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798B1 -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 Google Patents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798B1
KR102291798B1 KR1020197023547A KR20197023547A KR102291798B1 KR 102291798 B1 KR102291798 B1 KR 102291798B1 KR 1020197023547 A KR1020197023547 A KR 1020197023547A KR 20197023547 A KR20197023547 A KR 20197023547A KR 102291798 B1 KR102291798 B1 KR 102291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se member
screw
arm
scre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973A (ko
Inventor
Yasuhiro Itsuki
Original Assignee
Yasuhiro Itsuki
오카다 메디컬 서플라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Yasuhiro Itsuki, 오카다 메디컬 서플라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Yasuhiro Itsuki
Publication of KR2019010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교정 기구를 부착할 수 있는 베이스 부재로서, 구강 내의 뼈에 박아 넣어진 복수의 스크루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이며, 복수의 스크루 각각은, 뼈에 박아 넣어지는 나사부와, 구강 내에서 노출되는 다각 기둥 두부(頭部)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는,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되고, 동일 직선상에 각각의 중심이 배열되지 않는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을 갖는 베이스 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본 발명은,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에 관한 것이다.
치과 교정에 있어서는,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에 대해서, 전후 좌우, 경사, 회전 등의 3차원적인 교정력을 부여함으로써 치열을 조정하고 있다.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치아에 브래킷을 고정하고, 기준으로 하는 치아의 브래킷과 이동시키고 싶은 치아의 브래킷 사이에 와이어 등을 부착해서, 와이어를 조여 간다. 와이어의 처리, 체결법 등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교정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는, 구강 내의 뼈에 스크루나 앵커를 박아 넣고, 이 스크루 등을 고정단으로 해서 원하는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한다. 박아 넣어진 스크루 등에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이 고정되고, 이 플레이트나 와이어 등을 통해 치아에 교정력을 부여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6 참조). 또한, 치과 교정용 지지체로서 고정부를 턱뼈에 고정하고, 노출부를 구강 내에 노출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7, 8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표 2011-51929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표 2009-51322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6-314419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04-97787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공개 2001-187071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 특허공표평 10-507387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 특허공개 2004-174278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 특허공개 2004-136134호 공보
교정 기구의 부착은, 적잖이 환자에게 부담을 주게 된다. 또한, 치료를 행하는 의사의 작업 부담의 경감은, 치료 시간의 단축이나, 적확하고 또한 안정된 처치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의사뿐만 아니라 환자의 부담도 경감된다. 치과 교정 중에서도, 임플란트 장치에서는 구강 내의 뼈에 스크루 등을 박아 넣는 처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담 경감이나 높은 확실성이 요구된다. 특히, 박아 넣은 스크루의 헐거워짐 억제는 중요하며, 환자마다 다른 구강 내의 형상이나 치아의 상태에 대응해서 적확하게 와이어 등의 기구를 부착하는 스킬도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교정 기구를 부착할 수 있는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는,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고, 구강 내의 뼈에 박아 넣어진 복수의 스크루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이다. 복수의 스크루 각각은, 뼈에 박아 넣어지는 나사부와, 구강 내에서 노출되는 다각 기둥 두부(頭部)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는,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을 갖는다.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의 상대 위치는,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 각각에 삽입 통과되어 고정되는 3개의 스크루가 상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배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과 스크루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베이스 부재를 구강 내에 3점 지지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스크루의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춤 구멍이 걸어 맞춰져 스크루의 회전이 억제되므로, 스크루를 눌러 놓을 필요 없이 다각 기둥 두부에 볼트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복수의 스크루는,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루를 갖고, 베이스 부재는, 제 1 베이스부, 제 2 베이스부 및 제 3 베이스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 1 베이스부는, 제 1 스크루의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1 걸어 맞춤 구멍을 갖는다. 제 2 베이스부는, 제 2 스크루의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2 걸어 맞춤 구멍을 갖는다. 제 3 베이스부는, 제 1 걸어 맞춤 구멍의 중심과 제 2 걸어 맞춤 구멍의 중심을 잇는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고, 제 3 스크루의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3 걸어 맞춤 구멍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제 2 및 제 3 걸어 맞춤 구멍 각각과,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루 각각이 걸어 맞춰짐으로써, 베이스 부재를 구강 내에 3점 지지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제 1 베이스부와 제 2 베이스부 사이, 및 제 1 베이스부와 제 3 베이스부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가요성을 갖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에 의해 접속된 양 베이스부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기 쉬워진다. 즉, 복잡한 구강 내의 형상에 따라 베이스 부재의 위치나 각도를 맞추고, 베이스 부재를 고정한 후에는 구강 내에 밀착시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연결부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암(腕) 부분과, 제 1 암 부분에 접속되고,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의 각 암 부분의 신장 방향의 축 둘레, 이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연결부는, 제 2 암 부분에 접속되고, 제 2 암 부분에 대해서 제 1 암 부분이 접속되어 있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암 부분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제 1~제 3 암 부분의 3개의 암 부분에 의해, 2개의 암 부분의 경우보다 많은 축을 기준으로 한 변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제 1, 제 2 및 제 3 걸어 맞춤 구멍 중 적어도 1개는 장공(長孔)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장공에 의해, 장공의 방향 및 범위에 있어서 스크루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해서, 베이스 부재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제 1, 제 2 및 제 3 베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보조구(補助具)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를 부착한 채, 보조구만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교정 기구를 부착할 수 있는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의 (a)~(c)는, 임플란트 장치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의 (a)~(c)는, 베이스부의 위치 관계 및 회전 각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의 (a)~(c)는, 다른 베이스 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한번 설명한 부재에 대해서는 적당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
(임플란트 장치 및 베이스 부재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베이스 부재(1)와 함께 임플란트 장치(구조)(100)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내어진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부재의 구성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100)는, 구강(P) 내의 뼈에 박아 넣어지는 스크루(5)와, 이 스크루(5)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1)와, 베이스 부재(1)에 부착되는 보조구(9)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 부재(1)는, 복수의 스크루(5)에 고정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보조구(9)는 교정 방법에 맞춰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면, 보조구(9)에는, 플레이트형 보조구(9A)나 와이어형 보조구(9B)를 들 수 있다.
