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32B1 -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632B1
KR102212632B1 KR1020140056282A KR20140056282A KR102212632B1 KR 102212632 B1 KR102212632 B1 KR 102212632B1 KR 1020140056282 A KR1020140056282 A KR 1020140056282A KR 20140056282 A KR20140056282 A KR 20140056282A KR 102212632 B1 KR102212632 B1 KR 102212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area
sensing
electronic device
fingerpri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383A (ko
Inventor
홍현주
박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6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32B1/ko
Priority to US14/708,734 priority patent/US9934371B2/en
Priority to EP15167174.0A priority patent/EP2945097B1/en
Publication of KR20150129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35Combining adjacent partial images (e.g. slices) to create a composite input or reference pattern; Tracking a sweeping finger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40/1353Extracting features related to minutiae or po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 G06V40/1359Extracting features related to ridge properties; Determining the fingerprint type, e.g. whorl or lo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06V40/1371Matching features related to minutiae or po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06V40/1376Matching features related to ridge properties or fingerprint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3Recognition of patterns in medical or anatomical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Inpu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따르면, 지문 센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하고,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위치에서 지문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거리에 기초하여 지문 센서의 센싱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 PC, 스마트 폰을 비롯한 개인 휴대 단말의 증가와 함께, 정보 보안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들에 다양한 생체 인식 기술들을 적용하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생체 인식 기술들 중 지문 인식은 낮은 비용으로 높은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문 센서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휴대 단말에서 지문 센서는 휴대 단말의 전면 혹은 후면부에 실장되거나, 지문 센서를 포함한 키나 버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지문 센서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은 지문 센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상기 위치에서 상기 지문까지의 거리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문 센서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지문의 센싱을 수행하는 지문 센서와 상기 지문 센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에서 상기 지문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문 센서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도록 상기 지문 센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개시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기에 기재된 바에 의하면, 지문 센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이 평평하지(Flat) 하지 않더라도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커브가 포함된 전자 장치에도 공간적 제한 없이, 지문 센서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현도 가능하다.
전자 장치의 측면에 지문 센서를 위치시켜, 전자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그립(grip)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및 측면의 지문 센서를 활용하여,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보안 기능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가 실장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커브를 포함하는 지문 센서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측면에 지문 센서가 구비된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지문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의 지문 인증에 의해 지문 인증의 위치와 동일한 열의 복수의 아이콘들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의 지문 인증에 의해 지문 인증 위치와 동일한 열에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양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의 지문 인증에 의해 지문 인증 위치와 동일한 열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숨겨진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가 실장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문 센서는 키나 버튼에 실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센서는 홈 키(home key)에 실장될 수 있다.
또는, 지문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에 실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실장되어, 디스플레이 일체형이 될 수 있다.
지문 센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위치 이외에도 전자 장치의 전면, 측면 혹은 후면부 등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 실장될 수 있다.
도 2는 커브를 포함하는 지문 센서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커브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은 경사진 형태, 곡선 형태 또는 비대칭 형태 이외에도 평평하지 않은 모든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a) 내지 (c)는 사용자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이 커브에 위치하는 지문 센서에서 지문을 센싱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단말의 커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플렉서블 단말에서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지문 센서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통해 사람의 손가락과 같이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대상체가 감지되면,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은 지문 센서가 지문 입력을 획득하는 영역으로, 지문센서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에 입력되는 지문을 센싱함으로써,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문 센서에 도 2의 (a) 내지 (c)와 같이 지문을 위치시켜 지문을 센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커브들을 포함하는 지문 센서에서 지문을 센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a)에 도시된 커브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의 (d)는 커브에 위치하는 지문 센서에서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을 통해 지문을 인식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도 2의 (d)의 지문 센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은 커브 상에 위치하고 있다. 사용자는 도 2의 (d)에서와 같이,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상에 지문(10)을 위치시켜서, 지문 센싱을 시도할 수 있다.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로 의해 지문(10)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간의 거리는 일정하지 않다.
이에 따라, 지문(10)의 일부는 센서에서 지문의 이미지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센서가 획득한 지문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문 센서는 지문을 식별할 수 없다. 지문(10)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도 2의 (d)와 같은 형태의 커브에서는 커브의 중앙으로부터 양끝으로 멀어질수록 지문 이미지는 왜곡되거나 선명하지 않아 센서가 지문을 식별하기 어려워 질 수 있다
도 2의 (e)는 사용자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에 센싱한 지문(10)에서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로 인해 지문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명확하지 않은 영역(22)을 표시한 것이다.
도 2의 (e)를 참조하면, 커브의 중앙과 가까운 지문은 지문의 이미지의 왜곡 없이 선명한 영역(21)이고, 커브의 양끝에 위치한 지문은 지문의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선명하지 않은 영역(22)이다.
