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81B1 -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481B1
KR102263481B1 KR1020140014222A KR20140014222A KR102263481B1 KR 102263481 B1 KR102263481 B1 KR 102263481B1 KR 1020140014222 A KR1020140014222 A KR 1020140014222A KR 20140014222 A KR20140014222 A KR 20140014222A KR 102263481 B1 KR102263481 B1 KR 102263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unterpart device
user terminal
executed
conne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442A (ko
Inventor
박종찬
이강민
오석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481B1/ko
Priority to US14/597,467 priority patent/US9948979B2/en
Priority to PCT/KR2015/000492 priority patent/WO2015119389A1/en
Priority to EP15746498.3A priority patent/EP3103020B1/en
Publication of KR2015009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입력으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는, 컨텐츠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대방기기와 연결 가능한 통신부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송에 관한 복수의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에 손쉽고 간편한 입력을 통하여서 컨텐츠를 상대방기기로 전송/수신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공유를 위하여 전송방식의 설정, 연결방식의 설정과 같은 복잡하고 어려운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단말기의 컨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상대방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사용자단말기들은 다양한 연결방식 즉, 3G/LTE,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IR 등을 디바이스의 목적에 따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연결방식 별 제공되는 서비스 및 연결방식, 사용 방법들이 상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이용에 대한 불편함과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사용자단말기에서 상대방기기로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하거나 미러링(Mirroring) 시 비슷한 화면 전송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진입점과 연결 절차가 서로 매우 다르다.
도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단말기인 스마트폰에서 상대방기기인 스마트TV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연결방식을 선택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수 상대방기기를 검색하고, (b)검색된 상대방기기를 선택하며, (c) 스마트TV도 마찬가지로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연결방식을 켠 후, 컨텐츠의 허용/차단을 선택한다. (d)이에 컨텐츠가 스마트폰에서 스마트TV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렇듯, 여러 과정과 절차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와 상대방기기 간의 컨텐츠전송을 할 수 있으므로 전송과정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사용자와 알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모두 매우 불편하다.
또한, 사용자가 연결기술의 특성을 알아야 하고, 사전에 TV의 Source선택을 하거나 허용/차단 팝업을 중간에 제어하는 등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TV리모컨을 제어해야 하는데, 이런 번거로움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자단말기에서 스마트TV로 보내는데 방해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단말기인 스마트폰에서 상대방기기인 스마트TV로 화면을 미러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사용자는 스마트TV에서 리모컨으로 소정의 연결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로 들어가고, (b) 퀵판넬(Quick panel)에서 원하는 연결방식을 선택하여 설정하며, (c)스마트폰에서 연결 가능한 스마트폰 중 원하는 스마트폰을 선택하여, (d)미러링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의 미러링 과정은 스마트폰으로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능숙한 사용자의 경우도 불편함을 느낄 만큼 그 과정이 복잡한 불편함이 있다.
이에,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사용자단말기들을 통합 관리하고 연결방식 별 특장점을 활용하여 사용자단말기 간 연결 및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관리방법과 사용자단말기의 상황정보 및 화면에 대한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단말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방식의 선택 없이 사용자단말기의 컨텐츠를 상대방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는, 컨텐츠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대방기기와 연결 가능한 통신부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송에 관한 복수의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방송의 재생, 상기 컨텐츠의 표시 및 상기 컨텐츠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의 UI항목을 포함하는 바탕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속성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은, 트랜스퍼링(transferring),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방식은 상기 전송방식에 대응하도록 기설정되어 있으며,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파이(Wi-Fi Direct, Wireless-Fidelity Direct),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및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기기와 연결된 상기 연결방식이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과 다르면, 상기 상대방기기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방식을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대방기기에서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이 꺼져 있는 경우, 상기 상대방기기에서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을 켜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대방기기의 항목을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항목 중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할 상기 상대방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스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스쳐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 또는 수신할 상기 상대방기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쳐입력의 진행방향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방 에 위치한 상기 상대방기기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에서 각각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관련정보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기설정된 관련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의 상기 컨텐츠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컨텐츠를 상기 상대방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상대방기기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기기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상대방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컨텐츠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대방기기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송에 관한 복수의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중 하나의 상기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방송의 재생, 상기 컨텐츠의 표시 및 상기 컨텐츠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의 UI항목을 포함하는 바탕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속성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은, 트랜스퍼링(transferring),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전송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전송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방식은 상기 전송방식에 대응하도록 기설정되어 있으며,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파이(Wi-Fi