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해 다양한 전자기기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전자기기 중에서 멀티 미디어를 보고 들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및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이 부여된 디스플레이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디바이스의 본체에 체결되어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Banded display)와 구부렸다가 폈다가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분된다.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는 디바이스의 본체에 체결될 때,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 및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을 가지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영역의 정보와 상기 서브영역의 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및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의 서브영역을 기능 영역 및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영역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 첨부 정보,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상기 서브영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영역에 대한 화면에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서브영역을 조작하여 상기 화면에 대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디바이스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가 필요하다. 먼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실행시킨 후 어플리케이션 내 입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또는 빠르게 사용하고 싶은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다소 번거로운 절차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영역이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기능 운용 및 디스플레이적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플리케이션 내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GUI를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 및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을 가지며, 사용자의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을 통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실행중인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는 푸쉬 버튼 스위치 형태, 택트 스위치 형태, 토글 스위치 형태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상기 서브영역 중 상기 디바이스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입력은 터치 입력, 더블 터치 입력 및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 유지 입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메인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동작 중일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상기 이미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래픽 효과는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된 그래픽 효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메인영역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튼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이미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재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 이미지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에 인접한 방향으로 상기 버튼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 및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을 가지며, 사용자의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을 통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에 대한 빠른 실행이 가능하다.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특정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이미지로 변환하게 되어 사용자는 해당 기능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직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메인영역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아,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를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태 예시도이다.
도 5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을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시키기 위한 제1 입력 및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이 모두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인 사진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입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및 도 10은 제3입력을 통해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재 변형 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내 특정 기능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GUI를 벤디드 디스플레이의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기존의 아이콘을 변형시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GUI(일명 '단축 버튼')를 생성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상기 디바이스(100)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111) 및 상기 메인영역(111)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112)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상기 디바이스(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영역(112)이 상기 디바이스의 양측에 위치한 예시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영역(112)은 상기 디바이스(100)의 좌측,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상기 디바이스(100)의 우측, 좌측,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2이상의 위치에 상기 서브영역(112)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및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하여, 접고 펼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휘거나 굽힐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상기 디바이스(100)의 크기에 따라 특정 화면 크기(예컨대, 3인치, 4인치, 4.65인치, 4.8인치, 5인치, 6.5인치, 7.7인치, 8.9인치, 10.1인치 등)의 액티브 매트릭스 화면(active matrix screen)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영역(112)의 곡률은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가 동작 가능한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예컨대, 곡률 반경 5cm, 1cm, 7.5mm, 5mm, 4mm 등) 이하로 접혀 상기 디바이스(100)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감압 방식 또는 정전 방식의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센서는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벤디드 디스플레이(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디바이스(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라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 및 상기 제어부(120) 외에 카메라부(130), 입력부(140), 오디오부(150), 센서부(160), 저장부(170), 통신부(180) 및 파워부(1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란,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며,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를 가리킨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의 실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치는 TV,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네비게이터, PMP, 결제용 단말기, 보안용 단말기, 키오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포터블 디바이스는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장치로도 활용되고 있다.
