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547B1 - 창호용 필링피스 - Google Patents

창호용 필링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547B1
KR102286547B1 KR1020180051452A KR20180051452A KR102286547B1 KR 102286547 B1 KR102286547 B1 KR 102286547B1 KR 1020180051452 A KR1020180051452 A KR 1020180051452A KR 20180051452 A KR20180051452 A KR 20180051452A KR 102286547 B1 KR102286547 B1 KR 10228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s
doors
peeling piece
base member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187A (ko
Inventor
지창현
성 수 김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한양건설
성방산업(주)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한양건설, 성방산업(주), 김성수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051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5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의 대향면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레일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열교 방지 및 방수, 단열, 방음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창호용 필링피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용 필링피스{filling piece for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필링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프레임의 대향면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레일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열교 방지 및 방수, 단열, 방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용 필링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창호(Double sliding windows)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차단 및 개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프레임에 설치되는 창짝들이 좌, 우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슬라이딩 창호는 일반적으로 창짝의 개수에 따라 2짝 또는 4짝 등으로 이루어져 창틀프레임에 설치되지만, 구조적으로 창틀프레임과 창짝 사이는 항상 틈새 공간이 생긴다.
따라서, 비, 바람, 해충이 틈새 공간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상기 창틀프레임과 창짝 사이의 틈새 공간에 풍지판 혹은 필링피스(filling piece)라고도 하는 방풍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링피스에 대하여 종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750호(공개일:2005. 11. 14) "창호용 필링피스" 등으로 선 출원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750호 "창호용 필링피스"에 의하면, 창틀(1)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부(1a)에 복수의 분할편(3a)이 구비된 필링피스(3)가 결합된다(도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겨울철 실내 측 유리창에 맺힌 후 흘러내린 결로수를 창틀프레임 일측에 구비된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한 채 그대로 방치하여 오염 및 악취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속적인 창짝의 가압이 일정기간 지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창짝과 접촉되어 기밀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분할편의 탄력이 약화되고 변형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변형된 분할편 사이로 바람과 함께 물이 그대로 유입되어 실내 내장재의 훼손 및 기밀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01750 Y1 (2005.11.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창틀프레임과 창짝 사이의 틈새 공간을 용이하게 막아주어 기밀 성능을 향상하여줄 수 있으며,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창짝과의 잦은 마찰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용 필링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과 슬라이딩 창짝의 중첩부 사이 틈새 공간을 막아주는 창호용 필링피스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에 고정 배치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하나의 덩어리로 형성되어 상기 틈새 공간을 막아주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을 감싸주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쿠션부재의 수분 흡수율은 10%이하인 창호용 필링피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창호용 필링피스는 하나의 덩어리 형태로 형상하여 창틀프레임과 창짝 사이의 틈새 공간을 막아주어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필링피스는 쿠션부재의 독립 기포율 값이 커서 낮은 수분 흡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필링피스는 배이스부재의 하면에 결로수 배출유로를 포함하여 레일과 레일 사이의 공간에 고인 결로수를 창틀프레임 일측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용 필링피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의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슬라이딩 창호의 입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및 창호용 필링피스의 설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 전·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의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낸 슬라이딩 창호의 입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100)는, 창틀프레임(20)의 대향면에 구비된 적어도 한 쌍의 레일(21) 사이 즉, 홈부(22)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창짝(10)을 완전히 닫았을 때 창짝(10)과 창짝(10)이 겹치는 부위의 상, 하단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 창호의 경우 창짝(10)이 겹치는 부위가 상호 맞물리도록 설계되어 어느 정도 방음 및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겹치게 되는 창짝(10)의 상, 하단부는 창틀프레임(20)의 내향면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그 사이에 틈새 공간(S)이 생길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창짝(10)이 완전히 닫혔을 때 창짝(10)이 겹치는 부위의 상, 하측에 필링피스(100)를 삽입 설치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링피스(100)는, 창틀프레임(20)의 홈부(22)에 고정 배치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 상면에 하나의 덩어리로 형성되어 상기 틈새 공간(S)을 막아주는 쿠션부재(130) 및 상기 쿠션부재(130)를 감싸주는 커버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진 직사각 형상을 가지되,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을 단턱지게 형성하여 상기 쿠션부재(130)가 안착되도록 안착홈부(도면부호 미도시)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창짝(10)의 슬라이딩 개폐 시 쿠션부재(130)에 가해지는 마찰력에 의한 밀림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게 된다. 