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509B1 -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509B1
KR102280509B1 KR1020200189106A KR20200189106A KR102280509B1 KR 102280509 B1 KR102280509 B1 KR 102280509B1 KR 1020200189106 A KR1020200189106 A KR 1020200189106A KR 20200189106 A KR20200189106 A KR 20200189106A KR 102280509 B1 KR102280509 B1 KR 10228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omposition
preventing
skin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민
김은영
백지은
김시윤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만능성을 지닌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이들의 유전체 및 단백체 분석을 통해 기존 성체 유래 간엽줄기세포에 비해 강력한 항염증 및 면역억제 및 관용능이 존재함을 입증하였고, 질환동물모델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IgE의 유의한 감소 및 신속한 조직회복을 통해 다양한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치료제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utoimmune and inflammatory skin diseases based on pluripotent stem cel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 MMSC)의 배양 농축액 및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는 미분화 세포로서 자기 재생을 통해 오랫동안 분열을 할 수 있으며, 특정 환경 하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한다. 줄기세포는 기원이 되는 조직에 따라 전분화능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와 성체 줄기세포(adult stem cell)로 나누어진다. 이를 이용한 연구적인 측면에서 성체 줄기세포의 잠재 능력은 전분화능 줄기세포 보다 제한적인 단점이 있으나, 윤리적인 문제가 적어 성체 줄기세포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간엽이란 배아 발생 중에 일어나는 상피-중간엽 이행(EMT, Epithelial to Mesenchyme Transition)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층에 해당하는 중배엽의 조직을 통칭한다.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s)는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s)로도 불리는 다능성 세포(multipotent cell)이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모세포, 연골모세포, 지방세포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인간 배아 줄기세포와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이러한 초기 발생을 시험관 내에서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세포로서, 전분화능(pluripotency)에 의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세포의 원천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inflammatory dermatitis)은 심한 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재발성, 만성의 알레르기성 습진을 말한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은 T 림프구의 활성화, 사이토카인 체계의 이상, 세포 매개성 면역의 감소, IgE의 증가와 같은 면역학적 이상과 생리학적 요인 그리고 피부의 생화학적 결함과 같은 많은 요소로 인해 야기된다. 최근 아토피 피부염은 전체 인구의 약 10 내지 20%에서 발병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나, 완치시킬 수 있는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실정이다. 특히, 5세 이하의 어린 나이에 대부분 진단되며, 이 중 50%는 6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진단된다.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에서 시행한 전국 역학 조사에서 최근 10년간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아의 50 내지 75%에서 천식, 비염으로 진행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알레르기로 진행의 시작점인 아토피 피부염을 조기에 진단하고 관리하는 것이 성인 알레르기 진행의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제로서 증상이 경한 경우에는 보습제 국소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및 국소 면역반응 조절제 등을 사용한다. 중증의 아토피 피부염인 경우에는 전신 스테로이드제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장기간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있으며, 약 복용을 중단하면 병변의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기적으로 사용하여도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 요구된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면역 질환 치료 연구 중 한국 등록특허 제10-1646236호는,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5 kDa 내지 1,000 kDa의 크기를 갖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10-1646236호의 중간엽 줄기세포는 본 발명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와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646236호의 경우,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단백질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이라는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아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배아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은,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T세포, B세포, 수지상 세포, 그리고 NK세포를 포함한 면역 세포를 활성화 및 B 림프구 성숙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비만 세포의 탈 과립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분비하는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성체 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효능을 포함하고, 증식 능력이 제한되지 않고,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고, 면역 세포 활성화 및 B림프구 성숙을 조절할 수 있고, 비만 세포의 탈 과립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로부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 분화를 유도하고, 세포 또는 세크레톰(secretome) 분석을 통해, 염증조절의 유효성분을 염증성 피부질환 동물 모델에 적용한 모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 MMSC)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의 상층액(supernatant)과 용해물(lysate)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유사 병변을 유도하는 방법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MCMC(MMSC Conditioned media concentrate)는 MMSC 배양액을 농축액을 의미한다.
