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64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647A
KR20210007647A KR1020190084452A KR20190084452A KR20210007647A KR 20210007647 A KR20210007647 A KR 20210007647A KR 1020190084452 A KR1020190084452 A KR 1020190084452A KR 20190084452 A KR20190084452 A KR 20190084452A KR 20210007647 A KR20210007647 A KR 2021000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ack
drawer
refrigerator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7647A/ko
Priority to US16/582,755 priority patent/US11635251B2/en
Priority to CN201910911796.9A priority patent/CN112212576B/zh
Priority to EP19199553.9A priority patent/EP3764037B1/en
Priority to EP23193199.9A priority patent/EP4300021A3/en
Publication of KR2021000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647A/ko
Priority to US17/880,665 priority patent/US11898792B2/en
Priority to US18/402,508 priority patent/US20240230212A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5Synchronisation of cooperating drawer slides, i.e. with a coordination of the rail movement of different drawe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64Guide 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 A47B2210/0078Drawers with parallel guidance or synchronization by pinion-shaft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의 저면에 랙기어조립체를 구비하고, 이 랙기어조립체는 순차적으로 전진 이동되면서 인출되는 제1랙부재 및 제2랙부재를 갖도록 하여 서랍식 도어의 인출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랍식 도어를 인입하는 과정에서 양측이 비스듬히 인입되더라도 완전한 닫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서랍식으로 자동 인출되는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로 다양한 식품이나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가전 기기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이나 음료와 같은 저장품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 보관이 가능한 냉장고와, 보관하고자 하는 저장품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나 기능이 서로 다른 전용 냉장고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상기 전용 냉장고에는 김치 냉장고, 와인 냉장고 등이 있다.
또한, 냉장고는 캐비넷의 내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방식에 따라 회전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와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혼합 개폐식 냉장고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 개폐식 냉장고는 캐비넷의 상측에 회전식 도어가 적용됨과 더불어 하측에는 서랍식 도어가 적용되는 구조의 냉장고이다.
상기 서랍식 냉장고 혹은, 혼합 개폐식 냉장고에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는 사용자의 당김 조작에 의해 캐비넷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하면서 인출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미는 조작에 의해 캐비넷의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면서 상기 캐비넷의 개방 부위를 닫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랍식 도어는 전면을 형성하면서 캐비넷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 구비되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를 당겨 수납부를 캐비넷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해당 수납부 내에 각종 식품을 보관하거나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식 냉장고나 혼합 개폐식 냉장고에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는 주로 캐비넷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는 서랍식 도어의 수납부에 보관하는 저장품의 무게로 인해 서랍식 도어의 인출시 캐비넷으로부터 이탈되어 전방으로 낙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서랍식 도어가 캐비넷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에는 서랍식 도어의 인출을 위해 사용자가 적절한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허리를 숙여 도어부를 당겨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서랍식 도어를 자동으로 인출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가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257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257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191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8083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한편, 전술된 선행문헌들과 같은 종래 기술들의 서랍식 도어를 자동으로 인출하는 구조는 주로 래크 및 피니언이 사용되고 있다.
즉, 서랍식 도어와 이에 대향되는 캐비넷 내의 수납 공간에 래크와 피니언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해당 서랍식 도어가 자동으로 전방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캐비넷 내의 양측 벽면에 랙기어가 형성된 가이드 랙을 각각 제공하고, 서랍식 도어를 이루는 수납부의 양측 벽면(혹은, 후면의 양측)에는 피니언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서랍식 도어를 전후 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서랍식 도어의 인출 거리에 한계가 있었다.
즉, 서랍식 도어의 인출 거리는 가이드 랙의 길이에 비례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상기 가이드 랙이 캐비넷 내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지 않는다면 서랍식 도어의 수납부는 상기 캐비넷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될 수 없어서 이 수납부에 보관된 저장품의 취출이 불편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는 해당 서랍식 도어를 인입하는 과정에서 양측 가이드 랙의 랙기어가 양측 피니언에 평행하게 맞물리지 못하고 어느 한 측 가이드 랙의 랙기어가 다른 한 측 가이드 랙의 랙기어에 비해 먼저 어느 한 피니언에 맞물린다면 해당 서랍식 도어가 저장실 내로 정확히 인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특히, 상기의 경우 피니언과 가이드 랙의 랙기어간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동작 불량이 야기될 수 있으며, 도어부와 캐비넷이 정확히 밀착되지 못하고 벌어짐이 발생된 상태를 이룰 수밖에 없고, 차후 해당 서랍식 도어의 재인출시 인출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또한, 각 가이드 랙의 랙기어와 피니언 간의 수평한 맞물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어긋나게 맞물림에 따라 피니언이나 랙기어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 역시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2577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257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191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8083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식 도어의 인출 거리가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하여 수납부 내에 저장품의 보관이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식 도어를 좌우 어긋나게 인입한다 하더라도 해당 서랍식 도어가 완전한 닫힘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식 도어를 좌우 어긋나게 인입한다 하더라도 양측의 랙기어와 피니언 간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피니언의 기어잇이 맞물리면서 상기 피니언이 헛돌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회전용기어를 포함하는 랙기어조립체가 제공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랍식 도어를 좌우 틀어지게 인입한다 하더라도 상기 서랍식 도어의 완전한 닫힘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구동부의 구동모터가 서랍식 도어의 인입을 감지한 시점부터 추가 동작한 후 동작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랍식 도어를 좌우 틀어지게 인입한다 하더라도 상기 서랍식 도어의 완전한 닫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와 캐비넷 간의 대향면에 서랍식 도어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인출입 감지부가 더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구동모터의 동작 제어를 정확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인출입 감지부를 감지센서와 감지부재로 구성하면서 서로는 저장실 내부와 서랍식 도어 간의 대향 부위에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랍식 도어의 여닫힘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감지센서가 저장실 내의 바닥에 구비되고, 감지부재는 서랍식 도어를 이루는 수납부의 저면에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감지센서가 홀센서로 구성되고, 감지부재는 마그네트로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로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랙기어가 적어도 한 피치 이상 추가 이동될 수 있도록 동작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랍식 도어를 정확히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피니언이 두 바퀴 이하만 회전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피니언 혹은, 랙기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각 랙기어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한 랙기어조립체에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랍식 도어 중 해당 랙기어조립체가 위치된 측이 먼저 닫히더라도 해당 측의 랙기어 및 피니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랙부재에 형성된 랙기어 전방에 위치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랍식 도어가 닫힐 때에만 피니언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잇을 갖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피니언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두 개의 기어잇을 가지면서 랙기어와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와 랙기어 간의 거리가 랙기어의 피치에 비해 더욱 멀리 이격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공회전용기어가 피니언에 의해 당김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원활히 강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와 랙기어 간의 거리는 랙기어의 세 기어잇이 이루는 거리에 비해서는 더욱 가깝게 이격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를 이루는 두 기어잇의 하측 끝단이 랙기어의 하측 끝단에 비해 더욱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랍식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피니언과의 맞물림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서랍식 도어의 양측이 나란한 상태로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전후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피니언에 의한 당김력을 더욱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상하이동용 탄력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피니언과의 맞물림 해제 혹은, 맞물림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하이동용 탄력부재가 공회전용기어의 상면 중 두 기어잇 간의 사이 혹은, 상대적으로 랙기어에 가까운 기어잇의 상측에 위치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공회전용기어의 뒤집힘과 같은 동작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전후이동용 탄력부재에 의해 전후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공회전용기어의 전후 이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랙부재에 공회전용기어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체가 더 구비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공회전용기어의 손상이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본 발명의 냉장고는 피니언의 기어잇이 맞물리면서 상기 피니언이 헛돌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회전용기어를 포함하는 랙기어조립체의 제공에 의해 서랍식 도어를 좌우 틀어지게 인입한다 하더라도 상기 서랍식 도어의 완전한 닫힘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구동부의 구동모터가 서랍식 도어의 인입을 감지한 시점부터 추가 동작한 후 동작 해제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를 좌우 틀어지게 인입한다 하더라도 상기 서랍식 도어의 완전한 닫힘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와 캐비넷 간의 대향면에 서랍식 도어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인출입 감지부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동작 제어를 정확히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인출입 감지부를 감지센서와 감지부재로 구성하면서 서로는 저장실 내부와 서랍식 도어 간의 대향 부위에 설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서랍식 도어의 여닫힘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감지센서가 저장실 내의 바닥에 구비되고, 감지부재는 서랍식 도어를 이루는 수납부의 저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감지센서가 홀센서로 구성되고, 감지부재는 마그네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서로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랙기어가 적어도 한 피치 이상 추가 이동될 수 있도록 동작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를 정확히 닫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피니언이 두 바퀴 이하만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니언 혹은, 랙기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각 랙기어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한 랙기어조립체에 구비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 중 해당 랙기어조립체가 위치된 측이 먼저 닫히더라도 해당 측의 랙기어 및 피니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랙부재에 형성된 랙기어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가 닫힐 때에만 피니언에 맞물릴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잇을 갖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니언과 맞물릴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두 개의 기어잇을 가지면서 랙기어와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와 랙기어 간의 거리가 랙기어의 피치에 비해 더욱 멀리 이격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가 피니언에 의해 당김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더욱 원활한 강제 이동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와 랙기어 간의 거리는 랙기어의 세 기어잇이 이루는 거리에 비해서는 더욱 가깝게 이격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를 이루는 두 기어잇의 하측 끝단이 랙기어의 하측 끝단에 비해 더욱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피니언과의 맞물림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서랍식 도어의 양측이 나란한 상태로 완전히 닫힐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전후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피니언에 의한 당김력을 더욱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상하이동용 탄력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피니언과의 맞물림 해제 혹은, 맞물림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하이동용 탄력부재가 공회전용기어의 상면 중 두 기어잇 간의 사이 혹은, 상대적으로 랙기어에 가까운 기어잇의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의 뒤집힘과 같은 동작 불량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가 전후이동용 탄력부재에 의해 전후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의 전후 이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랙부재에 공회전용기어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체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의 손상이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용기가 상승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에 전선가이드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선가이드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선가이드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선가이드모듈가 저장실 내에 설치된 상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선가이드모듈이 서랍식 도어에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랙기어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랙기어조립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저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랙기어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A”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랙기어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저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공회전용기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5의 “B”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속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5의 “C”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랙기어조립체의 저면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뒤집어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D”부 확대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랙기어조립체의 저면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21은 도 20의 “E”부 확대도
도 22는 도 20의 “F”부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공회전용기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커버체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공회전용기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속돌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7과 도 29와 도 31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부가 인출되는 과정에서의 랙기어조립체에 대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28은 도 27의 “G”부 확대도
도 30은 도 29의 “H”부 확대도
도 32는 도 31의 “I”부 확대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가 인입될 때 공회전용기어에 의한 위치 보상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3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크게 캐비넷(100)과, 서랍식 도어(200)와, 구동부(400) 및 랙기어조립체(601,6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랙기어조립체(601,602) 중 적어도 어느 한 랙기어조립체에는 구동부를 이루는 피니언(410)의 기어잇이 맞물리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피니언(410)이 헛돌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회전용기어(630)(첨부된 도 11 참조)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전술된 각 구성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넷(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캐비넷(100)은 상측 벽을 형성하는 천장부(110)와, 하측 벽을 형성하는 바닥부(120), 양측 벽을 형성하는 두 측벽부(130) 및 후방측 벽을 형성하는 후방벽(140)로 이루어지면서 전방으로 개방된 박스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은 저장 공간으로 제공된다.