스크루(5)는, 구강(P) 내의 뼈에 박아 넣어지는 나사부(51)와, 구강(P) 내에 노출되는 다각 기둥 두부(52)를 갖는다. 나사부(51)는 예를 들면 스크루 형상으로 되어 있고, 뼈에 나사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크루(5)의 재료에는, 생체 친화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순티탄 및 티탄 합금 등의 티탄계 재료나 스테인리스 합금 등이 사용된다.
다각 기둥 두부(52)의 외형은 정다각 기둥(예를 들면, 육각 기둥)으로 되어 있다. 다각 기둥 두부(52)의 중심에는 암나사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볼트(7)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나사부(51)와 다각 기둥 두부(52) 사이에는 플랜지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루(5)를 구강(P) 내의 뼈에 박아 넣을 때, 플랜지부(53)의 하면이 구강(P)의 표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스크루(5)가 매설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3개의 스크루(5)가 구강(P) 내의 뼈에 박아 넣어져 있다. 적어도 3개의 스크루(5)는, 제 1 스크루(5A), 제 2 스크루(5B) 및 제 3 스크루(5C)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스크루(5A), 제 2 스크루(5B) 및 제 3 스크루(5C)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크루(5)라고 칭하기로 한다.
베이스 부재(1)는, 복수의 스크루(5)에 고정된다. 베이스 부재(1)의 재료에는, 스크루(5)와 마찬가지로, 생체 친화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순티탄 및 티탄 합금 등의 티탄계 재료나 스테인리스 합금 등이 사용된다. 베이스 부재(1)에는,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h)이 형성된다. 걸어 맞춤 구멍(h)은, 스크루(5)의 다각 기둥 두부(52)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다. 걸어 맞춤 구멍(h)의 개구 형상은, 다각 기둥 두부(52)가 끼워졌을 때에 다각 기둥 두부(52)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면, 다각 기둥 두부(52)의 외형과 대응한 정다각형(예를 들면, 육각형)이나, 다각 기둥 두부(52)의 외형의 서로 평행한 한쌍의 변의 간격과 거의 같은 간격을 갖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h)은, 동일 직선상에 각각의 중심이 배열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는,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와, 제 3 베이스부(13)를 갖는다. 제 1 베이스부(11)는, 제 1 스크루(5A)의 다각 기둥 두부(52)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1 걸어 맞춤 구멍(11h)을 갖는다. 제 2 베이스부(12)는, 제 2 스크루(5B)의 다각 기둥 두부(52)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2 걸어 맞춤 구멍(12h)을 갖는다. 제 3 베이스부(13)는, 제 3 스크루(5C)의 다각 기둥 두부(52)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3 걸어 맞춤 구멍(13h)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걸어 맞춤 구멍(11h), 제 2 걸어 맞춤 구멍(12h) 및 제 3 걸어 맞춤 구멍(13h)을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걸어 맞춤 구멍(h)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제 1 걸어 맞춤 구멍(11h)의 중심과 제 2 걸어 맞춤 구멍(12h)의 중심을 잇는 직선을 직선(CL)이라고 칭한다. 제 3 걸어 맞춤 구멍(13h)의 중심은, 이 직선(CL)상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즉, 제 1 걸어 맞춤 구멍(11h)의 중심, 제 2 걸어 맞춤 구멍(12h)의 중심 및 제 3 걸어 맞춤 구멍(13h)의 중심의 3점은, 동일 평면에 포함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직선(CL)을 따르는 방향을 제 1 방향(D1), 제 1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 중 하나를 제 2 방향(D2), 제 1 방향(D1) 및 제 2 방향(D2)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 3 방향(D3)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베이스 부재(1)에 있어서의 복수의 걸어 맞춤 구멍(h) 중 적어도 1개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에서는, 제 2 걸어 맞춤 구멍(12h) 및 제 3 걸어 맞춤 구멍(13h)이 제 1 방향(D1)으로 신장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제 1 걸어 맞춤 구멍(11h)의 개구 형상은 정육각형이다.
