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627B1 -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627B1
KR102268627B1 KR1020200121801A KR20200121801A KR102268627B1 KR 102268627 B1 KR102268627 B1 KR 102268627B1 KR 1020200121801 A KR1020200121801 A KR 1020200121801A KR 20200121801 A KR20200121801 A KR 20200121801A KR 102268627 B1 KR102268627 B1 KR 10226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rod
proof
fire door
proof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곤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06B2001/707Threshold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수직으로 배치된 상부 로드, 상기 상부로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부 로드, 상기 상부 로드 및 상기 하부 로드 사이에 이들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핸들,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Locking device for fire and explosion-proof door, fire and explosion-proof door including the locking device and the structure including the door}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군용 화생방 시설, 연구실, 검역실, 관공서, 대피소, 병원 등에는 각각의 특수 목적을 위해 외부와 차단된 장소인 밀실을 설치하게 되고, 밀실의 경우 필요에 따라 내부 공기의 압력을 외부와 다르게 설정하거나 방폭의 유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일반 도어와는 다른 구조의 방폭겸용 방화문을 적용하게 된다.
여기서, 방폭겸용 방화문이란 재난방지 및 특수시설의 방폭 및 방화를 위한 특수제작 도어로서, 미닫이 타입이나 여닫이 타입이 있고, 방화 및 방폭, 기밀, 방탄 등의 특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사용하게 된다.
특히, 폭발물 저장고의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할 경우, 이 폭발에 의한 피해가 폭발물 저장고의 외부로 전해져서 연쇄 폭발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폭발물 저장고 외부의 폭발이 폭발물 저장고 내부에 전해져서 저장된 폭발물이 폭발할 수도 있다.
이때, 방폭겸용 방화문은 상기한 비상상황 등과 같은 여러가지 긴급재난에 대비하여 인명 등의 피해를 차단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폭겸용 방화문은 엄청난 압력의 폭압을 견뎌낼 수 있는 내구성 및 기밀성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폭압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폭발물 저장고 등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폭압은 감지가 불가능할 정도로 순간적으로 발생하므로, 폭발물 저장고 등의 방폭겸용 방화문은 폭압의 발생과 동시에 폐쇄되면서도 고압의 폭압에 대한 내구성이 충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폭겸용 방화문은 갑작스러운 폭압에 대한 응답성이 떨어져 폭압의 누출차단이 늦어지는 구조적인 결함이 있고, 이로 인해 폭압이 외부로 누출되면서 2차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방폭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을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직으로 배치된 상부 로드;
상기 상부로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부 로드;
상기 상부 로드 및 상기 하부 로드 사이에 이들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핸들;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각 로드의 단부는 스프링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은 상기 각 로드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로드 하우징, 상기 스프링 세퍼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세퍼레이터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은 상기 하부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 스프링의 탄성력 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은 상기 상부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하부 스프링의 탄성력 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로드가 잠금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각 로드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위치고정되게 하고, 상기 핸들의 추가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로드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해제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수평으로 배치된 것으로,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로드 및 상기 하부로드의 승하강과 동시에 수평으로 좌우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 중간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을 제공한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은 단열재 및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을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부 콘크리트, 하부 콘크리트 및 측부 콘크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은 상기 측부 콘크리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상부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부로드 잠금유닛 및 상기 하부 콘크리트에 매립된 하부로드 잠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개방시, 상기 핸들은 하향 경사지게 위치하고,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개방시,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도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1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과 접촉하여 하강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과 접촉하여 상승하고, 상기 핸들은 원위치로부터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1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되 하부 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부 스프링은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2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핸들은 상승하여 원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2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도 이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3차 잠금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의 내부로 추가로 삽입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의 내부로 추가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로드와 상기 하부로드는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3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은 압축되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압축되되 상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 아래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고,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과 분리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과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 아래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고,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은 