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765B1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765B1
KR102269765B1 KR1020190081262A KR20190081262A KR102269765B1 KR 102269765 B1 KR102269765 B1 KR 102269765B1 KR 1020190081262 A KR1020190081262 A KR 1020190081262A KR 20190081262 A KR20190081262 A KR 20190081262A KR 102269765 B1 KR102269765 B1 KR 10226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urrent
compressor
humidification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602A (ko
Inventor
장재광
오용석
홍장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765B1/ko
Priority to CN201911280099.4A priority patent/CN112178757B/zh
Publication of KR2021000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24F11/67Switching between heating and cooling m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은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먼저 난방운전을 위한 실외기 내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감소시켜 압축기를 구동하도록 한 후에 가습운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performing humidifying operation for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로 구분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종래에 가습기능이 추가된 공기조화기가 소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637호에 가습기를 구비하여 실내 온/습도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히터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증기배출구를 통해 증기를 실내로 배출한다.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4189호에 가습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가습기는 물을 저류하는 저류조와 저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다. 히터의 가열량을 조정하여 저류조에 저류된 물로부터 생기는 증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공기의 습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들과 같이 히터로 물을 가열하여 가습운전을 하는 공기조화기는 물의 가열을 위해 히터의 동작에 필요한 전류가 더 소모된다.
용량이 큰 공기조화기는 대부분 사용처에서 난방운전시 차단기의 최대전류허용치에 가깝게 운영되고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 중에 가습운전을 추가로 하기 위해 히터를 동작시키는 경우 차단기의 최대전류허용치를 초과하게 되어 차단기가 전류를 완전히 차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41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3637호
본 발명은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난방운전 중 가습운전이 추가로 이루어져도 차단기에서 전류차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습운전 시 압축기의 전류량을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서로 통신하여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난방운전 중 가습공기를 생성하여 독립된 유로를 통해 실내로 분사하므로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방운전 중에 가습운전을 수행할 수 있고 가습운전 중에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방운전시 가습운전 요청이 입력되면 난방운전을 위한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감소시켜 가습운전에 필요한 전류를 확보함으로써 전류의 차단 없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습운전시 난방운전 요청이 입력되면 난방운전을 위한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일정량 감소시킨 구동전류로 압축기를 구동함으로써 가습운전에 필요한 전류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방운전과 가습운전 요청이 동시에 또는 짧은 시간에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일정량 감소시켜 압축기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감소시키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안정적으로 구동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습운전과 난방운전을 동시에 수행할 때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와 가습운전에 필요한 구동전류를 합산한 전류가 차단기의 기설정된 최대전류허용치보다 작도록 구동전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압축기의 전류가 감소된 것을 확인한 후에 가습운전을 위한 히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실외기에서 구동전류의 감소를 재차 확인하고, 확인결과 구동전류의 감소가 확인되면 실내기로 구동전류의 감소를 전달하도록 하여 구동전류의 감소에 소요되는 시간 이후에 구동전류의 감소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감소된 구동전류의 크기만큼 가습운전에 소모되는 전류로 사용하므로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이 수행되는 중에 가습운전의 중지 요청이 입력되면 현재 난방운전에 필요한 구동전류를 일정량 증가시켜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습운전의 정지에 따라 난방운전에 필요한 구동전류를 증가하여 압축기를 구동하므로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난방시 실내 습도조절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은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난방운전 중 가습운전을 추가하는 경우에도 전류 차단 없이 작동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압축기의 간단한 전류제한으로 가습운전이 가능하므로 가습운전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가습운전시 압축기의 전류가 감소된 것을 확인한 후에 가습운전을 위한 히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외기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 구성인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내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실내기에 장착된 가습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가습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 간의 신호 흐름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공기조화기(10)는 실내 공간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기(100)와, 실외 공간에 마련되어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내기(100)는 실내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실내기 본체(110)와, 실내기 본체(110)의 정면과 측면에 마련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정면토출구(111) 및 측면토출구(121)와, 공기조화기(10)의 동작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0)는 실외기(200)의 외관을 이루는 실외기 본체(221)와, 실외기 본체(221)의 일측에 공기를 토출하는 실외기 토출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0)는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 및 실외기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100)로 공급한다.
실외기(200)는 실내기(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외기(200) 및 실외기(200)는 유무선통신을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구성블럭도이다.
실외기(200)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201), 실외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202), 난방운전에 따라 압축기(201)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02)와 실내기(100) 가운데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사방밸브(203),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202)로 안내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실외 팽창밸브(204), 미처 증발되지 못한 액상냉매가 압축기(20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205)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01)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서 회전하는 압축기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한다.
