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646B1 -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646B1
KR102290646B1 KR1020210068020A KR20210068020A KR102290646B1 KR 102290646 B1 KR102290646 B1 KR 102290646B1 KR 1020210068020 A KR1020210068020 A KR 1020210068020A KR 20210068020 A KR20210068020 A KR 20210068020A KR 102290646 B1 KR102290646 B1 KR 102290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vertical member
horizontal member
initial rainwater
in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Priority to KR102021006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구; 상기 측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포함하고, 상기 측구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 제2수평부재 및 제3수직부재는 폐합 형상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면의 후방쪽 단부에 상기 도로경계석이 안치되는 경계석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 중 상기 도로경계석의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빗물이 유입되게 형성된 제1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제3유입로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도등에 낙하된 초기빗물은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고, 초기빗물 저류공간부가 채워진 후 빗물은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초기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므로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Sidewall structure for early rain removal and sidewall structure system for early rain removal}
본 발명은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어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에 발생한 초기우수(초기빗물)과 초과우수(초과빗물)를 분리하여 배수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의 배출을 저감하고 도시의 물순환 개선을 유도하고자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측구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우수(빗물)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도랑 즉, 측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측구는 도랑 형성 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측구 라인을 따라서 적당한 간격마다 집수정(빗물받이)을 배치하고, 우수관에 연결함으로써, 도로 노면에 내린 빗물이 측구와 집수정으로 유입된 후 우수관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측구 배수구조는 강우시 노면에 축적된 오염물질들이 빗물과 함께 전량 하천으로 배출됨으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로의 불투수 면적의 증가는 빗물이 지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지하수 고갈과 그에 따른 물순환체계의 왜곡을 초래하는 한편, 최근 빈발하고 있는 기후 변화에 따른 돌발성 집중호우와 맞물려 도심 침수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957호인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수 배출저감 측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침투저류부; 상기 침투저류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보도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로부; 상기 수로부에 구비되는 차단판; 및 상기 침투저류부의 하류측에 구비되는 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로부의 내측벽에 빗물을 상기 도로에서 상기 수로부로 유입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제1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로부와 상기 침투저류부가 접하는 측벽에 상기 수로부에서 빗물이 상기 침투저류부로 월류하는 하나 이상의 제1월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부의 상류면에 상기 침투저류부의 빗물이 월류하는 제2월류구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부의 하류면에 빗물을 배출하는 제3월류구가 형성되며, 상기 도로에 낙하한 빗물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로부로 유입되며, 상기 수로부에 유입된 초기 빗물은 상기 차단판의 하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초기 빗물에 의해 상기 차단판의 부상 후 유입된 빗물은 상기 차단판의 상측을 거쳐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월류구를 통해 상기 침투저류부로 월류하고, 상기 침투저류부로 월류된 빗물은 상기 개방된 하면을 통해 지하로 침투함과 동시에 과다한 빗물은 상기 제2월류구를 통해 상기 점검부로 월류하며, 상기 점검부로 월류된 빗물은 상기 제3월류구를 통해 빗물받이나 우수관 또는 하수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수 배출저감 측구이다(청구항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차단판이 없는 경우 오염된 초기빗물이 저장된 공간으로 계속 빗물이 유입됨으로써, 오염됨 초기빗물이 혼합되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차단판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차단판이 완전 부상하기 전 또는 초기빗물이 하측으로 유출되어 차단판이 하강하는 경우 초기빗물이 혼합되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기빗물을 분리하기 위한 차단판을 설치하는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고, 유지관리비용 역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6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에 낙하된 초기빗물은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고, 초기빗물 저류공간부가 채워진 후 빗물은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분리된 별도의 공간인 측구 후방의 침투저류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오염된 초기빗물이 혼합되어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오염된 초기빗물 이후의 빗물은 측구 후부의 침투저류부로 신속하게 유입되게 함으로써, 도심지 침수나 지하수 고갈을 방지하고, 도심 물순환체계를 개선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측구, 침투구, 집수정 등을 프리캐스터로 제작하여 현장에 조립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신속 용이하고 시공비용이 절약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침투구의 측면에 초기빗물배출구와 거름망을 구비하여, 오염된 초기빗물은 걸러진 후 점진적으로 지하로 침투되고 거름망으로 걸러진 오염물질은 침투구 상측의 뚜껑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절약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도의 하측 침투저류부로 유입된 초과빗물은 집수정으로 회수되어 우수관으로 배출되고, 동시에 측구 상측의 과도한 빗물은 집수정을 통해 직접 우수관으로 배출됨으로써, 도심 침수가 방지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는,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측구; 상기 측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포함하고, 상기 측구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 제2수평부재 및 제3수직부재는 폐합 형상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면의 후방쪽 단부에 상기 도로경계석이 안치되는 경계석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 중 상기 도로경계석의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빗물이 유입되게 형성된 제1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제3유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에 낙하된 초기빗물은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과 제1유입로와 제2유입로를 