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659B1 - 지퍼백 - Google Patents

지퍼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659B1
KR102292659B1 KR1020190111700A KR20190111700A KR102292659B1 KR 102292659 B1 KR102292659 B1 KR 102292659B1 KR 1020190111700 A KR1020190111700 A KR 1020190111700A KR 20190111700 A KR20190111700 A KR 20190111700A KR 102292659 B1 KR102292659 B1 KR 102292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locking part
lock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132A (ko
Inventor
신권식
Original Assignee
신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권식 filed Critical 신권식
Priority to KR1020190111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6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지퍼백은 물품이 입출 가능한 개구와 물품의 수용공간을 갖는 봉지부, 개구 일부 구간의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암락킹부와 암락킹부에 대향하게 개구 나머지구간의 연부를 따라 배치되며 암락킹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를 개폐하는 숫락킹부를 갖는 락킹부, 락킹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암락킹부와 숫락킹부의 결합과 해제 가능한 개폐부재 및 개구 연부를 따른 봉지부 외표면과 개폐부재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측은 타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와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복수의 함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개폐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른 상호 접촉 및 충돌에 의한 개방음과 폐쇄음을 발생시키는 개폐알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퍼백{Zipper Bags}
본 발명은 지퍼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밀폐기능을 제공하며 개폐를 알기 쉬운 지퍼백에 관한 것이다.
위생백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담는데 위생백의 폐쇄를 위해서는 지퍼락의 암수락킹부를 맞춘 후에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하여야 한다. 이의 편리를 위하여 파스너를 이용하여 지퍼락의 개폐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개선하였다.
그러나 파스너를 이용하여 지퍼락을 락킹하고 해제하지만 사용자는 파스너를 슬라이딩 했으나 락킹방향으로 슬라이딩했는지 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했는지 모르는 경우가 발생한다. 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 한 후 지퍼백에 식품을 보관하는 경우 지퍼백 내의 식품에 대한 위생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개폐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지퍼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퍼백은, 물품이 입출 가능한 개구와 물품의 수용공간을 갖는 봉지부; 상기 개구 일부 구간의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암락킹부와, 상기 암락킹부에 대향하게 상기 개구 나머지구간의 연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암락킹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숫락킹부를 갖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의 결합과 해제 가능한 개폐부재; 및 상기 개구 연부를 따른 상기 봉지부 외표면과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측은 타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와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복수의 함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른 상호 접촉 및 충돌에 의한 개방음과 폐쇄음을 발생시키는 개폐알림부를 포함한다.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락킹부의 락킹 및 해제를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개폐알림부에 의해 발생되는 개방음과 폐쇄음으로 사용자는 개방 또는 폐쇄여부를 편안하게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알림부는, 개방음과 폐쇄음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 연부를 따른 상기 봉지부 외표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함몰부의 돌출각도, 함몰각도, 간격, 돌출높이, 함몰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며 형성되면 개폐부재의 슬라이딩방향에 따라 돌출부와 함몰부의 상호 접촉 및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가 확연히 다르게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구의 입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락킹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부재본체;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상기 부재본체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부재본체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를 결합시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상기 부재본체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부재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부재본체 일측으로 슬라이딩 시 결합된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를 결합 해제시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부를 가지면 부재본체의 슬라이딩방향에 따라 안정적인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개구를 개방시킨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방향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봉지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개방스토퍼; 및 상기 개구를 폐쇄시킨 상기 개폐부재의 폐쇄방향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봉지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폐쇄스토퍼를 포함하면 개폐부재가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봉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는 슬라이딩방향에 대한 일측은 상기 개방스토퍼와 상기 폐쇄스토퍼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폐쇄스토퍼가 통과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면 개폐부재를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으며 폐쇄위치에서도 락킹부를 모두 락킹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락킹부의 락킹 및 해제를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개폐알림부에 의해 발생되는 개방음과 폐쇄음으로 사용자는 개방 또는 폐쇄여부를 편안하게 알 수 있으므로 락킹부를 안정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지퍼백에 식품을 보관하는 경우 지퍼백 내의 식품에 대한 위생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지퍼백의 사시도.
