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892B1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892B1
KR102275892B1 KR1020140028138A KR20140028138A KR102275892B1 KR 102275892 B1 KR102275892 B1 KR 102275892B1 KR 1020140028138 A KR1020140028138 A KR 1020140028138A KR 20140028138 A KR20140028138 A KR 20140028138A KR 102275892 B1 KR102275892 B1 KR 10227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electrode
wiring electrode
sensing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085A (ko
Inventor
김승진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892B1/ko
Priority to US15/124,930 priority patent/US10234980B2/en
Priority to CN201580012752.2A priority patent/CN106068493B/zh
Priority to PCT/KR2015/001797 priority patent/WO2015137643A1/en
Publication of KR2015010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085A/ko
Priority to US16/255,553 priority patent/US104094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유효영역과 비유효영역으로 정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다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된 다수의 배선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은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진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실시 예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 상에 데코층을 형성하고, 커버 기판 또는 기판 상에 감지전극 및 배선전극을 형성한 후, 정전 용량 변화에 의해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칩이 실장된 연성회로기판(FPCB) 등의 인쇄회로기판을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터치 패널은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유효영역과 상기 유효영역의 외곽의 비유효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유효영역에 형성되는 감지전극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전극은 불투명한 금속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배선전극은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감지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배선전극은 상기 감지전극의 위치에 의해 길이가 달라진다. 상기 배선전극의 길이의 편차에 의해 상기 배선전극의 저항값의 편차가 발생한다. 상기 배선전극의 저항값의 편차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배선전극 사이에 교환되는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 예는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는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유효영역과 비유효영역으로 정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다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된 다수의 배선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은 서로 다른 단면적을 가진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유효영역과 비유효영역으로 정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다수의 감지전극; 및 상기 감지전극과 연결된 다수의 배선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은 각각 감지전극과 연결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제2 영역, 상기 제2 영역과 패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의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진다.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배선전극의 단면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배선전극의 길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저항의 편차를 보상하여 신호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1)은 커버 기판(10), 제1 기판(20), 제2 기판(30) 및 인쇄회로기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0)은 상기 커버 기판(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30)은 상기 제1 기판(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 기판(10)은 상기 제1 기판(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과 상기 제1 기판(20)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등의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0)은 상기 제2 기판(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0)은 상기 제2 기판(30)과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등의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은 강화 유리, 반강화유리, 소다라임 유리, 강화 플락스틱 또는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에는 감지전극 및 배선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0)에는 제1 감지전극(21) 및 제1 배선전극(2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판(30)에는 제2 감지전극(31) 및 제2 배선전극(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은 상기 제1 배선전극(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31)은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31)은 상기 제1 감지전극(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31)은 상기 제2 배선전극(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의 일 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 배선전극(23) 및 제2 배선전극(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부착되는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의 일 측에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해 상기 제1 배선전극(23) 및 제2 배선전극(33)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는 홈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 상기 홈부(41)를 형성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을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에 유격없이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홈부(41)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이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의 적층에 의한 단차에 대응되도록 변형될 수 있도록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부착시 상기 제1 기판(20) 및 제2 기판(3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은 잘 휘어질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23, 33)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21, 31)으로부터 센싱 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는 A영역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3b는 A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유효영역(AA) 및 비유효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영역(AA)은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영역(AA)의 외곽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짐에도 활성화되지 않아 터치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터치패널이 표시패널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의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은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및 비표시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의 유효 영역(AA)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영역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상기 터치패널의 비유효 영역(UA)은 광을 투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효영역(AA)에는 다수의 