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608B1 -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608B1
KR102264608B1 KR1020210030236A KR20210030236A KR102264608B1 KR 102264608 B1 KR102264608 B1 KR 102264608B1 KR 1020210030236 A KR1020210030236 A KR 1020210030236A KR 20210030236 A KR20210030236 A KR 20210030236A KR 102264608 B1 KR102264608 B1 KR 102264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ppetite
oral spray
ephed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안
Original Assignee
이홍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안 filed Critical 이홍안
Priority to KR102021003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황 추출물, 황련 추출물, 치자 추출물, 시호 추출물, 및 식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욕억제 조성물은 구강 스프레이로 적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식욕억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입마름 증상이 적어 복용 순응도가 높은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Oral spray composition for suppressing appetite containing Ephedra sinica extract}
본 발명은 마황 추출물, 황련 추출물, 치자 추출물, 시호 추출물, 및 식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욕억제 조성물은 구강 스프레이로 적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식욕억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입마름 증상이 적어 복용 순응도가 높은 장점을 갖는다.
마황(Ephedra sinica)은 마황과(Ephedraceae) 식물로, 가을에 목질화되지 않은 줄기를 베어 말려서 사용한다. 마황은 한방에서 감기, 천식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약리적 성분으로서 에페드린, N-메틸에페드린, 노르에페드린, 벤질메틸아민 및 터피네올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황은 다량 섭취하는 경우 혈압 상승이나 입마름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나, 적절히 사용하면 섭취하거나 피부 및 점막 등에 적용하여도 안전하여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한방 제제에 치료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황련(黃連, Coptis Chinensi)은 중국 원산이며 생약용으로 한국·일본·중국 등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산지의 수림 그늘의 습진 땅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줄기와 땅속줄기의 단면이 짙은 황색인 데서 황련이라 불린다. 한방에서는 11월경에, 재식 5년 이상 된 황련·왜황련의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하고, 건위·진정·소염·항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Ellis)의 열매로 국내를 비롯한 중국, 일본 및 대만 등의 기온이 따뜻한 지방에 자생하고 있으며, 게니포시드(geniposide), 크로신(crocin) 등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체내에서 ROS 및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할 수 있는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호(Bupleurum falcatum)는 “북시호” 또는 “묏미나리”라고도 불리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보통 풀밭에서 자라고 평균적으로 높이 40 cm 이상 생장하고, 포기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늘고 긴 줄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맥은 평행하다. 시호의 뿌리에는 사포닌과 지방유 등이 들어 있어 뿌리를 주로 약재로 사용하고, 한방에서 해열·진통·강장제나 호흡기·소화기·순환기 질환에 약재로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방풍(植防風,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은 산형과의 갯기름나물의 뿌리를 말하고, 식용이 가능하며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이 달아 식품 소재로 주로 쓰인다. 한의학에서는 일체의 풍증을 제거하며 진통억제, 경련발작 및 근육경련 억제,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등에 사용하며 약리작용으로 해열작용,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및 비만유도 실험동물에서의 혈중 중성지방 억제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5686호는 마황을 함유하는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를 개시한다. 그러나 마황 외에 함유되는 약재는 숙지황, 의이인, 형개, 박하, 감초, 독활, 주증대황, 및 창출로, 마황 외에 황련, 치자, 시호, 및 식방풍을 식욕억제용 성분으로서 개시하지 않는다.
