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149B1 -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149B1
KR102309149B1 KR1020170078209A KR20170078209A KR102309149B1 KR 102309149 B1 KR102309149 B1 KR 102309149B1 KR 1020170078209 A KR1020170078209 A KR 1020170078209A KR 20170078209 A KR20170078209 A KR 20170078209A KR 102309149 B1 KR102309149 B1 KR 10230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shaft
external
accommodating part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083A (ko
Inventor
김완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1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입되는 서랍 내부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완료 후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치 및 서랍창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drawer and refrigerator with drawer }
본 발명은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위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내 공간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은 야채 과일 등 분리 보관이 필요한 식품이 수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출입 조작에 의해 서랍 내부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이 고내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서랍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숙여야 하며, 인출입 조작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사용자의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3332호에는 자동으로 인출입 될 수 있는 서랍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04-0093111호에는 자동으로 승강이 가능한 서랍 구조가 적용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인출과 승강구조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의 인출과 승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의 인출과 승강이 한번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입되는 서랍 내부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서랍장치 및 서랍창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며, 캐비닛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는 외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하 승강되는 내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방에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입 랙파트;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랙파트; 및 상기 내부 수납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및 상기 내부 수납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시 회전되며, 양단에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 이동되는 인출입 피니언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며, 양단에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 피니언이 구비되는 승강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동력을 상기 인출입 피니언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 피니언은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외부 수납부가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 인출된 후, 연속하여 상기 내부 수납부가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서 상승되고, 상기 내부 수납부가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서 하강 된 후 연속하여 상기 외부 수납부가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서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샤프트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 1 연결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에는, 상기 제 1 연결기어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 2 연결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기어와 제 2 연결기어는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샤프트에는 상기 승강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원판이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판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클러치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외부 수납부가 인출입되는 동안 상기 원판과 접하는 인출입부; 상기 내부 수납부가 승강되는 동안 상기 원판과 접하며, 상기 인출입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러치에는 상기 인출입부의 단부와 상기 승강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수납부의 하면을 지지하며,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관통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가 관통되는 샤프트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수용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원판과 상기 클러치의 접촉을 유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승강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 랙파트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에는 상기 승강 샤프트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수납부에는 상기 내부 수납부를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승강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 수납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바닥면 중 후반부 일부를 제외한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서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며, 캐비닛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는 외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하 승강되는 내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방에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입 랙파트;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랙파트; 및 상기 내부 수납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및 상기 내부 수납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시 회전되며, 양단에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 이동되는 인출입 피니언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며, 양단에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 피니언이 구비되는 승강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동력을 상기 인출입 피니언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 피니언은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외부 수납부가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 인출된 후, 연속하여 상기 내부 수납부가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서 상승되고, 상기 내부 수납부가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서 하강 된 후 연속하여 상기 외부 수납부가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서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동력을 상기 인출입 피니언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외부 수납부와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외부 수납부를 차폐하는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과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서랍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된 후 상기 서랍장치의 일부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장치가 하부에 배치된 경우 상기 서랍장치에 식품을 수납하게 될 때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거나 수납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어 사용 편의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서랍장치는 한번의 조작을 통해 고외측으로 인출된 후 상승될 수 있으며, 다시 조작을 통해 하강된 후 인입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장치는 외부 외부 수납부는 인출입 되도록 구성되고 내부 외부 수납부는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수납 장치 전체가 인출입 및 승강되지 않으면서 상기 서랍장치 내부의 식품은 인출입 및 승강 가능하게 됨으로써 인출입 및 승강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과 승강을 위한 구동어셈블리는 간결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구동어셈블리를 통해서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 및 승강이 모두 가능하게 되어 제조 비용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간결한 상기 구동어셈블리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저장장치의 수납 