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312B1 -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312B1
KR102281312B1 KR1020200144120A KR20200144120A KR102281312B1 KR 102281312 B1 KR102281312 B1 KR 102281312B1 KR 1020200144120 A KR1020200144120 A KR 1020200144120A KR 20200144120 A KR20200144120 A KR 20200144120A KR 102281312 B1 KR102281312 B1 KR 102281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water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환산업
정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환산업, 정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환산업
Priority to KR102020014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빗물이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저장탱크(10); 정수수단(203)을 구비하고,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정수하는 정수부(20);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저장된 빗물이 정수부(20)를 통과하여 저장탱크(10) 내에서 강제 순환되게 하는 순환부(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빗물을 저장탱크 내부에 대량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빗물의 수질 오염을 방지하여 빗물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Rainwater storage and wate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저장탱크 내부에 대량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빗물의 수질 오염을 방지하여 빗물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케 한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 면적에 비해 인구 밀도가 높고, 1인당 물 사용량도 다른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 비해 상당히 많은 편이며, 비가 주로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내리면서 다른 계절에는 가뭄에 심해 사용 가능한 수자원량이 적은 편에 속하면서 해마다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갈수록 심해지는 물 부족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여름철에 집중되는 비를 모아 둘 수 있는 댐 건설이 필요하나, 물 보존을 위한 댐 건설은 지역을 선정하는 데 따른 주민들의 반발 및 민원이 심화되고, 댐 건설에 따른 경제적 비용 부담도 매우 크기 때문에 댐 건설을 통한 수자원 개발정책을 추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댐 건설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댐 건설의 대안으로 중수도가 제안되고 있다.
중수도란,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뜻에서 비롯된 말로, 이미 한 번 사용한 수돗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설을 말한다.
중수도는 18세기 유럽에서 오수를 관개용수로 사용하면서부터 거론되었는데, 도시화에 따라 수자원의 부족 현상이 심화되자,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한 물을 정화하여 공업용수나, 화장실, 청소, 세차, 조경, 살수, 소방용수 등 잡용수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수도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중수도는 한 번 사용했던 물을 재처리하여 사용함에 따라 가용수자원의 확보 및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데 효과적이므로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많은 중수도 관련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중수도 시설을 갖추도록 다양한 혜택과 편의 제공을 통해 장려하고 있다.
따라서 아파트, 오피스텔과 같은 공동주택 건물뿐만 아니라, 학교, 수련원 등의 대형 건물 및 다양한 크기의 상업 건물 등에서도 중수도 시설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중수도는 한 번 사용한 수돗물을 재사용하는 개념이긴 하나, 한번 사용한 수돗물을 다시 집수하여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따른 상, 하수관과 연결되는 별개의 배관 설치가 필수적이고, 이의 설치에 따른 막대한 비용 지출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중수도의 원수로서 빗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빗물은 공업화로 인하여 다양한 오염물질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중금속 및 유해한 유기물 즉, 유기탄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을 단순 집수하여 저장해서는 중수도로로써 재사용이 불가능함에 따라 빗물의 효율적인 집수 및 관리를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50486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탱크 내부에 빗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최소한의 에너지 사용으로 빗물의 수질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저장된 빗물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케 한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부를 더 구비하여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수단의 교체가 원활하게 한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부를 더 구비하여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는,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빗물이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저장탱크(10);
정수수단(203)을 구비하고,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정수하는 정수부(20);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저장된 빗물이 정수부(20)를 통과하여 저장탱크(10) 내에서 강제 순환되게 하는 순환부(3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저장탱크(10)는,
상기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의 선택적인 유입이 가능하도록 저장탱크(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부(101);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선택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저장탱크(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출수부(102);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개폐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는 제1개구부(1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부(20)는,
다공벽으로 된 함체형으로 되되, 상부에 제2개구부(201a)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201);
상기 제2개구부(201a)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다공커버판(202);
상기 수용부 내부에 충진되는 정수수단(2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수단(203)은,
맥반석 40 내지 45 중량%, 석영 10 내지 15 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10 중량%, 황토볼 20 내지 25 중량%, 활성탄 10 내지 15 중량%, 참숯 0.5 내지 1.5 중량%, 키토산 0.5 내지 1.5 중량%, 모래 5 내지 10 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순환부(30)는,
상기 저장탱크(1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0) 외부에 설치되는 에어공급수단(301);
일단부가 에어공급수단(30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저장탱크(1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에어공급수단(301)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저장탱크(10) 내부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라인(302);