즉,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로 인해, 손가락과 가까운 거리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에서는 명확한 형태의 지문 입력을 획득할 수 있지만,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과 손가락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은 지문의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선명하지 않은 지문 입력을 획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브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상에 지문(10)이 위치하게 되면, 지문 센서는 지문 인식을 위해 필요한, 충분한 양의 명확한 형태의 지문 입력을 획득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커브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상에 지문(10)이 위치하더라도,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로 인해 지문(10)이 왜곡되거나 명확하지 않게 입력되는 위치를 획득하여 보상함으로써,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문(10)이 왜곡되거나 명확하지 않게 입력되는 위치 또는 영역을 지문(10)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이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문 센서(110) 및 프로세서(120)로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0) 또는 저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로 인해 지문의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선명하지 않더라도,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과의 거리에 따라 지문 센서(110)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여,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커브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은 경사진 형태, 곡선 형태 또는 비대칭 형태 이외에도 평평하지 않은 모든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평평하지 않은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가진 모든 지문 센서 및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휴대게임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지문 센서(110)를 포함하는 모든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지문의 센싱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광학식 방식, RF(Radio Frequency) 방식, 열감지 방식, 초음파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지문 센서(11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둘 이상의 방식이 결합된 지문 센서(110)를 이용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에서 지문의 센싱 타입에 따라 스와이프(swipe) 타입과 터치(touch) 타입이 있다. 스와이프 타입은 지문이 있는 손가락의 표면을 지문 센서(110) 상에 위치시킨 후, 소정의 방향으로 쓸어내리는 형태이다. 터치 타입은 소정 시간 동안 손가락의 표면을 지문 센서(110) 상에 접촉시키는 형태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 타입의 지문 센서(110)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스와이프 타입의 지문 센서(110)를 사용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는 지문의 센싱을 통해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한다.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은 지문 센서(110)가 지문 입력을 획득하는 영역이다.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지문이 위치하여야 지문 센서(110)가 지문 입력을 획득하고, 지문 입력에 기초하여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가 지문 입력을 획득하더라도, 지문 입력이 매우 약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식별할 수 없다. 지문(10)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문 센서가 지문을 식별할 수 있는 지문 입력을 획득하기 어렵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에 대한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이 소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지점을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중 지문에 의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센서(110)는 터치 스크린(13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Flexible Touch Screen)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서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10)의 지문의 센싱을 통해 지문에 대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한 후, 지문 이미지에 기초하여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이미지의 해상도, 콘트라스트(contrast), 화질(quality) 등을 기준으로 상기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120)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이상에 기술된 방법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에서 지문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거리에 기초하여 지문 센서(110)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수직인 기준선에서 상기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까지의 수평 거리를 획득한 후, 수평 거리와 커브의 곡률각 및 곡률 반지름에 기초하여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한다.
프로세서(120)는 거리에 기초하여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과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는 프로세서(120)의 센싱 동작의 조정 후에, 지문 센싱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 9를 참조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10)에서 지문의 센싱을 통해서 획득된 지문 입력으로부터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 이미지에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싱을 통해 획득한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 판단하는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등록된 지문 이미지와 센싱된 지문 이미지를 비교하여, 지문 센싱을 통해 획득한 지문과 등록된 지문 사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등록된 지문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프로세서(120)는 다양한 지문 인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은 프로세서(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고, 화면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은 감지된 터치 입력을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특정 기능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110)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30)은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중 지문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130) 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30)은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지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30)은 확인된 지문의 위치에 기초하여 지문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1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130)은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위치에 지문 인증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10)의 지문 인증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스크린(130)의 표면에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표면에 가해진 압력 변화, 정전 용량의 변화 또는 광량의 변화 등과 같은 센서들의 상태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통상적인 저장매체로서, 지문 센서(110)에서 지문을 인식하고, 지문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지문 센서(110) 및 프로세서(120)를 통하여 등록된 지문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터치 스크린(130)에서 화면을 표시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20)에서 지문 센서(110) 또는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루틴이나 명령어 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그 외에,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메모리 카드(Memory Card), NAND 메모리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DD)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문 센서(110), 저장부(140) 및 지문 처리 모듈(150)로 구성된다. 지문 처리 모듈(150)은 이미지 처리부(151)와 지문 인증부(15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는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대상체가 감지되면, 대상체의 센싱을 수행한다. 