사방밸브(203)는 냉방운전시에 압축기(201)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02)로 안내하고 난방운전시에는 압축기(201)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내기(100)로 안내한다.
실외 열교환기(202)는 냉방운전시 압축기(20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고, 난방운전시에는 실내기(100)에서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실외 열교환기(202)는 실외 열교환기(202)에 실외의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냉각팬(202a)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 팽창밸브(204)는 난방운전시에 냉매를 감압할 뿐만 아니라 실외 열교환기(202)에서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외 열교환기(202)에 제공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실내기(100)는 실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기(101)와, 냉방운전시에 실내 열교환기(101)로 제공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실내 팽창밸브(10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01)는 냉방운전시에는 저압의 액상 냉매를 증발시키고, 난방운전시에는 고압의 기상 냉매를 응축한다.
실내 열교환기(101)는 실내 열교환기(101)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101a)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팽창밸브(102)는 냉매를 감압할 뿐만 아니라 실내 열교환기(101)에서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외 열교환기(202)에 제공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10)에서의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흐름을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0)가 냉방운전으로 동작시 냉매는 실외기(200)의 압축기(201)에 의하여 고압으로 압축된다. 냉매는 압축되면서 압력과 온도가 함께 증가한다.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125)에 의하여 실외 열교환기(202)로 안내된다. 실외 열교환기(202)로 안내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02)에서 응축되며, 냉매가 응축되는 동안 냉매와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냉매가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동안 냉매는 기체 상태의 냉매의 내부 에너지와 액체 상태의 냉매의 내부 에너지의 차이만큼의 에너지(잠열)를 실외로 방출한다.
응축된 액상 냉매는 실외 팽창밸브(204)를 통해 실내기(100)로 제공된다.
실내기(100)로 제공된 액상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102)에서 온도가 낮아지며 감압된다.
이와 같은 실내 팽창밸브(102)는 후술한 실내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밸브를 채용할 수 있다.
감압된 액상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01)에서 증발되며 냉매가 증발되는 동안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냉매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동안 냉매는 기체 상태의 냉매의 내부 에너지와 액체 상태의 냉매의 내부 에너지 차이만큼의 에너지(잠열)를 실내 공기로부터 흡수한다.
이와 같이 냉방운전시 공기조화기(10)는 실내 열교환기(101)에서 발생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 즉 냉매가 실내공기로부터 잠열을 흡수하는 것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된 기상 냉매는 실외기(200)로 제공되고, 사방 밸브(123)를 거쳐 어큐뮬레이터(125)로 제공된다. 어큐뮬레이터(125)에서 냉매는 미쳐 증발되지 못한 액상 냉매와 증발된 기상 냉매가 분리되며, 기상냉매는 다시 압축기(201)로 제공된다.
압축기(201)로 제공된 기상 냉매는 압축기(201)에서 압축으로써 상술한 냉매 순환이 반복된다.
공기조화기(10)가 난방운전으로 동작시 냉매는 실외기(200)의 압축기(201)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되며 냉매의 압력과 함께 온도가 증가한다.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125)를 통과한 후 실내기(100)로 안내된다.
실내 열교환기(101)에서 냉매는 응축되며 냉매가 응축되는 동안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냉매가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태 변환되는 동안 냉매는 기체 상태의 내부 에너지와 액체 상태의 내부 에너지 사이의 차이만큼 에너지(잠열)를 실내로 방출한다.
이처럼 난방운전시에 공기조화기(10)는 실내 열교환기(101)에서 발생하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 즉, 냉매가 잠열을 방출하는 것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응축된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224)를 통과후 다시 실외기(200)로 제공된다.
실외기(200)로 제공된 액상 냉매는 실외 팽창밸브(204)에서 감압되며 냉매의 온도도 함께 낮아진다. 실외 팽창밸브(204)는 후술할 실외 열교환기(202)에 유입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밸브를 채용할 수 있다.
감압된 액상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02)에서 증발되며, 냉매가 증발되는 동안 냉매와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냉매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동안 냉매는 기체 상태의 내부 에너지와 액체 상태의 냉매의 내부 에너지 차이 만큼 에너지(잠열)를 실외 공기로부터 흡수한다.
실외 열교환기(202)에서 증발된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25)를 통해 어큐뮬레이터(150)로 제공된다. 어큐뮬레이터(150)에서 냉매는 미쳐 증발되지 못한 액상 냉매와 증발된 기상 냉매가 분리되며 기상 냉매는 압축기(201)로 제공된다.
