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483B1 -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483B1
KR102308483B1 KR1020170031254A KR20170031254A KR102308483B1 KR 102308483 B1 KR102308483 B1 KR 102308483B1 KR 1020170031254 A KR1020170031254 A KR 1020170031254A KR 20170031254 A KR20170031254 A KR 20170031254A KR 102308483 B1 KR102308483 B1 KR 10230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ase
brush
connector
uni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459A (ko
Inventor
김연수
서승욱
최재원
조철연
황정훈
윤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483B1/ko
Priority to PCT/KR2017/014449 priority patent/WO2018169167A1/ko
Publication of KR2018010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셀프 스탠딩(self-standing)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개시한다.
청소기 헤드는, 헤드 몸체와, 헤드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흡입구 및 제1브러쉬가 마련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헤드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흡입구 및 제2브러쉬가 마련되는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을 포함하고,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셀프 스탠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본체 내부에 마련된 집진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진공 청소기는 송풍장치와 집진장치 등이 내장되는 본체와,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는 흡입노즐과, 본체와 흡입노즐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연결관에 설치되는 핸들을 잡고 흡입노즐을 청소하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
진공 청소기의 청소 효율을 높이기 위해 드럼 브러쉬를 흡입 노즐 내에 장착한다. 드럼 브러쉬는 고속으로 회전하며 피청소면과 접촉함으로써 피청소면 상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하며, 분리된 이물질은 흡입 노즐로 흡입된 후 본체에 구비된 집진장치로 유입된다.
흡입 노즐에 장착된 드럼 브러쉬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먼지를 흡입하는데, 후방으로 이동 시에는 드럼 브러쉬가 먼지를 후방으로 튕겨내어 흡입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셀프 스탠딩(self-standing)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후 양방향으로 흡입 가능한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기 헤드는,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흡입구 및 제1브러쉬가 마련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 상기 헤드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흡입구 및 제2브러쉬가 마련되는 제2브러쉬케이스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헤드 몸체는,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은, 내부에 상기 제1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와,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바디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은, 내부에 상기 제2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바디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은,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바디에 연결되는 제1고정관과, 상기 제1고정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바디에 연결되는 제2고정관과, 상기 제2고정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흡입구와 상기 제1고정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1흡입유로와, 상기 제1고정관과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흡입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흡입구와 상기 제2고정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3흡입유로와,
상기 제2고정관과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4흡입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흡입유로와 상기 제4흡입유로는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회전암과 제2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최단길이의 제1가상선과, 상기 제2브러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최단길이의 제2가상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상선과 상기 제2가상선이 제1회전각을 형성하는 제1위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가상선과 상기 제1가상선이 상기 제1회전각 보다 큰 제2회전각을 형성하는 제2위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은 상기 제2위치에서 셀프 스탠딩(self standing)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시 및 제2브러시는 상기 제1위치에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쉬 및 제2브러쉬는 상기 제1회전각과 상기 제2회전각 사이에 배치될 때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시 및 제2브러시는 상기 제2회전각 보다 작은 각도에서 회전된다.