지문 센서(110)는 센싱을 통해 획득한 센서 데이터를 지문 처리 모듈(15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통상적인 저장매체로서 지문 센서(110)와 지문 처리 모듈(150)을 통하여 등록된 지문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센서 데이터의 이미지 처리와 인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지문 처리 모듈(150)은 지문 센서(110)에서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서 데이터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지문 인증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처리 모듈(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또는 다른 프로세서(미도시) 에 포함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51)는 지문 센서(110)에서 획득된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이미지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51)는 재구성된 이미지를 지문 인증부(15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부(151)는 이미지 재구성부(1511) 및 특징점 추출부(15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재구성부(1511)는 센서 데이터를 조합하여 지문 이미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특징점 추출부(1512)는 재구성된 이미지로부터 지문의 고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특징점(minutia)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특징점 추출부(1512)는 추출된 특징점 정보에 기초하여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처리부(151)는 이미지 처리를 통하여 재구성된 지문 이미지에 특징점 정보를 표시하고, 특징점 정보가 표시된 지문 이미지를 템플릿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지문 인증부(152)는 지문 센서(110)에서 인식된 지문에 대한 지문 인증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지문 인증 프로세싱은 지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처리되는 일련의 동작들을 나타낸다. 지문 인증부(152)는 지문 인증 프로세싱을 통해, 인식된 지문과 일치하는 지문이 등록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인증부(152)는 매칭부(1521)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증부(152)는 이미지 처리부(151)로부터 특징점 정보, 지문 이미지 또는 템플릿을 수신할 수 있다. 매칭부(1521)는 수신된 특징점 정보, 지문 이미지 및 템플릿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인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칭부(1521)는 이미지 처리부(151)로부터 수신된 템플릿과 등록된 지문의 템플릿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인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매칭부(1521)는 이미지 처리부(151)로부터 수신된 지문 이미지와 등록된 지문의 지문 이미지의 유사도를 산출하여, 인식된 지문과 등록된 지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징점 추출부(1512)가 획득된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의 (a)는 이미지 재구성부(1511)에 의해 재구성된 지문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서와 같이, 지문은 융선(ridge)과 융선 사이의 골(valley)의 형태를 가진다. 도 5의 (b)는 특징점 추출부(1521)에 의해 추출된 특징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특징점 추출부(1521)는 융선의 분기점, 융선의 끝점 등을 특징점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5의 (c)는 특징점 추출부(1512)에서 추출된 특징점 정보에 기초하여 템플릿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특징점 추출부(1512)는 추출된 특징점들을 템플릿화할 수 있다. 지문 처리 모듈(150)은 도 5의 (d)에서와 같이, 생성된 템플릿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지문 센서로부터 획득된 지문 데이터는 템플릿 형태 이외에도, 이미지 형태, 추출된 특징점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도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매칭부(1521)는 입력 지문에 대하여 지문 인증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매칭부(1521)는 입력 지문과 등록 지문 사이의 연관성을 점수(score)로 산출하고, 점수가 임계값 이상이면, 입력 지문이 등록 지문과 매칭된다고 판단한다.
도 6의 (a)는 등록 지문의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템플릿(13)을 나타내다. 도 6의 (b)는 입력 지문의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템플릿(14)을 나타낸다. 매칭부(1521)는 도 6의 (c)와 같이, 제1 템플릿(13)과 제2 템플릿(14)을 매칭하고, 입력 지문과 등록 지문 사이의 유사도를 점수(score)로 산출할 수 있다. 매칭부(1521)는 제1 템플릿(13)과 제2 템플릿(14)의 중복 영역(OA), 제1 템플릿과 제2 템플릿에 공통된 특징점(15)의 개수(N), 등록 특징점 정보(E), 인증 특징점 정보(V)에 대한 함수를 이용하여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점수에 기초하여 입력 지문과 등록 지문 사이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매칭부(1521)는 산출된 점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입력 지문이 등록 지문에 매칭된다고 판단하고, 지문을 인증할 수 있다.
유사도 판단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은 지문 센서(110)의 지문 오인식률에 따라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도 6의 (d)는 지문 오인식률과 임계값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왼쪽 그래프는 점수에 따른 지문 불일치 판정 확률을 오른쪽 그래프는 점수에 따른 지문 일치 판정 확률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그래프가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임계값(threshold level)을 설정할 수 있다. 임계값을 기준으로 좌측의 영역은 입력 지문과 등록 지문이 동일함에도 지문 불일치로 판정하는 FRR(false reject rate)을 나타낸다. 임계값을 기준으로 우측의 영역은 입력 지문과 등록 지문이 서로 다름에도 지문 일치로 판정하는 FAR(false accept rate)을 나타낸다. 임계값을 낮추면, FAR이 커지므로, 동일인이 아님에도 동일인으로 잘못 판정할 확률이 높아져, 보안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임계값을 높이면, FRR이 커지므로, 동일인임에도 동일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확률이 높아져, 사용자의 불편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FAR과 FRR을 모두 고려하여,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에서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로 인해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P)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커브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은 경사진 형태, 곡선 형태 또는 비대칭 형태 이외에도 평평하지 않은 모든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평평하지 않은 형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가진 모든 지문 센서 및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상의 위치(P)에서 지문(10)까지의 거리(v)를 획득하고, 거리(v)에 기초하여 지문 센서(110)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거리(v)를 획득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에 수직인 기준선(30)에서 위치(P)까지의 수평 거리(h)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선(30)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의 중심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선(30)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의 중심이 아닌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과 수직한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선(30)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의 형태에 따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과 수직한 적절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기준선(30)의 위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기준선(30)의 위치는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1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10)의 입력 신호, 지문 센서(110)를 통한 터치 입력 및 지문 센서(110)에서 획득한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기준선(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기준선이 있거나, 프로세서(120)에 의해 기준선이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기준선(30)에서 위치(P)까지의 수평 거리(h)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평 거리(h)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에서 기준선(30)부터 위치(P)까지의 커브의 곡률각(θ) 및 곡률 반지름(r)에 기초하여 거리(v)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T1과 T2의 두 개의 삼각형의 빗변(L)이 공통된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거리(v)를 획득할 수 있다.
Figure 112014044131338-pat00001
수학식 1에서 좌측은 삼각형 T1의 빗변(L)의 길이를 나타내고, 우측은 삼각형 T2의 빗변(L)의 길이를 나타낸다. 수학식 1을 정리하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은 거리(v)를 산출하는 식을 획득할 수 있다.
