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390B1 -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390B1
KR102298390B1 KR1020200166377A KR20200166377A KR102298390B1 KR 102298390 B1 KR102298390 B1 KR 102298390B1 KR 1020200166377 A KR1020200166377 A KR 1020200166377A KR 20200166377 A KR20200166377 A KR 20200166377A KR 102298390 B1 KR102298390 B1 KR 10229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yaluronic acid
weight
parts
tissue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6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37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other than human or animal, e.g. plant extracts, 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Anti-inflammatory agents, e.g. NS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필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필러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시판되는 필러에 비해 조직 수복 효과가 더욱 우수하며, 히알루론산의 가교 결합 시 첨가되는 첨가제에 의해 생성되는 독성으로 인한 염증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필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TISSUE REPAIR THAT CONTAINS HYALURONIC ACID AND EXHIBITS EXCELLENT SKIN REPAIR EFFE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히알루론산에 추가로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항염 및 조직 수복 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연부조직(soft tissue)은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과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세포외기질에 의해 그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데, 선천성 요인 또는 외부의 충격이나 병적요인 등에 의한 연부조직의 결손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부위에 생체 조직이나 합성 고분자 화학물질을 삽입하여 연부조직을 확장함으로써 그 형태를 복원, 교정할 수 있다. 관련하여, 피부조직과 유사한 성분으로 특정부위에 주사로 주입하여 연부조직을 확장 시킴으로써 주름개선이나 윤곽교정 등에 사용되는 물질을 일반적으로 피부 충전제(dermal filler) 또는 필러 (filler)라고 하는데, 이러한 피부 충전제는 효과를 나타내는 작용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주입한 물질이 직접 부피를 키워서 확대효과를 내는 피부 충전제이고, 다른 하나는 주입 한 물질에 의한 직접적인 부피효과 외에도 물질의 자극에 의해서 주변에 새롭게 콜라겐과 같은 자가조직들을 형성시켜서 부피효과를 내는 피부 충전제가 있다.
또한, 피부 노화에 따른 미용의 목적으로도 필러가 이용되고 있다. 유사한 목적으로 외과적 수술이나 보톡스를 주사하기도 하나, 수술의 경우에는 흉터가 남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며, 보톡스는 신경 독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많이 발생한다. 반면 생체 내 존재하는 고분자를 이용한 필러의 경우에는 부작용이 적고 간편한 시술로 시간 절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필러는 1890년대에 자가 지방이식으로 시술한 것이 최초이며, 이후 파라핀과 액상 실리콘이 쓰였으나 심각한 부작용 때문에 이는 오늘날 미국과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나라에서 불법 의료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그 후 Zyderm 및 Zyplast로 대표되는 콜라겐을 사용한 필러가 발명되었으나, 콜라겐 필러는 동물 유래 콜라겐이 사용 되므로 시술 한 달 전에 알러지 테스트를 해야 하며, 수명도 3~6개월 정도로 비교적 짧은 단점이 있다(Baumann, L., J. Kaufman, and S. Saghari, Collagen fillers. Dermatologic therapy, 2006. 19(3): p. 134-140.). 이를 보완하고자 히알루론산 계열의 필러가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는 Hylaform 및 Restylane/Perlane 등이 있으며, 수명이 콜라겐에 비해 6~12개월로 두 배 정도 길어졌으며 알러지 테스트가 없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히알루론산 그 자체는 인체 내에서 수 시간에 불과한 짧은 반감기를 나타내어 적용에 한계가 있어, 가교 결합을 통해 반감기(체내 지속성)를 증대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4,582,865호는 디비닐술폰(DVS)을 가교제로 사용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의 하이드로겔 형태가 Hylaform®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고, 미국특허 제5,827,937호는 다기능에폭시화합물을 가교제로 사 용하여 히알루론 유도체 가교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중 다기능에폭시화합물로서 1,4-부탄디 올 디글리시딜에테르(BDDE)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히알루론산 가교물의 하이드로겔 형태인 Restylane®은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 조직증강용 충전제로서 세계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교된 히알루론산 필러에는 단일상으로 만들어진 필러(모노 페이직 HA 필러, monophasic HA fille r)와, 이성상으로 만들어진 필러(바이 페이직 HA 필러, biphasic HA filler)가 있다. 모노페이직 히알루론산 필러는 가교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균질액을 사용하여 제조되므로, 일반적으로 탄성도가 낮고 응집력이 높다. 이에 따라, 모노 페이직 히알루론산 필러는 피부에 주입될 경우, 주입된 부위에서 이탈할 가능성은 낮으나 주입된 형태를 오래 유지하지 못하고 모양(형태) 유지 기간이 시술 후 2개월 정도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바이 페이직 히알루론산 필러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입자체 단독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액상에 가까운 비가교된 히알루론산(미처리 비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 linear HA)를 혼합하여 제조하므로, 일반적으로 탄성도가 높고 응집력이 낮다. 이에 따라, 바이 페이직 HA 필러는 피부에 주입될 경우, 형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지만 주입된 부위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바이 페이직 HA 필러의 대표적인 예가 상기 언급한 레스틸렌(Restylane®, 갈더마사 제품)이다.