일 양상은 마황 추출물, 황련 추출물, 치자 추출물, 시호 추출물, 및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억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마황, 황련, 치자, 시호, 및 식방풍을 용매에 넣고 100℃ 내지 130℃로 가열하여 농축시켜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담체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마황 추출물, 황련 추출물, 치자 추출물, 시호 추출물, 및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억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황 추출물은 목질화되지 않은 줄기를 베어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건조물 400g을 기준으로 용매 8 내지 12L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8 내지 12배 농축하면서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황련 추출물은 줄기를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건조물 100g을 기준으로 용매 8 내지 12L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8 내지 12배 농축하면서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자 추출물은 열매를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건조물 100g을 기준으로 용매 8 내지 12L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8 내지 12배 농축하면서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시호 추출물은 줄기와 잎을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건조물 200g을 기준으로 용매 8 내지 12L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8 내지 12배 농축하면서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방풍 추출물은 뿌리를 말린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건조물 200g을 기준으로 용매 8 내지 12L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8 내지 12배 농축하면서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각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각 건조물을 첨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용매 10L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10배 농축하면서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상기 마황 추출물, 황련 추출물, 치자 추출물, 시호 추출물, 및 식방풍의 추출물은 중량비로, 4:1:1:2:2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재인 상기 마황, 황련, 치자, 시호, 및 식방풍을 상기 중량비로 혼합하여 건조물로서 약재 1kg을 기준으로 용매를 10L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추출물의 부피가 1L가 될 때까지, 10배 농축하면서 추출한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의 유효 성분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구강 스프레이용일 수 있다.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을 구강 스프레이로 사용하는 경우, 15 내지 25 배, 바람직하게는 20배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농축된 추출물 5g에 물을 혼합하여 100g의 용액이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마황과 같이 고함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성분을 함유한다. 따라서 구강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입마름 증상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히 농축된 추출물을 충분히 희석하되 약효를 발휘할 수 있는 정도로만 희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식욕억제 조성물은 각 약재의 열 추출물을 8 내지 12배 농축하여 이를 물에 혼합하여 약 15 내지 25배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경우, 약재의 유효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어 조성물 내에 잔존하고, 그 함량이 사용하기에 불편감을 유발할 정도로 입마름이 강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총합 3 내지 10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w/w%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추출물의 총함량이 3 w/w% 미만인 경우 식욕억제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고, 10 w/w%를 초과하는 경우 입마름, 혈압상승, 심박수 증가 등과 같은 교감신경이 과하게 활성화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우려된다.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구강 스프레이로 사용하는 경우, 글리세린 및 물을 중량비로 1: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 3 내지 4로 혼합한 용액에 상기 추출물을 총합 3 내지 10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w/w%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욕억제 조성물은 마황 추출물에 황련 추출물, 치자 추출물, 시호 추출물, 및 식방풍 추출물이 조합되어 식욕억제 효과는 강하고 입마름이 적은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용매를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희석시켜 사용하는 경우 입마름 증상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구강 스프레이로 사용하는 경우, 당류를 0.5 내지 1.5 w/w%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당 및 당알코올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만니톨, 말티톨, 수크로오스, 자일리톨, 프럭토스, 스테비아, 알룰로오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강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당류를 더 포함하는 경우, 약재의 특유의 향미를 마스킹하여 기호도가 높아지고, 당류의 알코올기가 물과 결합하는 성질이 강하고, 조직 결합력도 높으므로 입마름을 감소시키고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의 구강 내 잔류 시간을 증가시켜 서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구강 스프레이로 사용하는 경우, 키토산을 0.5 내지 1.5 w/w%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키토산은 구강 스프레이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도록 6 내지 10 kDa,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kDa의 저분자량 키토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키토산의 함량이 0.5 w/w% 미만인 경우, 입마름 개선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고, 1.5 w/w%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구강 스프레이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마황, 황련, 치자, 시호, 및 식방풍을 용매에 넣고 100℃ 내지 130℃로 가열하여 용액을 8 내지 12배로 농축하는 단계; 및 농축된 추출물을 총합 3 내지 10w/w%로 담체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상기 담체는 농축된 용액을 구강에 불편감 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과 같은 알코올류, 콩기름, 카놀라유, 피마자유 등과 같은 오일류, 글리세린, 글리콜류 등 약제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과 글리세린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구강 스프레이용 식욕억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을 구강 스프레이에 적용하는 경우, 맛, 향 및 청량감이 개선되어 분무 시 투약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알코올, 감미제, 완충제, 방향제 및 착향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설탕, 프락토 올리고당, 자일리톨, 말토덱스트린,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추출물(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올리고당, 소르비톨(sorbitol), 과당, 꿀, 엿기름, 물엿, 요리당, L-글루타민산, L-글루타민산나트륨, 사카린(saccharin), 사카린나트륨, 구연산,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젖산, 아디핀산, 푸마르산, 푸마르산 나트륨, 감자 추출물(피로즐친), 감초 추출물(glycyrrhetenic acid), 타강카 추출물(monellin), 타우마틴(thaumatin), 아세설팜(acesulfame), 둘신, 시클라민산나트륨(cyclamate sodium), 글루시톨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완충제는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삼나트륨, 시트르산 및 시트르산나트륨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향제 또는 착향제는 향을 유발하여 복용 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L-멘톨, DL-캄파, 유칼립톨, 페퍼민트 오일, 로즈마리 오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강에 분무 형식으로 투여되는 본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식욕억제 또는 체중조절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나, 다이어트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식욕억제 조성물은 천연 약재를 사용하여 화합물 기반의 식욕억제제에 비해 안전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구강에 분사하는 경우 혀와 점막에서 흡수된 후 미각 세포와 미주신경을 거쳐 대뇌 시상하부로 약물이 곧바로 전달되어 식욕억제중추를 자극함에 따라 식욕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식전이나 식욕이 강해질 때에 구강에 쉽게 분사하여 빠른 시간 내에 식욕억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욕억제 조성물은 식욕억제 효과가 뛰어나면서 입마름 효과가 적은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복용 순응도가 높다.
