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29B1 -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29B1
KR102279229B1 KR1020200169360A KR20200169360A KR102279229B1 KR 102279229 B1 KR102279229 B1 KR 102279229B1 KR 1020200169360 A KR1020200169360 A KR 1020200169360A KR 20200169360 A KR20200169360 A KR 20200169360A KR 102279229 B1 KR102279229 B1 KR 102279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oll
conveyor
forming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천
Priority to KR102020016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04C2/32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with parallel corrug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02/001Mechanical features of panels
    • E04C2002/004Panels with profiled edges, e.g. stepped, ser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사각 기둥 형상의 제1 각재를 결 바꿈하여 이송하고, 제2 유닛은 결 바꿈하여 이송한 제1 각재를 사다리꼴 기둥 형상의 제2 각재로 성형하며, 제3 유닛은 파형 패턴을 형성하는 제1 패널과 보강 홈을 형성한 제2 패널 사이에 제2 각재 및 보강 홈과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한 코어 심재를 접착시키는 구조로부터, 파형 패턴을 가진 샌드위치 패널의 자동적인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AUTOMATIC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ANDWICH PANEL}
본 발명은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 패턴을 가진 샌드위치 패널의 자동적인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록실용 제20-0193364호를 포함한 샌드위치패널은, 금속제 철판을 높낮이와 폭이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굴곡 성형하여서 된 상판과 하판 사이에 단열재 및 흡음재 등을 충진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예를 들어, 건축용 패널은 공장이나 냉동창고, 물류창고 등과 같은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종류에 따라 건축물의 외장재 또는 내장재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패널형태의 건축자재들은 내부에 단열재를 구성하여 단열효과와 방음효과가 높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패널 등과 같은 건축용 패널들은 공장 등에서 규격화하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다양한 건축물의 시공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샌드위치패널의 경우, 상판과 하판에 심미감을 가미하고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굴곡부를 형성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포밍로울러 다수 설치하여서 된 롤포밍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굴곡무늬를 가진 팔레트를 성형하고 있다.
한편, 상기 롤포밍장치는 언코일러에 적재된 철판코일을 이송받아 연속적으로 롤포밍 가공하도록 된 것으로,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되는 철판코일에 의해 일정한 폭을 가진 상판과 하판을 가공할 수 있고 이를 거친 상판과 하판은 노칭 및 밴딩공정을 거쳐 일정 길이로 재단한 후 상판과 하판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심재를 밀착시키고 핫프레싱을 통해 샌드위치패널을 제조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판과 하판을 제조시 롤포밍공정과 노칭 및 밴딩공정의 경우에는 자동화 설비를 이용해 제조하므로 상판과 하판을 대량생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후 상판과 하판 사이에 심재를 접합하는 과정은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샌드위치패널의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 제20-01933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파형 패턴을 가진 샌드위치 패널의 자동적인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파형 패턴을 형성하며 외판을 이루는 제1 패널과, 평판 상에 상기 파형 패턴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제1 패널측을 향하여 보강 홈이 형성되어 내판을 이루는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재인 심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재 중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복수의 상기 단열재(이하 제1 각재(角材))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결이 형성된 상기 제1 각재를 특정 위치를 통과할 때 90도 회전시켜 상기 결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세운 다음, 복수의 상기 제1 각재들을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이송시키는 제1 유닛; 상기 제1 각재들 각각의 절단에 따라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 배출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2 각재를 제작하는 제1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1 작업챔버와, 상기 심재 중에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사이에 상기 제2 각재들과 별도로 배치될 코어 심재의 상기 제2 패널과의 대향면에 상기 보강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 홈을 형성시키는 제2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 작업챔버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평판 형상의 철판에 상기 보강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2 패널을 제작하는 성형롤부와, 상기 코어 심재의 상기 제1 패널과의 대향면(이하 제1 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도포부와, 상기 코어 심재의 상기 제2 패널과의 대향면(이하 제2 면)에 제2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도포부와,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코어 심재와의 대향면에 제3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 도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각재가 안착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코어 심재와 상기 제2 패널을 동시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접착 고정시키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상기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연속적으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상기 제1 각재 각각의 결을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교되게 위치 변경시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각재들을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말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컨베이어를 따라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각재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를 바꾸는 변위 가이드와, 상기 결이 위치 변경된 상기 제1 각재들을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교한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말단부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상기 제1 각재들을 서로 엇갈리게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상기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단하여 상기 제2 각재를 제작하는 제1 성형 커터와, 상기 복수의 제2 각재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4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4 컨베이어부의 일부와 상기 제1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상기 제1 작업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블로워와, 상기 코어 심재에 상기 결합 홈을 형성시키는 제2 성형 커터와, 상기 코어 심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5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5 컨베이어부의 일부와 상기 제2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상기 제2 작업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평판 형상의 철판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보강 홈을 형성하는 제1 리브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롤과, 상기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리브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제1 리브 홈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롤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롤과, 