이와 함께, 상기 캐비넷(100) 내부에는 복수의 구획벽(150)이 구비된다. 상기 구획벽(150)은 상기 캐비넷(100) 내의 저장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이로써 상기 저장 공간은 상하로 구획된 복수의 저장실(1,2,3)로 제공된다.
물론, 상기 구획벽(150)은 상기 캐비넷(100) 내의 저장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상하로 구분된 세 개로 제공되며, 상측 저장실(1)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음과 더불어 중앙측 저장실(2) 및 하측 저장실(3)은 냉장실이나 냉동실 혹은, 별도의 독립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캐비넷(100)의 각 저장실(1,2,3)은 각각의 도어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측 저장실(1)은 회전 도어(4)로 개폐되고, 상기 중간측 저장실(2) 및 하측 저장실(3)은 서랍식 도어(200)로 개폐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중간측 저장실(2)은 회전 도어(4)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도어(4)는 캐비넷(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회전 동작에 의해 상측 저장실(1)을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한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 도어(4)의 전면에는 정보의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5)를 통해 해당 냉장고의 동작 상태나 각 저장실(1,2,3)의 온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LED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랍식 도어(20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거나 닫는 구조의 도어이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랍식 도어(200)가 하측 저장실(3)에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임을 그 예로 한다.
이러한 서랍식 도어(200)는 도어부(210) 및 수납부(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부(210)는 하측 저장실(3)의 개방된 전방을 가로막아 폐쇄하는 부위이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도어부(210)는 금속 재질의 박판을 다단 절곡하여 각 벽면(상면과 양측면과 전면 및 저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무게의 저감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지물의 내부프레임(도시는 생략됨)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도어부(210)는 금속 질감을 느낄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20)는 상기 도어부(210)의 후방에 구비되어 하측 저장실(3) 내로 수용되는 부위이다.
상기 수납부(220)는 상부로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되며, 이러한 수납부(220)의 전면은 상기 도어부(210)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납부(220)와 도어부(210) 간의 결합은 후크나 볼팅 결합, 나사 결합, 맞물림 혹은, 끼워 맞춤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수납부(220)의 양측 외면 및 이에 대향되는 하측 저장실(3) 내의 양측 벽면에는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면서 상기 수납부(220)의 안정적인 전후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230)(첨부된 도 3 참조)이 각각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각 가이드레일(230)은 상기 수납부(220)의 저면과 이에 대향되는 하측 저장실(3) 내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면서 서로 맞물리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각 가이드레일(230)은 다단 연장 가능하게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220) 내에는 별도의 용기(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220) 내에 각종 식품을 보관할 수도 있지만, 이 수납부(220) 내에 용기(240)를 수납하고, 상기 용기(240) 내에 각종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용기(240)는 예컨대, 김치통 등이 될 수도 있고, 상부로 개방된 바구니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용기(240)는 상기 수납부(220)가 상기 하측 저장실(3)로부터 인출될 경우 상기 수납부(220) 내에서 상승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수납부(220) 내에 수납된 용기(240)를 사용자가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해당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납부(220)와 용기(240) 사이로 들어갈 수 있는 충분한 틈새가 필요하고, 이러한 틈새만큼 상기 용기(240)의 크기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로써 상기 용기(240)가 자동으로 수납부(220)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용기(240)의 크기를 최대화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용기(240)가 수납부(220)로부터 자동으로 벗어난다며 사용자에 의한 용기(240)의 인출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부(220) 내에는 상기 용기(240)를 자동으로 상승 이동시키는 승강모듈(300)(첨부된 도 4 및 도 5 참조)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듈(300)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접힘시 높이를 최소화하면서도 펼침시 높이는 최대화할 수 있는 시저스(scissors)형 링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승강모듈(300)의 승강 동작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장부품(예컨대, 구동모터 등)(310)들은 도어부(210) 내의 설치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승강모듈(300)은 상기 서랍식 도어(200)의 수납부(220)가 완전히 인출되기 전에 동작될 경우 용기(240)가 파손되거나 캐비넷(10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 프로그램(도시는 생략됨)은 상기 수납부(22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만 동작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동부(400)(도 3 내지 도 5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400)는 서랍식 도어(200)의 전후 자동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구동부(400)는 상기 캐비넷(100)의 바닥부(120)에 구비되며, 피니언(410) 및 구동모터(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피니언(410)은 일부가 하측 저장실(3)의 바닥면(바닥부의 상면)을 상향 관통하여 상기 하측 저장실(3) 내로 노출되게 설치(첨부된 도 9 참조)되고, 상기 구동모터(420)는 캐비넷(100)의 바닥부(120) 내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410)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니언(410)이 상기 하측 저장실(3) 내의 바닥면 양측에 각각 하나씩 위치되면서 서로는 동력전달축(411)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모터(420)는 상기 동력전달축(411)에 벨트나 체인 혹은,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두 피니언(410)은 상기 구동모터(420)의 구동에 의해 동일한 속도 및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된다.
물론, 상기 동력전달축(411)과 상기 구동모터(420) 간의 연결 부위에는 감속기어(도시는 생략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두 피니언(410)은 상기 하측 저장실(3) 내의 바닥면 중 최대한 전방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서랍식 도어(200)가 최대한 많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모터(420)는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여 동작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한 버튼(6)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6)은 상기 회전 도어(4)의 디스플레이부(5)에 마련되는 터치식 버튼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버튼(6)은 디스플레이부(5)와는 별도의 위치에 마련되는 가압식 버튼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측 저장실(3) 내의 바닥면(바닥부의 상면)과 도어부(210)에는 전선가이드모듈(500)이 연결(첨부된 도 6 참조)된다.
상기 전선가이드모듈(500)은 바닥부(120) 내를 따라 연결되는 각종 전원선이나 각종 전선들 중 상기 도어부(210) 내의 전장부품에 연결되는 전원선과 전선들(이하, “전선”이라 함)을 보호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한 전선가이드모듈(500)은 서랍식 도어(200)의 전진 이동이나 후퇴 이동시 전선이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상기 전선의 꼬임이나 긁힘 등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선가이드모듈(500)은 커버플레이트(510)와, 가이드헤드(520)와, 다수의 커넥팅멤버(530)와, 회전연결부재(540) 및 마운팅플레이트(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전선가이드모듈(500)을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선가이드모듈(500)의 커버플레이트(510)는 바닥부(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부(120)의 상면 전방측 일부는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510)는 상기 바닥부(120)의 개방 부위를 덮도록 결합된다.
특히,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의 양측에는 구동부(400)를 이루는 피니언(410)이 노출될 수 있도록 피니언 노출공(511)(첨부된 도 7 및 도 8 참조)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에는 구동부(400)를 이루는 구동모터(420)가 수용되는 모터수용부(512)(첨부된 도 7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수용부(512)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의 일부를 상향 돌출시켜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와는 별개로 제조한 후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에 결합하여 형성한다. 물론, 상기 모터수용부(512)는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다른 형태나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의 양측 후방 부위에는 후술될 구속돌부(650)의 설치를 위한 구속설치홈(513)이 각각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속돌부(650)는 상기 구속설치홈(513) 내에 수용된 상태로 그의 상단이 하측 저장실(3) 내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속돌부(650)에 관련하여는 후술될 랙기어조립체(601,602)의 설명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저장실 내의 바닥과 이에 대향되는 서랍식 도어에는 상기 서랍식 도어(200)의 인입과 인출을 감지하는 인출입 감지부(514)가 더 구비(첨부된 도 4 및 도 5 참조)된다. 즉, 상기 인출입 감지부(514)의 제공에 의해 상기 서랍식 도어(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이루는지 혹은, 일부 개방된 상태인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잇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인출입 감지부(514)는 감지센서(514a) 및 감지부재(51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감지센서(514a)는 홀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재(514b)는 상기 홀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네트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인출입 감지부(514)는 광 센서나 스위치 등 다양한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출입 감지부(514)의 감지센서(514a)는 하측 저장실(3) 내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재(514b)는 상기 서랍식 도어(200)를 이루는 수납부(220)의 저면에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측 저장실(3) 내의 바닥에 상기 감지부재(514b)를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수납부(220)의 저면에 상기 감지센서(514a)를 구비할 수도 있고, 하측 저장실(3) 내의 어느 한 측 벽면에 감지센서(514a)를 구비함과 더불어 수납부(220)의 마주보는 벽면에 감지부재(514b)를 구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센서(514a)의 경우 상기 하측 저장실(3) 내의 바닥에 위치된 커버플레이트(510)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의 분리를 통해 그의 유지 보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랙기어조립체(600)의 저면 끝단에는 별도의 감지부재(514c)를 추가로 제공하여 상기 랙기어조립체(600)가 완전히 인출될 때 상기 감지센서(514a)가 이를 감지하여 서랍식 도어(200)의 완전한 열림을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출입 감지부(514)는 전술된 구동부(400)의 동작 제어에 영향을 미치도록 이루어진다.
