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013B1 - 고전압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013B1
KR102270013B1 KR1020190132192A KR20190132192A KR102270013B1 KR 102270013 B1 KR102270013 B1 KR 102270013B1 KR 1020190132192 A KR1020190132192 A KR 1020190132192A KR 20190132192 A KR20190132192 A KR 20190132192A KR 102270013 B1 KR102270013 B1 KR 10227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igh voltage
fastened
voltage connector
preven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211A (ko
Inventor
안호철
박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19013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0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체결 여부를 확인 가능한 구조로 연결부재의 별도 가거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체결 여부를 확인 가능한 구조를 개시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닛에 보다 쉽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장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자장치들은 케이블과 그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커넥터는 케이블과 케이블의 도체심선에 접촉되는 단자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터미널과, 터미널이 내부로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단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커넥터 고정 후, 하우징을 볼트 등으로 고정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를 먼저 하우징에 가거치하는 과정이 불가피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볼트와 체결 장치를 동시에 파지하여야 하여 분해 조립 시 볼트를 분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결부재의 별도 가기거가 필요없는 동시에 체결여부를 확인 가능한 고전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고전압 커넥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제1 연결부가 형성된 아웃터하우징;과, 상기 아웃터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된 이너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지링은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2 연결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2 연결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연결부는 상기 아웃터하우징과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체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지링은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방향으로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요입된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지링은 일 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방지링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홈에 안착되는 체결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방지링이 일 측에 체결되는 제한부;와, 상기 제한부에서 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지링이 상기 제1,2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제1,2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표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고전압 커넥터는 방지링을 구비하여 연결부재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분해 시 연결부재가 분실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조립 시 연결부재의 가고정을 필요로하지 않아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연결부재는 유격공간에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조립 시 연결부재가 연결부에서 돌출되어 위치하여(제2 위치) 작업자가 연결부재의 체결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조립 된 상태에서(제1 위치) 접촉면이 제2 연결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차량 운행 등에 따른 진동에 의해 연결부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홈에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부재가 이동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커넥터에 사용가능한 구조로 범용성 향상 및 개발 비용을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고전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연결부재에 방지링이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Ⅳ-Ⅳ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연결부에 고정부의 제1,2 위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고전압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체결방향은 연결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진행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고전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연결부재에 방지링이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연결부에 고정부의 제1,2 위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고전압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전압 커넥터(10)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부가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연결부재(200) 및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링(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전압 커넥터(10)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구성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중 고전압을 보다 안전하게 전달 및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전압 커넥터(10)는 내부에 와이어의 말단에 단자가 결합된 터미널(400)이 배치되며, 오일이나 수분 등이 내부로 유입될 수 없도록 다양한 실링(500) 및 터미널(400)은 고정하는 홀더 및 하우징(100)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부재(200)가 가고정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고전압 커넥터(10) 고정 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제1 연결부(111)가 형성된 아웃터하우징(110)과, 아웃터하우징(110)에 수용되고 제2 연결부(121)가 형성된 이너하우징(120)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2 연결부의 결합에 의해 연결부재(200)가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외부와 구별되는 유격공간(130)이 형성되고, 제1,2 연결부는 유격공간(130)을 통해 연통된다. 이때 유격공간(130)은 제1 연결부(111) 및 제2 연결부(121) 중 어느 하나의 연장되는 돌출단(1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단(113)이 제1 연결부(111)에서 연장 형성되는 일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웃터하우징(110)은 연결부재(200)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연결부(111)와, 제1 연결부(111)에서 연결부재(200)가 체결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유격공간(130)의 일 측 외벽에 해당하는 돌출단(113)이 형성된다.