Figure 112014044131338-pat00002
수학식 2에서와 같이 거리(v)는 수평 거리(h), 곡률 반지름(r) 및 곡률각(θ)에 관한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위치(P)에 따른 곡률각(θ) 및 곡률 반지름(r)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의 커브의 형상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각 위치에 대응되는 곡률 반지름(r) 및 곡률각(θ)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위치(P)에 따른 곡률각(θ) 및 곡률 반지름(r)은,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커브의 형태와 곡률에 따라 프로세서(120)가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와 같이 획득된 거리(v)에 기초하여, 지문 센서(110)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거리(v)에 기초하여, 위치(P)에 대응되는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과 증폭 이득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이와 같이 획득된 거리(v)에 기초하여, 위치(P)에 대응되는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조정하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a)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문 식별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에 대한 거리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중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에 대하여 해당 영역 상의 복수의 위치(P1, ..., Pm, Pm +1, ..., Pn)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7에 기술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P)를 획득하고,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상의 위치(P)에서 지문(10)까지의 거리(v)를 획득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위치(P1, ..., Pm, Pm +1, ..., Pn) 각각의 거리(V1, ..., Vm, Vm +1, ..., Vn)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위치(P1, ..., Pm, Pm +1, ..., Pn) 각각의 거리(V1, ..., Vm, Vm +1, ..., Vn)에 기초하여, 복수의 위치(P1, ..., Pm, Pm +1, ..., Pn) 각각에 대한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 및 송신기의 증폭 이득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클수록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과 증폭 이득,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 중 적어도 하나가 커지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위치별로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수신기의 증폭 이득,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가 달라질 수 있다.
도 8의(b)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에 대한 거리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도 8의 (a)와 달리,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에 대하여 해당 영역 상의 경계점의 위치(B1, B2)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경계점의 위치(B1, B2)에 대하여, 각각의 거리(V1, V2)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경계점의 위치(B1, B2)의 거리(V1, V2)에 기초하여,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 상의 복수의 위치(P1, ..., Pm, Pm +1, ..., Pn)에 따라 복수의 위치(P1, ..., Pm, Pm +1, ..., Pn) 각각의 거리(V1, ..., Vm, Vm+1, ..., Vn)를 추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경계점의 위치(B1, B2)의 거리(V1, V2)에 기초하여,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 상의 복수의 위치(P1, ..., Pm, Pm +1, ..., Pn)에 따라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 상의 복수의 위치(P1, ..., Pm, Pm +1, ..., Pn) 각각에 대한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과 증폭 이득,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위치별로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수신기의 증폭 이득,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가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을 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110)는 커버(111), 절연층(112), 수신부(113), 송신부(114) 및 증폭부(115)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한다. 따라서, 지문 센서(110)는 도 9의 (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3)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수신기(R1, R2, ..., R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수신기(R1, R2, ..., R9)는 각각 센싱 전극(sensing electrode)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상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의 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상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의 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수신기와 연결된 증폭기(A1, A2, ..., A9)의 증폭 이득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의 (a)에는, 복수의 증폭기(A1, A2, ..., A9)가 각각 하나의 수신기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수신기가 하나의 증폭기에 연결되어, 하나의 증폭기에서 각 수신기의 증폭 이득을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중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의 복수의 위치를 획득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위치 각각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또는 수신기의 증폭 이득을 조정할 수 있다.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의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또는 수신기의 증폭 이득은 복수의 위치 각각의 거리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클수록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과 증폭 이득이 커지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의 복수의 위치 각각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부가하여,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또는 수신기의 증폭 이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의 지문면은 평편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위치 각각의 거리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또는 증폭 이득이 커지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위치별로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이 달라질 수 있다.
