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345B1 -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 Google Patents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345B1
KR102296345B1 KR1020190076669A KR20190076669A KR102296345B1 KR 102296345 B1 KR102296345 B1 KR 102296345B1 KR 1020190076669 A KR1020190076669 A KR 1020190076669A KR 20190076669 A KR20190076669 A KR 20190076669A KR 102296345 B1 KR102296345 B1 KR 102296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operating table
stopper
water bott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144A (ko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창신리빙(주)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리빙(주), 이민규 filed Critical 창신리빙(주)
Publication of KR20200131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고, 물병을 눕혀서 보관할 수 있어 냉장고 등에 넣고 꺼내기가 용이한 물병에 관한 것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체의 상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주입구를 마개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뚜껑이 결합된 물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장착부와, 장착부에 장착되되 마개를 승하강 시켜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작동대와, 장착부에 장착되되 작동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대는 힌지부에 의하여 장착부에 축 결합되어 힌지부에 의하여 상하로 동작하면서 마개의 승하강이 이루어져 주입구를 개폐작동시키며, 상기 레버는 작동대의 후방에 위치되어 구동축에 의하여 장착부에 축 결합되고, 레버의 일단에는 작동대의 후방 상부를 눌러서 마개를 상승시켜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가압부와, 타단에는 작동대의 후방 하부를 상부로 견인하여 마개를 하강시켜 주입구를 차단시키는 단속부가 형성되어 레버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조작함에 따라 레버가 구동축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작동대를 승강시켜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Water bottle opened and closed by lever operation}
본 발명은 물이나 음료 등 액상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고, 물병을 눕혀서 보관할 수 있어 냉장고 등에 넣고 꺼내기가 용이한 물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등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물병은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체와, 용기체의 주둥이 부위를 개폐시키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물병은 일반적으로 투명 재질의 합성 수지나 유리로 제작되는데, 평상시 음료를 채워 냉장고 등에 보관하며, 꺼내서 음료를 따라 마실 수 있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종래의 물병은 뚜껑에 비교적 작은 구멍형태의 주입구가 형성되고, 그 주입구를 덮는 마개를 구비하여 마개를 절첩시켜서 주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 절첩식의 마개는 물을 따르는 도중에 마개가 임의로 닫혀버리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마개가 손에 직접 닫는 구조이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429385호에서는 마개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부분을 마련하여 오염된 손을 주입구나 그 주위에 접촉시키지 않고도 마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개발된 구조는 종래의 비위생적인 문제는 해결하였으나, 사용시 한손으로는 물병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마개를 개폐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매우 불편한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뿐만 아니라, 물병이 커질수로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하기가 어렵고, 특히 신체특성상 손이 작은 여성이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잡기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며, 물병의 표면에 물기가 묻어 있는 경우 쉽게 놓쳐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물병들은 마개가 긴밀히 체결되는 구조가 아닐 뿐더러 마개의 밀폐력이 그리 좋지 않기 때문에 물이 새는 경우가 많고, 물병을 냉장고 등에 보관할 때에는 반드시 세워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보관방법의 다양성을 제공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입구를 개폐하는 마개가 레버의 동작에 의해서만 개방이 이루어지므로 마개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병을 든 상태에서 레버를 활용하여 원터치로 마개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터치로 개폐되는 마개의 개폐 구조 및 조립구조를 간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체의 상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주입구를 마개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뚜껑이 결합된 물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장착부와, 장착부에 장착되되 마개를 승하강 시켜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작동대와, 장착부에 장착되되 작동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대는 힌지부에 의하여 장착부에 축 결합되어 힌지부에 의하여 상하로 동작하면서 마개의 승하강이 이루어져 주입구를 개폐작동시키며, 상기 레버는 작동대의 후방에 위치되어 구동축에 의하여 장착부에 축 결합되고, 레버의 일단에는 작동대의 후방 상부를 눌러서 마개를 상승시켜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가압부와, 타단에는 작동대의 후방 하부를 상부로 견인하여 마개를 하강시켜 주입구를 차단시키는 단속부가 형성되어 레버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조작함에 따라 레버가 구동축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작동대를 승강시켜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대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가압부가 밀착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그 가이드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게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여 작동대의 선단을 들어올려 주입구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작동대는 주입구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동대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부의 선단에 가압부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작동대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단속부가 밀착되게 작동대의 하부에 견인부가 형성되고, 그 견인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게 단속부에 의한 견인력이 작용하여 작동대의 선단을 하강시켜 주입구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레버 조작에 의해서만 물병의 뚜껑에 형성될 주입구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체는 물병이 안정적으로 직립되면서도 체적을 확보하되 물병을 눕힌 상태에서는 굴러가지 않도록 하부의 받침부가 사격형으로 이루어지고, 용기체 상부의 개방된 부분은 뚜껑의 나선 체결을 위하여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에 의하면, 레버 동작에 의하지 않고서는 마개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긴밀히 밀폐가 이루어지고, 물병을 눕힌 상태에서도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관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손으로 물병을 든 상태에서도 엄지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마개를 원터치로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마개가 원터치로 개폐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그 구조의 간소화로 인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도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각각의 부속품들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모든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물때가 끼지 않도록 세척이 용이하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병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용기체와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물병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개의 개방 상태도