도 2는 지퍼백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폐부재의 상세도.
도 4는 개폐알림부의 예시도.
도 5는 개폐부재의 락킹부 개폐동작예시도.
도 6은 상하이탈방지부의 동작예시도.
도 7은 개폐알림부의 다른 예시도.
도 8은 개폐알림부의 제조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퍼백(1)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지퍼백(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지퍼백(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개폐부재(30)의 상세도이고, 도 4는 개폐알림부(40)의 예시도이며, 도 5는 개폐부재(30)의 락킹부(20) 개폐동작예시도이며, 도 6은 상하이탈방지부(311)의 동작예시도이다.
지퍼백(1)은 봉지부(10), 락킹부(20), 개폐부재(30) 및 개폐알림부(40)를 포함한다.
봉지부(10)는 물품이 입출 가능한 개구와 물품의 수용공간을 갖는다. 봉지부(10)는 좌비닐(11)과 우비닐(12) 2장의 비닐이 상호 접착되어 형성되는 개구를 갖는다. 좌비닐(11)과 우비닐(12)은 개구를 제외한 테두리 부분은 상호 기밀하게 접착 또는 결합되어 식재료 등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좌비닐(11)은 좌전방개방스토퍼(111)와 좌후방폐쇄스토퍼(112)를 갖는다. 우비닐(12)은 우전방개방스토퍼(121)와 우후방폐쇄스토퍼(122)를 갖는다.
좌전방개방스토퍼(111)와 우전방개방스토퍼(121)는 대향한 위치에 배치되어 후술할 개폐부재(30)의 개방방향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지하는 개방스토퍼이다. 좌후방폐쇄스토퍼(112)와 우후방폐쇄스토퍼(122)는 개폐부재(30)의 폐쇄방향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지하는 폐쇄스토퍼이다.
락킹부(20)는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를 갖는다. 암락킹부(21)는 한 쌍의 암락킹지지부(211)과 한 쌍의 암락킹걸림부(2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암락킹지지부(211)는 좌비닐(11)과 우비닐(12) 중 어느 하나의 개구 영역에서 개구로 식재료 등의 출입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암락킹걸림부(212)는 한 쌍의 암락킹지지부(211)의 선단으로부터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암락킹지지부(211)와 암락킹걸림부(212)는 90도 이하의 예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90도 이하의 예각을 이루는 부분 이외의 암락킹걸림부(212)의 외측은 둥그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숫락킹부(22)는 한 쌍의 숫락킹지지부(221)과 한 쌍의 숫락킹걸림부(2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수락킹지지부(221)는 좌비닐(11)과 우비닐(12) 중 어느 하나의 개구 영역에서 개구로 식재료 등의 출입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간격을 갖고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숫락킹걸림부(222)는 한 쌍의 숫락킹지지부(221)의 선단으로부터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숫락킹지지부(221)와 숫락킹걸림부(222)는 암락킹지지부(211)와 암락킹걸림부(212)가 90도 이하의 예각을 가지므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90도 이하의 예각을 이루는 부분 이외의 암락킹걸림부(212)의 외측은 둥그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암락킹지지부(211)과 한 쌍의 암락킹걸림부(212) 및 한 쌍의 숫락킹지지부(221)과 한 쌍의 숫락킹걸림부(222)는 상호 락킹되는 부분으로 상호 면접촉하여 락킹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 면접촉되기 위하여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는 어느 하나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락킹이 되어 견고한 락킹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폐부재(30)는 락킹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의 결합과 해제 가능하게 형성된다. 개폐부재(30)는 부재본체(31), 폐쇄부(32) 및 개방부(33)를 가진다.