베이스 부재(1)를 스크루(5)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볼트(7)가 사용된다. 즉, 복수의 스크루(5)의 각 다각 기둥 두부(52)를 베이스 부재(1)의 각 걸어 맞춤 구멍(h)에 끼워 넣고, 다각 기둥 두부(52)의 중심에 설치된 암나사에 볼트(7)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스크루(5)의 플랜지부(53)와 볼트(7) 사이에서 베이스 부재(1)가 끼워 넣어진다.
이때, 걸어 맞춤 구멍(h)이 장공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구강(P) 내의 뼈에 박아 넣은 스크루(5)의 위치에 편차가 발생해도 장공에 의해 그 편차를 흡수해서 베이스 부재(1)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5)의 다각 기둥 두부(52)를 걸어 맞춤 구멍(h)에 끼워 넣으면 다각 기둥 두부(52)의 회전이 억제되므로, 스크루(5)를 눌러 놓지 않고 볼트(7)만을 회전시켜 체결을 행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에 있어서,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 사이, 및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부(20)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 사이에 제 1 연결부(21)가 설치되고,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 사이에 제 2 연결부(22)가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연결부(21) 및 제 2 연결부(22)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부(20)라 칭하기로 한다.
연결부(20)가 가요성을 가짐으로써, 연결부(20)는, 제 1 베이스부(11), 제 2 베이스부(12) 및 제 3 베이스부(13)보다 휘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이 휘어짐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연결부(20)는 소정의 처리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베이스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직접(최단 거리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20)는, 제 1 암 부분(201), 제 2 암 부분(202) 및 제 3 암 부분(203)을 갖는다. 제 1 암 부분(201)은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 2 암 부분(202)은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제 3 암 부분(203)은 제 2 암 부분(202)에 대해서 제 1 암 부분(201)이 접속되어 있는 측으로 연장된다. 이 제 1 암 부분(201), 제 2 암 부분(202) 및 제 3 암 부분(203)에 의해, 연결부(20)는 제 3 방향(D3)으로 봐서 대략 U자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제 1 연결부(21)에 있어서는, 제 1 베이스부(11)의 측면에서부터 제 1 암 부분(201)이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 1 암 부분(201)의 선단에서부터 제 2 암 부분(202)이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암 부분(202)의 선단에서부터 제 3 암 부분(203)이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 2 베이스부(12)의 측면에 접속된다.
제 2 연결부(22)에 있어서는, 제 1 베이스부(11)의 제 1 연결부(21)와는 반대측의 측면에서부터 제 1 암 부분(201)이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 1 암 부분(201)의 선단에서부터 제 2 암 부분(202)이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암 부분(202)의 선단에서부터 제 3 암 부분(203)이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 3 베이스부(13)의 측면에 접속된다.
연결부(20)의 폭이나 단면 형상, 재료 등에 따라 탄성(가요성)이 설정된다. 제 1 연결부(21) 및 제 2 연결부(22)의 가요성에 의해,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 사이, 및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암 부분(201), 제 2 암 부분(202) 및 제 3 암 부분(203)의 처리 및 탄성에 의해, 제 1 베이스부(11)에 대한 제 2 베이스부(12)의 회전 각도, 및 제 1 베이스부(11)에 대한 제 3 베이스부(13)의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위치 관계나 회전 각도의 조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조구의 부착)
보조구(9)는, 베이스 부재(1)에 설치된 고정부(30)에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에는 제 1 고정부(31) 및 제 2 고정부(32)가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고정부(31) 및 제 2 고정부(32)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부(30)라 칭하기로 한다. 제 1 고정부(31)는 제 1 베이스부(11)로부터 바깥쪽에 설치되고, 제 2 고정부(32)는 제 2 베이스부(12)로부터 바깥쪽에 설치된다.
고정부(30)는 제 3 방향(D3)으로 돌출되는 볼록 부분(301)을 갖는다. 볼록 부분(301)의 외주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의 볼록 또는 오목한 피치는 일정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부분(301)의 중심에 대해서 45도 간격으로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볼록 부분(301)의 중심에는 암나사가 설치된다.
보조구(9)에는, 이 볼록 부분(301)의 외형에 대응한 구멍(90h)이 형성된다. 구멍(90h)의 내주에는, 볼록 부분(301)의 외주의 요철에 대응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 부분(301)에 구멍(90h)을 끼워 넣음으로써, 서로의 요철이 맞물려 베이스 부재(1)에 대한 보조구(9)의 부착 각도가 고정된다. 보조구(9)의 부착 각도는, 요철의 피치(본 실시형태에서는 45도) 단위로 바꿀 수 있다.
볼록 부분(301)에 구멍(90h)을 끼워 넣은 상태로 볼록 부분(301)의 암나사에 볼트(7)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보조구(9)는 볼트(7)와 고정부(30) 사이에서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에서는, 제 1 베이스부(11)에 제 1 고정부(31)가 접속되고, 제 2 베이스부(12)에 제 2 고정부(32)가 접속된다. 교정 방법에 따라, 필요한 보조구(9)를 선택해서, 제 1 고정부(31)나 제 2 고정부(32)에, 원하는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또, 고정부(3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30)의 형상은, 보조구(9)가 회전하지 않도록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면 된다.