통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고,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가 채워진 후 빗물은 상기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로, 제2유입로 및 제3유입로의 연결지점에 일부 절취 제거되어 상기 제1유입로로 빗물이 유입된 후 상기 제2유입로 또는 제3유입로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빗물분배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로 입구 전방의 경사면과 제2유입로 입구 후방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에 채워진 빗물의 산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로, 제2유입로 및 제3유입로의 연결지점 상측의 상기 도로경계석의 하부가 일부가 절취 제거되어 상기 제1유입로로 빗물이 유입된 후 상기 제2유입로 또는 제3유입로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제2빗물분배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빗물분배공간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크린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망은 상기 제2빗물분배공간의 전방 내측에 긴밀히 삽입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하단에서 수평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계석안치홈의 상면에 안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 다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빗물분배공간의 입구 외측에 걸쳐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망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4수직부재와 상기 제3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5수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은,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이면서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침투구;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이면서 상기 침투구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집수정;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 침투구, 집수정의 후방에 설치되는 침투저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는,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측구; 상기 측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포함하고, 상기 측구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4수직부재; 제3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5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 제2수평부재 및 제3수직부재는 폐합 형상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면의 후방쪽 단부에 상기 도로경계석이 안치되는 경계석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 중 상기 도로경계석의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빗물이 유입되게 형성된 제1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제3유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에 낙하된 초기빗물은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과 제1유입로와 제2유입로를 통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고,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가 채워진 후 빗물은 상기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침투저류부에 저장되거나 지하로 침투될 수 있다.
상기 침투구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3수평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부와 제3수평부재를 연결하는 것으로 하측에 초기빗물배출구가 구비된 한 쌍의 제1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된 초기빗물은 상기 침투구의 제2수직부재, 제3수직부재, 제3수평부재 및 한 쌍의 제1측면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에 유입된 후 상기 초기빗물배출구를 통해 점진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초기빗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초기빗물은 상기 측구의 제2수평부재, 제4수직부재 및 제5수직부재와 그 하측에 타설되는 버림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폐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수정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빗물배출구가 구비된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침투수유입구가 구비된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4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 제4수평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의 상측과 침투구의 상측을 거쳐 흘러온 빗물은 상기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빗물배출구를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침투저류부의 빗물은 상기 침투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빗물배출구를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에 낙하된 초기빗물은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고, 초기빗물 저류공간부가 채워진 후 빗물은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분리된 별도의 공간인 측구 후방의 침투저류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오염된 초기빗물이 혼합되어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염된 초기빗물 이후의 빗물은 측구 후부의 침투저류부로 신속하게 유입되게 함으로써, 도심지 침수나 지하수 고갈을 방지하고, 도심 물순환체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측구, 침투구, 집수정 등을 프리캐스터로 제작하여 현장에 조립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신속 용이하고 시공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침투구의 측면에 초기빗물배출구와 거름망을 구비하여, 오염된 초기빗물은 걸러진 후 점진적으로 지하로 침투되고 거름망으로 걸러진 오염물질은 침투구 상측의 뚜껑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보도의 하측 침투저류부로 유입된 초과빗물은 집수정으로 회수되어 우수관으로 배출되고, 동시에 측구 상측의 과도한 빗물은 집수정을 통해 직접 우수관으로 배출됨으로써, 도심 침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가 적용된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의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가 적용된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의 설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의 측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망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의 설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침투구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침투구의 설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집수정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집수정의 설치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의 사용상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가 적용된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가 적용된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의 측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기우수(초기빗물) 분리배수 측구구조(110)는,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 예컨데, 보도와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측구(111), 도로경계석(1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초기우수는 설명의 편의상 초기빗물로 기재한다.