상기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롤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롤을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패널 양측의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제1 조인트 롤과, 상기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 롤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롤을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조인트 롤과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제2 조인트 롤과, 상기 제1 면과 구름 접촉하며 상기 코어 심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이 구비된 제6 컨베이어와, 상기 제1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6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 심재와 접촉하며 상기 제1 접착제가 상기 제1 면에 분출되는 제1 노즐들이 상기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분출 바와, 상기 제2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6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접착제가 상기 제2 면에 도포되도록 상기 제2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2 노즐들이 상기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2 분출 바와, 상기 제3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6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롤 및 상기 제2 롤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보강 홈이 형성된 상기 제2 패널에 상기 제3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상기 제3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3 노즐들이 상기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3 분출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유닛으로부터 완성 배출되는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 각각의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에 부압을 발생시켜 일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와, 상기 흡착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이 일정 이송량만큼 다단 적층되는 상면을 가지는 최종 컨베이어부와, 상기 최종 컨베이어부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다단 적층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 중 최하층의 샌드위치 패널에 포크리프트의 리프트 바를 밀어넣어 들어올려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파형 패턴을 형성하며 외판을 이루는 제1 패널과, 평판 상에 파형 패턴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제1 패널측을 향하여 보강 홈이 형성되어 내판을 이루는 제2 패널과, 제1 패널과 제2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재인 심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심재 중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복수의 단열재(이하 제1 각재(角材))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1 방향과 평행한 결이 형성된 제1 각재를 특정 위치를 통과할 때 90도 회전시켜 결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세운 다음,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제1 방향과 동일 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이송시키는 제1 유닛; 제1 각재들 각각의 절단에 따라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 배출하면서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2 각재를 제작하는 제1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1 작업챔버와, 심재 중에서 제1 패널과 제2 패널 사이에 제2 각재들과 별도로 배치될 코어 심재의 제2 패널과의 대향면에 보강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 홈을 형성시키는 제2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 작업챔버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평판 형상의 철판에 보강 홈을 형성하여 제2 패널을 제작하는 성형롤부와, 코어 심재의 제1 패널과의 대향면(이하 제1 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도포부와, 코어 심재의 제2 패널과의 대향면(이하 제2 면)에 제2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도포부와, 제2 패널의 코어 심재와의 대향면에 제3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 도포부를 포함하며, 제2 각재가 안착된 제1 패널과 코어 심재와 제2 패널을 동시에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접착 고정시키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자동화하여 대량 생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연속적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부와,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각재 각각의 결을 제1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교되게 위치 변경시켜 제1 방향으로 제1 각재들을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부와, 제1 컨베이어의 말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컨베이어를 따라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1 각재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를 바꾸는 변위 가이드와, 결이 위치 변경된 제1 각재들을 제1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교한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제2 컨베이어부의 말단부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제1 각재들을 서로 엇갈리게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산과 골을 형성하는 파형 패턴을 가진 V115강판을 활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할 때 일방향으로 결이 형성된 글라스울 단열재와 같은 특정 단열재의 구조적 특징을 감안하여 맞춤형 생산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은, 제1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2 각재를 제작하는 제1 성형 커터와, 복수의 제2 각재들을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4 컨베이어부와, 제4 컨베이어부의 일부와 제1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제1 작업챔버와 연결되며 제1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블로워와, 코어 심재에 결합 홈을 형성시키는 제2 성형 커터와, 코어 심재를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5 컨베이어부와, 제5 컨베이어부의 일부와 제2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제2 작업챔버와 연결되며 제2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로워를 더 포함함으로써, 단열재의 커팅 과정에서 대량의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작업장 내의 공기질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작업자들의 건강을 고려한 안전한 작업장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평판 형상의 철판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 홈을 형성하는 제1 리브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롤과,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리브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제1 리브 홈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롤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롤과,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롤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1 롤을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제2 패널 양측의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제1 조인트 롤과,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2 롤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2 롤을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제1 조인트 롤과 맞물려 회전하고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제2 조인트 롤과, 제1 면과 구름 접촉하며 코어 심재를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이 구비된 제6 컨베이어와, 제1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6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코어 심재와 접촉하며 제1 접착제가 제1 면에 