(임플란트 장치의 부착)
도 3의 (a)~(c)는, 임플란트 장치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에서는, 경구개(PL)에 임플란트 장치(100)를 부착하는 예가 나타내어진다.
먼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구개(PL)에 3개의 스크루(5)를 박아 넣는다. 스크루(5)의 나사부(51)는 경구개(PL)의 뼈(상악골)에 박아 넣어진다. 스크루(5)는, 플랜지부(53)의 하면이 경구개(PL)의 구개점막에 닿는 위치까지 박아 넣어진다. 경구개(PL)에는 스크루(5)의 다각 기둥 두부(52)가 노출되는 상황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구개(PL)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제 1 스크루(5A) 및 제 2 스크루(5B)가 박아 넣어지고, 제 1 스크루(5A) 및 제 2 스크루(5B)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제 3 스크루(5C)가 박아 넣어진다. 제 1 스크루(5A), 제 2 스크루(5B) 및 제 3 스크루(5C)를 박아 넣는 위치는, 베이스 부재(1)의 제 1 걸어 맞춤 구멍(11h), 제 2 걸어 맞춤 구멍(12h) 및 제 3 걸어 맞춤 구멍(13h)의 위치와 거의 대응된 위치이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구개(PL)에 박아 넣은 3개의 스크루(5)에 베이스 부재(1)를 부착한다. 즉, 제 1 스크루(5A)의 다각 기둥 두부(52)를 제 1 베이스부(11)의 제 1 걸어 맞춤 구멍(11h)에 끼워 넣고, 제 2 스크루(5B)의 다각 기둥 두부(52)를 제 2 베이스부(12)의 제 2 걸어 맞춤 구멍(12h)에 끼워 넣고, 제 3 스크루(5C)의 다각 기둥 두부(52)를 제 3 베이스부(13)의 제 3 걸어 맞춤 구멍(13h)에 끼워 넣는다.
이때, 3개의 스크루(5)와, 각 걸어 맞춤 구멍(h)의 위치 관계가 약간 어긋나 있어도, 걸어 맞춤 구멍(h)이 장공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그 위치 어긋남을 흡수해서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위치가 어긋난 방향이 장공의 방향과 상이해도, 연결부(20)를 휘어지게 함으로써 구멍 위치를 맞출 수 있다.
3개의 스크루(5)에 베이스 부재(1)를 부착한 후에는, 각 스크루(5)의 다각 기둥 두부(52)에 볼트(7)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1)가 3개의 스크루(5)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적어도 3개의 스크루(5)에 의해 베이스 부재(1)를 고정하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1)를 3점 지지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크루(5)에 의해 고정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제 1 베이스부(11), 제 2 베이스부(12) 및 제 3 베이스부(13)의 상대 위치의 설정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가요성을 갖고 있던 제 1 암 부분(201), 제 2 암 부분(202) 및 제 3 암 부분(203)의 변형 자유도를, 3개의 스크루(5)에 의해 베이스 부재(1)를 고정함으로써, 적절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의 고정부(30)에 보조구(9)를 고정시킨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고정부(31)에 와이어형 보조구(9B)가 고정되고, 제 2 고정부(32)에 플레이트형 보조구(9A)가 고정된다. 각 보조구(9)는, 고정부(30)의 볼록 부분(301)과 구멍(90h)을 끼워 맞춤으로써 부착된다. 그리고, 볼록 부분(301)에 볼트(7)를 체결함으로써 보조구(9)를 고정부(30)에 고정할 수 있다.
보조구(9)의 사용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와이어형 보조구(9B)는 치아(T)에 부착한 밴드나 브래킷에 체결된다. 와이어형 보조구(9B)는, 강성이 높은 스테인리스 합금계의 와이어를 사용해서 치아(T)와 베이스 부재(1)의 상대 위치를 고정해도 되고, 스프링성이 높은 티탄 합금계의 와이어를 사용해서 적당히 만곡시킨 상태로 해서 보조구(9B)에 의한 교정력(장력이나 가압력)을 조정하여, 베이스 부재(1)를 기준(고정원)으로 해서 치아(T)에 최적의 힘을 가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를 사용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는 고정시킨 채, 보조구(9)만을 바꿔 달 수 있다. 즉, 보조구(9)는 볼트(7)에 의해 고정부(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볼트(7)를 뺌으로써 베이스 부재(1)를 남긴 채 보조구(9)만을 분리할 수 있다. 교정 방법이나 진행 상태에 따라 다른 타입의 보조구(9)를 사용하고 싶은 경우, 베이스 부재(1)로부터 바꿔 달 필요는 없고, 보조구(9)만을 바꿔 달면 된다. 이에 따라, 보조구(9)만의 선택 및 조정에 의해 치아(T)에 대해서 여러가지 교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루(5)의 재설치나 베이스 부재(1)의 교체를 행하지 않고, 보조구(9)를 교체할 수 있어, 교정 과정에 있어서 환자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의사에 의한 시술의 수고도 대폭 경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베이스 부재(1)와 보조구(9)가 일체인 경우에는, 보조구(9)를 떼어낼 때에 베이스 부재(1)도 분리할 필요가 있는 바, 이 작업은 경구개(PL)에 박아 넣어진 스크루(5)의 체결력을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보조구(9)를 교체하는 횟수가 늘어나면 베이스 부재(1)가 경구개(PL)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이 높아져 버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1)를 남긴 채 보조구(9)만을 탈착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은 스크루(5)의 체결력 저하에 기인하는 베이스 부재(1) 탈락의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는,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적어도 3개의 스크루(5)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조구(9)를 통해 교정력을 가한 경우여도 베이스 부재(1)나 스크루(5)의 헐거워짐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2개의 스크루에 의해 베이스 부재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스크루의 배열 방향 이외의 방향이나, 회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베이스 부재가 움직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베이스 부재의 움직임이나 진동 등에 의해 스크루가 헐거워지는 것의 유발로 이어진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적어도 3개의 스크루(5)에 의해 베이스 부재(1)를 고정함으로써, 어떠한 방향으로 교정력을 가해도, 베이스 부재(1)가 움직여 버리는 경우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스크루(5)의 헐거워짐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1)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구(9)를 부착하는 고정부(30)의 배치에 있어서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와 같이, 고정부(30)가 스크루(5)에 의한 고정 위치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스크루(5)를 중심으로 한 큰 회전 모멘트가 가해지기 쉽다. 