상기 에어공급라인(302)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부(20)의 본체(201)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분사노즐(3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부(20)는,
상기 본체(201) 내부에서 정수수단(203)과 적층되는 미생물여재(204);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부(20)는,
상기 본체(201) 일측에 설치되어 정수수단(203)을 통과한 빗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205);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순환부(30)는,
상기 에어공급수단(301)과 연동하면서 저장탱크(10) 내부의 빗물을 빨아들여 에어공급라인(302)으로 공급하도록 에어공급라인(302)의 일측에 설치된 수중펌프(304);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는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부(2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는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을 여과하여, 여과된 빗물이 저장탱크(10)에 저장되게 하는 여과부(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여과부(50)는,
우수관(미도시)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일정량 저장된 후 배출되는 하우징(501);
상기 하우징(501)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커버(502);
상기 필터커버(502)의 중심부에 탈부착 가능케 삽입되는 하부필터(503);
상기 필터커버(502)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안착되는 상부필터(504);
상기 필터커버(502)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어 하부필터(503)와 상부필터(504)를 고정하는 고정링(505);
상기 하우징(501)의 상단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는 캡(50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탱크 내부에 빗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부와 순환부를 이용해 최소한의 에너지 사용으로 빗물의 수질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저장된 빗물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환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정수부를 강제 통과하는 방식으로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저장된 빗물의 정수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효과적인 수질 보호를 통해 빗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케 됨으로써 안정적인 중수 확보를 통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정적인 수질 보호를 통해 저장탱크 내부 청소에 따른 부담을 줄여 빗물의 보관에 따른 유지, 관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저장냉크 내부의 완전 배수 없이도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수단의 교체가 가능케 되어 정수부의 유지, 관리에 따른 신속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관을 통해 집수된 후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는 여과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부분 파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순환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중펌프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 분해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부분 파절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순환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는 빗물을 저장탱크(10) 내부에 대량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빗물의 수질 오염을 방지하여 빗물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저장탱크(10), 정수부(20), 순환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탱크(10)는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빗물이 필요에 따라 배출되도록 입수부(101), 출수부(102), 제1개구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입수부(101)는,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저장탱크(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우수관과 연결된다.
이때, 입수부(101)의 일측에는 입수부(101)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1밸브수단(101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수부(102)는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배출되도록 저장탱크(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출수부(102)의 일측에는 출수부(102)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2밸브수단(102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103)는 저장탱크(10)는 내부의 청소 및 관리를 위하여 저장탱크(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개구부(103)의 크기는 한정하지 않으나, 정수부(20)의 유지 관리 및 정수수단(203)의 교체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저장탱크(10)의 크기는 한정하지 않으나, 통상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대하여 중수도 시설을 갖추도록 장려하는 우리나라의 수자원 개발 및 관리 정책에 따라 저장탱크(10)의 크기는 저장탱크(10)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수부(20)는,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정수하도록 본체(201), 정수수단(203), 다공커버판(202); 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01)는, 다공벽으로 된 함체형으로 되되, 상부에 제2개구부(201a)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다.
본체(201)의 소재는 수중에서 부식이 없고,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나,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01)의 모든 벽체는 다공벽으로 되되, 다공벽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직경 1 내지 10㎜의 원형으로 된 구멍이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01)의 저면은 저장탱크(10)의 바닥면과 소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본체(201)의 저면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다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커버판(202)은 본체(201)의 제2개구부(201a)를 개폐하도록 본체(201)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201)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정수수단(20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수단(203)의 교체도 가능케 된다.
다공커버판(202)의 평면 외곽 형상은, 본체(201)의 평면 외곽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며, 다공커버판(202)의 소재는 수중에서 부식이 없고,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나,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커버판(202)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되는 빗물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직경 1 내지 10㎜의 원형으로 된 구멍이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수수단(203)은 본체(201)의 수용부 내부에 충진되어 본체(201)의 다공벽에 형성된 구멍과, 다공커버판(20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정수부(20)를 통과하는 빗물을 정수한다.
정수수단(203)은, 맥반석 40 내지 45 중량%, 석영 10 내지 15 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10 중량%, 황토볼 20 내지 25 중량%, 활성탄 10 내지 15 중량%, 참숯 0.5 내지 1.5 중량%, 키토산 0.5 내지 1.5 중량%, 모래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한다.