또한, 청소 상태 시, 상기 회전암 회전중심(C0)은 상기 제1브러쉬회전축(C1) 및 상기 제2브러쉬회전축(C2) 보다 높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회전암 및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는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제1흡입구와, 상기 제1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및 먼지가 상기 헤드 몸체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1유로를 포함하는 제1브러쉬케이스; 상기 헤드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흡입구와,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및 먼지가 상기 헤드 몸체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제2브러쉬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의 회전중심 및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의 회전중심과 일치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적인 셀프 스탠딩(self-standing)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후 양방향으로 흡입 가능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브러쉬케이스유닛 및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동작 시 청소기 헤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비동작 상태 시 청소기 헤드의 셀프 스탠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1)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미도시, 바닥(B))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헤드(100)와, 청소기 헤드(10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10)와, 청소기 헤드(100)와 청소기 본체(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관(2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와,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집진장치(11)는 핸들형 사이클론 집진장치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집진장치(11)는 집진바디(11a)와 필터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12)는 집진바디(11a) 내부에 마련된다. 집진바디(11a)는 필터부재(12)를 통해 걸러지는 이물질을 수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30)을 잡고 청소기 본체(10) 및 청소기 헤드(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들(30)에는 스위치(31)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31)는 진공 청소기(1)의 동작여부를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스위치(31)는 사용자가 청소를 진행 시, 진공 청소기(1)를 이동하면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핸들(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는 흡입관(20)은 청소기 헤드(100)에 연결된다. 흡입관(20)은 제1흡입관(21)과 제2흡입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관(21)과 제2흡입관(22)에 의해 청소기 헤드(100)와 청소기 본체(10) 사이의 길이는 가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입관(20)은 제1흡입관과 제2흡입관 두 개로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입관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다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청소기 헤드(100)는 피청소면 상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피청소면 상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청소기 헤드(100)는 제1흡입관(이하, 흡입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100)는 헤드 몸체(110), 헤드 몸체(11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와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을 포함한다.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은 헤드 몸체(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헤드 몸체(1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헤드 몸체(110)는 일측 및 타측과 상측 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몸체로 형성된다. 헤드 몸체(110)는 좌측과 우측 그리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삼각 형상의 몸체로 형성된다. 헤드 몸체(110)는 일측에 형성되어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와, 타측에 형성되어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과 연결되는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와, 상측에 형성되어 연결관(20)과 연결되는 배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와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는 헤드 몸체(110)의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와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는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된다.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는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헤드 몸체(110)의 배출구(113)는 헤드 몸체(1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3)는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와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3)는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와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3)는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와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113)는 흡입관(20)에 연결된다. 배출구(113)에 연결된 흡입관(20)을 통해 먼지 및 공기는 청소기 본체(10)로 이동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헤드 몸체(110)의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을 포함한다.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제1흡입구(211)가 형성된다.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는 그 내부에 제1브러쉬(12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흡입구(211)는 청소기 헤드(100)의 제1방향(X)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방향(X)은 청소기 헤드(100)의 전방 이동방향 및 하측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구(211)의 적어도 일부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 전방 이동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흡입구(211)의 나머지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러쉬(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러쉬(120)는 제1흡입구(2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바닥의 먼지 및 공기를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로 쓸어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브러쉬(120)에 의해 제1흡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먼지 및 공기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와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을 통해 헤드 몸체(110)의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에 연결되는 제1고정관(221)과, 제1고정관(221)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에 제1고정관(221)이 고정되어 마련되고, 제1고정관(221)에 연장된 제1회전관(222)이 헤드 몸체(110)의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에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과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 그리고 헤드 몸체(110)는 연통된다.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헤드 몸체(110)의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을 포함한다.
이때,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제2흡입구(311)가 형성된다.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는 그 내부에 제2브러쉬(130)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흡입구(311)는 청소기 헤드(100)의 제1방향(X)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구(311)는 청소기 헤드(100)의 제2방향(Y)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제2방향(Y)은 청소기 헤드(100)의 후방 이동방향 및 하측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흡입구(311)의 적어도 일부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 후방 이동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구(311)의 나머지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의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러쉬(13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러쉬(130)는 제2흡입구(3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바닥의 먼지 및 공기를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로 쓸어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브러쉬(130)에 의해 제2흡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먼지 및 공기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와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을 통해 헤드 몸체(110)의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에 연결되는 제2흡입관(22)과, 제2흡입관(2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관(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에 제2고정관(321)이 고정되어 마련되고, 제2고정관(321)에 연장된 제2회전관(322)이 헤드 몸체(110)의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에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과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 헤드 몸체(110)는 연통된다.
한편,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청소기 헤드(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휠(410,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에 마련되는 제1휠(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휠(410)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휠(410)은 제1브러쉬(120)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휠(410)은 제1휠축(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휠(410)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제1휠 수용부(2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휠축(411)은 제1휠 수용부(2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휠 수용부(214)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휠 수용부(214)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제1흡입구(211)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에 마련되는 제2휠(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휠(420)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휠(420)은 제2브러쉬(130)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휠(420)은 제2휠축(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휠(420)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의 제2휠 수용부(3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휠 수용부(314)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휠 수용부(314)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의 제2흡입구(311)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휠(410)과 제2휠(420)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닥면에 접촉하여 회전 청소기 헤드(100)를 이동하게 한다.