즉, 구동부(400)를 이루는 구동모터(420)는 상기 인출입 감지부(514)가 서랍식 도어(200)의 닫힘을 감지할 경우 이 감지 시점부터 정해진 시간 혹은, 정해진 회전수만큼 추가 동작한 후 동작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420)는 상기 인출입 감지부(514)에 의해 서랍식 도어(200)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제1랙부재(610)에 형성된 랙기어(611)의 적어도 한 피치 이상 추가 구동한 후 동작 해제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는, 서랍식 도어(200)의 좌우가 정확히 평행하게 이동되지 않고 비스듬히 이동되면서 이 서랍식 도어(200)의 어느 한 측이 다른 한 측에 비해 먼저 닫힘 위치에 도달하게 될 경우 다른 한 측이 닫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인출입 감지부(514)의 감지센서(514a)가 서랍식 도어(200)의 닫힘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서랍식 도어(200)의 어느 한 측이 다른 한 측에 비해 먼저 닫히더라도 이 시점부터 랙기어(611)의 한 피치 이상의 거리만큼 추가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서랍식 도어(200)의 양 측이 모두 닫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피니언(410)은 두 바퀴 이하로만 추가 회전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니언(410)이 한 바퀴만 추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피니언(410)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히 회전될 경우 야기되는 피니언(410)이나 랙기어(61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피니언(410)의 한 바퀴나 두 바퀴 추가 회전될 경우에도 피니언(410)이나 랙기어(611)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서랍식 도어(200)와 캐비넷(100) 간의 접촉면에는 보통 패킹부재(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패킹부재의 완충 거리만큼 피니언(410)이 추가로 회전되더라도 피니언(410)이나 랙기어(611)가 파손되지는 않으며, 이후 상기 피니언(410)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420)의 동작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추가 회전된 만큼 패킹부재의 완충력으로 피니언(410)이 역회전되면서 과도 회전된만큼의 이동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200)의 양측이 기어 파손없이 정확히 닫힐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선가이드모듈(500)의 가이드헤드(520)는 도어부(210)에 결합되는 부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부(210)의 배면 중앙측 저부에는 설치공(212)(첨부된 도 10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헤드(520)는 상기 설치공(212)을 일부 관통하여 상기 도어부(21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전선가이드모듈(500)의 각 커넥팅멤버(530)는 회전연결부재(540)와 가이드헤드(520)를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커넥팅멤버(530)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서로가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전선은 상기 각 커넥팅멤버(530)들 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 구조는 체인식의 연결 구조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커넥터멤버(530) 서로의 연결 부위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각 커넥팅멤버(530) 중 어느 한 끝단의 커넥팅멤버(530)는 회전연결부재(5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다른 한 끝단의 커넥팅멤버(530)는 가이드헤드(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의 구조에 의해 서랍식 도어(200)가 전진 이동되거나 후퇴 이동될 경우 각 커넥팅멤버(530)들도 연동하면서 전선을 함께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전선가이드모듈(500)의 회전연결부재(540)는 커버플레이트(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위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에는 전선이 통과되도록 전선 통과공(515)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연결부재(540)는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면서 그의 끝단이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연결부재(540)의 끝단 부위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되는 돔(dome) 구조의 확장단(541)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전선 통과공(515)의 어느 한 둘레에는 연장홀(516)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연결부재(540)를 이루는 확장단(541)의 둘레에는 구속돌기(542)가 외향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연장홀(516)을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장홀(516)은 상기 구속돌기(542)가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폭만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홀(516)로 상기 구속돌기(542)가 관통된 후 회전연결부재(540)를 일부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회전연결부재(54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의 전선 통과공(515)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선가이드모듈(500)의 마운팅플레이트(55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에 연결된 회전연결부재(5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마운팅플레이트(55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전선 통과공(515)과 일치되는 부위에는 연통홀(551)이 연통 형성됨과 더불어 이 연통홀(551)의 둘레로는 상기 회전연결부재(540)의 확장단(541)을 덮는 수용단(552)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단(552)의 내면은 상기 확장단(54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서로 동일한 곡면(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랙기어조립체(601,60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랙기어조립체(601,602)는 캐비넷(100)에 구비된 구동부(400)의 구동력으로 상기 서랍식 도어(200)가 전후로 자동 이동될 수 있도록 동작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랙기어조립체(601,602)는 서랍식 도어(200)를 이루는 수납부(220)의 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이 랙기어조립체(601,602)의 저면에는 랙기어(611,621)가 형성되면서 하측 저장실(3) 내로 노출된 피니언(410)이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랙기어조립체(601,602)의 랙기어(611,621)는 상기 수납부(220) 저면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피니언(4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랙기어조립체(601,602)가 구비된 서랍식 도어(200)는 전후 이동되면서 하측 저장실(3)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니언(410)과 상기 랙기어조립체(601,602)는 셋 이상이 서로 쌍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랍식 도어(200)는 자동 인출되는 거리가 길수록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즉, 서랍식 도어(200)는 수납부(220) 내의 수납 공간이 하측 저장실(3)로부터 최대한 벗어날수록 용기(240)를 수납하거나 혹은, 수납 공간 내에 물건이나 식품을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용기(240)는 서랍식 도어(200)의 인출시 승강모듈(300)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되기 때문에 상기 수납부(220)가 하측 저장실(3)로부터 최대한 벗어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두 피니언(410)은 하측 저장실(3)의 전방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랙기어(611,621)의 형성 길이는 최대한 길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두 피니언(410)이 하측 저장실(3)의 전방측 끝단에 가깝게 위치되고, 랙기어(611,621)의 형성 길이가 길수록 수납부(220)의 인출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수납부(220)의 저면은 상기 수납부(220)의 개방된 상면에 비해 전후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랙기어(611,621)를 형성하는 길이를 길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기어조립체(601,602)는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수납부(220)의 인출 거리를 늘이도록 구성된다.
즉, 수납부(220)의 전후 길이가 짧더라도 상기 랙기어조립체(601,602)의 길이가 연장되면서 상기 수납부(220)가 더욱 멀리까지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랙기어조립체(601,602)가 순차적으로 전진 이동되면서 인출되는 제1랙부재(610) 및 제2랙부재(620)와, 제1랙커버(614)와, 제2랙커버(624)와, 공회전용기어(630)와, 구속돌부(650)와, 구속모듈(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이러한 랙기어조립체(601,602)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랙부재(610)는 피니언(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납부(220)를 전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부위로써, 랙기어(611)를 가진다.
이러한 제1랙부재(610)는 그의 상면이 수납부(2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랙부재(610)에는 복수의 결합홀(612)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납부(220)에 나사 결합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랙부재(610)의 저면에는 제2랙부재(620)가 수용되면서 상기 제2랙부재(6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는 이동 안내홈(613)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안내홈(613)은 상기 제1랙부재(610)의 선단측 부위로부터 요입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랙부재(610)의 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 안내홈(613)에 수용되는 제2랙부재(620)가 상기 이동 안내홈(613)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는 상기 이동 안내홈(613)의 어느 한 측(두 랙기어조립체 간의 대향 방향측)에 해당 제1랙부재(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특히, 상기 랙기어(611)는 상기 이동 안내홈(613)에 비해 더욱 전방측에 위치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랙부재(610)에는 제1랙커버(614)가 더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1랙부재(610)에 형성되는 이동 안내홈(613)의 내측 부위는 상하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후술될 구속모듈(670)의 홀더(672) 및 락킹부재(673)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랙커버(614)는 상기 제1랙부재(610)의 상면을 덮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그의 저면이 상기 제1랙부재(610)에 형성된 이동 안내홈(613)의 개방 부위를 폐쇄하면서 상기 이동 안내홈(610) 내의 상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랙커버(614)는 금속 재질의 판재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랙부재(610)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랙커버(614)의 저면(이동 안내홈 내의 상면)에는 후술될 구속모듈(670)의 홀더(672) 및 락킹부재(673)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614a,614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614a,614b)은 상기 홀더(672)의 수용을 위한 제1수용홈(614a) 및 상기 락킹부재(673)의 수용을 위한 제2수용홈(614b)을 포함하며, 이러한 두 수용홈(614a,614b)은 제1랙부재(6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수용홈(614a)의 후면과 제2수용홈(614b)의 후면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홀더(672)의 후면과 락킹부재(673)의 후면 간의 이격 거리에 비해 더욱 길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제1수용홈(614a)에 홀더(672)가 우선적으로 수용된 후 제2수용홈(614b)에 락킹부재(673)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전술된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제1랙커버(614)와 제1랙부재(610)는 단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랙부재(610)와 제1랙커버(614)가 단일체로 형성된다면 그의 사출을 위한 작업의 어려움이 크다. 즉, 제1랙부재(610)와 제1랙커버(614)의 각 부위별 요철되는 형상이나 방향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사출 성형은 사실상 어려운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랙부재(610)와 제1랙커버(614)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개별 제조된 후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랙부재(620)는 제1랙부재(610)와 함께 수납부(220)를 전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 부위이다.