분출되는 제1 노즐들이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분출 바와, 제2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6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2 접착제가 제2 면에 도포되도록 제2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2 노즐들이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2 분출 바와, 제3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6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 롤 및 제2 롤 사이를 통과하여 보강 홈이 형성된 제2 패널에 제3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제3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3 노즐들이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3 분출 바를 더 포함함으로써, 종래에 수작업에 의하여 일일이 접착제를 도포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도포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장 내부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으로부터 완성 배출되는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 각각의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에 부압을 발생시켜 일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와, 흡착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이 일정 이송량만큼 다단 적층되는 상면을 가지는 최종 컨베이어부와, 최종 컨베이어부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다단 적층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 중 최하층의 샌드위치 패널에 포크리프트의 리프트 바를 밀어넣어 들어올려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조 공정과 보관 및 운송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특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의 부분 측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의 측면 개념도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중 성형롤부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도 4의 vi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중 제2 도포부와 제3 도포부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에 구비된 흡착 이송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에 구비된 최종 컨베이어부 및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평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의 부분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의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중 성형롤부(340)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의 vi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중 제2 도포부(320)와 제3 도포부(330)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에 구비된 흡착 이송부(500)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에 구비된 최종 컨베이어부(600) 및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700)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I는 제1 방향을, II는 제2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아울러, 도 7에서 부호 “⊙”는 본 명세서를 바라보는 독자를 향하여 가까워지게 이동하는 방향을, 도 7에서 부호 “ⓧ”는 본 명세서를 바라보는 독자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을 각각 가리킨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401)과 골(402)이 반복되는 파형 패턴을 형성하며 외판을 이루는 제1 패널(410)과, 평판 상에 파형 패턴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제1 패널(410)측을 향하여 보강 홈(421)이 형성되어 내판을 이루는 제2 패널(420)과, 제1 패널(410)과 제2 패널(420)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재인 심재(430)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400)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이 사각 기둥 형상의 제1 각재(431a)를 결 바꿈하여 이송하고, 제2 유닛(200)은 결 바꿈하여 이송한 제1 각재(431a)를 사다리꼴 기둥 형상의 제2 각재(431b)로 성형하며, 제3 유닛(300)은 파형 패턴을 형성하는 제1 패널(410)과 보강 홈(421)을 형성한 제2 패널(420) 사이에 제2 각재(431b) 및 보강 홈(421)과 대응하는 결합홈(432g)을 형성한 코어 심재(430)를 접착시키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심재(430)는 단열재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글라스울(glass wool)이나, 미네랄 울(mineral wool), PF 보드, 우레탄, EPS 단열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열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심재(430) 중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복수의 단열재(이하 제1 각재(431a)(角材))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1 방향과 평행한 결이 형성된 제1 각재(431a)를 특정 위치를 통과할 때 90도 회전시켜 결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세운 다음,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제1 방향과 동일 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작업챔버(210)와 제2 작업챔버(220)를 구비한 것이다.
제1 작업챔버(210)는 제1 각재(431a)들 각각의 절단에 따라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 배출하면서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2 각재(431b)를 제작하는 제1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것이다.
제2 작업챔버(220)는 심재(430) 중에서 제1 패널(410)과 제2 패널(420) 사이에 제2 각재(431b)들과 별도로 배치될 코어 심재(432)의 제2 패널(420)과의 대향면에 보강 홈(421)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 홈(432g)을 형성시키는 제2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것이다.
제3 유닛(300)은 크게 제1, 2, 3 도포부(310, 320, 330)와 성형롤부(3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성형롤부(340)는, 평판 형상의 철판에 보강 홈(421)을 형성하여 제2 패널(420)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도포부(310)는 코어 심재(432)의 제1 패널(410)과의 대향면(이하 제1 면(432a))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다.
제2 도포부(320)는 코어 심재(432)의 제2 패널(420)과의 대향면(이하 제2 면(432b))에 제2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다.
제3 도포부(330)는 제2 패널(420)의 코어 심재(432)와의 대향면에 제3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 도포부(330)를 포함하며, 제2 각재(431b)가 안착된 제1 패널(410)과 코어 심재(432)와 제2 패널(420)을 동시에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접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연속적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각재(431a) 각각의 결을 제1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교되게 위치 변경시켜 제1 방향으로 제1 각재(431a)들을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제1 컨베이어부(110)의 말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컨베이어를 따라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1 각재(431a)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를 바꾸는 변위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유닛(100)은, 결이 위치 변경된 제1 각재(431a)들을 제1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교한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제2 컨베이어부(120)의 말단부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제1 각재(431a)들을 서로 엇갈리게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 각재(431a)들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하게 되면 도 1의 상단 좌측과 같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결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제1 각재(431a)들의 결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에서 절단 작업을 수행할 경우 눌려지거나 비틀리면서 작업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다분한 것이다.
