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135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135B1
KR102484135B1 KR1020160017443A KR20160017443A KR102484135B1 KR 102484135 B1 KR102484135 B1 KR 102484135B1 KR 1020160017443 A KR1020160017443 A KR 1020160017443A KR 20160017443 A KR20160017443 A KR 20160017443A KR 102484135 B1 KR102484135 B1 KR 102484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ternal input
external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679A (ko
Inventor
이승훈
오효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135B1/ko
Priority to EP21156864.7A priority patent/EP3843416A1/en
Priority to PCT/KR2016/009932 priority patent/WO2017142151A1/en
Priority to EP16890742.6A priority patent/EP3417631A4/en
Priority to US15/260,766 priority patent/US9749575B1/en
Publication of KR2017009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외부 입력 항목 상에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을 표시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 중 선택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mart TV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smart TV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외부 입력 메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의 영상을 대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입력 메뉴에 포함된 외부 입력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의 영상으로 전환하는 기능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입력의 영상을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을 외부 입력 메뉴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외부 입력 항목 상에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을 표시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 중 선택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은 상기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중 어느 영역에 배치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화면 배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배치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화면 상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영상의 시청을 종료하기 위한 닫기 옵션 및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영상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고, 나머지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확대 옵션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은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 중인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제1 미러링 전환 옵션 및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을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제2 미러링 전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 실행 화면 전환 옵션 및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를 상기 외부 기기가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전환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2개 이상의 외부 입력 항목들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외부 입력 항목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들로부터 출력된 영상들을 분할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및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외부 입력 항목 상에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 중 선택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을 외부 입력 메뉴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중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의 배치와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멀티 뷰 환경에서 각 영상의 배치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의 전송과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 또는 오디오의 전송과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입력 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을 재생한다(S501).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컨텐트는 튜너(13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미디어 컨텐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셋톱 박스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또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재생하고 있음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홈 화면, 또는 대기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후술할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고(S503), 수신된 명령에 따라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한다(S505).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버튼(미도시)을 눌러, 외부 입력 메뉴를 호출할 수 있다.
단계 S501 내지 S505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중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표시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표시 중, 제어부(170)는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메뉴(600)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외부 입력 메뉴(600)는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외부 입력 메뉴(600)는 OSD(On Screen Display)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외부 입력 메뉴(600)가 표시되는 레이어와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600)이 표시되는 레이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외부 입력 메뉴(6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측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하측, 우측, 좌측 중 어느 하나에도 표시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외부 입력 메뉴(600)는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610 내지 66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외부 입력 항목은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외부 입력 항목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외부 입력 항목은 외부 입력 단자의 명칭,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의 명칭,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입력 항목(6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안테나 또는 튜너(131)에 대응하는 항목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외부 입력 항목(610)은 엄밀히, 말하면, 외부 입력 항목이 아닐 수 있다. 제1 외부 입력 항목(610) 상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이 재생 중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611)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611)는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610 내지 660) 중 현재 어느 외부 입력 항목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식별자일 수 있다. 제1 외부 입력 항목(610) 상에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된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의 일 시점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613)가 표시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613)는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이 일정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된 경우, 제1 외부 입력 항목(6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613)는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의 재생 중 특정 시점에서 캡쳐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썸네일 이미지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제1 외부 입력 항목(610) 상에는 썸네일 이미지(613) 대신,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외부 입력 항목(620)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의 HDMI 1 단자를 통해 게임 콘솔이 연결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항목일 수 있다. 제2 외부 입력 항목(620) 상에는 게임 콘솔에 대응하는 게임 콘솔 이미지, 게임 콘솔의 명칭, 게임 콘솔이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의 명칭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3 외부 입력 항목(630)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의 HDMI 2 단자를 통해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기기가 연결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항목일 수 있다. 제3 외부 입력 항목(630) 상에는 VR 기기에 대응하는 VR 기기의 이미지, VR 기기의 명칭, VR 기기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의 명칭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4 외부 입력 항목(640)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오디오 출력 기기가 연결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항목일 수 있다. 