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91B1 -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191B1
KR102291191B1 KR1020200115850A KR20200115850A KR102291191B1 KR 102291191 B1 KR102291191 B1 KR 102291191B1 KR 1020200115850 A KR1020200115850 A KR 1020200115850A KR 20200115850 A KR20200115850 A KR 20200115850A KR 102291191 B1 KR102291191 B1 KR 10229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leakage
switch
circuit unit
signal
leakag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1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용 누전차단기로부터 분기되는 각 배선로와 이에 연결되는 부하 사이에 하부단말장치로 배치되어 전력용반도체스위치로 하부단말의 전원 개폐제어는 물론, 전기안전을 위해 누전감지기능과 이 기능의 양불량 상태점검, 그리고 다양한 전기안전 상태정보 수집을 자동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력용 반도체스위치(110,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전원공급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상기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와 연결되어 개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래치회로부(320); 상기 누전감지부(20)와 연결되어, 상기 누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누전감지회로부(10)의 양불량 상태점검을 위한 상기 가누전발생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점검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Electronic Switch for electrical safety}
본 발명은 양방향 스위치 기능을 가진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를 이용하여 교류전원을 개폐제어하고, 누전 시 누전감지회로부를 통해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를 자동 차단시키고, 평소에는 누전감지회로부의 양불량 상태 자동점검 및 전기안전상태 정보수집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IoT(사물인터넷)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수많은 정보통신 하부단말용 제어장치가 서버 플랫폼을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센싱정보가 수집되어 동작이 제어되는 스마트 공장, 스마트 빌딩, 스마트 홈 등 새로운 기술산업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산업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기분전함에 설치되는 저압용 누전차단기로부터 여러개로 분기되는 각 배선로와 부하 사이에 하부단말장치로 배치되어 하부단말의 전원 개폐제어 및 전기안전상태 정보수집을 할 수 있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저압용 차단기인 배선용 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에 IoT 기술이 융합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차단기의 핸드레버를 조작하여 전극 접점을 개폐시키는 수동형 스위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스위치를 컨트롤러와 연결시켜 수동형 스위치 구조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1404호 "반도체 누전차단기"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8269호 "3상용 누전 차단기의 구동 회로"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종래기술의 경우 컨트롤러가 주체가 되어 컨트롤러 출력신호에 의해 전자스위치의 개폐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컨트롤러의 고장 또는 오류 발생에는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가 컸다. 특히 스마트 빌딩이나 공장 규모가 클수록 여러개의 스위치들이 각 배선로와 부하 사이에 연결 배치되어 전기의 차단 또는 통전을 관리하게 되므로, 하나의 컨트롤러에 다수의 전자스위치들이 연결될 시에는 더 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IoT 기술 융합에 있어 전기분전함에 분기되는 스위치들의 양불량 상태를 정기적으로 자동점검하는 기능 또한 전기안전 유지관리측면에서 꼭 필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종래에는 양불량 상태점검 시마다 전자스위치 자체를 차단하게 되어, 스위치에 연결된 전자장비와 같은 부하들이 꺼지게 되고, 스위치를 다시 켜서 전자장비들을 재구동시킬 경우 장비에 설정한 정보 또는 기능들을 재설정해야 하며 재가동되는 로딩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불편함이 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1404호 "반도체 누전차단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8269호 "3상용 누전 차단기의 구동 회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압용 누전차단기로부터 분기되는 각 배선로와 이에 연결되는 부하 사이에 배치되고, 컨트롤러의 직접적 차단명령신호와는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개폐제어신호를 통해 양방향 자동스위치가 개폐제어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안전을 위해 전자스위치가 가지고 있는 누전감지차단 및 상기 기능에 대한 자체의 양불량 상태점검, 그리고 전기안전상태를 점검 수집하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는, 주전원회로에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기 전원공급라인 사이의 누전전류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11), 상기 영상변류기(11)로부터의 누전전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부(12)를 포함하는 전자스위치에 있어서, 전력용 반도체스위치(110, 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전원공급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상기 누전감지부(12)와 연결되어, 상기 누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신호가 입력되면 개폐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자동 동작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는, 