Direct, Wireless-Fidelity Direct),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및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기기와 연결된 상기 연결방식이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과 다르면, 상기 상대방기기와 연결되는 연결방식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기기의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이 꺼져 있는 경우, 상기 상대방기기의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을 켜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대방기기의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항목 중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할 상기 상대방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스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스쳐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 또는 수신할 상기 상대방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방기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쳐입력의 진행방향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상대방기기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에서 각각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관련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설정된 관련정보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의 상기 컨텐츠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컨텐츠를 상기 상대방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기기가 상기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상대방기기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상대방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기기의 결정으로 사용자단말기의 컨텐츠를 전송하므로 사용자는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기의 상황 및 상태에 따라 전송방식을 결정하므로 컨텐츠 전송의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상대방기기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화면을 미러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상대방기기의 통신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상대방기기를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상대방기기로 화면을 미러링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상대방기기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대방기기를 제어하여 상대방기기에서 사용자단말기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며, 컨텐츠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대방기기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대방기기로 웹화면을 미러링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쳐와 AP를 이용하여 상대방기기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상대방기기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동작 중 상대방기기로 화면을 미러링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상대방기기로 전송방식 별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흐름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예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와 상대방기기의 조건에 대한 실행예시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입력부(130),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40) 또는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각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사용자단말기(1)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단말기(1)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11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복수의 제어장치로부터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 이외에,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명령, 데이터의 송수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처리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2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LCD, PDP, OLED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LCD패널, PDP패널, OLED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 및 색보정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패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한 구현 방식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의 입력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3)의 명령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100)가 색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컬러 패치와 색보정 상태 창 등을 포함한 색보정 과정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3)의 조작 및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단말기(1)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또는 입력 패널(panel)이나, 사용자단말기(1)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에 사용자(3)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터치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3)의 모션 및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3)의 모션은 터치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3)의 모션 및 음성을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3)의 모션 및 음성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단말기(1) 및 결정된 상대방기기(2)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송에 관한 복수의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결정하여,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 및 결정된 상대방기기(2) 간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는 도3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영상처리부(140), 저장부(150), UI생성부(160), 촬상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코딩된 소스영상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여 소스 영상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미도시) 및 디코딩된 소스영상을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버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어 사용자단말기(1)에 내장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수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소스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4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사용자단말기(1)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1)에 처리된 소스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단말기(1)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사용자(3)의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장부(15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컨텐츠를 표시/수행/편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단말기(1)의 식별부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UI생성부(160)는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동작하기 위한 UI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UI는 아이콘, 텍스트 등의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서브 UI를 포함하며, 사용자(3)가 사용자단말기(1)를 통해 특정 서브UI를 선택하면 선택된 서브UI에 대응하여 응용프로그램이 동작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서브UI는 사용자단말기(1)에서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을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 또는 이벤트 단위로 생성될 수 있다.