이때, 정수수단(203)을 구성하는 혼합물은 직경 2 내지 20㎜의 구형 입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정수수단(203)의 이탈 방지 및 효율적인 교체를 위하여 정수수단(203)을 구성하는 혼합물은 본체(201)의 수용부 내부 부피에 대응하는 부피를 가지면서 내부에 충진된 입자상의 혼합물이 이탈하지 않는 크기의 망공이 형성된 망체 내부에 충진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맥반석(麥飯石)은 지질학적 암석명은 아니며, 중국의 한방의학에서 사용한 용어로 알려지고 있으며 지질학적으로 분류하자면 화강암류에 속하는데, 석영과 장석이 섞여 보리밥으로 만든 주먹밥(맥반)같다고 하여 맥반석이라 불린다.
주성분은 무수규산, 산화알루미늄이다. 누런 백색을 띤 것은 여과제, 소염제 등으로 쓰여 약석이라 불린다.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찜질방, 식기, 의료기 등에 쓰인다.
특히, 1㎤당 3~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정수용, 식기용, 의료기용 등 여러 산업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다.
석영은 기본적으로 산소와 규소 원자로 구성된 광물로써, 그 결정 구조는 단위 구조인 [SiO4] 사면체가 산소 원자 한 개를 주변의 다른 단위 구조와 공유하며 연속적으로 연결된 골격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올라이트(zeolite)는 3-10 Å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공동(tunnel 또는 open channel)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천연 및 합성 규산염광물질을 통칭한다.
한글명으로 불석이라 불리며, 오늘날 제올라이트는 천연의 암석권에서 자연적으로 산출되는 것 이외에 인공적으로 합성된 분자체(molecular sieving) 기능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군집 명칭(group name)으로 사용된다.
약 4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와 200여종의 합성 제올라이트가 알려져 있다. 제올라이트에 따라 결정구조, 화학조성, 물리화학적 특성은 서로 다르지만, 결정 내부에 분자들이 드나들 수 있는 공동을 형성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제올라이트는 양이온 교환 특성을 가지는데, 제올라이트의 공동에 위치하는 양이온이 다른 양이온에 의해 쉽게 교환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제올라이트를 단순히 다른 양이온들의 용액으로 씻어주는 정도의 처리로도 양이온이 쉽게 교환된다.
제올라이트의 양이온 교환능력은 100g당 200~400meq 정도로서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점토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의 양이온 교환 능력(80~100meq/100g)보다 2배 이상 크다.
또한 공동의 크기에 따라 특정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선택적 교환 특성을 가짐으로써, 국내외에서 제올라이트의 이온교환 특성은 토질 및 수질 개량제로의 이용, 산업 및 도시 폐수의 처리,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에 활용되고 있다.
황토볼은 고품질의 황토를 직경 2 내지 15mm 내외 볼 형태로 압축 성형한 것으로서, 황토의 성질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
즉, 황토는 60~70%의 석영을 함유하며 그 함량은 최저 40%에서 최고 80%까지 변화한다. 장석과 운모는 10~20%, 탄산염광물은 5~35%를 구성하고 있다. 약 2~5%의 실트는 각섬석 · 인회석 · 흑운모 · 녹니석 · 디스텐(남정석) · 녹렴석 · 석류석 · 해록석 · 휘석 · 금홍석 · 규선석 · 십자석 · 전기석 · 지르콘 등과 같은 중광물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들은 전형적으로 미약하게 풍화되어 있다.
세립질(0.002mm 이하)의 입자크기에서는 몬모릴로나이트 · 일라이트 · 캐올리나이트 등과 같은 점토광물들이 쇄설성(파편성)인 것에 비해 우세하다. 점토광물은 황토가 쌓이는 동안이나 쌓인 후에 다양한 콜로이드 작용 또는 물리화학적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황토에는 카탈라제, 디페놀 옥시다아제,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가 함유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카탈라제 효소는, 생체 내에서 체내 독소인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디페놀 옥시다아제 효소는, 미생물과 상호 작용하여 강한 산화력, 분해력을 발산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프로테아제 효소는 단백질 속의 질소가 무기화할 때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강한 정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활성탄(活性炭)은 대부분의 구성물질이 탄소질로 된 물질로서, 비표면적 500~1500㎡/g, 세공반경 1~100nm 정도로 광범위한 표면적 및 미세공의 다공성 구조를 지녀 흡착성이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짐으로써 기체나 습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염물질을 흡수, 흡착하기 위한 용제의 회수제와 가스의 정제용 또는 탈색제 등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정수 고도처리, 하수처리 · 분뇨의 고도처리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참숯은,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을 말한다. 재료로는 보통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는데 한국에서는 참나무류가 주로 사용되어 참숯이라 한다.