부재본체(31)는 "ㄷ"자의 외형을 이루는 틀이며, 개구의 입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락킹부(20)를 파지하여 상하이탈을 방지하는 상하이탈방지부(311)를 갖는다. 상하이탈방지부(311)는 부재본체(31)의 상하 이격간격을 갖고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부재본체(31)의 상하 이격간격은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의 상하높이보다 적어도 크게 형성된다. 부재본체(31)는 걸림턱(312)와 관통구(313)를 더 갖는다.
걸림턱(312)은 슬라이딩방향에 대한 일측은 개방스토퍼(111, 121)와 폐쇄스토퍼(112, 122)에 걸린다. 걸림턱(312)은 부재본체(31)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일부 부간에서 이격간격을 갖고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12)의 이격간격은 개방스토퍼(111, 121)와 폐쇄스토퍼(112, 122)의 폭보다 적어도 좁게 형성되어야 한다.
관통구(313)는 폐쇄스토퍼(112, 122)가 통과되도록 폐쇄스토퍼(112, 12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관통구(313)는 부재본체(31)의 타측 전체가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걸림턱(312)은 후술할 폐쇄부(3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질 수도 있다.
폐쇄부(32)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부재본체(31) 일측에 마련되며, 부재본체(31)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를 결합시켜 개구를 폐쇄한다. 폐쇄부(32)는 부재본체(31)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후술할 개방부(33)에 의해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락킹해제되어 분리되는 경우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수용되기 위하여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의 락킹방향에 대한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 각각의 높이와 좌비닐(11)과 우비닐(12) 각각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적어도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폐쇄부(32)는 걸림턱(31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림턱(312)과 같이 부재본체(31)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일부 부간에서 이격간격을 갖고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폐쇄부(32)의 이격간격은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상호 락킹방향으로 이동되어 최초 접촉한 상태에서의 두께보다는 작고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락킹된 상태에서의 두께보다는 적어도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개방부(33)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부재본체(31) 타측에 마련되며, 부재본체(31)의 상면 타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부재본체(31) 일측으로 슬라이딩 시 결합된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를 결합 해제시켜 개구를 개방한다. 개방부(33)는 부재본체(31)의 상면에서 상하이탈방지부(311)의 상하이격간격 범위 이내까지 연장 형성되어 개폐부재(30)의 폐쇄방향 슬라이딩 시 적어도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의 락킹부분을 물리적으로 접촉 분리하여 해제되도록 한다. 개방부(33)는 길이방향 가로방향의 단면형상은 폐쇄방향으로의 최첨단에 모서리형상을 하며 개방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각도를 갖고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폐쇄스토퍼(112, 122)에 의해 걸림턱(312)이 걸린 상태에서 개방부(33)는 봉지부(10)의 영역을 벗어나 폐쇄부(32)에 의해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전구간에서 완전히 락킹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봉지부(10)로부터 폐쇄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봉지부(10)의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도 개방부(33)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개폐알림부(40)는 개구 연부를 따른 봉지부(10) 외표면과 개폐부재(30)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측은 타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41)와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복수의 함몰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개폐부재(30)의 슬라이딩에 따른 상호 접촉 및 충돌에 의한 개방음과 폐쇄음을 발생시킨다. 개폐알림부(40)는 개방음과 폐쇄음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개구 연부를 따른 봉지부(10) 외표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복수의 돌출부(41)와 복수의 함몰부(미도시)의 돌출각도, 함몰각도, 간격, 돌출높이, 함몰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며 형성된다.
개폐부재(30)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41) 또는 함몰부와 봉지부(10) 외표면에 형성된 돌출부(41)가 개폐부재(30)의 슬라이딩 시 상호 접촉 및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데 개폐부재(30)가 개방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시 발생되는 소리와 개폐부재(30)가 폐쇄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시 발생되는 소리가 확연히 구별될 수 있도록 그 형상을 형성시키는 게 바람직하다.