제4 외부 입력 항목(640) 상에는 오디오 출력 기기의 이미지, 오디오 출력 기기의 명칭, 오디오 출력 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의 무선 통신 규격, 오디오 출력 기기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의 명칭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5 외부 입력 항목(650)은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즉, 제5 외부 입력 항목(650)은 이동 단말기가 표시 중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하는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기능을 나타내는 항목일 수 있다. 제5 외부 입력 항목(650) 상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명칭, 이동 단말기가 표시 중인 화면이 캡쳐된 상태를 나타내는 캡쳐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6 외부 입력 항목(660)은 컴포넌트 단자에 대응하는 항목일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되는 포인터(205)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포인터(205)는 각 외부 입력 항목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205)를 통해 특정 외부 입력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 상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는지를 확인한다(S507).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 상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경우, 해당 외부 입력 항목이 포커싱될 수 있다. 즉, 해당 외부 입력 항목은 다른 외부 입력 항목과 서로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외부 입력 항목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외부 입력 항목을 둘러싸는 하이라이트 박스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포인터(20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이동 가능한 하이라이트 박스를 통해 어느 외부 입력 항목이 포커싱되는지 확인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 상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외부 입력 항목 상에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을 표시한다(S509).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은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어느 위치에 표시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옵션일 수 있다. 즉,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화면 상의 어느 영역에 배치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화면 배치 옵션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은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거나, 해당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 또는 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를 전송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 중 특정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S511), 수신된 명령에 따라 선택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513).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선택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507 내지 S513에 대해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의 배치와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제2 외부 입력 항목(620) 상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에 표시된 포인터(205)가 제2 외부 입력 항목(6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외부 입력 항목(610) 상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613)는 표시되지 않고, 제1 외부 입력 항목(61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현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것이므로, 인디케이터(611)는 원래대로 제1 외부 입력 항목(6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포인터(205)가 제2 외부 입력 항목(620) 상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외부 입력 항목(620)에 대응하는 게임 콘솔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한 이미지(62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62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게임 콘솔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의 일 지점에 대응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이미지(621) 대신 동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205)를 통해 각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어떠한 영상이 수신되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205)가 제2 외부 입력 항목(620) 상에 위치한 경우, 이미지(621)에 중첩되어 외부 입력 전환 옵션(623)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외부 입력 전환 옵션(623)은 포인터(205)가 이미지(621) 상에 위치하는 경우, 표시될 수도 있고, 이미지(621)의 표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표시될 수도 있다.
외부 입력 전환 옵션(623)은 게임 콘솔로부터 수신된 게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어느 위치에 배치시킬지를 지시하는 옵션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외부 입력 전환 옵션(623)은 전체 화면 옵션(623a), 좌측 화면 옵션(623b), 우측 화면 옵션(6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 화면 옵션(623a)은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게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포인터(205)를 통해 전체 화면 옵션(623a)을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게임 영상(67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기존에 표시된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게임 영상으로 전환하면서, 게임 영상(670)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좌측 화면 옵션(623b)은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게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분할된 좌측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은 좌측 화면 및 우측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화면 및 우측 화면은 분할된 화면일 수 있다.
포인터(205)를 통해 좌측 화면 옵션(623b)을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게임 영상(67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좌측 화면 상에 표시하고, 기존에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우측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우측 화면 옵션(623c)은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게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의 분할된 우측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포인터(205)를 통해 우측 화면 옵션(623c)을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게임 영상(67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우측 화면 상에 표시하고, 기존에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좌측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기존에 재생 중인 영상을 시청하면서,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의 배치와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623)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멀티 뷰 환경에서 각 영상의 배치는 명령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멀티 뷰 환경에서 각 영상의 배치를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측 화면 상에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게임 영상(670)을, 우측 화면 상에 튜너(131)를 통해 제공된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동시에 재생하고 있다.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게임 영상(670) 을 표시 중인 좌측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한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기 옵션(810) 및 확대 옵션(830)을 좌측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닫기 옵션(810)은 게임 영상(670)의 시청을 종료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기 옵션(81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게임 영상(670)의 재생을 종료하고,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닫기 옵션(81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게임 영상(670)을 표시하지 않고,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확대 옵션(830)은 게임 영상(67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고,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PIP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옵션(83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확대된 게임 영상(67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면서,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전체 화면의 일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는 PIP(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멀티 뷰 환경에서 제공되는 옵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청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의 예를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의 전송과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제3 외부 입력 항목(630) 상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에 표시된 포인터(205)가 제3 외부 입력 항목(63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포인터(205)가 제3 외부 입력 항목(630) 상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3 외부 입력 항목(630) 