도 9의 (b)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110)는 커버(111), 절연층(112), 수신부(116) 및 송신부(117)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기술한다. 따라서, 지문 센서(110)는 도 9의 (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11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송신기(T1, T2, ..., T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복수 개의 송신기(T1, T2, ..., T9)는 각각 센싱 전극(sensing electrode)이 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20) 상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의 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중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의 복수의 위치를 획득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위치 각각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조정할 수 있다.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의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송신기의 송신 파워는 복수의 위치 각각의 거리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거리가 클수록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가 커지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의 복수의 위치 각각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부가하여,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의 지문면은 평편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위치 각각의 거리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가 커지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위치별로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측면에 지문 센서가 구비된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인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는 지문 센서(110)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측면에 지문 센서가 구비된 모든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측면부에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일측면에 지문을 위치하고, 전자 장치(100)는 앞에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로 인해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에 대응하는 지문 센서(110)의 센싱 동작을 조정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는 지문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커브들이 지문 센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포함되더라도 지문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는 터치 스크린(130)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 센서(110)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나 전자 장치(100)의 후면, 전면, 윗면 또는 아랫면 등의 커브가 존재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지문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문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는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에 지문을 위치시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에서 지문의 지문 입력이 수신되는 영역인 지문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 영역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중심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지문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은 지문 영역이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중심을 벗어나면, 지문 영역이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벗어난 방향과 벗어난 정도를 소정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형태는 지문 형상의 그림자(40)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형태는 라이팅(lighting),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등의 모든 시각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형태와 함께 소리 또는 햅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에서 확인한 지문 영역이 도 11에서와 같이,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중심을 벗어나면, 프로세서(12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지문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소정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a)의 우측과 같이 지문의 위치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를 중심으로 앞으로 쏠린 경우, 터치 스크린(130)은 지문의 위치가 앞으로 쏠려있음을 보여주는 지문 형상의 그림자(40)를 도 11의(a)에서와 같이 손이 위치한 쪽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 도 11의(b)의 우측과 같이 지문의 위치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를 중심으로 뒤로 밀린 경우, 터치 스크린(130)은 지문의 위치가 뒤로 밀려있음을 보여주는 지문 형상의 그림자(40)를 도 11의(b)에서와 같이 손의 위치의 반대쪽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지문의 위치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지문 센서(110)의 지문 인식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와 같이, 지문 센서(110)가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의 방향을 측면으로 돌리지 않고도,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표시된 지문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참고하여, 지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커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문의 위치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이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형태에 따른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문의 위치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이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나 전자 장치(100)의 후면, 전면, 윗면 또는 아랫면 등의 커브가 존재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문 센서(110)는 터치 스크린(13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는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30)은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위치에 지문 인증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은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 센서(110)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에 지문을 위치시키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지문의 인식을 수행한다. 지문 인증이 성공하면, 전자 장치(100)는 해당 아이콘을 실행시킨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위치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지문 인증에 의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와 같이, 지문 센서(110)가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동시에 지문의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문의 센싱을 위한 별도의 동작 없이,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손가락의 지문을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센싱함으로써, 보안 인증이 필요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나 전자 장치(100)의 후면, 전면, 윗면 또는 아랫면 등의 커브가 존재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의 지문 인증에 의해 지문 인증의 위치와 동일한 열의 복수의 아이콘들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는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3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지문 인증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50)을 하나의 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면부의 아이콘이 표시된 열과 동일한 열에 위치한 측면부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지문을 위치시키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지문의 인식을 수행한다. 지문 인증이 성공하면, 전자 장치(100)는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과 동일한 열에 위치한 아이콘(50)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50)들을 동일한 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한번의 지문 인증에 의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와 같이, 지문 센서(110)가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50)들을 전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일렬로 배치하고,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를 센싱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반복하여 지문 인증을 수행할 필요 없이,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손가락의 한번의 지문 센싱을 통해서, 보안 인증이 필요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한꺼번에 인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나 전자 장치(100)의 후면, 전면, 윗면 또는 아랫면 등의 커브가 존재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의 지문 인증에 의해 지문 인증 위치와 동일한 열에,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배열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는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지문 인증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지문 인증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30)에 흩어져서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측면부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지문을 위치시키면, 전자 장치(100)의 지문 센서(110)에서 지문을 인식한다. 지문 센서(110)에서 지문이 인식되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0)에 흩어져서 위치하는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하나의 열(60)에 배열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10)에서 지문이 인식되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이 지문이 인식된 위치와 동일한 열(60)에 배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흩어져서 위치하는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지문 인식에 의해 하나의 열(60)에 모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동일한 열(6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지문 인증을 통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와 같이, 지문 센서(110)가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110)를 센싱한다. 지문 센서(110)가 지문을 인식하면,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전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일렬로 재배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확인한 후,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지문 센서를 센싱함으로써, 재배열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지문 인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이 전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흩어져서 위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지문 센서(110)에의 간단한 센싱만으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하나의 열에 재배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동작만으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지문 인증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나 전자 장치(100)의 후면, 전면, 윗면 또는 아랫면 등의 커브가 존재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양 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의 지문 인증에 의해 지문 인증 위치와 동일한 열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숨겨진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의 지문 센서(110)를 전자 장치(100)의 양측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는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3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양 측면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적어도 두 개의 지문을 위치시키면, 전자 장치(100)는 양 측면의 각 지문 센서(110)에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적어도 두 개의 지문에 대해서 지문 인증이 성공하면, 전자 장치(100)는 보안이 요구되거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지문이 인증되면, 매우 높은 보안 레벨이 요구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금융 업무를 승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숨겨진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할 수 있다. 숨겨진 아이콘은 평소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지만,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지문 인증이 수행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으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비밀 앨범, 비밀 폴더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금융 업무 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문을 동시에 인증함으로써, 매우 높은 보안 레벨의 소정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와 같이, 지문 센서(110)가 전자 장치(100)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양 측면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지문 센서(110)를 동시에 센싱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에서 적어도 두 개의 지문이 동시에 인식되면, 전자 장치(100)는 지문이 인식된 위치와 동일한 열에 적어도 하나의 비밀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으로 한번에 지문 센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양 측면에 위치한 지문 센서의 지문 인증에 의해 지문 인증 위치와 동일한 열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숨겨진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의 지문 센서(110)를 전자 장치(100)의 양측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는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3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의 양 측면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적어도 두 개의 지문을 위치시키면, 전자 장치(100)는 양 측면의 각 지문 센서(110)에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적어도 두 개의 지문에 대해서 지문 인증이 성공하면, 전자 장치(100)는 보안이 요구되거나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지문이 인증되면, 매우 높은 보안 레벨이 요구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금융 업무를 승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숨겨진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할 수 있다. 숨겨진 아이콘은 평소에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지만,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지문 인증이 수행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으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비밀 앨범, 비밀 폴더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금융 업무 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문을 동시에 인증함으로써, 매우 높은 보안 레벨의 소정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와 같이, 지문 센서(110)가 전자 장치(100)의 양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상태에서 양 측면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지문 센서(110)를 동시에 센싱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에서 적어도 두 개의 지문이 동시에 인식되면, 전자 장치(100)는 지문이 인식된 위치와 동일한 열에 적어도 하나의 비밀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그립한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으로 한번에 지문 센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지문 센서(110)는 이동 단말기나 전자 장치(100)의 후면, 전면, 윗면 또는 아랫면 등의 커브가 존재하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6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161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은 지문 센서(110)가 지문 입력을 획득하는 영역이다.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지문이 위치하여야 지문 센서(110)가 지문 입력을 획득하고, 지문 입력에 기초하여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 센서(110)가 지문 입력을 획득하더라도, 지문 입력이 매우 약하거나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식별할 수 없다.