측구(111)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재와 제1수직부재를 포함하는 상부몸체와 그 하부의 하부몸체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면과 같이 분리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수평부재의 전단부와 후방에는 함몰된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는 설치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몸체를 하부몸체의 상측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전후좌우의 유동이 방지되고, 설치가 신속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면의 후방쪽 단부에 도로경계석(117)이 안치되는 경계석안치홈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직부재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로경계석(117)의 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경계석안치홈에는 하측으로 몰탈 주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로경계석(117)을 경계석안치홈에 설치한 후 제1수직부재와 도로경계석(117) 사이로 몰탈을 주입하여 상기 몰탈 주입홈과 상기 제1수직부재와 도로경계석(117) 사이 공간에 충진함으로써 도로경계석(117)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 제2수평부재 및 제3수직부재는 폐합 형상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는 오염이 심한 초기빗물을 저류함으로써 하천이나 지하수 등으로 오염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4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5수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수직부재와 제5수직부재는 후술하는 침투구(120) 및 집수정(130)과의 높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설치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즉, 지반에 동일한 높이로 콘크리트 버림타설을 행한 후 상기 측구, 침투구(120) 및 집수정(130)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 중 도로경계석(117)의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즉, 도로경계석(117)의 하측으로 빗물이 유입되게 형성된 제1유입로(113), 제1유입로(113)로 유입된 빗물이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로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로(114), 제1유입로(113)로 유입된 빗물이 측구(111)의 후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제3유입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에 낙하된 초기빗물 즉, 오염이 심한 초기빗물은 제1수평부재의 상면과 제1유입로(113)와 제2유입로(114)를 통해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초기빗물이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에 채워진 이후의 빗물은 제1유입로(113)와 제3유입로(115)를 통해 측구(111)의 후방 침투저류부(140)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가 채워지기 이전의 초기빗물은 제1유입로(113)로 유입된 후 제2유입로(114)로 낙하하여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가 채워진 이후의 빗물은 제1유입로(113)를 거쳐 제3유입로(115)로 유입되어 측구(111)의 후방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유입로(114)의 협소한 입구는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에 채워진 오염된 초기빗물이 뒤섞여 다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물질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입로(113), 제2유입로(114) 및 제3유입로(115)의 연결지점에 일부 절취 제거되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빗물분배공간(116)을 포함할 수 있다. 빗물분배공간(116)은 제1유입로(113)로 빗물이 유입된 후 제2유입로(114) 또는 제3유입로(115)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것으로, 유입된 빗물이 과도한 정체 없이 제2유입로(114) 또는 제3유입로(115)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로(114) 입구 전방의 경사면은 제2유입로(114) 입구 후방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제1유입로(113)로 유입된 빗물이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에 채워진 빗물의 산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로(113), 제2유입로(114) 및 제3유입로(115)의 연결지점 상측의 도로경계석(117)의 하부가 일부 절취 제거되어 제1유입로(113)로 유입된 후 제2유입로(114) 또는 제3유입로(115)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제2빗물분배공간(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빗물분배공간(118)은 제1수평부재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신속히 제2빗물분배공간(118)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빗물이 제2유입로(114)로와 제3유입로(115)로 유입되게 하여 집수정(130)을 통한 우수관(132)으로의 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빗물분배공간(118)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크린망(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망(119)은 제2빗물분배공간(118)의 전방 내측에 긴밀히 삽입되는 제1부재, 제1부재의 하단에서 수평 후방으로 연장되어 경계석안치홈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부재, 제1부재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 다시 양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제2빗물분배공간(118)의 입구 외측에 걸쳐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망(119)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망(119)은 제1부재는 제2빗물분배공간(118)의 전방 내측에 긴밀히 삽입되고, 제2부재는 경계석안치홈의 상면에 안착되고, 한 쌍의 제3부재는 제2빗물분배공간(118)의 입구 외측에 걸쳐지게 설치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며, 필요시 쉽게 인출하여 교체하거나 수선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철망의 견고한 지지와 프레임의 강성을 위해 중앙을 상하로 자로지르면서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좌우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110)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설계 도면에 따라 거푸집을 제작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구(111)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거푸집 내측에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 