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699B1 - 세면대 하부장 - Google Patents

세면대 하부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699B1
KR102277699B1 KR1020170029728A KR20170029728A KR102277699B1 KR 102277699 B1 KR102277699 B1 KR 102277699B1 KR 1020170029728 A KR1020170029728 A KR 1020170029728A KR 20170029728 A KR20170029728 A KR 20170029728A KR 102277699 B1 KR102277699 B1 KR 10227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air
inner cabinet
module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950A (ko
Inventor
김종석
김성호
조웅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699B1/ko
Priority to US15/915,193 priority patent/US10591211B2/en
Priority to CN201810191593.2A priority patent/CN108567359B/zh
Publication of KR2018010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캐비닛; 욕실 바닥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집기건조모듈; 및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을 커버하는 아우터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캐비닛은 상기 이너캐비닛과 사이에서 상기 집기건조모듈에서 토출된 공기를 욕실 바닥으로 유동시키는 외부연결유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세면대 하부장{Washstand Furniture}
본 발명은 세면대 아래의 공간을 활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에 관한 것이다.
욕실에서 사용되는 집기는 욕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말하며, 세면도구나, 샤워도구 등과 같이, 욕실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 필요한 기구 등을 포함한다.
욕실은 주로 물을 사용하여 일을 처리하는 공간으로 욕실에서 사용되는 집기는 물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대다수이다. 따라서, 욕실에서 사용되는 집기는 사용과정에서 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사용후 집기에 물기가 남게 된다.
욕실은 다습한 공간으로, 내부공간이나 내부에 배치된 물건 등에 물때가 끼이거나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다. 욕실에서 사용된 집기는 물기를 포함하고 있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되지 않도록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집기에 물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탈수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탈수기는 이후 건조과정을 더 거쳐야하므로, 완전한 물기제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욕실에서 사용하는 집기를 건조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집기건조과정에서 사용되는 따뜻한 공기의 폐열을 활용하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모듈 내부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는 세면대 하부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캐비닛; 욕실 바닥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집기건조모듈; 및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을 커버하는 아우터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캐비닛은 상기 이너캐비닛과 사이에서 상기 집기건조모듈에서 토출된 공기를 욕실 바닥으로 유동시키는 외부연결유로를 형성하여, 공조장치로 세면대 하부장 하측에 배치된 집기건조모듈 내부의 집기를 건조하고, 추가적으로 욕실의 바닥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욕실바닥도 건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공조장치가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집기건조모듈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흡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내부와 상기 외부연결유로를 연통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재를 구비하여, 집기건조모듈 내부의 공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환시킨다.
또한, 집기건조모듈은,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드로워; 집기를 거치하도록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는 랙; 및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도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집기건조모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구연결유로를 형성하여, 도어가 닫히더라도, 도어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 토출부재의 토출구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이너캐비닛 내부로 공조장치에 의해 토출된 공기를 유동시켜 내부에 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고, 동시에 공조장치의 흡입구와 세면대 하부장의 공기가 토출되는 외부연결유로를 욕실바닥을 향하게 하여, 세면대 하부장의 욕실바닥도 건조시켜, 쾌적한 욕실공간을 만드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집기건조모듈의 흡입유로가 집기거조모듈 하측에 배치되고, 토출구가 집기건조모듈 상측에 배치되어,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히터로 가열된 공기가 집기건조모듈 내부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며, 순환하여 내부의 집기를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Ⅲ-Ⅲ’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제1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모듈에서 바스켓과 랙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랙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공조장치와 제1모듈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가 바닥제습모드에서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가 모듈건조모드에서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b에서의 공조장치 작동에 따른 제1모듈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면대 하부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Ⅲ-Ⅲ’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제1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를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캐비닛(40); 욕실 바닥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80);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집기건조모듈(100); 및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을 커버하는 아우터 캐비닛(60)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캐비닛은 상기 이너캐비닛과 사이에서 상기 집기건조모듈에서 토출된 공기를 욕실 바닥으로 유동시키는 외부연결유로(68)를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은 모듈이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 전방의 반대방향을 후방, 세면보올이 배치되는 방향을 상향, 하부장 다리가 배치되는 방향을 하향으로 설명한다. 이는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세면장치는 화장실 또는 세면장의 벽면에 구비되어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이다. 세면장치는 세면을 할 수 있도록 물을 받는 세면보올(22), 상기 세면보올(22)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어셈블리, 상기 세면보올(22)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세면보올(22)은 법랑 세면대, 도기 세면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태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하부에 캐비닛과 결합이 용이한 법랑 세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면보올(22)은 세면대 하부장(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급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24), 상기 급수밸브(24)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호스(26)를 포함한다. 급수밸브(24)는 세면보올(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로 물을 공급한다. 급수호스(26)는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호스와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어셈블리는 급수호스(26)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필터(27)는 급수밸브(24)를 통해 세면보올(22)로 배출되는 물을 정수한다.