참숯의 표면적은 1g당 200~400㎡로 흡착 면적이 매우 커서 정수, 탈취, 습도 조절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구성된 정수수단(203)은 저장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균을 억제함으로써 빗물의 탁도와 수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빗물의 수질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여 빗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케 된다.
상기 순환부(30)는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저장된 빗물이 정수부(20)를 통과하여 저장탱크(10) 내에서 강제 순환되도록 에어공급수단(301), 에어공급라인(302), 분사노즐(303)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공급수단(301)은, 저장탱크(1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0) 외부에 설치된다.
이때, 에어공급수단(301)은 통상의 컴프레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공급라인(302)은 일단부가 에어공급수단(30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저장탱크(1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에어공급수단(301)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저장탱크(10)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분사노즐(303)은 저장탱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어공급라인(302)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정수부(20)의 본체(201)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303)의 상단부는 본체(201)의 저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본체(201)의 형성된 구멍과 연통되게 본체(201)의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공급수단(301)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에어공급라인(302)을 통해 공급되어 빗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된 분사노즐(303)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분사노즐(303)이 정수부(20)의 본체(201)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분사노즐(303)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한 다량의 기포가 정수부(20)를 통과하면서 부상함으로써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강제 순환을 유도함과 동시에 빗물이 강제 순환되는 과정에서 기포의 부상과 함께 정수부(20)를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정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저장탱크(10)에 저장된 빗물에 압축공기가 공급되면서 빗물 중의 산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빗물에 함유된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 황화수소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등 각종 세균의 제거가 가능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부(20)는 미생물여재(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여재(204)는 정수부(20)의 본체(201) 내부에서 정수수단(203)과 적층되게 설치됨으로써 정수수단(203)을 통과하면서 정수된 빗물을 한 번 더 정수하게 된다.
이때, 미생물여재(204)는 미세공극이 형성된 합성수지, 황토볼, 맥반석, 자갈, 폐각, 제올라이트, 산호석, 활성탄, 모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아울러 미생물여재(204)의 직경은 한정하지 않으며, 미생물여재(204)의 이탈 방지 및 효율적인 교체를 위하여 미생물여재(204)를 구성하는 입자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는 크기의 망공이 형성된 망체 내부에 충진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미생물여재(204)가 정수수단(203)과 적층되게 설치됨으로써 정수수단(203)을 통과하면서 정수되는 빗물이 미생물여재(204)를 통과하면서 또다시 정수되어 빗물에 함유된 유기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수부 단면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정수부(20)는 정화수단(2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수단(205)은 정수부(20)의 본체(201) 일측에 설치되어 정수수단(203)을 통과한 빗물을 정화한다.
이때, 정화수단(205)은 자외선램프모듈, 초음파모듈, 플라즈마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모듈은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 격벽으로 감싸지게 본체(201)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함유된 미생물이나 세균 등 각종 수질 오염물질이 자외선에 의해 살균 소독됨에 따라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오염이 방지된다.
상기 초음파모듈은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초음파를 발산하도록 본체(201) 일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저장탱크(10) 내부로 발산된 초음파는 저장탱크(10) 내부에서 고주파의 파동을 발생시키고, 그 파동이 정수부(20)의 정수수단(203)을 통과한 기포를 터트리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순간적인 압력과 방전현상 때문에 미세하게 분쇄되어 안정화되면서 강력한 세정력을 발휘함에 따라 저장탱크(10)의 내부 및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오염이 방지된다.