UI생성부(16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UI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적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어부(100)에 의해 그 기능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UI생성부(160)가 별도의 칩셋으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촬상부(170)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에 관한 방송의 재생, 컨텐츠의 표시 및 컨텐츠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의 UI항목을 포함하는 바탕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속성정보 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은, 트랜스퍼링(transferring),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에서 영화를 보고 있는 중에 상대방기기(2)로 영화를 전송하는 사용자입력이 있으며, 영화를 스트리밍, 미러링, 트랜스퍼링의 전송방식 중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될 수 있는 스트리밍 전송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결정된 전송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 간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 간 연결방식은 전송방식에 대응하도록 기설정되어 있으며,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파이(Wi-Fi Direct, Wireless-Fidelity Direct),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및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대방기기(2)와 연결된 연결방식이 결정된 연결방식과 다르면, 상대방기기(2)와 연결되는 연결방식을 결정된 연결방식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상대방기기(2)에서 결정된 연결방식이 꺼져 있는 경우, 상대방기기(2)에서 결정된 연결방식을 켜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기기(2)의 항목을 표시하며, 표시된 항목 중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할 상대방기기(2)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3)의 제스쳐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제스쳐입력에 대응하는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 또는 수신할 상대방기기(2)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3)의 제스쳐가 입력되면 사용자단말기(1)의 전방에 위치한 기기가 상대방기기(2)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상대방기기(2)로 선택될 수 있는 기기가 복수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결정될 수 있는 기기목록을 표시하여 사용자(3)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V에서의 리모컨과 같이 IR신호를 이용하므로 사용자단말기(1) 전방에 위치한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스쳐입력의 진행방향 및 사용자단말기(1)의 전방에 위치한 상대방기기(2)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전방에 위치한 기기로 제스쳐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보내므로 이에 대응하여 상대방기기(2)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에서 각각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관련정보인지를 판단하며, 기설정된 관련정보로 판단되면,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의 컨텐츠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기(1)가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고, 상대방기기(2)에서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단말기(1)에서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하는 경우, 전송된 이미지가 상대방기기(2)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이미지를 편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단말기(1)가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1)의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하며, 상대방기기(2)가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상대방기기(2)의 컨텐츠를 사용자단말기(1)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입력은 터치 앤 드래그, 제스쳐, 음성, 기설정된 아이콘의 터치, 버튼입력 등 다양한 입력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3)는 사용자단말기(1)의 화면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입력을 한다(S11).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된다(S12).
제어부(100)는 사용자단말기(1) 및 결정된 상대방기기(2)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전송에 관한 복수의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결정한다(S13).
제어부(100)는 결정된 전송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 간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한다(S1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3)는 사용자단말기(1)의 화면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입력을 한다(S21).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이 수신된다(S22).
제어부(100)는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기기(2)의 항목을 표시한다(S23). 여기서, S22와 S23은 사용자입력의 종류에 따라 그 순서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입력이 터치에 의한 드래그인 경우,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기기(2)의 항목을 표시한 후,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하기 위한 터치 앤 드래그가 수신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이 제스쳐인 경우,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하기 위한 제스쳐에 따라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상대방기기(2)의 항목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상대방기기(2)의 항목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에 대응하여 연결 가능한 상대방기기(2)를 결정한다(S24). 사용자입력이 터치 앤 드래그인 경우, 이미 상대방기기(2)가 결정되었을 것이며, 사용자(3)의 제스쳐인 경우, 제스쳐의 방향 또는 사용자단말기(1)의 전방에 위치한 기기를 상대방기기(2)로 결정한다.
상대방기기(2)가 결정되면,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S25).
사용자단말기(1) 및 결정된 상대방기기(2) 중 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트랜스퍼링(transferring),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 중 하나의 전송방식을 결정한다(S26).
결정된 전송방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결방식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방식을 결정한다(S27).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에서 각각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관련정보인지를 판단한다(S28).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에서 각각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관련정보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의 컨텐츠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를 포함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29).
기설정된 관련정보라는 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단말기(1)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면이 이미지이며, 상대방기기(2)의 화면에서 표시하고 있는 화면의 컨텐츠가 이미지를 편집하는 어플리케이션라면 사용자단말기(1)에서 상대방기기(2)로 이미지가 전송될 때 상대방기기(2)에서 실행되고 있는 이미지를 편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와 이미지를 편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기설정된 관련정보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후, 결정된 연결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 및 결정된 상대방기기(2) 간 컨텐츠를 전송한다(S30). 예를 들면, 컨텐츠를 스트리밍, 화면을 미러링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의 전송방식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S41, S42, S43단계는 도 6의 S24단계, S25, S26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상대방기기(2)와 연결된 연결방식이 결정된 연결방식과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44).
상대방기기(2)와 연결된 연결방식이 결정된 연결방식과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대방기기(2)에서 결정된 연결방식이 꺼져 있는지를 판단한다(S45).
상대방기기(2)에서 결정된 연결방식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대방기기(2)에서 결정된 연결방식이 켜지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46).
S45단계에서 상대방기기(2)에서 결정된 연결방식이 꺼져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S46단계에 이어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의 연결방식을 결정된 연결방식으로 변경한다(S47). 여기서,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의 연결방식을 변경할 수 없다면 변경 전 연결방식에 따라 결정된 연결방식과는 다른 기설정된 연결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S44단계에서 상대방기기(2)와 연결된 연결방식이 결정된 연결방식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고, S47단계에 이어 상대방기기(2)가 컨텐츠를 전송하는지를 판단한다(S48).
