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670B1 -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670B1
KR102268670B1 KR1020190090511A KR20190090511A KR102268670B1 KR 102268670 B1 KR102268670 B1 KR 102268670B1 KR 1020190090511 A KR1020190090511 A KR 1020190090511A KR 20190090511 A KR20190090511 A KR 20190090511A KR 102268670 B1 KR102268670 B1 KR 10226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fd
ephedra
parts
over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561A (ko
Inventor
김영두
임정태
박진봉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약진흥원
김영두
임정태
박진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약진흥원, 김영두, 임정태, 박진봉 filed Critical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to KR102019009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6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Description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AND OVERWEIGH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최근 생활 방식의 변화, 식생활의 변화, 또는 스트레스 등에 기인하여 과체중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고,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과체중은 체질량 지수 (BMI, Body Mass Index,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비만 척도)가 25 이상 30 미만인 경우를 의미하고, 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일 때를 의미한다.
비만 및 과체중은 하나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적, 정신적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식이 조절, 운동 등의 생활 습관의 교정,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있다.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에 앞서 생활 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일이 쉽지 않을 수 있고, 수술적 치료의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이 비만 및 과체중을 개선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고, 특단의 노력을 기울일 필요 없이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비만 및 과체중의 개선 또는 예방이 가능한 약학 조성물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마황을 활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이 알려져 있고,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마황, 반하, 대황, 방기 등의 약재를 활용하는 비만 치료 조성물에 관한 한국등록특허 제10-1297918호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비만 및 과체중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마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식이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 방울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지방의 분화를 억제시키며, 지방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혼합 한약재에서, 두시는 2 ~ 8 중량부, 치자는 1 ~ 5 중량부, 황백은 1 ~ 8 중량부, 그리고 마황은 1 ~ 8 중량부일 수 있다.
혼합 한약재에서, 두시는 4 ~ 6 중량부, 치자는 2 ~ 3 중량부, 황백은 3 ~ 6 중량부, 그리고 마황은 5 ~ 7 중량부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제, 시럽제, 현탁제, 유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는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혼합 한약재에 물을 혼합한 후, 80 ~ 140 ℃에서 2 ~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열수 추출된 추출액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혼합 한약재에서, 두시는 4 ~ 6 중량부, 치자는 2 ~ 3 중량부, 황백은 3 ~ 6 중량부, 그리고 마황은 5 ~ 7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비만 및 과체중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킬 수 있고, 마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식이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 방울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에서 지방의 분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며,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평균 식이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는 정상 체중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주차별 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b는 실험 종료 시점의 체중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의 무게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b는 지방 조직의 무게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정상 체중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혈청의 AST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는 ALT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c는 크레아틴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정상 체중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혈청의 중성지방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전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c는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d는 글루코스 수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정상 체중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6b는 지방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a는 정상 체중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지방 조직에서의 PPARγ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7b는 지방 조직에서의 C/EBPα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며, 도 7c는 간 조직에서의 PPARγ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7d는 간 조직에서의 C/EBPα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정상 체중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와,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지방 조직에서의 ATGL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8b는 지방 조직에서의 HSL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며, 도 8c는 간 조직에서의 ATGL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그래프이고, 도 8d는 간 조직에서의 HSL의 발현량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약학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식이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 방울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에서 지방의 분화를 억제시킬 수 있으며,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어, 비만 및 과체중을 예방하거나 개선시키는데 탁월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천연물을 기반으로 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성이 우수하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복수의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고,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다.
혼합 한약재에서, 두시(豆, Glycine Semen Preparata)는 콩과의 콩(Glycine max Merrill)의 씨를 삶아서 발효시킨 것으로서, 풍한, 풍열에 사용될 수 있고, 피부를 풀어주고, 땀을 나게 하며,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을 제거해 줄 수 있고, 해독 효능이 있으며, 소화를 돕는 약재이다.
또한, 두시는 치자, 황백 및 마황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비만 및 과체중의 개선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고, 마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인 불면, 심계항진(palpitation), 부정맥, 고혈압, 속쓰림, 출혈 등의 증상을 완화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치자(梔子, Gardenia jasminoides)는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치자나무의 성숙한 과실로, 심장과 폐 등의 열을 내릴 수 있고, 염증의 열을 내려주어 염증성 질환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이뇨 작용 및 지혈 작용 등의 약리 작용을 나타낸다. 치자는 결막염 등 염증성 질환, 당뇨, 간염, 황달, 토혈(吐血)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치자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 크로세틴(crocetine) 등을 포함하여 우수한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두시, 마황 및 황백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비만 및 과체중 억제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전술한 마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크게 완화시킬 수 있다.
