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083B1 - Actuator Of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Actuator Of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083B1
KR102283083B1 KR1020200119695A KR20200119695A KR102283083B1 KR 102283083 B1 KR102283083 B1 KR 102283083B1 KR 1020200119695 A KR1020200119695 A KR 1020200119695A KR 20200119695 A KR20200119695 A KR 20200119695A KR 102283083 B1 KR102283083 B1 KR 102283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uty
wires
wire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0295A (en
Inventor
김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3884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55317A/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083B1/en
Publication of KR2020011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2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0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3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는, 렌즈 배럴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와이어;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에 펄스 형태의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 및 상기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중 저항 기울기의 선형 구간이 가장 짧은 기준 구동 와이어를 기준으로, 나머지 구동 와이어를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저항 기울기를 상기 선형 구간에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간의 저항 편차를 산출하며, 상기 선형 구간은,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최대 저항에 대응하는 최소 듀티, 및 최소 저항에 대응하는 최대 듀티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구동 와이어의 최소 듀티에서부터 최대 듀티까지의 최소 듀티 길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최소 듀티 길이의 듀티 폭을 가지는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상기 최소 듀티에서부터 제공할 수 있다.An actuato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wires for driving a lens barr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to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targe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including,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maining driving wires based on the reference driving wire having the shortest linear section of the resistance slope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nd adjusting the resistance slo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in the linear section. By comparison, a resistance devi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is calculated, and the linear section is defined by a minimum duty corresponding to a maximum resist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nd a max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sistan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ccording to a minimum duty length from a minimum duty to a maximum duty of the reference driving wire, and the driving unit transmits a driving signal having a duty width of the minimum duty length to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It can be provided from the above minimum duty of each wire.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Actuator Of Camera module}Actuator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for a camera module.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을 부가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camera is basically employ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 computers, and an auto-focus function,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and a zoom function are added to a camera for a mobile terminal.

그러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크기도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the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size increases, so that the siz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which the camera module is mounted also increases.

스마트폰 카메라 시장의 성장에 따라 OIS 구동 방식과 더불어 오토포커싱 (AF), 광학 줌 (Optical zoom) 등 기존 일반 수동 카메라의 기능을 소형화하여 집적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른 구조 다변화에 따라 기존 OIS 방식 외 다른 OIS 구동 방식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With the growth of the smartphone camera market, attempts are continuously being made to miniaturize and integrate the functions of existing general manual cameras, such as autofocusing (AF) and optical zoom, along with OIS driving method.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n OIS driving method other than the existing OIS method.

미국 등록특허공개 제8570384호US Patent Publication No. 8570384

본 발명의 과제는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uator of a camera module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of a lens barr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는, 렌즈 배럴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와이어;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에 펄스 형태의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 및 상기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중 저항 기울기의 선형 구간이 가장 짧은 기준 구동 와이어를 기준으로, 나머지 구동 와이어를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저항 기울기를 상기 선형 구간에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간의 저항 편차를 산출하며, 상기 선형 구간은,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최대 저항에 대응하는 최소 듀티, 및 최소 저항에 대응하는 최대 듀티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구동 와이어의 최소 듀티에서부터 최대 듀티까지의 최소 듀티 길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최소 듀티 길이의 듀티 폭을 가지는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상기 최소 듀티에서부터 제공할 수 있다.An actuator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wires for driving a lens barr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optical axis;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to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targe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including,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maining driving wires based on the reference driving wire having the shortest linear section of the resistance slope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nd adjusting the resistance slo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in the linear section. By comparison, a resistance devi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is calculated, and the linear section is defined by a minimum duty corresponding to a maximum resist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nd a max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sistan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ccording to a minimum duty length from a minimum duty to a maximum duty of the reference driving wire, and the driving unit transmits a driving signal having a duty width of the minimum duty length to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It can be provided from the above minimum duty of each w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에 따르면,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ctuator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요부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6는 형상기억합금(SMA) 와이어의 온도에 따른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시 구동 와이어의 사이각(θ)에 따른 구동 와이어의 신축시의 수직 방향의 힘(F)을 나타낸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IS 구동 와이어의 체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액츄에이터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더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신호의 듀티에 따른 디지털 값의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view of a main part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hape memory alloy (SMA) wire.
7 shows the vertical force F when the driving wire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angle θ between the driving wires during fast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8B, 8C, and 8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an OIS driv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n actuator employed in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n example of a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dith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graph of digital values according to duty of a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23]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n electronic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phone, and a tablet PC.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ncludes a camera module 10 for photographing a subject.

카메라 모듈(10)에는 자동 초점 조절(AF: Auto Focusing) 기능 및 광학식 흔들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되어, 고화질의 이미지 신호를 전자기기(1)에 제공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an Auto Focusing (AF) function and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 is applied to the camera module 10 to provide a high-quality image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1 .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요부의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module,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110), 프레임(120), 렌즈 배럴(130), OIS 구동 와이어(140), AF 구동 와이어(150), 및 케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 a frame 120 , a lens barrel 130 , an OIS driving wire 140 , and an AF driving wire ( 150 ), and a case 160 .

하우징(110)은 프레임(120)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상면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우징(110)의 저면에는 이미지 센서를 위한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모서리들에는 상부로 연장되는 제1 고정 커넥터(112)들이 마련되고, OIS 구동 와이어(140)의 양 단부는 제1 고정 커넥터(112)에 연결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formed to completely or partially accommodate the frame 120 .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upper surface, and a through hole 111 for an image senso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First fixed connectors 112 extending upwardly are provided at corners of the housing 110 , and both ends of the OIS driving wire 1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fixed connector 112 .

케이스(160)는 하우징(110)의 일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케이스(160)는 하우징(110)의 상면 및 4개 측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케이스(160)는 하우징(110)의 4개 측면만을 덮도록 구성되거나, 케이스(160)는 하우징(110)의 상면 및 4개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60)는 카메라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구동시에 전자파가 발생되고,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에는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쳐 통신 장애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16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하우징(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기판의 접지패드에 접지되어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The case 160 is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housing 110 . For example, the case 160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and four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10 . Alternatively, the case 160 may be configured to cover only four sides of the housing 110 , or the case 160 may be configured to partially cover the upper surface and four sides of the housing 110 . The case 160 may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camera module. When the camera module is driven, an electromagnetic wave is generated, and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is emitted to the outside, it may affect other electronic components and cause communication failure or malfunction. To prevent this, the case 160 may be provided of a metal material and be grounded to a grounding pad of a substrat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to shield electromagnetic waves.

프레임(120)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프레임(120)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서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레임(12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20)의 네 개의 외측면에는 OIS 구동 와이어(140)가 체결되는 제1 장착구(122)가 마련된다. 제1 장착구(122)는 프레임(120)의 외측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착구(122)는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단차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2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to be mov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For example, the frame 120 moves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 The frame 12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 first mounting hole 122 to which the OIS driving wire 140 is fastened is provided on four outer surfaces of the frame 120 . The first mounting hole 122 may be dispos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20 . The first mounting hole 12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tep portion 121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120 .

프레임(120)의 내부면에는 렌즈 배럴(130)의 제2 장착구(132)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 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124)은 렌즈 배럴(130)과 프레임(120)의 결합시, 렌즈 배럴(130)의 제2 장착구(132)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An insertion groove 124 into which the second mounting hole 132 of the lens barrel 13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20 . The insertion groove 124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second mounting hole 132 of the lens barrel 130 is disposed when the lens barrel 130 and the frame 120 are coupled.