이와 같이, 모노 페이직 HA 필러와 바이 페이직 HA 필러는 각각 장, 단점을 갖고 있는데, 종래 모노 페이직 히알루론산 필러와 바이 페이직 히알루론산 필러의 특성을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상기 필러들을 혼합한 예가 존재하나, 이와 같은 경우 오히려 모노 페이직 히알루론산 필러 및 바이 페이직 히알루론산 필러의 장점이 모두 동반하여 감소하여 필러로서 적절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입된 부위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낮으면서도 형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필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히알루론산에 천연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히알루론산의 가교 결합을 위해 첨가되는 가교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독성으로 나타나는 염증을 방지하거나 염증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피부 수복 효과가 우수한 필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KR 10-1856435 B1 KR 10-2020-0006509 A
본 발명의 목적은 히알루론산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우수한 피부 수복 효과를 가지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알루론산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을 위해 첨가된 가교제의 소량의 독성에 대한 염증 방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포함하면서, 피부 수복 효과 및 염증 방지의 활성을 포함하는 기능성 제품에 관한 것으로,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필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조성물은 병조희풀 추출물; 민꾸지나무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큰나비나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물과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에틸렌글 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 콜디글리시딜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tetram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디글리세롤폴리글리 시딜에테르(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glycerol polyglycidyl ether), 트 리메틸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tri-methylpropane polyglycidyl ether), 비스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1,2- (bis(2,3-epoxypropoxy)ethylene), 펜타에리쓰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및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sorbitol polyglycidyl eth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2,000,000 Da 내지 3,000,000 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수복용 필러는 상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건조된 천연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물을 추출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히알루론산을 가교제를 이용하여 가교시키는 가교단계; 상기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교반하는 교반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단계는 20 내지 30분 동안 100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는 제1 교반 단계; 및 10 내지 20분 동안 10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제2 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은 병조희풀, 민꾸지나무, 개감채, 큰나비나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은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직 수복이란 상기 조성물의 주입에 의하여 일시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얼굴 또는 신체의 주름을 개선 또는 수복하거나, 윤곽 개선, 조직의 부피감을 형성, 또는 흉터 치유 등 조직을 재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직은 안면 또는 신체의 일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은 시린지에 충진되어 피부층에 주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자체는 물론 그의 염 및 유도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의 수용액, 히알루론산 염의 수용액, 히알루론산 유도체의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물 수용액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조성물은 병조희풀 추출물; 민꾸지나무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큰나비나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물과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조희풀(Clematis heracleifolia DC.)은 숲에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높이가 1m에 달하고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지만 윗부분은 죽는다. 잎은 대생하며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소엽은 넓은 난형이며 첨두이고 예저 또는 절저이며 치아상 톱니가 있다. 꽃은 잡성으로서 8-9월에 핀다. 열매는 수과로서 편평한 타원형이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는데, 통증과 염증을 가라 앉히는 효능이 있어 통풍관절염에 약용한다. 다만, 병조희풀은 약간의 독성이 있어, 정량 이상을 먹으면 안된다.