황백(黃栢, Phellodendri Cortex)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황벽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나무줄기에서 껍질을 벗겨내어 조피(거친껍질)을 제거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려 사용할 수 있다. 황백은 대장균, 티푸스균, 콜레라균 등에 대한 살균력과 그람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이나 임균(gonococcus) 등에 대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해열, 해독, 진통 등의 효능을 나타내며, 황달, 설사, 이질, 버짐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황백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알카로이드(alkaloid) 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에서의 항균, 항염증, 항바이러스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황백은 식욕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고, 두시, 치자 및 마황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비만 및 과체중의 개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마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완화 또는 제거시킬 수 있다.
마황(麻黃, Ephedrae Herba)은 마황과의 초마황(草麻黃, Ephedra sinica Stapf) 또는 동속식물의 부드러운 줄기(초질경)을 사용해 만든 약재 로서, 약리 작용으로 발한(發汗)과 해열진통 작용, 평천(平喘)과 진해거담(鎭咳祛痰) 작용, 혈압 상승과 강하의 이중 조절 작용, 이뇨 작용, 신장기능쇠약 개선 작용, 소염 작용, 알레르기 개선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감기, 상부 호흡기계 감염, 폐렴,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백일해, 저혈압, 심장 질병, 피부점막 질병, 신장염, 부종, 관절근육 질병, 설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비만 및 과체중 개선용 약재로서 마황이 개시되어 있으나, 마황에는 교감신경 흥분제인 에페드린 알카로이드(ephedrine alkaloids)가 함유되어 있어 불면, 심계항진, 부정맥, 고혈압, 속쓰림, 출혈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마황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마황의 부작용을 관리할 수 없는 약재들과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부작용들이 나타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마황과 함께 두시, 치자 및 황백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불면, 심계항진, 부정맥, 고혈압, 속쓰림, 출혈 등의 증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마황과 두시, 치자, 황백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비만 및 과체중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전체로서 상승 효과 또는 시너지(synergy) 효과를 나타내므로, 구성 물질 각각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이 제외된 경우 비해,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최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혼합 한약재에서, 두시는 약 2 ~ 8 중량부, 치자는 약 1 ~ 5 중량부, 황백은 약 1 ~ 8 중량부, 그리고 마황은 약 1 ~ 8 중량부일 수 있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비만 및 과체중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마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완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한약재에서, 두시가 약 2 중량부 미만이거나, 치자가 약 1 중량부 미만이거나, 황백이 약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마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완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혼합 한약재에서, 마황이 약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인체 조직에서 지방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을 분해시키는 효과가 저감될 수 있고, 마황이 약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불면, 심계항진, 부정맥, 고혈압, 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치자가 약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소화기 증상이나 졸림, 오한 등의 증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황백이 약 8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소화기 부작용으로 인한 설사, 소화장애, 오심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혼합 한약재에서, 두시는 약 4 ~ 6 중량부, 치자는 약 2 ~ 3 중량부, 황백은 약 3 ~ 6 중량부, 그리고 마황은 약 5 ~ 7 중량부일 수 있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비만 및 과체중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마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완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약학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이외의 다른 약학적 활성 성분을 함께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과 혼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혼합 한약재에 물을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열수 추출된 추출액을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을 포함하는 혼합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열수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열수 추출은, 예를 들어, 80 ~ 140 ℃에서 2 ~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추출물 구성 성분에 대한 파괴 또는 열화 없이 추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열수 추출된 추출액을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멤브레인 필터의 평균 기공(pore) 크기는 약 0.5 ~ 0.7 ㎛ 일 수 있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이후, 여과된 추출물은 동결 건조되어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로 사용될 수 있고,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 어느 수단으로라도 환자에 투여될 수 있고, 투여 제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환자의 연령, 성별 또는 질환의 경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겔제, 에어로졸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일 수 있고, 또는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형제로는 락토즈(lactose), 덱스트로즈(dextrose), 수크로스(sucrose), 솔비톨(solbitol), 만니톨(mannitol), 자일리톨(xyl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말티톨(maltitol),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alginate), 젤라틴(gelatin), 칼슘 포스페이트(calcium phosphate), 칼슘 실리케이트(calcium silicate), 셀룰로오스(cellulose),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등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붕해제로는, 예를 들어,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알긴산(alginic acid),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carboxymethyl cellulose calcium),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키토산(chitosan), 구아검(guar gum), 저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 silica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povidone), 콜로이달 이산화규소(colloidal silicon dioxide), 인산수소칼슘(calcium hydrogen phosphate), 락토스(lactose), 만니톨(mannitol), 아라비아검(Arabic gum),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전분 글리콜 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carbauba wax),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린산 알루미늄(aluminum stearate),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 백당, 엿, 덱스트로스(dextrose), 소르비톨(sorbitol), 탈크(tal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약학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9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 체중 감소율 측정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가 23 이상인 27명의 대상자가 상대로 실시예에 따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복용하였고, 복용에 따른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고,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대상자 27명 중 남성은 6명, 여성은 21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2.56±11.11 세였으며, 복용 전의 평균 체중은 71.07±11.58 kg 이었다. 또한 대상자 27명 중 고혈압 질환자는 5명(18.5%)이었고, 고지혈증을 가진 자는 2명(7.4%)이었다.