압축기(201)로 제공된 기상 냉매는 압축기(201)에서 압축됨으로써 냉매의 순환이 반복된다.
이하에서 공기조화기(10)에 포함된 구성들의 신호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기와 실내기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실외기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내기(100)와 실외기(200)는 상호간 유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100)는 실외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실외기(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200)는 실내기(1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고 실내기(100)로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외기(200)와 실내기(100)는 또한 외부의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유무선통신을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실외기(200)는 실내기(100)와 유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실외기 통신부(211)와, 실외기(200)의 전반적이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기 제어부(212)와, 압축기(20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압축기 구동부(213)와, 그리고 냉각팬(202a) 및 사방밸브(203)의 구동을 제어하는 냉각팬 구동부(214) 및 사방밸브 구동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외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실외기(100)에 대한 동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실외기 조작부(2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외기 제어부(212)는 실외기 통신부(211)를 통해 실내기(100)로부터 운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운전정보에 따라 압축기 구동부(213)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압축기 구동부(21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여 압축기(201)로 출력할 수 있다. 압축기(201)는 이와 같이 출력된 구동전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압축기(201)의 동작은 압축기 구동부(213)에서 출력되는 구동전류의 증감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전류의 증감에 따라 압축기(201)의 부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면 압축기(201)의 부하는 증가하고, 반대로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면 압축기(201)의 부하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전류의 증감은 압축기(201)의 운전 주파수 증감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압축기(201)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키면 압축기(201)의 구동전류가 감소할 수 있고, 압축기(201)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압축기(201)의 구동전류가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가 난방운전으로 동작시 실내기(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실내기(100)는 실외기(200)의 실외기 통신부(211)로 온도상승 요구에 따른 운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실외기 통신부(211)는 토출공기의 온도상승 요구에 따른 운전정보를 실외기 제어부(212)로 전송하고, 실외기 제어부(212)는 수신된 운전정보에 대응하는 운전 주파수를 압축기 구동부(213)로 전송할 수 있다.
압축기 구동부(213)는 수신된 운전 주파수에 대응되는 구동전류를 생성하여 압축기(201)로 전달하고 압축기(201)는 전달된 구동전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실내기(100)에서 예컨대, 토출공기의 온도상승을 위해서는 압축기(201)의 운전 주파수를 증가시켜 구동전류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토출공기의 온도감소를 위해서는 압축기(201)의 운전 주파수를 감소시켜 구동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외기 제어부(212)는 실내기 제어부(143)로부터 압축기 구동부(213)에서 생성되는 구동전류의 감소 요청이 수신되면 압축기(201)의 운전주파수를 감소시켜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12)는 구동전류의 감소가 후술하는 가습운전을 위한 것이라면 구동전류의 감소량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실내기(100)의 실내기 조작부(146) 또는 실외기(200)의 실외기 조작부(216)를 통해 가습운전을 위한 구동전류의 감소량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전류의 감소량은 난방운전에 소모되는 제1전류와 가습운전에 소모되는 제2전류를 합한 전류가 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구동전류의 감소량을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조화기(10)가 사용되는 사용처에 입력되는 전압의 특성, 예컨대 불안정한 입력전압 등의 특수상황을 고려하여 구동전류의 감소량을 미리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전류와 제2전류의 합이 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에 마진을 부여하여 (최대혀용전류- 마진)의 값보다 작도록 구동전류의 감소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마진은 최대허용전류의 0.5~2%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 구성인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실내기의 내부의 일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실내기에 장착된 가습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의 실내기(100)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이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유닛(120)과, 캐비닛유닛(12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조립되는 도어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유닛(120)과 도어유닛(130)이 결합되어 실내기(10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유닛(130)의 전면에 정면토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캐비닛유닛(120)의 좌/우측면에 측면토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00)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정면토출구(111) 및/또는 측면토출구(12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내기(100)의 내부공간에는 다양한 고유 기능 및 부가 기능을 동작하기 위한 각종 구성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정면토출구(111)에는 도어커버(112)가 설치될 수 있다. 도어커버(112)는 개폐가 가능하며 정면토출구(111)를 차단 및 개폐할 수 있다.
정면토출구(111)에 대응하는 위치의 내부에는 토출그릴(122)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그릴(122)은 내부에서 정면토출구(111)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토출그릴(122)은 도어유닛(130)의 전면부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토출그릴(122)은 공기조화기(10)의 정지 또는 대기시에는 정면토출구(111)의 내부에 위치하며 공기조화기(10)의 동작시에는 정면토출구(111) 밖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도록 한다.