프레임(120)의 네 개의 내측면 중 하나의 내측면에는 AF 구동 와이어(150)의 설치를 위한 제2 고정 커넥터(126)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 커넥터(126)는 삽입 홈(125)이 형성되는 내측면과 동일한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20)의 상단부에 한 쌍의 제2 고정 커넥터(126)가 마련되고, 프레임(120)의 하단부에 한 쌍의 제2 고정 커넥터(126)가 마련될 수 있다. A second fixing connector 126 for installing the AF driving wire 150 may be provided on one of the four inner surfaces of the frame 120 . The second fixing connector 126 may be provided on the same inner surface as the inner surface on which the insertion groove 125 is formed. A pair of second fixed connectors 126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120 , and a pair of second fixed connectors 126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rame 120 .

렌즈 배럴(130)은 프레임(120)을 기준으로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렌즈 배럴(130)의 일 측에는 복수의 제2 장착구(132)가 형성된다. 제2 장착구(132)는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2개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장착구(132)는 프레임(120)의 삽입 홈(124) 내에 삽입 배치된다.The lens barrel 130 is installed in the frame 120 to be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120 .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holes 13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ns barrel 130 . Two second mounting holes 13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axis direction). The second mounting hole 132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124 of the frame 120 .

렌즈 배럴(13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렌즈는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 배럴(130)에 구비된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렌즈 배럴(130)의 설계에 따른 수만큼 적층되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lens barrel 130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at least one lens for imaging a subjec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lens is provided in the lens barrel 130 along an optical axis. At least one lens may be stacked as many as the number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lens barrel 130 , and may each have the same or different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efractive index.

OIS 구동 와이어(14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은 모상(母相)에서 형성된 합금이 다른 상에서 변형된 경우, 모상으로 되돌리면 형상도 원래로 되돌아가는 형상 기억 효과를 갖는 합금으로, 상술한 상(相)은 열, 즉 온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OIS 구동 와이어(140)는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로 인해 수축 및 팽창하여 변형될 수 있다. OIS 구동 와이어(140)는 후술할 액츄에이터의 일 구성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The OIS driving wire 140 may be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A shape-memory alloy is an alloy having a shape-memory effect in which, when an alloy formed in a parent phase is deformed from another phase, the shape returns to the original phase when returned to the parent phase. The above-mentioned phase corresponds to heat, that is, temperature can do. Accordingly, the OIS driving wire 140 may be deformed by contracting and expanding due to heat generated when current flows. The OIS driving wire 140 may correspond to one component of an actuator to be described later.

OIS 구동 와이어(140)는 프레임(120)을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와이어(141), 및 제2 구동 와이어(142)와 프레임(120)을 광축에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구동 와이어(143), 및 제4 구동 와이어(14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IS driving wire 140 includes a first driving wire 141 for moving the frame 120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driving wire 142 and the frame 120 . It may include a third driving wire 143 for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a fourth driving wire 144 .

한편, 제1 구동 와이어(141), 및 제2 구동 와이어(142)는 각각 프레임(120)의 외측면의 제1 장착구(122)에 체결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구동 와이어(143), 및 제4 구동 와이어(144)는 각각 프레임(120)의 외측면에 체결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riving wire 141 and the second driving wire 142 may b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mounting hole 122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20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third driving The wire 143 and the fourth driving wire 144 may b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20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제1 구동 와이어(141), 제2 구동 와이어(142), 제3 구동 와이어(143), 및 제4 구동 와이어(144) 각각은 양단부가 하우징(110)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제1 고정 커넥터(112)에 설치되며, 중앙부가 프레임(120)의 제1 장착구(122)에 체결된다. OIS 구동 와이어(140)는 대략 V자 형상을 가지도록 하우징(110)과 프레임(120)에 설치된다. Each of the first driving wire 141 , the second driving wire 142 , the third driving wire 143 , and the fourth driving wire 144 has a first fixing having both ends extending from adjacent corners of the housing 110 . It is installed on the connector 112 , and the central part is fastened to the first mounting hole 122 of the frame 120 . The OIS driving wire 14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frame 120 to have a substantially V-shape.

프레임(120)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와이어(141), 및 제2 구동 와이어(142)와 프레임(120)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구동 와이어(143), 및 제4 구동 와이어(144)에 일정량의 전류를 제공하는 경우, 프레임(120)의 중심과 하우징(110)의 중심이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A first driving wire 141 for moving the frame 120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third driving wire 143 for moving the second driving wire 142 and the frame 120 in the Y-axis direction,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is supplied to the fourth driving wire 144 , the center of the frame 120 and the center of the housing 110 may be identically disposed.

제1 OIS 구동 와이어(141)에 제공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1 OIS 구동 와이어(141)를 수축시키고, 제2 구동 와이어(142)에 제공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제2 구동 와이어(142)를 이완시키면 프레임(120)의 중심이 하우징(1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제1 OIS 구동 와이어(141)에 제공되는 전류를 감소시켜 제1 OIS 구동 와이어(141)를 이완시키고, 제2 구동 와이어(142)에 제공되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2 구동 와이어(142)를 수축시키면 프레임(120)의 중심이 하우징(1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된다.The first OIS driving wire 141 is contracted by increas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irst OIS driving wire 141 , and the second driving wire 142 is relaxed by decreas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second driving wire 142 . When this is done, the center of the frame 120 is moved to the left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110 . Conversely, the first OIS driving wire 141 is relaxed by reduc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irst OIS driving wire 141 , and the second driving wire 142 by increas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second driving wire 142 . ), the center of the frame 120 is moved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110 .

한편, 제1 구동 와이어(141), 및 제2 구동 와이어(142)를 신축시키는 방식과 동일하게 제3 구동 와이어(143), 및 제4 구동 와이어(144)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증감시켜 프레임(120)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thod of stretching the first driving wire 141 and the second driving wire 142 ,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third driving wire 143 and the fourth driving wire 144 is increased or decreased. The frame 120 may move in the Y-axis direction.

AF 구동 와이어(14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AF 구동 와이어(150)는 렌즈 배럴(13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120)의 네 개의 내측면 중 하나의 내측면에 AF 구동 와이어(150)가 배치될 수 있다. AF 구동 와이어(150)는 제1 AF 구동 와이어(152) 및, 제1 AF 구동 와이어(1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AF 구동 와이어(1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F driving wire 140 may be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The AF driving wire 150 may move the lens barrel 130 in the Z-axis direction. For example, the AF driving wire 150 may be disposed on one of the four inner surfaces of the frame 120 . The AF driving wire 150 may include a first AF driving wire 152 and a second AF driving wire 154 disposed under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

한편, AF 구동 와이어(150)는 양단부가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제2 고정 커넥터(126)에 설치되며, AF 구동 와이어(150)의 중앙부는 렌즈 배럴(130)의 제2 장착구(132)에 연결될 수 있다. AF 구동 와이어(150)는 대략 V자 형상을 가지도록 프레임(120)과 렌즈 배럴(130)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AF driving wire 150 is installed in the second fixing connector 126 having both end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20 , and the central part of the AF driving wire 150 is the second mounting of the lens barrel 130 . It may be connected to the sphere 132 . The AF driving wire 150 is installed in the frame 120 and the lens barrel 130 to have a substantially V-shape.