감지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0)의 유효 영역(AA)에는 다수의 제1 감지전극(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판(30)의 유효 영역(AA)에는 다수의 제2 감지전극(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다수의 배선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2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다수의 제1 배선전극(2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판(3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은 상기 제1 배선전극(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은 상기 제1 배선전극(2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감지전극(21)은 상기 제1 배선전극(23)과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31)은 상기 제2 배선전극(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전극(31)은 상기 제2 배선전극(33)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감지전극(31)은 상기 제2 배선전극(33)과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21, 31)과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23,33)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21,31)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21, 31)과 제1 및 제2 배선전극(23, 33)은 인듐주석산화물(ITO),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및 은 나노 와이어(Ag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배선전극(23) 및 제2 배선전극(33)은 구리(Cu), 은(Ag)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23)의 일측에는 제1 패드(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전극(23)은 상기 제1 패드(27)와 상기 제1 감지전극(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33)의 일측에는 제2 패드(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33)은 상기 제2 패드(37)와 상기 제2 감지전극(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27, 3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27, 3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배선전극(23) 및 제2 배선전극(33)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27, 37)는 상기 제1 및 제2 배선전극(23, 33)과 동일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패드(27, 37)는 은(Ag)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27)는 상기 제1 배선전극(23) 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패드(37)는 상기 제2 배선전극(33) 상에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33)의 개수는 상기 제2 감지전극(31)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은 각각 제2 감지전극(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감지전극(31)은 상기 제2 패드(37)와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지므로, 상기 제2 감지전극(31)과 상기 제2 패드(37)를 연결하는 상기 제2 배선전극(3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배선전극(33)이 5개의 배선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a)이 가장 긴 길이를 가지고,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33e)이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a)은 상기 제2 패드부(37)로부터 가장 이격된 제2 감지전극(31)과 연결되며,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33e)은 상기 제2 패드부(37)와 가장 인접한 제2 감지전극(3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은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33)의 저항값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 하므로, 상기 제2 배선전극(33)의 저항값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을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a)이 가장 긴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a)의 폭을 가장 크게 하여, 저항값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33e)이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33e)의 폭을 가장 작게 하여,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a)과 저항값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배선전극(33)의 폭은 각각의 제2 배선전극(33)과 연결된 제2 감지전극(31)과 제2 패드(37) 사이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선전극(33)의 폭은 유효영역(AA)으로부터 가까운 제2 배선전극일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33)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배선전극(33)간의 저항편차가 줄어들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상기 제2 감지전극(31)간의 신호 교환시 왜곡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신호교환시 왜곡을 줄일 수 있어, 정확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은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배선전극의 단면적을 변경하기 위해 배선전극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4b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2 감지전극은 제2 패드와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지므로, 상기 제2 감지전극과 상기 제2 패드를 연결하는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배선전극(33)이 5개의 배선전극을 포함하는 경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a)이 가장 긴 길이를 가지고,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33e)이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133a)은 상기 제2 패드부로부터 가장 이격된 제2 감지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133e)은 상기 제2 패드부와 가장 인접한 제2 감지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저항값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 하므로,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저항값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을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배선전극(133)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짐으로써 단면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저항값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133a)이 가장 긴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133a)의 두께를 가장 크게 하여, 저항값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133e)이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133e)의 두께를 가장 작게 형성하여,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133a)과 저항값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두께는 각각의 제2 배선전극(133)과 연결된 제2 감지전극과 제2 패드 사이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두께는 유효영역(AA)으로부터 가까운 제2 배선전극일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133)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배선전극(133)간의 저항편차가 줄어들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상기 제2 감지전극간의 신호 교환시 왜곡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신호교환시 왜곡을 줄일 수 있어, 정확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은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상기 배선전극의 일부영역의 폭을 조절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확대한 상면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D-D`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제2 배선전극(233)은 각각 제1 영역(234) 내지 제3 영역(2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34)은 