상기 카메라부(130)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130)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30)에서 촬영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된 후 상기 제어부(120)로 출력되거나, 저장 없이 바로 상기 제어부(120)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3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는 정지 영상이 될 수도 있고,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30)는 모션 센서 또는 비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30)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패드, 버튼, 소프트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넓은 의미로 상기 입력부(140)는 마이크,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마이크는 상기 오디오부(150)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바, 상기 입력부(140)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오디오부(150)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실행 중인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저장부(17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통신부(180)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출력 수단은 공기 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주위 환경을 디텍트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6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 수단은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사용자의 환경을 센싱하여, 상기 제어부(12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싱 수단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의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바, 상기 센서부(160)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부(1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또는 사진은 상기 카메라부(13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7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하여 상기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70)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착탈 가능한 외부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저장 매체는 SD (Secure Digital)나 CF (Compact Flash) 메모리와 같은 슬롯 형태, 메모리 스틱 형태, USB (Universal Serial Bus) 형태 등이 가능하다. 즉, 상기 외부 저장 매체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고,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콘텐츠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70)는 램(RAM), 롬(ROM), 캐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FDD), 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플래쉬 메모리, USB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0)는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동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고정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 패드, 노트북,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이 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 탑, DVD (Digital Video Disc or 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TV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프로토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인 경우, 상기 통신부(180)는 상기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유선 데이터 전송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류,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IEEE 1394 규격류, 또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다른 유사 규격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인 경우, 상기 통신부(180)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외부 통신망으로의 무선 접속을 고려한 RF 전기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0)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 통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그 외에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인터페이스 방식은 상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파워부(190)는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일차 전지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의 경우,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메인영역(111)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중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이하 '이벤트 정보')를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영역(112)을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100)의 기능에 대한 디스플레이 및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벤트 정보는 상기 메인영역(111)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영역(111)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별도의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영역(111)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팝업 정보, 첨부 정보,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영역(111)에 대한 화면에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서브영역(112)을 조작하여 상기 화면에 대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메인영역(111)에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별도의 정보는, 예를 들어, 메시지 수신(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기반의 메시지 수신), 메일 수신, 푸시(push) 서비스의 정보 수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알림 수신 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알려주기 위한 정보, 상기 디바이스(100)의 상태 정보(예컨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사용자에 의해 클리핑(clipping)된 데이터의 알림, 인디케이터 등)를 알려주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술한 역할 외에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 등을 실행하거나 상기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술한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될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제어부(12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상기 저장부(17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0를 통해 본 명세서에 따른 제어부(120)의 제어 로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의 서브영역(112)에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200)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200)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실행중인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영역(111)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200)은 상기 메인영역(111)에 디스플레이되지만, 상기 아이콘(200)은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아이콘(200)은 상기 메인영역(111)으로부터 상기 서브영역(112)으로 옮기는 방법은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영역(112)에 표시되는 아이콘(200)의 개수는 상기 서브영역(112)의 크기, 상기 아이콘(2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를 통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을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시키기 위한 제1 입력 및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에 대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220)을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시키기 위한 제1 입력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입력이란,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시키는 입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예시처럼,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1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시된 예시 외에도 상기 제1 입력은 다양한 방식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제1 입력에 의해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는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미지는 스위치 형태 외에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입력에 의해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가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221)는 앞서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아이콘(220)이 상기 제1 입력에 의해 변형된 이미지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상기 서브영역(112) 중 상기 디바이스(100)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이 모두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이콘에서 변형된 다수의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미지는 도 4에 도시된 아이콘들(200)로부터 각각 변형된 것이다. 도시된 예시처럼 복수의 이미지가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어느 이미지가 어느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부터 변형이 된 것인 것 식별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술한 혼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단순하게 숫자 또는 문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래 아이콘의 모양을 축소시킨 식별자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을 통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인 사진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입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제2 입력으로서, 상기 제2 입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어느 한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입력은 터치 입력, 더블 터치 입력 및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 유지 입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 변형된 이미지(221)를 터치할 경우, 사진 촬영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221)를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할 경우, 동영상 촬영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음성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 변형된 이미지를 터치할 경우, 녹음 시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터치할 경우, 녹음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 녹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 변형된 이미지를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할 경우, 터치를 유지하는 동안만 녹음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 변형된 이미지를 터치할 경우, 음악 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터치할 경우, 음악 재생 정지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SNS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 변형된 이미지를 터치할 경우, GPS센서를 이용한 현재 위치 정보를 자신의 계정에 업로드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예시들은 몇몇 대표적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따른 예시적 설명에 지나지 않으면, 상기 예시에 의해 본 명세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는 푸쉬 버튼 스위치 형태, 택트 스위치 형태, 토글 스위치 형태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 형태일 수 있다.