No 성별 나이 복용 기간
(일)
복용 전
체중
(Kg)
복용 후
체중
(Kg)
체중
감소량
(Kg)
체중
감소율
(%)
1 여성 24 60 77.8 68.1 9.7 12.47
2 여성 34 60 83.8 75 8.8 10.50
3 여성 39 75 94.1 85.5 8.6 9.14
4 여성 42 60 69 61.4 7.6 11.01
5 남성 32 45 78 70.5 7.5 9.62
6 여성 55 45 66.3 60 6.3 9.50
7 여성 43 60 82 76 6 7.32
8 남성 43 75 79 73 6 7.59
9 남성 62 45 77 71 6 7.79
10 남성 58 30 89.7 84.4 5.3 5.91
11 여성 37 30 70 65 5 7.14
12 여성 28 75 56.5 52 4.5 7.96
13 여성 32 30 59.3 55 4.3 7.25
14 여성 51 30 76 72 4 5.26
15 남성 20 30 82.2 78.2 4 4.87
16 여성 50 15 62 58.6 3.4 5.48
17 여성 63 15 71.4 68.2 3.2 4.48
18 여성 53 45 62 59 3 4.84
19 여성 40 30 71 68 3 4.23
20 남성 58 45 81.3 79 2.3 2.83
21 여성 37 30 85.8 83.6 2.2 2.56
22 여성 35 30 53.7 51.5 2.2 4.10
23 여성 42 30 56 54 2 3.57
24 여성 35 15 50.5 48.5 2 3.96
25 여성 53 30 63.2 61.3 1.9 3.01
26 여성 41 15 56.5 55 1.5 2.65
27 여성 42 15 65 64 1 1.54
복용 기간
(일)
복용 전 체중
(Kg)
복용 후 체중
(Kg)
체중 감소량
(Kg)
45일 이상 75.56 ± 9.95 69.21 ± 9.16 6.36 ± 2.17
30일 이하 67.48 ± 11.56 64.48 ± 10.93 3.00 ± 1.26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복용 후 평균 체중은 66.59 ± 10.45 kg으로 4.49 ± 2.40 kg이 감량되었으며, 5% 이상 체중이 감소한 자는 15명으로 55.6 %를 나타내었다. 대상자 중 시료를 45일 이상 복용한 12명 중에서 10명(83.3%)가 5 % 이상 체중이 감량된 것에 비해, 30일 이하로 복용한 15명 중에서는 5명(33.3%)이 5% 이상 체중이 감량된 것으로 보아, 복용 기간이 길수록 체중 감소 효과가 더 유의하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7명의 대상자 전원에서, 불면, 심계항진, 부정맥, 고혈압, 속쓰림, 출혈 등 마황으로 인한 부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부터,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이 과체중 및 비만의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고, 마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최소화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 시료 1 제조
두시 약 60 g, 치자 약 30 g, 황백 약 15 g, 마황 약 45 g을 정량 후 혼합하여 혼합 한약재를 제조한다. 혼합 한약재를 부직포에 담아 약 6800 cc 의 물에 혼합한 후 탕전기(일광/가압식)로 약 110 ℃에서 약 2시간 30분 동안 전탕하여 열수추출 한다. 이어서 열수추출액을 약 0.5 ㎛의 기공(pore) 크기를 갖는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여과 후 얻은 여액을 동결 건조하여 건조 분말 형태의 시료 1을 수득한다.