토출그릴(122)은 정면토출구(111)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특정신호에 의해 정면토출구(111)의 내부로 다시 이동하여 복귀할 수 있다.
정면토출구(111)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토출그릴(122)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향되도록 그 조향각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그릴(122)의 조향각 및 조향방향은 특정한 각도 또는 방향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조향각도 조정은 제1 특정방향에서 임의의 제2 특정방향으로 즉시 방향전환시킬 수도 있다.
실내기(100)는 상측에 실내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113)와 실내기(100)의 동작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4)를 표시되는 동작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100)는 내부에 가습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어셈블리(300)의 설치위치는 어디라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실내기(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습어셈블리(300)는 실내기(100)의 가습운전을 위해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여과공기와 혼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실내로 분사하여 실내에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가습공기는 내부에 배치된 팬(미도시)에 의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가습어셈블리(300)는 후술하는 실내기 제어부(143)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300)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310)와, 물탱크(31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하고, 인가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3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어셈블리(300)는 내부캐비닛(301)로 감싸지며 가습어셈블리(3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가이드(312)를 통해 측면토출구(121)로 직접 유동될 수 있다.
도어유닛(130)은 캐비닛유닛(12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어유닛(13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가습어셈블리(300)는 내부가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에 의해 물탱크(31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도어유닛(130)이 개방되지 않을 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유닛(130)의 개폐는 2단계로 구성된다.
도어유닛(1300)의 1단 개폐는 일부만 열리는 것으로서, 가습어셈블리(300)의 물공급을 위한 것이다. 1단계 개폐에서는 가습어셈블리(300)의 물탱크(310)가 노출될 정도의 면적만을 노출시킨다.
도어유닛(130)의 2단 개폐는 최대로 열리는 것으로서, 설치 및 수리를 위한 것이다. 2단계 개폐는 가습어셈블리(300)의 전체가 노출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2단계 개폐를 위해 도어유닛(130)은 2단계 개폐를 제한하는 도어스토퍼구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가습어셈블리의 동작에 따른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내기(100)는 실외기(200)와 유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실내기 통신부(14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142), 실내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143), 가습어셈블리(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 및 송풍팬(101a)의 구동을 제어하는 송풍팬 구동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실내기(100)에 대한 동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실내기 조작부(14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내기 통신부(141)는 실외기 통신부(211)와 유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 통신부(141)는 원격제어장치(미도시)와도 유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부(142)는 공기조화기(10)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입력부(142)를 통해 온도, 운전모드, 타이머 등의 명령을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142)는 터치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실내기 제어부(143)는 입력된 운전모드에 따라 실내기(100)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 제어부(143)는 입력부(142)를 통해 가습운전요청이 입력되면 실외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가습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내기 제어부(143)는 가습운전요청이 입력되면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로 가습운전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가습어셈블리(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에는 가습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된 실내습도, 가습량, 가습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100)는 난방운전 중에 가습운전을 실시할 수도 있다. 실내기 제어부(143)는 난방운전 중에 가습운전요청이 입력되면 난방운전과는 별도로 가습운전을 위해 가습어셈블리 구동부(22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습어셈블리(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기 제어부(143)는 필요에 따라 송풍팬 구동부(145)를 제어하여 송풍팬(101a)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가 난방운전으로 동작하는 도중에(S101), 입력부(142)를 통하여 실내기(100)에서의 가습운전요청이 입력되면(S103), 실내기 제어부(14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 가습운전을 위한 가습운전정보를 전송한다(S105).
실외기 제어부(212)는 가습운전정보가 수신되면 압축기 구동부(213)로 압축기(201)의 구동전류를 감소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107). 상기 구동전류는 현재 동작중인 난방운전에 요구되는 압축기(201)의 구동전류이다.
압축기 구동부(213)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전류를 감소시킨다(S109).
본 실시예에서 구동전류의 감소는 압축기(201)의 운전주파수의 감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실외기 제어부(212)는 실내기 제어부(143)로부터 가습운전정보가 수신되면 압축기 구동부(213)로 압축기(201)의 운전주파수의 감소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압축기 구동부(213)는 압축기(201)의 운전주파수를 감소시켜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12)는 구동전류의 감소가 확인되면 실내기 제어부(143)로 구동전류 감소를 통보한다(S111). 구동전류가 감소될 때 시간이 필요하므로 실제 구동전류가 일정량 감소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실내기 제어부(143)는 구동전류 감소에 대한 통보가 수신되면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를 동작시켜(S113) 가습어셈블리(300)의 동작시킨다(S115). 가습어셈블리(300)의 동작에 의해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17).