공간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서랍장치의 일부가 승강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서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서랍장치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B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수납장치가 인출입될 때의 상기 서랍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수납장치가 인출입될 때의 상기 서랍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수납장치가 승강될 때의 상기 서랍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수납장치가 승강될 때의 상기 서랍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수납장치의 인출입 및 승강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은 상부 저장공간 또는 하부 저장공간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슬라이딩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부 도어 그리고 냉동실 도어(30)는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이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도 1에서 좌측)의 냉장실 도어(20)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1)가 구비된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배면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 제빙실(22)이 형성될 수 있다. 살기 제빙실(22)은 상기 냉장실(12)과 독립된 단열 공간을 형성하며,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1)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3)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31)는 버튼 방식 또는 터치 방식으로 구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20) 중 다른 일측(도 1에서 우측)의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 후방의 공간이 투시될 수 있는 투시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24)는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 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정보의 표시와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며 중앙의 개구에 보조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메인 도어(201)와, 상기 메인 도어(201)의 개구를 개폐하며 상기 투시부(24)가 형성되는 서브 도어(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201)와 서브 도어(202)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냉동실(1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에 구비되는 외부 수납부(31)와 일체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상기 외부 수납부(31)를 포함하여, 인출입되는 구성 전체를 서랍장치라 부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분리되어 상기 외부 수납부(31)만을 지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냉동실(13)의 내측 상단에는 상부 바스켓(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스켓(131)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개방 후 독립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한 서랍장치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서랍장치의 일부가 승강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에 구비되는 외부 수납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은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인출입 조작을 위한 핸들(3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32)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자동 인출입 및/또는 승강 조작을 위한 핸들 조작부(3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조작부(321)는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위한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수납부(31)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30)의 배면에 제공되는 프레임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수납부(31)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31) 또는 핸들 조작부(32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 및 승강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 및 승강 동작은 상기 조작부(231) 또는 핸들 조작부(321)의 조작 형태에 따라 인출, 상승, 인입 하강이 독립적으로 하나의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인출 후 상승, 하강 후 인입 또는 인출, 상승, 하강, 인입의 동작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과 승하강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구동어셈블리(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좌우 양측방에는 가이드 부재(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33)는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면에는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인출입 랙파트(13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파트(133a)에는 인출입 피니언(312)과 기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은 상기 외부 수납부(31)가 상기 전후방으로 인출입될 때 상기 인출입 랙파트(133a)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33)는 레일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냉동실(13)의 바닥 또는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지지 및 인출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133)는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과 결합되어 상기 서랍장치의 전후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30)와 결합된 외부 수납부(31)와 내부 수납부(3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수납부(31)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되고, 내부 수납부(34)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과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은 상기 구동어셈블리(4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구동에 의해 도 3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장치는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 후 상기 외부 수납부(31) 내부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내부 수납부(34)가 상승되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4 와 같이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숙이지 않고도 상기 내부 수납부(34)에 수납된 식품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랍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서랍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서랍장치의 구동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5의 B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상기 서랍장치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와,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내부의 상기 내부 수납부(34) 그리고,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인출입 및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을 위한 구동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내측 바닥면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내측 바닥면 외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의 둘레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바스켓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전체 영역 중, 후반부 일부를 제외한 영역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상, 냉동실(13)의 후방에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비롯한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기계실이 구비될 수 있으며, 기계실의 배치로 인해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후단이 도 5에서와 같이 단차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외부 수납부(31)의 단차진 전반부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311)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311)는 내측으로 라운드지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수납부(34)에는 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311)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 홈(3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11a)을 통해 상기 승강 샤프트(43)가 통과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311a) 외측의 상기 승강 가이드(311) 내측 영역에 상기 승강 피니언(433)이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양측면에는 상기 승강 피니언(433)과, 구동기어(452) 및 인출입 피니언(312)이 모두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승강 피니언(433)과 인출입 피니언(312)은 선택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인출입 랙파트(133a) 또는 승강 랙파트(44)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311)를 기준으로 양측에는 상기 승강 안내부재(3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안내부재(33)에 의해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하 방향으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 안내부재(33)는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치우치지 않는 상태로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하게 된다. 