162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에서 지문까지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수직인 기준선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까지의 수평 거리를 획득한 후, 수평 거리와 커브의 곡률각 및 곡률 반지름에 기초하여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기준선, 곡률각 및 곡률 반지름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기준선의 위치, 곡률각 및 곡률 반지름은 지문 인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프로세서(1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163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거리에 기초하여 지문 센서(110)의 센싱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거리에 기초하여 지문 센서(110)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과 지문 센서(110)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지문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7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171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에서 지문의 지문 입력이 수신되는 영역인 지문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에 지문을 위치시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지문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172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지문 영역과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중심을 비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커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문의 위치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이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100)는 지문 센서(110)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형태에 따른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문의 위치가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이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730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지문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지문 영역이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중심을 벗어나면, 지문 영역이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벗어난 방향과 벗어난 정도를 소정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형태는 지문 형상의 그림자(40)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형태는 라이팅(lighting),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등의 모든 시각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형태와 함께 소리 또는 햅틱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매체(예를 들면,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지문 센서
120: 프로세서
130: 터치 스크린
140: 저장부

Claims (41)

  1. 지문 인식 방법에 있어서,
    지문 센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수직인 기준선에서 상기 위치까지의 수평 거리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수평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의 상기 위치에서 상기 지문까지의 거리를 획득하는 과정; 및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문 센서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지문 인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는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로 인해 입력되는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중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의 경계점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지문 인식 방법은,
    상기 경계점에서의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에 대한 상기 지문 센서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및 상기 지문 센서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지문 인식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지문의 센싱을 수행하는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의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 수직인 기준선에서 상기 위치까지의 수평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수평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에서 상기 지문까지의 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문 센서의 센싱 동작을 조정하는 전자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상기 지문에 대한 상기 지문 센서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이 소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지점을 상기 위치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의 상기 지문의 센싱을 통해 상기 지문에 대한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지문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중 상기 지문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6. 삭제
  27.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에서 상기 기준선부터 상기 위치까지의 커브의 곡률각 및 곡률 반지름과 상기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거리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의 입력 신호, 상기 지문 센서를 통한 터치 입력 및 상기 지문 센서에서 획득한 지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선을 결정하고, 상기 기준선에 기초하여 상기 곡률 반지름 및 상기 곡률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선, 상기 위치에 따른 곡률각 및 상기 곡률 반지름은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형상에 따라 미리 결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0.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지문 센서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과 상기 지문 센서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상기 지문 센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1.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과 증폭 이득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 개의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에 대응되는 송신기의 송신 파워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중 지문이 인식되지 않는 영역의 복수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각각의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한 상기 지문 센서의 수신기에서 감지된 신호값 및 상기 지문 센서의 송신기의 송신 파워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상기 지문 센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를 통해서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 상에서 상기 지문의 지문 입력이 수신되는 영역인 지문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지문 영역과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중심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문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영역이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의 커브의 중심을 벗어나면, 상기 지문 영역이 상기 지문을 센싱하는 영역을 벗어난 방향과 벗어난 정도를 소정의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6. 삭제
  37. 삭제