따라서, 제2 컨베이어부(120)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제1 각재(431a)들 각각의 결을 90도 회전시켜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변경시킨 후, 제3 컨베이어부(130)는 벽돌쌓기 패턴으로 엇갈리게 후술할 제2 유닛(200)측으로 이송시켜 구조적 강도를 유지시키면서 제2 각재(431b)를 제작하기 위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제1 각재(431a)의 하단부 일측 가장자리가 변위 가이드(140)에 접촉됨에 따라 결이 변위되게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이 90도 회전된 다음 제2 컨베이어부(12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토록, 제1 컨베이어부(110)의 말단부에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변위유지 바(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닛(100)은, 변위유지 바(15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컨베이어부(110)를 따라 이송되는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에 구름 접촉함으로써,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이 변위유지 바(150)와 변위 가이드(140)에 의하여 제2 컨베이어부(120)측으로 이송 안내되도록 하는 이송 안내 휠(151)을 더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변위유지 바(15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연장되어 이송 안내 휠(151)을 각각 회전 지지하는 휠지지 브라켓(152)과, 휠지지 브라켓(152)과 변위유지 바(150) 사이에 형성되고, 변위유지 바(150)에 대한 휠지지 브라켓(152)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한 조절편(153)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조절편(153)은 제1 컨베이어부(110)를 따라 이송되는 복수의 제1 각재(431a)들 각각의 두께 또는 폭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3 컨베이어부(130)는,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 컨베이어부(120)로부터 이송되는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이 연이어 이송되는 상면을 가지는 거치 테이블(131)과, 푸시 이송 수단(132)과 이송 휠 수단(이하 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푸시 이송 수단(132)은 거치 테이블(131)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제2 방향으로 제1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1 푸시로드(132ar)를 가지는 제1 실린더(132a)와, 거치 테이블(131)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제2 방향으로 제1 길이보다 크거나 작은 제2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2 푸시로드(132br)를 가지는 제2 실린더(132b)가 반복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즉, 푸시 이송 수단(1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각재(431a)들을 벽돌쌓기 방식으로 다소 엇갈리게 배치시켜 후술할 제2 유닛(200)측으로 이송시키는 패턴을 만들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송 휠 수단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거치 테이블(131) 상에 배치되어 푸시 이송 수단(132)에 의하여 상호 엇갈리게 밀려진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일정 거리만큼 제2 유닛측으로 이송시키고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2 각재(431b)를 제작하는 제1 성형 커터(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복수의 제2 각재(431b)들을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4 컨베이어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4 컨베이어부(240)의 일부와 제1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제1 작업챔버(210)와 연결되며 제1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블로워(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코어 심재(432)에 결합 홈(432g)을 형성시키는 제2 성형 커터(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닛(200)은, 코어 심재(432)를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5 컨베이어부(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유닛(200)은, 제5 컨베이어부(250)의 일부와 제2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제2 작업챔버(220)와 연결되며 제2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로워(2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성형롤부(34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롤(341)과 제2 롤(342)과 제1 조인트 롤(343)과 제2 조인트 롤(344)을 포함하여 제2 패널(420)을 제작하고, 결합홈(432g)이 형성된 코어 심재(432)를 제6 컨베이어(360)가 이송하되, 제1 도포부(310)는 코어 심재(432)의 제1 면(432a)에 제1 접착제를, 제2 도포부(320)는 제2 면(432b)에 제2 접착제를, 제3 도포부(330)는 제2 패널(420)에 제3 접착제를 도포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롤(341)은 평판 형상의 철판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 홈(421)을 형성하는 제1 리브(341b)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며, 제2 롤(342)은 제1 리브(341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제1 리브 홈(342g)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롤(341)과 맞물려 회전하는 것이다.
제1 조인트 롤(343)은 제1 롤(341)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1 롤(341)을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341s)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제2 패널(420) 양측의 조인트부(422)를 형성하는 것이며, 제2 조인트 롤(344)은 제2 롤(342)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2 롤(342)을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342s)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제1 조인트 롤(343)과 맞물려 회전하고 조인트부(422)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6 컨베이어(360)는 제1 면(432a)과 구름 접촉하며 코어 심재(432)를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361)이 구비된 것이다.
제1 도포부(310)는, 제6 컨베이어(3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코어 심재(432)와 접촉하며 제1 접착제가 제1 면(432a)에 분출되는 제1 노즐(312)들이 코어 심재(432)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분출 바(311)를 포함한다.
제2 도포부(320)는, 제6 컨베이어(36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2 접착제가 제2 면(432b)에 도포되도록 제2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2 노즐(322)들이 코어 심재(432)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2 분출 바(321)를 포함한다.
제3 도포부(330)는, 제6 컨베이어(36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 롤(341) 및 제2 롤(342) 사이를 통과하여 보강 홈(421)이 형성된 제2 패널(420)에 제3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제3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3 노즐(332)들이 코어 심재(432)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3 분출 바(331)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6과 같이 제2 노즐(322)들 각각의 말단부에는 제1 가이드 팁(323)이 장착되어 형상 변형 및 복원을 허용하며 제2 분출 바(321)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제3 노즐(332)들 각각의 말단부에는 제2 가이드 팁(333)이 장착되어 형상 변형 및 복원을 허용하며 제3 분출 바(331)를 따라 일렬로 배치됨과 동시에 제2 패널(420)에 접촉된다.