상기 제2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역(236)은 상기 제2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235)은 상기 제1 영역(234)과 제3 영역(236)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34) 및 제3 영역(236)은 상기 제2 감지전극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235)은 상기 제1 영역(236)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영역(235)은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의 저항값을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의 저항값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제2 영역(235)을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영역(235)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짐으로써 단면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제2 배선전극(233)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233a)이 가장 긴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233a)의 제2 영역(235a)의 폭을 가장 크게 하여, 저항값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233e)이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233e)의 제2 영역(235e)의 폭을 가장 작게 형성하여,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233a)과 저항값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제2 영역(235)의 폭은 각각의 제2 배선전극(233)과 연결된 제2 감지전극과 제2 패드 사이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235)의 폭은 유효영역(AA)으로부터 가까운 제2 배선전극일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235)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배선전극(233)간의 저항편차가 줄어들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상기 제2 감지전극간의 신호 교환시 왜곡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신호교환시 왜곡을 줄일 수 있어, 정확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넓은 비유효영역(UA)에 형성되는 제2 영역(235)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터치패널의 좌우측면의 베젤(bezel)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베젤의 폭과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제1 영역(234)보다 제2 영역(235)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터치패널의 좌우 측면의 베젤에 영향없이 신호교환시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은 제3 실시 예와 비교하여, 상기 배선전극의 일부영역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4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3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배선전극을 확대한 상면도이고, 도 6b는 도 6a를 D-D`면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제2 배선전극(333)은 각각 제1 영역(334) 내지 제3 영역(3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334)은 상기 제2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역(336)은 상기 제2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영역(335)은 상기 제1 영역(334)과 제3 영역(336)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334) 및 제3 영역(336)은 상기 제2 감지전극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335)은 상기 제1 영역(336)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영역(335)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의 저항값을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의 저항값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제2 영역(335)을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 영역(335)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짐으로써 단면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제2 배선전극(333)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3a)이 가장 긴 길이를 가지므로,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3a)의 제2 영역(335a)의 두께를 가장 크게 하여, 저항값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333e)이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다섯 번째 제2 배선전극(333e)의 제2 영역(335e)의 두께를 가장 작게 형성하여, 상기 첫 번째 제2 배선전극(333a)과 저항값을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제2 영역(335)의 두께는 각각의 제2 배선전극(333)과 연결된 제2 감지전극과 제2 패드 사이의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335)의 두께는 유효영역(AA)으로부터 가까운 제2 배선전극일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335)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배선전극(333)간의 저항편차가 줄어들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과 상기 제2 감지전극간의 신호 교환시 왜곡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신호교환시 왜곡을 줄일 수 있어, 정확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넓은 비유효영역(UA)에 형성되는 제2 영역(335)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터치패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좁은 비유효영역(UA)에 형성되는 제1 영역(334)에 비해 제2 영역(335)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제2 배선전극(233) 형성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400)에는 외부로부터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버튼(410), 정지영상 및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420) 및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400)는 앞서 설명한 터치패널(1) 및 표시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은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장치(40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미도시)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으며, 모바일 폰, TV,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장치로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패널이 적용되는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키패드, 노트북용 터치 패드, 차량용 터치 입력 장치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터치 패널
10: 커버 기판
20: 제1 기판
21: 제1 감지전극
23: 제1 배선전극
30: 제2 기판
31: 제2 감지전극
33: 제2 배선전극
40: 인쇄회로기판
41: 홈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의 일 끝단 및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배선 전극은 서로 다른 길이로 배치되고,
    상기 배선 전극의 선폭은 상기 패드부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고,
    상기 배선 전극은 방향이 변화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의 선폭은 절곡 영역에서부터 변화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절곡 영역의 일 끝단에서 연장하는 1 배선 라인 및 상기 절곡 영역의 다른 끝단에서 연장하는 2 배선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1 배선 라인의 선폭과 상기 2 배선 라인의 선폭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 1 배선 라인의 선폭은 상기 절곡 영역의 선폭보다 작은 터치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의 폭은 각각의 배선전극과 연결된 감지전극과 패드부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는 터치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선 전극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른 터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선전극의 두께는 각각의 배선전극과 연결된 감지전극과 패드부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는 터치패널.