도 6은 도 5의 마개의 개방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마개 상승에 의하여 주입구가 개방되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개 하강에 의하여 주입구가 차단되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물병의 정면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물병의 보관 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대와 레버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작동대와 레버 조립구조를 나타낸 측면 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작동대가 장착대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레버가 장착대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물병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된 용기체(10)가 구비되고, 용기체(10)의 상부에는 뚜껑(2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뚜껑(20)에는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주입구(22)가 형성되고, 그 주입구(22)가 마개(24)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뚜껑(20)은 마개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00)와, 장착부에 조립되어 마개를 개폐 작동시키는 작동대(200)와, 작동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착부(100)는 뚜껑(20)의 상단에 형성되어 마개 등의 부속물을 조립하기 위한 기저가 되는 부분으로서 뚜껑의 상단 전방에서 후방으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이 장착부(100)에는 작동대(200)가 맞물려 조립이 이루어지는 힌지부(220)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으며, 힌지부(220)를 기준축으로 하여 작동대(200)가 상,하 시소동작을 수행하면서 마개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작동대(200)는 힌지부(220)를 중심으로 주입구(22)가 형성된 작동대의 전방측에는 마개(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작동대(200)가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승강작동할 때 마개(24)가 주입구(22)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면서 주입구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220)를 중심으로 작동대(200)의 후방측에는 레버(300)가 장착되어 작동대(200)의 상,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100)의 후방에는 손잡이(120)가 형성되어 물병을 한 손으로 잡고 들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되고, 그 손잡이(120)의 상단에 레버(300)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로 물병을 든 상태에서 레버(300)를 손가락으로 간편하게 조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에 의하여 힌지부(220)의 회동축 위치를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힌지부(220)로부터 작동대(200)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마개의 승,하강 가변폭을 확대할 수 있다
레버(300)는 장착부(100)의 손잡이(120)의 상단에 구동축(320)에 의하여 축 결합이 이루어져 구동축을 기준으로 레버의 상,하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0)는 작동대(200)의 후방에 위치되어 구동축(320)에 의하여 장착부(100)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레버(300)의 일단에는 작동대의 후방 상부를 눌러서 마개를 상승시켜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가압부(340)와, 레버의 타단에는 작동대의 후방 하부를 상부로 견인하여 마개를 하강시켜 주입구를 차단시키는 단속부(360)가 형성되어 레버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조작함에 따라 레버가 구동축(320)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작동대(200)의 후방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게 되어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대(200)에는 레버(300)의 가압부(340)와 단속부(360)에 의한 동작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압부(340) 및 단속부(360)의 위치에 대응하게 가이드부(240)와 견인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0)를 상부로 조작할 때 레버(300)의 선단에 형성된 가압부(340)에 의하여 눌려지게 되며, 가압부(340)에 의하여 작동대(200)의 후방이 하부로 눌려지게 안내되어 작동대(200)의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되어 마개(24)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240)는 경사면(242)을 갖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게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여 작동대의 선단을 들어올려 주입구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주입구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동대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부(240)의 선단에 가압부(340)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24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걸림부(244)에는 가압부(340)가 걸림부(244)에 걸려 고정될 때 레버(300)의 동작을 제한하고 마개가 개방되는 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스토퍼(24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가이드부(240)는 레버(300)를 동작시켜 마개의 개방이 이루어질 때 가이드부(240)와 가압부(340)의 상호간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부드럽게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부(240)의 양측에 돌출된 레일부(24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레일부에 의하여 작동대가 승강작동할 때 어느 한쪽으로 비틀림이 발생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좌,우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승강작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개(24)가 주입구(22)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레버(300)를 올리지 않고서는 임의로 마개(24)가 개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물병을 보관 중에는 물병이 밀폐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주입구에 장착되는 마개는 주입구의 밀폐를 위한 구조로서 작동대(200)의 하부측으로 가압축(23)이 구비되어 마개가 장착됨으로써 밀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축(23)의 하단에 흡착마개(280)가 장착될 수 있다.
