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345B1 -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구비한 투어빌론 - Google Patents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구비한 투어빌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345B1
KR102260345B1 KR1020190075714A KR20190075714A KR102260345B1 KR 102260345 B1 KR102260345 B1 KR 102260345B1 KR 1020190075714 A KR1020190075714 A KR 1020190075714A KR 20190075714 A KR20190075714 A KR 20190075714A KR 102260345 B1 KR102260345 B1 KR 10226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ovement
stop
reset mechanism
tourbi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632A (ko
Inventor
토니 브라운
Original Assignee
글라스휘터 우런베트리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라스휘터 우런베트리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글라스휘터 우런베트리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02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20Compensation of 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28Compensation of 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for the effect of imbalance of the weights, e.g. tourbillon
    • G04B17/285Tourbillons or carrouse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04B15/14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nstruction of the lever or the escape whee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7/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 G04F7/04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using a mechanical oscillator
    • G04F7/06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using a mechanical oscillator running only during the time interval to be measured, e.g. stop-watch
    • G04F7/062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using a mechanical oscillator running only during the time interval to be measured, e.g. stop-watch with reset mechanis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7/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 G04F7/04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using a mechanical oscillator
    • G04F7/08Watches or clocks with stop devices, e.g. chronograph
    • G04F7/0804Watches or clocks with stop devices, e.g. chronograph with reset mechanisms
    • G04F7/0814Watches or clocks with stop devices, e.g. chronograph with reset mechanisms with double hammer, i.e. one hammer acts on two cou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투어빌론 블록 (7.1), 투어빌론 유닛 (1)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을 포함한 무브먼트에 관한 것으로, 투어빌론 유닛 (1) 은 캐리지 (1.5), 밸런스 휠 (1.1) 및 이스케이프 휠 (1.3) 을 포함하고, 밸런스 휠 (1.1) 및 이스케이프 휠 (1.3) 은 캐리지 (1.5) 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캐리지는 투어빌론 블록 (7.1)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이스케이프 휠 (1.3) 과 맞물리는 제 1 휠 (3.1) 을 포함하고 무브먼트는 구동 모드와 리셋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구동 모드 (D) 일 때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투어빌론 블록 (7.1) 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고 리셋 모드 (R) 일 때,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구비한 투어빌론{TOURBILLION WITH ZERO RESET MECHANISM}
본 발명 및 개시는 투어빌론 (tourbillion) 유닛을 포함한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투어빌론 유닛을 포함하고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계, 예컨대 손목시계의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투어빌론을 포함하는 무브먼트는 예를 들어 EP 2793087 B1 에서 설명된다. 투어빌론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캐리지, 회전 캐리지에 장착된 밸런스, 및 회전 캐리지에 장착되고 레버를 통하여 밸런스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이스케이프 휠을 포함한다. 또한, 축선 방향 무브먼트를 통하여 밸런스와 맞물릴 수 있는 회전 캐리지에 배열된 브레이크 요소가 개시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요소는 특히 플라잉 투어빌론으로서 구성된 투어빌론에 적용 가능하다.
투어빌론 유닛을 구비한 다른 무브먼트는 CH 711 476 A2 에 공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셋 모드 중, 2 개의 아암들은 스톱 링에 대해 밀려서 밸런스 휠을 정지하고 회전을 개시한다. 이 접촉력은 기계식 시계에 사용할 수 없는 막대한 전력 손실을 유발한다.