상기 플라즈마모듈은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수중 플라즈마 방전 현상이 발생하도록 본체(201) 일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플라즈마모듈은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함유된 각종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을 살균, 제거함으로써 수질 정화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수중펌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에어공급라인(302)의 일측에는 에어공급수단(301)과 연동하면서 저장탱크(10) 내부의 빗물을 빨아들여 에어공급라인(302)으로 공급하는 수중펌프(30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공급수단(301)에 의해 생성되어 에어공급라인(30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수중펌프(304)에 의해 에어공급라인(302)으로 유입되는 저장탱크(10) 내부의 빗물과 혼합되어 분사노즐(303)을 통해 분사된다.
따라서 분사노즐(303)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와 혼합된 빗물이 기포의 부상과 함께 정수부(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보다 빠른 유속을 유도함에 따라 저장탱크(10) 내부의 빗물의 순환 및 정수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는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부(2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부(40)는 저장탱크(10)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정수부(20)를 저장탱크(10)의 제1개구부(103)까지 견인하도록 모터(401), 승강수단(402)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401)는, 정·역회전이 가능케 되어 저장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402)은 모터(401)의 동력에 의해 정수부(20)를 승강시키도록 모터(401)와 정수부(20) 간에 설치된다.
일 예로서, 승강수단(402)은 모터(401)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402a)와, 일단부가 풀리(402a)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정수부(20)에 고정된 와이어(40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풀리(402a)와 와이어(402b)는 정수부(2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이 좌우 대칭으로 균형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승강수단(402)은 모터(40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잭(402c)과, 일단부가 스크류잭(402c)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정수부(20)에 고정된 스크류샤프트(40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잭(402c)과 스크류샤프트(402d)는 정수부(2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이 좌우 대칭으로 균형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저장탱크(10) 내부의 빗물 저장 여부와 상관없이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된 정수부(20)를 저장탱크(10) 상부에 설치된 승강부(40)를 이용해 견인하여 정수부(20)가 저장탱크(10) 상부의 제1개구부(103)까지 견인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저장탱크(10)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저장탱크(10)의 상부에서 개방된 제1개구부(103)를 통해 정수부(20)의 본체(201)에 결합된 다공커버판(202)를 분리한 후 본체(201)의 수용부 내부에 충진된 사용된 정수수단(203)을 꺼내고, 새로운 정수수단(203)을 본체(201)의 수용부 내부에 투입하는 정수수단(203)의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수수단(203)의 교체 및 관리에 따른 편의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는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을 여과하여, 여과된 빗물이 저장탱크(10)에 저장되게 하는 여과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50)는 집수되어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도록 하우징(501), 필터커버(502), 하부필터(503), 상부필터(504), 고정링(505), 캡(50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01)은 우수관(미도시)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일정량 저장된 후 배출되도록 주벽 일측 상부에는 우수관을 통해 집수된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501a)가 형성되고, 주벽 일측 하부에는 내부에서 여과된 빗물이 저장탱크(10)로 배출되는 유출구(501b)가 형성되며, 하우징(501)의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에서 여과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501c)가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501a)와 유출구(501b)는 상부에서 볼 때, 편심되게 형성됨으로써 유입구(501a)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유출구(501b)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하우징(501) 내에서 와류가 생성되면서 신속한 배출이 가능케 된다.
한편, 하우징(501)의 내주면에는 와류의 생성을 유도하는 나선내벽(501d)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502)는 상단부는 하방으로 오목한 접시형으로 되고, 중앙에는 상광하협의 컵형으로 되되 전체적으로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힘살이 연결된 형태로 되어 하우징(501) 내부에 안착된다.
이때, 필터커버(502)의 상단부 외경은 하우징(501)의 내경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터커버(502)의 하단부는 하우징(501)의 배출구(501c) 내부에 긴밀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필터커버(502)의 원활한 설치를 위하여 하우징(501)의 내주면은 다단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필터커버(502)의 상단부 외경은 다단으로 축소된 하우징(501)의 내경부 중 어느 한 내경부와 일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커버(502)의 상단부 외경은 하우징(501)의 내경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터커버(502)의 하단부는 하우징(501)의 배출구(501c) 내부에 긴밀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필터(503)는 상광하협의 컵형으로 형성되어 필터커버(502)의 컵형으로 형성된 하단부 내부에 탈부착 가능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상부필터(504)는 하방으로 오목한 접시형으로 되어 필터커버(502)의 접시형으로 된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안착 설치된다.