흡착마개(280)는 테두리를 따라서 날개(282)가 형성되어 주입구(22)의 상면에 밀착되어 밀폐가 긴밀하게 이루어져 물병을 눕혀서 보관하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대(200)를 이용하여 물병을 닫을 때 가압축(23)에 의하여 흡착마개(280)의 상단이 눌려지는데, 이때 흡착구조로 인하여 용기체(10) 내부가 미세하게 진공이 걸리면서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대(200)의 전방을 들어올려서 물병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작동대(200)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울어지면서 개방이되는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마개(280)가 긴밀히 밀폐된 상태에서도 어느 한쪽을 편심되게 들어올림으로써 진공상태에서 개방함에도 불구하고 저항이 없이 흡착마개(280)의 개방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견인부(2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00)를 하부로 조작할 때 레버(300)의 타단에 형성된 단속부(360)에 의하여 들어올려지게 되며, 단속부(360)에 의하여 작동대(200)의 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안내되어 작동대(200)의 전방이 하부로 내려지게 되어 마개(24)를 닫게 된다.
이를 위하여 견인부(260)는 경사면(262)을 갖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게 단속부(360)에 의한 견인력이 작용하여 작동대의 선단을 내려 주입구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주입구 차단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동대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인부(260)의 선단에 단속부(360)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26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개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레버(300)를 내려서 작동대(200)의 전방을 하강시켜 마개의 개방된 상태를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마개의 닫힘 조작은 레버(300)를 이용하지 않고도 작동대(200)의 전방을 눌러서도 마개의 개방된 상태를 차단할 수도 있다.
즉, 레버(300)를 이용하는 경우, 레버를 내리면 단속부(360)가 견인부(260)의 경사면(262)을 타고 마개의 닫힘이 이루어지고, 작동대(200)를 이용하는 경우, 작동대의 전방을 하부측으로 누르면 가이드부(240)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면서 가압부(340)가 가이드부(240)의 경사면(242)을 타고 내려가서 레버(300)가 하강되며 마개가 닫힌 상태의 위치로 원상복귀하게 된다.
이때, 레버(300)가 원상복귀되는 시점에서 단속부(360)가 견인부(260)의 걸림부(264)에 걸려 마개의 닫힘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의 후방에 용기체의 측벽에 근접하게 하부측으로 연장된 손잡이(12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뚜껑의 상면에는 작동대의 하단에 좌,우로 관통하게 파지홀(140)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20) 또는 파지홀(140)을 선택적으로 잡고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체(10)는 물병이 안정적으로 직립되면서도 체적을 확보하되 물병을 눕힌 상태에서는 굴러가지 않도록 하부의 받침부가 사격형으로 이루어지고, 용기체 상부의 개방된 부분은 뚜껑의 나선 체결을 위하여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병을 눕혀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층으로 적층보관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용기체(10) 하부의 받침부의 사각형의 내경 폭이 상부 원형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면 물병을 눕힌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다층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체(10)와 뚜껑(20)은 나선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기체의 상단이 삽입되는 뚜껑(20)의 내면에는 패킹이 삽입되어 용기체와의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물병을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조립 구성품인 작동대(200)와 레버(300)는 장착부(100)로부터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대 또는 레버를 장착대로부터 젖힘 각도에 따라서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작동대(200)는 힌지부(220)를 통하여 장착부(100)에 조립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힌지부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회동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세척을 위하여 작동대(200)를 장착부(1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220)를 제1끼움부(222)와 제2끼움부(224)로 구성하고, 장착부(100)에는 그와 대응하게 제1체결부(222a)와 제2체결부(224a)를 마련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끼움부(222)와 제1체결부(222a)는 서로 맞물려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턱(226,226a)을 형성함으로써 작동대(200)의 축 회동이 