또한 창틀프레임(20)과 면접하게 되는 베이스부재(110)의 저면에는 음각으로 이루어진 결로수(W) 배출유로(111)가 형성되어 홈부(22)에 존재하는 결로수(W)를 일측으로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실내 측 창짝(10)에는 겨울철 실내, 외의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현상에 의해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이러한 물방울은 창틀프레임(20)의 하측 홈부(22)에 모이게 되고 물방울이 모여 생성된 결로수(W)는 창틀프레임(20)의 일측에 구비된 결로수 배출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홈부(22) 내에 삽입되는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결로수(W)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부재(110)의 저면에는 결로수(W)가 막힘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배출유로(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로수(W) 배출유로(111)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결로수(W) 배출유로(111)는 'ㄷ'자 또는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로수(W)를 포함한 외부에서의 차가운 외기는 'ㄷ'자 또는 'S'자로 형성된 배출유로(W)를 통해 유입될 때 어느 정도의 정체 시간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외기 및 결로수(W) 유입이 저감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결로수(W)를 막힘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그 어떤 형상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일례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ryene copolymers; ABS),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및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사출에 주로 사용되는 재질인 폴리프로필렌, ABS 및 폴리염화비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는 체결부재(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하여 고정판(12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20) 양측에는 요철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121)는 베이스부재(110)의 양측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바람직하게는 각각 두 개씩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21)는 베이스부재(110)의 억지 끼움 시 홈부(22)의 내측 벽에 가압 밀착됨에 따라, 베이스부재(110)의 견고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판(120)은 금속 재질, 예컨대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강도 및 내수성이 우수한 그 어떤 재질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여건에 따라 고정판(120)이 제거된 상태로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설치 전, 후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상기 창틀프레임(20)의 홈부(22) 내측 벽에 면접되는 양측 중앙부(112)가 상기 홈부(22)의 폭 보다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아치 형상의 탄성장공(113)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상기 고정판(120)이 제거된 상태로 구성되어 상기 홈부(22)에 끼움 결합 시 유연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홈부(22)의 내측 벽에 긁힘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탄성장공(113)은 아치 형상의 장공 형태로 형성되되, 곡선 부위가 서로 마주하도록 폭 방향으로 대향 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상기 창틀프레임(20) 홈부(22)의 내측 벽에 가압 밀착됨에 따라, 상기 탄성장공(113)이 수축하게 되면서 베이스부재(110')의 견고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쿠션부재(13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130)는 일례로,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및 열 압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통해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130)는 구체적 일례로, 신속한 부착이 가능하며 부착된 부분에 대하여 우수한 기밀성을 갖게 할 수 있는 고주파 융착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쿠션부재(130)는, 창짝(10)의 슬라이딩 개폐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은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창짝(10)의 개폐 조작 시 상기 창짝(10)의 모서리부가 만곡부(131)를 타고 부드럽게 이동하여 창짝(10)의 걸림 현상을 줄이고, 쿠션부재(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아울러 창짝(10)의 상면 또는 저면과 맞닿아 눌리게 되면서 틈새 공간을 막아 기밀을 유지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130)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발포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일례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체적 일례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발포 시 공극율을 최소화하여 수분 흡수율을 감소시켜 겨울철에 발생할 수 있는 동결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 내마찰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EPDM일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상기 쿠션부재(130)는 창짝(10)의 슬라이딩 이동 시 부드러운 눌림 및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일례로 발포제, 난연제 및 조핵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의 발포 성형에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열분해형 발포제 및 캡슐형 발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독립 기포 형성에 유리한 발포제라면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독립 기포(closed-cell)란, 수지에 의한 셀 막에 의해 계 외와는 격리되어, 공기 등의 기체(또는 물 등의 액체)의 교환이 차단된(통기하지 않는) 공간(즉 이것을 기포와 칭함)을 갖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와 대응되는 개념으로 연속 기포(open-cell)란, 셀 막의 일부에 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공간을 기체가 왕래하여 교환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상기 난연제는 일례로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산 화니켈의 수화물 및 산화마그네슘·산화아연의 수화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조핵제는 일례로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카, 티타니아, 산화아연,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 알루미늄 등의 산화물, 복합 산화물, 금속 탄산염, 금속 황산염 및 금속 수산화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130)의 독립 기포율은 70-90%, 또는 75-85%일 수 있다. 상기 독립 기포율은 ASTM-D2856-70의 수순 C에 따라, 공기 비교식 비중계(예를 들어 도쿄 사이언스(주) 제조, 형식 1000형)를 사용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130)의 독립 기포율은 쿠션부재(130)의 중앙부 및 폭 방향 양 단부 부근의 총 3개소로부터 세로 25㎜Х가로 25㎜Х두께 20㎜의 크기로 잘라 낸 샘플을 시료로 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하기 식 (1)에 의하여 독립 기포율을 산출하여, 3개소의 독립 기포율의 산술 평균값으로서 구하였다.