상기 승강 안내부재(33)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바닥에서 연장되며,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안내부재(33)의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안내부재(33)는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네 모서리를 관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34) 전체의 승강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인출입과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을 하나의 동력원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인출입 작업과 승강 작업이 독립적 및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상기 내부 수납부(34)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에 장착되는 구동 샤프트(45) 및 승강 샤프트(43) 그리고, 승강 피니언(433) 및 구동기어(452), 그리고 상기 외부 수납부(31)에 장착되는 인출입 피니언(3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어셈블리(40)는 상기 인출입 랙파트(133a)와 승강 랙파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41)은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41)의 상하 이동시 상기 내부 수납부(34) 또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내부 수납부(34)와 이종의 소재 예컨데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내부 수납부(34)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프레임(41)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31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프레임 홈(414)이 더 형성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시 함께 승강되는 상기 프레임(41)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1)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승강 샤프트(43)가 관통되는 샤프트 홀(4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샤프트(43)는 상기 샤프트 홀(411)을 관통하여 양단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샤프트(43)는 상기 샤프트 홀(4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41)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45)가 관통되는 샤프트 수용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수용부(412)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양단이 통과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수용부(412)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45)가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인출입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수용부(412)의 내측에는 탄성부재(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2)는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 샤프트(45)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압축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45)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41)의 내측 영역에는 상기 승강 샤프트(43)와 구동 샤프트(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프트(43)와 구동 샤프트(45)는 상기 프레임(41) 상에 양단이 관통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상하 승강 이동시 상기 프레임(41) 및 상기 프레임(41)에 장착된 상기 승강 샤프트(43)와 구동 샤프트(45) 또한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43)는 상기 샤프트 홀(411)을 관통하여 양단이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프트(43)는 상기 구동 샤프트(45)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전후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샤프트(43)에는 제 1 연결기어(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기어(431)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평기어 향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샤프트(43)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샤프트(43)에는 원판(4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판(432)은 상기 승강 샤프트(43)에 의해 관통되되 상기 승강 샤프트(43)와 함께 회전되지는 않고 상기 승강 샤프트(43)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원판과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승강 샤프트(43)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상에 상기 원판(432)이 자유 회전될 수 있는 결합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원판(432)은 아래에서 설명할 클러치(47)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7)에 형성된 기어이 또는 홈(470)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432)의 두께 또는 상기 원판(432)의 단부의 두께는 상기 기어이 또는 홈(470)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판(432)은 항상 상기 클러치(47)와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클러치(47)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47)의 직경이 다른 경우 상기 원판(432)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45)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양단에는 승강 피니언(4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피니언(433)은 상기 프레임(4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양단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랙파트(44)를 따라서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41) 및 내부 수납부(34)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샤프트(45)는 상기 서랍장치의 인출입 및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 수용부(412)를 가로질러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45)에는 구동 모터(4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46)는 상기 구동 샤프트(4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 샤프트(45)에 의해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46)의 구동시 상기 구동 샤프트(45)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일측에는 제 2 연결기어(4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기어(451)는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기어(451)는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 샤프트(43)에 구비된 제 1 연결기어(43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기어(431)와 제 2 연결기어(451)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45)에는 클러치(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7)는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전후 이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이동에 의해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전후방 이동 및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의 전달을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 클러치(47)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샤프트(45)에 의해 관통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구동 모터(46)의 동작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7)의 외주면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나사산 또는 연속되는 홈(4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웜기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47)는 직경이 큰 인출입부(471)와 직경이 작은 승강부(47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부(471)와 승강부(473)의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47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부(471)와 승강부(473) 및 경사부(472)의 전체 외주면에는 동일한 폭과 깊이를 가지는 나사산 또는 홈(4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부(471)와 승강부(473)의 반경의 차이는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전후방향 이동 거리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 수용부(412)의 전후방향 거리는 상기 인출입부(471)와 