본 발명 및 개시의 특정한 목적은 투어빌론 유닛을 구비한 무브먼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투어빌론 유닛은 기계 에너지 리저버로부터 작동 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고 투어빌론 유닛, 적어도 그것의 회전 캐리지는 회전 캐리지를 미리 규정된 회전 상태, 예컨대 제로 리셋 구성으로 복귀시키도록 무브먼트의 베이스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추가 목적은, 단지 최소의 기계 에너지만 소비하도록 구성된 투어빌론 유닛의 제로 리셋 기능을 제공하는 투어빌론 유닛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구비한 무브먼트를 구현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서, 투어빌론 블록, 투어빌론 유닛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무브먼트가 제공된다. 투어빌론 유닛은 캐리지, 밸런스 휠 및 이스케이프 휠을 포함한다. 밸런스 휠 및 이스케이프 휠은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캐리지는 또한 투어빌론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전형적으로, 투어빌론 블록은 무브먼트의 베이스에 장착된다. 투어빌론 블록은 베이스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그것은 베이스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이스케이프 휠과 맞물리는 제 1 휠을 포함한다. 무브먼트가 구동 모드로 있을 때 밸런스 휠은 전형적으로 진동 회전 운동되고 이스케이프 휠은 전형적으로 단계적 연속 회전된다. 전형적으로 구동 모드에서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제 1 휠은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그리고 무브먼트의 베이스에 대해 체결된다. 이스케이프 휠의 치형부는 제 1 휠의 대응하는 치형부와 치합되므로 이스케이프 휠의 축선은 제 1 휠 둘레에서 이동하여서 전체 캐리지 및 투어빌론 유닛의 회전 운동을 이끈다.
무브먼트는 구동 모드와 리셋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구동 모드일 때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투어빌론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다. 리셋 모드일 때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리셋 모드에서 적어도 제 1 휠은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따라서 무브먼트의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리셋 모드로 있는 동안 이스케이프 휠은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제 1 휠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다. 리셋 모드에서 전환될 때 전체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리셋 모드일 때, 전체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각각 투어빌론 블록 또는 무브먼트의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조들과 기계적 접촉이 없다. 특히, 외주부, 예컨대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에 위치된 부분 또는 섹션은 무브먼트 또는 투어빌론 블록의 어떠한 임의의 구성요소에도 기계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제로 리셋 메커니즘 및 투어빌론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적 및 동적 마찰은 최소로 감소될 수 있어서, 무브먼트의 전력 리저브 (power reserve) 를 증가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적어도 제 1 휠은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반면에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한 번에 투어빌론 유닛 및 투어빌론 블록 중 단 하나와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구동 모드일 때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투어빌론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고 투어빌론 유닛은 제로 리셋 메커니즘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리셋 모드일 때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고 그것은 투어빌론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다. 이런 식으로, 전체 투어빌론 유닛은 제로 리셋 메커니즘과 일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리셋 모드에서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해제함으로써 무브먼트의 정확한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리셋 모드일 때, 투어빌론 유닛 뿐만 아니라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외부의 기계적 영향을 완전히 받지 않을 수도 있다. 미리 규정된 리셋 위치로 투어빌론 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마찰 손실들은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리 규정된 리셋 위치 또는 리셋 배향으로 투어빌론 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계 에너지 소실이 감소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무브먼트는 상기 캐리지에 배열되고 해제 위치 또는 해제 상태로부터 제동 위치 또는 제동 상태로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축선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것 중 하나인 브레이크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 상태일 때 상기 브레이크 요소는 상기 밸런스 휠과 축선 방향으로 맞물린다. 특히, 브레이크 요소는 밸런스 휠의 외부 림과 축선 방향으로 맞물릴 수도 있다. 브레이크 요소가 축선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브레이크 요소의 일부를 밸런스 휠과 축선 방향으로 접하게 하거나 축선 방향으로 맞물리게 하도록 이와 같은 브레이크 요소를 축선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또는 브레이크 요소의 일부에 축선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인가함으로써 밸런스 휠과 브레이크 요소의 맞물림이 획득된다.
밸런스 휠의 외부 림과 브레이크 요소의 상호 접함 또는 축선 방향 맞물림은 밸런스 휠의 정확하고 매우 신뢰성 있는 제동 또는 정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요소는 밸런스 휠의 외부 림에 축선 방향으로 향하는 마찰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밸런스 휠에 작용하는 결과적인 제동 토크가 밸런스 휠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거리에 따라 증가하므로 외부 림과 브레이크 요소의 축선 방향 맞물림은 밸런스 휠의 반경 방향 중심 부분과 축선 방향 맞물림에 비해 이로울 수도 있다. 제 1 크기의 제 1 제동력을 밸런스 휠의 반경 방향 중심에 인가하면 제 1 제동 토크를 발생시킬 것이다. 동일한 힘을 밸런스 휠의 외부 림에 따라서 밸런스 휠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증가된 반경 방향 거리에서 적용하면 제 1 제동 토크보다 큰 제 2 제동 토크를 유발할 것이다.