배수 어셈블리는 세면보올(22)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30), 세면보올(22)에 물을 저장하거나, 담긴 물을 배수관(30)으로 보내는 팝업밸브(28)를 포함한다.
세면장치 하측에는 세면대 하부장(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배치된다. 캐비닛은 세면대 하부장(10)의 강성을 유지하고,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은 내부에 모듈을 수용하는 이너캐비닛(40)과 이너캐비닛(40) 외부에 배치되어 강성을 유지하는 아우터캐비닛(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을 포함하여,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수용된 모듈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2중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은 내부가 중공이고,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캐비닛(60)은 이너캐비닛(40)의 양측면을 커버하도록배치되는 측면-아우터캐비닛(62),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을 커버하도록 후면-아우터캐비닛(64) 및 이너캐비닛(40)의 하면(46)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을 포함한다. 후면-아우터캐비닛(64)은 일측에 배수 어셈블리의 배수관(30)이나 급수어셈블리의 급수호스(26)가 외부로 연결되는 관통홀(6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세면장치의 하중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 사이에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70)은 이너캐비닛(40)과 아우터캐비닛(60)을 연결한다.
이너캐비닛(40)은 내부에 모듈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은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장치일 수 있다. 캐비닛은 내부에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수용되는 제1모듈(100)과 제2모듈(200)을 포함한다. 제1모듈(100)은 이너캐비닛(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모듈(200)은 이너캐비닛(4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과 세면보올(22) 사이에 배치되는 제3모듈(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모듈(210)은 급수어셈블리 공급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27)를 포함하거나, 공조장치(80)나 복수의 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이나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세면대 하부장(10)은 이너캐비닛(40)의 내부에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50)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5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서 복수개의 모듈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 내부는 파티션(50)을 기준으로 상측에 제2모듈(200)이 배치되고, 하측에 제1모듈(100)이 배치된다. 또한, 파티션(50)은 캐비닛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40)은 내측면에 모듈(100, 200)을 이너캐비닛(40) 내측이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레일부재(52)가 배치된다. 제1모듈(100) 또는 제2모듈(20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배치되 레일부재(52)를 따라 이너캐비닛(40)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40)은 아우터캐비닛(60)과 사이에서 세면대 하부장(10) 외부와 연통하는 외부연결유로(68)를 형성한다. 외부연결유로(68)는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과 후면-아우터캐비닛(64) 사이에 형성된다. 외부연결유로(68)는 하부가 개방되어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로 연통된다. 외부연결유로(68)는 욕실바닥을 향해 개구된다. 외부연결유로(68)는 제1모듈(100)에서 토출된 공기를 욕실바닥으로 유동시킨다.
외부연결유로(68)의 하부에는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과 후면-아우터캐비닛(64)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부재(69)가 배치된다. 지지부재(69)는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외부연결유로(68)와 세면대 하부장(10) 외부를 연통가능하게 하고, 세면대 하부장의 강성을 보강한다. 지지부재(69)는 외부연결유로(68)의 하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외부연결유로(68)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연결유로(68)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은 외부연결유로(68)와 세면대 하부장(10)의 공기의 유동을 위해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외부연결유로(68) 하측에 배치되는 프레임(70)도 외부연결유로(68)와 세면대 하부장(10)의 공기의 유동을 위해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이너캐비닛(40)은 적어도 일면에서 내부에 수용되는 모듈 내부의 공기가 이너캐비닛(40) 외부로 유동하도록 형성된 연통홀(48, 49)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은 후면(44)에 모듈 내부와 외부연결유로(68)를 연통하는 연통홀(48b, 49a, 49b)이 형성된다. 연통홀은 모듈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홀(48a, 48b)과 모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홀(49a, 49b)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은 하면(46) 및/또는 후면(44)에 유입홀(48a, 48b) 또는 토출홀(49a, 49b)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너캐비닛(40)은 후면(44)에 제1모듈(100)의 토출홀(49a), 제2모듈(200)의 유입홀(48b)과 토출홀(49b)이 형성되고, 하면(46)에 제1모듈(100)의 유입홀(48a)이 형성된다.