도 4는 Naive media 농축액(대조군)과, 본 발명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각각 마우스 모델에 처리한 후, 육안병변 관찰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Naive media 농축액을 마우스 모델에 처리한 대조군(Control)과 본 발명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한 마우스 모델의, 조직변화와 비만세포, 대식세포의 분포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과 IgE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개의 피부에 본 발명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한 후, 육안병변의 변화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상단부는 개의 서혜부, 하단부는 개의 흉복부이다. 화살표는 발진, 수포, 체액 삼출, 기름진 딱지와 같은 피부의 육안병변을 의미한다.
도 8은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용해물 단백체를 분석한 결과이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Angiopoietin-4 (ANGPT4), BMPR-1B(bone morphogenic protein receptor 1B), HCR(human chemokine receptor), Activin B, Activin RII, CCR1, ICAM-2(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 2)를, 골수 유래 줄기세포 대비 약 1.5배 이상 높게 발현하였다.
도 9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용해물 단백체를 분석한 결과이다. Angiogenin(ANG), Angiopoetin-1(ANG-1), Angiopoetin-2(ANG-2), Bone morphogenic proteins receptor1A(BMPR1A), CXCR6(CXC-chemokine receptor6)를 포함한 15종 단백체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대비 약 1.5배 낮게 발현되었다.
도 10은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 상층액에 대한 단백체를 분석결과이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GRO-a, IL-15R alpha, FasL, Activin RII, BMP-2, CCR2, CXCL14, FGFR4를 골수 유래 줄기세포에 비하여, 약 1.5배 이상 높게 분비하였다.
도 11은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 상층액에 대한 단백체 분석결과이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TIMP-2(Tissue inhibitor of methalloproteinases-2), ActivinA, VEGFA(Vascular endothelial factor), FSTL1(Follistantin-like 1), ErB4, Thrombospondin-1등은 골수 유래 줄기세포에 비하여 낮게 발현하였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권리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상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은, CD90및 SOX2를 95% 이상 발현하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은, CD90및 SOX2인,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은, 염증조절 유전자를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1.5배 내지 100 배 이상 고발현하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염증조절 유전자는 Acp5, Adora2a, Apoe, Bcr, Cdh5, Cx3cl1, Foxf1, Gata3, Gps2, Lrfn5, Mdk, Pbk, Psma1, Tek, Ptger4 및 Socs5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인간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또는 직접교차분화 줄기세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화 유도된 줄기세포인,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보존제를 더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경구 혹은 비경구적으로 투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입욕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 및 증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 및 증식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된 성분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라는 용어는, 뼈, 연골, 지방, 근육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 MMSC)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란, 수정란이 분열하여 생긴 중배엽에서 분화된 골수의 기질, 연골, 골조직, 지방조직 등에 존재하는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세포를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CD90및 SOX2등을 고발현함으로써 면역억제능, 항염증 효능 또는 다능성 유지력 등이 향상된 신규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와 중간엽 줄기세포라는 표현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상기 CD90은 면역 조절 관련 유전자 마커이고, SOX2는 세포 다능성 유지 관련 마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은 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하나로, 아토피성 피부염이 대표적인 질환이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은 흔히, 태열이라고 불리는 만성 피부질환으로서 피부건조증 및 가려움증이 주 증상이다. 면역학적 특성을 보여 다른 알레르기 질환인 두드러기, 금속 알레르기,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가족력을 띠는 경향이 있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대체로 생후 2 내지 6 개월이며, 특히 1세 미만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85%가 만 다섯 살 안에 나타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면역 질환 또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면역 질환 또는 염증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질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질환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알레르기, 피부염, 아토피, 외이도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은,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으로서,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발현되는 CD90, SOX2 또는 염증조절 유전자 등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은, CD90 및 SOX2를 95% 이상 발현하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분은, CD90 및 SOX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은, 염증조절 유전자를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1.5배 내지 100 배 이상 고발현하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양 농축액은 염증조절 유전자를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2배 내지 100배 이상 고발현하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염증조절 유전자를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2.11배 내지 118.89배 이상 고발현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염증조절 유전자를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2배 내지 100배 이상 고발현 할 수 있다.