제1 AF 구동 와이어(152), 및 제2 AF 구동 와이어(154)에 일정량의 전류를 제공하는 경우 렌즈 배럴(130)은 베이스 위치에 배치된다. 제1 AF 구동 와이어(152)에는 전류를 증가시켜 제1 AF 구동 와이어(152)를 수축시키고, 제2 AF 구동 와이어(154)에 전류를 감소시켜 제2 AF 구동 와이어(154)를 이완시키면 렌즈 배럴(130)은 상부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제1 AF 구동 와이어(152)에는 전류를 감소시켜 제1 AF 구동 와이어(152)를 이완시키고, 제2 AF 구동 와이어(154)에 전류를 증가시켜 제2 AF 구동 와이어(154)를 수축시키면 렌즈 배럴(130)은 하부로 이동된다.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and the second AF driving wire 154 , the lens barrel 130 is disposed at the base position. When a current is increased in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to contract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 and a current is decreased in the second AF driving wire 154 to relax the second AF driving wire 154 , the lens The barrel 130 is moved upward. Conversely,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reduces the current to relax the first AF driving wire 152 , and increases the current to the second AF driving wire 154 to connect the second AF driving wire 154 . When contracted, the lens barrel 130 is moved downward.

도 6는 형상기억합금(SMA) 와이어의 온도에 따른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shape memory alloy (SMA) wire.

도 6를 참조하면,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OIS 구동 와이어(140)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길이가 짧아지는 특성을 가진다. 한편, 도 5의 T1과, T2는 실온(25℃)보다 크며, 형상기억합금(SMA) 와이어의 길이인 L1과 L2는 L1>L2인 관계를 만족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SMA) 와이어의 길이인 L1과 L2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OIS driving wire 140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length is shorten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1 and T2 in FIG. 5 are greater than room temperature (25° C.), and L1 and L2, which are the lengths of the shape memory alloy (SMA) wire, satisfy the relationship of L1 > L2. At this time, the lengths of the shape memory alloy (SMA) wire, L1 and L2, satisfy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L2 = 0.978×L1 L2 = 0.978×L1

도 4을 참조하면, 제1 고정 커넥터(112) 간의 거리를 d, OIS 구동 와이어(140)의 길이를 L, 하우징(110)의 내측면과 제1 장착구(122)의 내측면 간의 거리를 h라 가정하면, h는 하기의 수학식 2을 만족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ing connectors 112 is d, the length of the OIS driving wire 140 is 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hole 122 is Assuming h, h satisfies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h = {(L/2)2 - (d/2)2}1/2 h = {(L/2) 2 - (d/2) 2 } 1/2

일 예로, 제1 고정 커넥터(112) 간의 거리를 d가 8.8mm이고, 상온에서의 OIS 구동 와이어(140)의 길이 L1가 9.08mm인 것으로 가정하면, OIS 구동 와이어(140)가 최대로 이완되어 있을 때, 거리 h가 최대값을 가지며, 최대 거리 hmax는 1.12mm 이다. 또한, OIS 구동 와이어(140)가 최대로 수축되어 있을 때, 거리 h가 최소값을 가지며, 최소 거리 hmin는 0.6mm 이다. 따라서, OIS 구동 와이어(140)의 수축, 및 이완을 통해, 프레임(120)은 X축 및 Y축 방향으로 최대 0.52mm의 스트로크(Stroke)(이동거리)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ed connectors 112 is d is 8.8 mm and the length L1 of the OIS driving wire 140 at room temperature is 9.08 mm, the OIS driving wire 140 is relaxed to the maximum. When there is, the distance h has a maximum value, and the maximum distance h max is 1.12 mm. Further, when the OIS driving wire 140 is maximally retracted, the distance h has a minimum value, and the minimum distance h min is 0.6 mm. Accordingly, through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OIS driving wire 140 , the frame 120 may have a stroke (movement distance) of up to 0.52 mm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또한, 도 5을 참조하면, 제2 고정 커넥터(126) 간의 거리를 d, AF 구동 와이어(150)의 길이를 L, 제2 고정 커넥터(126)와 제2 장착구(132) 간의 거리를 h라 가정하고, 제2 고정 커넥터(126) 간의 거리를 d가 6.7mm이고, 상온에서의 AF 구동 와이어(150)의 길이 L1이 6.86mm인 것으로 가정하면, 최대 거리 hmax는 0.73mm이고, 최소 거리 hmin는 0.17mm 이다. 따라서, AF 구동 와이어(150)의 수축 및 이완을 통해, 렌즈 배럴(130)은 Z 축 방향으로 최대 0.56mm의 스트로크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connectors 126 is d, the length of the AF driving wire 150 is 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connector 126 and the second mounting hole 132 is h. Assuming that d is 6.7 mm for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ed connectors 126 and the length L1 of the AF driving wire 150 at room temperature is 6.86 mm, the maximum distance h max is 0.73 mm, and the minimum The distance h min is 0.17 mm. Accordingly, through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AF driving wire 150 , the lens barrel 130 may have a stroke of up to 0.56 mm in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OIS 구동 와이어(140)와 AF 구동 와이어(150)를 통해 OIS 구동과 AF 구동을 수행하므로, 카메라 모듈(10)을 경량화할 수 있고,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여, 공정시간 단축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IS driving and AF driving are performed through the OIS driving wire 140 and the AF driving wire 150, the camera module 10 can be lighten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shortening the process time.

한편, 카메라 모듈은 자동 초점 조절(AF: Auto Focusing) 기능 및 광학식 흔들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OIS 구동 와이어(140)와 AF 구동 와이어(150)는 최대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프레임 및 렌즈 배럴을 구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다만, 프레임(120)이 중심에 위치할 시에, OIS 구동 와이어(140)가 하우징(110) 및 프레임(120)에 체결되는 경우, 최대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프레임을 구동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mera module to perform an auto focusing (AF) function and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 the OIS driving wire 140 and the AF driving wire 150 are within the maximum stroke rang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driving force that can drive the frame and the lens barrel. However, when the frame 120 is located in the center, when the OIS driving wire 14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10 and the frame 120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rame cannot be driven within the maximum stroke rang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시 구동 와이어의 사이각(θ)에 따른 구동 와이어의 신축시의 수직 방향의 힘(F)을 나타낸다. 7 shows the vertical force F when the driving wire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angle θ between the driving wires during fast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동 와이어는, 구동 와이어를 최대로 이완한 상태에서, 프레임 등에 체결된다. 다만, 도 7을 참조하면, 구동 와이어의 체결시, 구동 와이어 간의 사이각(θ)이 클 수록, 구동 와이어가 신축할 때의 수직 방향의 힘(F)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driving wire is fastened to a frame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wire is maximally relaxed. However, referring to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r the angle θ between the driving wires when the driving wires are fastened, the smaller the force F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riving wires expand and contract.