실제로 단지 다소 중간 정도이거나 비교적 작은 축선 방향 제동력을 밸런스 휠의 외부 림에 적용하는 것은 밸런스 휠을 정지시켜서 무브먼트의 구동 운동을 정지시키기에 충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제 1 휠에 동축인 제 2 휠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휠은 상기 제 1 휠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고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와 맞물릴 수 있다.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는 베이스 또는 투어빌론 블록에 피봇 선회 가능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는 투어빌론 블록에 대한 제 2 휠 및 제 1 휠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역할을 한다. 로킹 레버가 제 2 휠과 맞물릴 때 적어도 제 2 휠 및 제 1 휠의 회전이 차단된다. 해제 구성으로 로킹 레버를 피봇 선회시키면 제 2 휠을 해제하고 투어빌론 블록에 대한 또는 무브먼트의 베이스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전형적으로,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는 제 2 휠의 원주에서 치형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치형부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제 2 휠과 따라서 전체 제로 리셋 메커니즘에 대해 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회전 인터로크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리지는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스톱을 포함한다.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는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봇 선회 가능하다. 스톱 레버는, 전형적으로, 예컨대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의 자유 단부에 카운터스톱을 포함한다. 카운터스톱은 캐리지의 스톱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캐리지의 스톱은 캐리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다. 스톱 레버 및 특히 그것의 카운터스톱이 정지 위치 또는 정지 구성으로 있을 때 그것은 해제 위치 또는 해제 구성에 비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피봇 선회된다.
그 후, 스톱 레버가 정지 위치 또는 정지 구성으로 있을 때 캐리지의 스톱이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의 카운터 스톱과 맞물림에 따라 캐리지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스톱 레버의 카운터스톱과 캐리지의 스톱은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축선 방향으로 중첩된다. 해제 위치 또는 해제 구성으로 배열될 때 스톱 레버의 카운터스톱은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변위된다. 그 후, 캐리지의 스톱은 스톱 레버의 카운터스톱을 통과할 수도 있고 캐리지 및 투어빌론 유닛의 제한이 없는 회전 운동을 지지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제 1 휠 및 제 2 휠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셋 모드일 때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다. 이런 회전 인터로크는 축선 방향으로 변위된 브레이크 요소를 통하여 밸런스 휠을 체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더욱이, 브레이크 요소의 활성화와 따라서 제동 위치 또는 제동 상태로 브레이크 요소 변위는 투어빌론 유닛의 캐리지와 제로 리셋 메커니즘, 특히 제 1 휠 및 제 2 휠 중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을 전달하는 기계적 토크를 동반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브레이크 요소를 활성화할 때 투어빌론 유닛이 제로 리셋 메커니즘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도록 보장된다. 이런 식으로 그리고 브레이크 요소를 활성화한 후 그리고 밸런스 휠을 정지시킨 후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가 제 1 휠과 맞물리기만 하면 투어빌론 유닛은 여전히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제 2 휠과 맞물린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가 해제 구성으로 피봇 선회되어서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또는 무브먼트의 베이스에 대해 제 1 휠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투어빌론 유닛 및 투어빌론 유닛의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회전 및 제로 리셋 운동이 촉발된다. 이런 식으로, 제어되지 않는 기계 에너지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 에너지 저장부와 영구적으로 맞물린 초 샤프트는 상기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다. 초 샤프트에 의해 기계 에너지는 기계 에너지 저장부로부터 투어빌론 유닛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무브먼트가 리셋 모드일 때 그리고 로킹 레버가 해제 상태일 때, 캐리지의 스톱이 스톱 레버와 맞물릴 때까지 캐리지와 따라서 전체 투어빌론 유닛 뿐만 아니라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기계 에너지 저장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톱 레버 및 로킹 레버는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와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 사이 기계적 커플링은, 단지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가 정지 위치 또는 정지 구성으로 있을 때만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로킹 레버의 피봇 선회를 제공하고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단지 스톱 레버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만 해제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로킹 레버의 피봇 선회 운동이 제공된다. 환언하면, 스톱 레버가 활성화될 때, 따라서 스톱 레버가 미리 규정된 위치 또는 회전 상태 이상으로 캐리지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로킹하는 역할을 하는 정지 위치 또는 정지 구성으로 스톱 레버가 될 때 해제 위치와 로킹 위치 사이에서 로킹 레버의 피봇 선회 운동이 단지 가능하고 허용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톱이 상기 스톱 레버와 맞물릴 때까지, 특히 캐리지의 반경 방향 외향 돌출 스톱이 스톱 레버의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카운터스톱과 접선 방향으로 접할 때,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및 상기 캐리지는 상기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그리고/또는 무브먼트의 베이스에 대해 공동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런 특정 정지 구성에서 캐리지와 따라서 캐리지에 체결된 초침은 문자반의 미리 규정된 섹션, 예컨대 문자반의 제로 위치를 가리킨다.