이너캐비닛(40)의 후면(44)에 형성된 연통홀(48b, 49a, 49b)은 이너캐비닛(40) 내부와 외부연결유로(68)를 연통시킨다.
이너캐비닛(40)의 하면(46)은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와의 사이에서 공조장치(8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너캐비닛(40)의 하면(46)은 하측에 공조장치(80)가 배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단턱지게 형성되고, 단턱이 형성된 부분에서 공조장치(80)의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홀(48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하부장의 세면보올(22)과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세면보올(22)에서 낙하되는 물을 1차적으로 커버하는 상측커버(72)를 포함한다. 상측커버(72)는 세면보올(22)과 캐비닛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공조장치(80) 또는 복수의 모듈을 작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74)는 상측커버(72)의 일측에 배치된다.
입력부(74)는 세면대 하부장(10)의 모듈 또는 공조장치(80)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형 스위치, 멤브레인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모듈 또는 공조장치(80)에 대한 동작 및 운전 명령을 입력받고,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원격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입력부(74)는 모듈 또는 공조장치(80)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미도시) 만을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10)은 캐비닛을 욕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하부장다리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을 제습하거나,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공기를 배출한다. 공조장치(80)는 팬(94)을 이용하여, 욕실 바닥면을 향하는 제1토출구(86) 또는 캐비닛 내부로 연결되는 제2토출구(88)로 공기를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 하측에서 이너캐비닛(40) 내부에 배치된 제1모듈(100)로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 하측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욕실의 바닥면을 향해 공기를 토출한다. 공조장치(80)는 이너캐비닛(40)의 하부면과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 사이에 배치된다. 공조장치(80)의 하우징(82) 일부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공조장치(80)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66)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흡입구(84), 바닥을 건조하는 제1토출구(86) 및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하는 제2토출구(88)를 형성하는 하우징(82), 상기 하우징(82) 내측에 배치되어 흡입구(84)로부터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94) 및 하우징(8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토출시키는 베인(90)을 포함한다. 공조장치(80)는 공조장치(8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92)를 더 포함한다. 공조장치(80)는 하우징(82)의 흡입구(84)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공조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인(90)은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를 개폐한다. 베인(90)은 베인구동모터(미도시)로 작동한다. 베인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가 개폐된다. 베인(90)의 작동으로 제1토출구(86)와 제2토출구(88)는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제1토출구(86)가 개방되면, 제2토출구(88)가 닫히고, 제1토출구(86)가 닫히면 제2토출구(88)가 개방된다.
팬(94)은 흡입구(84)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88)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공기를 유동시킨다. 공조장치(80)의 흡입구(84)는 욕실바닥을 향해 개구된다. 따라서, 공조장치(80)의 팬(94)이 작동하면, 욕실바닥의 공기가 흡입구(84)로 유동하여 욕실바닥의 공기대류로 인한 제습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94)은 하우징(82)의 하측 후방에 형성된 흡입구(84)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에 형성된 토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횡류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92)는 전원을 인가할 경우 제반 요건의 설정에 따라 적정온도 제어가 가능하여 별도 조절장치가 없이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자기온도 감지 발열히터로 기능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Resistance)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92)는 하우징(82) 내부에 형성된 유로의 단면 중 일부영역만을 차지하도록 배치하여, 유로저항을 최소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모듈에서 바스켓과 랙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랙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하부장의 공조장치와 제1모듈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또는 ‘집기건조모듈’)은 욕실에서 사용하는 집기를 건조한다. 제1모듈(100)은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열풍으로 내부에 수용된 집기를 건조시킨다. 욕실에서 사용하는 집기는 욕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구를 포함한다.