상기 민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해발 100~700m 의 산기슭 양지 쪽에서 자란다. 높이 12m 안팎이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이며 작은 가지에 털이 빽빽하게 난다. 잎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어긋난다. 길이 7~20cm 에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광택이 돈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끝은 꼬리처럼 길고 깊게 패어 들어간 모양이며 잎자루는 3~10cm 로 털이 있다. 턱잎은 자주색으로 달걀 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상기 개감채(Lloydia serotina (L.) Rchb.)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두메무릇, 산무룻 또는 와판화라고도 불린다. 높은 산의 암석지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5cm이다. 비늘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외피는 연한 황갈색이다. 뿌리에 달린 잎은 보통 2개씩이고 길이 7∼20cm, 나비 1mm 정도로 줄 모양이다. 꽃줄기는 7∼15cm로 2∼4개의 잎이 달린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4∼35mm로 끝이 뭉툭하고 가장자리가 위로 말린다. 한국의 함경남도(백두산)·함경북도(관모봉)를 비롯하여 북반구 한대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개감채는 주로 어린순과 인경을 먹으며 민간에서는 풀전체를 강장, 강절, 건뇌, 강심 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하여 약으로 쓴다.
상기 큰나비나물(Vicia unijuga var.)은 나비나물, 계방나비나물, 광양나비나물이라고도 하며, 콩과 나비나물 속에 해당한다. 숲 가장자리 및 햇빛이 드는 숲속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100cm에 이른다. 뿌리는 목질의 뿌리줄기가 있고 원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가 뭉쳐 나와 곧추서거나 약간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네모가 진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3~8cm, 너비 2~4cm 정도인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의 작은 잎이 한 쌍을 이루어 달린다. 꽃은 8월에 홍자색의 나비 모양으로 피는데 그 길이 12~15mm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5개의 선형 조각으로 갈라진다. 열매는 협과로 길이 3cm 정도인데 털이 없다.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동물 등의 피부에 많이 존재하는 생체 합성 천연 물질로, 수산화기(-OH)가 많기 때문에 친수성 물질이며, 동물 등의 피부에서 보습 작용의 역할을 한다. 보습 작용이 있으므로 화장품 등에 많이 첨가되기도 하며, 다양한 상피세포에서 발현되어 있는 CD44단백질과 반응하여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조절한다.
히알루론산은 체내에서 두가지 경로로 분해되는데 첫번째로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에 의한 분해, 두번째로 세포 수용체(cell receptor)에 부착되어 세포내로 탐식되어 리소좀(lysosome)내의 효소에 의한 분해로 분해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는 히알루론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탄수화물이나 글리코시드에 작용하여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탄수화물 효소이다. 히알루로니다아제는 세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첫번째로 포유류(양, 소)의 정소 등에서 만드는 효소, 두번째로 거머리나 갑각류의 침샘에서 만드는 효소, 세번째로 세균에서 만들어지는 효소로 나뉘어진다.
히알루론산의 생분해는 매우 빨라서 0.5일 내지 수 일 내에 모두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히알루론산은 빠른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을 사용하여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작용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에 상기 병조희풀 추출물, 민꾸지나무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큰나비나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조희풀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민꾸지나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개감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큰나비나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 범위 내에서 복합추출물로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 간의 복합 작용으로 인해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작용이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조직 수복 효과가 보다 향상되고, 가교제에 의해 소량 존재하는 히알루론산 내 독성에 의한 염증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히알루론산의 짧은 생분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히알루론산의 가교 결합이 도입되었으며, 가교 결합에 의하여 분자량이 커지면, 우선 백혈구 특히 단핵구에 의한 탐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히알루론산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작용 속도도 감소된다.
상기 가교제(cross-linking agent)는 다리걸침제라고도 하며, 사슬모양고분자의 사슬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는 물질로, 수지에 굳기나 탄력성 등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첨가제이다.
상기 가교제는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에틸렌글 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 콜디글리시딜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tetram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디글리세롤폴리글리 시딜에테르(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glycerol polyglycidyl ether), 트 리메틸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tri-methylpropane polyglycidyl ether), 비스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1,2- (bis(2,3-epoxypropoxy)ethylene), 펜타에리쓰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및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sorbitol polyglycidyl ether),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가교제에 비해 독성이 낮아 바람직하다.