이완되되 하부 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되되 상부 스프링은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은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은 먼지막이 소켓 및 소켓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막이 소켓은 하부 내벽에 암나사산을 갖는 원통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된 상부 덮개, 상부 외벽에 수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본체 내부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지지체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3차 잠금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먼지막이 소켓의 상기 상부 덮개를 밀어내려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킨 후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 아래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상기 먼지막이 소켓의 상기 상부 덮개가 원위치로 상승하고 상기 스프링이 이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배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폐쇄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후진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하부 틈새를 막도록 구성된 하부 밀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밀폐유닛은 하부 콘크리트를 덮도록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과 연통된 상부 관통홀, 상기 상부 관통홀을 덮도록 배치된 상부 마감캡 및 상기 상부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체결된 웨지 앙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밀폐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실링재가 상기 하부 밀폐유닛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측면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폐쇄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측부 틈새를 막도록 구성된 측부 밀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부 밀폐유닛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일 측면에 측부 콘크리트를 덮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과 연통된 측부 관통홀, 상기 측부 관통홀을 덮도록 배치된 측부 마감캡 및 상기 측부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측부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체결된 웨지 앙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밀폐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실링재가 상기 측부 밀폐유닛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이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문의 방폭 및 방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내구성 및 밀폐성이 우수하여 방폭 및 방화 성능이 우수할뿐만 아니라 벽체 형성 후 시공할 수 있는 방식이어서 향후 수정 및 노후화 교체에 따른 시공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문이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 중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주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중 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중 방폭겸용 방화문 주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중 방폭겸용 방화문의 하부 밀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밀폐 구조 중 소켓 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하부 밀폐 구조 중 먼지막이 소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로드(rod)"란 문을 닫고 가로질러 잠그도록 구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란 상대적으로 중력의 역방향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하고, "하부"란 상대적으로 중력방향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단부"란 경우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일정 영역 또는 상부 끝부분을 의미하고, "하단부"란 경우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일정 영역 또는 하부 끝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완"이란 스프링이 압축 또는 신장되지 않은 본래의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신장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문이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100)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100) 중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주변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중 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16, 124, 126)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중 방폭겸용 방화문(100) 주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중 방폭겸용 방화문(100)의 하부 밀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하부 밀폐 구조 중 소켓 덮개(25)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하부 밀폐 구조 중 먼지막이 소켓(21~1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00; 110, 120), 상부 콘크리트(TC), 하부 콘크리트(미도시), 측부 콘크리트(미도시), 상부로드 잠금유닛(10) 및 하부로드 잠금유닛(20)을 포함한다.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은 본체(111, 121), 돌쩌귀(112, 122), 로드 가이드(gd1, gd2) 및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본체(111, 121)는 강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상부로드(112, 123), 하부로드(115, 125), 구동유닛(r1, r2), 핸들(hd1, hd2),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및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24, 126)을 포함한다.
상부로드(112, 123)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부로드(115, 125)는 상부로드(112, 123)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동유닛(r1, r2)은 상부로드(112, 123) 및 하부로드(115, 125) 사이에 이들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배치되어 상부로드(112, 123) 및 하부로드(115, 125)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r1, r2)은 로드 고정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 고정부재는 핸들(hd1, hd2)의 조작에 의해 각 로드(112, 123; 115, 125)가 잠금위치로 이동할 경우 각 로드(112, 123; 115, 125)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위치고정되게 하고, 핸들(hd1, hd2)의 추가 조작에 의해 각 로드(112, 123; 115, 125)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해제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드 고정부재는 잠금볼(미도시)을 장착한 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잠금볼이 구동유닛(r1, r2)에 형성된 잠금홈(미도시)에 삽입되거나 잠금해제홈(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각 로드(112, 123; 115, 125)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다.