출력단(250)과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DC전원(DC1); 상기 누전감지신호의 입력을 조건으로 제1DC전원(DC1)의 전류를 접지로 유도하여 상기 트리거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3트랜지스터(TR3);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300)는,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1클럭신호 출력단자(311) 및 제2클럭신호 출력단자(312)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310); 상기 컨트롤러(310)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클럭신호 출력단자(311)가 연결되는 제1래치입력단(321)과, 상기 제2클럭신호 출력단자(312)와 연결되는 제2래치입력단(322)이 구성되되, 상기 제2래치입력단(322)에는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의 출력단(250)과 연결되어 트리거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래치회로부(320);를 포함하여, 래치회로부(320)는 상기 트리거신호 입력 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FF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래치회로부(320)의 제1래치입력단(321)과 연결되는 ON스위치(510), 상기 제2래치입력단(322)과 연결되는 OFF스위치(520)를 포함하는 수동스위치(5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래치회로부(320)는, 상기 ON스위치(510) 선택 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N시키고, 상기 OFF스위치(520) 선택 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FF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는, 상기 영상변류기(11)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누전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내도록 가누전신호를 발생시키는 가누전발생회로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310)는, 상기 가누전발생회로부(400)가 상기 가누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가누전발생 요청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가 상기 누전감지신호를 접지로 유도하여 상기 트리거신호 출력이 억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가누전발생 요청신호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로 입력되는 누전감지신호가 상기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누전발생회로부(400)는, 자기장이 형성되면 상기 영상변류기(11)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게 연결되는 권선(410); 상기 권선(41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DC전원(DC2); 상기 컨트롤러(310) 바이패스신호의 입력을 조건으로 상기 권선(410)의 타단을 접지로 유도하여, 상기 권선(410)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4트랜지스터(TR4); 상기 제4트랜지스터(TR4)와 병렬연결되어 수동 점검할 수 있는 가누전발생스위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는, 평상시 트리거신호를 출력하지 않다가 누전 발생 시 트리거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의 작동명령신호 없이 독립적으로 자동 동작되어 양방향 자동스위치로 전기를 신속 차단할 수 있어, 컨트롤러의 고장 또는 오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감지신호를 접지로 유도시켜 트리거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하는 바이패스신호에 따라 전원차단 없이도 누전 감지 기능의 소손여부를 자동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의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영상변류기(ZCT), 부하, 주전원회로, 반도체 스위치 등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는 저압용 차단기인 배선용 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로부터 분기되는 각 배선로와 이에 연결되는 부하 사이에 배치되어 누전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주전원회로에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전원공급라인 사이의 누전전류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11)로부터의 누전전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부(1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는 도 1과 같이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 제어부(300), 가누전발생회로부(400), 수동스위치(500), 전기안전 상태정보 수집회로(600)를 포함한다.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는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전원의 개폐(통전/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TRIAC, FET, IGBT 등 전력용 반도체스위치(110, 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는 래치회로부(320)를 통해 수동스위치(510)의 ON/OFF 버턴누름 또는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입력받는 스위치동작신호에 따라 ON/OFF되어 전원을 자동 공급/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는 누전이 감지되면 양방향 자동스위치(120)의 차단동작을 유도하는 구성으로, 누전감지부(12)와 연결되어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킨다. 트리거신호는 누전감지부(12)를 통해 누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된다.
이러한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는 포토커플러와 같은 광결합소자(220)를 기준으로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으로 구분되어 서로 전기적 절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라인은 제1트랜지스터(TR1), AC접지(210)이 포함되고, 상기 출력라인은 제1DC전원(DC1), 제2트랜지스터(TR2), 제3트랜지스터(TR3), 제1DC접지(230), 제2DC접지(240), 출력단(250)이 포함된다.