제1 연결부(111)는 아웃터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웃터하우징(110)의 양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111)는 아웃터하우징(110)의 외벽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연결부재(200)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홀로 형성되며, 이때 홀의 형상은 연결부재(200)의 제한부(2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단(113)은 제1 연결부(111)의 일 측에서 연결부재(200)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유격공간(130)의 일 측 외벽을 형성한다. 이때 돌출단(113)은 유격공간(130)의 일 측이 개방되도록 하여 유격공간(130)과 제2 연결부(121)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돌출단(113)의 내주면의 일 측에는 제2 연결부(121)가 안착되는 안착부(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단(113)은 제2 연결부(1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 연결부(12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안착부(114)는 개방단(131)에서 제2 연결부(121)의 체결방향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너하우징(120)은 아웃터하우징(110)의 일 측에서 삽입되어 수용되고, 제1 연결부(111)와 연통되는 제2 연결부(121)가 형성되어 외부와 구별되는 유격공간(130)을 형성하여 연결부재(200)가 하우징(100)에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제2 연결부(121)는 제1 연결부(111)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너하우징(120)의 외벽에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부재(200)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홀로 형성되며, 이때 홀의 형상은 연결부재(200)의 제한부(2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121)는 돌출단(113)의 일 측에 수용되어 즉, 유격공간(130)의 개방단(131)을 덮도록 배치되어 제1 연결부(111)와 유격공간(130)을 통해 연통되고, 연결부재(200)의 고정부(220)가 제1 연결부(111)를 관통하여 제2 연결부(121)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111)와 체결방향을 따라 동일선 상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 연결부(121)와 제1 연결부(111)는 소정 거리 이격 형성되어 연결부재(200)의 제한부(210)가 이동할 수 있는 유격공간(130)을 형성하고, 홀의 크기는 연결부재(200)의 제한부(210)의 단면적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연결부재(20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동시에 고정부(220)가 제1 위치(A)에 위치하는 경우 제한부(210)에 형성된 접촉면(212)이 제2 연결부(121)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하여 연결부재(2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격공간(130)은 돌출단(113)과 제1 걸림면(112)이 형성되는 제1 연결부(111)와, 제2 걸림면(122)이 형성되는 제2 연결부(121)의 결합에 의해 일 측으로 개방된 개방단(131)이 폐쇄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부가 유격공간(130)에서 체결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유격공간(130)은 연결부재(200)에 체결된 방지링(300)이 제2 걸림면(122)에 걸려 고정부(220)가 유격공간(13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위치(A)와, 제1 걸림면(112)에 걸려 고정부(220)가 유격공간(130)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즉, 제한부(210)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2 위치(B)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부재(200)는 제1 연결부(111), 유격공간(130) 및 제2 연결부(121)를 순차로 관통하여 배치되므로 제2 연결부(121)와 제2 걸림면(122)이 접하는 부분에는 연결부재(200)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연결부재(200)의 체결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 연결부(121)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는 유격공간(130)을 형성하여, 연겨부재가 유격공간(130)에서 이동되어 연결부재(200)의 체결 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연결부재(200)가 하우징(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연결부재(20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되에 드릴 등과 같은 체결 장치에 결합되는 헤드부(230)와, 방지링(300)이 체결되는 제한부(210)와,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220)로 형성되고, 방지링(300)에 의해 하우징(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제한부(210)와 고정부(220)는 헤드부(230)에서 체결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한부(210)는 헤드부(230)에서 연장되고, 일 측 외주면으로 따라 체결홈(211)이 형성되며, 체결홈(211)에 체결된 방지링(300)에 의해 유격공간(1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위치(A)에서 제한부(210)의 말단부는 각각 제1 연결부(111) 및 제2 연결부(121)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연결부재(20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생산 및 차량 운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등의 손상을 감소시킨다.
체결홈(211)은 방지링(3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요입되어 형성되고, 그 위치에 따라 고정부(220)의 제1 위치(A)가 제한되어 연결부재(200)의 유격량이 조절되므로 설계에 따라 그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고정부(220)는 제한부(210)에서 연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외부 장치 등에 고정되어 고전압 커넥터(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고정부(22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의 제1 위치(A)와 유격공간(130)에 배치된 상태의 제2 위치(B)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20)는 조립 전에는 고정부(220)가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위치(A)에 가고정되며, 외부 장치 등에 고전압 커넥터(1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고정부(220)의 일 단이 외부 장치 등의 외측면에 맞닿아 유격공간(130)으로 이동되어 제2 위치(B)에 가고정된다. 이때 체결 장치를 헤드부(230)와 결합되어 고정부(220)를 외부 장치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다시 제1 위치(A)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제한부(21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한부(210)는 제1 위치(A)에서 유격공간(130)에 배치되고, 외부 장치 등에 고전압 커넥터(10)가 삽입되면서 고정부(220)의 이동에 따라 제2 위치(B)에서는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다시 고정부(220)가 외부 장치에 고정되며서 제1 위치(A)에서 고정되면 유격공간(130)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연결부재(200)의 체결 여부가 제한부(210)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낮춰 생산성 향상 효과를 증대시킨다.