한편, 상기 S109 단계에서 구동전류를 감소시킨 이후에, 상기 구동전류가 기설정된 전류값으로 감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구동전류가 확실히 일정값 이하로 떨어진 것을 확인한 이후에 가습운전을 시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구동전류가 기설정된 전류값으로 감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습운전을 시작하게 되면 종래기술과 같이 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를 초과할 수 있어 차단기가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에서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도중에 가습운전 요청이 입력되면 실외기 내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감소시킨 후 가습운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감소된 구동전류의 크기는 가습운전을 위해 모터에 필요한 전류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난방운전에 필요한 구동전류를 일부 감소시켜 그 감소된 구동전류의 크기만큼 가습운전에 필요한 전류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전류의 감소는 압축기의 운전주파수의 감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서 입력부(142)를 통해 실내기(100)에 가습운전요청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01).
가습운전요청이 입력되면 실내기 제어부(143)가 현재 난방운전으로 동작중인지를 판단한다(S203).
현재 난방운전으로 동작중이면 실내기 제어부(14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 가습운전정보를 전송한다(S205).
실외기 제어부(212)는 가습운전정보가 수신되면 압축기 구동부(213)로 구동전류의 감소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207).
압축기 구동부(213)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전류를 감소시킨다(S209). 압축기(201)의 운전주파수를 감소시켜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12)는 구동전류의 감소가 확인되면 실내기 제어부(143)로 구동전류의 감소를 통보한다(S211).
실내기 제어부(143)는 구동전류 감소에 대한 통보가 수신되면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를 동작시켜(S213) 가습어셈블리(300)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S215)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17).
만약, S203 단계에서 현재 난방운전으로 동작중이 아니면 실내기(143)는 습어셈블리 구동부(144)를 동작시켜(S213), 가습어셈블리(300)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S215),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17).
가습운전이 시작되면 실내기 제어부(14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 가습운전이 시작되었음을 통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에서 가습운전 요청이 입력되면 난방운전이 수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 난방운전이 수행되고 있으면 실외기 내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감소시킨 후 가습운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난방운전이 수행되고 있지 않다면 압축기의 구동전류의 감소 없이 바로 가습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감소된 구동전류의 크기는 가습운전을 위해 모터에 필요한 전류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 간의 신호 흐름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서 난방운전이 입력되면(S301), 실내기 제어부(14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 입력된 난방운전정보를 전달한다(S303).
실외기 제어부(212)는 난방운전을 위해 압축기(201)를 구동한다(S305). 압축기(201)의 구동은 실외기 제어부(212)에서 압축기 구동부(213)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압축기 구동부(213)에서 압축기(201)를 구동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압축기(201)가 구동되면 실내기(100)에서는 난방운전이 시작되고 실외기 제어부(212)는 난방운전을 위한 압축기(201)가 구동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 난방운전시작정보를 실내기 제어부(143)으로 전달한다(S307). 실내기(100)는 난방운전으로 동작한다.
상기 난방운전시작정보에는 압축기(301)의 구동전류 정보 및 압축기(201)의 구동을 위한 운전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난방운전 중 가습운전의 요청이 입력되면(S309), 실내기 제어부(143)는 가습운전요청의 입력을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로 알린다(S311).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는 가습운전을 준비하고(S313) 가습운전준비완료를 실내기 제어부(143)으로 전달한다(S315).
실내기 제어부(143)는 가습운전준비완료를 수신하면 실외기 제어부(212)로 압축기(201)의 구동전류 감소를 요청한다(S317). 이러한 구동전류 감소요청에는 압축기(201)의 운전주파수의 감소요청이 포함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12)는 구동전류 감소요청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난방운전을 위한 압축기(201)의 구동전류를 감소시킨다(S319). 이러한 구동전류의 감소는 압축기(201)의 운전주파수를 감소시켜 구동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습운전을 위해 구동전류를 감소하는 것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량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진행중인 난방운전에 필요한 제1전류와 가습운전에 필요한 제2전류의 합이 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구동전류의 감소량이 결정될 수 있다.
구동전류가 감소되면 실외기 제어부(212)는 실내기 제어부(143)로 구동전류의 감소를 통보한다(S321).