승강부(473)의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동력은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43)로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출입부(471)와 승강부(473)의 반경은, 상기 원판(432)이 상기 인출입부(471)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연결기어(431)와 제 2 연결기어(451)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부(471)와 승강부(473)의 반경은, 상기 원판(432)이 상기 승강부(473)에 위치될 때 상기 구동기어(452)와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판(432)이 상기 인출입부(471)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연결기어(431)와 제 2 연결기어(451)는 서로 떨어지게 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회전력이 상기 승강 샤프트(43)로 전달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반면에 상기 구동기어(452)는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과 연결된 상태가 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회전력이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으로 전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원판(432)이 상기 승강부(473)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샤프트(45)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452)와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은 서로 떨어지게 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회전력은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으로 전달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46)의 동력은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으로 전달되어 상기 외부 수납부(31)가 전후 방향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승강 샤프트로 전달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7)의 전체 길이 및 상기 인출입부(471)와 승강부(473)의 폭은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인출입 거리 및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승강 거리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판(432)이 상기 인출입부(471)의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인출입이 종료되고, 상기 승강부(473)의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승강을 시작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원판(432)이 상기 승강부(473)의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승강을 종료하게 되고, 상기 인출입부(471)의 영역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외부 수납부(31)가 인출입을 시작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구동원인 구동 모터(46)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외부 수납부(31) 및 내부 수납부(34)의 인출입과 승강이 독립적으로 연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양단에는 상기 구동기어(45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452)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외측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45)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45)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수납장치가 인출입될 때의 상기 서랍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수납장치가 인출입될 때의 상기 서랍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서랍장치가 완전히 인입되어 도 1 에서와 같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9및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내측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원판(432)은 상기 클러치(47)의 인출입부(471)에 접하고 있는 상태로 상기 구동 샤프트(45)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4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42)는 최대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전방 이동으로 상기 구동기어(452)와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은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31) 또는 핸들 조작부(321)를 조작하여 상기 수납장치 인출 및 상승 조작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구동 모터(46)의 동작이 시작된다. 상기 구동 모터(46)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45) 또한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단부에 구비된 구동기어(452)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기어(431)와 제 2 연결기어(451)는 서로 떨어진 상태 이므로 상기 승강 샤프트(43)로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인출 과정중에 상승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구동기어(452)는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구동 모터(46)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이 회전된다.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은 회전하면서 상기 인출입 랙파트(133a)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31)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납부(31)는 상기 원판(432)이 상기 클러치(47)의 인출입부(471)를 지날때까지 지속적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상승되지 않고 초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수납부(31)가 인출됨에 따라서 상기 클러치(47)가 회전되고 상기 원판(432)은 상기 인출입부(471)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원판(432)이 상기 인출입부(471)를 지나게 되는 순간, 상기 클러치(47)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4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 샤프트(45)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후방 이동이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452)는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과 떨어지게 되며, 상기 인출입 피니언(312)은 회전을 중지하게 되고 상기 외부 수납부(31)는 더이상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최대 인출 상태로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46)가 더 정회전하게 되면, 상기 원판(432)은 상기 인출입부(471) 및 상기 경사부(472)를 지나 상기 승강부(473)로 진입된다. 그리고, 상기 원판(432)이 상기 승강부(473)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상승이 개시된다.
즉, 상기 구동 모터(46)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외부 수납부(31)가 인출되고 상기 외부 수납부(31)의 인출이 완료되면 연속하여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1은 상기 수납장치가 승강될 때의 상기 서랍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수납장치가 승강될 때의 상기 서랍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46)의 지속적인 정회전에 의해 상기 인출입부(471)를 지난 원판(432)이 상기 승강부(473)로 진입되는 순간 상기 구동 샤프트(45)는 상기 탄성부재(42)에 의해 최대로 후방 이동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기어(431)와 제 2 연결기어(451)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샤프트(45)의 회전력은 상기 승강 샤프트(43)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피니언(433) 또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승강 피니언(433)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승강 피니언(433)은 상기 승강 랙파트(44)를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 피니언(433)의 상방 이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41) 또한 상방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내부 수납부(34) 또한 상방 이동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피니언(433)의 회전은 상기 원판(432)이 상기 승강부(473)를 따라서 이동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내부 수납부(34) 또한 지속적으로 상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판(432)이 상기 승강부(473)의 단부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원판(432)은 더이상 이동되지 않게 되고, 상기 승강 피니언(433) 또한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 모터(46)는 정지하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46)의 정지는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위치 또는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46)의 부하 변동 또는 상기 구동 모터(46)의 구동 시간 등을 감지하는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부 수납부(34)가 승강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내부 수납부(34) 상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거나 들어올리는 작업이 없이 간편하게 식품의 수납 작업을 수행 가능하게 된다.