일 예로, 도 4에서, 제1 구동 와이어(141)를 프레임(120)에 체결시, 프레임(120)이 중립에 위치하는 경우, 또는 프레임(120)이 하우징(110)의 좌측변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프레임(120)이 하우징(110)의 우측변에 위치하는 경우가 구동 와이어 간의 사이각(θ)이 작으므로, 제1 구동 와이어(141)가 신축할 때의 수직 방향 - 도 4의 (-)X축 방향 - 의 힘(F)을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4 , when the first driving wire 141 is fastened to the frame 120 , the frame 120 is positioned in a neutral position, or the frame 120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110 .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rame 12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110 , the angle θ between the driving wires is small, so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driving wire 141 expands and contracts - in FIG. 4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orce (F) in the (-)X-axis direction.

따라서, OIS 구동 와이어(140)가 신축할 때의 최대 힘을 확보하기 위하여, 체결될 구동 와이어에 따라, 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maximum force when the OIS driving wire 140 expands and contracts,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driving wire to be fastened.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IS 구동 와이어의 체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8d, 에서, 제1 구동 와이어(141), 제2 구동 와이어(142), 제3 구동 와이어(143), 및 제4 구동 와이어(144) 순서로 체결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8A, 8B, 8C, and 8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an OIS driv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8B, 8C, and 8D, the first driving wire 141, the second driving wire 142, the third driving wire 143, and the fourth driving wire 144 are fastened in this order. assumed to be

다만, 제1 구동 와이어(141), 제2 구동 와이어(142), 제3 구동 와이어(143), 및 제4 구동 와이어(144)의 신축시의 최대 힘을 확보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 체결 순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동 와이어(142), 제1 구동 와이어(141), 제4 구동 와이어(144), 및 제3 구동 와이어(143) 순서로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within the range for securing the maximum force dur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irst driving wire 141 , the second driving wire 142 , the third driving wire 143 , and the fourth driving wire 144 , the fastening order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of course, the second driving wire 142 , the first driving wire 141 , the fourth driving wire 144 , and the third driving wire 143 may be fastened in this or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대상이 되는 구동 와이어가 배치되는 내측면과 반대면에 프레임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프레임과 구동 와이어가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체결 대상이 되는 구동 와이어가 광축에 수직한 일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프레임은 광축에 수직한 타 방향에서는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and the driving wir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frame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ner side where the driving wire to be fastened is disposed. In this case, when the driving wire to be fastened provides driving force in on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rame may be centered in the other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도 8a는 체결 대상에 해당하는 제1 구동 와이어(141)를 프레임(120)에 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8A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fastening the first driving wire 141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target to the frame 120 .

도 8a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제1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제1 구동 와이어(141)의 양단부가 체결되고, 프레임(120)이 Y축 방향에서 중심에 위치하고, X축 방향으로 제2 내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구동 와이어(141)의 중앙부는, 대향하는 제1 장착구(122)에 체결된다. Referring to FIG. 8A , both ends of the first driving wire 141 are fastened to a corner formed by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and the frame 120 is centered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X-axis direction In a state located on the second inn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wire 141 ,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riving wire 141 is fastened to the opposing first mounting hole 122 .

도 8b는 체결 대상에 해당하는 제2 구동 와이어(142)를 프레임(120)에 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8B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fastening the second driving wire 142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target to the frame 120 .

도 8b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제2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제2 구동 와이어(142)의 양단부가 체결되고, 프레임(120)이 Y축 방향에서 중심에 위치하고, X축 방향으로 제1 내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구동 와이어(142)의 중앙부는, 대향하는 제1 장착구(122)에 체결된다.Referring to FIG. 8B , both ends of the second driving wire 142 are fastened to the corner formed by the second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and the frame 120 is centered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X-axis direction In the state positioned on the first inner surfa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wire 142 is fastened to the opposing first mounting hole 122 .

도 8c는 체결 대상에 해당하는 제3 구동 와이어(143)를 프레임(120)에 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8C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fastening the third driving wire 143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target to the frame 120 .

도 8c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제3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제3 구동 와이어(143)의 양단부가 체결되고, 프레임(120)이 X축 방향에서 중심에 위치하고, Y축 방향으로 제4 내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3 구동 와이어(143)의 중앙부는, 대향하는 제1 장착구(122)에 체결된다.Referring to FIG. 8C , both ends of the third driving wire 143 are fastened to the corners formed by the third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and the frame 120 is center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n the state positioned on the fourth inner surfa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driving wire 143 is fastened to the opposing first mounting hole 122 .

도 8d는 체결 대상에 해당하는 제4 구동 와이어(144)를 프레임(120)에 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8D is a view provided to explain a method of fastening the fourth driving wire 144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target to the frame 120 .

도 8d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제4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제4 구동 와이어(144)의 양단부가 체결되고, 프레임(120)이 X축 방향에서 중심에 위치하고, Y축 방향으로 제3 내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4 구동 와이어(144)의 중앙부는, 대향하는 제1 장착구(122)에 체결된다.Referring to FIG. 8D , both ends of the fourth driving wire 144 are fastened to a corner formed by the fourth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and the frame 120 is centere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n the state positioned on the third inner surfa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ourth driving wire 144 is fastened to the opposing first mounting hole 12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대상이 되는 구동 와이어가 배치되는 내측면과 반대면에 프레임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프레임과 구동 와이어를 체결함으로써, 구동 와이어가 신축할 때의 구동력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astening the frame and the driving wire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inner surface on which the driving wire to be fastened is disposed, the driving force when the driving wire expands and contracts is maximized can be obtain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액츄에이터의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신호의 일 예를 나타낸다. 9 is a block diagram of an actuator employed in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shows an example of a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20)는 도 2의 OIS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학식 흔들림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actuato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9 may include the OIS driving wire of FIG. 2 to perform an optical shake correction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20)는 제어부(210), 구동부(220), OIS 구동 와이어(230), 및 디지털 변환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10), 구동부(220), 및 디지털 변환부(240)는 하나의 드라이버 IC(Driver IC: Driver Integrated Circuit) 내에 마련될 수 있다. OIS 구동 와이어(230)는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는 도 2의 제1 구동 와이어(141), 제2 구동 와이어(142), 제3 구동 와이어(143), 및 제4 구동 와이어(144)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The actuato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210 , a driving unit 220 , an OIS driving wire 230 , and a digital conversion unit 24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10 , the driver 220 , and the digital converter 240 may be provided in one driver IC (Driver Integrated Circuit). The OIS driving wire 230 may includ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nd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include the first driving wire 141 of FIG. The second driving wire 142 , the third driving wire 143 , and the fourth driving wire 144 correspond to the same components.

제어부(2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이로 신호(Sgy)와 피드백 신호(Sf)에 따라 제어 신호(Scon)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Scon)를 구동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10 ma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Scon according to the gyro signal Sgy and the feedback signal Sf input from the outside, and may provide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Scon to the driving unit 220 .

자이로 신호(Sgy)는 카메라 모듈 또는 모바일 기기에 채용되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자이로 신호(Sgy)에 의해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자이로 신호(Sgy)는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되는 카메라 모듈 또는 모바일 기기의 흔들림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The gyro signal Sgy may be provided from a camera module or a gyro sensor employed in a mobile device. A targe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may be determined by the gyro signal Sgy. The gyro signal Sgy may be generated from shaking of a camera module or mobile device detected by the gyro sensor.

제어 신호(Scon)는 OIS 구동 와이어(230)에 구비되는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채널 정보 및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에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 각각의 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signal Scon includes channel information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provided in the OIS driving wire 230 and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t target positions of the lens barrel, respectively. of current information.