실내기 제어부(143)는 압축기(201)의 구동전류의 감소를 확인한 후(S323),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로 가습어셈블리(300)의 구동을 요청한다(S325).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는 상기 요청에 따라 가습어셈블리(300)를 동작시키다(S327). 가습어셈블리(300)의 동작에 의해 가습운전을 위한 히터(미도시)가 가동된다.
이후,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는 가습운전시작을 실내기 제어부(143)로 통보한다(S329). 이로써 실내기 제어부(143)는 현재 운전상태가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임을 확인할 수 있고 운전상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42)를 통해 실내기(100)의 가습운전의 정지 요청이 입력되면(S401), 실내기 제어부(143)는 가습운전을 정지하기 위해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S403), 가습어셈블리(300)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한다(S405).
가습어셈블리(300)가 동작을 정지하면 가습어셈블리 구동부(144)는 동작정지를 실내기 제어부(143)으로 전달한다(S407).
이후, 실내기 제어부(143)는 현재 난방운전이 실행중인지를 판단한다(S409).
만약, 난방운전이 실행중이면 실내기 제어부(14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 가습운전 정지를 전달한다(411).
실외기 제어부(212)는 압축기(201)의 구동전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압축기 구동부(213)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S413).
압축기 구동부(213)는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201)의 구동전류를 증가시킨다(S415). 이러한 구동전류의 증가는 앞서 가습운전에 필요한 전류만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전류가 증가된 이후에 공기조화기(10)에서 소모되는 전류가 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한다. 구동전류의 증가량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난방운전에 필요한 제1전류와 상기 증가된 구동전류의 합이 차단기의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상기 구동전류의 증가량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구동전류의 증가는 압축기(201)의 운전주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압축기 구동부(213)는 운전주파수의 증가를 통해 구동전류를 증가시킨 후 실외기 제어부(212)로 구동전류의 증가를 통보한다(S417). 이로써 증가된 구동전류로 난방운전이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실외기 제어부(212)는 구동전류의 증가를 통보받으면 실내기 제어부(143)로 전달한다(S419). 실내기 제어부(143)는 난방운전으로 계속 동작한다(S421).
실내기 제어부(143)는 디스플레이에 가습운전정지 및 난방운전중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운전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운전을 수행하다가 가습운전을 중지하는 경우 실내기에서 난방운전을 동시에 수행중이라면 실외기 내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증가시켜 난방운전을 계속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증가된 구동전류의 크기는 가습운전을 위해 모터에 필요한 전류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가습운전을 정지함으로써 가습운전에 사용되었던 전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가습운전에 사용되었던 전류의 크기만큼 난방운전에 필요한 전류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전류의 증가는 압축기의 운전주파수의 증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100)가 가습운전으로 동작 중(S501) 난방운전 요청이 입력되면(S503), 실내기 제어부(143)는 난방운전 요청이 입력되었음을 실외기 제어부(212)로 전달한다(S505).
실외기 제어부(212)는 압축기 구동부(213)로 구동전류의 감소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507), 압축기 구동부(213)는 제어신호에 따라 감소된 구동전류를 생성하여 압축기(201)를 동작시키도록 한다(S509).
압축기(201)가 동작하면 압축기 구동부(21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 압축기 동작을 통보하고(S511), 실외기 제어부(212)는 다시 실내기 제어부(143)로 압축기 동작을 전달한다(S513).
이와 같이 구동전류를 감소하는 이유는 실내기(100)가 가습운전을 이미 하고 있으므로 그 가습운전에 필요한 전류가 이미 소모되고 있고 추가로 난방운전을 위해 필요한 구동전류가 더해지면 차단기가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습운전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기존에 난방운전에 필요한 구동전류보다 작은 구동전류로 압축기(201)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에서 가습운전을 수행하는 도중에 난방운전 요청이 입력되면 실외기 내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압축기를 구동하도록 한 후 난방운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전류의 감소는 가습운전을 위해 모터에 필요한 전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내기에 난방운전과 가습운전 요청이 입력되면(S601), 실내기 제어부(14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 난방운전 및 가습운전 요청을 전달한다(S603).
상기 S601 단계의 입력은 일례로 실내기가 대기중에 난방운전과 가습운전 요청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대기중에 난방운전과 가습운전 요청이 짧은 시간(예:1~2초) 차이로 입력되는 경우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S601 단계는 어느 하나의 운전의 요청이 입력되었으나 그 운전이 시작되기 전에 다른 운전의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두 운전의 요청이 동시에 입력되거나 연속으로 입력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두 운전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바로 운전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외기 제어부(212)는 압축기 구동부(213)로 구동전류의 감소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605), 압축기 구동부(213)는 제어신호에 따라 감소된 구동전류를 생성하여 압축기(201)를 동작시키도록 한다(S607).