특히, 보조구(9)가 길수록 스크루(5)에 큰 회전 모멘트가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스크루에 의해 베이스 부재를 고정할 경우에는, 2개의 스크루 사이(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의 중앙 부근)에 고정부를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적어도 3개의 스크루(5)에 의해 베이스 부재(1)가 고정되어 있으면, 1개의 스크루(5)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 부재(1)의 단부(스크루(5)보다 외측)에 고정부(30)를 배치해도, 베이스 부재(1) 및 스크루(5)의 헐거워짐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30)의 레이아웃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베이스부의 위치 관계 및 회전 각도)
도 4의 (a)~(c)는, 베이스부의 위치 관계 및 회전 각도에 대해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의 (a)에는 베이스 부재(1)의 사시도가 나타내어지고, 도 4의 (b)에는 제 2 방향(D2)으로 본 베이스 부재(1)의 도면이 나타내어지고, 도 4의 (c)에는 제 1 방향(D1)으로 본 베이스 부재(1)의 도면이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에 있어서는,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 사이에 제 1 연결부(21)가 설치되고,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 사이에 제 2 연결부(22)가 설치된다. 이 제 1 연결부(21)의 탄성에 의해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의 위치 관계 및 회전 각도에 자유도가 발생한다. 또한, 제 2 연결부(22)의 탄성에 의해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의 위치 관계 및 회전 각도에 자유도가 생긴다.
연결부(20)를 구성하는 제 1 암 부분(201), 제 2 암 부분(202) 및 제 3 암 부분(203) 각각은, 암의 연장 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휘어짐과 함께, 암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비틀어진다. 즉, 연결부(20)의 각 암 부분은, 일단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각각 3축의 자유도를 갖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에서는, 연결부(20)에 의해 각 베이스부의 위치 관계 및 회전 각도에 자유도를 갖게 해서, 구강(P)의 여러가지 형태에 맞춰 적확하게 부착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강(P) 내의 경구개(PL)는 3차원적으로 만곡함과 함께, 복잡한 요철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환자마다 다르다. 이러한 복잡한 형상의 구강(P) 내에 베이스 부재(1)를 고정할 경우, 연결부(20)에 의해 각 베이스부를 휘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스크루(5)의 위치 어긋남이나 박아 넣는 각도에 대응해서 각 베이스부를 스크루(5)에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하고 있는 경구개(PL)에 서로 비스듬히 제 1 스크루(5A) 및 제 2 스크루(5B)가 박아 넣어져 있을 경우, 제 1 연결부(21)를 휘어지게 함으로써 제 1 스크루(5A)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1 베이스부(11)를 맞추고, 제 2 스크루(5B)의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2 베이스부(12)를 맞출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크루(5A) 및 제 3 스크루(5C)의 서로의 높이나 각도가 상이한 상태로 박아 넣어져 있어도 제 2 연결부(22)를 휘어지게 하거나, 비틀거나 함으로써, 제 1 스크루(5A) 및 제 3 스크루(5C) 각각의 박아 넣은 방향에 대응해서 제 1 베이스부(11) 및 제 3 베이스부(13) 각각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도 4의 (b)에는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의 위치 관계가 나타내어지고, 도 4의 (c)에는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의 위치 관계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다른 베이스부 간의 위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적어도 3개의 스크루(5)로 베이스 부재(1)를 고정할 경우, 구강(P) 내의 3차원적인 형상에 맞춰 부착할 필요가 생긴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20)의 휘어짐이나 비틀어짐을 이용함으로써, 제 1 베이스부(11), 제 2 베이스부(12) 및 제 3 베이스부(13)의 위치나 각도를 구강(P) 내의 복잡한 형상에 추종시켜 베이스 부재(1)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의 휘어짐이나 비틀어짐을 이용해서 구강(P) 내에 베이스 부재(1)를 고정시킨 경우에는, 각 스크루(5)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고정시킨 후의 스크루(5)나 볼트(7)의 헐거워짐, 베이스 부재(1)의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즉,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 부재(1)에서는, 구강(P) 내에의 부착시에는 구강(P) 내의 형태에 맞춰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시술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시킨 후에는, 구강(P)의 형태에 추종해서(밀착해서) 부착되므로, 헐거워지기 어렵고, 장착의 위화감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제 1 고정부(31)에 있어서의 제 1 베이스부(11)와의 접속 부분이나, 제 2 고정부(32)에 있어서의 제 2 베이스부(12)와의 접속 부분에, 잘록한 부분이나 홈(두께가 얇은 부분)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에 대해서 제 1 고정부(31) 및 제 2 고정부(32)를 구부리기 쉬워져, 구강(P) 내의 형상에 맞춰 제 1 고정부(31) 및 제 2 고정부(32)의 각도를 조정하기 쉬워진다.