독립 기포율(%)=(Vx-W/ρ)Х100/(VA-W/ρ) ?? (1)
단, Vx, VA, W 및 ρ는 이하와 같다.
Vx: 상기 공기 비교식 비중계에 의하여 측정한 시료의 진부피(㎤; 쿠션부재의 시료를 구성하는 수지의 용적과, 시료 중의 독립 기포 부분의 기포 전체 용적의 합.)
VA: 시료의 외형 치수법으로부터 산출한 시료의 겉보기 상의 부피(㎤)
W: 시료의 전체 중량(g)
ρ: 스티렌계 수지 압출 발포체를 구성하는 스티렌계 수지의 밀도(g/㎤)
상기 쿠션부재(130)는 상기 범위의 독립 기포율을 가짐으로써 레일(21) 사이에 수납된 결로수(W)가 쿠션부재(130)에 흡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다. 아울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130)의 수분 흡수율은 10% 이하, 또는 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분 흡수율은 상기 쿠션부재(130)를 물에 1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침지 전 및 침지 후의 상기 쿠션부재(130)의 무게 변화에 의해 계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130)의 수분 흡수율이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수분 흡수로 인하여 실내 내장재가 훼손될 수 있고, 겨울철에는 동결현상이 발생하여 창호의 개폐가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130)의 겉보기 발포 배율은 1.0-10cc/g, 또는 1.3-6cc/g일 수 있다. 상기 겉보기 발포 배율은 JIS K6767에 의해 겉보기 밀도를 측정하고, 그 역수를 발포 배율로 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130)의 겉보기 밀도는 상기 쿠션부재(130)를 15cm3 이상이 되는 샘플 크기로 펀칭하고, 그 두께와 중량을 측정하여 하기 식(2)에 따라 겉보기 밀도를 산출하였다.
겉보기 밀도(kg/m3)=샘플 중량(kg)/{샘플 두께(m)Х샘플 면적(m2)} ?? (2)
이후, 상기 겉보기 밀도의 역수를 발포 배율로 하였다.
상기 쿠션부재(130)는 상기 범위의 발포 배율을 가짐으로써 적당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도 양호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창짝(10)과의 잦은 마찰로 인하여 상기 쿠션부재(130) 표면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마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쿠션부재(130)의 외주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일례로, 접착제(미도시), 양면테이프 및 고주파에 의한 열융착 방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커버부재(140)는 고정력이 우수하며 경제적인 접착제를 통해 상기 쿠션부재(130)의 외주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40)는 일례로 합성섬유 또는 합성수지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부드러운 천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 일례로, 내마찰성이 우수한 라이넥스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필링피스(100)는 주로 실내의 유리창에 맺힌 결로수(W)가 흘려내려 모이게 되는 창틀프레임(20)의 적어도 하측 홈부(2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필링피스(100)는, 창틀프레임(20)의 대향면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레일(21) 중 결로수(W)가 주로 흘러 모이게 되는 하측 홈부(22)에 설치되되, 독립 기포율이 70-90%인 쿠션부재(130)를 베이스부재(110)에 부착시킴으로써 수분 흡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은 물론이고 열교 방지 및 단열, 방음성 등과 같은 기능성 향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필링피스(100)의 저면에 굴곡지게 구비된 'ㄷ'자 또는 'S'자로 형성된 결로수(W) 배출유로(111)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결로수(W) 및 외기를 최대한 차단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창짝 20 : 창틀프레임
21 : 레일 22 : 홈부
100 : 필링피스 110, 110' : 베이스부재
111 : 배출유로 112 : 중앙부
113 : 탄성장공 120 : 고정판
121 : 요철부 130 : 쿠션부재
131 : 만곡부 140 : 커버부재
S : 틈새 공간 W : 결로수

Claims (13)

  1. 창틀프레임과 슬라이딩 창짝의 중첩부 사이 틈새 공간을 막아주는 창호용 필링피스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의 홈부에 고정 배치되며, 상면의 양측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중앙에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안착홈부에 설치되되,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하나의 덩어리로 형성되며, 상측 표면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만곡진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측에 만곡부가 구비되어 상기 틈새 공간을 막아주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을 감싸주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쿠션부재는 독립 기포율이 70~90%가 되며, 겉보기 발포 배율이 1.0-10cc/g으로 구성되면서 수분 흡수율은 물에 12시간 침지시킨 다음 침지 전,후의 무게변화에 의해 계산된 값이 10% 이하로 구성된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로수 배출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로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공중합체(acrylonitrile butadiene stryene