도 1을 참조하여, 광결합소자(220)의 상기 입력라인은 누전감지부(12)로부터 입력되는 누전감지신호가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단자로 입력되면, 제1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이미터 단자 사이로 전류가 흐르면서 AC접지(210)로 유도됨에 따라 광결합소자(220) 입력측에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광결합소자(220)의 상기 출력라인은 제1DC전원(DC1)과 연결된 두 전선이 각각 제1DC접지(230), 제2DC접지(240)와 연결되되 제3트랜지스터(TR3)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광결합소자(200)의 발광으로 출력측 전선이 ON되면 제1DC전원(DC1)으로부터 전류가 광결합소자(220) 출력측을 지나 제3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단자로 흘러 상기 제3트랜지스터(TR3)를 ON시키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와 이미터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DC전원(DC1)의 전류가 제2DC접지(240)로 유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평상시에는 출력단(250)으로 상기 제1DC전원(DC1)이 공급되다가, 누전감지부(12)의 누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DC전원(DC1)의 전류가 제2DC접지(240)로 유도됨에 따라 트리거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300)는 원격서버로부터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의 개폐제어 및 양불량 상태점검, 그리고 전기상태정보 수집을 위한 구성으로,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사이에 연결된다. 제어부(300)는 원격명령에 의해 개폐제어 요청신호(iH, iL)를 각각 출력하고,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의 트리거신호 출력 유무에 따라 래치회로부(320)를 통해 개폐제어신호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개폐(ON/OFF)시켜 누전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컨트롤러(310)와 래치회로부(320)로 구성된다. 컨트롤러(310)는 클럭신호를 출력하여 제1클럭신호 출력단자(311)와 제2클럭신호 출력단자(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래치회로부(320)는 컨트롤러(310)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사이에 연결되고, 컨트롤러(310)의 제1클럭신호 출력단자(311)가 연결되는 제1래치입력단(321), 컨트롤러(310)의 제2클럭신호 출력단자(312)와 연결되는 제2래치입력단(322)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래치입력단(322)에는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의 출력단(250)과 연결되어 트리거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래치회로부(320)는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에서 정상모드 개폐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N시키고, 트리거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차단모드 개폐제어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FF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310)는 래치회로부(320)의 ON/OFF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래치회로 상태신호(iA)를 입력받는 A단자, 출력단(250)과 연결되어 트리거신호(iTR)를 파악할 수 있도록 트리거신호 상태신호(iB)를 입력받는 B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310)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트리거신호 상태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의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310)는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의 제2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단자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바이패스 신호(iC)를 출력하는 C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신호(iC) 출력 시 제2트랜지스터(TR2)가 ON됨에 따라 제1DC전원(DC1)의 전류가 제1DC접지(230)로 유도되어 제3트랜지스터(TR3)가 OFF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310)의 구성에 의해, 출력단(250)으로 트리거신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의 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310)는 가누전발생회로부(400)와 연결되어 영상변류기(11)에 누전이 발생된 경우와 유사한 효과가 발생되어 누전감지부(12)가 누전을 감지하도록 가누전발생 요청신호(iD)를 출력하는 D단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310)의 구성에 의해, 가누전발생회로부(400)가 가누전발생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310)는 양불량 상태점검 시 가누전발생요청신호(iD)와 바이패스신호(iC)를 출력하여, 누전감지신호를 발생시키되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의 개폐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누전감지회로부(10)의 양불량 상태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가누전발생회로부(400)는 영상변류기(11)와 연결되어 가누전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영상변류기(11), 누전감지부(12) 및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의 고장 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누전발생회로부(400)는 제2DC전원(DC2), 권선(410), 제4트랜지스터(TR4), 제3DC접지(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DC전원(DC2), 제4트랜지스터(TR4) 및 제3DC접지(430)를 잇는 전선이 권선(410)에 권선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4트랜지스터(TR4)는 컨트롤러(310)의 D단자와 연결되어 컨트롤러(310)의 가누전발생 요청신호(iD) 출력에 따라 ON되게 된다. 컨트롤러(310)의 가누전발생 요청신호(iD) 출력으로 제4트랜지스터(TR4)가 ON되면, 상기 전선에 흐르는 DC 전기에너지에 의해 권선(410)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장은 영상변류기(11)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도록 연결되어 절연방식으로 가누전을 발생시킴에 따라 안정적인 점검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누전발생회로부(400)는 제4트랜지스터(TR4)의 양단에 가누전발생스위치(420)가 병렬연결되어,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ON시켜 가누전발생회로부(400)의 가누전신호 출력을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누전발생스위치(420)를 누르면 컨트롤러(310)가 가누전발생 요청신호(iD)를 출력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종래의 기술과 유사하게 가누전발생스위치(420)를 수동으로 눌러서 누전감지회로부의(10)의 양불량 상태점검을 할 수 있다
컨트롤러(310)는 가누전발생회로부(400)가 가누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가누전발생 요청신호(iD)를 출력함과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바이패스 신호(iC)를 출력하여, 상기 가누전신호에 의한 누전감지신호를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가 접지로 유도하여 트리거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누전발생 요청신호에 의해 발생되어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로 입력되는 누전감지신호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수동스위치(50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의 ON/OFF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래치회로부(320)와 연결된다. 수동스위치(500) 중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N시키는 ON스위치(510)는 래치회로부(320)의 제1래치입력단(321)과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되면 연결신호를 출력하여 양방향 자동스위치(100)가 ON된다. OFF스위치(520)는 래치회로부(320)의 제2래치입력단(322)과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입력되면 차단신호를 출력하여 양방향 자동스위치(100)가 OFF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누전차단기는 점검 시 마다 전원을 차단할 필요없이 누전 감지 기능의 소손여부를 자동 점검할 수 있어 주기적 점검에 용이하다.