그러나, 히알루론산의 가교 결합을 위해 첨가된 가교제는 소량 포함된다 하더라도 독소 반응이 일어날 수 있어 독소에 의한 조직 내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기 독성으로 인한 염증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히알루론산과 함께 병조희풀 추출물, 민꾸지나무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큰나비나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 이외에 보다 바람직하게 멱쇠채 추출물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멱쇠채(Scorzonera austriaca ssp. glabra)는 좀쇠채 또는 필관초 라고도 불리며,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30cm 정도이며,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피침 모양이다. 5~6월에 하나의 꽃대 끝에 노란 두상화가 피고 열매는 수과를 맺으며, 어린 잎은 식용한다. 산이나 들에 나는데 한국, 중국의 만주, 러시아의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멱쇠채는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며, 연한 꽃줄기는 생식하고,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사용할 때에는 탕으로 사용하며, 감기, 관절통, 두통, 발열, 신경통, 천식, 타박상, 해열 등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는 유럽에서는 루선(lucern)이라고 불렀으나, 미국에서는 아랍어로 '가장 좋은 사료'라는 뜻으로 알팔파라고도 불리며,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원줄기는 곧게 30∼90cm까지 자라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이 3장씩 나온 잎이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고 끝이 뭉툭하거나 움푹하게 들어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타화수정을 하고, 꼬투리는 2∼3회 나선 모양으로 말리며 털이 있고, 종자는 신장 모양이다. 서남아시아 원산이며 한반도 북부 및 중부에 분포해 있다. 자주개자리의 전초를 목숙, 근을 목숙근으로 하여 약용하며, 목숙은 비위 및 장을 다스리며, 방광결석을 치료할 수 있으며, 목숙근은 거습, 청열, 이뇨의 효능이 있으며, 황달, 요로결석 및 야맹증 치료에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멱쇠채 추출물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병조희풀, 민꾸지나무, 개감채 및 큰나비나물 내 활성화된 유효성분의 함량 추출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히알루로니다아제 활성을 더욱 감소시킴에 따라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효과를 통해 더욱 우수한 피부 수복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가교제에 의해 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에 존재할 수 있는 독성으로 인한 염증 개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멱쇠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2,000,000 Da 내지 3,000,000 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평균 분자량이 2,000,000 Da 미만인 경우, 단핵구에 의한 탐식 억제 효과가 미비하여 조직 수복을 위해 투여 시, 빠른 생분해로 조직 수복 효과(필러의 기능)가 미비할 수 있다. 즉, 분자량이 작은 경우에 비해 분자량이 큰 경우 분해효소의 공격에 노출될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히알루론산은 분자량 2,000,000 Da 이상인 경우 조직 수복 효과 지속력이 우수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0 Da 내지 3,000,000 Da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조직 수복 지속력이 보다 우수하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을 추출 용매로 이용하는 것이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환류 추출법, 침출법 및 초음파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추출법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 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수복용 필러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건조된 천연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물을 추출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히알루론산을 가교제를 이용하여 가교시키는 가교단계; 상기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교반하는 교반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단계는 20 내지 30분 동안 100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는 제1 교반 단계; 및 10 내지 20분 동안 5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제2 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은 병조희풀, 민꾸지나무, 개감채, 큰나비나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쇄단계 및 제조단계는 천연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천연물로 병조희풀, 민꾸지나무, 개감채, 큰나비나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단계는 히알루론산의 가교 결합을 위해 가교제를 첨가하는 단계로, 분자량을 2,000,000 Da 내지 3,000,000 Da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진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제조된 병조희풀 추출물, 민꾸지나무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큰나비나물 추출물과 히알루론산이 혼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추출물과 히알루론산은 교반단계를 통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교반단계는 제1 교반 단계 및 제2 교반 단계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20 내지 30분 동안 100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는 제1 교반 단계, 10 내지 20 분 동안 5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제2 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단계로 교반하는 