구동부(220)는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Scon)에 따라 구동 신호(Sdr)를 생성하여 OIS 구동 와이어(230)에 제공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제어 신호(Scon)의 채널 정보 및 전류 정보에 따라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제공되는 구동 신호(Sdr)의 펄스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부(22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회로를 구비하여, 제어 신호(Scon)의 전류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Sdr)의 펄스 폭을 조절하여,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를 구동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제공되는 구동 신호(Sdr)의 펄스 폭은 목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20 may generate a driving signal Sd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Sc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210 and may be provided to the OIS driving wire 230 . The driving unit 220 may adjust the pulse width of the driving signal Sdr provided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and current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Scon.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220 includes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circuit, and adjusts the pulse width of the driving signal Sdr according to current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Scon to adjust the pulse width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 . -Wire4) can be driven. Pulse widths of the driving signals Sdr provided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arget positions.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부(220)는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구동 신호(Sdr)를 동시에 제공하여,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를 동시 구동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220)는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2)를 소정의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driving unit 220 simultaneously provides the driving signal Sdr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to simultaneously drive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can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220 may sequentially drive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2 for a predetermined time.

디지털 변환부(240)는 OIS 구동 와이어(230)의 아날로그 신호(Sa)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피드백 신호(Sf)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 신호(Sf)를 제어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OIS 구동 와이어(230)의 아날로그 신호(Sa)는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저항, 일 예로 열 저항에 해당할 수 있다. 디지털 변환부(240)는 OIS 구동 와이어(230)의 저항을 측정하여 렌즈 배럴 또는 렌즈 배럴과 함께 이동하는 프레임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igital conversion unit 240 converts the analog signal Sa of the OIS driving wire 230 into a digital signal to generate a feedback signal Sf, and provides the generated feedback signal Sf to the control unit 210 . there is. The analog signal Sa of the OIS driving wire 230 may correspond to the resistance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for example, a thermal resistance. The digital converter 240 may measure the resistance of the OIS driving wire 230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or the frame moving together with the lens barrel.

디지털 변환부(240)는 아날로그 신호(Sa)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를 포함하여, 디지털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는 샘플 앤드 홀드(Sample & hold) 동작하여, 아날로그 신호(Sa)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The digital converter 240 may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sion circuit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Sa into a digital signal, and may perform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The analog-to-digital conversion circuit may perform a sample and hold operation to convert the analog signal Sa into a digital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환부(240)는, 시스템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는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아날로그 신호(Sa)를 순차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 동작(ADC)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igital convers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analog-to-digital conversion circuit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ystem resources. Accordingly, referring to FIG. 10 , one analog-to-digital conversion circuit performs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DC) for sequentially converting the analog signals Sa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into digital signals. can do.

디지털 변환부(240)는 디지털 변환 동작이 완료되면, 디지털 변환 동작의 완료를 통지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is completed, the digital conversion unit 240 may provide an interrupt signal for notifying the completion of the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to the controller 210 .

한편, 디지털 변환부(240)는 제어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에 따라, 디지털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구동 신호(Sdr)의 펄스가 제공되는 타이밍 - 구동 신호(Sdr)가 하이 레벨인 타이밍 - 에서, 디지털 변환부(240)가 디지털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를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gital conversion unit 240 may perform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art flag signal Ssf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210 . In order to precisely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the control unit 210 performs a digital conversion unit 240 at a timing at which a pulse of the driving signal Sdr is provided - a timing at which the driving signal Sdr is at a high level. A start flag signal Ssf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conversion opera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변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11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지털 변환 동작 및 제2 디지털 변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디지털 변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11 (a)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first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nd a second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b) is a second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의 제공 타이밍으로부터, 소정의 기준 시간 경과 후에, 디지털 변환 타이밍이 도래하여, 구동 신호(Sdr)의 펄스가 제공되는 타이밍에서, 디지털 변환 동작(ADC)이 수행될 수 있다.11(a) and 11(b), the digital conversion timing arrives afte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has elapsed from the supply timing of the start flag signal Ssf, and the pulse of the driving signal Sdr is provided. At timing,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DC) may be performed.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디지털 변환 동작을 위하여, 복수의 구동 와이어 중 리드(read)될 구동 와이어와 구동 신호의 복수의 펄스 중 리드(read) 될 펄스가 설정되면, 설정된 리드 대상에 해당하는 구동 와이어와 리드 대상이 되는 펄스에 따라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가 제공된다.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가 제공된 후, 소정의 기준 시간 경과 후에, 도래하는 디지털 변환 타이밍에 제공되는 펄스의 폭 내에서 디지털 변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A , for the first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when a driving wire to be read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wires and a pulse to be read among a plurality of pulses of a driving signal are set, the set read target A start flag signal Ssf is provided according to a driving wire corresponding to , and a pulse to be read. After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art flag signal Ssf is provided,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within the width of a pulse provided at an upcoming digital conversion timing.

제1 디지털 변환 동작은 사전적으로 결정된 리드 대상에 해당하는 구동 와이어와 리드 대상에 해당하는 펄스에 따라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가 제공되어, 디지털 변환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first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may be understood as performing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by providing a start flag signal Ssf according to a driving wir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ead target and a pulse corresponding to a read target.

제2 디지털 변환 동작은 제1 디지털 변환 동작과 유사하나, 디지털 변환 동작이 리드 대상에 해당하는 펄스의 센터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디지털 변환 동작이 리드 대상에 해당하는 펄스의 센터 구간에서 수행되기 위하여, 리드 대상에 해당하는 펄스의 듀티 폭의 절반을 연산하고, 연산된 듀티 폭의 절반을 고려하여,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가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but the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a center section of a pulse corresponding to a read target. In order for the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the center section of the pulse corresponding to the read target, half of the duty width of the pulse corresponding to the read target is calculated, and half of the calculated duty width is considered, the start flag signal Ssf is may be provided.

도 11(c)를 참조하면, 제3 디지털 변환 동작은 디지털 변환 타이밍을 고정하여, 사전에 고정된 타이밍마다 주기적으로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가 제공되고, 제공된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에 따라 소정의 기준 시간의 경과 후에 디지털 변환 동작(ADC)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변환 동작(ADC)은 스타트 플래그 신호(Ssf)가 제공된 후, 소정의 기준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마다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변환 타이밍에 구동 신호의 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 디지털 변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c ), the third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fixes the digital conversion timing, so that a start flag signal Ssf is periodically provided at predetermined timings fixed in advance, and a predetermined start flag signal Ssf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ovided start flag signal Ssf. A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DC) may be performed after the lapse of a reference time of . However, the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ADC is not performed every time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is provided after the start flag signal Ssf is provided, but when a pulse of the driving signal is provided at the digital conversion timing, the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This can be don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더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도이다. 도 12에서, 구동 신호(Sdr)가 제1 펄스(pulse 1) 내지 제4 펄스(pulse 4)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2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dithe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2 , it is assumed that the driving signal Sdr includes a first pulse 1 to a fourth pulse pulse 4 .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220)는 제어 신호(Scon)의 채널 정보 및 전류 정보에 따라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제공되는 구동 신호(Sdr)의 펄스 폭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신호(Scon)는 디더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디더링 정보에 따라, 구동부(220)는 구동 신호(Sdr)의 펄스 폭을 추가적으로 조절하여, 디지털 변환부(240)의 디지털 변환 타이밍과 구동 신호의 펄스가 구동 와이어로 제공되는 타이밍을 동기화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220 may adjust the pulse width of the driving signal Sdr provided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ccording to channel information and current information of the control signal Scon. . Meanwhile, the control signal Scon may further include dithering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dithering information, the driving unit 220 additionally adjusts the pulse width of the driving signal Sdr, so that the digital conversion timing of the digital converting unit 240 is It is possible to synchronize the timing at which the pulses of the drive signal are provided to the drive wire.