도 4는 개폐알림부(40)의 예시도이다. 봉지부(10) 외표면에 형성된 돌출부(41)가 개방방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시키면 개폐부재(30)를 개방방향으로 정속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되면서 점점 박자가 빨라지면서 개방음이 발생된다. 이와는 반대로 개폐부재(30)를 폐쇄방향으로 정속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슬라이딩되면서 박자가 점점 느려지면서 폐쇄음이 발생된다.
도 5는 개폐부재(30)의 락킹부(20) 개폐동작예시도이다.
도 5 (a) 걸림턱(312)이 개방스토퍼(111, 121)에 의해 개방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개방부(33)가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를 락킹해제하여 개구를 개방한 상태이다.
도 5 (b) 걸림턱(312)이 폐쇄스토퍼(112, 122)에 의해 폐쇄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전구간에서 락킹된 상태가 되어 있다.
도 6은 상하이탈방지부(311)의 동작예시도이다.
도 6 (a) 개방부(33)에 의해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락킹해제된 상태이다.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는 상하이탈방지부(311)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상호 분리되어 있다.
도 6 (b) 폐쇄부(32)에 의해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상호 접근되어 락킹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락킹해제되어 있건 락킹되어 있건 상하이탈방지부(311)에 의해 락킹부(20)는 상하이동되지 않고 그 높이를 유지한다.
도 7은 개폐알림부(40)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7(a) 락킹부(20) 중 암락킹부(21)가 봉지부(10) 개구의 연부를 따라 내측에 파형을 이루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암락킹지지부(211)과 한 쌍의 암락킹걸림부(212)가 상호 멀어지다가 가까워지면서 파형을 형성하며 마련된다. 숫락킹부(22)는 한 쌍의 암락킹지지부(211)과 한 쌍의 암락킹걸림부(212)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대의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암락킹지지부(211)과 한 쌍의 암락킹걸림부(212)가 상호 멀어져서 형성된 암락킹부(21)에 걸리도록 하는 형상을 갖고 상호 접근되어 락킹된다. 사용자는 개폐부재(30)가 없는 경우에도 락킹 및 해제 가능하다. 이렇게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락킹되면서 개폐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0)는 일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개폐알림부(40)가 상기의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0)와 같이 파형을 형성하며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 (b) 봉지부(10) 개구의 연부를 따라 외측에는 개폐알림부(40)가 형성된다. 후술할 도8의 개폐알림부(40)의 제조예시에서의 개폐알림부(40)를 형성시키는 장치에 의해 도 7(a)의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 외측에 함몰부(42) 내지 홈을 형성시켜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락킹될 때 함몰부분 또는 홈부분이 맞부딪치면서 개폐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개폐알림부(40)의 제조예시도이다.
도 7에서의 개폐알림부(40)를 형성하기 위한 개페알림부제조장치(2)는 회전 방향을 따라 함몰부(42) 내지 홈을 형성시키기 위한 돌출첨단을 갖고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 외측을 누르면서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 외측에 형성한다. 개페알림부제조장치(2)는 함몰부(42) 내지 홈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함몰부(42) 내지 홈의 깊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부재본체(31)는 탄성적으로 마련되어 상하이탈방지부의 영역을 벌려서 락킹부(20)를 이탈시켜 개폐부재(30)가 봉지부(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폐쇄부(32)는 걸림턱(312)과 다른 구성으로 마련되며, 걸림턱(312)으로부터 이격된 부재본체(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락킹부(30)를 압박하여 락킹되도록 할 수 있다. 폐쇄부(32)는 둥그런 형상을 갖는다. 이에 개폐부재(30)의 슬라이딩 시 락킹부하를 감소시키며 락킹을 할 수도 있다. 폐쇄부(32_는 탄성부재로 마련되며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가 락킹된 상태에서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암락킹부(21)와 숫락킹부(22)를 더욱 압박하여 락킹시킬 수 있으므로 완전하게 락킹시킬 수 있다.