이러한 제2랙부재(620)는 상기 제1랙부재(610)의 이동 안내홈(613)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위치되다가 상기 제1랙부재(610)가 설정 거리만큼 전진 이동될 경우 상기 제1랙부재(610)에 이끌려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피니언(410)의 회전력을 제공받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피니언(410)의 회전력으로 전진 이동되면서 상기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가 상기 피니언(410)을 벗어나더라도 상기 제1랙부재(610)를 더욱 인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랙부재(610)는 연동부(680)를 통해 상기 제2랙부재(620)를 이끌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부(680)는 후술될 제1랙커버(614)의 저면(이동 안내홈 내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동돌기(681) 및 제2랙부재(6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동턱(682)으로 이루어지며, 제1랙부재(610)가 설정된 거리만큼 전진 이동될 경우 서로 부딪히면서 상기 제2랙부재(620)를 전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동돌기(681)는 제1랙부재(6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동돌기(681)는 제2랙부재(6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연동턱(682)은 제1랙부재(610)의 저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랙부재(620)가 제1랙부재(610)의 이동 안내홈(613)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의 연동턱(681)과 연동돌기(682)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랙부재(610)가 제2랙부재(610)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진 이동되도록 설정된 거리이며, 이러한 설정된 거리는 수납부(220)의 크기나 전체 인출거리 등을 고려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랙부재(620)에는 랙기어(621)가 형성된다. 상기 랙기어(621)는 상기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 측부에 나란히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이 랙기어(621)의 전방측 끝단은 상기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의 전방측 끝단에 비해 후방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후방측 끝단은 상기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에 비해 더욱 후방측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랙부재(610)와 제2랙부재(620)의 랙기어(611,621)는 피니언(410)에 의한 구동력을 각각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피니언(410)을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 및 제2랙부재(620)의 랙기어(621)를 겹친 크기의 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각 랙기어(611,621) 모두가 상기 피니언(410)에 의한 구동력을 정확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랙부재(620)의 선단측 저면에는 동작홈(622)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동작홈(622)은 후술될 구속모듈(670)의 스토퍼부재(671)가 수용 장착된 상태로 전후 이동될 수 있는 동작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동작홈(622) 내에는 상부로 관통된 복수의 관통홀(622a,62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관통홀(622a,622b)은 후술될 구속모듈(670)의 홀더(672)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622a) 및 락킹부재(673)가 관통되는 제2관통홀(622b)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제2관통홀(622b)은 락킹부재(673)의 전후 유동이 가능하도록 전후로 긴 장공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랙부재(620)의 저면에는 제2랙커버(62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2랙커버(624)가 상기 제2랙부재(620)의 저면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랙커버(624)는 상기 제2랙부재(620)의 동작홈(622)에 장착되는 스토퍼부재(671)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랙커버(624)는 금속 재질의 판재로 형성하면서 상기 제2랙부재(620)의 저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해당 제2랙부재(620)의 뒤틀림이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랙커버(624)에는 무게의 저감을 위해 부분적인 개방 부위가 존재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2랙커버(624)의 양측면 및 배면에는 절곡단(624a)이 각각 절곡 형성되면서 제2랙부재(620)의 양측면과 배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제2랙부재(620)의 휨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랙커버(624)의 선단측 부위에는 스토퍼 노출공(624b)이 형성되고, 후술될 스토퍼부재(671)는 상기 스토퍼 노출공(624b)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서랍식 도어(200)가 수평하지 못하고 비스듬히 삽입된다 하더라도 해당 서랍식 도어(200)의 양측이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이다.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피니언(410)의 기어잇이 맞물리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피니언(410)이 헛돌수 있도록 이루어진 기어로 구성되며, 두 랙기어조립체(601,602) 중 적어도 어느 한 랙기어조립체(602)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회전용기어(630)가 서랍식 도어(200)를 저면에서 봤을 때 우측에 위치된 랙기어조립체(이하,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라 함)(602)에만 구비됨을 제시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좌측에 위치된 랙기어조립체(이하, “일반형 랙기어조립체”라 함)(601)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구동부(400)를 이루는 구동모터(420)는 서랍식 도어(200)의 닫힘을 감지할 경우 일정 거리만큼 추가 이동될 수 있게 동작됨을 고려할 때 어느 한 측에만 공회전용기어(630)를 설치하더라도 서랍식 도어(200)의 양측은 최종적으로 수평하게 닫힐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랙기어조립체(601,602) 중 인출입 감지부(514)가 위치된 부위에 구비되는 일반형 랙기어조립체(602)에는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가 제1랙부재(610)의 전방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그 반대측의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602)를 이루는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는 전방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일반형 랙기어조립체(601)의 랙기어(6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만큼 형성되도록 하면서도 그 전방에 상기 공회전용기어(630)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는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서랍식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피니언(410)과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공회전용기어(630)가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공회전용기어(630)는 상기 피니언(410)의 기어잇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잇(631,632)(도 16과 도 19와 도 22 내지 도 25 참조)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두 개의 기어잇(631,632)을 가짐과 더불어 이 두 기어잇(631,632)은 상기 랙기어(611)의 피치(P1)와 동일한 피치(P2)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와 사실상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피니언(41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두 기어잇(631,632) 중 상대적으로 랙기어(611)에 가깝게 위치된 후방측 기어잇(631)과 상기 랙기어(611) 간 이격 거리(L)는 각 기어잇의 피치(공회전용기어의 기어잇간 피치 혹은, 랙기어의 기어잇간 피치)에 비해서는 더욱 긴 거리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공회전용기어(630)가 위치된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602)가 그 반대측의 일반형 랙기어조립체(60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인입(통상 한 피치)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기어잇(631,632)이 상기 피니언(410)에 맞물려 상기한 거리 차이만큼 당겨질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강제적인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602)의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일반형 랙기어조립체(601)와 나란히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기어잇(631,632)과 상기 랙기어(611) 간의 이격 거리(L)가 과도하게 멀다면 상기 피니언(410)이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기어잇(631,632)에 맞물리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기어잇(631,632)과 상기 랙기어(611) 간의 이격 거리(L)는 한 피치(1*P1 혹은, 1*P2) 이상이면서도 상기 랙기어(611)의 세 기어잇이 이루는 거리(두 피치)(2*P1)에 비해서는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구성(첨부된 도 25 참조)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가 피니언(410)을 지나는 순간 상기 피니언(410)이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602)가 더 이상 후퇴 이동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피니언(410)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공회전용기어(630)가 상하로 탄력 이동되면서 해당 피니언(410)의 회전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피니언(410)은 헛돌 뿐 동력을 전달하지는 못하게 된다.