(다른 베이스 부재의 예)
도 5의 (a)~(c)는, 다른 베이스 부재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 평면도이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1B)는, 제 1 베이스부(11), 제 2 베이스부(12), 제 3 베이스부(13) 및 제 4 베이스부(14)를 갖는다. 각 베이스부에는 걸어 맞춤 구멍(h)이 형성된다. 제 1 베이스부(11), 제 3 베이스부(13) 및 제 4 베이스부(14)의 걸어 맞춤 구멍(h)은 제 1 방향(D1)으로 신장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31)는 제 1 베이스부(11)의 바깥쪽에 접속되고, 제 2 고정부(32)는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 사이에 설치된다.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 사이, 및 제 1 베이스부(11)와 제 4 베이스부(14) 사이에는 각각 연결부(20)가 설치된다.
이 베이스 부재(1B)에서는, 제 1 베이스부(11)의 한쪽측에 제 3 베이스부(13)가 설치되고, 다른 쪽측에 제 4 베이스부(14)가 설치된다. 베이스 부재(1B)는 4개의 스크루(5) 각각과 제 1 베이스부(11), 제 2 베이스부(12), 제 3 베이스부(13) 및 제 4 베이스부(14) 각각을 고정함으로써 구강(P) 내에 고정된다. 베이스 부재(1B)에서는, 3개의 스크루(5)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강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고정부(32)가 제 1 베이스부(11)와 제 2 베이스부(12)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구(9)를 고정했을 때에 가해지는 교정력을, 제 1 베이스부(11)를 고정하는 스크루(5)와, 제 2 베이스부(12)를 고정하는 스크루(5)에 분산시키기 쉬워진다. 따라서, 보다 강한 교정력을 가하는 경우에 적합한 구성이 된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1C)에서는, 제 3 베이스부(13)의 신장 방향이 제 2 방향(D2)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3 베이스부(13)에 형성된 걸어 맞춤 구멍(h)은 제 2 방향(D2)으로 신장되는 장공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3 베이스부(13)를 고정하는 스크루(5)의 위치가 제 2 방향(D2)으로 어긋난 경우의 베이스 부재(1C)의 부착 여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20)는, 제 2 방향(D2)으로 신장되는 제 1 암 부분(201)과, 제 1 방향(D1)으로 신장되는 제 2 암 부분(202)을 갖고, 제 1 암 부분(201)의 길이는 제 2 암 부분(202)보다 길다. 즉, 이 연결부(20)는 제 3 방향(D3)으로 봐서 대략 L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3 베이스부(13)는, 제 1 방향(D1) 및 제 3 방향(D3)으로 움직이기 쉬워진다. 구강(P) 내의 형태에 따라서는 제 3 베이스부(13)의 위치를 제 1 방향(D1) 및 제 3 방향(D3)으로 많이 움직이고 싶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1C)는 유효하게 이용된다. 또한, 스크루(5(5C))의 부착 위치의 제 2 방향(D2)으로의 자유도는, 제 3 베이스부(13)의 걸어 맞춤 구멍(h)이 제 2 방향(D2)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확보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베이스 부재(1D)에서는, 제 1 베이스부(11)와 제 3 베이스부(13) 사이에 설치된 연결부(20)가 4개의 암 부분을 갖고 있다. 4개의 암 부분은 계단상으로 신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암 부분은, 제 1 베이스부(11)에서 제 3 베이스부(13)를 향해, 제 2 방향(D2), 제 1 방향(D1), 제 2 방향(D2), 제 1 방향(D1) 순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2개 및 3개의 암 부분이 신장되는 구성에 비해, 제 3 베이스부(13)의 가동축을 많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100)에 있어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교정 기구를 부착할 수 있는 이러한 베이스 부재(1, 1B, 1C 및 1D)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에 본 실시형태 및 그 구체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의 중심이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어 있어도,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 각각에 삽입 통과되어 고정되는 3개의 스크루(5)가 상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배치가 되도록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의 상대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베이스부의 형상이나 개수, 연결부(20)의 처리 형상 등, 상기에 설명한 것 이외여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보조구(9)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0)는 베이스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지만, 베이스부끼리를 잇는 암 부분에 연결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암 부분은 그 가요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대략 U자형을 가지고 암 부분의 길이를 길게 하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부 간을 직선적으로 잇고 있어도 되고, 대략 L자형을 갖고 있어도 되고, 대략 크랙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각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걸어 맞춤 구멍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원형(원을 일방향으로 길게 한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스크루(5)의 다각 기둥 두부에는 암나사가 설치되어 있지만, 수나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볼트 대신 너트를 사용해서 베이스부를 스크루(5)에 대해서 고정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고정부(30)에 설치되어 있는 암나사는 수나사여도 된다. 이 경우도, 볼트 대신 너트를 사용해서 보조구(9)를 고정부(30)에 대해서 고정하면 된다. 고정부(30)의 볼록 부분의 외주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만, 볼록 부분의 외형은 임의이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8각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고, 6각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또는 그 구체예에 대해서, 당업자가 적당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설계 변경을 행한 것이나, 실시형태의 특징을 적당히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1B, 1C, 1D : 베이스 부재
5 : 스크루
5A : 제 1 스크루