다른 양상에 따른 식욕억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식욕억제 조성물에 함유된 각 약재의 성분을 충분히 용출할 수 있고, 구강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도록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조예 1] 식욕억제 스프레이의 제조
마황은 목질화되지 않은 줄기를 베어 말린 것, 황련은 줄기를 말린 것, 치자는 열매를 말린 것, 시호는 줄기와 잎을 말린 것, 식방풍은 뿌리를 말린 것, 숙지황은 뿌리를 쪄서 말린 것을 사용하였다. 각 약재를 하기의 표 1과 같은 중량비로 총 중량 1kg을 약탕기에 넣고 물을 10L 부어 준 다음, 추출물의 부피가 1L가 될 때까지 100℃ 내지 130℃에서 계속 끓여 주었다. 추출물의 부피가 1L가 되면 고형물을 여과하여 버리고, 여과된 농축액 5g에 물 95g을 혼합하여 총 100 g의 용액으로 하고 이를 스프레이 통에 담은 후 사용하였다.
(중량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마황 4 4 4 4 4
황련 1 - 1 1 1
치자 1 - 1 1 1
시호 2 2 - 4 -
식방풍 2 2 4 - -
숙지황 - - - - 4
[제조예 2] 구강 스프레이의 제조
(1) 실시예 6
구강용 스프레이로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농축액 5g에 글리세린 20g, 및 스테비아 가루 1g을 넣고 물을 넣어 100g로 맞추었다. 이를 스프레이 통에 담은 후 사용하였다.
(2) 실시예 7
구강용 스프레이로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농축액 5g에 글리세린 20g, 스테비아 가루 1g, 및 키토산 (평균 분자량 8kDa) 1g을 넣고 물을 넣어 100g로 맞추었다. 이를 스프레이 통에 담은 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시험은 전체적으로 한 달 동안 진행되었다. 남자 성인 10명과 여자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패널에게 시험 약물을 사용하기 전 일주일 동안 자신의 하루 중 주기적인 식사, 야식, 간식 섭취 횟수 등을 고체식품과 액체식품을 모두 더하여 기록하도록 하고, 매일 일정한 시간에 몸무게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모든 패널의 일주일 간 몸무게 변화량은 3% 미만이었다.
그런 다음, 각 시험 약물을 나눠주고 주기적인 식사 시간의 식전 30분 전과 식욕이 발생할 때에 자유롭게 구강에 3회 연속 분사하여 뿌리도록 하되, 1일 4회 까지만 사용하도록 하였다. 운동량이나 음주량 등은 평소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였고, 식사 종류나 기호 식품의 소비에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았다. 다만 특정 시간에 측정한 몸무게와 식사 횟수 및 식사량 관련 특이사항을 매일 기록하도록 하였다. 3주 간 구강 분사 시험을 진행한 후, 설문지를 나눠주고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고, 몸무게와 식사 횟수 등을 종합하여 평균을 내었다. 설문지는 입마름에 대해서도 평가하도록 하였는데, 마황의 성분에 의해 입마름이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로 인한 불편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설문지의 점수 평가 방법은 하기의 표 2와 같다.