상대방기기(2)가 컨텐츠를 전송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대방기기(2)의 컨텐츠를 사용자단말기(1)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한다(S49).
상대방기기(2)가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S49단계에 이어 결정된 연결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 및 결정된 상대방기기(2) 간 컨텐츠를 전송한다(S5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상대방기기(2)를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a)는 사용자단말기(1)의 알림판(81)을 내림, (b) 연결 가능한 Wi-Fi, Wi-Fi Direct, Bluetooth 기기들의 아이콘(82, 83, 84)을 자동으로 검색, (c) 검색된 기기들을 연결 방식과 무관하게 표시, 중복 검색된 기기에 대해서는 1개만 표시, 리빙룸(living room)의 TV아이콘(82)이 표시됨, (d)검색된 기기들의 아이콘(82, 83, 84)을 표시한다. 여기서, 검색된 기기들은 사용자(3)의 입력(A)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상대방기기(2)로 화면을 미러링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a)는 사용자단말기(1)의 알림판(81)을 내림, (b) 연결 가능한 기기들의 아이콘(82, 83, 84) 중 리빙룸(living room)의 TV아이콘(82)이 상대방기기(2)를 선택, (c) 상대방기기(2)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가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며 사용자단말기(1)를 터치하여 상대방기기(2)의 방향으로 드래그를 함, (d)사용자단말기(1)의 화면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방식인 화면의 미러링이 결정되면, 미러링에 대응하는 연결방식인 와이파이다이렉트로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인 리빙룸(living room)의 TV(2)를 연결하도록 제어한 후 미러링이 수행된다. 여기서, 미러링이 완료되면 상대방기기(2)에는 사용자단말기(1)의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상대방기기(2)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a)는 사용자단말기(1)의 알림판(81)을 내림, (b) 연결 가능한 기기들의 아이콘(82, 83, 84) 중 리빙룸(living room)의 TV아이콘(82)을 상대방기기(2)로 선택, (c) 상대방기기(2)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가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며 사용자단말기(1)를 터치하여 상대방기기(2)의 방향으로 드래그를 함, (d)사용자단말기(1)의 화면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방식인 스트리밍이 결정되면, 스트리밍에 대응하는 연결방식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로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인 리빙룸(living room)의 TV(2)를 연결하도록 제어한 후 컨텐츠가 상대방기기(2)로 스트리밍된다. 여기서, 컨텐츠의 스트리밍이 완료되면 상대방기기(2)에는 사용자단말기(1)의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표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대방기기(2)를 제어하여 상대방기기(2)에서 사용자단말기(1)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며, 컨텐츠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a)는 사용자단말기(1)의 알림판(81)을 내림, (b) 연결 가능한 기기들의 아이콘(82, 83, 84) 중 리빙룸(living room)의 TV아이콘(82)을 상대방기기(2)로 선택, (c) 상대방기기(2)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가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며 상대방기기(2)를 터치하여 사용자단말기(1)의 방향으로 드래그를 함, (d)상대방기기(2)의 화면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방식인 스트리밍이 결정되면, 스트리밍에 대응하는 연결방식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로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인 리빙룸(living room)의 TV(2)를 연결하도록 제어한 후 컨텐츠가 사용자단말기(1)로 스트리밍되며, 상대방기기(2)에서 재생중인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①)가 일 영역(①)에 함께 표시된다. 여기서, 컨텐츠의 스트리밍이 완료되면 상대방기기(2)에는 사용자단말기(1)의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가 표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사용자(3)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대방기기(2)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스트리밍의 과정은 도9, 10, 11과 동일한 과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컨텐츠 재생 중 제스쳐(A)를 입력, (b)IR로 사용자단말기(1) 전방의 상대방기기(2)와 연결(B)하고 사용자단말기(1)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로 스트리밍한다. (c) 상대방기기(2)로 컨텐츠의 스트리밍이 완료되어 사용자단말기(1)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가 상대방기기(2)에서 