  5. 삭제
  6.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은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제 1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의 일 끝단 및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배선 전극은 서로 다른 길이로 배치되고,
    상기 배선 전극의 선폭은 상기 패드부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고,
    상기 배선 전극은 방향이 변화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 전극의 선폭은 절곡 영역에서부터 변화되고,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절곡 영역의 일 끝단에서 연장하는 1 배선 라인 및 상기 절곡 영역의 다른 끝단에서 연장하는 2 배선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1 배선 라인의 선폭과 상기 2 배선 라인의 선폭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 1 배선 라인의 선폭은 상기 절곡 영역의 선폭보다 작은 표시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28138A 2014-03-11 2014-03-11 터치패널 KR10227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38A KR102275892B1 (ko) 2014-03-11 2014-03-11 터치패널
US15/124,930 US10234980B2 (en) 2014-03-11 2015-02-25 Touch window
CN201580012752.2A CN106068493B (zh) 2014-03-11 2015-02-25 触摸窗
PCT/KR2015/001797 WO2015137643A1 (en) 2014-03-11 2015-02-25 Touch window
US16/255,553 US10409419B2 (en) 2014-03-11 2019-01-23 Touch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38A KR102275892B1 (ko) 2014-03-11 2014-03-11 터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085A KR20150106085A (ko) 2015-09-21
KR102275892B1 true KR102275892B1 (ko) 2021-07-12

Family

ID=5424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138A KR102275892B1 (ko) 2014-03-11 2014-03-11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277B1 (ko) * 2016-02-29 2022-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349072B1 (ko) * 2017-07-11 2022-01-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65351B1 (ko) * 2018-03-21 2022-1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KR102611382B1 (ko) 2018-09-19 2023-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783365A (zh) 2019-11-11 2021-05-11 苹果公司 触摸电极的有效区域布线
US11449182B2 (en) * 2019-11-11 2022-09-20 Apple Inc. Active area routing for touch electrodes
WO2022246680A1 (zh) * 2021-05-26 2022-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3986045B (zh) * 2021-11-10 2023-11-17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1051A1 (en) 2008-08-14 2011-06-16 Melfas, Inc. Touch sensing panel including bidirectional adjacent electrodes, and touch sensing apparatus
US20120056664A1 (en) * 2009-03-04 2012-03-08 Dong Sik Nam Touch panel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02B1 (ko) * 2008-11-15 2012-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력장치
KR101734555B1 (ko) * 2011-01-03 2017-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1051A1 (en) 2008-08-14 2011-06-16 Melfas, Inc. Touch sensing panel including bidirectional adjacent electrodes, and touch sensing apparatus
US20120056664A1 (en) * 2009-03-04 2012-03-08 Dong Sik Nam Touch panel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085A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892B1 (ko) 터치패널
KR102302811B1 (ko) 터치 패널
US9626062B2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622917B2 (ja) 温度補償が適用された圧力を検出できる電極シート及びタッチ入力装置
JP6527343B2 (ja) タッチ入力装置
JP5990195B2 (ja) 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を含む液晶表示装置
TWI446243B (zh) 觸控顯示器、觸控面板與其製造方法
US20140002378A1 (en) Touch screen panel
KR102195392B1 (ko) 터치패널
US20110254778A1 (en) Slim type touch device
KR102262530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75699B1 (ko) 터치패널
KR20150036903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2553B1 (ko) 터치 패널
CN111208913B (zh) 包括具有非均匀宽度的线的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US11011281B2 (en) Conductive sheet and conductive pattern
TW201523367A (zh) 觸控面板
KR101181056B1 (ko) 터치 패널
KR20150045311A (ko) 터치 패널
KR102152830B1 (ko) 터치 패널
KR102187705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3226B1 (ko) 터치 윈도우
KR20170084627A (ko) 터치 윈도우
KR20150031061A (ko) 터치패널
KR20150069707A (ko)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