전기안전 상태정보 수집회로(600)는 전기센서류를 배치하여 전기상태를 수집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다양한 전기안전 상태정보를 센싱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함으로서, 과전압/과전류상태를 확인점검하고, 소비전기량 등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누전감지회로부
11 : 영상변류기
12 : 누전감지부
100 : 양방향 자동스위치
110, 120 : 전력용 반도체스위치
200 : 누전차단유도회로부
210 : AC접지
220 : 광결합소자
230 : 제1DC접지
240 : 제2DC접지
250 : 출력단
300 : 제어부
310 : 컨트롤러
311 : 제1클럭신호 출력단자
312 : 제2클럭신호 출력단자
320 : 래치회로부
321 : 제1래치입력단
322 : 제2래치입력단
400 : 가누전발생회로부
410 : 권선
420 : 가누전발생스위치
430 : 제3DC접지
500 : 수동스위치
510 : ON스위치
520 : OFF스위치
600 : 전기안전 상태정보 수집회로

Claims (6)

  1. 주전원회로에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 상기 전원공급라인 사이의 누전전류를 감지하는 영상변류기(11), 상기 영상변류기(11)로부터의 누전전류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부(12)를 포함하는 전자스위치에 있어서,
    전력용 반도체스위치(110, 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전원공급 및 차단 기능을 수행하는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상기 누전감지부(12)와 연결되어, 상기 누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신호가 입력되면 개폐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자동 동작시키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는,
    출력단(250)과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DC전원(DC1);
    상기 누전감지신호의 입력을 조건으로 제1DC전원(DC1)의 전류를 접지로 유도하여 상기 트리거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3트랜지스터(TR3)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1클럭신호 출력단자(311) 및 제2클럭신호 출력단자(312)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310);
    상기 컨트롤러(310)와 양방향 자동스위치(10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클럭신호 출력단자(311)가 연결되는 제1래치입력단(321)과, 상기 제2클럭신호 출력단자(312)와 연결되는 제2래치입력단(322)이 구성되되, 상기 제2래치입력단(322)에는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의 출력단(250)과 연결되어 트리거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래치회로부(320);를 포함하여,
    래치회로부(320)는 상기 트리거신호 입력 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부(320)의 제1래치입력단(321)과 연결되는 ON스위치(510), 상기 제2래치입력단(322)과 연결되는 OFF스위치(520)를 포함하는 수동스위치(5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래치회로부(320)는, 상기 ON스위치(510) 선택 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N시키고, 상기 OFF스위치(520) 선택 시 양방향 자동스위치(100)를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류기(11)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누전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내도록 가누전신호를 발생시키는 가누전발생회로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310)는,
    상기 가누전발생회로부(400)가 상기 가누전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가누전발생 요청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가 상기 누전감지신호를 접지로 유도하여 상기 트리거신호 출력이 억제되도록 하는 바이패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가누전발생 요청신호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누전차단유도회로부(200)로 입력되는 누전감지신호가 상기 양방향 자동스위치(10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누전발생회로부(400)는,
    자기장이 형성되면 상기 영상변류기(11)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게 연결되는 권선(410);
    상기 권선(410)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DC전원(DC2);
    상기 컨트롤러(310) 바이패스신호의 입력을 조건으로 상기 권선(410)의 타단을 접지로 유도하여, 상기 권선(410)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제4트랜지스터(TR4);
    상기 제4트랜지스터(TR4)와 병렬연결되어 수동 점검할 수 있는 가누전발생스위치(420);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KR1020200115850A 2020-09-10 2020-09-10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KR10229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50A KR102291191B1 (ko) 2020-09-10 2020-09-10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50A KR102291191B1 (ko) 2020-09-10 2020-09-10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191B1 true KR102291191B1 (ko) 2021-08-18