재생되는 것이 도시되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사용자(3)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상대방기기(2)로 웹화면을 미러링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미러링의 과정은 도9, 10, 11과 동일한 과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사용자단말기(1)의 화면에 웹을 실행하고 있는 중 제스쳐(A)를 입력, (b)IR로 사용자단말기(1) 전방의 상대방기기(2)와 연결(B)하고 사용자단말기(1)의 웹화면을 상대방기기(2)로 미러링한다. (c) 상대방기기(2)로 웹화면의 미러링이 완료되어 사용자단말기(1)에 표시되고 있는 웹화면이 상대방기기(2)에서 표시되는 것이 도시되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사용자(3)의 제스쳐와 AP를 이용하여 상대방기기(2)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스트리밍의 과정은 도9, 10, 11과 동일한 과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접속단말기(미도시)인 AP(Acess Point)에 연결된 상대방기기(2)로 AP에 연결되지 않은 사용자단말기(1)가 사용자(3)의 제스쳐(A)를 통해 연결을 시도, (b)상대방기기(2)에 연결된 AP에 대한 정보(B)를 수신하여 AP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AP에 연결, (c)AP연결되면 AP를 통한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로 스트리밍한다. (d)알림판(81)을 내리면 상대방기기(2)와 함께 AP에 연결된 기기의아이콘(82, 83, 84)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상대방기기(2)로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동작 중 상대방기기(2)로 화면을 미러링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미 하나의 연결방식으로 연결되어 인증된 기기 간 또 다른 연결방식 연결을 필요로 하는 경우, 별도의 기기 탐색, 인증절차 없이 기기가 연결되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a)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장기기 간 DLNA기반으로 컨텐츠 스트리밍이 실행되고 있는 중 (b) 사용자(3)의 제스쳐(A)로 화면의 미러링을 실행하면 두 기기가 와이파이다이렉트(Wi-Fi Direct)의 연결방식이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c)Wi-Fi Direct의 연결을 위한 기기 검색절차와 연결 및 인증절차 없이 바로 화면의 미러링이 수행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상대방기기(2)로 전송방식 별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흐름도이다.
상대방기기(2)가 선택된다(S51).
컨텐츠의 전송/수신 방향을 선택한다(S52).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에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S53).
파악된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전송방식(트랜스퍼링(transferring), 미러링(mirroring), 스트리밍(streaming))을 결정한다(S54).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하는 경우(S55a), 네트워크상태 확인하고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 간 연결방식을 연결한다(S56a).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의 스트리밍을 준비한다(S57a). 사용자단말기(1) 및 상대방기기(2)의 스트리밍을 수행한다(S58a).
화면 미러링, 트랜스퍼링, 부가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과정은 컨텐츠의 스트리밍 과정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에서 사용자(3)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예시도이다.
도 17은 사용자(3)가 제스쳐로 사용자단말기(1)인 스마트폰(1)의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인 스마트TV(2)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3)는 스마트폰(1)에 제스쳐를 입력한다(①).
스마트폰(1)은 제스쳐에 의해 컨텐츠를 전송하는 스마트폰(1)의 상황 및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다(②).
스마트폰(1)은 기기 연결 요청의 IR신호를 스마트폰(1) 전방의 스마트TV(2)로 발신한다(③). 여기서, IR신호는 스마트폰(1)의 상태, 기기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R신호를 수신한 스마트TV(2)는 스마트TV(2)의 상황 및 실행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통신 및 컨텐츠 표시에 대한 준비를 한다(④).
스마트폰(1)은 기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스마트TV(2)로 기기 연결을 요청한다(⑤).
이에 스마트TV(2)는 인증절차에 의한 스마트폰(1)를 확인하고, 스마트폰(1)으로 연결 성공을 알린다(⑥).
스마트폰(1)은 사용자(3) 제스쳐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연결을 스마트TV(2)로 요청하여 연결하며, 컨텐츠를 전송한다(⑦).
컨텐츠를 실행에 대한 종료를 위한 사용자입력이 입력된다(⑧).
이에, 스마트폰(1)은 스마트TV(2)로 컨텐츠 실행 종료를 요청한다(⑨).
스마트폰(1)은 컨텐츠 전송을 종료한다(⑩).
이에 스마트TV(2)도 컨텐츠 실행을 종료한다(⑪).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의 조건에 대한 실행예시표이다.