먼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와 그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작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에서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와, 제1수평부재의 후방에서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와,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을 제작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4수직부재와 제5수직부재가 포함되도록 거푸집을 제작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에 제4수직부재와 제5수직부재가 연장된 측구(111)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제2수직부재, 제3수직부재, 제2수평부재, 제4수직부재 및 제5수직부재를 포함하는 하부몸체에서 제2수직부재, 제3수직부재 및 제2수평부재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내측은 일측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타측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호 끼워맞추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인접한 측구 상호간의 전후, 좌우의 유동을 방지하고,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구와 인접하는 후술하는 침투구(120)나 집수정(130)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끼워맞추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부재, 제1수직부재, 제2수직부재, 제3수직부재, 제2수평부재, 제4수직부재, 제5수직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3과 같이 제1수평부재와 제1수직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몸체를 형성하고, 나머지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구(111)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형성될 경우,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과 하부몸체의 상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설치돌기 및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용이하게 안착되므로 시공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제1수평부재의 상면에는 도로경계석(117)의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제1유입로(113)가 형성되고, 제1유입로(113)와 연통되도록 제2유입로(114) 및 제3유입로(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입로(113), 제2유입로(114) 및 제3유입로(115)의 연결지점에 일부 절취 제거된 빗물분배공간(11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작된 측구(111)를 이용하여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100) 및 그 시공과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설계 도면에 따라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과 보도의 경계부의 지면을 굴착기로 굴착하고, 측구(111)가 설치되는 면에는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버팀 콘크리트 두께는 5~15cm 정도로 할 수 있다.
상기 버림 콘크리트 상면에 상기 측구(111)를 하나 이상 연이어 설치하고, 측구(111)들의 하류측에 침투구(120)를 설치하고, 침투구(120)의 하류측에 집수정(130)을 연이어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침투구(120)의 하류측에 측구(111)를 더 설치한 후 이 측구(111) 하류측에 집수정(130)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측구(111)들의 하류측에 침투구(120)와 집수정(130)을 이어서 설치하거나, 또는 침투구(120)와 집수정(130)은 떨어지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측구(111)의 제1수평부재 상면에 형성된 경계석안치홈에 도로경계석(117)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도로경계석(117)의 하부에 절취된 제2빗물분배공간(118)에는 스크린망(119)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로경계석(117) 후면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도로경계석(117)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설계 도면에 따라 거푸집을 제작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침투구(120)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침투구(120)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와 그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에서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3수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부와 제3수평부재를 한 쌍의 제1측면부재로 연결할 수 있다. 침투구(120)의 제3수평부재의 하면은 측구(111)의 제4수직부재 및 제5수직부재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평하게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버림 콘크리트 상측에 측구(111)와 침투구(120)를 신속히 설치 시공할 수 있다.
제1측면부재의 하측에는 초기빗물배출구와 거름망이 구비될 수 있다. 초기빗물배출구는 한 쌍의 제1측면부재 모두에 구비되거나,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면의 후방쪽 단부에 경계석안치홈이 형성되고, 경계석안치홈에는 도로경계석(117)이 안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 제3수직부재 및 제1측면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을 두께가 얇은 임시막음판으로 막을 수 있다. 임시막음판은 쉽게 제거하여 측구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부터 초기빗물이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침투구(120)의 상측은 그레이팅으로 덮거나 밀폐된 덮개로 덮을 수 있다. 밀폐된 덮개가 설치되는 경우 측구를 통해 흘러내려오는 빗물은 바로 집수정(130)으로 유입되게 하고,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하더라도 침투구(120)에 초기빗물이 채워진 이후에는 그레이팅 상측을 거쳐서 집수정(130)으로 유입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설계 도면에 따라 거푸집을 제작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집수정(130)을 제작할 수 있다.
집수정(130)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빗물배출구가 구비된 제2수직부재를 설치하고,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침투수유입구(131)가 구비된 제3수직부재를 설치하고,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제4수평부재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 제4수평부재를 한 쌍의 제2측면부재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면의 후방쪽 단부에 경계석안치홈이 형성되고, 경계석안치홈에는 도로경계석(117)이 안치될 수 있다.