Family

ID=7746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850A KR102291191B1 (ko) 2020-09-10 2020-09-10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19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882A (ko) * 2004-04-30 2005-11-03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KR20070021404A (ko) 2005-08-18 2007-02-2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반도체 누전차단기
KR100978269B1 (ko) 2007-11-02 2010-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3상용 누전 차단기의 구동 회로
KR20110123386A (ko) * 2010-05-07 2011-11-15 한국전력공사 전력 자동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유닛
JP2012125053A (ja) * 2010-12-08 2012-06-28 Panasonic Corp 漏電検出遮断器
KR20130141091A (ko) * 2012-06-15 2013-12-26 한국전기연구원 누전차단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20898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코본테크 피시비코어형zct소자와 cob-ic집적소자로 구성된 누전차단기
KR102046589B1 (ko) * 2018-11-30 2019-12-02 한국전기연구원 자동점검 누전차단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882A (ko) * 2004-04-30 2005-11-03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셀프 테스트용 누전차단기
KR20070021404A (ko) 2005-08-18 2007-02-2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반도체 누전차단기
KR100978269B1 (ko) 2007-11-02 2010-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3상용 누전 차단기의 구동 회로
KR20110123386A (ko) * 2010-05-07 2011-11-15 한국전력공사 전력 자동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유닛
JP2012125053A (ja) * 2010-12-08 2012-06-28 Panasonic Corp 漏電検出遮断器
KR20130141091A (ko) * 2012-06-15 2013-12-26 한국전기연구원 누전차단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20898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코본테크 피시비코어형zct소자와 cob-ic집적소자로 구성된 누전차단기
KR102046589B1 (ko) * 2018-11-30 2019-12-02 한국전기연구원 자동점검 누전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55341B (zh) 漏电电路断流器
US7103486B2 (en) Device for monitoring a neutral and earth break and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CN105305387B (zh) 监视和切换负载电路的装置和方法
CN103782513A (zh) 光伏模块
US8183869B2 (en) Circuit interrupter with continuous self-testing feature
JPH06197477A (ja) 特に高電圧回路遮断器のような多極電気機器のための制御及び自己監視システム
KR100920946B1 (ko) 부하 기기의 영향을 고려한 배전 선로의 고장 검출 및위치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68588B1 (ko)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바이패스공법
KR102291191B1 (ko) 스마트 전기안전 전자스위치
CN104137383A (zh) 用于维护电力***中的适当的相中性布线的***和方法
JP7122678B2 (ja) 開閉器、及び開閉器の試験方法
KR102155203B1 (ko) 다중 입력 개폐가 가능한 고전압 dc 스위치
KR102058400B1 (ko) 전력계통의 선로에서 순시전류 판별장치
CN111443281B (zh) 电气闭锁装置及断路器或隔离开关
KR20100029809A (ko) 지중배전설비 보수용 무정전 바이패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공법
RU27260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системы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 промышленных объектов
Vasavada et al. Development of Intelligent Automatic Electronic MCB and ELCB Using Fault Diagnosis Technique
JP2004125688A (ja) 励磁突入電流を用いた差動継電器の現地試験方法
CN206283239U (zh) 一种漏电保护器
KR100532925B1 (ko) 배전자동화기반의 비접지계 지락고장구간 검출방법
KR101722777B1 (ko) 지능화 지상 변압기
JP7365638B2 (ja) 開閉器システム、及び分電盤
JP3485976B2 (ja) 漏電遮断器の遠隔テスト装置
CN212587444U (zh) 一种带有电气量检测接口的跌落式熔断开关
JP7122677B2 (ja) 開閉器、及び開閉器の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