개폐부재(30)에 형성된 개폐알림부(40)의 돌출부(41)도 탄성부재로 마련되어 개폐부재(30)의 슬라이딩 시 봉지부(10)의 외표면에 형성된 돌출부(41)를 지나면서 더욱 큰 개방음 내지 폐쇄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지퍼백(1)으로 인하여, 개폐부재(30)를 이용하여 락킹부(20)의 락킹 및 해제를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개폐알림부(40)에 의해 발생되는 개방음과 폐쇄음으로 사용자는 개방 또는 폐쇄여부를 편안하게 알 수 있다.
개폐알림부(40)는 개방음과 폐쇄음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복수의 돌출부(41)와 복수의 함몰부의 돌출각도, 함몰각도, 간격, 돌출높이, 함몰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며 형성되어 개폐부재(30)의 슬라이딩방향에 따라 돌출부(41)와 함몰부의 상호 접촉 및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소리가 확연히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개폐부재로 인하여 부재본체의 슬라이딩방향에 따라 안정적인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스토퍼(111, 121)와 폐쇄스토퍼(112, 122)로 인하여 개폐부재(30)가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봉지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부재(30)는 슬라이딩방향에 대한 일측은 걸림턱(312)이 형성되며, 타측은 관통구(313)가 형성되어 개폐부재(30)를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할 수 있으며 폐쇄위치에서도 락킹부(20)를 모두 락킹되게 할 수 있다.
1 : 지퍼백 10 : 봉지부
11 : 좌비닐 12 : 우비닐
20 : 락킹부 21 : 암락킹부
22 : 숫락킹부 30 : 개폐부재
31 : 부재본체 32 : 폐쇄부
33 : 개방부 40 : 개폐알림부
111 : 좌전방개방스토퍼 112 : 좌후방폐쇄스토퍼
121 : 우전방개방스토퍼 122 : 우후방폐쇄스토퍼
211 : 암락킹지지부 212 : 암락킹걸림부
221 : 숫락킹지지부 222 : 숫락킹걸림부
311 : 상하이탈방지부 312 : 걸림턱
313 : 관통구

Claims (5)

  1. 지퍼백에 있어서,
    좌비닐과 우비닐이 상호 접착되어 형성되는 물품이 입출 가능한 개구와 물품의 수용공간을 갖는 봉지부;
    상기 개구 일부 구간의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암락킹부와, 상기 암락킹부에 대향하게 상기 개구 나머지구간의 연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암락킹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숫락킹부를 갖는 락킹부;
    상기 락킹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의 결합과 해제 가능한 개폐부재; 및
    상기 개구 연부를 따른 상기 봉지부 외표면과 상기 개폐부재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측은 타측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와 두께방향으로 함몰된 복수의 함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갖고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에 따른 상호 접촉 및 충돌에 의한 개방음과 폐쇄음을 발생시키며, 개방음과 폐쇄음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 연부를 따른 상기 봉지부 외표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복수의 함몰부의 돌출각도, 함몰각도, 간격, 돌출높이, 함몰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증가하며 형성되는 개폐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구의 입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락킹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는 부재본체;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상기 부재본체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부재본체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를 결합시켜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한 상기 부재본체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부재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부재본체 일측으로 슬라이딩 시 결합된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를 결합 해제시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부를 가지고,
    상기 부재본체는,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의 상하높이보다 적어도 큰 이격 간격을 갖고 상기 락킹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부재본체의 슬라이딩 이동 시 상기 락킹부가 상하이동되지 않고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하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의 상기 부재본체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개방부에 의해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가 락킹해제되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가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의 락킹방향에 대한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 각각의 높이와 상기 좌비닐과 상기 우비닐 각각의 두께를 합한 두께보다 적어도 높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는 길이방향 가로방향의 단면형상은 폐쇄방향으로의 최첨단에 모서리형상을 하며 개방방향으로 갈수록 적어도 각도를 갖고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좌비닐과 상기 우비닐 각각은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방향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지하는 개방스토퍼와 상기 개폐부재의 폐쇄방향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지하는 폐쇄스토퍼를 갖고,
    상기 부재본체는 슬라이딩방향에 대한 일측은 상기 개방스토퍼와 상기 폐쇄스토퍼에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폐쇄스토퍼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봉지부의 영역을 벗어나 상기 폐쇄부에 의해 상기 암락킹부와 상기 숫락킹부가 전구간에서 완전히 락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백.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는,
    상기 개구를 개방시킨 상기 개폐부재의 개방방향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봉지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개방스토퍼; 및
    상기 개구를 폐쇄시킨 상기 개폐부재의 폐쇄방향의 슬라이딩이동을 저지하여 상기 개폐부재의 상기 봉지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폐쇄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슬라이딩방향에 대한 일측은 상기 개방스토퍼와 상기 폐쇄스토퍼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폐쇄스토퍼가 통과되도록 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백.