이때, 전술한 제1 분출 바(311)와 제2 분출 바(321) 및 제3 분출 바(331)는 각각 제1, 2, 3 접착제가 수용된 접착제 탱크(이하 미도시)과 토출용 전자밸브(이하 미도시) 및 유체 펌프(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 가이드 팁(323)으로부터는 도 6의 점선으로 표시된 곡선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량만큼의 제2 접착제가 코어 심재(432)의 제2 면(432b)에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균일하게 제2 접착제가 배치되고 도포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2 가이드 팁(333)으로부터 토출되는 제3 접착제는 도 6의 직선으로 표시된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제2 패널(420)에 일정량만큼 도포되어지되, 제2 가이드 팁(333)이 굴곡과 변형 및 형상 복원을 허용하면서, 제2 패널(420)이 이송되는 동안에는 제2 가이드 팁(333)의 말단부가 항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균일하게 제3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1, 2, 3 접착제들은 속건성으로 대략 1~2분 이내에 접착 응고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각 접착제들의 점성이나 도포량은 코어 심재(432)와 제2 각재(431b)가 안착된 제1 패널(410) 및 제2 패널(420)의 이송 속도에 맞게 적절히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롤(341) 및 제2 롤(342)을 통과하여 일방향으로 배출되는 제2 패널(420)과 함께 제1 패널(410) 또한 각각 상 하부로부터 눌러 제2 각재(431b) 및 코어 심재(432)를 눌러 접촉 이송시키는 이송 가이드 롤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이송 가이드 롤 내부에 열선이나 히터를 내장시켜 발열 상태로 제1 패널(410) 및 제2 패널(420)을 관통시킴으로써 제1, 2, 3 접착제들 각각이 넓고 균일하게 펴지며 균일하게 급속 양생됨에 따라 접착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제3 유닛(300)으로부터 완성 배출되는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 각각의 제1 패널(410) 또는 제2 패널(420)에 부압을 발생시켜 일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5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흡착 이송부(500)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이 일정 이송량만큼 다단 적층되는 상면을 가지는 최종 컨베이어부(600)와, 최종 컨베이어부(60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다단 적층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 중 최하층의 샌드위치 패널(400)에 포크리프트의 리프트 바를 밀어넣어 들어올려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7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흡착 이송부(500)는, 도 7과 같이 제3 유닛(300)으로부터 완성 배출되는 샌드위치 패널(400)의 제1 패널(410) 또는 제2 패널(420)에 부압을 발생시켜 흡착되는 복수의 흡착판(510)과, 복수의 흡착판(510)과 배관 연결되어 흡착판(510)을 통하여 제2 패널(420)측으로부터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 발생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착 이송부(500)는, 복수의 흡착판(510) 각각이 결합되는 하단부를 가지며 높낮이 조절 가능한 이동 암(530)과, 복수의 이동 암(530) 각각의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암 이동 수단(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착 이송부(500)는, 암 이동 수단(540)이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550)과, 상부 프레임(55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연장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하단부를 가지는 지지 프레임(56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부압 발생원(520)의 작동에 의하여 복수의 흡착판(510)으로 흡착 인상되는 샌드위치 패널(400)은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700)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700)는, 도 8과 같이 흡착 이송부(500)를 통하여 최종 컨베이어부(600)로부터 이송되어 다단으로 적층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들 중 최하층의 샌드위치 패널(400)의 제1 패널(410) 또는 제2 패널(420)과 마주보며 구동력을 전달받아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들을 일방향으로 이송하거나 특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컨베이어 벨트(7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700)는, 컨베이어 벨트(710)를 따라 샌드위치 패널(400)들의 이송 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스페이서 바(7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700)는, 스페이서 바(720) 각각의 상면에 장착되어 최하층의 샌드위치 패널(400)과 접촉되는 미끄럼방지 패드(7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게차의 리프트 포크(이하 미도시)를 복수의 스페이서 바(720) 사이의 공간으로 밀어넣어 다단으로 적층 이송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들을 들어올려 팔레트(이하 미도시)에 적재후 운반 이송하거나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산(401)과 골(402)이 반복되는 파형 패턴을 형성하며 외판을 이루는 제1 패널(410)과, 평판 상에 파형 패턴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제1 패널(410)측을 향하여 보강 홈(421)이 형성되어 내판을 이루는 제2 패널(420)과, 제1 패널(410)과 제2 패널(420)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재인 심재(430)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400)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심재(430) 중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복수의 단열재(이하 제1 각재(431a)(角材))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1 방향과 평행한 결이 형성된 제1 각재(431a)를 특정 위치를 통과할 때 90도 회전시켜 결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세운 다음,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제1 방향과 동일 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이송시키는 제1 유닛(100); 제1 각재(431a)들 각각의 절단에 따라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 배출하면서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2 각재(431b)를 제작하는 제1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1 작업챔버(210)와, 심재(430) 중에서 제1 패널(410)과 제2 패널(420) 사이에 제2 각재(431b)들과 별도로 배치될 코어 심재(432)의 제2 패널(420)과의 대향면에 보강 홈(421)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 홈(432g)을 형성시키는 제2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 작업챔버(220)를 포함하는 제2 유닛(200); 및 평판 형상의 철판에 보강 홈(421)을 형성하여 제2 패널(420)을 제작하는 성형롤부(340)와, 코어 심재(432)의 제1 패널(410)과의 대향면(이하 제1 면(432a))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도포부(310)와, 코어 심재(432)의 제2 패널(420)과의 대향면(이하 제2 면(432b))에 제2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도포부(320)와, 