도 18은 사용자단말기(1)와 상대방기기(2)의 상황 및 상태조건에서 전송하는 컨텐츠에 따라 실행되는 전송방식의 예시를 나타내 주고 있다.
예를 들면, 태블릿 PC(1)에서 미디어 플레이어를 실행하는 중에 스마트TV(2)로 컨텐츠 전송에 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TV(2)로 뮤직/비디오의 스트리밍이 수행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상기한 사용자단말기(1)에 의해, 사용자(3)는 사용자단말기(1)에 손쉽고 간편한 입력을 통하여서 컨텐츠를 상대방기기(2)로 전송/수신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공유를 위하여 전송방식의 설정, 연결방식의 설정과 같은 복잡하고 어려운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 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 사용자단말기 2: 상대방기기
3 : 사용자 81 : 알림판
82 , 83, 84 : 기기 아이콘 100 : 제어부
110 : 통신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사용자입력부 140 : 영상처리부
150 : 저장부 160 : UI생성부
170 : 촬상부

Claims (22)

  1. 사용자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사용자입력부; 및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 가능한 복수의 상대방기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기기 중 어느 하나의 상대방기기를 선택하는 제1사용자입력이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 및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를 나타내는 제2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2아이콘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에 가능한 복수의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전송방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결방식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와 현재 연결된 연결방식이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과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가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을 끄고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을 끄고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을 켜도록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로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의 속성정보에 대응하는 전송방식으로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를 상기 상대방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의 속성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장르, 재생, 표시, 또는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의 UI항목을 포함하는 바탕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하는 사용자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은, 트랜스퍼링(transferring), 미러링(mirroring), 또는 스트리밍(stream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방식을 식별하는 사용자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방식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파이다이렉트(Wi-Fi Direct, Wireless-Fidelity Direct),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TCP/IP, 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와 현재 연결된 연결방식이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과 다르면,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와 연결된 연결방식을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가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상기 전송된 컨텐츠가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아이콘에서 상기 제1아이콘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기기에서 실행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
  12.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연결 가능한 복수의 상대방기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복수의 상대방기기 중 어느 하나의 상대방기기를 선택하는 제1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 및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를 나타내는 제2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는 동안, 상기 제1아이콘에서 상기 제2아이콘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에 가능한 복수의 전송방식 중 어느 하나의 전송방식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전송방식에 기초하여 복수의 연결방식 중 어느 하나의 연결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와 현재 연결된 연결방식이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과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가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을 끄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을 끄고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을 켜도록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로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전송방식 중 상기 실행된 컨텐츠의 속성정보에 대응하는 전송방식으로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를 상기 상대방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의 속성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장르, 재생, 표시, 또는 상기 컨텐츠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의 UI항목을 포함하는 바탕화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은, 트랜스퍼링(transferring), 미러링(mirroring), 또는 스트리밍(stream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방식 중 상기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기기 간 네트워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방식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방식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파이다이렉트(Wi-Fi Direct, Wireless-Fidelity Direct),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상대방기기와 현재 연결된 연결방식이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과 다르면, 상기 상대방기기와 연결된 연결방식을 상기 결정된 연결방식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가 상기 상대방기기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상대방기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상기 전송된 컨텐츠가 포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이콘에서 상기 제1아이콘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상대방기기에서 실행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40014222A 2014-02-07 2014-02-07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3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222A KR102263481B1 (ko) 2014-02-07 2014-02-07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597,467 US9948979B2 (en) 2014-02-07 2015-01-15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5/000492 WO2015119389A1 (en) 2014-02-07 2015-01-16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5746498.3A EP3103020B1 (en) 2014-02-07 2015-01-16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222A KR102263481B1 (ko) 2014-02-07 2014-02-07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42A KR20150093442A (ko) 2015-08-18
KR102263481B1 true KR102263481B1 (ko) 2021-06-11

Family