상에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과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63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외부 입력 전환 옵션(631)은 제1 미러링 전환 옵션(631a) 및 제2 미러링 전환 옵션(6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러링 전환 옵션(631a)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VR 기기(900)로부터 제공된 VR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제1 미러링 전환 옵션(631a)를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 기기(900)를 통해 재생(또는 표시) 중인 VR 영상(910)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미러링 전환 옵션(631a)을 선택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기존에 재생 중이었던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VR 영상(9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2 미러링 전환 옵션(631b)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VR 기기(900)로 전송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제2 미러링 전환 옵션(631b)을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VR 기기(9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VR 기기(9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VR 기기(900)를 통해 보다 현실감 있게 시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또 다른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의 예를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 또는 오디오의 전송과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을 활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표시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를 출력하고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스피커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를 제4 외부 입력 항목(640) 상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에 표시된 포인터(205)가 제4 외부 입력 항목(64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포인터(205)가 제4 외부 입력 항목(640) 상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4 외부 입력 항목(640) 상에 오디오 출력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 또는 오디오의 전송과 관련된 외부 입력 전환 옵션(64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외부 입력 전환 옵션(641)은 어플 실행 화면 전환 옵션(641a) 및 오디오 전환 옵션(641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 실행 화면 전환 옵션(641a)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오디오 출력 기기로부터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옵션일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음악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어플 실행 화면 전환 옵션(641a)을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외부 입력 항목(640)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기기로부터 제공된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10)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어플 실행 화면 전환 옵션(641a)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기존에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실행 화면(1010)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10)을 오디오 출력 기기로부터 제공받지 않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오디오 출력 기기가 지원하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어플 실행 화면 전환 옵션(641a)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음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010)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고자 하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전환 옵션(641b)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제4 외부 입력 항목(640)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기기(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오디오 출력부(185)의 전원을 오프하고,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 기기(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전환 옵션(641b)이 선택된 경우, 미디어 컨텐트의 오디오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지 않고, 오디오 출력 기기(10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기기(10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운드 바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사용자는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을 보면서, 오디오 출력 기기(1000)를 통해 보다 입체감 있는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 기기(10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과 관련된 모드의 추가를 알리는 메시지 창(103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창(1030)은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이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영상인 경우, 오디오 출력 기기(1000)를 게임 모드에 최적화하도록 오디오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한편,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항목을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S515),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표시한다(S517).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입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2개의 외부 입력 항목들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2개의 외부 입력 항목들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들로부터 제공된 영상 각각을 전체 화면 상에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515 및 S517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입력 메뉴에 포함된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도 6b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도면이다. 도 11a는 도 6b와 비교하여, 멀티 뷰 설정 메뉴(1100)가 더 표시될 수 있다. 멀티 뷰 설정 메뉴(1100)는 외부 입력 메뉴(600)에 포함된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610 내지 660)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항목을 선택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멀티 뷰 설정 메뉴(1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이 몇개로 분할되어 어떠한 배치로 표시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화면 정보(1110) 및 멀티 뷰 실행 버튼(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튜너(131)를 통해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만을 표시하고 있으므로, 화면 정보(1110)는 1개의 화면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외부 입력 항목(620)이 추가적으로 더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외부 입력 항목(620)이 추가적으로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2 외부 입력 항목(62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 입력 항목(620)이 추가로 선택된 경우, 화면 정보(1110)는 2개의 화면으로 분할되어 각 외부 기기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뷰 실행 버튼(1130)을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70)는 기존에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을 전체 화면의 좌측 화면 상에 표시하고, 제2 외부 입력 항목(620)에 대응하는 게임 콘솔로부터 제공된 게임 영상(670)을 우측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3개의 외부 입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 및 각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들(670, 1150)을 3개의 분할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4개의 외부 입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500) 및 각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영상들(670, 1150, 1170)을 4개의 분할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입력 항목을 선택하여, 각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다양한 영상들을 한눈에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명령에 따라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외부 입력 항목 상에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은
    상기 외부 기기 상에 표시 중인 제2 영상에 상응하는 미러링 영상의 표시하기 위한 제1 미러링 전환 옵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 중인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하도록 상기 제1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2 미러링 전환 옵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은
    상기 외부 입력 항목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중 어느 영역에 배치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화면 배치 옵션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배치 옵션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분할된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화면 상에 상기 포인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영상의 시청을 종료하기 위한 닫기 옵션 및 상기 포인터가 위치한 영상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고, 나머지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확대 옵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 실행 화면 전환 옵션 및