구체적으로, 디지털 변환부(240)의 디지털 변환 타이밍과 구동 신호의 펄스가 구동 와이어로 제공되는 타이밍이 서로 다른 경우, 구동부(220)는, 디더링 정보에 의해, 디지털 변환 타이밍과 구동 신호의 펄스가 와이어로 제공되는 타이밍을 일치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digital conversion timing of the digital conversion unit 240 and the timing at which the pulse of the driving signal is provided to the driving wir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driving unit 220 sets the digital conversion timing and the pulse of the driving signal by dithering information. The timing provided by the wire can be matched.

구동부(220)는 디더링 정보에 따라, 구동 신호의 펄스 폭을 디더링 폭(Dithering width) 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22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pulse width of the driving signal by the dithering width according to the dithering information.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부(220)는 디더링 정보에 따라, 제1 펄스(pulse 1) 내지 제4 펄스(pulse 4) 각각의 펄스 폭을 디더링 폭(Dithering width) 만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구동부(220)는 인접하는 펄스 중 하나의 펄스의 폭은 디더링 폭(Dithering width) 만큼 증가시킬 수 있고, 다른 하나의 펄스의 폭은 디더링 폭(Dithering width)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driving unit 22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pulse width of each of the first pulses 1 to 4 by the dithering width according to the dithering information. . The driving unit 220 may increase the width of one of the adjacent pulses by the dithering width and decrease the width of the other pulse by the dithering width.

예를 들어, 제1 펄스(pulse 1)의 폭을 증가시키는 경우, 제2 펄스(pulse 2)의 폭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펄스(pulse 3)의 폭을 증가시키는 경우, 제2 펄스(pulse 2)의 폭 또는 제4 펄스(pulse 4)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first pulse pulse 1 is increased, the width of the second pulse pulse 2 may be decreased. 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third pulse (pulse 3) is increased, the width of the second pulse (pulse 2) or the width of the fourth pulse (pulse 4) may be de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신호에 디더링 방식을 적용하여, 구동 신호의 펄스 폭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디더링 방식이 적용된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 신호(Sdr)의 펄스가 제공되는 타이밍에, 디지털 변환 동작이 보다 정밀하게 수행되어,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ulse width of the driving signal may be flexibly adjusted by applying a dithering method to the driving signal.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to which the dithering method is applied, the digital conversion operation is performed more precisely at the timing when the pulse of the driving signal Sdr is provided, so th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can be accurately detect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신호의 듀티에 따른 저항의 그래프이다. 13 is a graph of resistance according to duty of a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저항 값은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3의 저항 값은,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변환된 디지털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디지털 값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나, 이하의 내용이 저항 값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resistance value of FIG. 13 may be obtained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For example, the resistance value of FIG. 13 may correspond to a digital value obtained by digital conversion of an analog signal.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gital value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ollowing contents may be applied to resistance values as they are.

이상적인(ideal) 경우, 동일한 듀티를 가지는 구동 신호가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제공되는 경우,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열 저항으로부터 산출되는 디지털 값(Digital Value)은 동일하다. In an ideal case, when driving signals having the same duty are provided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 a digital value calculated from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Digital Value) is the same.

다만, 도 13을 참조하면, 동일한 듀티를 가지는 구동 신호가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제공되는 경우에도,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열 저항으로부터 산출되는 디지털 값(Digital Value)이 서로 다르고, 디지털 값(Digital Value)의 최대값 및 최소값에 대응하는 최소 듀티 및 최대 듀티는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However, referring to FIG. 13 , even when driving signals having the same duty are provided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 it is calculated from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 It can be seen that the digital values us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minimum duty and the max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digital valu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서로 다른 디지털 값과 같은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저항 특성 편차는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공정 편차로부터 발생하고, 특히, 도 8a 내지 도 8b과 같은 방식으로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체결시,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가해지는 로드에 의해 각 구동 와이어 간의 저항 특성 편차가 커질 수 있다. The deviation of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such as different digital values, occurs from the process deviation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nd in particular, FIGS. 8A to 8B and In the same manner, when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re fastened, a resistance characteristic deviation between the respective driving wires may increase due to a load applied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

따라서,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정밀한 구동을 위하여,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저항 특성 편차는 보정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cisely drive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the deviation in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needs to be corr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제로(Zero) 듀티부터 풀(full) 듀티까지의 구동 신호를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인가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driving unit 220 to transmit driving signals from zero duty to full duty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ccredit to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제로(Zero) 듀티부터 풀(full) 듀티까지의 구동 신호를 인가한 후, 각 구동 와이어 마다 최대 디지털 값 및 최대 디지털 값에 대응하는 최소 듀티, 최소 디지털 값 및 최소 디지털 값에 대응하는 최대 듀티를 결정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최대 디지털 값에 최소 듀티가 대응되고, 최소 디지털 값에 최대 듀티가 대응됨을 알 수 있다. After applying a driving signal from zero duty to full duty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the maximum digital value and the min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igital value for each driving wire; Determine the minimum digital value and the max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digital value. Referring to FIG. 13 , it can be seen that the minimum duty corresponds to the maximum digital value and the maximum duty corresponds to the minimum digital value.

이 때, 최대 디지털 값을 가지는 듀티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듀티 중 가장 큰 듀티가 최대 디지털 값에 대응되는 최소 듀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소 디지털 값을 가지는 듀티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듀티 중 가장 작은 듀티가 최소 디지털 값에 대응되는 최대 듀티로 선정될 수 있다. 최대 디지털 값에 대응하는 최소 듀티, 및 최소 디지털 값에 대응하는 최대 듀티에 의해,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 각각의 저항 특성의 선형 구간이 정의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uties having the maximum digital value, the largest duty among the plurality of duties may be determined as the min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igital value. Also, when a plurality of duties having a minimum digital value exist, the smallest duty among the plurality of duties may be selected as the max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digital value. A linear section of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 to Wire4 may be defined by the min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igital value and the max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digital value.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듀티 길이(Duty_Length)는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Duty_Length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3 below.