한편,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의 제1흡입구(211) 및 제2흡입구(311)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 및 공기는 흡입유로(500)를 통해 청소기 본체(10)로 전달되어 수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브러쉬케이스유닛 및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 그리고 헤드 몸체(110) 사이에는 유로(500)가 형성된다.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의 제1브러쉬(120)는 제1브러쉬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1브러쉬회전축(C1)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중심(C1)과 일치한다. 제1브러쉬(120)는 청소기 헤드(100)가 제1방향(X)으로 전방 이동 시, 반시계방향(CCW)으로 회전한다. 제1브러쉬(120)의 회전에 의해 제1흡입구(211)를 통해 먼지 및 공기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의 제1흡입구(211)와 헤드 몸체(110)의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 사이에는 제1유로(5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의 제2브러쉬(130)는 제2브러쉬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브러쉬회전축(C2)은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의 중심(C2)과 일치한다. 제2브러쉬(130)는 청소기 헤드(100)가 제2방향(Y)으로 후방 이동 시,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한다. 제2브러쉬(130)의 회전에 의해 제2흡입구(311)를 통해 먼지 및 공기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의 제2흡입구(311)와 헤드 몸체(110)의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 사이에는 제2유로(520)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500)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에 의해 형성되는 제1유로(510)와,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에 의해 형성되는 제2유로(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510)와 제2유로(520)는 헤드 몸체(110)를 통해 합쳐질 수 있다.
제1유로(510)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의 제1흡입구(211)와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의 제1고정관(221) 사이에 형성되는 제1흡입유로(511)와, 제1고정관(221)과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 사이에 형성되는 제2흡입유로(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520)는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의 제2흡입구(311)와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의 제2고정관(321) 사이에 형성되는 제3흡입유로(521)와, 제2고정관(321)과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 사이에 형성되는 제4흡입유로(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유로(511) 내지 제4흡입유로(522)는 헤드 몸체(110)를 중심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흡입유로(511)로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는 제2흡입유로(512)를 거쳐, 헤드 몸체(110)의 배출구(113)를 통해 흡입관(20)으로 유동하게 된다. 제3흡입유로(521)로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는 제4흡입유로(522)를 거쳐, 헤드 몸체(110)의 배출구(113)를 통해 흡입관(20)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제2흡입유로(512)와 제4흡입유로(522)는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과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의 회전암 회전중심(C0)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흡입유로(512)와 제4흡입유로(522)를 통과하는 먼지 및 공기는 헤드 몸체(110)로 유입되어 합쳐져 배출구(113)를 통해 흡입관(20)으로 이동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동작 시 청소기 헤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비동작 상태 시 청소기 헤드의 셀프 스탠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100)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위치고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700)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과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 사이, 제2브러쉬케이스바디(310)의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과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 사이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700)는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과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700)는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과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700)는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 및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에 형성되는 고정돌기(710)와,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 및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7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치고정부(700)는 돌기와 홈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고정부는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과 헤드 몸체 사이,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과 헤드 몸체 사이를 가고정 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700)는 진공 청소기(1)의 청소 동작 상태 시,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이 제1위치(P1)에서 고정되는 제1위치고정부(7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P1)는 제1브러쉬회전축(C1)과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의 회전암 회전중심(C0)을 연결하는 최단길이의 제1가상선(L1)과, 제2브러쉬회전축(C2)과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의 회전암 회전중심(C0)을 연결하는 최단길이의 제2가상선(L2)이 제1회전각(θ1)을 형성한다.
제1브러쉬(120) 및 제2브러쉬(130)는 제1위치(P1)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1브러쉬(120) 및 제2브러쉬(130)는 제1회전각(θ1)을 갖는 제1위치(P1)에서 회전되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청소기 헤드(100)가 제1위치(P1)일 때, 회전암 회전중심(C0)은 제1브러쉬회전축(C1) 및 제2브러쉬회전축(C2) 보다 높게 위치된다.