상기 염증조절 유전자는 Acp5, Adora2a, Apoe, Bcr, Cdh5, Cx3cl1, Foxf1, Gata3, Gps2, Lrfn5, Mdk, Pbk, Psma1, Tek, Ptger4 및 Socs5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염증 조절 유전자는 각 GO:0050728 (negativ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Acp5, Adora2a, Apoe, Bcr, Cdh5, Foxf1, Gata3, Gps2, Lrfn5, Pbk, Tek, Ptger4, Socs5), GO:1903979 (negative regulation of microglial cell activation) (Cx3cl1), GO:0106015 (negativ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to wounding) (Mdk) 및 GO:0002862 (negativ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to antigenic stimulus) (Psma1) 등의 gene ontology에 속한다. 상기 GO:0050728, GO:1903979, GO:0106015 및 GO:0002862 등의 gene ontology는 면역반응 및 그에 따른 염증에 대한 억제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ACVR1, ACVR2B 및 BMP2 단백질을 고발현한다. 상기 ACVR1, ACVR2B 및 BMP2 단백질은 SMAD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고, 상기 SMAD 단백질은 TGF-beta 사이토카인의 세포 내 신호전달 매개체로서, SMAD 단백질은 TGF-β와 상호작용하여 분화 및 세포자살 등을 조절한다.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ACVR1, ACVR2B 및 BMP2 단백질을 고발현하고, SMAD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여, 염증 억제효과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다. 또한,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면역작용 및 염증반응에 의하여 높아지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저해할 수 있는 IL-10 및 MET 단백질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고발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C3, Fcer1g, Napepld, Tlr3, Vamp7, Vamp8, Wnt5a 및 Il15 등과 같은 염증강화 유전자의 발현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0.45배 내지 0.03배 이하로 저발현한다. 상기 염증강화 유전자는 각 GO:0001798 (positive regulation of type IIa hypersensitivity) (C3), GO:0001805 (positive regulation of type III hypersensitivity) (Fcer1g), GO:0050729 (positive regul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Napepld, Tlr3, Wnt5a, Il15), GO:1903595 (positive regulation of histamine secretion by mast cell) (Vamp7, Vamp8) 등의 gene ontology에 해당한다. 상기 GO:0001798, GO:0001805, GO:0050729 및 GO:1903595 등의 gene ontology는 과민성 반응과 그에 따른 히스타민 분비 및 염증반응에 대한 유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인간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또는 직접교차분화 줄기세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화 유도된 줄기세포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하나 이상의 담체 또는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서 사용 가능한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이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등이 있고,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이 있다. 이렇게 제조된 약제학적 제제는 경구적으로 투여하거나, 비경구적으로 예를들면 정맥내, 피하, 복강내 또는 국소적용 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형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도포, 정맥 내 주입, 피하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 증상이 있는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되는 방식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입욕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질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 및 증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양 및 증식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된 성분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 1: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 질환 마우스 모델의 확립
실험에 사용한 동물은, 대표적인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이 발현된 마우스다. 4주령의 마우스를 구입하여, 일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5주령의 마우스(Balb/c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순화기간을 거친 5주령의 마우스(Balb/c 마우스)에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기 위해 마우스의 등쪽의 털을 최대한 제모기로 제모 한 후, 제모크림을 이용하여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1cm2 크기로 자른 멸균 거즈에, 해바라기씨유에 용해시킨 1%의 DNCB(1-chloro-2,4-dinitrobenzene)를 80 ul 도포하여, 제모 크림을 제거한 마우스의 등에 얹었다. 해바라기씨유에 용해시킨 1%의 DNCB가 80 ul 도포된 거즈를 마우스의 등에 얹은 후, 피부에 잘 접착하는 테이프를 이용하여 등에 잘 붙여주었다. 2주동안, 1% DNCB를 도포한 새로운 거즈로 매일 바꿔주었다. 2주가 지나고 난 후, 0.5% DNCB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1주간 진행하였다. DNCB를 매일 3주간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 질환 마우스 모델을 확립하였다(도 3 참조).