제2 패널(420)의 코어 심재(432)와의 대향면에 제3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 도포부(330)를 포함하며, 제2 각재(431b)가 안착된 제1 패널(410)과 코어 심재(432)와 제2 패널(420)을 동시에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접착 고정시키는 제3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하고 자동화하여 대량 생산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닛(100)은,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연속적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부(110)와,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 각재(431a) 각각의 결을 제1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교되게 위치 변경시켜 제1 방향으로 제1 각재(431a)들을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부(120)와, 제1 컨베이어부(110)의 말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제2 컨베이어를 따라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1 각재(431a)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를 바꾸는 변위 가이드(140)와, 결이 위치 변경된 제1 각재(431a)들을 제1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교한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제2 컨베이어부(120)의 말단부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제1 각재(431a)들을 서로 엇갈리게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산과 골을 형성하는 파형 패턴을 가진 V115강판을 활용한 샌드위치 패널을 제작할 때 일방향으로 결이 형성된 글라스울 단열재와 같은 특정 단열재의 구조적 특징을 감안하여 맞춤형 생산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 공정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복수의 제1 각재(431a)들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2 각재(431b)를 제작하는 제1 성형 커터(이하 미도시)와, 복수의 제2 각재(431b)들을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4 컨베이어부(240)와, 제4 컨베이어부(240)의 일부와 제1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제1 작업챔버(210)와 연결되며 제1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블로워(230)와, 코어 심재(432)에 결합 홈(432g)을 형성시키는 제2 성형 커터(이하 미도시)와, 코어 심재(432)를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5 컨베이어부(250)와, 제5 컨베이어부(250)의 일부와 제2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제2 작업챔버(220)와 연결되며 제2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로워(260)를 더 포함함으로써, 단열재의 커팅 과정에서 대량의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작업장 내의 공기질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작업자들의 건강을 고려한 안전한 작업장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롤부(340)를 형성하는 것으로, 평판 형상의 철판에 일정 간격으로 보강 홈(421)을 형성하는 제1 리브(341b)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롤(341)과, 성형롤부(34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리브(341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제1 리브 홈(342g)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롤(341)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롤(342)과, 성형롤부(34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롤(341)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1 롤(341)을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341s)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제2 패널(420) 양측의 조인트부(422)를 형성하는 제1 조인트 롤(343)과, 성형롤부(34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2 롤(342)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2 롤(342)을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342s)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제1 조인트 롤(343)과 맞물려 회전하고 조인트부(422)를 형성하는 제2 조인트 롤(344)과, 제1 면(432a)과 구름 접촉하며 코어 심재(432)를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361)이 구비된 제6 컨베이어(360)와, 제1 도포부(31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6 컨베이어(360)의 일측에 구비되어 코어 심재(432)와 접촉하며 제1 접착제가 제1 면(432a)에 분출되는 제1 노즐(312)들이 코어 심재(432)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분출 바(311)와, 제2 도포부(32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6 컨베이어(36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2 접착제가 제2 면(432b)에 도포되도록 제2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2 노즐(322)들이 코어 심재(432)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2 분출 바(321)와, 제3 도포부(33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6 컨베이어(36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1 롤(341) 및 제2 롤(342) 사이를 통과하여 보강 홈(421)이 형성된 제2 패널(420)에 제3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제3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3 노즐(332)들이 코어 심재(432)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3 분출 바(331)를 더 포함함으로써, 종래에 수작업에 의하여 일일이 접착제를 도포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도포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장 내부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닛(300)으로부터 완성 배출되는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 각각의 제1 패널(410) 또는 제2 패널(420)에 부압을 발생시켜 일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500)와, 흡착 이송부(500)에 의하여 이송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이 일정 이송량만큼 다단 적층되는 상면을 가지는 최종 컨베이어부(600)와, 최종 컨베이어부(600)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다단 적층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400) 중 최하층의 샌드위치 패널(400)에 포크리프트의 리프트 바를 밀어넣어 들어올려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7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조 공정과 보관 및 운송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특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파형 패턴을 가진 샌드위치 패널의 자동적인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제1 컨베이어부