제1모듈(100)은 이너캐비닛(40) 내부에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캐비닛 내부와 캐비닛 전방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드로워(110)와, 집기를 거치하도록 상기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되는 랙(160)을 포함한다.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는 바스켓(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110)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바스켓(150)은 드로워(110)의 개구된 상측으로 삽입된다. 랙(160)은 바스켓(15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은 공조장치(80)와 연결되는 흡입유로(122)를 내부에 형성하는 흡입부재(118)와 제1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제1모듈(100)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재(126)를 더 포함한다.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부(112)와, 전면부(112)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배치된 드로워손잡이(114)를 포함한다. 전면부(112)는 세면대 하부장(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전면부(112)는 드로워(110)가 캐비닛에 삽입된 상태에서 캐비닛의 전방을 커버한다. 드로워손잡이(114)는 사용자가 모듈을 캐비닛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로워(110)는 대략 박스형상을 가진다. 드로워(110)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이 개구된다. 드로워(110)의 상측에는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도어(130)가 배치된다. 도어(130)는 드로워(110)의 상측에 힌지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 상측에서 도어(130)를 개폐시키는 힌지 어셈블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142)는 도어(130)가 드로워(110) 상측을 개폐하도록 도어(130)를 회전이동시킨다. 힌지 어셈블리(142)는 내부로 배선을 관통시켜,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된 배선을 도어(130)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136)로 연결시킨다. 드로워(110) 상측의 도어(130)가 개방되면, 바스켓(150)을 드로워(110)에 끼우거나, 드로워(110)에서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30)는 드로워(110)의 개구된 상측을 차폐하는 차폐부(134)와, 차폐부(134) 둘레로 배치되어 드로워(110) 상측을 밀폐하는 테두리부(132)를 포함한다. 차폐부(134)는 드로워(110)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134)재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30)는, 도어(130)가 닫혔을 때, 드로워(110)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내측으로, 드로워(110)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외측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용이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어(130)는 외측에 도어(130)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손잡이(13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손잡이(133)는 테두리부(132)의 외측에 형성된다.
도어(130)는 토출부재(126)와 인접한 부분에서 제1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토출구(124)로 유동하도록 함몰형성된 토출구연결홈(138)을 형성한다. 토출구연결홈(138)은 토출부재(126)와 인접한 부분에서 테두리부(132) 내측으로 함몰되어 제1모듈(100) 내부의 공기가 토출부재(126)의 토출구(124)로 유동하는 토출구연결유로(137)를 형성한다.
테두리부(132)는 토출구연결홈(138)이 형성된 부분에서 테두리부(132)의 강성을 유지하는 토출구연결홈-지지부재(140)를 포함한다. 토출구연결홈-지지부재(140)는 토출구(124)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된다. 토출구연결홈-지지부재(140)는 토출구연결유로(137)를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124)로 가이드한다.
도어(130)는 드로워(110) 내부에 배치된 집기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램프는 도어(130)의 내측에 배치된다. 테두리부(132)의 내측에는 드로워(110) 내부에 수용된 집기류를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136)가 배치된다.
제1모듈(100)은 드로워(110)를 캐비닛 내부로 삽입하거나 캐비닛 외부로 인출하는 이동레일(11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레일(116)은 드로워(110)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동레일(116)은 이너캐비닛(40)의 레일부재(52)를 따라 이동한다. 드로워(110)의 이동레일(116)이 이너캐비닛(40)의 레일부재(52)를 이동함으로써, 드로워(110)는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삽입되거나, 이너캐배닛 전방으로 인출된다.
드로워(110)는 캐비닛 또는 파티션(50)으로부터 연결되는 배선을 드로워(110) 내부로 연결하는 배선연결부재(128)를 포함한다. 배선연결부재(128)는 드로워(110)의 일측에서 캐비닛 또는 파티션(50) 방향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선연결부재(128)는 드로워(110) 후방에서 돌출되며, 파티션(50) 방향으로 절곡된다.
배선연결부재(128)를 통해 드로워(110) 내부로 배선이 연결된다. 배선연결부재(128)를 통해 드로워(110) 내부로 연결되는 배선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자외선 램프(136)와 연결된다. 배선연결부재(128)로 연결되는 배선은 힌지 어셈블리(142)를 관통하여 도어(130)의 테두리부(132) 내부로 이어져 자외선 램프(136)로 연결된다.
드로워(110)는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를 드로워(110) 내부로 유동시키는 흡입부재(1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재(118)는 드로워(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부재(118)는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따뜻한 공기를 제1모듈(100) 내부로 유동시킨다. 흡입부재(118)는 단부에서 공조장치(80)의 토출구와 연결된다.