각 로드(112, 123; 115, 125)는 연결바(C11, C12; C21, C22)를 통해 구동유닛(r1, r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각 로드(112, 123; 115, 125)는 스프링 세퍼레이터(113a, 123a; 115a, 125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세퍼레이터(113a, 123a; 115a, 125a)는 후술하는 상부 스프링(114b, 124b; 116b, 126b)과 하부 스프링(114c, 124c; 116c, 126c)을 분리하는 역할 및 이들을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스프링 세퍼레이터(113a, 123a; 115a, 125a)는 각 로드(112, 123; 115, 125)의 외주면에 결합된 중공을 갖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세퍼레이터(113a, 123a; 115a, 125a)는 각 로드(112, 123; 115, 125)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핸들(hd1, hd2)은 구동유닛(r1, r2)에 결합되어 구동유닛(r1, r2)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hd1)의 배면에도 또 다른 핸들(hd1')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은 상부로드(112, 123)의 상단부(즉, 상부에 위치하는 일정 영역)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은 로드 하우징(114a, 124a), 상부 스프링(114b, 124b) 및 하부 스프링(114c, 124c)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하우징(114a, 124a)은 상부로드(112, 123)의 상단부(즉, 상부에 위치하는 일정 영역)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스프링(114b, 124b)은 스프링 세퍼레이터(113a, 123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스프링(114c, 124c)은 스프링 세퍼레이터(113a, 123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은 로드 하우징(116a, 126a), 상부 스프링(116b, 126b) 및 하부 스프링(116c, 126c)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하우징(116a, 126a)은 상부로드(116, 126)의 상단부(즉, 상부에 위치하는 일정 영역)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스프링(116b, 126b)은 스프링 세퍼레이터(115a, 125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스프링(116c, 126c)은 스프링 세퍼레이터(115a, 125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은 하부 스프링(114c, 124c)의 탄성력이 상부 스프링(114b, 124b)의 탄성력 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로드(112, 123)의 상단부가 상부로드 잠금유닛(10)에 삽입될 경우 하부 스프링(114c, 124c)이 완전히 이완됨으로써 자동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하부 스프링(114c, 124c)의 탄성력이 상부 스프링(114b, 124b)의 탄성력 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부로드(112, 123)의 상단부가 상부로드 잠금유닛(10)에 삽입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하부 스프링(114c, 124c)이 완전히 이완되지 않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자동 잠금이 이루질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중간 로드(M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로드(MR)는 수평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로드(MR)는 상부로드(112, 123)와 수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중간 로드(MR)는 구동유닛(r1)에 결합되어 핸들(hd1, hd1')의 조작에 의해 상부로드(113) 및 하부로드(115)의 승하강과 동시에 수평으로 좌우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로드(MR)는 연결바(C13)를 통해 구동유닛(r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방폭겸용 방화문(100: 110, 120)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폭겸용 방화문(110)은 상부로드(113), 하부 로드(115) 및 중간 로드(MR)를 모두 포함하는 반면에, 방폭겸용 방화문(120)은 상부로드(123)와 하부 로드(125)는 포함하지만 중간 로드(MR)는 포함하지 않는다.
방폭겸용 방화문(100)은 일측에 배치된 방폭겸용 방화문(110) 및 타측에 배치된 방폭겸용 방화문(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은 단열재 및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세라크울(cerak woo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재는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배치된 방폭겸용 방화문(110) 및 타측에 배치된 방폭겸용 방화문(120)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지만, 방폭겸용 방화문(110) 및 방폭겸용 방화문(12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부 콘크리트(도 1의 TC), 하부 콘크리트(도 2의 BC) 및 측부 콘크리트(도 4의 S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은 돌쩌귀(112, 122)를 매개로 하여 측부 콘크리트(SC)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상부 콘크리트(TC)에 매립된 상부로드 잠금유닛(10) 및 하부 콘크리트(BC)에 매립된 하부로드 잠금유닛(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로드 잠금유닛(10)은 상부로드(113, 123)의 상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로드 잠금유닛(20)은 먼지막이 소켓(21~24) 및 소켓 덮개(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지막이 소켓(21~24)은 본체(21), 상부 덮개(22), 스프링(23) 및 지지체(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는 하부 내벽에 암나사산(미도시)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덮개(22)는 본체(21) 내부에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1)의 상부 내벽에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 상부 덮개(22)가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덮개(22)는 먼지 및 이물질이 본체(21)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프링(23)은 상부 덮개(22)와 지지체(24)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체(24)는 상부 외벽에 수나사산을 가지며 본체(21) 내부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24)의 상부 외벽에 형성된 수사나산이 본체(21)의 하부 내벽에 형성된 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소켓 덮개(25)는 본체(25a), 경사면(25b), 소켓 삽입구(ph) 및 체결홀(sh)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5a)는 두께가 얇은 육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경사면(25b)은 본체(25a)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것으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은 경사면일 수 있다.