푸쉬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란, 버튼이 눌릴 때마다 ON/OFF 상태가 변경되는 스위치이다. 즉, 버튼이 한 번 눌러 ON 상태가 되면, 스위치가 다시 한 번 눌리기 전까지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ON/OFF 상태가 변경되는 기능일 경우, 상기 이미지는 푸쉬 버튼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택트 스위치 (Tack Switch)란,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만 ON이 유지되는 스위치이다. 즉, 버튼에서 손을 떼면 스위치가 원상복귀됨과 동시에 OFF로 전환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버튼을 누르고 있을 때만 ON이 유지되는 기능일 경우, 상기 이미지는 택트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토글 스위치 (Toggle Switch)란, 레버를 움직임으로써 ON/OFF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방식의 스위치이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ON/OFF 상태가 변경되는 기능일 경우, 상기 이미지는 토글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슬라이드 스위치 (Slide Switch)란, 토글 스위치와 비슷하지만, 밀어 움직이는 방식의 버튼이 사용됩니다. 스위치의 손잡이가 밀려 움직인 위치에 따라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적어도 3개 이상의 상태가 변경되는 기능일 경우, 상기 이미지는 슬라이드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들은 상기 이미지가 가질 수 있는 스위치 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면, 상기 이미지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메인영역(11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제2입력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동작 중일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상기 이미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효과를 통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동작 중인지 아닌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래픽 효과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된 그래픽 효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서 변형된 이미지를 터치하여 음악을 재생시켰다고 가정해 보겠다. 이때, 상기 그래픽 효과로 음악이 재생 중이라는 그래픽 효과로서 '▶'를 상기 이미지 위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를 다시 터치하여 음악 재생을 정시시켰다면, 그래픽 효과로서 '■'를 상기 이미지 위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일 예시에 불과하면, 상기 그래픽 효과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메인영역(111)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메인영역(111)에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제2입력을 수신하여도, 상기 메인영역(111)에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위해 이미지(221)에 제2 입력을 한 경우, 사진 촬영에 대한 소리(예: 찰칵)만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2입력에 대응하여 사진 촬영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9및 도 10은 제3입력을 통해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재 변형 시키는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버튼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110)를 통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이미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재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3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 이미지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에 인접한 방향으로 상기 버튼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입력에 의해 이미지(221)에서 재 변형된 아이콘(220)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30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벤디드 디스플레이(110)의 서브영역(112)에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30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00에서 단계 S31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1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제1 입력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1입력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제1 입력이 수신되지 않았다면(단계 S310의 '아니요'),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00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00및 S310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면, 제1 입력이 수신되었다면(단계 S310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20으로 이행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1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입력이다. 상기 제1 입력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계 S32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320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20에서 단계 S33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3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제2 입력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2입력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제2 입력이 수신되지 않았다면(단계 S330의 '아니요'),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20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20및 S330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면, 제2 입력이 수신되었다면(단계 S330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4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4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340에 대해서는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300 내지 단계 S340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350 및 단계 S360에 대해서 추가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40의 프로세싱을 마치고 단계 S35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5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제3 입력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3입력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제3 입력이 수신되지 않았다면(단계 S350의 '아니요'),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40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40및 S350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반면, 제3 입력이 수신되었다면(단계 S350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단계 S36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60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미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재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112)에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340에 대해서는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프로세싱을 종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속적인 구성은 하나씩만 추가되는 예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2이상의 종속적인 구성이 조합을 이루어 추가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본 명세서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다양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를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로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제공된 본 명세서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명세서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0)

  1.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 및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을 가지며, 사용자의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을 통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동작 중일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실행중인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형태의 이미지는, 푸쉬 버튼 스위치 형태, 택트 스위치 형태, 토글 스위치 형태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서브영역 중 상기 디바이스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은, 터치 입력, 더블 터치 입력 및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 유지 입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메인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효과는,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된 그래픽 효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때, 상기 메인영역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버튼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이미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재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 이미지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에 인접한 방향으로 상기 버튼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디바이스의 정면을 향한 메인영역 및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서브영역을 가지며, 사용자의 접촉을 통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아이콘을 미리 설정된 형태의 이미지로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을 통한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중 상기 제2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동작 중일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효과를 상기 이미지에 더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