가능하면서도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의 자체탄성력에 의한 강제 끼움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2끼움부(224)에는 제2체결부(224a)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기울기를 갖는 개방각도 설정면(228)을 형성함으로써 작동대(220)의 전방이 상승되는 각도를 제한하고, 작동대(220)의 전방이 제한된 개방각도 이상으로 들어올려 질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각도 설정면(228)이 지렛대의 축이 되면서 제1끼움부(222)와 제1체결부(222a)의 걸림턱(226,226a)에 의한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작동대(200)를 장착대(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226,226a)의 맞물림 구조를 제1체결부(222a)의 전면에 구성하고, 설정면(228)을 제2체결부(224a)의 후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작동대를 장착대로부터 벌린 상태에서 걸림턱(226,226a)의 걸림구조가 느슨하게 이루어져 더욱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20)이 장착대(100)에 형성된 체결대(322)에 축 결합되어 레버의 회동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으로서, 레버의 회동반경에 돌부(380)를 형성하여 레버의 분리가 레버(300)의 회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체결대(322)의 상부가 절개되어 레버(300)의 구동축(320)이 체결대(322)의 상부로부터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의 자체탄성력에 의한 강제 끼움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단속부(360)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돌부(380)를 형성하면, 이 돌부(380)에 의하여 레버의 회동반경이 제한됨과 동시에 레버의 회동한계를 초과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380)가 지지면(380a)에 걸려서 레버(300)의 구동축(320)이 체결대(322)로부터 상부로 들어올려져 구동축(320)과 체결대(322)의 체결상태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대(100)에 조립되어 있는 작동대(200) 및 레버(300)를 단순히 회동각도 이상으로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쉽게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작동대(200)와 레버(300)를 분리한 상태에서 그 내부 구조들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물때가 끼지 않도록 세척이 용이하고,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10: 용기체
22: 뚜껑 22: 주입구 24: 마개
100: 장착부
120: 손잡이
140: 파지홀
200: 작동대
220: 힌지부 222: 제1끼움부 222a: 제1체결부
224: 제2끼움부 224a: 제2체결부 226,226a: 걸림턱
228: 개방각도 설정면
240: 가이드부 242: 경사면 244: 걸림부
246: 스토퍼 248: 레일부
260: 견인부 262: 경사면 264: 걸림부
280: 흡착마개 282: 날개
300: 레버
320: 구동축 322: 체결대
340: 가압부
360: 단속부
380: 돌부 380a: 지지면

Claims (9)

  1. 액상의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체(10)의 상부에 액상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주입구(22)를 마개(24)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뚜껑(20)이 결합된 물병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장착부(100)와, 장착부에 장착되되 마개를 승하강 시켜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작동대(200)와, 장착부에 장착되되 작동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대(200)는 힌지부(220)에 의하여 장착부(100)에 축 결합되어 힌지부에 의하여 상하로 동작하면서 마개의 승하강이 이루어져 주입구를 개폐작동시키며,
    상기 레버(300)는 작동대(200)의 후방에 위치되어 구동축(320)에 의하여 장착부(100)에 축 결합되고, 레버(300)의 일단에는 작동대의 후방 상부를 눌러서 마개를 상승시켜 주입구를 개방시키는 가압부(340)와, 타단에는 작동대의 후방 하부를 상부로 견인하여 마개를 하강시켜 주입구를 차단시키는 단속부(360)가 형성되어 레버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조작함에 따라 레버가 구동축(320)에 의하여 회동되면서 작동대를 승강시켜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대(200)는 레버(300)의 조작에 따라 가압부(340)에 의하여 작동대(200)의 후방이 하부로 눌려지게 안내되어 작동대(200)의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하는 가이드부(240)가 형성되고, 그 가이드부(240)는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여 작동대의 선단을 들어올려 주입구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경사면(242)이 형성되되, 주입구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작동대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부(240)의 선단에 가압부(340)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244)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300)를 동작시켜 마개의 개방이 이루어질 때 가이드부(240)와 가압부(340)의 상호간 마찰력을 최소화하고 부드럽게 개방되도록 하고 작동대 