실시예 2 - 시료 2 제조
두시 약 60 g, 치자 약 30 g, 황백 약 45 g, 마황 약 45 g을 혼합하여 혼합 한약재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 2를 제조한다.
실시예 3 - 시료 3 제조
두시 약 90 g, 치자 약 45 g, 황백 약 45 g, 마황 약 90 g을 혼합하여 혼합 한약재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 3을 제조한다.
실시예 4 - 시료 4 제조
두시 약 60 g, 치자 약 30 g, 황백 약 90 g, 마황 약 90 g을 혼합하여 혼합 한약재로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 4를 제조한다.
하기 실험예 2 내지 9는 Wang 등의 보고서(Wang CY and Liao JK., A Mouse Model of Diet-Induced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Methods Mol Biol, 2012; 821: 421-433)를 참조하여 준비된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mouse)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고지방 식이유도 비만 마우스는, 6주령 C57BL/6J 수컷 마우스를 42수(n=7/군) 대한바이오링크(충북 음성)로부터 구입하여 1주간 적응시킨 후, 고지방 식이(60 kcal% fat diet: Research Diets, D12492i)를 총 4주 동안 자유 식이 방식으로 투여하여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를 의미한다. 고지방 식이를 4주 동안 진행하면서, 주 1회 식이량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이후, 추가적 4주 동안 전술한 고지방 식이 투여와 함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들을 경구 투여(100 mg/kg/day)하였다. 이러한 추가적 4주 동안에도 주 1회 식이량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이후, 마우스의 혈액, 지방 조직, 간 조직 등을 채취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2 내지 9에서, ND는 고지방 식이 및 시료 투여를 하지 않은 마우스를 의미하고, HFD는 고지방 식이를 자유 식이 방식으로 8주 동안 진행한 마우스를 의미하고, HFD+1은 고지방 식이를 자유 식이 방식으로 4주 동안 진행한 후 실시예 1에 따른 시료 1을 4주 동안 투여한 마우스를 의미하며, HFD+2는 고지방 식이를 자유 식이 방식으로 4주 동안 진행한 후 실시예 2에 따른 시료 2를 4주 동안 투여한 마우스를 의미하고, HFD+3은 고지방 식이를 자유 식이 방식으로 4주 동안 진행한 후 실시예 3에 따른 시료 3을 4주 동안 투여한 마우스를 의미하며, HFD+4는 고지방 식이를 자유 식이 방식으로 4주 동안 진행한 후 실시예 4에 따른 시료 4를 4주 동안 투여한 마우스를 의미한다. 또한, ND, HFD, HFD+1, HFD+2, HFD+3, HFD+4 군에 각각 7마리의 마우스가 사용되었다.
ND에 적용된 고지방 식이가 아닌 일반 식이의 조성, 그리고 고지방 식이의 조성은 아래 표 3과 같다. 일반 식이는 옥수수 전분(Corn starch)으로 대부분의 칼로리를 발생시키고, 고지방 식이에는 돼지기름(Lard)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조성 일반 식이 고지방 식이
Casein 200.0 265.0
L-Cystine 3.0 4.0
Corn starch 397.486 -
Maltodextrin 132.0 160.0
Sucrose 100.0 90.0
Lard - 310.0
Soybean oil 70.0 30.0
Cellulose 50.0 65.5
Mineral mix 35.0 48.0
Calcium phasphate, dibasic - 3.4
Vitamin mix 10.0 21.0
Choline bitartrate 2.5 3.0
실험예 2 - 식이량 측정
8주의 실험 기간 동안 주당 1회씩 식이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HFD의 평균 식이량과 비교하여,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들(HFD+1, HFD+2, HFD+3)의 평균 식이량은 유사한 수준이고, 실시예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들(HFD+4)은 유의적으로 식이량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체중 변화 측정
8주의 실험 기간 동안 주당 1회씩 체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총 8주의 실험이 종료된 후 각 군 별 평균체중은 ND 26.74 ± 0.32 g, HFD 48.88 ± 0.66 g, HFD+1 44.63 ± 0.75 g, HFD+2 45.25 ± 1.05 g, HFD+3 44.75 ±0.52 g, HFD+4 43.13 ± 0.43 g으로,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1, HFD+2, HFD+3, HFD+4) 모두에서 HFD에 비해 유의적인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조직 무게 측정