  38. 제21 항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부에 위치하고, 지문 인증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하나의 열에 표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에서 상기 지문이 인증되면, 상기 지문이 인식된 위치와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KR1020140056282A 2014-05-12 2014-05-12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212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82A KR102212632B1 (ko) 2014-05-12 2014-05-12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4/708,734 US9934371B2 (en) 2014-05-12 2015-05-11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EP15167174.0A EP2945097B1 (en) 2014-05-12 2015-05-11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82A KR102212632B1 (ko) 2014-05-12 2014-05-12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383A KR20150129383A (ko) 2015-11-20
KR102212632B1 true KR102212632B1 (ko) 2021-02-08

Family

ID=5317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282A KR102212632B1 (ko) 2014-05-12 2014-05-12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34371B2 (ko)
EP (1) EP2945097B1 (ko)
KR (1) KR1022126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0914B2 (en) * 2014-10-24 2016-07-26 Egis Technology Inc.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fingerprint enrollment data
KR102309298B1 (ko) * 2014-12-29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브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하는 벤디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8486B1 (ko) * 2015-04-29 2022-0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0181020B2 (en) * 2015-09-21 2019-01-15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 based biometric security
CN106951754B (zh) * 2016-01-06 2018-08-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DE102016101613A1 (de) * 2016-01-29 2017-08-03 Bundesdruckerei Gmbh Authentifik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hentifizieren einer Person
EP3208733B1 (en) * 2016-02-19 2020-07-01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method, and program
CN105760738B (zh) 2016-03-15 2017-08-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解锁的方法及终端
KR102509067B1 (ko) * 2016-04-08 2023-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장치, 그것의 입력 센싱 모듈 및 사용자 인증방법
US10670716B2 (en) 2016-05-04 2020-06-02 Invensense, Inc. Operat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ultrasonic transducers
US10445547B2 (en) 2016-05-04 2019-10-15 Invensense, Inc. Device mountable packaging of ultrasonic transducers
US10315222B2 (en) 2016-05-04 2019-06-11 Invensense, Inc. Two-dimensional array of CMOS control elements
US10656255B2 (en) 2016-05-04 2020-05-19 Invensense, Inc. Piezoelectric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PMUT)
US10441975B2 (en) 2016-05-10 2019-10-15 Invensense, Inc. Supplemental sensor modes and systems for ultrasonic transducers
US10600403B2 (en) 2016-05-10 2020-03-24 Invensense, Inc. Transmit operation of an ultrasonic sensor
US10452887B2 (en) 2016-05-10 2019-10-22 Invensense, Inc. Operating a fingerprint sensor comprised of ultrasonic transducers
US10562070B2 (en) 2016-05-10 2020-02-18 Invensense, Inc. Receive operation of an ultrasonic sensor
US10539539B2 (en) 2016-05-10 2020-01-21 Invensense, Inc. Operation of an ultrasonic sensor
US10632500B2 (en) 2016-05-10 2020-04-28 Invensense, Inc. Ultrasonic transducer with a non-uniform membrane
US10706835B2 (en) 2016-05-10 2020-07-07 Invensense, Inc. Transmit beamforming of a two-dimensional array of ultrasonic transducers
US10408797B2 (en) 2016-05-10 2019-09-10 Invensense, Inc. Sensing device with a temperature sensor
US11673165B2 (en) 2016-05-10 2023-06-13 Invensense, Inc. Ultrasonic transducer operable in a surface acoustic wave (SAW) mode
KR102558004B1 (ko) * 2016-05-17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겸용 터치 스크린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상기 터치 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06056081B (zh) 2016-05-30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解锁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0346599B2 (en) * 2016-05-31 2019-07-09 Google Llc Multi-function button for computing devices
CN106130734A (zh) * 2016-06-30 2016-11-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10667134B2 (en) * 2016-11-21 2020-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share credential management on multiple devices
WO2018094639A1 (en) * 2016-11-24 2018-05-3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touch panel,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N108604146B (zh) * 2017-01-05 2021-07-16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和确定触控装置的电容感应量的方法
KR20180087921A (ko) * 2017-01-25 2018-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70407B1 (ko) 2017-01-31 2020-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연동된 생체 센서의 제어 방법
CN106951243B (zh) * 2017-03-13 2020-05-15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屏幕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7087053B (zh) * 2017-03-15 2019-09-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背光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9885131B (zh) * 2017-05-22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0891461B2 (en) 2017-05-22 2021-01-12 Invensense, Inc. Live fingerprint detection utilizing an integrated ultrasound and infrared sensor
US10474862B2 (en) 2017-06-01 2019-11-12 Invensense, Inc. Image gener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ing ultrasonic transducers
US10643052B2 (en) 2017-06-28 2020-05-05 Invensense, Inc. Image gener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using ultrasonic transducers
CN112162656A (zh) * 2017-06-29 2021-01-01 上海耕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特征识别方法和装置
CN107295195B (zh) * 2017-07-21 2019-0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方法及移动终端
CN109324706A (zh) * 2017-07-31 2019-0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识别的方法和装置
WO2019033236A1 (zh) * 2017-08-14 2019-02-2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终端设备
CN111095246B (zh) 2017-09-20 2021-05-07 指纹卡有限公司 用于认证用户的方法和电子设备
CN107918563A (zh) 2017-09-30 2018-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复制和粘贴的方法、数据处理装置和用户设备
WO2019109010A1 (en) 2017-12-01 2019-06-06 Invensense, Inc. Darkfield tracking
US10984209B2 (en) 2017-12-01 2021-04-20 Invensense, Inc. Darkfield modeling
US10997388B2 (en) 2017-12-01 2021-05-04 Invensense, Inc. Darkfield contamination detection
EP3724814A4 (en) * 2017-12-11 2021-02-24 Fingerprint Cards AB FINGERPRINT DETECTION ARRANGEMENT
WO2019135700A1 (en) * 2018-01-08 2019-07-11 Fingerprint Cards Ab Improved fingerprint matching in in-display solutions