[수학식 3][Equation 3]

Duty_Length_w1 = Max_Duty_w1 - Min_Duty_w1Duty_Length_w1 = Max_Duty_w1 - Min_Duty_w1

Duty_Length_w2 = Max_Duty_w2 - Min_Duty_w2Duty_Length_w2 = Max_Duty_w2 - Min_Duty_w2

Duty_Length_w3 = Max_Duty_w3 - Min_Duty_w3Duty_Length_w3 = Max_Duty_w3 - Min_Duty_w3

Duty_Length_w4 = Max_Duty_w4 - Min_Duty_w4Duty_Length_w4 = Max_Duty_w4 - Min_Duty_w4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제1 구동 와이어(Wire1)의 듀티 길이(Duty_Length_w1)는 최대 듀티(Max_Duty_w1)와 최소 듀티(Min_Duty_w1)의 차 따라 결정되고, 제2 구동 와이어(Wire2)의 듀티 길이(Duty_Length_w2)는 최대 듀티(Max_Duty_w2)와 최소 듀티(Min_Duty_w2)의 차 따라 결정되고, 제3 구동 와이어(Wire3)의 듀티 길이(Duty_Length_w3)는 최대 듀티(Max_Duty_w3)와 최소 듀티(Min_Duty_w3)의 차 따라 결정되고, 제4 구동 와이어(Wire4)의 듀티 길이(Duty_Length_w4)는 최대 듀티(Max_Duty_w4)와 최소 듀티(Min_Duty_w4)의 차 따라 결정된다. 즉, 듀티 길이는 선형 구간의 길이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3, the duty length (Duty_Length_w1) of the first driving wire (Wire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duty (Max_Duty_w1) and the minimum duty (Min_Duty_w1), and the duty length (Duty_Length_w2) of the second driving wire Wire2 (Wire2). )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duty (Max_Duty_w2) and the minimum duty (Min_Duty_w2), and the duty length (Duty_Length_w3) of the third driving wire Wire3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duty (Max_Duty_w3) and the minimum duty (Min_Duty_w3), The duty length (Duty_Length_w4) of the fourth driving wire (Wire4)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duty (Max_Duty_w4) and the minimum duty (Min_Duty_w4). That is, the duty length may be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length of the linear section.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듀티 길이(Duty_Length)가 산출되면, 가장 짧은 듀티 길이를 최소 듀티 길이(Min_Duty_Length)로 결정한다. 최소 듀티 길이(Min_Duty_Length)에 의해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에 제공되는 구동 신호의 듀티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최소 듀티 길이(Min_Duty_Length)를 결정함으로써, 가장 작은 듀티 길이를 갖는 구동 와이어를 기준으로, 다른 와이어의 듀티 길이를 정규화(normalization)할 수 있다. When the duty lengths Duty_Length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re calculated, the shortest duty length is determined as the minimum duty length Min_Duty_Length. The duty width of the driving signal provided to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 to Wire4 may be determined by the minimum duty length Min_Duty_Length. By determining the minimum duty length (Min_Duty_Length), duty lengths of other wires may be normalized based on the driving wire having the smallest duty length.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제어 가능한 최대 구동 듀티(Max_Duty_ drive)는 수학식 4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최소 듀티 길이(Min_Duty_Length)의 듀티 폭을 가지는 구동 신호를,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 각각의 최소 듀티(Min_Duty)에서부터 제공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able maximum driving duty (Max_Duty_drive)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4).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er to provide a driving signal having a duty width of the minimum duty length Min_Duty_Length from the minimum duty Min_Duty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수학식 4][Equation 4]

Max_Duty_drive_w1= Min_Duty_w1 + Min_Duty_LengthMax_Duty_drive_w1= Min_Duty_w1 + Min_Duty_Length

Max_Duty_drive_w2= Min_Duty_w2 + Min_Duty_LengthMax_Duty_drive_w2= Min_Duty_w2 + Min_Duty_Length

Max_Duty_drive_w3= Min_Duty_w3 + Min_Duty_LengthMax_Duty_drive_w3= Min_Duty_w3 + Min_Duty_Length

Max_Duty_drive_w4= Min_Duty_w4 + Min_Duty_LengthMax_Duty_drive_w4= Min_Duty_w4 + Min_Duty_Length

한편, 최소 듀티 길이(Min_Duty_Length)가 결정되면, 최소 듀티 길이(Min_Duty_Length)의 중간 값(half_Min_Duty_Length)을 산출한다. 최소 듀티 길이의 중간 값(half_Min_Duty_Length)이 산출되면,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듀티 길이(Duty_Length)의 중심(Duty_Length_center)은 수학식 5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minimum duty length Min_Duty_Length is determined, an intermediate value half_Min_Duty_Length of the minimum duty length Min_Duty_Length is calculated. When the intermediate value half_Min_Duty_Length of the minimum duty length is calculated, the center (Duty_Length_center) of the duty lengths (Duty_Length)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5).

[수학식 5][Equation 5]

Duty_Length_w1_center = Min_Duty_w1 + half_Min_Duty_LengthDuty_Length_w1_center = Min_Duty_w1 + half_Min_Duty_Length

Duty_Length_w2_center = Min_Duty_w2 + half_Min_Duty_LengthDuty_Length_w2_center = Min_Duty_w2 + half_Min_Duty_Length

Duty_Length_w3_center = Min_Duty_w3 + half_Min_Duty_LengthDuty_Length_w3_center = Min_Duty_w3 + half_Min_Duty_Length

Duty_Length_w4_center = Min_Duty_w4 + half_Min_Duty_LengthDuty_Length_w4_center = Min_Duty_w4 + half_Min_Duty_Length

제어부(210)는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듀티 길이의 중심(Duty_Length_center)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를 보다 정밀하게 구동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10 may more precisely drive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using information on the center of the duty lengths (Duty_Length_center)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there is.

한편,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디지털 값의 차이(Digital_value_diff)는 수학식 6과 같이, 각 구동 와이어의 최대 디지털 값(Max_Digital_value)과 최소 디지털 값(Min_Digital_value)의 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Digital_value_diff) of the digital values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digital value (Max_Digital_value) and the minimum digital value (Min_Digital_value) of each driving wire as shown in Equation 6 can be decided.

[수학식 6][Equation 6]

Digital_value_diff_w1= Max_Digital_value_w1 - Min_Digital_value_w1Digital_value_diff_w1= Max_Digital_value_w1 - Min_Digital_value_w1

Digital_value_diff_w2= Max_Digital_value_w2 - Min_Digital_value_w2Digital_value_diff_w2= Max_Digital_value_w2 - Min_Digital_value_w2

Digital_value_diff_w3= Max_Digital_value_w1 - Min_Digital_value_w3Digital_value_diff_w3= Max_Digital_value_w1 - Min_Digital_value_w3

Digital_value_diff_w3= Max_Digital_value_w3 - Min_Digital_value_w3Digital_value_diff_w3= Max_Digital_value_w3 - Min_Digital_value_w3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디지털 값의 차이(Digital_value_diff)가 산출되면,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듀티에 대한 디지털 값의 기울기(slope)를 산출한다.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듀티에 대한 디지털 값의 기울기는 하기의 수학식 7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디지털 값에 대응하는 최소 듀티, 및 최소 디지털 값에 대응하는 최대 듀티에 의해,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 각각의 저항 특성의 선형 구간이 정의되므로, 수학식 7에 의해 결정되는 기울기는 선형 구간의 기울기에 대응한다. When the digital value difference (Digital_value_diff)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is calculated, the slope of the digital value with respect to the duty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is calculated. . The slope of the digital value with respect to the duty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7 below. Since the linear section of th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is defined by the min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igital value and the max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digital value, it is determined by Equation 7 The resulting slope corresponds to the slope of the linear section.