전형적으로, 제로 리셋 메커니즘 및 캐리지 또는 투어빌론 유닛의 공동 또는 조합된 회전 운동은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 초 샤프트를 통하여 기계 에너지 저장부에 의해 유도된다. 이런 식으로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회전 운동이 해제됨에 따라 제로 리셋 메커니즘 및 투어빌론 유닛은 기계 에너지 저장부의 영향 하에 미리 규정된 회전 상태로 자동으로 회전한다. 로킹 레버가 해제 구성으로 될 때 투어빌론 유닛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다른 마찰 유도 구성요소들과 기계적으로 맞물리지 않는다. 실제로, 투어빌론 유닛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조합된 회전 운동의 기계적 마찰은 비교적 낮다. 대응하여, 캐리지, 투어빌론 유닛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미리 규정된 리셋 위치로 회전시키는 기계 에너지 양은 최소로 감소되어서 무브먼트의 전력 리저브에 이롭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상기 투어빌론 블록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회전과 그것의 투어빌론 유닛 또는 캐리지의 공동 회전은 꽤 원활하고 단지 꽤 낮은 정도의 마찰만 동반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상기 제 1 휠과 동축이고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의 작용에 대하여 리셋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2 휠에 대해 회전 가능한 조절 링을 포함한다. 제 2 휠에 대한 조절 링의 회전은 구동 모드와 리셋 모드 사이에서 무브먼트를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의 작용에 대한 조절 링의 회전은 무브먼트를 리셋 모드로부터 구동 모드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리셋 모드의 활성화를 위해 단지 이완 리셋 스프링의 작용 하에 조절 링의 회전이 해제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이 제 1 휠, 제 2 휠 및 조절 링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될 때,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이 제로 리셋 메커니즘 상에 또는 안에 위치되고 배열될 때, 제로 리셋 메커니즘은, 무브먼트의 임의의 추가 구성요소들과 기계적 간섭이 없는 리셋 모드로 전환하도록 본질적으로 바이어싱된다. 이것은 특히 무브먼트가 리셋 모드일 때 그리고 제 1 휠의 회전이 해제 위치로 피봇 선회된 로킹 레버에 의해 해제될 때 제로 리셋 메커니즘 및 투어빌론 유닛의 자유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와 맞물린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는 제로 리셋 메커니즘에 피봇 선회 가능하게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는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회전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된 피봇 축선에 대해 피봇 선회 가능하다. 스톱 래치는 전형적으로 제 1 휠, 제 2 휠 및 조절 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정지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봇 선회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실시예 또는 실시형태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가 제 2 휠의 측면에 배열된다. 그것은 정지 위치를 향한 제 2 휠의 회전 또는 중심 축선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피봇 선회 가능하다. 그것은 해제 위치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피봇 선회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와 직접 맞물려서 스톱 래치를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 위치한 정지 위치로 가압한다. 이런 식으로, 구동 모드로부터 리셋 메커니즘으로 무브먼트의 다소 자동화되고 스프링 구동된 전환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는 브레이크 링의 대응하는 형상의 베벨 섹션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베벨 섹션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링은 제로 리셋 메커니즘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브레이크 요소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린다. 제로 리셋 메커니즘에 대해 브레이크 링의 축선 방향 변위를 유도함으로써 브레이크 요소는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거나 축선 방향으로 변형되어서 제동 위치에 도달하거나 제동 상태에 일치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피봇 선회 운동에 의하여 그것의 베벨 섹션은 브레이크 링의 베벨 섹션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런 반경 방향 변위 및 상호 대응하는 베벨 섹션의 피치 또는 경사는 브레이크 링의 축선 방향 변위를 유발하여서 브레이크 요소의 제동 효과를 유도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조절 링은 베벨 측면 섹션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축선 방향 연장 캠을 포함한다. 베벨 측면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와 반경 방향 또는 접선 방향으로 접한다. 조절 링이 제 2 휠에 대해 회전될 때 캠의 베벨 측면 섹션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피봇 선회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는 제 2 휠에 배열된다. 조절 링이 제 2 휠과 동축인 조절 링의 회전을 부여받을 때, 조절 링의 캠은 제 2 휠에 대해, 따라서 조절 링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또는 원주 방향으로 향한 변위를 부여받는다.