식품의 수납 작업을 완료한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31) 또는 핸들 조작부(321)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서랍장치의 하강 및 인입을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46)는 구동을 시작하게 되며, 이때 상기 구동 모터(46)는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46)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내부 수납부(34)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내부 수납부(34)의 하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외부 수납부(31)가 인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전술한 인출입 및 상승 동작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한 수납장치의 인출입 및 승강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2)는 베리어(7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상부 저장공간(72)과 하부 저장공간(73)이 형성되는 캐비닛(70)과, 상기 상부 저장공간(72)과 하부 저장공간(73)을 각각 개폐하는 상부 도어(74) 및 하부 도어(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74)는 한쌍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상부 도어(74)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7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상부 도어(74)에 의해 상기 상부 저장공간(72)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저장공간(73)은 세로 벽(731)에 의해 좌우 양측이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도어(75)는 한쌍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하부 도어(75)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7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도어(75)는 상기 하부 저장공간(73)의 구획된 좌측과 우측의 공간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도어(74)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고(2)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741) 및 상기 냉장고(2)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7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742)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부 도어(75)의 자동 개폐가 가능할 것이며, 상기 하부 도어(75)의 자동 개폐와 연결하여 상기 하부 저장공간(73)에 배치된 외부 수납부(37)의 자동 인출 및 상기 외부 수납부(37) 내부의 내부 수납부(38)의 승강이 연속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742)는 상기 하부 도어(75)의 개폐와, 상기 외부 수납부(37)의 인출,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8)의 승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저장공간(73)의 내측에는 상기 외부 수납부(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납부(37)는 서랍 방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수납부(37)의 인출입을 위해서 상기 외부 수납부(37)의 양측에는 인출입 랙파트(133a)가 구비되고 및 상기 외부 수납부(37) 내부에 구비된 상기 내부 수납부(38)의 승강을 위해서 상기 외부 수납부(34)의 양측면에는 상기 승강 랙파트(4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수납부(37)의 하면에는 구동어셈블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어셈블리(4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상기 서랍장치 인출 및 승강 조작시 상기 외부 수납부(37)는 전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외부 수납부(37)가 완전히 인출 완료된 후 연속하여 상기 내부 수납부(38)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상기 서랍장치 하강 및 인입 조작시 상기 외부 수납부(37)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수납부(38)는 하강되며, 상기 내부 수납부(38)가 완전히 하강 완료된 후에 상기 외부 수납부(37)가 후방으로 인입될 수 있다.