경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추출물과 히알루론산을 더욱 균일한 농도로 혼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교반 단계에서 회전속도가 100 rpm 미만의 속도로 혼합하는 경우 조성물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회전속도가 300 rpm을 초과하는 속도로 혼합하는 경우, 조성물이 회전 속도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온도에 민감한 히알루론산의 경우 변성이 올 수 있어 바람직하게 100 내지 300 rpm으로 20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교반단계는 제1 교반단계에서 혼합된 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보다 낮은 회전 속도로 교반 해주어 히알루론산의 온도 상승을 낮추며, 추가적인 혼합을 위해 5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교반단계 이후, 50 rpm 미만의 속도로 혼합하는 경우 조성물의 추가적인 기포발생 가능성이 존재하고, 히알루론산 및 천연추출물의 결합으로 침전이 생길 수 있으며, 150 rpm 초과의 속도로 혼합하는 경우 회전 속도에 의해 온도 상승으로 인한 히알루론산 변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제2 교반단계에서는 50 내지 150 rpm의 속도로 10 내지 20 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된 바람직한 속도로 교반하는 경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점도가 20,000cP내지 50,000cP에 해당함으로써 단상성 및 이상성 히알루론산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상성 히알루론산 및 이상성 히알루론산은 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에 해당하는 것으로, 단상성 히알루론산은 탄력이 적고 덩어리를 적게 만듦으로 중간정도의 볼륨 증대와 지속기간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두꺼운 피부에 사용되며, 이상성 히알루론산은 탄력이 크고 덩어리를 잘 만들어 대량의 볼륨증대, 오랜 기간의 지속 및 상대적으로 얇은 피부인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은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완충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통상의 첨가제, 분산제, 윤활제, 결합제, 희석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필요하다고 요구되는 구성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우수한 피부 수복 효과를 가지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히알루론산 가교 결합을 위해 첨가된 가교제의 소량의 독성에 대한 염증 방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는 상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포함하면서, 피부 수복 효과 및 염증 방지의 활성을 포함하는 기능성 제품에 관한 것으로,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필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 추출물의 제조]
1. 병조희풀 추출물(CH)의 제조
병조희풀을 세척 및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정제수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여 병조희풀 추출물(CH)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병조희풀 추출물(CH)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민꾸지나무 추출물(BD), 개감채 추출물(LS) 및 큰나비나물 추출물(VU)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
1. 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HA)의 제조
0.25 N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에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100 mg/ml 농도로 용해시키고, 여기에 가교제로 50mM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BDDE)를 믹서(Mixer)통에 넣고 균질하게 혼합한 뒤, 이 믹서통을 항온수조에 넣고 35℃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가교시켜 가교단계를 진행하였다.
2. 조직수복용 조성물의 제조
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HA)과 병조희풀 추출물(CH), 민꾸지나무 추출물(BD), 개감채 추출물(LS) 및 큰나비나물 추출물(VU)를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였다.
TR1 TR2 TR3 TR4 TR5 TR6
HA 100 100 100 100 100 100
CH - 1 5 7 10 15
BD - 1 5 7 10 15
LS - 0.1 1 3 5 10
VU - 0.1 1 3 5 10
(단위 중량부)
이후, 교반 단계를 진행하였으며, 1차 교반 단계는 200rpm으로 2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2차 교반 단계는 100rpm으로 10분 동안 진행되었다.
[제조예 3 :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러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조직 수복용 조성물 TR4를 완충용액이 담긴 탱크에 이송 후, 세척 및 팽윤 시키고 세척액을 제거하였다.
이후, 세척액의 pH가 중성범위에 있는지 확인한 후, 세척 및 팽윤 단계를 거친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멸균탱크로 이송 후, 100℃ 이상의 온도에서 90초 정도 열처리하고 정해진 양 만큼 시린지에 진공 충진하였으며, 세척 및 팽윤 단계를 거친 조직 수복용 조성물이 담긴 시린지를 100℃ 이상의 온도에서 10분 정도 증기 멸균하여 필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여부 평가]
50 μL의 히알루로니다아제 용액(1 ㎎/mL)(sigma-aldrich)을 마이크로 튜브에 넣고, 제조예 2에서 제조한 TR 1 내지 6를 각각 50 μL 가하여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50 μl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0.2 M)을 가하여 반응을 멈췄다. 이 용액을 3분간 끓인 후, 유수로 냉각하고, 10% p-DMAB(dimethylaminobenzaldehyde)용액을 300 μL 가하여 37℃에서 20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실온에 복귀시킨 후, 100 μL씩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로 옮겨, POWERSCAN HT를 이용하여 OD585 ㎚를 측정하였다. 천연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TR1을 대조군으로 하여 흡광도 값을 100%으로 설정한 뒤, 상대적으로 비교한 결과 값은 하기 표 2과 같다.