소켓 삽입구(ph)는 먼지막이 소켓(21~24)을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홀(sh)은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을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을 체결홀(sh)로 통과시켜 하부 콘크리트(BC)에 체결시킴으로써 소켓 덮개(25)를 하부 콘크리트(BC)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의 하부로드(115)의 하단부(즉, 하부 끝부분)가 소켓 덮개(25)를 슬라이딩하여 먼지막이 소켓(21~24)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의 (a)을 참조하면,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개방시(즉, 열린 상태), 하부로드(115)의 하단부(즉, 하부 끝부분)는 소켓 덮개(25)로부터 이격되어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예를 들어, 3mm)만큼 이격되어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1차 잠금시(즉, 닫히기 직전 상태), 하부로드(115)의 하단부(즉, 하부 끝부분)는 소켓 덮개(25)쪽으로 이동하여 소켓 덮개(25)의 경사면(25b)을 타고 소켓 덮개(25)의 본체(25a) 위로 올라간다. 이때, 하부로드(115)가 상승하여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내의 상부 스프링(116b)은 스프링 세퍼레이터(115a)에 의해 밀어올려져 압축된다.
도 5의 (c) 및 도 7을 참조하면,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2차 잠금시(즉, 닫힌 후 잠기기 직전의 상태), 하부로드(115)의 하단부(즉, 하부 끝부분)는 더 이동하여 소켓 덮개(25)의 소켓 삽입구(ph) 위로 올라간다. 이때, 하부로드(115)가 먼지막이 소켓(21~24)의 상부 덮개(22)를 밀어내림에 따라 스프링(23)이 압축된다. 결과적으로, 하부로드(115)가 먼지막이 소켓(21~24)의 본체(2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이 열린 상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개방시(즉, 열린 상태), 핸들(hd1, hd2)이 하향 경사지게(예를 들어, 45도 하방으로) 위치하고, 상부로드(113, 123)의 상단부(즉, 상부 끝부분)는 상부로드 잠금유닛(10)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로드(115, 125)의 하단부(즉, 하부 끝부분)는 하부로드 잠금유닛(20)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개방시(즉, 열린 상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내의 하부 스프링(114c, 124c)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 내의 상부 스프링(116b, 126b)도 이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내의 상부 스프링(114b, 124b)과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 내의 하부 스프링(116c, 126c)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부분적으로 수축되거나 완전히 이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이 닫히기 직전의 상태>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1차 잠금시(즉, 닫히기 직전 상태), 상부로드(113, 123)의 상단부(즉, 상부 끝부분)가 상부로드 잠금유닛(10)과 접촉하여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로드(116, 126)의 하단부(즉, 하부 끝부분)는 하부로드 잠금유닛(20)과 접촉하여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핸들(hd1, hd2)은 원위치로부터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1차 잠금시(즉, 닫히기 직전 상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내의 상부 스프링(114b, 124b)이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되 하부 스프링(114c, 124c)은 스프링 세퍼레이터(113a, 123a)에 의해 밀어내려져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 내의 하부 스프링(116c, 126c)도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부 스프링(116b, 126b)은 스프링 세퍼레이터(115a, 125a)에 의해 밀어올려져 압축될 수 있다.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이 닫힌 후 잠기기 전의 상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2차 잠금시(닫힌 후 잠기기 전의 상태), 상부로드(113, 123)의 상단부(즉, 상부 끝부분)가 상부로드 잠금유닛(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로드(116, 126)의 하단부는 하부로드 잠금유닛(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핸들(hd1, hd2)은 상승하여 원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2차 잠금시(닫힌 후 잠기기 전의 상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내의 하부 스프링(114c, 124c)이 이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내의 상부 스프링(114b, 124b)은 압축되었다가 이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로드(113, 123)가 부드게 상승했다가 부드럽게 하강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에 무리가 가지 않아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만일, 상부 스프링(114b, 124b)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로드(113, 123)가 급작스럽게 상승했다가 급작스럽게 하강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에 상당한 무리가 가게 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스프링(114b, 124b)의 탄성력이 하부 스프링(114c, 124c)의 탄성력 보다 클 경우에는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2차 잠금 시도시(닫힌 후 잠기기 전의 상태 시도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내의 하부 스프링(114c, 124c)이 충분히 이완되지 않아 상부로드(113, 123)의 상단부(즉, 상부 끝부분)가 상부로드 잠금유닛(1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이 닫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 내의 상부 스프링(116b, 126b)도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 내의 하부 스프링(116c, 126c)은 압축되었다가 이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로드(115, 125)가 부드게 하강했다가 부드럽게 상승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에 무리가 가지 않아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만일, 하부 스프링(116c, 126c)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로드(115, 125)가 급작스럽게 하강했다가 급작스럽게 상승하게 되어 장기간 사용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에 상당한 무리가 가게 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스프링(116c, 126c)의 탄성력이 상부 스프링(116b, 126b)의 탄성력 보다 클 경우에는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2차 잠금 시도시(닫힌 후 잠기기 전의 상태 시도시),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 내의 상부 스프링(116b, 126b)이 충분히 이완되지 않아 하부로드(115, 125)의 하단부(즉, 하부 끝부분)가 하부로드 잠금유닛(2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이 닫히지 않을 수 있다.