집수정(130)의 제1수평부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그레이팅을 설치할 수 있다. 차도, 주차장 등의 상면의 초기빗물은 측구(111)쪽으로 흘러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와 침투저류부(140)로 유입되고, 과도한 빗물은 측구(111)를 따라 흘러내린 후 집수정(130)으로 유입된 후 우수관(132)을 통해 하천 등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측구(111)와 침투구(120) 및 집수정(130) 전방 즉, 차도 포장부에는 보조기층을 150~250mm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보조기층 상부에 아스콘기층을 50~150mm 두께로 형성하고, 아스콘기층 상부에 아스콘표층을 40~60mm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측구(111)와 침투구(120) 및 집수정(130)의 후부 즉, 식수대 하부에는 쇄석 등으로 침투저류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쇄석의 크기는 20~40mm 정도로하고, 쇄석 상면에 토목용 부직포를 포설하고, 상기 토목용 부직포 상면에 토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사층에는 묘목 및 나부와 같은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식수대 후면의 보도포장구간에는 보조기층을 100~200mm 두께로 형성하고, 보조기층 상부에 쿠션모래층을 30~50mm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쿠션모래는 상면을 평평하게 다져 보도블록이 올바르게 설치되어 포장할 수 있다.
상기 차도 포장구간 부분이나 식수대 부분 및 보도포장구간 부분을 형성하는 각 층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의 과정으로 시공된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100)의 사용과정을 설명하면, 강우시, 차도포장구간으로 낙하된 빗물은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110) 방향으로 흘러 측구(111)의 제1수평부재 상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측구(111)의 제1수평부재 상면으로 흘러내리는 초기빗물은 스크린망(119)에서 1차로 협잡물이 여과되고, 제1유입로(113)를 따라 제2빗물분배공간(118) 및 빗물분배공간(116)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초기빗물은 제2유입로(114)를 따라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로 유입된 후, 침투구(120)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침투구(120)로 이동된 초기빗물은 침투구(120) 내부의 거름망에서 이물질이 여과된 후, 초기빗물배출구(121)를 통해 점진적으로 측구(111)의 하측으로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침투저류부(140)가 채워진 후 제1유입로(113)로 유입되는 빗물은 제3유입로(115)를 따라 측구(111)의 후방인 침투저류부(140)로 배출되어 저장되거나 지하로 침투하게 함으로써 지하수를 확보하고, 빗물의 하천 유출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확보된 지하수는 가로수 등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침투저류부(140)로 배출된 빗물이 과도한 경우, 침투저류부(140)의 빗물은 침투수유입구(131)를 통해 집수정(130) 내부로 유입된 후, 빗물배출구를 통해 우수관(132)으로 배출되고, 또한 제1유입로(113)로 유입되지 못한 빗물은 측구(111)를 따라 하류측으로 흐른 후 집수정(130) 내부로 유입된 후, 빗물배출구를 통해 우수관(13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오염빗물은 초기빗물 저류공간부(112)에 저장됨으로써 오염을 방지하고, 이후의 빗물은 침투저류부(140)로 유입됨으로써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 등의 침수를 방지하고, 더 이상의 과도한 빗물은 직접 집수정(130)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망(119)에 걸러진 협잡물과 침투구(120)에 쌓인 오염물질은 수시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110: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111: 측구
112: 초기빗물 저류공간부
113: 제1유입로
114: 제2유입로
115: 제3유입로
116: 빗물분배공간
117: 도로경계석
118: 제2빗물분배공간
119: 스크린망
120: 침투구
121: 초기빗물배출구
130: 집수정
131: 침투수유입구
132: 우수관
140: 침투저류부

Claims (10)

  1.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측구;
    상기 측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포함하고,
    상기 측구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 제2수평부재 및 제3수직부재는 폐합 형상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면의 후방쪽 단부에 상기 도로경계석이 안치되는 경계석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 중 상기 도로경계석의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빗물이 유입되게 형성된 제1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제3유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에 낙하된 초기빗물은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과 제1유입로와 제2유입로를 통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고,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가 채워진 후 빗물은 상기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로, 제2유입로 및 제3유입로의 연결지점에 일부 절취 제거되어 상기 제1유입로로 빗물이 유입된 후 상기 제2유입로 또는 제3유입로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빗물분배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로 입구 전방의 경사면과 제2유입로 입구 후방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에 채워진 빗물의 산란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로, 제2유입로 및 제3유입로의 연결지점 상측의 상기 도로경계석의 하부가 일부가 절취 제거되어 상기 제1유입로로 빗물이 유입된 후 상기 제2유입로 또는 제3유입로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하는 제2빗물분배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빗물분배공간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크린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망은 상기 제2빗물분배공간의 전방 내측에 긴밀히 삽입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하단에서 수평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계석안치홈의 상면에 안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후 다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빗물분배공간의 입구 외측에 걸쳐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망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4수직부재와 상기 제3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5수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7.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이면서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침투구;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이면서 상기 침투구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집수정;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 침투구, 집수정의 후방에 설치되는 침투저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는,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측구;