TR1
(대조군)
TR2 TR3 TR4 TR5 TR6
TR1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아제의 활성(%) 100 97.46 93.31 92.16 93.72 96.55
(단위 %)
상기 표 2에 의하면, 천연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히알루론산만을 포함하는 TR1에 비해, 병조희풀 추출물(CH), 민꾸지나무 추출물(BD), 개감채 추출물(LS) 및 큰나비나물 추출물(VU)을 포함하는 TR2 내지 TR6의 경우 히알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이 보다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추출물의 바람직한 중량부를 포함하는 TR3 내지 TR5의 경우 히알루로니다아제 활성이 더욱 낮아졌으며, 특히 TR4의 경우 TR1에 대한 히알루로니다아제 활성이 93.31%으로 가장 낮은 정도의 값을 나타내어 바람직한 중량부의 히알루론산, 병조희풀 추출물(CH), 민꾸지나무 추출물(BD), 개감채 추출물(LS) 및 큰나비나물 추출물(VU)을 포함하는 경우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의 독성 평가 및 항염 효과에 대한 평가]
1. TR1에 대한 MTT 평가
TR1의 독성 평가는 3-(4,5-디메틸-2-티아졸릴)-2,5-디페닐-2H-테트라졸리엄(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MTT)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MTT 평가는 TR1로부터 72 시간 동안 방출되어 나오는 용출물 1ml에 대해서 100㎕에 대한 독성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테플론(Teflon)에서 방출되어 나오는 용출물에 대한 독성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TR1에 대하여 버퍼 용액에서 72시간 인 비트로(in vitro) 상에서 용출시켜 얻은 용출액 1ml 중 100㎕을 배양 중인 섬유아 세포에 주입 후 24시간이 지난 후, MTT 분석을 통해 세포 생존성을 정량화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MTT 분석을 통해, 섬유아 세포의 생존율을 평가한 결과, 양성대조군의 섬유아 세포의 생존률에 비해 세포 생존성을 보이는 결과를 얻었다(P<0.05)
2. TR2 내지 6에 대한 MTT 평가
상기 TR1의 MTT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TR 2 내지 6에 대한 MTT 평가를 진행하였다.
TR1의 MTT 평가를 지수 5로 고정하여 기준으로 삼고, 상기 천연추출물을 포함함에 따른 결과를 이와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항염 활성이 우수한 것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TR1 TR2 TR3 TR4 TR5 TR6
MTT 평가 5 6 7 8 8 6
(단위 지수)
상기 표 3에 따르면, 히알루론산 만을 포함하는 TR1에 비해, 병조희풀 추출물(CH), 민꾸지나무 추출물(BD), 개감채 추출물(LS) 및 큰나비나물 추출물(VU)을 추가로 포함하는 TR2 내지 TR6의 경우 MTT 평가 값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TR3 내지 TR5의 경우 더욱 높은 MTT 평가를 나타냄에 따라, 상기 추출물의 바람직한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가교제에 의해 가교 결합된 히알루론산에 소량 포함된 독성 물질에 대한 억제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독성에 의한 염증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조직 수복 조성물의 기포 형성, 점도 및 침전 발생 여부 평가]
상기 제조예 2에서 혼합단계까지 진행된 조직 수복용 조성물 TR4를 하기 표 4의 AS1 내지 AS10의 교반 조건으로 교반하여,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교반 속도에 따른 점도, 기포 형성 및 침전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상기 교반 조건에 따른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투명 용기에 담아 기포 형성 및 점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18시간 경과 후, 침전 발생 여부를 관찰한 후, 관찰 결과를 하기 표 5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다.
<기포 형성 여부>
기포가 형성됨. : ○
기포 형성되지 않음. : X
<점도>
20,000 ~ 50,000 cP 이내인 경우 적합.