실시예 2: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1)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로부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였다.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는 세포주 확립 후 70회 이하 계대 배양된 것을 이용하였다. 세포주 확립 후 70회 이하 계대 배양된,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유지배양을 진행하였다. 유지배양된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는 단순 효소처리에 의해 배양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였다. 그리고, 배상체 형성을 통해, 낭성(Cystic) 배상체만 선별하였다.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를 새로운 배양 플레이트(6 well plate)에 결합시키기 전, 배양시 최초 1회에 한하여, 새로운 배양플레이트에 먼저 2ml의 배양액을 넣었다. 그리고, 2ml의 배양액을 포함한 배양 플레이트에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를 결합시켰다. 그 후,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 내에 2ml의 배양액을 추가로 넣고, 선별된 낭성 배상체를 결합된 세포 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 위에 로딩하였다. 새로운 배양 플레이트에 넣은 배양액과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 내의 배양액은 EGM-2MV를 사용하였다. 낭성 배상체가 로딩된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 내의 배양액을 이틀동안 교체하지 않고 배상체를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 내에만 4ml의 배양액을 추가로 넣고, 매일 배양액을 교체하여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5-7일 동안 세포분화를 진행하였다. 상기 분리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에 있어서,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를 투과하여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의 아래로 이동한, 군집 형태의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군집 중 다층(Multilayer) 형태의 군집은 기계적(mechanically)으로 제거하였다. 분리된 군집 중 단층(Monolayer) 형태의 군집만을 마이크로 파이펫 팁을 이용하여 가로 500μm 이하, 세로 500μm 이하의 크기로 잘라 균일화하여 선택적으로 배양하였다. 보다 바람직하게, 단층 형태의 군집은 가로와 세로 각각 100μm ~ 500μm의 크기로 균일화하여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였다. 5-7일 동안 배양 후, 군집으로부터 단일세포 형태로 뻗어 나오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만을 분리하고, 계대 배양하여 증식시켰다. 단일세포 분리 전, 단일세포 형태가 아닌 군집 및 상피세포 모양의 세포들은 마이크로 파이펫 팁으로 완전히 제거하였다. 분리된 단일세포는 새로운 배양 플레이트로 옮겨 계대 배양을 통해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때, 배양 배지는 EGM-2MV를 사용하였다. 군집 형태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가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 아래로 이동하면,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를 배양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의 아래로 이동한 군집 형태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수득한 후 다층(Multilayer) 형태의 군집은 기계적으로 제거하고, 단층(Monolayer) 형태의 군집의 크기를 균일화하여 선택적 배양을 실시하였다. 단층 형태의 군집으로부터 증식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지속적인 계대 배양에 의하더라도, 세포의 형태 및 증식능이 유지되어, 세포의 형태 및 증식 등에 미치는 부정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100 mm 접시에 2.75x105개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시딩하고 4일째,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밀도가 80% 이상이 되었을 때 배양액을 얻었다. 시딩 후 2일에 한 번씩 10 ml의 Naive media를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가 시딩된 접시에 넣어주었다. Conditioned media와 Naive media 각각을 Macrosep Advance Centrifugal Devices and Omega Membrane 100K (Pall, NY, USA)로 5000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농축액을 얻었다. Conditioned media은, 100 mm 접시에 2.75x105개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시딩하고 4일째,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밀도가 80% 이상이 되었을 때 배양액을 의미한다. Naive media는 EBMTM-2 Basal Medium에 EGMTM-2 MV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Growth (EGM2-MV) Medium SingleQuotsTM supplements을 추가한 Media로서, 세포를 키우지 않은 상태의 순수한 Media이다. Conditioned media의 배양 상층액으로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 MMSC)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의 용해물(lysate)과 배양 상층액(supernatant)의 비교