흡입부재(118)는 내부에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를 제1모듈(100)로 안내하는 흡입유로(122)를 형성한다. 흡입부재(118) 내부에는 흡입유로(122)를 지지하는 흡입유로-지지부재(120)가 배치된다. 흡입유로-지지부재(120)는 흡입유로(122)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드로워(110)가 캐비닛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흡입부재(118)는 공조장치(8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와 같이, 제2토출구(88) 주위를 형성하는 공조장치(80)의 하우징(82) 일부는 이너캐비닛(40)의 연통홀(48a)을 관통하여 흡입부재(118)의 흡입유로(122) 내부로 삽입된다.
흡입부재(118) 단부에 형성된 흡입유로(122)는 이동레일(116)에 의해 드로워(110)가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흡입유로(122)는 드로워(110)가 이너캐비닛(4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공조장치(80)와 연결된다.
드로워(110)는 모듈 내부의 공기가 모듈 외부로 배출하도록 토출구(124)가 형성된 토출부재(1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토출부재(126)가 드로워(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부재(126)는 이너캐비닛(40)에 형성된 연통홀(49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 후방면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에 수용되는 바스켓(15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재(126)는 드로워(110)의 도어(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토출부재(126)는 도어(130)가 배치되는 부분과 같은 높이에서 배치된다. 토출부재(126)가 배치된 부분에서 도어(130)는 모듈 내부의 공기가 토출구(124)로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토출구연결유로(137)를 형성한다.
바스켓(150)은 드로워(110) 내부에 수용된다. 바스켓(150)은 드로워(110)가 개방된 상측으로 드로워(110)에 삽입되거나, 드로워(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바스켓(150)은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으로 개구된다. 바스켓(150)은 내부에 건조대상인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한다.
바스켓(150)은 하부면의 일측에 하부홀(152)이 형성된다. 하부홀(152)은 흡입부재(118) 내부의 흡입유로(122)와 연결된다.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는 흡입유로(122) 및 하부홀(152)을 통해 바스켓(150) 내부로 유입된다.
바스켓(150)은 측면에서 바스켓손잡이(15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사용자는 바스켓(150) 손잡이(114)를 이용하여 바스켓(150)을 드로워(110)에서 인출할 수 있다.
랙(160)은 집기를 거치하는 부재이다. 랙(160)은 바스켓(150) 내부에 배치되어, 집기에서 떨어지는 물기를 바스켓(150)의 하부면으로 보낸다. 랙(160)은 바스켓(150)의 하부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랙(160)은 바스켓(15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된다. 랙(160)은 바스켓(150) 내부에 배치된 집기에서 떨어진 물기를 바스켓(150) 하부면으로 보내는 복수개의 중공홀(162)이 형성된다. 랙(160)은 집기가 거치된 랙의 상측과 상기 바스켓(150)의 하부면에 대향하는 랙의 하측을 연통하는 복수의 중공홀(162)이 형성된다.
랙(160)은 바스켓(150)의 하부홀(15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공기유동홀(164)이 형성된다. 공기유동홀(164)은 드로워(110)의 흡입부재(118) 내부의 흡입유로(122)와 연결된다. 공조장치(80)에서 토출된 공기는 랙(160)의 공기유동홀(164)을 통해 바스켓(150) 내부로 유입된다. 바스켓(150) 내부로 유입된 따뜻한 공기는 랙(160)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한다.
랙(160)은 공기유동홀(164)을 커버하는 유동홀커버(166)를 포함한다. 유동홀커버(166)는 공기유동홀(164)이 형성된 상측에 배치된다. 유동홀커버(166)는 랙(160)에 거치된 집기가 공기유동홀(164)을 통해 흡입유로(12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가 바닥제습모드에서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가 모듈건조모드에서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b에서의 공조장치 작동에 따른 제1모듈의 공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공조장치의 베인의 배치에 따른 공기의 유동과, 제1모듈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 세면대 하부장(10)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을 제습하는 바닥제습모드 또는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 모듈 내부를 건조하는 모듈건조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베인(90)의 작동으로 제1토출구(86) 또는 제2토출구(99)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작동모드에 따라 제1토출구(86)와 제2토출구(88)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공조장치(80)는 바닥제습모드에서, 제1토출구(86)를 개방하고 제2토출구(88)를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바닥제습모드에서, 도 11a와 같이, 베인(90)을 배치시킨다.