8주의 실험 기간 이후,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a를 참조하면, 각 군의 간 조직의 평균 무게는 ND 1.35 ± 0.08 g, HFD 2.75 ± 0.13 g, HFD+1 2.04 ± 0.20 g, HFD+2 2.12 ± 0.17 g, HFD+3 1.70 ± 0.11 g, HFD+4 1.82 ± 0.11 g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1, HFD+2, HFD+3, HFD+4) 모두에서, HFD에 비해, 지방으로 인해 증가한 간 조직 무게의 감소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HFD+3에서 간 조직 무게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 3b를 참조하면, 각 군의 지방 조직의 평균 무게는 ND 0.27 ± 0.04 g, HFD 2.72 ± 0.11 g, HFD+1 2.57 ± 0.14 g, HFD+2 2.65 ± 0.13 g, HFD+3 2.47 ± 0.86 g, HFD+4 2.44 ± 0.09 g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1, HFD+2, HFD+3, HFD+4) 모두에서, HFD에 비해, 지방 조직의 무게의 감소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HFD+4에서 지방 조직 무게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 5 - 간 독성 및 신장 독성 평가
8주의 실험기간 이후 혈청을 채취해 간 독성 표지자인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aminase) 및 신장 독성 표지자인 크레아틴(creatinine)의 레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AST는 간세포, 심장근육세포, 골격근세포 등에 존재하는 효소로, 세포가 괴사 또는 파괴되면 혈중으로 유출되어 농도가 증가하고, ALT는 간세포에 집중적으로 존재하는 효소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농도가 증가하며, 대개 간에서만 특정적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간 기능 판단시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Kwo PY, Cohen SM, Lim JK. ACG Clinical Guideline: Evaluation of Abnormal Liver Chemistries. Am J Gastroenterol. 2017 Jan;112(1):18-35). 크레아틴은 신장 독성을 의미하는 표지자로 쓰이며, 비만은 신장 손상의 위험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Lin TY, Liu JS, Hung SC. Obesity and risk of end-stage renal disease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 cohort study. Am J Clin Nutr. 2018 Oct 13. doi: 10.1093/ajcn/nqy200)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고지방 식이 투여로 인해 HFD가 ND에 비해 AST와 ALT가 각각 약 2.85 배, 약 7.04 배로 크게 증가한 것에 비해, 실시예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4)에서 AST 수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실시예 2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2), 실시예 3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3) 및 실시예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4)에서 ALT 수치가 크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크레아틴의 경우, HFD에 비해, HFD+1, HFD+2, HFD+3 및 HFD+4에서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HFD+3 및 HFD+4에서 가장 크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이 간 기능 및 신장 기능을 보호 또는 개선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 혈청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글루코스의 평가
8주의 실험기간 이후 혈청을 채취해 중성지방, 전체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및 글루코스의 레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a 내지 도 5d에 나타내었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HFD에서 중성지방(TG)과 글루코스(glucose)의 혈청 레벨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1, HFD+2, HFD+3, HFD+4) 모두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다만, 전체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증가에 대해서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이 혈청의 중성지방 및 글루코스 수치를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 평가
8주의 실험기간 이후 간 조직과 지방 조직을 채취해 헤마톡실린-에오신(H&E) 염색을 통해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고, 간 조직의 사진을 도 6a에, 지방 조직의 사진을 도 6b에 나타내었다. 이때, 염기성 염료인 헤마톡실린은 핵을 청자색으로, 산성 염료인 에오신은 세포질 및 세포간 물질을 담홍색으로 염색함으로써 검체의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된다.