MMSC의 단백질 발현 프로파일을 BM-MSC 또는 사람 피부 섬유모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의 단백질 발현 프로파일과 비교하기 위해, L507 항체 어레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도 2 참조). MMSC 상층액과 BM-MSC 상층액은 상관 관계(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r))가 높았다. 도2A는 MMSC, BM-MSC 및 사람 피부 섬유모세포(hDF)(대조군)의 단백질 발현을 비교한 히트맵이다. 빨간색은 발현이 높은 단백질, 파란색은 발현이 낮은 단백질을 의미한다. MMSC와 BM-MSC 사이에 있는 덴트라이트(dendrite)가 MMSC와 hDF 사이에 있는 덴트라이트보다 짧고, 이것은, MMSC와 BM-MSC의 상관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 2B는 MMSC와 BM-MSC의 단백질 발현량을 나타낸 산점도 및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r)이다. r 수치는 중증도의 상관성을 나타내며, r=0.5964864이다. 도 2C는 MMSC에서 BM-MSC에 비하여 발현이 높은 단백질을 분석하여, 유의미하게 활성이 높은 생물학적인 과정(biological process)을 나타낸다. 도 2D는 도 2C에 제시된 생물학적인 과정에 해당하는 단백질이 전체 단백질 중에 차지하는 퍼센트이다.
그 후 ClueGO 분석을 수행하여 DEP(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의 생물학적 기능을 확인하였다. DEP는 유의미하게 발현이 높거나 낮은 단백질을 분석한 것이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용해물 및 배양 상층액의 단백질 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반정량적인 단백질 antibody array chip인 L507(RayBiotech)을 이용하였다. 세포 용해물 및 배양 상층액은 total RNA를 수득하는 시점에 함께 수득 되었다. L507 칩은 biotin labeling 기반으로 507종의 단백질을 분석하는 방식으로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단백질 분석을 위하여 선택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세포 용해물 및 배양 상층액의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BCA protein assay kit(Abcam)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50 내지 200 μg 범위). 정량된 단백질은 동일한 양으로 분주되어 biotin labeling 되었다. 그리고, protein hybridization 되었다. Hybridization에 의한 형광 이미지는 streptavidin-cyanine3 conjugate를 이용하여 시각화 되며, GenePix 4100A Microarray Scanner (Molecular Devices)로 스캔되었다. 모든 데이터는 edgeR을 이용하여 quantile normalization 되었다. 그리고, GenePix Pro 7.0 software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모든 데이터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비교를 위하여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에 나타냈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용해물과 배양 상층액의 단백질 조성 중ACVR2B, BMP2, CCHCR1, CCR2, CXCL1, IL15RA, INHBB와 같은 7종의 단백질이 공통된다. 공통된 단백질은 대부분 주요한 염증 조절인자에 속한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용해물 및 배양 상층액은 모두 염증 조절 능력이 있다.
도 8과 같이,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용해물 단백체를 분석하였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Angiopoietin-4 (ANGPT4), BMPR-1B(bone morphogenic protein receptor 1B), HCR(human chemokine receptor), Activin B, Activin RII, CCR1, ICAM-2(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 2)를, 골수 유래 줄기세포 대비 약 2배 이상 높게 발현하였다. 반면, 도 9와 같이, Angiogenin(ANG), Angiopoetin-1(ANG-1), Angiopoetin-2(ANG-2), Bone morphogenic proteins receptor1A(BMPR1A), CXCR6(CXC-chemokine receptor6)를 포함한 15종 단백체는,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대비 약 2배 낮게 발현되었다.