압축기(201)가 동작하면 압축기 구동부(213)는 실외기 제어부(212)로 압축기 동작을 통보하고(S609), 실외기 제어부(212)는 다시 실내기 제어부(143)로 압축기 동작을 전달한다(S611).
실내기 제어부(143)는 가습어셈블리 구동부()를 동작시켜(S613), 가습어셈블리()가 동작하도록 하고(S615). 가습운전이 시작된다(S617). 가습운전이 시작됨에 따라 이미 수행중인 난방운전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이유는 실내기(100)가 가습운전을 이미 하고 있으므로 그 가습운전에 필요한 전류가 이미 소모되고 있고 추가로 난방운전을 위해 필요한 구동전류가 더해지면 차단기가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습운전에 필요한 전류를 확보하기 위해 난방운전에 소모되는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에서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 내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감소시킨 상태에서 압축기를 구동하도록 한 후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전류의 감소는 가습운전을 위해 모터에 필요한 전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고 생성된 스팀을 여과공기와 혼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고 가습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여 가습공기를 특정 장소로 제공하는 가습수단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습수단은 다양한 장치들에 내장되거나 결합되어 장치의 고유기능과 더불어 별개의 운전을 통해 가습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난방기, 히터장치 등은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습수단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일 예시로서 공기조화기에 대하여 가습운전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본 가습운전은 공기조화기 뿐만아니라 공기청정기, 난방기, 히터장치 등과 같이 가습공기를 토출하는 다른 장치에도 물론 적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10 : 공기조화기 100 : 실내기
101 : 실내 열교환기 101a : 송풍팬
102 : 실내 팽창밸브 111 : 토출구
112 : 도어커버 113 : 카메라
114 : 디스플레이 110 : 실내기 본체
120 : 캐비닛유닛 121 :측면토출구
122 : 토출그릴 130 : 도어유닛
131 : 정면토출구 141 : 실내기 통신부
142 : 입력부 143 : 실내기 제어부
144 : 가습어셈블리 구동부 145 : 송풍팬 구동부
146 : 실내기 조작부 200 : 실외기
221 : 실외기 본체 222 : 실외기 토출구
211 : 정면토출구 213 : 표시패널
201 : 압축기 202 : 실외 열교환기
202a : 냉각팬 203 : 사방밸브
204 : 실외 팽창밸브 205 : 어큐뮬레이터
211 : 실외기 통신부 212 : 실외기 제어부
213 : 압축기 구동부 214 : 냉각팬 구동부
215 : 사방밸브 구동부 216 : 실외기 조작부
300 : 가습어셈블리 301 : 내부캐비닛
310 : 물탱크 311 : 스팀제너레이터
312 : 스팀가이드

Claims (15)

  1. 실내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가습운전 요청이 입력되면 실외기로 가습운전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가 상기 난방운전을 위해 구동중인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일정량 감소시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가 감소되면 상기 감소된 구동전류를 이용하여 가습운전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에서 상기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는,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 이후 상기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와 상기 가습운전에 필요한 모터의 구동전류를 합산한 전류가 차단기의 동작하기 위해 기설정된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2. 실내기가 가습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난방운전 요청이 입력되면 실외기로 난방운전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보다 일정량 감소된 구동전류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감소된 구동전류로 구동되는 상기 압축기에 의해 난방운전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에서 상기 가습운전과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는,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 이후 상기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와 상기 가습운전에 필요한 모터의 구동전류를 합산한 전류가 차단기의 동작하기 위해 기설정된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3. 실내기가 대기중에 난방운전 및 가습운전 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실외기로 상기 난방운전 및 가습운전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일정량 감소시킨 구동전류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구동전류가 감소되면 상기 감소된 구동전류를 이용하여 난방운전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에서 상기 가습운전과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는,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 이후 상기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와 상기 가습운전에 필요한 모터의 구동전류를 합산한 전류가 차단기의 동작하기 위해 기설정된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4. 실내기에 가습운전 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실내기에서 현재 난방운전이 수행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난방운전이 수행중이지 않으면 상기 가습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난방운전이 수행중이면 실외기로 가습운전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가 상기 난방운전을 위해 구동중인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일정량 감소시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전류가 감소되면 상기 감소된 구동전류를 이용하여 난방운전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에서 상기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는,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 이후 상기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와 상기 가습운전에 필요한 모터의 구동전류를 합산한 전류가 차단기의 동작하기 위해 기설정된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실내기에 상기 가습운전의 중지 요청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실내기가 상기 가습운전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외기로 가습운전 중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가 구동중인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일정량 증가시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구동전류가 증가되면 상기 실내기에서 상기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습운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증가시켜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감소시켜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실외기가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를 재차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재차 확인결과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가 확인되면 상기 실내기로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10.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어셈블리와, 상기 가습어셈블리를 구동하는 가습어셈블리 구동부를 포함하는 실내기;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구동전류를 생성하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하는 실외기; 를 구비하고,