승강작동시 비틀림을 방지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승강작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240)의 양측에 돌출된 레일부(248)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대(200)는 레버(300)의 조작에 따라 단속부(360)가 밀착되게 작동대의 하부에 견인부(260)가 형성되고, 그 견인부(260)는 경사면(262)을 갖도록 형성되어 경사면의 경사도에 대응하게 단속부에 의한 견인력이 작용하여 작동대의 선단을 하강시켜 주입구 차단이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대(200)는 주입구가 차단된 상태에서 작동대의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견인부(260)의 경사면(262)에 단속부(360)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26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0)의 후방에는 용기체의 측벽에 근접하게 하부측으로 연장된 손잡이(120)가 형성되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병을 든 상태에서 한 손으로 레버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20)의 상단에 레버(30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0)는 작동대(200)의 하단에 좌,우로 관통하게 파지홀(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0)는 물병이 안정적으로 직립되면서도 체적을 확보하되 물병을 눕힌 상태에서는 굴러가지 않도록 하부의 받침부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용기체 상부의 개방된 부분은 뚜껑의 나선 체결을 위하여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200)는 작동대의 하부측으로 가압축(23)이 구비되고 가압축에는 마개가 장착되어 밀폐력을 제공하고, 마개는 가압축(23)의 하단에 날개(282)가 형성되어 흡착기능을 갖는 흡착마개(28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KR1020190076669A 2019-05-13 2019-06-26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KR102296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5954 2019-05-13
KR1020190055954 2019-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144A KR20200131144A (ko) 2020-11-23
KR102296345B1 true KR102296345B1 (ko) 2021-09-01

Family

ID=7368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669A KR102296345B1 (ko) 2019-05-13 2019-06-26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3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616A (ja) 1999-03-19 2000-10-03 Asahi Soft Drinks Co Ltd 樹脂製ボトル
JP2011057290A (ja) 2009-09-10 2011-03-24 Takeya Usa Inc 再閉鎖自在の容器蓋
JP2015071444A (ja) * 2013-10-04 2015-04-16 アスベル株式会社 蓋部材及び容器
WO2019070023A1 (ja) * 2017-10-06 2019-04-11 岩崎工業株式会社 飲料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616A (ja) 1999-03-19 2000-10-03 Asahi Soft Drinks Co Ltd 樹脂製ボトル
JP2011057290A (ja) 2009-09-10 2011-03-24 Takeya Usa Inc 再閉鎖自在の容器蓋
JP2015071444A (ja) * 2013-10-04 2015-04-16 アスベル株式会社 蓋部材及び容器
WO2019070023A1 (ja) * 2017-10-06 2019-04-11 岩崎工業株式会社 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144A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3096B2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a squeeze-actuated self-sealing valve
KR20070101643A (ko) 저장용기
US11464315B2 (en)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KR102296345B1 (ko) 레버조작에 의하여 원터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물병
JP4889818B2 (ja) 液体容器
AU2003213619A1 (en) Dispenser having one touch flip top opening
KR200445206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101688623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JP3178393U (ja) 飲料容器の栓体
KR200367470Y1 (ko) 매니큐어 용기
KR200462746Y1 (ko) 와인 용기
JP2537703Y2 (ja) スポイト付き蓋
KR20090075992A (ko) 화장품 용기
US6012616A (en) Bottle assembly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JPH1035708A (ja) 飲料用容器の注出筒付キャップ
CN218127959U (zh) 吸水杯盖及吸水杯
CN220350494U (zh) 一种可自动开闭的盖组件
KR20180133760A (ko) 승강구조형 쨈용기
KR200311197Y1 (ko) 밀폐용기
KR200429385Y1 (ko) 개폐가 용이한 물병용 뚜껑
CN218807756U (zh) 一种调料瓶盖
KR200230219Y1 (ko) 음료용기 뚜껑의 음료 유출장치
JP6979223B2 (ja) 蓋体
KR200411662Y1 (ko) 압력제거 기능을 구비한 김치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