도 10과 같이, 배양 상층액에 대한 단백체를 분석하였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GRO-a, IL-15R alpha, FasL, Activin RII, BMP-2, CCR2, CXCL14, FGFR4를 골수 유래 줄기세포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높게 분비하였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상층액은, SMAD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ACVR1, ACVR2B 및 BMP2 단백질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고발현한다. 즉,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상층액은, SMAD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여, 염증 억제효과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다. 또한,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면역작용 및 염증반응에 의하여 높아지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저해할 수 있는 IL-10 및 MET 단백질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고발현한다. IL10, IL6, INHBB, MET, BMP2, CXCL1, CXCL8, EML2, GDF1, GDF3, IFNG, IL2, MSTN, TNFSF8, ACVR1, ACVR2A, ACVR2B 등 17종의 단백질이 염증을 억제하는 biological process에 관여한다.
도 11과 같이,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TIMP-2(Tissue inhibitor of methalloproteinases-2), ActivinA, VEGFA(Vascular endothelial factor), FSTL1(Follistantin-like 1), ErB4, Thrombospondin-1등은 낮게 발현하였다.
실시예 4: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1 cm2 크기로 자른 멸균 거즈에 80 ul씩 도포하여, 실시예 1에서 확립한, 마우스 모델의 병변에 붙여주었다.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80 ul씩 도포한 거즈를, 10일동안 매일 바꿔주었다.
실시예 5: 육안병변 평가
대조군으로서 Naive media 농축액을, 실시예 4와 같이 1 cm2 크기로 자른 멸균 거즈에 80 ul씩 도포하여, 마우스 모델의 병변에 붙여주었다. 그 결과, Naive media농축액을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MMSC 배양액 농축액을 처리한 그룹은 피부 건조, 진물 및 딱지 등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4 참조).
실시예 6: 조직검사
피부 두께는 H&E염색을 통해 측정되었으며, MMSC배양 농축액을 처리한 마우스 모델 그룹의 피부가, Naive media 농축액을 처리한 마우스 모델의 피부보다, 현저하게 얇은 피부를 나타내었다(도 5 참조). Toluidine Blue염색과 F4/80염색을 통해 비만세포와 대식세포를 비교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MMSC배양 농축액을 처리한 그룹에서 비만세포와 대식세포가, 유의하게 적게 관찰되었다(도 5 참조).
실시예 7: 염증 수치
피부 조직에서의 IL-1b, IL-4, IL-6, IL-10 및 IL-13과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혈청에서의 IgE 수준 평가를 위해 q-PCR과 ELISA 실험을 실시하였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MMSC배양 농축액을 처리한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 아토피 피부염의 보편적인 마커인 IgE 수준도 대조군보다 MMSC배양 농축액을 처리한 그룹에서 현저히 낮았다.
실시예 8: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개의 피부에서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암컷/중성화 3년령 몰티즈 2마리에 대하여, 염증성 부위에 스프레이 형식으로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1일 간격으로 1회, 총 10일간 염증성 부위에 스프레이 형식으로 도포하였다.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함에 따라, 소양감으로부터 기인하는 피부를 긁는 행동이 현저하게 완화되었다. 또한, 피부의 발진, 수포, 체액 삼출, 기름진 딱지와 같은 육안병변이 현저하게 완화되었다(도 7 참조).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70회 이하 계대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분화 유도한 배상체 중 낭성 배상체를 선별하는 단계;
    (c) 상기 낭성 배상체를 세포투과성 3차원 배양삽입체 상에 로딩하여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군집을 분리하는 단계;
    (d) 상기 분리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군집 중 단층 형태의 군집만을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분리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f)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 상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인간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또는 직접교차분화 줄기세포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화 유도된 줄기세포인,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ANGPT4, BMPR-1B, HCR, Activin B, Activin RII, CCR1, CCR2, ICAM-2, FasL, BMP-2, CXCL14, 및 FGFR4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대비 2배 이상 고발현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보존제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경구 혹은 비경구적으로 투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89106A 2020-09-04 2020-12-31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0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3272 2020-09-04
KR1020200113272 2020-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509B1 true KR102280509B1 (ko) 2021-07-22

Family

ID=7715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106A KR102280509B1 (ko) 2020-09-04 2020-12-31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5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9543A (zh) * 2022-06-17 2022-09-23 上海简巨医学生物工程有限公司 含有间充质干细胞来源提取物的舒缓液的制备方法