H&E 염색의 순서는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파라핀에 고정시킨 간 조직 및 지방 조직 샘플을 4 μm 두께로 절편하고, 절편을 자일렌으로 수세해 파라핀을 제거하였으며, 이어서 알코올에서 환원시켰다. 다음으로 조직 절편을 약 150 ㎕의 0.1 trypsin working solution (조성: trypsin 0.4 ml, calcium 0.01 g, chloride 0.01 g in D.W. 7 ml)에 15분 간 처리한 후에, FBS(fetal bovine serum)을 사용하여 블록(block)시켰다. 이어서, H&E 염색을 위하여 절단된 조직을 헤마톡실린 용액에 5분, 증류수에 5분, 에오신 용액에 30 초 간 담근 후, 건조하여 고정하였고, 염색된 조직 샘플의 슬라이드는 Olympus IX71 Research Inverted Phase Microscope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도 6a 및 도 6b에서 Normal이 ND를 의미하고, Control(대조군)이 HFD를 의미하며, Sample 1이 HFD+1, Sample 2가 HFD+2, Sample 3이 HFD+3, Sample 4가 HFD+4를 각각 의미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고지방 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HFD)의 경우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이 축적됨으로써 지방 방울(lipid droplet)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고,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1, HFD+2, HFD+3, HFD+4) 모두에서 지방 방울이 감소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이 간 조직에서의 지방 방울 형성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고지방 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HFD)의 경우 지방 조직 내 중성지방이 과량 축적됨으로써 지방 방울(lipid droplet)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HFD+1, HFD+2, HFD+3, HFD+4) 모두에서 지방 방울이 감소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이 지방 조직에서의 지방 방울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실험예 8 - 조직 내 지방 분화 관련 인자의 평가
8주의 실험 기간 이후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을 채취해 지방 분화와 관련된 인자인 PPARγ와 C/EBPα의 발현량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7a 내지 도 7d에 나타내었다. PPARγ와 C/EBPα는 지방 전구 세포에서 성숙한 지방 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전사 인자이다(Lefterova MI, Zhang Y, Steger DJ, Schupp M, Schug J, Cristancho A, Feng D, Zhuo D, Stoeckert CJ Jr, Liu XS, Lazar MA. PPARgamma and C/EBP factors orchestrate adipocyte biology via adjacent binding on a genome-wide scale. Genes Dev. 2008 Nov 1;22(21):2941-52).
해당 인자의 단백질 발현 검출은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을 잘게 자른 후 Bullet Blender Homogenization Kit를 이용하여 균질화시키고, 균질화된 조직을 RIPA buffer에 용해시킨 후 불용성 물질의 제거를 위해 약 4 ℃ 에서 약 20분 간 약 1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이어서 추출한 단백질의 총 농도를 Bradford 기법을 이용해 측정한 뒤, 8% SDS(sodium dodecyl sulfate) gel에서 전기 영동을 통해 크기별로 분리한 후 PVDF(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으로 이동시켰고, PVDF membrane을 상온(약 25 ℃)에서 약 1시간 동안 5% skim milk를 함유한 TBST(tris-buffered saline(TBS)과 Polysorbate 20의 혼합물) 용액에서 블로킹(blocking)한 뒤, 약 4 ℃에서 적합한 1차 항체(PPARγ, C/EBPα)와 약 12시간 동안 반응시켜 1차 항체가 부착된 PVDF membrane을 제조하였고, 1차 항체가 부착된 PVDF membrane 상온에서 2차 항체와 약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ECL solution에 노출시켜 형광 발색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신호의 화학 발광 세기는 ImageJ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량하였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고지방 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HFD)의 지방 조직에서 지방의 분화 및 축적이 발생함에 따라 해당 인자들은 정상 대조군(ND) 대비 각각 약 151%, 약 198% 정도 상승했으며, 시료 1 내지 4에 따라 PPARγ 및 C/EBPα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PARγ의 경우, HFD+1은 약 86.5%, HFD+2는 약 64.9%, HFD+3은 약 67.8%, HFD+4는 약 51.6%가 감소하였고, C/EBPα의 경우, HFD+1은 약 83.8%, HFD+2는 약 70.6%, HFD+3은 43.0%, HFD+4는 약 41.0%가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지방 조직 내에서 지방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면, 고지방 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HFD)의 간 조직에서의 PPARγ와 C/EBPα는, 정상체중 마우스(ND) 대비 각각 214%, 140% 수준으로 나타났고, 시료 1 내지 4에 따라 PPARγ 및 C/EBPα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PARγ의 경우, HFD+1은 약 61.2%, HFD+2는 약 54.6%, HFD+3은 약 51.3%, HFD+4는 약 49.8%가 감소하였고, C/EBPα의 경우, HFD+1은 약 57.5%, HFD+2는 약 35.9%, HFD+3은 21.5%, HFD+4는 약 7.3%가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간 조직 내에서 지방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9 - 조직 내 지방 분해 관련 인자의 평가
8주의 실험 기간 이후 간 조직 및 지방 조직을 채취해 지방 분해와 관련된 인자인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과 HSL(Hormone-sensitive lipase)의 발현량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8a 내지 도 8d에 나타내었다. ATGL과 HSL은 모두 리파아제로서 지방을 분해시키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효소이다(Bolsoni-Lopes A, Alonso-Vale MI. Lipolysis and lipases in white adipose tissue - An update. Arch Endocrinol Metab. 2015 Aug;59(4):335-42)(Quiroga AD, Lehner R.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f liver triacylglycerol lipolysi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Biochem Pharmacol. 2018 Sep;155:233-241).