120...제2 컨베이어부
130...제3 컨베이어부
131...거치 테이블
132...푸시 이송 수단
132a...제1 실린더
132ar...제1 푸시로드
132b...제2 실린더
132br...제2 푸시로드
140...변위 가이드
150...변위유지 바
151...이송 안내 휠
152...휠지지 브라켓
153...조절편
200...제2 유닛
210...제1 작업챔버
220...제2 작업챔버
230...제1 블로워
240...제4 컨베이어부
250...제5 컨베이어부
260...제2 블로워
300...제3 유닛
310...제1 도포부
311...제1 분출 바
312...제1 노즐
320...제2 도포부
321...제2 분출 바
322...제2 노즐
323...제1 가이드 팁
330...제3 도포부
331...제3 분출 바
332...제3 노즐
333...제2 가이드 팁
340...성형롤부
341...제1 롤
341b...제1 리브
341s...제1 샤프트
342...제2 롤
342g...제1 리브 홈
342s...제2 샤프트
343...제1 조인트 롤
344...제2 조인트 롤
360...제6 컨베이어
361...이송롤
400...샌드위치 패널
401...산
402...골
410...제1 패널
420...제2 패널
421...보강 홈
422...조인트부
430...심재
431a...제1 각재
431b...제2 각재
432...코어 심재
432a...제1 면
432b...제2 면
432g...결합 홈
500...흡착 이송부
510...흡착판
520...부압 발생원
530...이동 암
540...암 이동 수단
550...상부 프레임
560...지지 프레임
600...최종 컨베이어부
700...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
710...컨베이어 벨트
720...스페이서 바
730...미끄럼방지 패드

Claims (5)

  1. 산과 골이 반복되는 파형 패턴을 형성하며 외판을 이루는 제1 패널과, 평판 상에 상기 파형 패턴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제1 패널측을 향하여 보강 홈이 형성되어 내판을 이루는 제2 패널과,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재인 심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재 중에서 사각 기둥 형상으로 절단된 복수의 상기 단열재(이하 제1 각재(角材))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결이 형성된 상기 제1 각재를 특정 위치를 통과할 때 90도 회전시켜 상기 결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세운 다음, 복수의 상기 제1 각재들을 상기 제1 방향과 동일 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호 엇갈리게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연속적으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상기 제1 각재 각각의 결을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교되게 위치 변경시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각재들을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말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컨베이어를 따라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각재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를 바꾸는 변위 가이드와, 상기 결이 위치 변경된 상기 제1 각재들을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직교한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말단부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상기 제1 각재들을 서로 엇갈리게 복수의 행과 열을 이루도록 이송시키는 제3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각재들 각각의 절단에 따라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 배출하면서 상기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2 각재를 제작하는 제1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1 작업챔버와, 상기 심재 중에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 사이에 상기 제2 각재들과 별도로 배치될 코어 심재의 상기 제2 패널과의 대향면에 상기 보강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 홈을 형성시키는 제2 작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 작업챔버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평판 형상의 철판에 상기 보강 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2 패널을 제작하는 성형롤부와, 상기 코어 심재의 상기 제1 패널과의 대향면(이하 제1 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 도포부와, 상기 코어 심재의 상기 제2 패널과의 대향면(이하 제2 면)에 제2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도포부와,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코어 심재와의 대향면에 제3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 도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각재가 안착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코어 심재와 상기 제2 패널을 동시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접착 고정시키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복수의 제1 각재들을 상기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단하여 상기 제2 각재를 제작하는 제1 성형 커터와,
    상기 복수의 제2 각재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4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4 컨베이어부의 일부와 상기 제1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상기 제1 작업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블로워와,
    상기 코어 심재에 상기 결합 홈을 형성시키는 제2 성형 커터와,
    상기 코어 심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5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5 컨베이어부의 일부와 상기 제2 성형 커터를 수용하는 상기 제2 작업챔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성형 커터의 작업에 따른 분진을 흡입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블로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평판 형상의 철판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보강 홈을 형성하는 제1 리브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제1 롤과,
    상기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리브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제1 리브 홈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롤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롤과,
    상기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롤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롤을 회전시키는 제1 샤프트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2 패널 양측의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제1 조인트 롤과,
    상기 성형롤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 롤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롤을 회전시키는 제2 샤프트의 양단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조인트 롤과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제2 조인트 롤과,
    상기 제1 면과 구름 접촉하며 상기 코어 심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롤이 구비된 제6 컨베이어와,