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이 닫힌 후 잠긴 상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3차 잠금시(닫힌 후 잠긴 상태), 핸들(hd1, hd2)이 원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로드(113, 123)의 상단부는 상부로드 잠금유닛(10)의 내부로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하부로드(115, 125)의 하단부는 하부로드 잠금유닛(20)의 내부로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부로드(113, 123)와 하부로드(115, 125)는 상술한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3차 잠금시(닫힌 후 잠긴 상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내의 상부 스프링(114b, 124b)이 압축되되 하부 스프링(114c, 124c)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 내의 하부 스프링(116c, 126c)은 압축되되 상부 스프링(116b, 126b)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이 잠금 해제된 상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잠금 해제시, 핸들(hd1, hd2)이 원위치 아래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로드(113, 123)의 상단부는 상술한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상부로드 잠금유닛(10)과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하부로드(115, 125)의 하단부는 상술한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하부로드 잠금유닛(20)과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로드(115, 125)의 하단부가 상술한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먼지막이 소켓(21~24)의 상부 덮개(22)가 원위치로 상승하고 스프링(23)이 이완됨으로써, 하부로드(115, 125)의 하단부가 먼지막이 소켓(21~24) 위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잠금 해제시, 핸들(hd1, hd2)이 원위치 아래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고,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4, 124) 내의 상부 스프링(114b, 124b)은 이완되되 하부 스프링(114c, 124c)은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116, 126) 내의 하부 스프링(116c, 126c)도 이완되되 상부 스프링(116b, 1266b)은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밀폐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밀폐유닛(30)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밀폐유닛(30)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폐쇄시,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배면을 지지하여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후진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하부 틈새를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하부 밀폐유닛(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배면에 설치된 하부 밀폐유닛(3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배면에도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하부 밀폐유닛(3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밀폐유닛(30)은 하부 콘크리트(BC)를 덮도록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밀폐유닛(30)은 내부에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은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설치, 유지보수 및 철거시 작업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밀폐유닛(30)은 지지부재(31), 덮개부재(32), 상부 마감캡(33), 웨지 앙카(wedge anchor)(34) 및 코킹층(CK)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1)는 하부 콘크리트(BC)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ㄴ”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1)는 앙카 체결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32)는 지지부재(31)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변형된 “ㄱ”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재(32)는 일단부가 하부 콘크리트(BC)와 접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32)는 상기 중공과 연통된 상부 관통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관통홀(h1)은 상기 중공과 마찬가지로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설치, 유지보수 및 철거시 작업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31) 위에 덮개부재(32)가 배치됨으로써 종방향으로는 개방되고 횡방향으로는 밀폐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마감캡(33)은 상부 관통홀(h1)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마감캡(33)은 먼지 및 이물질이 하부 밀폐유닛(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설치, 유지보수 및 철거시에는 제거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웨지 앙카(34)는 지지부재(31) 및 덮개부재(32)가 하부 콘크리트(BC)상에 설치된 후, 덮개부재(32)의 상부 관통홀(h1)을 통해 하부 밀폐유닛(30)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 콘크리트(BC)에 수직으로 체결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31) 및 이에 결합된 덮개부재(32)가 웨지 앙카(34)를 매개로 하여 모두 하부 콘크리트(BC)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지 앙카(34)를 사용하여 지지부재(31) 및 덮개부재(32)를 하부 콘크리트(BC)에 결합하는 방식은 무용접 방식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무용접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용접작업 