<침전 발생 여부>
침전이 발생함. : ○
침전이 발생하지 않음. : X
교반 공정
1차 교반 속도 2차 교반 속도
AS1 50 rpm -
AS2 100 rpm -
AS3 200 rpm -
AS4 300 rpm -
AS5 400 rpm -
AS6 200 rpm 30 rpm
AS7 200 rpm 50 rpm
AS8 200 rpm 100 rpm
AS9 200 rpm 150 rpm
AS10 200 rpm 200 rpm
(단위 rpm)
점도 기포 형성 여부 침전 발생 여부
AS1 12543.8 cP
AS2 16543.8 cP X
AS3 17909.4 cP X
AS4 18154.4 cP X
AS5 12248.6 cP X
AS6 18624.6 cP
AS7 35161.5 cP X X
AS8 35798.1 cP X X
AS9 34983.2 cP X X
AS10 19316.4 cP X X
상기 표 5와 같이, TR4의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기포 형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 1차 교반을 50rpm으로 진행한 AS1 및 1차 교반은 200 rpm으로 교반 하였으나 2차 교반을 30 rpm으로 진행한 AS6의 경우 기포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교반 공정에 따른 점도를 확인한 결과, 1차 교반만 진행한 AS1 내지 5의 경우 점도가 20,000Cp 미만에 해당하여 적합하지 않은 범위의 점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1차 교반 속도가 100rpm 내지 300rpm에 해당하는 경우 20,000cP에 가까운 정도의 점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1차 교반 이후 2차 교반을 더 진행한 AS6 내지 AS10의 경우 보다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차 교반 속도가 50 내지 150 rpm에 해당하는 경우 20,000 내지 50,000 cP 이내의 점도에 해당함에 따라, 1차 교반 및 2차 교반을 모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차 교반의 경우 100 rpm 내지 300rpm 및 2차 교반의 경우 50 내지 150 rpm 속도로 교반하는 경우 가장 바람직한 점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AS1 내지 AS5의 교반 조건인 1차 교반만 진행한 경우,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으며, 히알루론산 및 천연추출물의 결합으로 침전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2차 교반을 진행한 AS6 내지 AS10에서 2차 교반 속도가 50 rpm 이하인 AS6 교반의 경우 또한 침전이 발생하였으며, 50rpm 이상인 AS7 내지 AS10의 경우 침전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4 : 멱쇠채 추출물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제조]
1. 멱쇠채 추출물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1의 병조희풀 추출물(CH)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멱쇠채 추출물(SA)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MS)을 제조하였다.
2. 멱쇠채 추출물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제조
상기 제조된 멱쇠채 추출물(SA)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MS)을 TR4를 포함하고 하기 표 6과 같이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MTR1 MTR2 MTR3 MTR4 MTR5
TR4 TR4 TR4 TR4 TR4 TR4
SA 0.1 1 3 5 10
MS 0.01 0.1 1 2 5
(단위 중량부)
[실험예 4: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 조성물에 대한 평가]
상기 실험예 1 및 2에 나타난 조직 수복 조성물의 실험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표 6의 MTR1 내지 MTR5의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종합적으로 나타내었으며,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TR4의 효과를 지수 5로 나타내었고,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지수는 1 내지 10의 숫자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TR4 MTR1 MTR2 MTR3 MTR4 MTR5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정도
5 6 7 8 8 6
항염 효과 5 6 7 8 7 6
(단위 지수)
상기 표 7에 따르면, TR4에 멱쇠채 추출물(SA)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MS)을 더 포함하는 경우 TR4만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에 비해 더욱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MTR2 내지 MTR4의 경우 그 활성이 더욱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조직 수복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조희풀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민꾸지나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개감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큰나비나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멱쇠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경우,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히알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이 낮아져 조직 수복 지속 효과가 더욱 우수하며, 히알루론산 가교결합에 의해 포함되는 가교제로부터 나타날 수 있는 독성으로 인한 염증에 대해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에 따라,
시판되는 필러에 비해 보다 조직 수복 효과가 우수하면서 안정성이 높은 필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병조희풀 추출물; 민꾸지나무 추출물; 개감채 추출물; 큰나비나물 추출물; 멱쇠채 추출물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며,
    상기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조희풀 5 내지 10 중량부, 민꾸지나무 5 내지 10 중량부, 개감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큰나비나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멱쇠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것인
    조직 수복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4-butandiol diglycidyl ether: BDDE), 에틸렌글 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 콜디글리시딜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polytetram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디글리세롤폴리글리 시딜에테르(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glycerol polyglycidyl ether), 트리메틸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tri-methylpropane polyglycidyl ether), 비스에폭시프로폭시에틸렌(1,2- (bis(2,3-epoxypropoxy)ethylene), 펜타에리쓰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및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sorbitol polyglycidyl eth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조직 수복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2,000,000 Da 내지 3,000,000 Da의 분자량인
    조직 수복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인
    조직 수복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직 수복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체 조직 수복용 필러.