5B : 제 2 스크루
5C : 제 3 스크루
7 : 볼트
9, 9A, 9B : 보조구
11 : 제 1 베이스부
11h : 제 1 걸어 맞춤 구멍
12 : 제 2 베이스부
12h : 제 2 걸어 맞춤 구멍
13 : 제 3 베이스부
13h : 제 3 걸어 맞춤 구멍
14 : 제 4 베이스부
20 : 연결부
21 : 제 1 연결부
22 : 제 2 연결부
30 : 고정부
31 : 제 1 고정부
32 : 제 2 고정부
51 : 나사부
52 : 다각 기둥 두부
53 : 플랜지부
100 : 임플란트 장치
201 : 제 1 암 부분
202 : 제 2 암 부분
203 : 제 3 암 부분
301 : 볼록 부분
90h : 구멍
CL : 직선
D1 : 제 1 방향
D2 : 제 2 방향
D3 : 제 3 방향
P : 구강
PL : 경구개
T : 치아
h : 걸어 맞춤 구멍

Claims (7)

  1.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고, 구강 내의 뼈에 박아 넣어진 복수의 스크루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스크루 각각은, 상기 뼈에 박아 넣어지는 나사부와, 상기 구강 내에서 노출되는 다각 기둥 두부(頭部)를 갖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을 갖고,
    상기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의 상대 위치는, 상기 적어도 3개의 걸어 맞춤 구멍 각각에 삽입 통과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3개의 상기 스크루가 상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는 배치가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스크루는,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루를 갖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제 1 스크루의 상기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1 걸어 맞춤 구멍을 갖는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스크루의 상기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2 걸어 맞춤 구멍을 갖는 제 2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걸어 맞춤 구멍의 중심과 상기 제 2 걸어 맞춤 구멍의 중심을 잇는 직선상에 배열되지 않고, 상기 제 3 스크루의 상기 다각 기둥 두부와 걸어 맞출 수 있게 형성된 제 3 걸어 맞춤 구멍을 갖는 제 3 베이스부를 갖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3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된 가요성을 갖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3 베이스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암 부분과, 상기 제 1 암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일방향과는 상이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암 부분을 갖고,
    상기 제 1 암 부분 및 상기 제 2 암 부분은, 일단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각각 3축의 자유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2 암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암 부분에 대해서 상기 제 1 암 부분이 접속되어 있는 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암 부분을 더 갖고, 상기 제 3 암 부분은 상기 제 2 암 부분 측단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3축의 자유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베이스부 사이에 설치된 가요성을 갖고, 상기 제 1 베이스부와 상기 제 2 베이스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연결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4. 삭제
  5. 삭제
  6.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걸어 맞춤 구멍 중 적어도 1개는 장공(長孔)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7.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베이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고, 보조구(補助具)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KR1020197023547A 2017-01-19 2018-01-18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KR102291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7403 2017-01-19
JP2017007403 2017-01-19
PCT/JP2018/001348 WO2018135567A1 (ja) 2017-01-19 2018-01-18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装置に用いられるベース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973A KR20190100973A (ko) 2019-08-29
KR102291798B1 true KR102291798B1 (ko) 2021-08-19

Family

ID=6290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547A KR102291798B1 (ko) 2017-01-19 2018-01-18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47536B2 (ko)
EP (1) EP3572031B1 (ko)
JP (1) JP6770282B2 (ko)
KR (1) KR102291798B1 (ko)
CN (1) CN110267619B (ko)
CA (1) CA3050671C (ko)
SG (1) SG11201906613QA (ko)
WO (1) WO2018135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905Y1 (ko) * 2018-11-01 2021-06-28 (주)쓰리디케이피 치열교정용 플레이트
JP6557887B1 (ja) * 2019-01-07 2019-08-14 修二 山口 歯移動器具
JP6835322B1 (ja) * 2020-06-19 2021-02-24 康寛 斉宮 歯科矯正用プライヤ
JP6989883B1 (ja) * 2020-11-19 2022-01-12 康寛 斉宮 ドリル補助装置、スクリューガイド装置および歯科矯正器具の取り付け補助装置セ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071A (ja) 1999-12-28 2001-07-10 Sankin Ind Co 歯列矯正用支持体
US20020150856A1 (en) * 2001-04-12 2002-10-17 Payton Kevin L. Skeletal transmucosal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JP2008183016A (ja) * 2007-01-26 2008-08-14 Yasuhiro Saimiy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
WO2012099439A2 (ko) * 2011-01-21 2012-07-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930A (en) * 1989-11-22 1991-10-01 Lodde Jean Pierre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IL115661A (en) 1994-10-21 1999-11-30 Straumann Inst Ag Oral implant