진행시 발생할 수 있는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폭겸용 방화문(110)을 설치하려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의 내부에 가스보관 용기가 존재하고 가스 누출이 있는 경우,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용접 불꽃으로 인해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밀폐유닛(30)을 하부 콘크리트(BC)로부터 철거할 경우에도, 용접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그라인딩 작업 등에 따른 화재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코킹층(CK)은 웨지 앙카(34)를 하부 콘크리트(BC)에 체결한 후, 웨지 앙카(34)와 하부 콘크리트(BC) 사이의 틈새는 물론 웨지 앙카(34)의 헤드 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유지보수 및 철거시에는 먼저 상부 마감캡(33)을 제거하고, 상부 관통홀(h1)을 통해 작업도구를 삽입하여 코킹층(CK)을 제거한 후, 웨지 앙카(34)를 하부 콘크리트(BC)로부터 분리하는 순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밀폐시,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실링재(117)가 하부 밀폐유닛(30)의 일면(즉, 전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밀폐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부 밀폐유닛(40)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측부 밀폐유닛(40)은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측면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폐쇄시, 방폭겸용 방화문(110, 120)의 측부 틈새를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측부 밀폐유닛(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측면에 설치된 측부 밀폐유닛(4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방폭겸용 방화문(110)의 측면에도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측부 밀폐유닛(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측부 밀폐유닛(40)은 측부 콘크리트(SC)를 덮도록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부 밀폐유닛(40)은 내부에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은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설치, 유지보수 및 철거시 작업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부 밀폐유닛(40)은 지지부재(41), 덮개부재(42), 측부 마감캡(43), 웨지 앙카(wedge anchor)(44) 및 코킹층(CK)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1)는 측부 콘크리트(SC)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I”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1)는 앙카 체결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재(42)는 지지부재(41)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변형된 “M”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재(42)는 일단부가 측부 콘크리트(SC)의 서로 인접한 두 면을 감싸고 타단부가 지지부재(41)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42)가 측부 콘크리트(SC)의 서로 인접한 두면을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 폭발시 벽체(즉, 측부 콘크리트(SC))가 부서지지 않는 한 방폭겸용 방화문(110)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42)는 상기 중공과 연통된 측부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 관통홀(h2)은 상기 중공과 마찬가지로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설치, 유지보수 및 철거시 작업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지부재(41) 위에 덮개부재(42)가 배치됨으로써 종방향으로는 개방되고 횡방향으로는 밀폐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부 마감캡(43)은 측부 관통홀(h2)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부 마감캡(43)은 먼지 및 이물질이 측부 밀폐유닛(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설치, 유지보수 및 철거시에는 제거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웨지 앙카(44)는 지지부재(41) 및 덮개부재(42)가 측부 콘크리트(SC)상에 설치된 후, 덮개부재(42)의 측부 관통홀(h2)을 통해 측부 밀폐유닛(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측부 콘크리트(SC)에 수직으로 체결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41) 및 이에 결합된 덮개부재(42)가 웨지 앙카(44)를 매개로 하여 모두 측부 콘크리트(SC)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웨지 앙카(44)를 사용하여 지지부재(41) 및 덮개부재(42)를 측부 콘크리트(SC)에 결합하는 방식은 무용접 방식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무용접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용접작업 진행시 발생할 수 있는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폭겸용 방화문(120)을 설치하려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의 내부에 가스보관 용기가 존재하고 가스 누출이 있을 경우,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용접 불꽃으로 인해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측부 밀폐유닛(40)을 측부 콘크리트(SC)로부터 철거할 경우에도, 용접 부위가 있는 경우에는 그라인딩 작업 등에 따른 화재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코킹층(CK)은 웨지 앙카(44)를 측부 콘크리트(SC)에 체결한 후, 웨지 앙카(44)와 측부 콘크리트(SC) 사이의 틈새는 물론 웨지 앙카(44)의 헤드 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유지보수 및 철거시에는 먼저 측부 마감캡(43)을 제거하고, 측부 관통홀(h2)을 통해 작업도구를 삽입하여 코킹층(CK)을 제거한 후, 웨지 앙카(44)를 측부 콘크리트(SC)로부터 분리하는 순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밀폐시, 방폭겸용 방화문(120)의 실링재(127)가 측부 밀폐유닛(40)의 일면(즉, 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은 가스 폭발 및 화재상황에 동시에 대응할 수 있어서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으며, 벽체 형성 후 시공할 수 있는 방식이어서 향후 수정 및 노후화 교체에 따른 시공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상부로드 잠금유닛 20: 하부로드 잠금유닛
21: 본체 22: 상부 덮개
23: 스프링 24: 지지체
25: 소켓 덮개 30: 하부 밀폐유닛