[수학식 7][Equation 7]

slope_w1 = Digital_value_diff_w1 / Duty_Length_w1slope_w1 = Digital_value_diff_w1 / Duty_Length_w1

slope_w2 = Digital_value_diff_w2 / Duty_Length_w2slope_w2 = Digital_value_diff_w2 / Duty_Length_w2

slope_w3 = Digital_value_diff_w3 / Duty_Length_w3slope_w3 = Digital_value_diff_w3 / Duty_Length_w3

slope_w4 = Digital_value_diff_w4 / Duty_Length_w4slope_w4 = Digital_value_diff_w4 / Duty_Length_w4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듀티에 대한 디지털 값의 기울기(slope)가 산출되면, 복수의 구동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구동 와이어의 기울기를 기준 기울기로 선정하고, 선정된 기울기를 기준으로 나머지 기울기의 편차를 산출한다. 일 예로, 제어부는 복수의 구동 와이어 중 최소 듀티 길이를 가지는 구동 와이어, 즉, 선형 구간이 가장 짧은 구동 와이어를 기준 구동 와이어로 결정하고, 기준 구동 와이어의 디지털 값의 기울기를 기준 기울기로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slope of the digital value for the duty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is calculated, the slope of any one driving wire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is selected as the reference slope, and the selected slope is Calculate the deviation of the remaining slope as a reference.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driving wire having a minimum duty length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that is, a driving wire having the shortest linear section as the reference driving wire, and determine the slope of the digital value of the reference driving wire as the reference slope .

기준 기울기(Reference_slope)가 결정되면,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기울기에 대한 기준 기울기(Reference_slope)의 비에 따라, 편차(Offset)를 하기의 수학식 8에 따라 산출하고, 산출된 편차에 따라 보정 계수를 연산한다. 제어부(210)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연산된 보정 계수를 구동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제1 내지 제4 구동 와이어(Wire1-Wire4)의 특성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When the reference slope (Reference_slo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reference slope (Reference_slope) to the slope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the deviation (Offset)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8 below, A correction factor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eviation.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driver to apply the calculated correction coefficient to the driving signal, thereby correcting the characteristic deviation of the first to fourth driving wires Wire1-Wire4.

[수학식 8][Equation 8]

Offset_w1 = slope_w1 / Reference_slopeOffset_w1 = slope_w1 / Reference_slope

Offset_w2 = slope_w2 / Reference_slopeOffset_w2 = slope_w2 / Reference_slope

Offset_w3 = slope_w3 / Reference_slopeOffset_w3 = slope_w3 / Reference_slope

Offset_w4 = slope_w4 / Reference_slopeOffset_w4 = slope_w4 / Reference_slope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ly or equivalently to the claims described below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o it

10: 카메라 모듈
110: 하우징
120: 프레임
130: 렌즈 배럴
140: OIS 구동 와이어
150: AF 구동 와이어
160: 케이스
20: 액츄에이터
210: 제어부
220: 구동부
230: OIS 구동 와이어
240: 디지털 변환부
10: camera module
110: housing
120: frame
130: lens barrel
140: OIS drive wire
150: AF drive wire
160: case
20: actuator
210: control unit
220: driving unit
230: OIS drive wire
240: digital conversion unit

Claims (4)

렌즈 배럴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와이어;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에 펄스 형태의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렌즈 배럴의 목표 위치 및 상기 렌즈 배럴의 현재 위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중 저항 기울기의 선형 구간이 가장 짧은 기준 구동 와이어를 기준으로, 나머지 구동 와이어를 제어하되,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저항 기울기를 상기 선형 구간에서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간의 저항 편차를 산출하며,
상기 선형 구간은,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최대 저항에 대응하는 최소 듀티, 및 최소 저항에 대응하는 최대 듀티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구동 와이어의 최소 듀티에서부터 최대 듀티까지의 최소 듀티 길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최소 듀티 길이의 듀티 폭을 가지는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각각의 상기 최소 듀티에서부터 제공하며,
상기 제어신호는 디더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신호가 와이어로 제공되는 타이밍과 디지털 변환 타이밍을 동기화 하기 위해, 상기 디더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a plurality of driving wires for driving the lens barr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signal in the form of a pulse to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targe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ens barrel; includ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maining driving wires based on a reference driving wire having the shortest linear section of the resistance slope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nd comparing the resistance slo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in the linear section, Calculate the resistance devi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e wires,
The linear section is defined by a minimum duty corresponding to a maximum resist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nd a maximum duty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sistanc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according to a minimum duty length from a minimum duty to a maximum duty of the reference driving wire,
The driving unit provides a driving signal having a duty width of the minimum duty length from the minimum du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The control signal includes dithering information,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adjust a pulse width of the driving signal based on the dithering information in order to synchronize the timing at which the driving signal is provided through a wire and the timing of digital conversion.
Actuator of the camera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간에서의 상기 저항 기울기는, 상기 최대 저항과 상기 최소 저항의 차에 대한, 상기 최소 듀티와 상기 최대 듀티의 차의 비에 따라 결정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According to claim 1,
The resistance slope in the linear s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ratio of a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duty and the maximum duty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resistance and the minimum res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 와이어 간의 상기 저항 편차에 따라 보정 계수를 연산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an actuator of a camera module for calculating a corr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resistance devi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riving wir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정 계수를 상기 구동 신호에 적용하는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iving unit is an actuator of a camera module that applies the correction coefficient to the driving signal.
KR1020200119695A 2018-11-13 2020-09-17 Actuator Of Camera module KR1022830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695A KR102283083B1 (en) 2018-11-13 2020-09-17 Actuator Of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843A KR20200055317A (en) 2018-11-13 2018-11-13 Actuator Of Camera module
KR1020200119695A KR102283083B1 (en) 2018-11-13 2020-09-17 Actuator Of Camera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843A Division KR20200055317A (en) 2018-10-15 2018-11-13 Actuator Of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295A KR20200110295A (en) 2020-09-23
KR102283083B1 true KR102283083B1 (en) 2021-07-30

Family

ID=7270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695A KR102283083B1 (en) 2018-11-13 2020-09-17 Actuator Of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083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1507A1 (en) * 2007-02-12 2010-12-15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JP5702735B2 (en) 2009-02-09 2015-04-15 ケンブリッジ メカトロニクス リミテッド Optical image stabilization
KR20140081405A (en) * 2012-12-21 2014-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Device controlling gain of gyro sensor driving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in thereof
KR102642904B1 (en) * 2016-11-28 2024-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Actuator of camera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295A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14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r Camera module
CN109975973B (en) Voice coil motor for driving liquid lens and lens assembly having the same
CN108351484B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944629B2 (en) Camera lens assembly
CN110554474B (en)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system
KR102569642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0846160B1 (en) Auto focus camera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KR20200042259A (en) Actuator Of Camera module
CN111936928A (en) Camera module
KR102283083B1 (en) Actuator Of Camera module
KR20200055317A (en) Actuator Of Camera module
US20230138300A1 (en) Lens Assembly
US8878981B2 (en) MEMS actuator mounted camera module having sag compensation and sag compens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13748A (en)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amera device thereof
KR20230005083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N111050036B (en) Actuator of camera module
CN110720076B (en) Circuit for controlling liquid lens
KR102404324B1 (en) Camera module
CN112272944A (en) Camera device calibration method
KR20160057725A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133564A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6507971A (en) Camera actuator
CN113272731A (en) Actuator control device and method
WO2015005217A1 (en) Lens module
JP2008176063A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