Claims (15)

  1.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며, 캐비닛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는 외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하 승강되는 내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방에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입 랙파트;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랙파트; 및
    상기 내부 수납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및 상기 내부 수납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시 회전되며, 양단에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 이동되는 인출입 피니언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며, 양단에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 피니언이 구비되는 승강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동력을 상기 인출입 피니언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 피니언은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어셈블리는 상기 외부 수납부가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 인출된 후, 연속하여 상기 내부 수납부가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서 상승되고,
    상기 내부 수납부가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서 하강 된 후 연속하여 상기 외부 수납부가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서 인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 1 연결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에는, 상기 제 1 연결기어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 2 연결기어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기어와 제 2 연결기어는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샤프트에는 상기 승강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와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원판이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판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클러치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러치는,
    상기 외부 수납부가 인출입되는 동안 상기 원판과 접하는 인출입부;
    상기 내부 수납부가 승강되는 동안 상기 원판과 접하며, 상기 인출입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에는 상기 인출입부의 단부와 상기 승강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수납부의 하면을 지지하며,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와 구동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관통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가 관통되는 샤프트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수용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가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구동 샤프트를 탄성지지하여, 상기 원판과 상기 클러치의 접촉을 유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승강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 랙파트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에는 상기 승강 샤프트가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수납부에는 상기 내부 수납부를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수납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승강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수납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바닥면 중 후반부 일부를 제외한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
  12.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는 서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며, 캐비닛의 내측에서 인출입되는 외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의 내부에서 수납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하 승강되는 내부 수납부;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방에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입 랙파트;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 랙파트; 및
    상기 내부 수납부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 및 상기 내부 수납부의 승강을 위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시 회전되며, 양단에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 이동되는 인출입 피니언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와 수평하게 배치되며, 양단에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 이동되는 승강 피니언이 구비되는 승강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동력을 상기 인출입 피니언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입 피니언은 상기 외부 수납부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외부 수납부가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 인출된 후, 연속하여 상기 내부 수납부가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서 상승되고,
    상기 내부 수납부가 상기 승강 랙파트를 따라서 하강 된 후 연속하여 상기 외부 수납부가 상기 인출입 랙파트를 따라서 인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동력을 상기 인출입 피니언 또는 상기 승강 샤프트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외부 수납부와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외부 수납부를 차폐하는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외부 수납부의 인출입과 독립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170078209A 2017-06-20 2017-06-20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30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209A KR102309149B1 (ko) 2017-06-20 2017-06-20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209A KR102309149B1 (ko) 2017-06-20 2017-06-20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83A KR20180138083A (ko) 2018-12-28
KR102309149B1 true KR102309149B1 (ko) 2021-10-06

Family

ID=6500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209A KR102309149B1 (ko) 2017-06-20 2017-06-20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3905B1 (en) * 2018-09-13 2020-02-18 Whirlpool Corporation Ferromagnetic cover for a trim breaker of an appliance cabinet
KR102609769B1 (ko) 2019-01-14 202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984492B (zh) * 2019-04-10 2021-06-29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带自动抽屉的装置
KR20210007642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4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3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9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6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5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1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8707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08709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08708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27912A (ko)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N111256410A (zh) * 2020-03-20 2020-06-09 南京创维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解冻冰箱中冷冻室内结构
KR20220051602A (ko) 2020-10-19 202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20130186A1 (de) * 2020-11-16 2022-05-19 Paul Hettich Gmbh & Co. Kg Haushaltsgerät mit einem Lagerbehälter
CN112850561A (zh) * 2021-01-27 2021-05-28 浙江华钜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产品伸缩升降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362A (ja) 2005-09-30 2007-04-12 Nidec Sankyo Corp ギヤードモータ、扉開閉装置、および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196B1 (ko) * 2004-02-10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20050081343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20050081344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KR20060025806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43150A (ko) * 2006-11-13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101334A (ko) *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738242B1 (ko) * 2015-06-09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362A (ja) 2005-09-30 2007-04-12 Nidec Sankyo Corp ギヤードモータ、扉開閉装置、および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83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149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309154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613619B1 (ko) 냉장고
KR102580774B1 (ko) 냉장고
KR102658254B1 (ko) 냉장고
KR102640307B1 (ko) 냉장고
KR102309146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EP2273219A2 (en) Refrigerator
KR102640808B1 (ko) 냉장고
KR102464922B1 (ko) 냉장고
KR102550745B1 (ko) 냉장고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102403815B1 (ko)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KR102617684B1 (ko) 냉장고
KR101639448B1 (ko) 냉장고의 수납장치
KR102451425B1 (ko) 냉장고
KR102304984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683316B1 (ko) 냉장고
KR20200069792A (ko) 냉장고
US11668518B2 (en) Refrigerator draw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40108364A (ko) 냉장고
US20210018256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0013478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