31, 41: 지지부재 32, 42: 덮개부재
33, 43: 마감캡 34, 44: 웨지 앙카
40: 측부 밀폐유닛 100: 방폭겸용 방화문
110, 120: 일측 방화문 111, 121: 본체
121: 잠금장치 몸체 112, 122: 돌쩌귀
113, 123: 상부로드 115, 125: 하부로드
113a, 115a, 123a, 125a: 스프링 세퍼레이터
114, 116, 124, 126: 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114a, 124a, 116a, 126a: 로드 하우징
114b, 124b, 116b, 126b: 상부 스프링
114c, 124c, 116c, 126c: 하부 스프링
116, 126: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117: 실링재 118: 단열재
gd1, gd2: 로드 가이드 C11, C12, C13, C21, C22: 연결바
TC: 상부 콘크리트 BC: 바닥 콘크리트
SC: 측부 콘크리트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방폭겸용 방화문;
    상부 콘크리트;
    하부 콘크리트;
    측부 콘크리트;
    상기 상부 콘크리트에 매립된 상부로드 잠금유닛;
    상기 하부 콘크리트에 매립된 하부로드 잠금유닛;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배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폐쇄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후진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하부 틈새를 막도록 구성된 하부 밀폐유닛; 및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측면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폐쇄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측부 틈새를 막도록 구성된 측부 밀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은 상기 측부 콘크리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은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단열재 및 실링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수직으로 배치된 상부 로드;
    상기 상부로드의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하부 로드;
    상기 상부 로드 및 상기 하부 로드 사이에 이들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를 동시에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핸들;
    상기 상부 로드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및
    상기 하부 로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각 로드의 단부는 스프링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 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은 상기 각 로드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로드 하우징, 상기 스프링 세퍼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세퍼레이터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은 상기 하부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 스프링의 탄성력 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은 상기 상부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하부 스프링의 탄성력 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로드가 잠금위치로 이동할 경우 상기 각 로드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위치고정되게 하고, 상기 핸들의 추가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로드가 상기 잠금위치에서 해제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도록 구성된 로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밀폐유닛은 상기 하부 콘크리트를 덮도록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과 연통된 상부 관통홀, 상기 상부 관통홀을 덮도록 배치된 상부 마감캡 및 상기 상부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체결된 웨지 앙카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밀폐유닛은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일 측면에 상기 측부 콘크리트를 덮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과 연통된 측부 관통홀, 상기 측부 관통홀을 덮도록 배치된 측부 마감캡 및 상기 측부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측부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체결된 웨지 앙카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개방시, 상기 핸들은 하향 경사지게 위치하고,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개방시,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도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1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과 접촉하여 하강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과 접촉하여 상승하고, 상기 핸들은 원위치로부터 하강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1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되 하부 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부 스프링은 압축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2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핸들은 상승하여 원위치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2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도 이완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3차 잠금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의 내부로 추가로 삽입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의 내부로 추가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로드와 상기 하부로드는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3차 잠금시,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은 압축되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압축되되 상부 스프링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 아래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고,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는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과 분리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 아래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고, 