이러한 공회전용기어(630)의 상하 이동을 위해 랙부재(611) 중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상측에는 제1받침턱(633)이 제공되고, 상기 제1받침턱(633)과 상기 공회전용기어(630) 간의 대향면에는 상하이동용 탄력부재(634)가 구비된다. 이는 첨부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상하이동용 탄력부재(634)는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상면 중 두 기어잇(631,632) 간의 사이 부위 혹은, 후방측 기어잇(631)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위치를 상하이동용 탄력부재(634)가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니언(410)이 회전될 때 공회전용기어(630)가 전후로 뒤집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전후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와 동일 피치 간격으로 위치되지 않더라도 피니언(410)이 정확히 맞물릴 수 있으면서도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기어잇(631,632) 및 피니언(410)이 억지로 맞물림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공회전용기어(630)의 전후 이동을 위해 상기 제1랙부재(610)에는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전방측을 가로막는 제2받침턱(635)이 제공되고, 상기 제2받침턱(635)과 상기 공회전용기어(630) 간의 대향면에는 전후이동용 탄력부재(63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랙부재(610)에는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체(637)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에 각종 이물질이 침투됨을 상기 커버체(637)가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이물질에 의한 공회전용기어(630)의 동작 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커버체(637)로 인해 상기 공회전용기어(630)가 측부로 이탈되는 문제점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회전용기어(630)의 측벽에는 지지돌기(638)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638)는 상기 커버체(637)를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를 이루는 두 기어잇(631,632)의 하측 끝단은 상기 랙기어(611)의 하측 끝단에 비해 더욱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630)가 랙기어(611)에 비해 더욱 아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니언(410)과의 초기 맞물림이 더욱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속돌부(650)는 제2랙부재(620)를 구속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여기서, 상기 구속돌부(650)는 상면이 폐쇄되고 저면은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면서 캐비넷(100)을 이루는 바닥부(120)의 상면(저장실 내의 바닥면) 전방측에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속돌부(65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에 함몰 형성된 구속 설치홈(513) 내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커버플레이트(510)가 없다면 상기 캐비넷(100)의 바닥부(120) 상면(저장실 내의 바닥면)에 상기 구속 설치부(513)를 함몰 형성하여 그 내부에 상기 구속돌부(650)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구속 설치홈(513)의 내부 폭은 상기 구속돌부(650)의 외면 폭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기 구속 설치홈(513)과 구속돌부(650) 간의 폭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틈새의 외부 노출은 구속홀더(654)로 가로막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구속홀더(654)는 커버플레이트(510)의 상면(혹은, 바닥부의 상면)에 체결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속홀더(654)의 중앙측 부위로는 상기 구속돌부(650)가 통과되는 돌기 통과공(654a)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홀더(654)의 둘레측 부위는 상기 구속 설치홈(513)과 구속돌부(650) 간의 틈새를 가로막으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510)에 체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속돌부(650)의 둘레면에는 결합단(656)이 외향 돌출되고, 상기 구속홀더(654)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단(656)을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가이드(654b)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단(656)은 상기 구속돌부(650)의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654b)는 상기 구속홀더(654)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각 결합단(656)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654b)는 상기 구속돌부(65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구속돌부(650)는 돌부용 탄성부재(651)에 의해 상기 구속 설치홈(513) 내에서 탄력적으로 승강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즉, 해당 구속돌부(650)로 가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구속돌부(650)는 상기 구속 설치홈(513) 내로 하향 이동되고, 상기 구속돌부(650)의 비가압시에는 상기 구속 설치홈(513) 내에서 상향 이동되어 하측 저장실(3) 내부로 일부가 노출(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돌부용 탄성부재(651)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돌부(650) 내에는 스프링결합돌기(652)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돌부용 탄성부재(651)는 그의 상단이 상기 구속돌부(650)의 저면을 관통하여 구속돌부(650) 내의 스프링결합돌기(652)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구속돌부(650)는 피니언(4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피니언(410)과는 최대한 인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속돌부(650)의 상면 중앙측 부위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진 경사면(65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653)을 타고 구속모듈(670)의 락킹부재(673)가 후퇴 이동됨에 따라 상기 구속돌부(650)가 하향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구속모듈(670)은 상기 제1랙부재(610)가 완전히 인출되기 전까지 제2랙부재(620)를 구속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구속모듈(670)은 스토퍼부재(671)와, 홀더(672)와, 락킹부재(6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재(671)는 제2랙부재(620)의 동작홈(622) 내에 설치되면서 제2랙부재(620)의 후퇴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재(671)의 전후 길이는 상기 동작홈(622)의 전후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되고, 이로써 상기 스토퍼부재(671)는 상기 동작홈(622) 내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스토퍼부재(671)의 전방측 끝단 저면에는 하향 돌출된 구속후크(671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속후크(671a)는 서랍식 도어(200)가 설정 거리에 이르도록 인입되면 구속돌부(650)의 전면에 부딪히면서 스토퍼부재(671) 및 제1랙부재(610)가 더 이상 후퇴 이동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재(671)의 전방측 상면에는 홀더용 홈(671b)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재(671)의 후방측 부위에는 상하로 관통된 락킹부재용 통과홀(671c)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용 홈(671b)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홀더용 홈(671b) 내부에 수용되는 홀더(672)가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홀더용 홈(671b)으로부터 원활히 이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672)는 상기 스토퍼부재(671)의 전후 이동을 구속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홀더(672)의 하단은 상기 스토퍼부재(671)의 홀더용 홈(671b)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홀더(672)의 상단은 제2랙부재의 제1관통홀(622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랙부재(610)가 설정된 길이만큼 인출되어 제2랙부재(620)를 끌고 갈 경우 상기 홀더(672)는 제2랙부재(620)와 함께 전진 이동되면서 홀더용 홈(671b)을 벗어나 제1랙커버(614)의 제1수용홈(614a) 내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홀더(672)의 전방측 상부 모서리 및 전방측 하부 모서리는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때 상기 홀더(672)의 전방측 하부 모서리의 경사는 상기 홀더용 홈(671b)과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홀더(672)가 상기 홀더용 홈(671b)으로부터 원활히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672)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672a)이 형성되고, 이에 대향되는 제1랙커버(614)의 저면에는 상기 절개홈(672a)에 수용되는 수용돌기(633)가 해당 제1랙커버(614)의 선단측 끝단에서부터 제1수용홈(614a) 내에 이르기까지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홈(672a)과 수용돌기(633)의 구조로 인해 제1랙부재(610)가 이동되는 도중 상기 홀더(672)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제1수용홈(614a) 내로 정확히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홈(672a) 및 수용돌기(633)는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부재(673)는 상기 제1랙부재(610)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기 전까지 구속돌부(650)의 후방에 위치되어 걸리면서 상기 제2랙부재(620)의 전진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락킹부재(673)는 상기 제1랙부재(610) 및 제1랙커버(614)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어 제2랙부재(620) 및 제2랙커버(624)와 함께 이동되는 순간 상승 이동되면서 그 상부에 일치되게 위치된 제1랙커버(614)의 제2수용홈(614b) 내로 요입되어 상기 구속돌부(650)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해, 상기 락킹부재(673)의 상측 끝단에는 좌우로 확장된 확장턱(67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랙부재(620)의 선단측 상면 중 상기 제2관통홀(622b)의 양 측부에는 상기 제1랙부재(610) 및 제1랙커버(614)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어 제2랙부재(620) 및 제2랙커버(624)와 함께 이동되는 순간 상기 확장턱(673a)을 들어올리도록 라운드(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상승안내턱(623)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랙부재(610) 및 제1랙커버(614)가 설정 거리만큼 인출되어 제2랙부재(620) 및 제2랙커버(624)와 함께 이동되는 순간 제2랙부재(620)에 형성된 상승안내턱(623)이 상기 락킹부재(673)의 확장턱(673a)을 들어올리게 되어 상기 락킹부재(673)가 구속돌부(750)로부터 부딪히지 않는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승안내턱(623)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승안내턱(623)은 상기 제2관통홀(622b)의 양측부 중앙측 부위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락킹부재(673)가 제2관통홀(622b)의 전방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승안내턱(623)의 영향을 제공받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2랙부재(620)의 전진 이동에 의해 상기 락킹부재(673)가 제2관통홀(622b)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록 상기 상승안내턱(623)의 영향을 받아 점차 상승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락킹부재(673)의 확장턱(673a) 역시 상기 상승안내턱(623)과 같이 라운드 또는,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락킹부재(673)의 저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락킹부재(673)의 저면이 이루는 경사는 상기 구속돌부(65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경사면(653)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첨부된 도 27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랍식 도어(200)는 별도로 조작하지 않는 한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이는 첨부된 도 27 및 도 28과 같다.
이러한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서랍식 도어(200)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구동부(40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구동모터(420)가 동작된다.
이때, 상기 서랍식 도어(200)의 개방을 위한 조작은 버튼(터치식 혹은, 가압식)(6)의 조작 혹은,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한 제어프로그램의 동작 제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420)가 동작되면 두 피니언(410)이 동시에 회전되며, 이로써 상기 두 피니언(410)에 맞물려 있던 두 랙기어조립체(601,602)의 랙기어(611,621)가 동작되면서 서랍식 도어(200)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랙부재(610) 및 제1랙커버(614)가 동시에 동작되면서 우선적으로 인출된 후 제2랙부재(620) 및 제2랙커버(624)가 뒤따라 인출된다.
이때, 상기 제1랙부재(610) 및 제1랙커버(614)가 동시에 동작되면서 인출되는 도중에는 락킹부재(673)가 구속돌부(650)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2랙부재(620) 및 제2랙커버(624)는 최초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랙부재(610) 및 제1랙커버(614)가 미리 설정된 제1거리만큼 인출되어 연동돌기(681)가 연동턱(682)에 맞닿게 되면 이렇게 맞닿은 시점에서부터 상기 제2랙부재(620) 및 제2랙커버(624)도 제1랙부재(610)와 함께 전진 이동된다. 이는 첨부된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때에는 락킹부재(673)가 구속돌부(650)에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 락킹부재(673)가 관통하고 있는 스토퍼부재(671)는 제자리에 유지되는 반면, 제2랙부재(620)는 전진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제2랙부재(620)에 형성된 상승안내턱(623)에 락킹부재(673)의 확장턱(673a)이 점차 올라타게 되면서 상기 락킹부재(673)가 상승 이동되어 구속돌부(65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상기 스토퍼부재(671)는 동작홈(622) 내의 후면에 부딪힌 상태로 제2랙부재(620)와 함께 전진 이동되면서 구속돌부(650)를 지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2랙부재(620) 및 제2랙커버(624)가 제1랙부재(610) 및 제1랙커버(620)를 뒤따라 이동되는 도중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가 피니언(410)을 벗어나기 직전에 제2랙부재(620)의 랙기어(621)가 피니언(410)에 맞물리게 되고, 피니언(4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는 상기 피니언(410)을 벗어남과 동시에 제2랙부재(620)의 랙기어(621)만이 상기 피니언(410)에 맞물려 이동되면서 서랍식 도어(200)를 더욱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제2랙부재(620)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서랍식 도어(200)의 수납부(220)는 최대 인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이러한 수납부(220)의 최대 인출이 확인(예컨대, 인출입 감지부에 의한 감지)되면 승강모듈(300)이 동작되면서 수납부(220) 내의 용기(240)를 상승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용기(240)를 취출하거나 혹은, 용기(240) 내에 저장된 저장품의 취출이나 용기(240) 내로의 저장품 저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사용자의 사용이 완료되어 서랍식 도어(200)의 닫음 조작이 발생되면 구동부(400)를 이루는 구동모터(42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피니언(410)이 역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410)에 맞물려 있던 제2랙부재(620)의 랙기어(621)가 동작되면서 상기 제2랙부재(620)를 후퇴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랙부재(610)는 연동부(680)에 의해 상기 제2랙부재(620)에 끌려가기 때문에 상기 제2랙부재(620)와 함께 후퇴 이동된다.