KR1020190111700A 2019-09-09 2019-09-09 지퍼백 KR102292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700A KR102292659B1 (ko) 2019-09-09 2019-09-09 지퍼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700A KR102292659B1 (ko) 2019-09-09 2019-09-09 지퍼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132A KR20210030132A (ko) 2021-03-17
KR102292659B1 true KR102292659B1 (ko) 2021-08-23

Family

ID=7524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700A KR102292659B1 (ko) 2019-09-09 2019-09-09 지퍼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43B1 (ko) * 2023-03-20 2023-11-06 (주)부원 지퍼부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지퍼백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퍼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4003A (ja) 1997-04-25 2001-11-27 エス.シー.ジョンソン ホーム ストーレイジ,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再密封可能なファスナ組立体
JP2017519698A (ja) 2014-06-20 2017-07-20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ジッパースライダ袋
JP2018008728A (ja) *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生産日本社 開閉具付き合成樹脂系包装用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89A (ko) * 2012-10-09 2014-04-17 최운찬 안정된 밀폐기능을 갖는 지퍼백
CA2963551A1 (en) * 2014-10-17 2016-04-21 Stephen G. Armstrong Closure with a slider for ba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4003A (ja) 1997-04-25 2001-11-27 エス.シー.ジョンソン ホーム ストーレイジ,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再密封可能なファスナ組立体
JP2017519698A (ja) 2014-06-20 2017-07-20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ジッパースライダ袋
JP2018008728A (ja) *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生産日本社 開閉具付き合成樹脂系包装用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132A (ko)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8525B (zh) 具有可***之魚雷狀元件之兒童防護滑件拉鍊封閉體系統、彈性包裝和滑件及操作具有可***之魚雷狀元件之拉鍊袋體的方法
EP3738460B1 (en) Buckle
KR102292659B1 (ko) 지퍼백
JPS6012847Y2 (ja) 引出しのラツチ装置
US20170203889A1 (en) Closure device for hinged-lid containers
US5657518A (en) Clip for garment hanger
KR20220119794A (ko) 슬라이더지퍼백 사운드락
US5013073A (en) Automatic reset window latch
KR20220029671A (ko) 슬라이더 장치, 지퍼 클로저 시스템, 및 사용 방법
JP5553000B2 (ja) スライド式開閉蓋を有する収納容器
CN210028501U (zh) 一种可自动解锁盒盖的保鲜盒
US7448513B2 (en) Reusable hinged-lid shipping/storage box
CN211511138U (zh) 一种能够锁定的收纳凳
JP3001970U (ja) 包装用パッケージ
JPS6221213Y2 (ko)
JP2019208588A (ja) スライドハンガー
JP3787718B2 (ja)
JPH051569Y2 (ko)
JP3041307B2 (ja)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とこれに用いるオ―トロック装置及びデッドボルト
JP2022155361A (ja) ロック機構付き化粧料容器
JPH0417493Y2 (ko)
JPS6223370Y2 (ko)
JPH0331202Y2 (ko)
JPS6112885Y2 (ko)
JPS5914612Y2 (ja) 係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