    상기 제1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6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 심재와 접촉하며 상기 제1 접착제가 상기 제1 면에 분출되는 제1 노즐들이 상기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1 분출 바와,
    상기 제2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6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접착제가 상기 제2 면에 도포되도록 상기 제2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2 노즐들이 상기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2 분출 바와,
    상기 제3 도포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6 컨베이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롤 및 상기 제2 롤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보강 홈이 형성된 상기 제2 패널에 상기 제3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상기 제3 접착제를 분출하는 제3 노즐들이 상기 코어 심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3 분출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으로부터 완성 배출되는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 각각의 상기 제1 패널 또는 상기 제2 패널에 부압을 발생시켜 일방향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흡착 이송부와,
    상기 흡착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이 일정 이송량만큼 다단 적층되는 상면을 가지는 최종 컨베이어부와,
    상기 최종 컨베이어부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다단 적층된 복수의 샌드위치 패널 중 최하층의 샌드위치 패널에 포크리프트의 리프트 바를 밀어넣어 들어올려 운반 가능하도록 하는 적재이송 안내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KR1020200169360A 2020-12-07 2020-12-07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KR102279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60A KR102279229B1 (ko) 2020-12-07 2020-12-07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60A KR102279229B1 (ko) 2020-12-07 2020-12-07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229B1 true KR102279229B1 (ko) 2021-07-19

Family

ID=7712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360A KR102279229B1 (ko) 2020-12-07 2020-12-07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84B1 (ko) 2024-01-23 2024-04-02 주식회사 에스티엠코리아 스티로폼 자동 투입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64Y1 (ko) 2000-03-23 2000-08-16 박기대 샌드위치패널
KR20030057251A (ko) * 2001-12-27 2003-07-04 가재장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제조시스템
KR200337036Y1 (ko) * 2003-09-08 2004-01-03 주식회사 삼신기계 샌드위치패널 제조기의 재료이송장치
KR100713715B1 (ko) * 2006-08-23 2007-05-02 임관빈 샌드위치 패널 절단기
KR20070104219A (ko) * 2006-04-21 2007-10-25 월드메카텍(주) 건축용 엠보싱 코어 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00123184A (ko) * 2009-05-14 2010-11-24 (주)영화 건축용 조립식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5484A (ko) * 2009-12-28 2011-07-06 (주) 일광메탈포밍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KR20120051312A (ko) * 2010-11-12 2012-05-22 (주)엘지하우시스 고주파 유도가열 방법으로 용착된 샌드위치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01645A (ko) * 2017-06-27 2019-01-07 김영우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364Y1 (ko) 2000-03-23 2000-08-16 박기대 샌드위치패널
KR20030057251A (ko) * 2001-12-27 2003-07-04 가재장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제조시스템
KR200337036Y1 (ko) * 2003-09-08 2004-01-03 주식회사 삼신기계 샌드위치패널 제조기의 재료이송장치
KR20070104219A (ko) * 2006-04-21 2007-10-25 월드메카텍(주) 건축용 엠보싱 코어 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713715B1 (ko) * 2006-08-23 2007-05-02 임관빈 샌드위치 패널 절단기
KR20100123184A (ko) * 2009-05-14 2010-11-24 (주)영화 건축용 조립식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5484A (ko) * 2009-12-28 2011-07-06 (주) 일광메탈포밍 샌드위치패널 제조장치
KR20120051312A (ko) * 2010-11-12 2012-05-22 (주)엘지하우시스 고주파 유도가열 방법으로 용착된 샌드위치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01645A (ko) * 2017-06-27 2019-01-07 김영우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가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 제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684B1 (ko) 2024-01-23 2024-04-02 주식회사 에스티엠코리아 스티로폼 자동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229B1 (ko) 샌드위치 패널 자동 제조장치
US20050086905A1 (en) Shear wall panel
KR101960479B1 (ko) 허니컴 코어구조 벤딩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허니컴 코어구조를 갖는 복합패널
US20070151488A1 (en) Cardboard pallet
KR102052848B1 (ko) 경량성, 단열성, 내후성 및 불연성이 향상된 고강도 허니컴 코어구조를 갖는 복합패널 제조장치
EP2737204A1 (en) Method for producing flexible end grain balsa panels
KR100191074B1 (ko) 목질계 판재의 접착 방법
CN103287051B (zh) 一种蜂窝复合轻隔墙的复合压板***和制造方法
KR20170029846A (ko) 물결무늬 강화형 페이퍼보드 심재 제조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물결무늬 강화형 페이퍼보드 심재
KR102279226B1 (ko) 핫프레스를 구비한 샌드위치 패널 제조장치
CN115385109A (zh) 岩棉板生产用修边装置
RU239894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одульной строительной панели
CN106696157B (zh) 一种发泡板热塑辊压加工方法及发泡板
EA007079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изоляци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DE19616881C2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Erstellen einer Holzplatte aus Restholz
RU77307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панель
CN214353062U (zh) 一种托盘自动钉装生产线
JPH07102549B2 (ja) 木製パネル用面材貼付装置
JPH09300373A (ja) コルゲート成形装置
JP7386430B2 (ja) フラッシュパネル用芯材の作製方法
CN201124576Y (zh) 制造结构保温板的真空压力平台
KR20230114840A (ko) 외장패널 제조장치
CN115070886B (zh) 一种拼接木芯生产线及工作方法
CN213976102U (zh) 一种自动码垛翻转装置
CN219212982U (zh) 一种金属蜂窝板组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