copolymers; ABS),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및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은 양측에 복수 개의 요철부가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홈부의 내측 벽에 면접되는 양측 중앙부가 상기 홈부의 폭 보다 크도록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아치 형상의 탄성장공이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호용 필링피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및 열 압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발포되어 형성되되,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발포제, 난연제 및 조핵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창짝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면부가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접착제, 양면테이프 및 고주파에 의한 열융착 방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통해 상기 쿠션부재의 외주면에 접착되는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라이넥스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인 창호용 필링피스.
KR1020180051452A 2018-05-03 2018-05-03 창호용 필링피스 KR10228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52A KR102286547B1 (ko) 2018-05-03 2018-05-03 창호용 필링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52A KR102286547B1 (ko) 2018-05-03 2018-05-03 창호용 필링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87A KR20190127187A (ko) 2019-11-13
KR102286547B1 true KR102286547B1 (ko) 2021-08-06

Family

ID=6853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452A KR102286547B1 (ko) 2018-05-03 2018-05-03 창호용 필링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029B1 (ko) 2019-12-30 2020-09-23 (주) 한길 창틀용 필링피스
KR102466630B1 (ko) * 2022-02-22 2022-11-11 서부성 슬라이딩 창문 틈새막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156B1 (ko) * 2012-09-14 2015-05-13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622B1 (ko) * 2002-09-19 2005-09-02 모야플라스틱 주식회사 편조층이 형성된 고무 씰링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1750Y1 (ko) 2005-09-12 2005-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용 필링피스
US8529817B2 (en) * 2007-10-02 2013-09-10 Sekisui Chemical Co., Ltd.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oam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20160002240U (ko) * 2014-12-19 2016-06-29 송영탁 창호용 필링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156B1 (ko) * 2012-09-14 2015-05-13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87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411B2 (en) Floating flapper valve
KR102286547B1 (ko) 창호용 필링피스
KR101387586B1 (ko) 구조적인 강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의 단열 샤시구조체
KR10152015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US20160222653A1 (en) Mullion-Transom Structure
KR101220463B1 (ko) 내구성이 구비된 합성수지 레일구조의 단열 슬라이드 창호프레임
KR101468686B1 (ko)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520156B1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KR101649923B1 (ko) 단열 및 기밀성능과 배수성능이 우수한 2중 수밀구조 창호
CN205689086U (zh) 断桥铝合金内开内倒门窗***
JP4272638B2 (ja) ガスケットおよび建具
CN208056424U (zh) 一种具有防风功能的简易房屋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KR2003145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KR102095198B1 (ko) 시스템 창호용 기밀 유지구
JP4511391B2 (ja) アルミ製建具防風雨装置
KR200490375Y1 (ko) 방풍재
JP5473999B2 (ja) 木製サッシュ
KR20080072342A (ko)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춘 배수구 장치
KR102534380B1 (ko) 배수구조가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풍지판
KR101499085B1 (ko) 기밀성 및 수밀성이 향상된 창호시스템
KR20130110284A (ko) 창호용 필링 피스
US20220282559A1 (en)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in side section in which two-side supporting frame window sash overlaps door frame in sliding window system
KR101571375B1 (ko) 이중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