그 후, 실제로 축선 방향 연장 캠의 베벨 측면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피봇 선회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전형적으로, 캠의 베벨 측면 섹션이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피봇 선회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제 2 휠에 대한 조절 링의 회전은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와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반하여 작용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은, 브레이크 요소가 밸런스 휠과 축선 방향으로 맞물리는 제동 위치에 브레이크 링이 있는 정지 위치로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를 피봇 선회시키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이런 리셋된 스프링 구동된 피봇 선회는 캠의 베벨 측면 섹션을 통하여 제 2 휠에 대한 조절 링의 각각의 회전을 유발한다. 이런 식으로 조절 링은 리셋 모드로부터 구동 모드로 무브먼트를 전환하도록 제 1 방향을 따라 제 2 휠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제 1 방향을 따른 회전은 리셋 스프링의 복원력에 반하여 작용한다. 더욱이, 조절 링은 리셋 스프링의 영향 하에 제 1 방향에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리셋 스프링은 구동 모드로부터 리셋 모드로 무브먼트를 전환하도록 제 2 방향으로 조절 링의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제 2 방향을 따라 조절 링의 회전은 투어빌론 블록 또는 무브먼트의 베이스에 피봇 선회 가능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래치에 의해 로킹 가능할 수도 있다. 조절 링의 외주부는 스위칭 래치의 카운터 치형부와 맞물린 치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브먼트가 구동 모드로 있는 한, 조절 링은 구동 위치에 로킹된다. 스위칭 래치가 활성화되어 제 2 방향을 따라 조절 링의 회전을 해제함에 따라, 조절 링은 구동 위치로부터 리셋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그러므로, 스위칭 래치가 해제되어 조절 링의 회전 운동을 자유롭게 하자마자,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은 제 2 회전 방향을 따라 조절 링의 각각의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칭 래치는 또한 조절 링의 외주부에서 치형부와 맞물려서 제 1 회전 방향을 따라 제 2 휠에 대한 조절 링의 회전을 유도하여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스프링력에 반하여 리셋 위치로부터 구동 위치로 조절 링을 복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는 캠의 베벨 측면 섹션과 접하는 회전 가능한 휠을 포함한다. 회전 가능한 휠은 스톱 래치의 자유 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회전 가능한 휠은 베벨 섹션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다른 단부에 대향하여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단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회전 가능한 휠에 의하여, 조절 링의 캠의 베벨 측면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사이 기계적 마찰은 감소되어서 조절 링이 제 2 휠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원활한 피봇 선회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캠은 상기 제 2 휠의 관통공을 통하여 축선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는 상기 조절 링으로부터 이격되게 향하는 상기 제 2 휠의 측면에 배열된다.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예컨대 그것의 회전 가능한 휠은 제 2 휠의 관통공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연장되거나 상기 관통공에 측방향으로 도달한다. 이런 식으로, 제 2 휠의 관통공을 통하여 돌출한 캠의 베벨 측면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의 회전 가능한 휠과 기계적으로 맞물리거나 접한다.