바닥제습모드에서 공조장치(80)는 제1토출구(86)로 공기를 토출한다. 바닥제습모드에서는 히터(92)와 팬(94)을 작동시켜 욕실바닥면으로 따뜻한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 욕실의 바닥을 건조시킨다.
공조장치(80)는 모듈건조모드에서, 제2토출구(88)를 개방하고 제1토출구(86)를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80)는 모듈건조모드에서, 도 11b와 같이, 베인(90)을 배치시킨다.
모듈건조모드에서 공조장치(80)는 제2토출구(88)로 공기를 토출한다. 모듈건조모드에서 공조장치(80)는 히터(92)와 팬(94)을 작동시켜 모듈 내부로 따뜻한 공기를 토출하여 모듈 내부를 건조시킨다.
도 12을 참조하여 모듈건조모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듈건조모드에서 공조장치(80)는 제2토출구(88)가 개방되도록 베인(90)을 배치시킨다. 공조장치(80)는 욕실의 바닥면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84)로 공기를 흡입한다. 공조장치(80)는 흡입구(84)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욕실바닥면의 주변의 공기를 대류시켜, 흡입구 주변의 욕실바닥면을 건조한다.
공조장치(80)는 히터(92)와 팬(94)을 작동시켜 모듈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제1모듈(100) 내부로 토출시킨다. 흡입유로(122)는 제2토출구(88)에서 토출된 공기를 제1모듈(100) 내부로 안내한다. 제1모듈(100) 내부로 유입된 따뜻한 공기는 제1모듈(100) 내부를 유동하며,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킨다. 제1모듈(100) 내부를 유동하는 따뜻한 공기는 제1모듈(100) 내부에서 상측으로 유동한다. 제1모듈(100) 내부에서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드로워(110) 상측의 토출구(124)로 유동한다. 도어(130)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연결유로(137)는 제1모듈(100)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를 토출구(124)가 형성된 토출부재(126)로 안내한다.
제1모듈(100)의 드로워(110)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토출구(124)를 통해 외부연결유로(68)로 유동한다. 제1모듈(100)에서 외부연결유로(68)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연결유로(68)의 개구된 하부로 배출된다. 외부연결유로(68)의 하부는 욕실의 바닥면을 향하므로, 외부연결유로(6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욕실의 바닥면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세면대 하부장 22: 세면보올
24 : 급수밸브 28 : 팝업밸브
40 : 이너캐비닛 50 : 파티션
60 : 아우터캐비닛 68 : 외부연결유로
72 : 상측커버 74 : 입력부
80 : 공조장치 82 : 하우징
84 : 흡입구 86 : 제1토출구
88 : 제2토출구 100 : 제1모듈, 집기건조모듈
110 : 드로워 118 : 흡입부재
122 : 흡입유로 126 : 토출부재
130 : 도어 137 : 토출구연결유로
150 : 바스켓 160 : 랙

Claims (10)

  1. 세면보올과, 상기 세면보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상기 세면보올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세면장치;
    상기 세면보올 하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캐비닛;
    욕실 바닥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조장치;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로 내부에 거치된 집기를 건조시키는 집기건조모듈;
    상기 이너캐비닛의 외측을 커버하는 아우터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캐비닛은 상기 이너캐비닛과 사이에서 상기 집기건조모듈에서 토출된 공기를 욕실 바닥으로 유동시키는 외부연결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내부와 상기 외부연결유로를 연통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너캐비닛은 상기 집기건조모듈 내부의 공기가 상기 외부연결유로로 유동하도록 상기 토출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통홀이 형성된 세면대 하부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기건조모듈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집기건조모듈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흡입부재를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집기를 수용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드로워; 및
    집기를 거치하도록 상기 드로워 내부에 배치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드로워의 상측에 배치된 세면대 하부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집기건조모듈은 상기 드로워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도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집기건조모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구연결유로를 형성하는 세면대 하부장.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장치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집기건조모듈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흡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로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공조장치와 연결되는 세면대 하부장.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상기 이너캐비닛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 하부장.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캐비닛은,
    상기 이너캐비닛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측면-아우터캐비닛;
    상기 이너캐비닛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아우터캐비닛; 및
    상기 이너캐비닛의 하면을 커버하는 베이스-아우터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연결유로는 상기 후면-아우터캐비닛과 상기 이너캐비닛의 후면 사이에서 형성되는 세면대 하부장.