WO2023090589A1 (ko) * 2021-11-22 2023-05-25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과민성 면역반응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6671B1 (ko) * 2021-11-22 2023-05-26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과민성 면역반응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2487A (ko) 2022-06-29 2024-01-0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근육염증 또는 염증을 동반한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182A (ko) * 2005-09-02 2008-06-20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간엽 줄기 세포의 유도 방법
KR20130073794A (ko) * 2011-12-23 2013-07-03 (주)치아줄기세포뱅크 줄기세포 분비 단백질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6182A (ko) * 2005-09-02 2008-06-20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간엽 줄기 세포의 유도 방법
KR20130073794A (ko) * 2011-12-23 2013-07-03 (주)치아줄기세포뱅크 줄기세포 분비 단백질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589A1 (ko) * 2021-11-22 2023-05-25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과민성 면역반응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6671B1 (ko) * 2021-11-22 2023-05-26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과민성 면역반응에 의한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089543A (zh) * 2022-06-17 2022-09-23 上海简巨医学生物工程有限公司 含有间充质干细胞来源提取物的舒缓液的制备方法
KR20240002487A (ko) 2022-06-29 2024-01-05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근육염증 또는 염증을 동반한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509B1 (ko)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 자가면역성 및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hen et al. Chronic inflammation directs an olfactory stem cell functional switch from neuroregeneration to immune defense
Takata et al. Induced-pluripotent-stem-cell-derived primitive macrophages provide a platform for modeling tissue-resident macrophage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Lee et al. Hypoxic conditioned medium from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promotes mouse liver regeneration through JAK/STAT3 signaling
Chang et al. Isol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with neurogenic potential from the mesoderm of the amniotic membrane
Hou et al. Inhibitory effect and mechanism of mesenchymal stem cells on liver cancer cells
Cai et al. Cancer‑associated adipocytes exhibit distinct phenotypes and facilitate tumor progression in pancreatic cancer
Albiero et al. Exposure of periodontal ligament progenitor cells to lipopolysaccharide from Escherichia coli chang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pattern
KR102192307B1 (ko)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Kim et al. Involvement of TLR3-dependent PGES expression in immunosuppression by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Vellasamy et al. Human mesenchymal stromal cells modulate T-cell immune response via transcriptomic regulation
Chen et al. Renewal of embryonic and neonatal-derived cardiac-resident macrophage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ues abrogated their potential to promote cardiomyocyte proliferation via Jagged-1–Notch1
EP3932388A1 (en) Method of preparing mesenchymal-like stem cells and mesenchymal-like stem cells prepared thereby
Akhurst From shape-shifting embryonic cells to oncology: The fascinating history of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Xiang et al. Transcriptome analysis and functional identification of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secondary lymphedema
Quatrini et al. Glucocorticoids inhibit human hematopoietic stem cell differentiation toward a common ILC precursor
KR20160002248A (ko) 다공성 막을 가진 세포배양 삽입체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다분화능 신경능 줄기세포의 분리 방법
KR102082745B1 (ko) 항염증 성분을 분비하는 줄기세포 배양방법 및 그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TWI796536B (zh) 包含克隆幹細胞的用於治療胰腺炎的藥學組合物
Li et al. Integrative single-cell RNA-seq and ATAC-seq analysis of mesenchymal stem/stromal cells derived from human placenta
Mukamoto et al. Regulation of early chicken thymocyte proliferation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from thymic stromal cells and thymocytes
Han et al. The immune barrier of porcine uterine mucosa differs dramatically at proliferative and secretory phases and could Be positively modulated by colonizing microbiota
Nishikawa et al. Development of an in vitro culture method for stepwise differentiation of mouse embryonic stem cells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to mature osteoclasts
Mitra et al. Pre-differentiation of KIND1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 into type I alveolar epithelial cells alleviates symptoms o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n mice
WO2017039251A1 (ko) 향상된 산후 부착형 세포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