청소기 헤드(100)의 청소 상태 시, 제1위치(P1)에서 회전암 회전중심(C0)은 바닥(B)으로부터 제1높이(h1)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브러쉬회전축(C1) 및 제2브러쉬회전축(C2)는 바닥(B)으로부터 제2높이(h2)에 위치한다. 제1높이(h1)는 제2높이(h2) 보다 높게 위치된다.
진공 청소기(1)의 구동 시,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제1가상선(L1)과 제2가상선(L2)이 제1회전각(θ1)을 갖는 제1위치(P1)에 고정되고, 제1브러쉬(120)와 제2브러쉬(130)는 회전 동작 될 수 있다. 이때, 제1브러쉬(120)와 제2브러쉬(1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700)는 진공 청소기(1)의 비 동작 시,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이 제1가상선(L1)과 제2가상선(L2)이 제2회전각(θ2)을 갖는 제2위치(P2)에서 고정되는 제2위치고정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위치고정부(700)는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111) 및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112)에 형성되는 고정돌기(710)에 대응되도록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 및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7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돌기는 헤드 몸체에 형성되고, 고정홈은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진공 청소기(1)의 비 동작시, 사용자는 흡입관(20) 및 흡입관(20)에 고정되는 헤드 몸체(110)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킨다.
헤드 몸체(1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과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의 회전에 의해 각각 제1방향(X)과 제2방향(Y)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2위치(P2)는 제1가상선(L1)과 제2가상선(L2)이 제1회전각(θ1) 보다 큰 제2회전각(θ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서로 이격되어 멀어지게 된다.
이처럼, 청소기 헤드(100)는 제2위치(P2)일 때, 회전암 회전중심(C0)은 제1브러쉬회전축(C1) 및 제2브러쉬회전축(C2) 보다 낮게 위치된다.
청소기 헤드(100)의 제2위치(P2) 즉, 셀프 스탠딩 상태 시, 회전암 회전중심(C0)은 바닥(B)으로부터 제3높이(h1')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브러쉬회전축(C1) 및 제2브러쉬회전축(C2)는 바닥(B)으로부터 제4높이(h2')에 위치한다. 제3높이(h1')는 제4높이(h2') 보다 낮게 위치된다.
제2위치(P2)에서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과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320)의 적어도 일부는 바닥(B)에 접촉할 수 있다.
서로 이격되어 멀어지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에 의해 진공 청소기(1)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청소기 헤드(100) 그 중심에 흡입관(20)의 위치가 고정 및 지지되므로 진공 청소기(1)는 셀프 스탠딩(self-standing) 할 수 있다.이처럼, 다른 구조물이나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이 진공 청소기(1)의 안정적인 자립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100)의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은 각각 제1브러쉬(120) 및 제2브러쉬(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600)은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구동유닛(600)은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에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에 적용되는 구동유닛(6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구동유닛(600)은 모터(601)와, 모터(601)의 회전을 제1브러쉬(120)로 전달하도록 모터축(602)에 연결되는 연결부재(60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603)는 제1브러쉬(120)에 마련된다. 모터(601)는 제1브러쉬(1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모터(601)는 제1브러쉬(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모터(601)의 회전력은 모터축(602)을 통해 연결부재(603)에 전해져 제1브러쉬(120)가 회전할 수 있다.
제1브러쉬(120)의 회전에 의해 제1흡입구(211)를 통해 먼지 및 공기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제1흡입유로(511)와 제2흡입유로(512)로 유입되고, 헤드 몸체(110)의 배출구(113)와 흡입관(20)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600A)은 모터(601A)와, 모터(601A)의 회전을 제1브러쉬(120)로 전달하도록 모터축(602A)에 연결되는 연결부재(603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603A)는 제1브러쉬(120)에 마련된다.
모터(601A)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의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는 모터(601A)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610A)을 형성할 수 있다. 설치공간(610A)은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에 마련될 수 있다. 설치공간(610A)에 설치되는 모터(601A)는 제1브러쉬(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모터(601A)의 회전력은 모터축(602A)을 통해 연결부재(603A)에 전해지고, 연결부재(603A)를 통해 제1브러쉬(120)가 회전할 수 있다.