ID=5377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222A KR102263481B1 (ko) 2014-02-07 2014-02-07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48979B2 (ko)
EP (1) EP3103020B1 (ko)
KR (1) KR102263481B1 (ko)
WO (1) WO20151193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175824S (zh) * 2014-06-06 2016-05-21 樂視網信息技術 北京 股份有&# 顯示螢幕之圖形化使用者介面
US9992307B2 (en) * 2015-02-03 2018-06-05 Google Llc Interoperability of discovery and connection protocols between client devices and first screen devices
WO2017003007A1 (ko) * 2015-07-02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2484135B1 (ko) 2016-02-15 202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712861B1 (en) 2016-03-10 2017-07-18 Sony Corporation Interactive load balancing among DVRs based on customer selection
US10034027B2 (en) 2016-03-10 2018-07-24 Sony Corporation Automatic MSO-based transfer of DVR content to new location of customer
CN109982322B (zh) * 2019-03-26 2022-06-03 连尚(新昌)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设备、***及存储介质
AU2020314975A1 (en) * 2019-07-18 2022-03-03 Arris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fer of content between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5764A1 (en) * 2007-09-28 2010-07-22 Sony Corporation Dlna-compliant device, dlna connec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130617A1 (en) * 2011-11-17 2013-05-23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30141331A1 (en) * 2011-12-02 2013-06-06 Htc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display control,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3099632A1 (ja) * 2011-12-28 2013-07-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6701B2 (en) * 2003-08-07 2011-10-25 Fuji Xerox Co., Ltd. Peer to peer gesture based modular presentation system
US7676690B2 (en) 2006-05-30 2010-03-09 Dell Products L.P. Mirroring of activity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8255825B2 (en) 2008-10-07 2012-08-28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aware adaptive display
US9641884B2 (en) 2008-11-15 2017-05-02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 content mirroring session
US8380225B2 (en) * 2009-09-14 2013-02-19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transfer involving a gesture
JP2011070511A (ja) 2009-09-28 2011-04-07 Sony Corp 端末装置、サーバ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5931A (ko)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방법
US20120081299A1 (en) 2010-10-04 2012-04-0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via a touchable display
US10303357B2 (en) 2010-11-19 2019-05-28 TIVO SOLUTIONS lNC. Flick to send or display content
US8958018B2 (en) 2010-12-22 2015-02-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edia display system
KR101799311B1 (ko) * 2011-06-28 2017-1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7269A (ko) 2011-08-10 2013-02-20 박성일 스마트폰의 화면과 영상 및 오디오를 미러링 및 원격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터미널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12999A1 (en) * 2011-08-24 2014-01-09 Awind Inc. Method of establishing paid connection using screen mirroring application between multi- platforms
KR101799408B1 (ko) 2011-11-03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어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65349B2 (en) * 2012-01-26 2015-02-24 Apple Inc. Interactive application sharing
KR101918040B1 (ko) 2012-02-20 2019-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그 장치
US10021180B2 (en) * 2013-06-04 2018-07-10 Kingston Digital, Inc. Universal environment extender
US20150193069A1 (en) * 2014-01-03 2015-07-0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eamless content transf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5764A1 (en) * 2007-09-28 2010-07-22 Sony Corporation Dlna-compliant device, dlna connec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130617A1 (en) * 2011-11-17 2013-05-23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30141331A1 (en) * 2011-12-02 2013-06-06 Htc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display control,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3099632A1 (ja) * 2011-12-28 2013-07-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8979B2 (en) 2018-04-17
KR20150093442A (ko) 2015-08-18
EP3103020B1 (en) 2021-03-03
WO2015119389A1 (en) 2015-08-13
EP3103020A4 (en) 2017-07-05
EP3103020A1 (en) 2016-12-14
US20150229997A1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481B1 (ko) 사용자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03763B2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6376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731349B1 (en) Display apparatus, voice acquiring apparatus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KR1016997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CN110087124A (zh) 智能电视的远程控制方法、终端设备和智能电视
KR10223821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4356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US9247177B2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WO2021159723A1 (zh) 一种剧集经典看点的展示方法及显示设备
US8872765B2 (en) Electronic device, portable terminal,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KR20120092901A (ko) 원격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50117938A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192406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253895A1 (zh) 媒资播放方法及显示设备
KR2015005745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5061A (ko) 사용자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40124407A (ko) 디스플레이장치, 그의 설정방법 및 설정장치
KR101698856B1 (ko)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KR10220375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2129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113096A (ko) 사용자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184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6590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3691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