점수 5 4 3 2 1
몸무게 감소 5% 이상 감소 5% 미만 감소 3% 미만 증가 또는 감소 5% 미만 증가 5% 이상 증가
식욕억제 일주일 4식 이상 감소하거나, 식욕 감소를 강하게 느낌 일주일 4식 미만 감소하거나, 식욕 감소를 느낌 변화 없음 일주일 4식 미만 증가하거나, 식욕 감소를 느끼지 못함 일주일 4식 이상 증가하거나, 오히려 식욕 증가를 느낌
입마름 매우 강하게 느끼고 매우 불편함 강하게 느끼고 불편함 어느 정도 느끼고 약간 불편함 약간 느껴지지만 불편하지 않음 못느낌
상기 설문지 점수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된 점수를 평균을 내어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몸무게 4.5 4.2 3.3 3.3 3.2
식욕억제 4.2 3.8 3.2 3.5 3.0
입마름 2.6 3.9 2.6 3.2 2.3
그 결과, 마황, 시호, 식방풍, 황련, 및 치자가 모두 포함된 실시예 1의 경우, 가장 우수한 몸무게 감소와 식욕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는 몸무게 감소와 식욕 억제 효과를 어느 정도 나타내었지만, 입마름 증상도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과 실시예 5는 입마름 증상은 없는 편이나, 몸무게 감소와 식욕 억제 효과가 다른 실시예에 비해 다소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험예 2] 구강 스프레이의 제형 시험
실시예 1의 경우, 다른 실시예에 비해 입마름 증상이 강한 편은 아니지만, 스프레이의 제형을 변경한 경우 입마름 증상이 개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 실시예 1을 적용한 패널 6명에게 한 명당 실시예 1, 6, 및 7을 모두 나눠 주고, 각 시험 약물을 매일 바꿔가며 사용하되 1일 4회까지만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각 실시예를 사용한 날에 입마름 증상에 평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6 실시예 7
입마름 2.7 2.3 1.9
그 결과, 실시예 6 및 7의 경우 입마름이 단순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마황 추출물, 황련 추출물, 치자 추출물, 시호 추출물, 및 식방풍 추출물이 4:1:1:2:2의 중량비로 혼합된 추출물을 총 중량의 3 내지 10w/w%로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용 식욕억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물을 중량비로 1: 1 내지 4로 혼합한 용액에 상기 추출물을 총합 3 내지 10%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당류를 0.5 내지 1.5 w/w%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키토산을 0.5 내지 1.5 w/w%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8. 마황, 황련, 치자, 시호, 및 식방풍을 용매에 넣고 100℃ 내지 130℃로 가열하여 용액을 8 내지 12배로 농축하면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농축된 추출물을 총합 3 내지 10 w/w%로 담체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용 식욕억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식욕억제 조성물은 구강 스프레이용인 것인 제조방법.


KR1020210030236A 2021-03-08 2021-03-08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KR10226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36A KR102264608B1 (ko) 2021-03-08 2021-03-08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236A KR102264608B1 (ko) 2021-03-08 2021-03-08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608B1 true KR102264608B1 (ko) 2021-06-11

Family

ID=7637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236A KR102264608B1 (ko) 2021-03-08 2021-03-08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6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299A (ko) * 2008-12-11 2010-06-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황, 석고 및 창출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다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130112480A (ko) * 2012-04-04 2013-10-14 이상헌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153B1 (ko) * 2019-11-07 2020-06-09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299A (ko) * 2008-12-11 2010-06-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황, 석고 및 창출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다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130112480A (ko) * 2012-04-04 2013-10-14 이상헌 식욕억제용 한방 구강붕해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21153B1 (ko) * 2019-11-07 2020-06-09 장승현 체중감량용 한약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한약환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lant Resources, 2016, 29(1), 1-10 *
오미진. 우석대학교 대학원 식품생명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02.)*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16, 29(1), 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WO20090796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blingual guarana administration
US10111451B2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03168883A (zh)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KR101771090B1 (ko) 식품원료로 분류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체온상승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74945B (zh) 一种针对吸烟者的清咽食品及其制备方法
CN101507800A (zh) 金线莲和南瓜复合降血糖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4873446A (zh) 一种含肉桂油的牙膏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US20080138384A1 (en) Oral hair growth stimulants comprising orthosiphon
CN111567797A (zh) 复方茉莉花茶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2264608B1 (ko) 마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욕 억제용 구강 스프레이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169747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37395B1 (ko) 알레르기성 비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3054B1 (ko) 국화 및 주증대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0063977B (zh) 一种党参、沙棘复合冲剂及其应用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13841854A (zh) 一种含姜黄提取物的食用槟榔的制备方法
KR101992174B1 (ko) 복합 한방약초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숙취 해소 및 간 보호용 정제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7707A (ko) 미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CN111296616A (zh) 一种含有植物提取物的口香糖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