이후, 상기 제2랙부재(620)의 랙기어(621) 전방측 끝단이 피니언(410)에 맞물리게 위치되면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 후방측 끝단 역시 피니언(410)에 함께 맞물리게 위치되며, 계속해서 상기 제2랙부재(620)의 랙기어(621)는 상기 피니언(410)을 벗어나게 되고, 제1랙부재(610)만 그의 랙기어(611)에 의해 후퇴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제2랙부재(620)가 완전히 후퇴 이동되기 직전의 상태에서는 스토퍼부재(671)의 구속후크(671a)가 구속돌부(650)에 가로막혀 더 이상 후퇴이동되지 않게 되며, 이러한 스토퍼부재(671)의 부딪힘에도 불구하고 상기 스토퍼부재(671)는 동작홈(622) 내에 유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거리만큼 제2랙부재(620)가 추가 이동됨에 따라 락킹부재(673)의 확장턱(673a)이 상승안내턱(623)으로부터 이탈되어 락킹부재(673)가 하향 이동된다.
이후에는 상기 스토퍼부재(671)에 의해 제2랙부재(620) 역시 더 이상 후퇴 이동되지 않게 되고, 구속돌부(650)는 상기 스토퍼부재(671)의 구속후크(671a)와 락킹부재(673)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2랙부재(620)를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제1랙부재(610)만 추가로 후퇴 이동되면서 최초 위치(수납부가 완전히 수납된 위치)로 복귀되고, 이러한 복귀 동작이 완료됨이 감지되면 구동모터의 구동이 중단되면서 서랍식 도어의 인입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전술된 서랍식 도어(200)의 인입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서랍식 도어(200)가 좌우 수평한 상태가 아닌 어느 한 측이 다른 한 측에 비해 더욱 전방에 위치되면서 기울어진 상태로 닫힐 수가 있다.
즉, 사용자의 부주의로 두 랙기어조립체(601,602) 중 어느 한 랙기어조립체의 랙기어가 다른 한 랙기어조립체의 랙기어에 비해 한 피치만큼 늦게 각 피니언(410)에 맞물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구동모터(420)의 동작에 의해 두 피니언(410)이 동시에 회전되면 상기 서랍식 도어(200)는 좌우가 기울어진 상태로 하측 저장실(3) 내에 인입된다.
이의 과정에서 서랍식 도어(200)의 어느 한 측(예컨대, 인출입 감지부가 위치된 측)이 다른 한 측에 비해 먼저 닫힐 경우 이를 인출입 감지부(514)가 감지한 후 구동모터(420)의 추가 동작이 제어된다.
즉, 서랍식 도어(200)의 닫힘을 감지한 시점에서부터 정해진 시간 혹은, 정해진 회전수만큼 구동모터(420)가 추가 동작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두 피니언(410)에 맞물린 두 랙기어조립체(601,602) 중 상대적으로 덜 닫힌 측의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602) 역시 공회전용기어(630)가 위치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피니언(410)이 맞물릴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랙기어(611)로부터의 이격 거리(한 피치 이상이면서 두 피치 미만)만큼 상기 피니언(410)에 의한 당김력을 제공받게 되고, 이로써 해당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602)는 더욱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니언(410)과 공회전용기어(630) 간의 맞물림은 각 탄력부재(634,636)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상기 서랍식 도어(200)의 다른 한 측(예컨대, 인출입 감지부가 위치된 측과는 반대측)이 어느 한 측에 비해 먼저 닫힐 경우라면 상기 인출입 감지부(514)가 상기 어느 한 측의 닫힘이 감지될 때까지 계속해서 두 피니언(410)이 회전된다.
이때에는 먼저 닫힌측의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602)에 설치된 공회전용기어(630)가 피니언(410)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피니언(411)의 회전력에 의한 수평 이동력을 상기 공회전용기어(630)가 제공받으면서 추가적으로 후퇴 이동시키려 하게 된다.
물론, 서랍식 도어(200)의 도어부(210)와 배키빗(100) 간의 접촉면에 패킹부재(도시는 생략됨)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패킹부재의 압축력만큼 서랍식 도어(200)의 릴리즈형 랙기어조립체(602)가 설치된 측이 추가로 후퇴 이동될 수 있다.
하지만, 패킹부재가 최대한 압축된 상태에 이르기까지 서랍식 도어(200)가 이동되면 피니언(410)에 맞물린 공회전용기어(630)는 상승 이동(첨부된 도 34 참조)되면서 상기 피니언(410)으로부터의 맞물림이 일시적으로 해제되고, 이로써 상기 피니언(410)은 헛돌게 된다.
이때, 반대측 피니언(410)은 일반형 랙기어조립체(601)의 랙기어(611)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일반형 랙기어조립체(601)를 계속해서 후퇴 이동시키기 때문에 뒤늦게 서랍식 도어의 해당 측편이 닫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서랍식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그 시점에서부터 정해진 시간 혹은, 정해진 회전수만큼 구동모터(420)가 추가 동작되도록 제어된 후 해당 동작이 해제된다.
결국, 서랍식 도어(200)는 어느 한 측이 먼저 닫히더라도 구동모터(420)의 추가 동작 및 공회전용기어(630)의 제공에 의해 해당 서랍식 도어(200)의 양 측이 모두 완전히 닫힐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랙기어조립체(601,602)는 제1랙부재(610)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공회전용기어(630)는 상기 제1랙부재(610)의 랙기어(611) 전방에 설치되며, 그 설치 구조 역시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전후 탄력 이동 및 상하 탄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랙기어조립체(601,602)는 셋 이상의 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공회전용기어(630)는 각 랙부재들 중 서랍식 도어(20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가장 전방측에 위치되는 랙부재(610)의 랙기어(611) 전방에 설치되며, 그 설치 구조 역시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전후 탄력 이동 및 상하 탄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냉장고를 이루는 공회전용기어(630)는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피니언(410)의 기어잇이 맞물리면서 상기 피니언(410)이 헛돌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회전용기어(630)를 포함하는 랙기어조립체(601)의 제공에 의해 서랍식 도어(200)를 좌우 틀어지게 인입한다 하더라도 상기 서랍식 도어(200)의 완전한 닫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구동부(400)의 구동모터(420)가 서랍식 도어(200)의 인입을 감지한 시점부터 추가 동작한 후 동작 해제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200)를 좌우 틀어지게 인입한다 하더라도 상기 서랍식 도어(200)의 완전한 닫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200)와 캐비넷(100) 간의 대향면에 서랍식 도어(200)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인출입 감지부(514)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구동모터(420)의 동작 제어를 정확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인출입 감지부(514)를 감지센서(514a)와 감지부재(514b) 구성하면서 서로는 저장실(3) 내부와 서랍식 도어(200) 간의 대향 부위에 설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서랍식 도어(200)의 여닫힘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감지센서(514a)가 저장실(3) 내의 바닥에 구비되고, 감지부재(514b)는 서랍식 도어(200)를 이루는 수납부(220)의 저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감지센서(514a)가 홀센서로 구성되고, 감지부재(514b)는 마그네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200)의 여닫힘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200)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랙기어(611)가 적어도 한 피치 이상 추가 이동될 수 있도록 동작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200)를 정확히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200)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피니언(410)이 두 바퀴 이하만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니언(410) 혹은, 랙기어(6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가 각 랙기어조립체(601,602) 중 적어도 어느 한 랙기어조립체(602)에 구비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200) 중 해당 랙기어조립체(602)가 위치된 측이 먼저 닫히더라도 해당 측의 랙기어(611) 및 피니언(4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가 제1랙부재(610)에 형성된 랙기어(611)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200)가 닫힐 때에만 피니언(410)에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잇(631,632)을 갖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니언(410)과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가 두 개의 기어잇(631,632)을 가지면서 랙기어(611)와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피니언(410)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와 랙기어(611) 간의 거리(L)가 랙기어(611)의 피치(P1)에 비해 더욱 멀리 이격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630)가 피니언(410)에 의해 당김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더욱 원활한 강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와 랙기어(611) 간의 거리(L)는 랙기어(611)의 세 기어잇이 이루는 거리에 비해서는 더욱 가깝게 이격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피니언(410)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를 이루는 두 기어잇(631,632)의 하측 끝단이 랙기어(611)의 하측 끝단에 비해 더욱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피니언(410)과의 맞물림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가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피니언(410)과의 맞물림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서랍식 도어(200)의 양측이 나란한 상태로 완전히 닫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가 전후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피니언(410)과의 맞물림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피니언(410)에 의한 당김력을 더욱 원활히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가 상하이동용 탄력부재(634)에 의해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피니언(410)과의 맞물림 해제 혹은, 맞물림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하이동용 탄력부재(634)가 공회전용기어(630)의 상면 중 두 기어잇(631,632) 간의 사이 혹은, 상대적으로 랙기어(611)에 가까운 기어잇의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630)의 뒤집힘과 같은 동작 불량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공회전용기어(630)가 전후이동용 탄력부재(636)에 의해 전후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630)의 전후 이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제1랙부재(610)에 공회전용기어(630)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체(637)가 더 구비되기 때문에 공회전용기어의 손상이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상측 저장실 2. 중간측 저장실
3. 하측 저장실 4. 회전도어
5. 디스플레이부 6. 버튼
100. 캐비넷
110. 천장부 120. 바닥부
130. 측벽부 140. 후방벽
150. 구획벽
200. 서랍식 도어
210. 도어부 212. 설치공
220. 수납부 230. 가이드레일
240. 용기
300. 승강모듈
400. 구동부
410. 피니언 411. 동력전달축
420. 구동모터
500. 전선가이드모듈
510. 커버플레이트 511. 피니언 노출공
512. 모터수용부 513. 구속설치홈
514. 인출입 감지부 515. 전선통과공
516. 연장홀 520. 가이드헤드
530. 커넥팅멤버 540. 회전연결부재
541. 확장단 542. 구속돌기
550. 마운팅플레이트 551. 연통홀
552. 수용단
601,602. 랙기어조립체
610. 제1랙부재 611. 랙기어
612. 결합홀 613. 이동안내홈
614. 제1랙커버 614a. 제1수용홈
614b. 제2수용홈 614c. 수용돌기
620. 제2랙부재 621. 랙기어
622. 동작홈 622a. 제1관통홀
622b. 제2관통홀 623. 상승안내턱
624. 제2랙커버 624a. 절곡단
624b. 스토퍼 노출공 630. 공회전용기어
631,632. 기어잇 633. 제1받침턱
634. 상하이동용 탄력부재 635. 제2받침턱
636. 전후이동용 탄력부재 637. 커버체
638. 지지돌기 650. 구속돌부
651. 돌부용 탄성부재 652. 스프링 결합돌기
653. 경사면 654. 구속홀더
670. 구속모듈 671. 스토퍼부재
671a. 구속후크 671b. 홀더용 홈
671c. 락킹부재용 통과홀 672. 홀더
672a. 절개홈 673. 락킹부재
673a. 확장턱 680. 연동부
681. 연동돌기 682. 연동턱

Claims (20)

  1. 전방으로 개방된 저장실을 가지는 캐비넷;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방을 닫거나 개방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 구비되어 저장실 내로 수용되는 수납부가 구비된 서랍식 도어;
    상기 캐비넷의 저장실 내의 바닥면 양측에 일부 노출되도록 각각 설치된 피니언 및 이 피니언들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가지는 구동부;
    상기 수납부의 저면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의 정역 회전에 의해 상기 서랍식 도어가 인출 혹은, 인입되도록 동작되는 각각의 랙기어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각 랙기어조립체는
    상기 피니언의 기어잇에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된 랙부재와,