CN108280336A (zh) * 2018-01-19 2018-07-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指纹解锁方法及指纹解锁装置
US11151355B2 (en) 2018-01-24 2021-10-19 Invensense, Inc. Generation of an estimated fingerprint
US10755067B2 (en) 2018-03-22 2020-08-25 Invensense, Inc. Operating a fingerprint sensor comprised of ultrasonic transducers
CN108491834B (zh) * 2018-06-11 2022-03-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及装置
WO2020061751A1 (zh) * 2018-09-25 2020-04-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的方法和装置
KR102172230B1 (ko) * 2018-10-08 2020-10-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문 쉘을 이용한 대체 가능한 지문 템플릿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9543380B (zh) * 2018-11-22 2021-07-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解锁控制方法及电子装置
US10936843B2 (en) 2018-12-28 2021-03-02 Invensense, Inc. Segmented image acquisition
CN109543664A (zh) * 2019-01-16 2019-03-29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指纹采集方法和设备
JP7462619B2 (ja) 2019-05-10 2024-04-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WO2020263875A1 (en) 2019-06-24 2020-12-30 Invensense, Inc. Fake finger detection using ridge features
WO2020264046A1 (en) 2019-06-25 2020-12-30 Invensense, Inc. Fake finger detection based on transient features
US11176345B2 (en) 2019-07-17 2021-11-16 Invensense, Inc.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with a contact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US11216632B2 (en) 2019-07-17 2022-01-04 Invensense, Inc.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with a contact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US11232549B2 (en) 2019-08-23 2022-01-25 Invensense, Inc. Adapting a quality threshold for a fingerprint image
US11392789B2 (en) 2019-10-21 2022-07-19 Invensense, Inc.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ing a synthetic enrollment image
WO2021183457A1 (en) 2020-03-09 2021-09-16 Invensense, Inc.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with a contact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US11243300B2 (en) 2020-03-10 2022-02-08 Invensense, Inc. Operating a fingerprint sensor comprised of ultrasonic transducers and a presence sensor
US11328165B2 (en) 2020-04-24 2022-05-10 Invensense, Inc. Pressure-based activation of fingerprint spoof detection
US11995909B2 (en) 2020-07-17 2024-05-28 Tdk Corporation Multipath reflection correction
SE544317C2 (en) 2020-09-10 2022-04-05 Fingerprint Cards Anacatum Ip Ab Fingerprint sensor arrangement with different measurement circuitry configur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663A (ja) * 2003-07-17 2005-02-10 Canon Inc 信号処理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指紋検出装置
JP2012238105A (ja) * 2011-05-10 2012-12-06 Sumita Optical Glass Inc 指紋採取装置及び指紋採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8773A (en) * 1996-01-26 1998-10-27 Harris Corporation Fingerprint sensing method with finger position indication
US7050835B2 (en) 2001-12-12 2006-05-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ntelligent multi-media display communication system
US20100045705A1 (en) * 2006-03-30 2010-02-25 Roel Vertega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flexible displays
EP2128817B1 (en) 2007-01-24 2019-04-03 Fujitsu Limited Image reading device, image reading program, and image reading method
EP2672450A4 (en) * 2010-12-29 2014-05-21 Fujitsu Ltd BIOMETRIC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BIOMETRIC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US9851811B2 (en) * 2012-02-20 2017-12-2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251329B2 (en) * 2012-03-27 2016-02-02 Synaptics Incorporated Button depress wakeup and wakeup strategy
KR20130111812A (ko) *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US9817108B2 (en) * 2014-01-13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Ultrasonic imaging with acoustic resonant cav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9663A (ja) * 2003-07-17 2005-02-10 Canon Inc 信号処理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指紋検出装置
JP2012238105A (ja) * 2011-05-10 2012-12-06 Sumita Optical Glass Inc 指紋採取装置及び指紋採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5097A1 (en) 2015-11-18
KR20150129383A (ko) 2015-11-20
US20150324569A1 (en) 2015-11-12
EP2945097B1 (en) 2022-06-29
US9934371B2 (en)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632B1 (ko)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9646193B2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ing touch sensor data
US9436864B2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finger biometric pre-matching and related methods
US10248837B2 (en) Multi-resolution fingerprint sensor
US890314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ger sensor having orientation based authentication and related methods
US10169637B2 (en) On-screen optical fingerprint capture for user authentication
KR102090956B1 (ko) 지문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223254B (zh) 用于隐藏设置处理的方法、用户装置和存储介质
US104306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oof detection relative to a template instead of on an absolute scale
US10013597B2 (en) Multi-view fingerprint matching
US201703720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quential biometric matching
US9646192B2 (en) Fingerprint localization
US9785863B2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10366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fingerprints using reflected wave
US1026218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oof detection based on local binary patterns
KR20150055342A (ko) 지문 인증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지문 인증 장치 및 이동 단말기
US10528791B1 (en) Biometric template updating systems and methods
US101210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poof detection based on matcher alignment information
US101274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oof detection based on local interest point locations
US1017636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gradient-based metric for spoof detection
KR20220005960A (ko) 지문 인증 방법 및 지문 인증 장치
Yang VibAuth-physical vibration based user authentication leveraging deep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