    (c) 상기 이미지에 대해 상기 벤디드 디스플레이을 통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할 때, 상기 이미지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재 변형하여 상기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은,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에 대해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영역에 인접한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7013176A 2014-12-29 2014-12-29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9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2979 WO2016108298A1 (ko) 2014-12-29 2014-12-29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211A KR20170102211A (ko) 2017-09-08
KR102309298B1 true KR102309298B1 (ko) 2021-10-06

Family

ID=562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176A KR102309298B1 (ko) 2014-12-29 2014-12-29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81759B2 (ko)
KR (1) KR102309298B1 (ko)
WO (1) WO2016108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77B1 (ko) * 2015-04-06 2022-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132101B2 (en) * 2017-09-08 2021-09-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con moving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0839096B (zh) * 2019-08-30 2022-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屏的设备的触控方法与折叠屏设备
CN112735261A (zh) * 2019-10-28 2021-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显示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333027A1 (en) * 2009-06-26 2010-12-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lete slider mechanism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101515623B1 (ko)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114312B1 (ko)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20140086820A (ko) * 2012-12-28 2014-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콘 운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40189597A1 (en) * 2012-12-28 2014-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esenting icons
KR20140103584A (ko) * 2013-02-18 2014-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US9916072B2 (en) * 2013-02-20 2018-03-13 Lg Electronics Inc. Application and notification window display management in a mobile terminal
KR102070773B1 (ko) * 2013-03-14 202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0101B1 (ko) *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8809B1 (ko) * 2013-04-22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축 아이콘 윈도우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84590B1 (ko) * 2013-07-1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8294B1 (ko) * 2013-12-30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EP2916195B1 (en) * 2014-03-03 2019-09-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107476A (ko) * 2014-03-14 2015-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212632B1 (ko) * 2014-05-12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50135837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운용 전자장치 및 방법
US9766743B2 (en) * 2014-05-30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60750B1 (en) * 2014-06-27 2019-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20738A (ko) * 2014-08-14 201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WI681330B (zh) * 2014-09-02 2020-01-0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用以執行可攜式終端的應用程式的方法和可攜式終端裝置
KR102255143B1 (ko) * 2014-09-0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27775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34135A (ko) * 2014-09-19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15997B1 (ko) * 2014-10-30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42555B1 (ko) * 2014-11-10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649652B2 (en) * 2014-11-12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interface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KR102358749B1 (ko) * 2014-12-26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8645B1 (ko) *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8298A1 (ko) 2016-07-07
US20180024722A1 (en) 2018-01-25
US10481759B2 (en) 2019-11-19
KR20170102211A (ko)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235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312985B (zh) 电子设备和用于显示其屏幕的方法
JP6947843B2 (ja)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US20200183560A1 (en) Folder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JP5960922B2 (ja) 通知情報表示方法、通知情報表示装置、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72358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by electronic device
US9268481B2 (en) User arrangement of objects on home screen of mobile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9280275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6211090B2 (ja) メッセージ表示方法、メッセージ表示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970338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with control for terminating a program
US9298265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displaying a paused application
US901342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70357399A1 (en) Bended display device of controlling scroll speed of event information displayed on sub-region according to posture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30265250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599383B1 (ko)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9874994B2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con and/or folder management
US20130167090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U2014287980B2 (en) Portable device for providing combined UI compon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00257411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related to not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US20160191429A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2309298B1 (ko)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3445B1 (ko)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0318025B2 (en) Auxiliary input de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of
US9628598B2 (en)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36983B1 (ko)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