US8251698B2 (en) * 2001-05-17 2012-08-28 Hugo De Clerck Orthodontic implant
JP2004097787A (ja) 2002-07-17 2004-04-02 Univ Nihon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
KR100507387B1 (ko) 2002-10-14 2005-08-10 주식회사 한일테크닉스 차량 출입 게이트
JP3928173B2 (ja) * 2003-12-26 2007-06-13 堀田 康記 歯科矯正用支持体
JP3657952B2 (ja) 2004-02-16 2005-06-08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歯列矯正用支持体
JP3816927B2 (ja) 2004-02-16 2006-08-30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歯列矯正用支持体
JP4706037B2 (ja) 2005-05-11 2011-06-22 学校法人日本大学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
KR100608304B1 (ko) 2005-10-26 2006-08-02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치아교정용 앵커
EP2237735B1 (en) * 2007-12-31 2015-10-07 Jeffrey R. Marcus Intermaxillary fixation device
US8083521B2 (en) 2008-04-30 2011-12-27 Toads Llc Anchor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s
ITVI20090084A1 (it) * 2009-04-17 2010-10-18 Hdc S R L Elemento di ancoraggio per dispositivi ortodontici
KR101083280B1 (ko) * 2009-06-24 2011-11-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US8764441B2 (en) * 2010-07-21 2014-07-01 John W. Polley Method and internal apparatus for determining final position of dentate skeleton in orthognathic surgery
US9072568B2 (en) * 2010-10-05 2015-07-07 Cathol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rthodontic supporting member
JP5753691B2 (ja) * 2011-01-17 2015-07-22 康寛 斉宮 歯列矯正用の連結冶具
KR200458193Y1 (ko) * 2011-09-26 2012-01-3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방향 교정이 가능한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US8551143B2 (en) * 2011-10-11 2013-10-08 Brent Lane Norris Low profile periarticular tension band plating system with soft tissue neutralization cable tunnel/channel
TWI487508B (zh) * 2012-07-17 2015-06-11 義守大學 齒顎矯正錨定模組及其矯正板與手術導引裝置
KR101534622B1 (ko) 2014-02-19 2015-07-09 박숙규 구강용 고정나사와 고정판, 및 그 고정나사와 구강판을 포함하는 구강용 고정장치
KR200474677Y1 (ko) * 2014-06-16 2014-10-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구개의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 교정용 지지부재
CN204379459U (zh) * 2015-01-06 2015-06-10 刘琳 口腔正畸前方牵引专用种植支抗装置
CN205359669U (zh) * 2016-02-05 2016-07-06 上海市徐汇区牙病防治所 前牵引支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071A (ja) 1999-12-28 2001-07-10 Sankin Ind Co 歯列矯正用支持体
US20020150856A1 (en) * 2001-04-12 2002-10-17 Payton Kevin L. Skeletal transmucosal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JP2008183016A (ja) * 2007-01-26 2008-08-14 Yasuhiro Saimiy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
WO2012099439A2 (ko) * 2011-01-21 2012-07-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567A1 (ja) 2018-07-26
US20190374315A1 (en) 2019-12-12
CA3050671A1 (en) 2018-07-26
EP3572031B1 (en) 2022-06-15
JP6770282B2 (ja) 2020-10-14
CN110267619A (zh) 2019-09-20
JPWO2018135567A1 (ja) 2019-12-26
KR20190100973A (ko) 2019-08-29
CA3050671C (en) 2021-08-03
EP3572031A1 (en) 2019-11-27
US11547536B2 (en) 2023-01-10
EP3572031A4 (en) 2020-09-30
CN110267619B (zh) 2021-08-10
SG11201906613QA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798B1 (ko) 치과 교정용 임플란트 장치에 사용되는 베이스 부재
JP4680209B2 (ja) 歯列矯正用のインプラント構造
US6354834B2 (en)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US7101177B2 (en) Scr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9072568B2 (en) Orthodontic supporting member
US20150313659A1 (en) Fastening force auxiliary device for screw and screw with fastening force auxiliary device
KR101083280B1 (ko) 치열 교정용 지지 부재
US20200146782A1 (en) Anteroposterior correction devices
JP2009513228A (ja) 歯科矯正用アンカー
US20150366642A1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JP6589616B2 (ja) 上顎拡大装置
KR102203321B1 (ko)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구조 및 치열 교정용 임플란트 지그
KR102383539B1 (ko) 치과 교정 장치 및 치과 교정용 플라이어
US10993789B2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JP5728610B1 (ja) 歯科矯正用インプラント装置
US20110223554A1 (en) Cantilever arm for orthodontic anchorage
US20230018609A1 (en) Distractor, bone screw for said distra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distractor
RU2645241C1 (ru) Брекет
WO2006070957A1 (en) Orthodontic anchor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anchoring device
KR101131200B1 (ko) 임플란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 장치
TW202034859A (zh) 矯正釘延伸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