방지링(300)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가지나, 일 측으로 개방된 개방부(310)와, 내주면을 따라 돌출된 체결돌기(320)와, 체결돌기(320)의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330)로 형성되어 체결홈(211)에 쉽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개방부(310)는 일 측으로 개방되어 방지링(300)이 연결부재(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방부(310)는 외주면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면(311)이 양 측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재(200)와의 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체결돌기(320)는 방지링(30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요입된 체결홈(211)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방지링(30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결돌기(320)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체결돌기(320)의 사이에는 탄성부(330)가 형성된다.
탄성부(330)는 체결돌기(320)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방지링(300)과 연결부재(200) 체결 시 방지링(300)이 보다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방지링(300)은 체결홈(211)에 체결돌기(320)가 수직하도록 연결부재(200)에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에서 그 크기가 제1,2 연결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부재(200)가 제1 연결부(111) 및 제2 연결부(121)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방지링(300)의 외주면은 유격공간(130)의 내주면 즉, 돌출단(113)의 내측면에 맞닿는 크기를 가져 연결부재(200)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흔들리지 않고 유격공간(13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고전압 커넥터(10)는 연결부재(200)가 하우징(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유격공간(130)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고 연겨부재의 분실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생산서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한부(210)를 통해 작업자가 연결부재(200)의 체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차량의 진동 등에도 커넥터의 고정력이 일정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고전압 커넥터
100 하우징 110 아웃터하우징 111 제1 연결부
112 제1 걸림면 113 돌출단 114 안착부
120 이너하우징 121 제2 연결부 122 제2 걸림면
130 유격공간 131 개방단
200 연결부재 210 제한부 211 체결홈
212 접촉면 220 고정부 230 헤드부
300 방지링 310 개방부 311 가이드면
320 체결돌기 330 탄성부
400 터미널 500 실링
A 제1 위치 B 제2 위치

Claims (6)

  1.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고전압 커넥터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연결부가 형성된 아우터하우징과, 상기 제1 연결부와 연통되는 제2 연결부가 형성된 이너하우징으로 형성된 하우징;
    상기 제1,2 연결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2 연결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방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연결부는
    상기 아우터하우징과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체결방향으로 연장되는 유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지링은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격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요입된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지링은
    일 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링은
    내주면을 따라 상기 체결홈에 안착되는 체결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방지링이 일 측에 체결되는 제한부;와,
    상기 제한부에서 연장되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로 형성되고, 상기 방지링이 상기 제1,2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유격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위치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유격공간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2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KR1020190132192A 2019-10-23 2019-10-23 고전압 커넥터 KR10227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92A KR102270013B1 (ko) 2019-10-23 2019-10-23 고전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92A KR102270013B1 (ko) 2019-10-23 2019-10-23 고전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211A KR20210048211A (ko) 2021-05-03
KR102270013B1 true KR102270013B1 (ko) 2021-06-28

Family

ID=7591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192A KR102270013B1 (ko) 2019-10-23 2019-10-23 고전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0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6459A (ja) 2009-10-14 2011-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494425B1 (ko) 2013-12-31 2015-02-17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53B1 (ko) * 2015-09-22 2023-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102627672B1 (ko) * 2016-12-09 2024-01-22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6459A (ja) 2009-10-14 2011-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KR101494425B1 (ko) 2013-12-31 2015-02-17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211A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8137B2 (en) Connector capable of restricting a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female and male connectors
US10892584B2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US792712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able securing device
US10879645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TWI722691B (zh) 連接器及連接器組件
US10594051B2 (en) Wire to wire connector
KR102012889B1 (ko)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KR20170024100A (ko) 플러그
US11804675B2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9419381B2 (en) Shield case
KR102270013B1 (ko) 고전압 커넥터
JP6262579B2 (ja) 電流センサーと導電部材との組み付け構造
US10944201B2 (en) Connector having waterproof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unintentional detachment of a packing
US10374370B2 (en) Electronic unit attaching structure
JP7098678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10320170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KR200410105Y1 (ko) 정션박스의 오버토크 방지구조
US20240039209A1 (en) Connector
CN113644480B (zh) 衬垫的安装结构
KR10086090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US8979556B2 (en) Communication socket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40196552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914082B2 (ja) ケーブル、固定具、保護具、および電気接続具
KR101754869B1 (ko) 커넥터
JP2023090092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