제1브러쉬(120)의 회전에 의해 제1흡입구(211)를 통해 먼지 및 공기가 제1브러쉬케이스바디(210)의 제1흡입유로(511)와 제2흡입유로(512)로 유입되고, 헤드 몸체(110)의 배출구(113)와 흡입관(20)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이다. 미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한다.
진공 청소기(1B)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미도시, 바닥(B))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헤드(100B)와, 청소기 헤드(100B)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본체(10B)를 포함한다.
청소기 본체(10B)와 청소기 헤드(100B) 사이에는 청소기 본체(10B)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청소기 헤드(100B)에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관(20B)과 연결호스(21B)가 마련된다. 연결관(20B)과 연결호스(21B)의 사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핸들(30B)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호스(21B)는 신축성 있는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단은 청소기 본체(100B)에 연결되고 타단은 핸들(30B)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호스(21B)는 청소기 헤드(100B)가 청소기 본체(10B)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연결관(20B)은 일단은 청소기 본체(100B)에 연결되고 타단은 핸들(30B)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핸들(30B)을 잡고 청소기 헤드(100B)를 이동시켜 바닥의 이물질을 청소 할 수 있도록 한다.
청소기 헤드(100B)는 바닥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된다.
청소기 헤드(100B)는 헤드 몸체(110B), 그리고 헤드 몸체(110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B)와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B)을 포함한다.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B)은 헤드 몸체(110B)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B)은 헤드 몸체(110B)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1B)의 비 동작 시, 사용자는 연결관(20B) 및 연결관(20B)에 고정되는 헤드 몸체(110B)를 하측 방향으로 누른다.
이때, 헤드 몸체(110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B)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B)은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220B)과 제2브러퀴케이스회전암(320B)의 회전에 의해 각각 제1방향(X)과 제2방향(Y)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B)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B)은 서로 이격되어 멀어지게 된다.
서로 이격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200B)과 제2브러쉬케이스유닛(300B)에 의해 진공 청소기(1B)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청소기 헤드(100B) 그 중심에 연결관(20B)의 위치가 고정 및 지지되므로 진공 청소기(1B)의 자립(self-standing) 할 수 있다.
이처럼, 다른 구조물이나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이 진공 청소기(1B)의 안정적인 자립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1B)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진공 청소기 10 : 본체
20 : 흡입관 30 : 핸들
100 : 청소기 헤드 110 : 헤드 몸체
111 :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 112 :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
113 : 배출구 200 : 제1브러쉬케이스유닛
210 : 제1브러쉬케이스바디 211 : 제1흡입구
300 : 제2브러쉬케이스유닛 310 : 제2브러쉬케이스바디
311 : 제2흡입구

Claims (20)

  1.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흡입구 및 제1브러쉬가마련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
    상기 헤드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흡입구 및 제2브러쉬가 마련되는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헤드 몸체는,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는, 서로 상기 헤드 몸체의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은,
    내부에 상기 제1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와,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바디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은,
    내부에 상기 제2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바디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은,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바디에 연결되는 제1고정관과,
    상기 제1고정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전관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바디에 연결되는 제2고정관과,
    상기 제2고정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관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구와 상기 제1고정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1흡입유로와,
    상기 제1고정관과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2흡입유로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구와 상기 제2고정관 사이에 형성되는 제3흡입유로와,
    상기 제2고정관과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4흡입유로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유로와 상기 제4흡입유로는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회전암과 제2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의 회전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청소기 헤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최단길이의 제1가상선과,
    상기 제2브러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최단길이의 제2가상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상선과 상기 제2가상선이 제1회전각을 형성하는 제1위치를 갖는 청소기 헤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상선과 상기 제1가상선이 상기 제1회전각 보다 큰 제2회전각을 형성하는 제2위치를 갖는 청소기 헤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은 상기 제2위치에서 셀프 스탠딩(self standing) 상태를 유지하는 청소기 헤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 및 제2브러시는 상기 제1위치에서 회전되는 청소기 헤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 및 제2브러쉬는 상기 제1회전각과 상기 제2회전각 사이에 배치될 때 회전되는 청소기 헤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 및 제2브러시는 상기 제2회전각 보다 작은 각도에서 회전되는 청소기 헤드.