    상기 랙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의 기어잇이 맞물리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피니언이 헛돌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회전용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와 캐비넷 간의 대향면에는 상기 서랍식 도어의 여닫힘을 감지하는 인출입 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는 상기 인출입 감지부가 서랍식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경우 이 감지 시점부터 정해진 시간 혹은, 정해진 회전수만큼 추가 동작한 후 동작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입 감지부는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서랍식 도어가 인입되었을 때 상기 서랍식 도어 중 상기 감지센서와 대향되는 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감지센서가 감지하도록 이루어진 감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저장실 내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재는 마그네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는
    상기 인출입 감지부에 의해 서랍식 도어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랙기어의 적어도 한 피치 이상 추가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시간 혹은, 회전수만큼 추가 동작한 후 동작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는
    상기 인출입 감지부에 의해 서랍식 도어의 닫힘이 감지된 시점부터 피니언을 두 바퀴 이하로 추가 회전시키도록 동작한 후 동작 해제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는
    상기 각 랙기어조립체 중 적어도 어느 한 랙기어조립체의 랙부재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는
    상기 랙부재에 형성된 랙기어 전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는
    상기 피니언의 기어잇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잇을 갖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는 두 개의 기어잇을 가짐과 더불어 이 두 기어잇은 상기 랙기어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의 두 기어잇 중 상대적으로 랙기어에 가깝게 위치된 기어잇과 상기 랙기어 간의 거리는 상기 랙기어의 피치에 비해 더욱 멀리 이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의 두 기어잇 중 상대적으로 랙기어에 가깝게 위치된 기어잇과 상기 랙기어 간의 거리는 상기 랙기어의 세 기어잇이 이루는 거리에 비해서는 더욱 가깝게 이격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를 이루는 두 기어잇의 하측 끝단은 상기 랙기어의 하측 끝단에 비해 더욱 하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는
    상하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용기어는
    전후로 탄력 이동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랙부재 중 상기 공회전용기어의 상측에는 제1받침턱이 제공되고,
    상기 제1받침턱과 상기 공회전용기어 간의 대향면에는 상하이동용 탄력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용 탄력부재는 상기 공회전용기어의 상면 중 두 기어잇 간의 사이 혹은, 상대적으로 랙기어에 가까운 기어잇의 상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랙부재 중 상기 공회전용기어의 전방측에는 제2받침턱이 제공되고,
    상기 제2받침턱과 상기 공회전용기어 간의 대향면에는 전후이동용 탄력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랙부재에는 상기 공회전용기어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0084452A 2019-07-12 2019-07-12 냉장고 KR20210007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52A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19-07-12 냉장고
US16/582,755 US11635251B2 (en) 2019-07-12 2019-09-25 Refrigerator
CN201910911796.9A CN112212576B (zh) 2019-07-12 2019-09-25 冰箱
EP19199553.9A EP3764037B1 (en) 2019-07-12 2019-09-25 Refrigerator
EP23193199.9A EP4300021A3 (en) 2019-07-12 2019-09-25 Refrigerator
US17/880,665 US11898792B2 (en) 2019-07-12 2022-08-04 Refrigerator
US18/402,508 US20240230212A9 (en) 2019-07-12 2024-01-0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52A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19-07-1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647A true KR20210007647A (ko) 2021-01-20

Family

ID=6806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52A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19-07-12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635251B2 (ko)
EP (2) EP4300021A3 (ko)
KR (1) KR20210007647A (ko)
CN (1) CN1122125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327B1 (ko) * 2018-08-30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326825B2 (en) * 2020-07-16 2022-05-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tand-alone ice and beverage appliance
CN115479426B (zh) * 2021-06-16 2024-01-0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及其食材处理装置
US12013176B2 (en) 2022-09-30 2024-06-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Reducing or eliminating wobble problem in a refrigerator draw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576A (ko)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제어 방법
KR20090102577A (ko)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71919A (ko) 2011-12-21 2013-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감김장치를 이용한 자동인출식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80138083A (ko) 2017-06-20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999A (en) 1900-05-07 1900-10-02 Michael E Scannell Operating-table.
US1067404A (en) 1911-01-19 1913-07-15 William T Callaghan Extension drawer-slide.
US2072244A (en) 1934-12-28 1937-03-02 Walter L Coursen Deadening means for office machines and like shock and noise generating units
US2679658A (en) 1950-03-25 1954-06-01 George Candler Combination shoeshine box, shoe rest, and bootblack seat
US2731318A (en) 1953-07-17 1956-01-17 Hoff David Portable lavatory cabinet with step drawer
GB2108564A (en) 1981-10-16 1983-05-18 Marshall And Sons A Cabinet drawer interlocks
US4545628A (en) 1984-02-17 1985-10-08 The Jacobs Manufacturing Co. Tool chest with retractable step
JPH04138337A (ja) 1990-09-29 1992-05-12 Idemitsu Kosan Co Ltd 防錆・防食試験装置
WO1992014522A1 (en) 1991-02-13 1992-09-03 Connor/Aga, Connor Forest Industries, Inc. Subflooring assembly for athletic playing surface
KR940002230B1 (ko) 1991-06-13 1994-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야채실의 유해가스 제거장치
JP2758358B2 (ja) 1994-04-04 1998-05-28 コクヨ株式会社 机の前倒防止構造
JPH08303944A (ja) 1995-05-09 1996-11-22 Fuji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の商品陳列棚
US6109774A (en) 1995-08-01 2000-08-29 Pyxis Corporation Drawer operating system
US6044606A (en) 1997-08-15 2000-04-04 Horner Flooring, Inc. Floor system
DE29620152U1 (de) 1996-11-20 1997-04-03 Hekna Hermann Knapp GmbH & Co. KG, 42551 Velbert Zentralverriegelung für Möbel
JP2001280824A (ja) 2000-03-30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の扉開放装置
JP2002264943A (ja) 2001-03-12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容量可変容器および容量可変容器を備えた冷蔵庫
US6371584B1 (en) 2001-03-28 2002-04-16 Oden R. Alreck Scale drawer adapted for under cabinet mounting
US6722749B1 (en) 2001-08-14 2004-04-20 Snap-On Technologies, Inc. Drawer open position controller
KR100827777B1 (ko) 2002-04-24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개폐구조
US20040031705A1 (en) 2002-06-17 2004-02-19 Detemple Thomas E. Atmospheric controlled container
US6994410B2 (en) 2002-09-10 2006-02-07 Knape & Vogt Manufacturing Co. Pocket door slide
KR20040025316A (ko)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KR20050031603A (ko)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탈취제
CN100417900C (zh) 2004-04-12 2008-09-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的抽屉式门开/闭结构
DE102005016418B4 (de) 2004-04-21 2016-08-04 Grass Gmbh Schubladenführung
KR100690645B1 (ko) *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08689B1 (ko) 2004-08-26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08688B1 (ko) 2004-08-26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11317B1 (ko) 2004-08-28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60025806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606728B1 (ko) 2004-09-23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저장용기의 탈기장치
US7784888B2 (en) 2004-10-26 2010-08-3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20060087208A1 (en) * 2004-10-26 2006-04-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640875B1 (ko) 2004-11-15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700777B1 (ko) * 2005-03-0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바스켓 구동장치
US7566105B2 (en) 2005-05-06 2009-07-28 Whirlpool Corporation Movable divider for a refrigerated drawer
DE102006020827B4 (de) 2005-05-07 2020-02-13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Kühlluftzuführvorrichtung
KR20070075671A (ko) 2006-01-14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070262686A1 (en) 2006-05-10 2007-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7628461B2 (en) 2006-07-20 2009-12-08 Maytag Corporation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KR101275563B1 (ko) 2006-09-07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장치
KR101362312B1 (ko) 2006-11-06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출납용 레일어셈블리
CN101210763A (zh) * 2006-12-27 2008-07-02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抽屉式冰箱导轨组合体
IL180998A (en) 2007-01-28 2011-07-31 Shade On It Ltd Modular construction units and their uses
KR20080101335A (ko)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594707B2 (en) * 2007-08-15 2009-09-29 Whirlpool Corporation Snap-in bearing rack and pinion system
KR100946784B1 (ko) 2007-09-11 2010-03-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부 및 이를 이용한 서랍식 냉장고
KR100921379B1 (ko) 2007-09-11 2009-10-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KR100921380B1 (ko) 2007-09-11 2009-10-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KR100906882B1 (ko) 2007-11-05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및 냉장고 도어 정렬방법
US7823992B2 (en) 2007-12-19 2010-11-02 King Slide Works Co., Ltd. Drawer interlock mechanism
CN101981397B (zh) * 2008-03-26 2013-08-21 Lg电子株式会社 用于驱动冰箱中的抽屉的***及方法
KR20090114265A (ko) 2008-04-29 2009-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탈취유닛을 구비한 냉장고
US8966926B2 (en) 2008-05-08 2015-03-0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easy access drawer
KR20100012544A (ko)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1028466B1 (ko) 2008-12-30 2011-04-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안전장치