  7. 건조된 천연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분쇄물을 추출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물 제조단계;
    히알루론산을 가교제를 이용하여 가교시키는 가교단계;
    상기 천연 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천연 추출물 및 히알루론산을 교반하는 교반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단계는 20 내지 30분 동안 100 내지 300 rpm으로 교반하는 제1 교반 단계; 및 10 내지 20분 동안 50 내지 150 rpm으로 교반하는 제2 교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물은 병조희풀, 민꾸지나무, 개감채, 큰나비나물, 멱쇠채 및 자주개자리이고,
    상기 히알루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병조희풀 5 내지 10 중량부, 민꾸지나무 5 내지 10 중량부, 개감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큰나비나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멱쇠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자주개자리 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수복용 조성물은 완충용액을 더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00166377A 2020-12-02 2020-12-02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KR10229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77A KR102298390B1 (ko) 2020-12-02 2020-12-02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77A KR102298390B1 (ko) 2020-12-02 2020-12-02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390B1 true KR102298390B1 (ko) 2021-09-03

Family

ID=7778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377A KR102298390B1 (ko) 2020-12-02 2020-12-02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881A (ko) * 2020-12-08 2022-06-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교제의 독성 물질 억제 활성으로 조직 내 염증 방지효과 및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055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9070B1 (ko) * 2013-12-09 2014-11-17 (주) 뉴메딕 지속성을 갖는 히알루론산 겔 조성물
KR20170045463A (ko) * 2015-10-17 2017-04-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56435B1 (ko) 2018-02-05 2018-06-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91348A (ko) * 2017-02-06 2018-08-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6509A (ko)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높은 리프트 능력 및 낮은 주입력을 갖는 히알루론산 필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055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9070B1 (ko) * 2013-12-09 2014-11-17 (주) 뉴메딕 지속성을 갖는 히알루론산 겔 조성물
KR20170045463A (ko) * 2015-10-17 2017-04-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1348A (ko) * 2017-02-06 2018-08-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6435B1 (ko) 2018-02-05 2018-06-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06509A (ko)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높은 리프트 능력 및 낮은 주입력을 갖는 히알루론산 필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NNO, N. et al.,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4) Vol.68, No.1, pp.85-90 *
NAIKA, H. R. et al., NUSANTARA BIOSCIENCE (2016) Vol.8, No.2, pp.232-24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881A (ko) * 2020-12-08 2022-06-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교제의 독성 물질 억제 활성으로 조직 내 염증 방지효과 및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KR102496590B1 (ko) 2020-12-08 2023-02-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교제의 독성 물질 억제 활성으로 조직 내 염증 방지효과 및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158B1 (ko)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9512691A (zh) 一种蓝铜肽冻干粉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472518B1 (ko)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006708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CN108653013A (zh) 一种植物保湿水润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KR102298390B1 (ko) 히알루론산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KR102219594B1 (ko)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1939B1 (ko) 황칠나무 추출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803B1 (ko) 피쉬 콜라겐 함유 화장료 조성물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582974B1 (ko) 카사바 덩이줄기 효소추출물 및 피버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및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54918A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643392A (zh) 一种具有多效美白抗敏作用的生物寡肽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2394647B1 (ko) 인삼 세포 파쇄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6395B1 (ko) 화장품 원료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6590B1 (ko) 가교제의 독성 물질 억제 활성으로 조직 내 염증 방지효과 및 우수한 피부 수복효과를 나타내는 조직 수복용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9711B1 (ko)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50384B1 (ko)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5688B1 (ko)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