  16. 제10항에 있어서,
    청소 상태 시, 상기 회전암 회전중심(C0)은 상기 제1브러쉬회전축(C1) 및 상기 제2브러쉬회전축(C2) 보다 높게 위치되는 청소기 헤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회전암 및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회전암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18.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는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제1흡입구와, 상기 제1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및 먼지가 상기 헤드 몸체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1유로를 포함하는 제1브러쉬케이스유닛;
    상기 헤드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흡입구와, 상기 제2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및 먼지가 상기 헤드 몸체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몸체는,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와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가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연결구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연결구는, 서로 상기 헤드 몸체의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유닛은,
    내부에 제1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제1 흡입구가 형성되는 제1브러쉬케이스바디와,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바디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브러쉬케이스회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유닛은,
    내부에 제2브러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제2 흡입구가 형성되는 제2브러쉬케이스바디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바디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러쉬케이스회전암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의 회전중심 및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의 회전중심과 일치하게 배치되는 진공 청소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쉬케이스와 상기 제2브러쉬케이스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170031254A 2017-03-13 2017-03-13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30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54A KR102308483B1 (ko) 2017-03-13 2017-03-13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PCT/KR2017/014449 WO2018169167A1 (ko) 2017-03-13 2017-12-11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54A KR102308483B1 (ko) 2017-03-13 2017-03-13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59A KR20180104459A (ko) 2018-09-21
KR102308483B1 true KR102308483B1 (ko) 2021-10-06

Family

ID=6352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254A KR102308483B1 (ko) 2017-03-13 2017-03-13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8483B1 (ko)
WO (1) WO2018169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739B1 (ko) 2021-01-15 2021-04-15 주식회사대상기술 자력으로 이동하는 청소 장치
EP4059405A1 (en) * 2021-03-17 2022-09-21 Koninklijke Philips N.V. Suction head for application in a vacuum cleaner
KR102264993B1 (ko) 2021-04-09 2021-06-15 주식회사대상기술 이동 방향 전환 기능을 구비한 청소 장치 및 그 이동 제어 방법
KR20240038377A (ko) * 2022-09-16 202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노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2449A2 (en) * 2003-03-18 2004-09-30 Massimiliano Pineschi Accessory for vacuum-cleaner household applian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43A (ja) * 1995-06-30 1997-01-14 Sharp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GB2419278B (en) * 2006-01-19 2007-01-10 Grey Technology Ltd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JP2007282769A (ja) * 2006-04-14 2007-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GB2498205A (en) * 2012-01-06 2013-07-10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2449A2 (en) * 2003-03-18 2004-09-30 Massimiliano Pineschi Accessory for vacuum-cleaner household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59A (ko) 2018-09-21
WO2018169167A1 (ko)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483B1 (ko)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US795010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teering unit
US20100205768A1 (en) Brush assembly of vacuum cleaner
EP2016882B1 (en)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JP4913879B2 (ja) 床用ツール
KR102372897B1 (ko) 청소기
KR102613447B1 (ko) 청소기
KR102504105B1 (ko) 진공 청소기
KR101472770B1 (ko) 청소장치
US20100269290A1 (en) Nozz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JP6229169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21505217A (ja) 床ツールユニット、表面処理器具、及び真空掃除機
JP2006346279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9504305A (ja) 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用の角度調節装置
JP5762275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EP2311357A1 (en)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WO2017068679A1 (ja) バキューム掃除機用の掃除機ヘッド、及びバキューム掃除機
TWI825624B (zh) 清掃機
JP6519291B2 (ja) 電気掃除機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4726708B2 (ja) 電気掃除機
KR20170093397A (ko) 청소기
KR20160011998A (ko) 와이퍼방식 청소용 청소기 헤드장치
JP6288149B2 (ja) 掃除具及び電気掃除機
KR20030031651A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