KR101592572B1 (ko)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2574B1 (ko)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2573B1 (ko)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TW201039777A (en) 2009-05-05 2010-11-16 Zong-Yao Chen Drawing stabilization structure of cupboard-drawing bearing member
DE202009016105U1 (de) 2009-07-06 2010-12-02 Paul Hettich Gmbh & Co. Kg Synchronführung eine Schubelements und Möbel
US8434837B2 (en) 2009-07-08 2013-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10006145A (ko) * 2009-07-13 201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160197B1 (ko) 2009-08-05 2012-06-26 김화선 다단 서랍 개폐장치의 다단 서랍 자동 개폐방법
KR101143569B1 (ko) 2009-08-07 2012-05-09 (주)삼우 닫힘조절장치
US8328301B2 (en) 2009-08-27 2012-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0460442Y1 (ko) 2009-09-01 2012-06-01 (주)탑프레쉬 신선도 유지 기능이 구비된 냉장고 야채실
KR20110024883A (ko)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8282177B1 (en) 2009-09-16 2012-10-09 Whirlpool Corporation Independent self-close mechanism for pullout drawer
US9217601B2 (en) 2009-12-22 2015-12-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 convertible compartment
KR101831614B1 (ko) 2010-01-28 201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360539B2 (en) 2010-02-26 2013-01-2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awer assembly
TW201200828A (en) 2010-03-25 2012-01-01 Panasonic Corp Refrigerator
US8408663B2 (en) 2010-11-22 2013-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Consumer appliance drawer with improved anti-racking system
CN102226626B (zh) 2011-04-22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控制方法
CN202254607U (zh) 2011-07-14 2012-05-30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用搁架和冰箱
TW201320926A (zh) 2011-11-18 2013-06-01 Chong-Yao Chen 抽拉同步裝置及其導齒條與滑軌單元
US8544391B2 (en) 2011-12-12 2013-10-01 Ancra International Llc Variable height support
AT512382B1 (de) 2011-12-27 2016-05-15 Blum Gmbh Julius Synchronisationsvorrichtung für eine schublade
KR101944106B1 (ko) 2012-04-10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115546A (ko) 2012-04-12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30116741A (ko) 2012-04-16 2013-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박스 밀폐구조
US20130270987A1 (en) 2012-04-17 2013-10-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reezer slide rack alignment
DE102012209938A1 (de) 2012-06-13 2013-12-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CN202970226U (zh) 2012-09-11 2013-06-05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自动关门装置及带有该装置的冰箱、冷柜
KR101949738B1 (ko) 2012-09-19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레일 조립체 및 냉장고
EP2752632A3 (en) 2012-12-20 2018-06-27 Whirlpool EMEA S.p.A Refrigerator device with separator
US8794722B2 (en) * 2013-01-08 2014-08-05 General Electric Company Drawer assembly for an appliance
US9377238B2 (en) * 2013-03-14 2016-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US9107494B2 (en) * 2013-03-14 2015-08-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9572475B2 (en) 2013-04-29 2017-02-21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with closure element having an operative device
KR20150027360A (ko) 2013-08-30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10465975B2 (en) 2013-09-03 2019-11-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4457123B (zh) * 2014-06-16 2017-02-1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或门体开启装置及具有该开启装置的冰箱
KR101652591B1 (ko) 2014-11-20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60153704A1 (en) 2014-12-02 2016-06-02 Whirlpool Corporation Multi-level drawer organization system for a refrigerating appliance
KR101641263B1 (ko) 2014-12-23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08698B1 (ko) 2015-02-13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897370B2 (en) 2015-03-11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Self-contained pantry box system for insertion into an appliance
US9523530B2 (en) 2015-04-14 2016-12-20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movable freezer door
US20160320118A1 (en) 2015-04-28 2016-11-03 Whirlpool Corporation Defrost chamber within freezer compartment
KR101723152B1 (ko) 2015-06-17 2017-04-0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급수 방법
CN204902419U (zh) 2015-06-30 2015-12-2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抽屉及包括该抽屉的冰箱冷冻室
CN107949679B (zh) 2015-07-20 2020-12-29 雅固拉国际有限公司 用于橱柜的电子控制式抽屉滑轨锁定及用于抽屉滑轨锁定的集线器
US9982937B2 (en) * 2015-08-20 2018-05-29 Dometic Sweden Ab Appliance with geared drawer assembly
EP3358282B1 (en) 2015-10-02 2020-08-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8351149A (zh) 2015-11-02 2018-07-31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分隔的储存空间的制冷器具
CN105627682B (zh) 2015-12-29 2018-05-1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密闭盒
EP3456862A4 (en) 2016-05-10 2020-01-08 Hoden Seimitsu Kako Kenkyusho Co., Ltd. AQUEOUS ANTI-RUST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AND SURFACE-COVERED METAL ELEMENT
US10260794B2 (en) 2016-05-18 2019-04-16 Dandby Products Limited Refrigerator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KR102519038B1 (ko) 2016-06-10 202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US10513874B2 (en) 2016-06-16 2019-12-24 Dometic Sweden Ab Lock assembly
JP6715439B2 (ja) 2016-09-16 2020-07-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WO2018088802A1 (en) * 2016-11-10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08080B1 (ko) 2017-04-05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09154B1 (ko) 2017-06-20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N208640001U (zh) 2017-08-22 2019-03-26 佛山市格菲卡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重型滑轨双限位防撞结构
CN107388718B (zh) 2017-08-25 2019-12-20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EP4361542A3 (en) 2017-12-29 2024-07-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90081331A (ko)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88334B1 (ko) 2018-01-08 2023-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혈당측정장치
CN111684222B (zh) 2018-02-05 2022-03-08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US20210003337A1 (en) 2018-03-02 2021-01-07 Electrolux Do Brasil S.A. Variable climate zone wiring
KR20190109069A (ko)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0856B1 (ko) 2018-03-26 202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546862B1 (en) 2018-03-26 2021-0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640307B1 (ko) 2018-03-26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92728B1 (ko) 2018-05-08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912B1 (ko) * 2018-06-11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028726B (zh) 2018-06-21 2020-04-2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应用于抽拉件的引线结构、抽拉件、箱体及冰箱
KR102474913B1 (ko) 2018-06-22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KR20200005120A (ko)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서랍형 냉장고
CN108645104B (zh) 2018-07-12 2023-06-23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自动关门控制***及方法
CN208736060U (zh) 2018-08-14 2019-04-12 北京航天新风机械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极卷干燥装置
KR102115614B1 (ko) 2018-08-30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80773B1 (ko) 2018-08-30 2023-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80774B1 (ko) 2018-08-30 2023-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5327B1 (ko) 2018-08-30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42609B1 (ko) 2018-08-30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208736030U (zh) 2018-09-13 2019-04-12 广东奥马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用的通用抽屉
KR102579883B1 (ko) 2018-12-28 2023-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838961B (zh) 2019-02-12 2020-08-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走线机构及具有该走线机构的冰箱
KR20210007645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3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932568B2 (en) * 2019-07-26 2021-03-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otorized basket lifting mechanism
US10786080B1 (en) 2019-12-06 2020-09-29 Dooli Products, LLC Anti-tipping mechanisms integrated into furni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576A (ko)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제어 방법
KR20090102577A (ko)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71919A (ko) 2011-12-21 2013-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감김장치를 이용한 자동인출식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80138083A (ko) 2017-06-20 2018-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33617A1 (en) 2024-04-25
EP4300021A3 (en) 2024-04-10
EP3764037B1 (en) 2023-08-30
CN112212576B (zh) 2022-06-17
US20230134094A1 (en) 2023-05-04
US11898792B2 (en) 2024-02-13
US11635251B2 (en) 2023-04-25
EP4300021A2 (en) 2024-01-03
US20210010746A1 (en) 2021-01-14
EP3764037A1 (en) 2021-01-13
CN112212576A (zh)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7645A (ko) 냉장고
KR20210007647A (ko) 냉장고
KR102640307B1 (ko) 냉장고
KR102595327B1 (ko) 냉장고
KR102613619B1 (ko) 냉장고
KR20230135547A (ko) 냉장고
KR102640808B1 (ko) 냉장고
KR20210007644A (ko) 냉장고
KR20210007646A (ko) 냉장고
KR20210007648A (ko) 냉장고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20210007642A (ko)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KR20210007641A (ko)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3985337B1 (en) Refrigerator
US20240230212A9 (en) Refrigerator
KR102683316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