한편, 하부필터(503)와 상부필터(504)는 하우징(501)의 유입수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 등을 여과할 수 있도록 주지된 부직포필터, 스펀지필터, 카본필터, 활성탄필터, 금속 필터 중 어느 한 종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505)은 필터커버(502)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됨으로써 필터커버(502)에 설치된 하부필터(503)와 상부필터(504)를 고정하여 하부필터(503)와 상부필터(504)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캡(506)은 하우징(501)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501)의 상단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됨으로써 하우징(501) 내부로 빗물 이외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은 여과부(50)는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어 유입되는 다량의 빗물이 하우징(501) 내에서 와류를 일으키면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빗물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이 하부필터(503)와 상부필터(504)에 의해 효과적으로 걸러지면서 다량의 빗물을 신속하게 여과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저장탱크(10)로 유입되는 빗물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저장탱크 101: 입수부
102: 출수부 103: 제1개구부
20: 정수부 201: 본체
201a: 제2개구부 202: 다공커버판
203: 정수수단 204: 미생물여재
205: 정화수단 30: 순환부
301: 에어공급수단 302: 에어공급라인
303: 분사노즐 304: 수중펌프
40: 승강부 401: 모터
402: 승강수단 402a: 풀리
402b: 와이어 402c: 스크류잭
402d: 스크류샤프트 50: 여과부
501: 하우징 502: 필터커버
503: 하부필터 504: 상부필터
505: 고정링 506: 캡

Claims (5)

  1.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빗물이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저장탱크(10);
    정수수단(203)을 구비하고,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을 정수하는 정수부(20);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저장된 빗물이 정수부(20)를 통과하여 저장탱크(10) 내에서 강제 순환되게 하는 순환부(30); 및,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부(2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저장탱크(10)는,
    상기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의 선택적인 유입이 가능하도록 저장탱크(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부(101);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선택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저장탱크(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출수부(102);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개폐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는 제1개구부(103); 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부(20)는,
    다공벽으로 된 함체형으로 되되, 상부에 제2개구부(201a)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201);
    상기 제2개구부(201a)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다공커버판(202);
    상기 수용부 내부에 충진되는 정수수단(203);
    상기 본체(201) 내부에서 정수수단(203)과 적층되는 미생물여재(204);
    상기 다공커버판(202)의 상측에 설치되어 정수수단(203)과 미생물여재(204)를 통과한 빗물을 정화하는 자외선램프모듈, 초음파모듈, 플라즈마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화수단(205); 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30)는,
    상기 저장탱크(1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0) 외부에 설치되는 에어공급수단(301);
    일단부가 에어공급수단(30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저장탱크(1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에어공급수단(301)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저장탱크(10) 내부로 공급하는 에어공급라인(302);
    상기 에어공급라인(302)의 타단부에 연결되되,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되는 정수부(20)의 본체(201)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분사노즐(303); 및
    상기 에어공급라인(3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에어공급수단(301)과 연동하면서 저장탱크(10) 내부의 빗물을 빨아들여 에어공급라인(302)으로 공급하는 수중펌프(304);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40)는,
    정·역회전이 가능케 되어 저장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401);
    상기 모터(401)의 동력에 의해 정수부(20)를 승강시키도록 모터(401)와 정수부(20) 간에 설치되는 승강수단(402); 을 포함하며,
    상기 우수관을 통해 집수되는 빗물을 여과하여, 여과된 빗물이 저장탱크(10)에 저장되게 하는 여과부(5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여과부(50)는,
    우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일정량 저장된 후 배출되는 하우징(501);
    상기 하우징(501)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커버(502);
    상기 필터커버(502)의 중심부에 탈부착 가능케 삽입되는 하부필터(503);
    상기 필터커버(502)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안착되는 상부필터(504);
    상기 필터커버(502)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어 하부필터(503)와 상부필터(504)를 고정하는 고정링(505);