    상기 측구의 상측에 설치되는 도로경계석;을 포함하고,
    상기 측구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2수평부재;
    제2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4수직부재;
    제3수직부재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5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 제2수평부재 및 제3수직부재는 폐합 형상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은 후방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면의 후방쪽 단부에 상기 도로경계석이 안치되는 경계석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 중 상기 도로경계석의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빗물이 유입되게 형성된 제1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로, 상기 제1유입로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게 하는 제3유입로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 주차장 또는 광장에 낙하된 초기빗물은 상기 제1수평부재의 상면과 제1유입로와 제2유입로를 통해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되고, 상기 초기빗물 저류공간부가 채워진 후 빗물은 상기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유입로와 제3유입로를 통해 상기 측구의 후방으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침투저류부에 저장되거나 지하로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침투구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3수평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부와 제3수평부재를 연결하는 것으로 하측에 초기빗물배출구가 구비된 한 쌍의 제1측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의 초기빗물 저류공간부로 유입된 초기빗물은 상기 침투구의 제2수직부재, 제3수직부재, 제3수평부재 및 한 쌍의 제1측면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에 유입된 후 상기 초기빗물배출구를 통해 점진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기빗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초기빗물은 상기 측구의 제2수평부재, 제4수직부재 및 제5수직부재와 그 하측에 타설되는 버림 콘크리트가 형성되는 폐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전방 단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빗물배출구가 구비된 제2수직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침투수유입구가 구비된 제3수직부재;
    상기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4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 제2수직부재와 제3수직부재, 제4수평부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측면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상기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들의 상측과 침투구의 상측을 거쳐 흘러온 빗물은 상기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빗물배출구를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침투저류부의 빗물은 상기 침투수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빗물배출구를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KR1020210068020A 2021-05-27 2021-05-27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KR102290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20A KR102290646B1 (ko) 2021-05-27 2021-05-27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020A KR102290646B1 (ko) 2021-05-27 2021-05-27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646B1 true KR102290646B1 (ko) 2021-08-18

Family

ID=7746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020A KR102290646B1 (ko) 2021-05-27 2021-05-27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6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58B1 (ko) * 2015-10-29 2016-10-05 (주)아록이엔지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KR101781334B1 (ko) * 2016-12-02 2017-09-27 (주)한길종합엔지니어링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101977695B1 (ko) 2018-02-14 2019-05-13 한국환경공단 침투측구구조
KR102055349B1 (ko) * 2019-07-08 2019-12-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58B1 (ko) * 2015-10-29 2016-10-05 (주)아록이엔지 도로 침수 방지, 지하수위 유지를 통한 지반안정 및 우수 재이용을 위한 우수 저류 및 관리시스템
KR101781334B1 (ko) * 2016-12-02 2017-09-27 (주)한길종합엔지니어링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101977695B1 (ko) 2018-02-14 2019-05-13 한국환경공단 침투측구구조
KR102055349B1 (ko) * 2019-07-08 2019-12-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977695B1 (ko) 침투측구구조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55349B1 (ko)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US10968616B1 (en) Water drainage system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KR102290646B1 (ko)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JP2002061105A (ja) 境界導水溝ブロック、および道路における排水処理構造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JPH0786247B2 (ja) 複合機能型側溝
JP2004052269A (ja) マンホールおよび下水管路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JP2016079592A (ja) 舗装構造
JP4250719B2 (ja) 境界導水溝ブロック
KR101367937B1 (ko) 투수성 포장재의 침투량 증대장치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140495B1 (ko) 조립식 빗물침투형 측구
KR102219577B1 (ko)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JPH0699954B2 (ja) 複合機能型側溝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BE1019528A5 (nl) Da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al en hemelwaterafvoersysteem voorzien van zulke dal.
KR100647210B1 (ko) 경계석과 일체로 구성된 측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