KR1020170029728A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KR10227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28A KR102277699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US15/915,193 US10591211B2 (en) 2017-03-08 2018-03-08 Washstand furniture
CN201810191593.2A CN108567359B (zh) 2017-03-08 2018-03-08 洗脸台下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28A KR102277699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50A KR20180102950A (ko) 2018-09-18
KR102277699B1 true KR102277699B1 (ko) 2021-07-14

Family

ID=6344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728A KR102277699B1 (ko) 2017-03-08 2017-03-08 세면대 하부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91211B2 (ko)
KR (1) KR102277699B1 (ko)
CN (1) CN1085673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75703A1 (en) * 2020-03-09 2021-09-09 Robert Joe Alderman Self-Sterilizing Ultra-Violet Implement
CN112827934A (zh) * 2020-12-31 2021-05-25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理发工具自动清洗消毒柜
CN112617443A (zh) * 2021-01-20 2021-04-09 彭焕玲 一种智能家居用多功能新型衣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985A (ja) * 2009-03-31 2010-10-2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厨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5329A (en) 1938-06-28 1939-10-10 Oscar G Watt Heating apparatus
US2287657A (en) 1939-11-09 1942-06-23 Douglas & Lomason Co Laudry tub cabinet
US4146405A (en) * 1977-01-19 1979-03-27 Henry Timmer Unitary dishwasher
US5522411A (en) 1994-06-30 1996-06-04 Johnson; Gloria A. Hand washing and drying equipment unit
US5702115A (en) 1995-01-10 1997-12-30 Pool; L. Frank Patient care utility cart
US5727579A (en) * 1996-05-29 1998-03-17 144 Limited Partnership Automatic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including combined blow drying means and towel dispensing means
US5934298A (en) * 1997-11-14 1999-08-10 Singh; Baljit Combination sink and dishwasher
US6802578B1 (en) 1999-06-22 2004-10-12 Alison C. Lang Drawer
US20070266740A9 (en) 2000-07-25 2007-11-22 Kendall James W Vertical laundry module
WO2005018407A2 (en) * 2003-08-26 2005-03-03 Alpert Martin A Dishwasher and method
CN1718144A (zh) * 2005-07-04 2006-01-11 黄景良 浴室之洗脸台装置
US20070157378A1 (en) 2005-12-30 2007-07-12 Kendall James W Sink station with cover
US20080256826A1 (en) 2006-02-23 2008-10-23 Zarembinski Thomas P Drying cabinet with ventilation system
US20100219183A1 (en) 2007-11-19 2010-09-02 Powermat Ltd. System for inductive power provision within a bounding surface
US8245414B2 (en) 2009-09-02 2012-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Drying drawer and method of drying
TWI524044B (zh) 2011-12-28 2016-03-01 禾波國際股份有限公司 用於纖維熱處理之烤爐
ES2957701T3 (es) 2012-02-01 2024-01-24 Revive Electronics Llc Métodos y aparato para el secado de dispositivos electrónicos
US9887562B2 (en) 2012-12-03 2018-02-06 Covidien Lp Smart cart
US20140366262A1 (en) 2013-06-18 2014-12-18 Robert Flynn Portable assembly for providing amenities
CN105392401B (zh) 2013-07-18 2018-05-18 阿尔弗雷德·凯驰两合公司 便携式硬表面清洁器
CA2933823C (en) 2014-03-06 2021-04-13 Cnh Industrial Canada, Ltd. Dehumidifaction system and method used for drying fibers
KR102288029B1 (ko) 2017-03-08 202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면대 하부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985A (ja) * 2009-03-31 2010-10-2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厨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950A (ko) 2018-09-18
CN108567359B (zh) 2020-10-23
CN108567359A (zh) 2018-09-25
US10591211B2 (en) 2020-03-17
US20180259254A1 (en)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02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8029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77699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334746B1 (ko) 욕실관리기
KR102288030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7769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308029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34415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389874B1 (ko) 욕실관리기
KR102249792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803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4640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484777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90981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90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81838B1 (ko) 세면대 하부장
KR102249789B1 (ko) 세면대 하부장
KR20180041380A (ko) 세면대
JPH06327605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