    상기 하우징(501)의 상단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되는 캡(506); 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501)의 내주면은 다단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형태로 되면서 내주면에는 와류의 생성을 유도하는 나선내벽(501d)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필터커버(502)는 상부는 하방으로 오목한 접시형으로 되고, 중앙에는 상광하협의 컵형으로 되되 전체적으로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힘살이 형성되되, 필터커버(502)의 상단부 외경은 하우징(501)의 내경과 일치되게 형성하고, 필터커버(502)의 하단부는 하우징(501)의 배출구(501c) 내부에 긴밀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하부필터(503)는 상광하협의 컵형으로 형성되어 필터커버(502)의 컵형으로 형성된 하단부 내부에 탈부착 가능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상부필터(504)는 하방으로 오목한 접시형으로 되어 필터커버(502)의 접시형으로 된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안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단(203)은,
    맥반석 40 내지 45 중량%, 석영 10 내지 15 중량%, 제올라이트 5 내지 10 중량%, 황토볼 20 내지 25 중량%, 활성탄 10 내지 15 중량%, 참숯 0.5 내지 1.5 중량%, 키토산 0.5 내지 1.5 중량%, 모래 5 내지 10 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5. 삭제
KR1020200144120A 2020-11-02 2020-11-02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KR10228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20A KR102281312B1 (ko) 2020-11-02 2020-11-02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20A KR102281312B1 (ko) 2020-11-02 2020-11-02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312B1 true KR102281312B1 (ko) 2021-07-27

Family

ID=7712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120A KR102281312B1 (ko) 2020-11-02 2020-11-02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119A (ko) * 2001-03-03 2002-09-12 전영인 미세채널 구조 물질를 이용한 물의 성질 개선
KR100450486B1 (ko) 2004-06-18 2004-10-01 엘지건설 주식회사 빗물 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수도 처리 시스템
KR100925500B1 (ko) * 2009-05-25 2009-11-0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포장구간 초기우수 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1100592B1 (ko) * 2009-07-16 2011-12-29 나기태 자연석, 전기, 초음파를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KR101611948B1 (ko) * 2014-03-04 2016-04-12 구제진 빗물을 이용한 식수생성장치
KR20200122269A (ko) * 2020-10-06 2020-10-27 주식회사 선샘산업 빗물 재활용 장치의 초기 우수 배제 및 만수위 차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119A (ko) * 2001-03-03 2002-09-12 전영인 미세채널 구조 물질를 이용한 물의 성질 개선
KR100450486B1 (ko) 2004-06-18 2004-10-01 엘지건설 주식회사 빗물 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수도 처리 시스템
KR100925500B1 (ko) * 2009-05-25 2009-11-0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포장구간 초기우수 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1100592B1 (ko) * 2009-07-16 2011-12-29 나기태 자연석, 전기, 초음파를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KR101611948B1 (ko) * 2014-03-04 2016-04-12 구제진 빗물을 이용한 식수생성장치
KR20200122269A (ko) * 2020-10-06 2020-10-27 주식회사 선샘산업 빗물 재활용 장치의 초기 우수 배제 및 만수위 차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17711B (zh) 一种城市景观型旋转雨淋式多层光催化生态净化塔
CN108069551A (zh) 一种城市安全污水高效处理装置
WO2006108326A1 (en) Magnetizing photocatalytic compact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e device
CN110776171A (zh) 一种多级净化铝塑加工污水过滤池
CN109205928A (zh) 一种深度处理渗滤液的方法及***
KR101051208B1 (ko) 오염수처리 및 조경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류제어 생태정화 식물섬 장치
KR102281312B1 (ko) 빗물 저장 및 수질 관리장치
CN106348544A (zh) 一种生物与生态相耦合的黑臭水体自复氧修复***
CN103539255B (zh) 悬浮陶粒—活性炭双层滤池及应用其处理原水的方法
CN206521350U (zh) 一种生活用水循环净化再利用***
CN106517677A (zh) 一种再生水景观水体的水质保持结构
CN206318847U (zh) 一种再生水景观水体的水质保持结构
CN101090868A (zh) 磁化光催化集成污水再生利用装置
CN215559752U (zh) 一种自来水厂用节能环保型净水装置
CN105084660A (zh) 一种接触氧化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05084601B (zh) 河水预处理装置
CN109987717B (zh) 用于潜流湿地的防堵塞构造及潜流湿地
CN107867773A (zh) 自洁净净水装置
KR101004083B1 (ko) 와류형 제1, 2처리부와 제3미생물 산화분해처리부로 구성된 비점오염원처리장치
CN207294311U (zh) 一种防臭型深度工厂污水加工净化装置
CN207845439U (zh) 一种一体化集成化水处理设备
CN206279042U (zh) 智能远程集成化废水净化设备
KR20050024474A (ko) 오존살균 정수 시스템
CN204824546U (zh) 一种接触氧化污水处理装置
CN204824440U (zh) 一种用于景观水体的水质净化处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