상기 상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상부 스프링은 이완되되 하부 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하부로드 승하강 조절유닛 내의 하부 스프링은 이완되되 상부 스프링은 압축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드 잠금유닛은 상기 상부로드의 상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2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로드 잠금유닛은 먼지막이 소켓 및 소켓 덮개를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막이 소켓은 하부 내벽에 암나사산을 갖는 원통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고정되도록 구성된 상부 덮개, 상부 외벽에 수나사산을 가지며 상기 본체 내부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지지체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3차 잠금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로부터 상승하여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상기 먼지막이 소켓의 상기 상부 덮개를 밀어내려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킨 후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잠금 해제시, 상기 핸들은 원위치 아래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하고, 상기 하부로드의 하단부는 로드 고정부재에 의해 잠금해제되어 상기 먼지막이 소켓의 상기 상부 덮개가 원위치로 상승하고 상기 스프링이 이완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26. 삭제
  27. 삭제
  2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밀폐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실링재가 상기 하부 밀폐유닛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29. 삭제
  30. 삭제
  3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밀폐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의 실링재가 상기 측부 밀폐유닛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3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는 수평으로 배치된 것으로, 상기 구동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로드 및 상기 하부로드의 승하강과 동시에 수평으로 좌우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 중간 로드를 더 포함하는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KR1020200121801A 2020-09-21 2020-09-21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KR102268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801A KR102268627B1 (ko) 2020-09-21 2020-09-21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801A KR102268627B1 (ko) 2020-09-21 2020-09-21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627B1 true KR102268627B1 (ko) 2021-06-23

Family

ID=7659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801A KR102268627B1 (ko) 2020-09-21 2020-09-21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6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784A (ko) * 1998-02-12 1999-09-06 모종삼 방폭문
KR20090069574A (ko) * 2007-12-26 2009-07-01 이예명 출입문 고정용 먼지막이소켓
JP2010121417A (ja) * 2008-11-21 2010-06-03 Is:Kk 改装ドア
KR20120002564U (ko) * 2010-10-05 2012-04-16 강동신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585378B1 (ko) * 2015-05-18 2016-01-22 김정호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20200088046A (ko) * 2019-01-14 2020-07-22 최삼성 방호문의 잠금구조
KR102136299B1 (ko) * 2018-12-13 2020-07-22 (주)세광 철도 터널의 방화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784A (ko) * 1998-02-12 1999-09-06 모종삼 방폭문
KR20090069574A (ko) * 2007-12-26 2009-07-01 이예명 출입문 고정용 먼지막이소켓
JP2010121417A (ja) * 2008-11-21 2010-06-03 Is:Kk 改装ドア
KR20120002564U (ko) * 2010-10-05 2012-04-16 강동신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585378B1 (ko) * 2015-05-18 2016-01-22 김정호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2136299B1 (ko) * 2018-12-13 2020-07-22 (주)세광 철도 터널의 방화문 잠금장치
KR20200088046A (ko) * 2019-01-14 2020-07-22 최삼성 방호문의 잠금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0646B2 (en) Sliding door assembly allowing for varying performance and threshold heights
KR102268627B1 (ko)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US9318883B2 (en) Sealed doors, enclosures, and methods adapted for use with electrical arc-prone components
KR101402203B1 (ko) 슬라이딩 방폭문의 레일구조
KR20200088046A (ko) 방호문의 잠금구조
US5950376A (en) Fireproofing
CN110445070A (zh) 一种高压紧凑型电机用防爆主接线盒
CN213510267U (zh) 一种双扇防护密闭门
KR102354966B1 (ko) 방폭겸용 방화문용 잠금장치, 방폭겸용 방화문 및 방폭겸용 방화 구조물
KR102031880B1 (ko) 방화문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KR102401791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US8549795B1 (en) High security blast door lock and seal
KR20220000315A (ko) 내진형 다중 창호 시스템
EP1870544A1 (en) Lock and associated key
CN111075506A (zh) 一种连接稳固的矿山机电专用泄爆门
KR102047190B1 (ko) 방폭 도어
JP7151005B2 (ja) 浸水防止防護密閉扉の性能テスト用の総合試験プラットフォーム
CN220522367U (zh) 一种地铁区间出入口防护密闭隔断门
CN215632591U (zh) 一种钢木防火门
CN217789099U (zh) 一种新型箱式开关柜机械闭锁装置
KR102500515B1 (ko) 엄체호 기밀 유지를 위한 방탄도어 어셈블리
CN211692171U (zh) 单扇防护防火密闭门
KR100906990B1 (ko) 탄성력 조절장치
CN217106725U (zh) 一种电驱动抗爆门
KR102452132B1 (ko) 이중가스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