    상기 제1 영상의 오디오를 상기 외부 기기가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전환 옵션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전환 옵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 중 2개 이상의 외부 입력 항목들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외부 입력 항목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 기기들로부터 출력된 영상들을 분할된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되 명령에 따라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을 포함하는 외부 입력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입력 항목들은
    상기 외부 기기 상에 표시 중인 제2 영상에 상응하는 미러링 영상의 표시하기 위한 제1 미러링 전환 옵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 중인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하도록 상기 제1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2 미러링 전환 옵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미러링 전환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 상에 표시 중인 상기 제2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미러링 전환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미러링 영상으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미러링 전환 옵션을 선택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17443A 2016-02-15 2016-02-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4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443A KR102484135B1 (ko) 2016-02-15 2016-02-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1156864.7A EP3843416A1 (en) 2016-02-15 2016-09-05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CT/KR2016/009932 WO2017142151A1 (en) 2016-02-15 2016-09-05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6890742.6A EP3417631A4 (en) 2016-02-15 2016-09-0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15/260,766 US9749575B1 (en) 2016-02-15 2016-09-09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443A KR102484135B1 (ko) 2016-02-15 2016-02-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679A KR20170095679A (ko) 2017-08-23
KR102484135B1 true KR102484135B1 (ko) 2023-01-04

Family

ID=5956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443A KR102484135B1 (ko) 2016-02-15 2016-02-1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49575B1 (ko)
EP (2) EP3417631A4 (ko)
KR (1) KR102484135B1 (ko)
WO (1) WO2017142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400A (ko) * 2015-08-28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6055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영상 출력 장치 및 영상 출력 방법
KR20170117843A (ko) * 2016-04-14 201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6825901B2 (ja) * 2016-12-22 2021-02-03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表示装置
USD835152S1 (en) * 2017-05-26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inclu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8386S1 (en) * 2017-06-01 2018-09-1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8385S1 (en) * 2017-06-01 2018-09-1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8384S1 (en) * 2017-06-01 2018-09-1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8387S1 (en) * 2017-06-01 2018-09-11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417418B1 (ko) * 2017-12-12 2022-07-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09471604B (zh) * 2018-10-11 2021-12-21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页面同步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USD945470S1 (en) * 2018-12-27 2022-03-08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70516S1 (en) * 2019-06-20 2022-11-22 Yandex Europe A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381345B (zh) * 2019-07-05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投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2668429B1 (ko) 2019-11-15 2024-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093046B2 (en) * 2019-12-16 2021-08-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designation for remote content source device
KR102364317B1 (ko) * 2020-07-14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56215A (zh) * 2020-09-23 2021-01-22 安徽中科新辰技术有限公司 一种大屏幕可视化综合应用一体机设备
KR20220100437A (ko) * 2021-01-08 2022-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8430A1 (en) * 2005-07-11 2007-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35773A1 (en) * 2001-05-03 2011-02-10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US20120236210A1 (en) * 2011-03-15 2012-09-2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input and multiple view display
US20130088332A1 (en) * 2011-10-11 2013-04-11 Keunryang PARK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a multimedia device
US20140055675A1 (en) * 2012-08-23 2014-02-27 Obong AN Multimedia device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5027003A (ja) * 2013-07-26 2015-02-05 船井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50229997A1 (en) * 2014-02-07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822B2 (ja) * 2005-09-30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音出力装置、及び外部スピーカ制御装置
KR20120015931A (ko)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방법
JP2013187841A (ja) * 2012-03-09 2013-09-19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及び出力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319734B2 (en) 2012-04-05 2016-04-19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magic remote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eceiver
US9632648B2 (en) * 2012-07-06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and user interface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008568A (ko) * 2012-07-06 2014-01-22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출력 방법 및 장치
US10063802B2 (en) * 2013-08-28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of the same
WO2015099343A1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009657B2 (en) * 2014-10-01 2018-06-26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5773A1 (en) * 2001-05-03 2011-02-10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US20070008430A1 (en) * 2005-07-11 2007-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36210A1 (en) * 2011-03-15 2012-09-2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input and multiple view display
US20130088332A1 (en) * 2011-10-11 2013-04-11 Keunryang PARK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a multimedia device
US20140055675A1 (en) * 2012-08-23 2014-02-27 Obong AN Multimedia device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5027003A (ja) * 2013-07-26 2015-02-05 船井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50229997A1 (en) * 2014-02-07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37931A1 (en) 2017-08-17
EP3843416A1 (en) 2021-06-30
WO2017142151A1 (en) 2017-08-24
KR20170095679A (ko) 2017-08-23
EP3417631A4 (en) 2019-10-30
EP3417631A1 (en) 2018-12-26
US9749575B1 (en)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05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5927B1 (ko)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68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0230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30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30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4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31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216026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734557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286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22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KR202301320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