해당 인자의 단백질 발현 검출은 웨스턴 블랏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항체로 ATGL과 HS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8에 기재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HFD+1 및 HFD+2의 지방 조직에서 ATGL과 HSL의 발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HFD+3 및 HFD+4에서 ATGL의 발현량은 HFD 대비 약 143.6% 및 약 161.9%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HSL의 발현량은 약 63.6% 및 약 79.4%의 증가율을 보임으로써, 실시예 3 및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의 지방 조직 내 지방 분화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면, HFD+1 및 HFD+2의 간 조직에서 ATGL과 HSL의 발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HFD+3 및 HFD+4에서 ATGL의 발현량은 HFD 대비 약 46.3% 및 약 38.8%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HSL의 발현량은 약 19.5배 및 약 8.5배 수준으로 증가함으로써, 실시예 3 및 4에 따른 시료를 투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 내 지방 분화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으로 이루어진 혼합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불면, 심계항진, 부정맥, 고혈압, 속쓰림 및 출혈을 완화시키며,
    상기 혼합 한약재에서, 상기 두시는 4 ~ 6 중량부, 상기 치자는 2 ~ 3 중량부, 상기 황백은 3 ~ 6 중량부, 그리고 상기 마황은 5 ~ 7 중량부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제, 시럽제, 현탁제, 유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 형태로 제제화된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
  6. 두시, 치자, 황백 및 마황으로 이루어진 혼합 한약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 한약재에 물을 혼합한 후, 80 ~ 140 ℃에서 2 ~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열수 추출된 추출액을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불면, 심계항진, 부정맥, 고혈압, 속쓰림 및 출혈을 완화시키며,
    상기 혼합 한약재에서, 상기 두시는 4 ~ 6 중량부, 상기 치자는 2 ~ 3 중량부, 상기 황백은 3 ~ 6 중량부, 그리고 상기 마황은 5 ~ 7 중량부인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90090511A 2019-07-25 2019-07-25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KR10226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511A KR102268670B1 (ko) 2019-07-25 2019-07-25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511A KR102268670B1 (ko) 2019-07-25 2019-07-25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561A KR20210012561A (ko) 2021-02-03
KR102268670B1 true KR102268670B1 (ko) 2021-06-23

Family

ID=7457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511A KR102268670B1 (ko) 2019-07-25 2019-07-25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6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769A (ja) * 1995-01-23 1996-08-06 Pola Chem Ind Inc 過剰栄養吸収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101456937B1 (ko) * 2013-03-14 2014-10-31 이상진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561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39112B (zh) 一种用于促进创伤愈合、褥疮修复、术后应激性溃疡愈合的营养组合物
KR101145248B1 (ko) 신생혈관형성 억제용 한약 조성물
RU2657757C2 (ru) НОВЫЕ ЭКСТРАКТЫ ИЗ CYNARA SCOLYMUS, COFFEA spp. И OLEA EUROPAEA ДЛЯ ЛЕЧЕНИЯ МЕТАБОЛИЧЕСКОГО СИНДРОМА
WO2014201637A1 (zh) 一种治疗神经根型颈椎病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RU2540511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ищевая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оздоровите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лечения или облегчения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х дискинет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WO2015178703A1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및 혈관부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4027428B (zh) 一种中药复方的制备方法及在防治老年痴呆症中的应用
KR20170027914A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102268670B1 (ko)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KR20200102348A (ko)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7702B1 (ko) 위염 또는 소화성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5298B1 (ko) 난각막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75492B1 (ko) 증숙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디하이드로-6-진저다이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7020862A1 (zh) 头花蓼组合物治疗胃炎的用途
WO2017020861A1 (zh) 头花蓼组合物抗幽门螺旋杆菌的用途
EP1581195B1 (en) Film coated tablet comprising an extract of red vine leaves
KR20180126231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KR101862032B1 (ko) 향부자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스키르푸신 a와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및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032067A (zh) 用于治疗脂肪肝病的刺地榆提取物
KR20200132261A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9930A (ko)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