    난방운전과 가습운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 구동부에서 상기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보다 일정량 감소된 구동전류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여 난방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감소된 구동전류를 이용하여 가습운전을 수행하며,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는, 상기 구동전류의 감소 이후 상기 난방운전에 필요한 압축기의 구동전류와 상기 가습운전에 필요한 모터의 구동전류를 합산한 전류가 차단기의 동작하기 위해 기설정된 최대허용전류보다 작도록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구동부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감소시켜 상기 구동전류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구동전류의 크기는 상기 가습운전에 소모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운전 및 난방운전이 동시에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가습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압축기 구동부에서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구동부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증가시켜 상기 구동전류를 증가시키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된 구동전류의 크기는 상기 가습운전에 소모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81262A 2019-07-05 2019-07-05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KR10226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62A KR102269765B1 (ko) 2019-07-05 2019-07-05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CN201911280099.4A CN112178757B (zh) 2019-07-05 2019-12-13 空气调节器以及空气调节器的加湿运转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62A KR102269765B1 (ko) 2019-07-05 2019-07-05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602A KR20210004602A (ko) 2021-01-13
KR102269765B1 true KR102269765B1 (ko) 2021-06-25

Family

ID=7391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262A KR102269765B1 (ko) 2019-07-05 2019-07-05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9765B1 (ko)
CN (1) CN1121787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1580A (zh) * 2021-04-21 2021-08-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和灯光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020A (ja) * 1999-09-27 2001-04-06 Daikin Ind Ltd 調湿換気装置
JP2002357340A (ja) 2001-06-01 2002-12-13 Daikin Ind Ltd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2003185219A (ja) 2001-12-19 2003-07-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6329484A (ja) * 2005-05-24 2006-12-07 Daikin Ind Ltd 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88656B (zh) * 2005-06-27 2012-07-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复合式空调器的定速压缩机及变频压缩机的控制方法
CN201391955Y (zh) * 2009-04-11 2010-01-27 广东申菱空调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机的节能型电热加湿***
CN202083039U (zh) * 2011-05-10 2011-12-21 沈学明 一种带加湿功能的空调器
KR101073637B1 (ko) 2011-05-25 2011-10-14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공기조화기
CN104976726A (zh) * 2015-07-24 2015-10-14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带加湿装置的空调和空调加湿控制方法
CN205878456U (zh) * 2016-04-18 2017-01-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加湿装置及空调***
CN109196287B (zh) * 2016-06-08 2020-12-01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
JP6159865B1 (ja) 2016-11-10 2017-07-05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加湿器及び空気調和装置
CN207094911U (zh) * 2017-08-25 2018-03-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加湿空调
CN108562020B (zh) * 2018-04-23 2021-08-2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020A (ja) * 1999-09-27 2001-04-06 Daikin Ind Ltd 調湿換気装置
JP2002357340A (ja) 2001-06-01 2002-12-13 Daikin Ind Ltd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2003185219A (ja) 2001-12-19 2003-07-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6329484A (ja) * 2005-05-24 2006-12-07 Daikin Ind Ltd 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78757A (zh) 2021-01-05
KR20210004602A (ko) 2021-01-13
CN112178757B (zh)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1675B1 (en)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05106346A1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171183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9765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방법
KR102180544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9558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43226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JP3081521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7219245A (ja) 空調システム
WO2019087632A1 (ja) 空気調和機
KR20200132222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6288138B2 (ja) 制御装置
KR100354065B1 (ko) 냉난방 겸용 멀티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774570B1 (ko) 팬코일 유닛을 구비하는 냉난방 시스템의 냉온수 유량 제어방법
EP3208550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9005507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30084747A (ko) 냉난방 장치
KR2007005299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044626B2 (ja) 温調システム
KR102580538B1 (ko) 공기조화기
KR102235272B1 (ko) 공기조화기
KR2020013509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5061664A (ja) 空気調和機
JP2001235218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217144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