전형적으로, 제 2 휠의 관통공은 조절 링의 캠을 위한 슬롯형 링크 또는 슬롯형 가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조절 링이 제 2 휠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조절 링의 캠은 원주 방향 또는 접선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도 있다.
추가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클록이 제공된다. 클록은 플라잉 투어빌론을 포함할 수도 있다. 클록은 손목시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 무브먼트의 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투어빌론 유닛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다수의 구성요소들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도 1 의 배열체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스톱 래치들과 조절 링의 캠들의 기계적 상호작용을 도시한다.
도 4 는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5 는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무브먼트가 구동 모드일 때 조절 링과 스위칭 래치들의 맞물림을 보여준다.
도 7 은 해제 상태일 때 브레이크 요소를 도시한다.
도 8 은 무브먼트가 리셋 모드로 전환될 때 스위칭 래치들과 맞물리는 조절 링을 도시한다.
도 9 는 제동 상태에서 브레이크 요소를 도시한다.
도 10 은 스톱 레버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와 캐리지의 스톱의 상호 맞물림을 도시한다.
도 11 은 제 2 휠과 맞물리는 로킹 레버의 상호 맞물림을 도시한다.
도 12 는 로킹 레버가 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도 11 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 은 조절 링의 해제를 도시한다.
도 14 는 캐래지의 스톱이 스톱 레버의 카운터스톱과 맞물리기 직전 도 10 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 에 무브먼트 (10) 가 도시된다. 무브먼트 (10) 는 투어빌론 블록 (7.1), 투어빌론 유닛 (1)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을 포함한다. 투어빌론 유닛 (1) 은 캐리지 (1.5)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밸런스 휠 (1.1) 을 포함한다. 밸런스 휠 (1.1) 은 이스케이프 휠 (1.3) 과 맞물린다. 이스케이프 휠 (1.3) 은 또한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제 1 휠 (3.1) 과 맞물린다. 캐리지 (1.5) 는 또한 도 10 및 도 14 에 나타낸 것처럼 문자반 (11) 상의 초를 보여주도록 구성된 초침 (1.4) 을 구비한다. 캐리지 (1.5) 에 반경 방향 외향 돌출 스톱 (1.5.a) 이 제공된다. 스톱은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 (4) 의 대응하는 형상의 카운터스톱 (4.1.a) 과 접선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접한다.
플랜지 (2.1) 를 가지는 클러치 (2) 가 추가로 제공된다. 플랜지 (2.1) 는 초 샤프트 (7.2) 에 체결된다. 플랜지 (2.1) 는 캐리지 (1.5) 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플랜지 (2.1) 와 동축으로 브레이크 링 (2.2) 이 제공된다. 브레이크 링 (2.2) 은 디스크 스프링 (2.4) 의 작용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디스크 스프링 (2.4) 은 플랜지 (2.1) 와 브레이크 링 (2.2)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위치된다. 디스크 스프링 (2.4) 은 플랜지 (2.1) 로부터 이격되게 브레이크 링 (2.2) 을 축선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전달 요소 (2.3) 가 제공된다. 전달 요소 (2.3) 는 플랜지 (2.1) 내에서 또는 플랜지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전달 요소 (2.3) 는 브레이크 링 (2.2) 에 의해 플랜지 (2.1) 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전달 요소 (2.3) 는 브레이크 링 (2.2) 과 축선 방향으로 접한다.
브레이크 링 (2.2) 이 플랜지 (2.1) 를 향하여 축선 방향으로 변위될 때 브레이크 링 (2.2) 의 각각의 무브먼트는 전달 요소 (2.3) 로 전달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링 (2.2) 으로부터 이격되게 향하는 전달 요소 (2.3) 의 단부 섹션은 브레이크 링 (2.2) 의 표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전달 요소 (2.3) 는 브레이크 요소 (1.2) 에 대해 가압하여서 도 7 및 도 9 의 비교에서 명백한 것처럼 브레이크 요소 (1.2) 의 축선 방향 변위 또는 축선 방향 변형을 유발한다. 이런 식으로, 캐리지 (1.5) 에 배열되는 브레이크 요소 (1.2) 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제된 위치 또는 해제된 상태로부터 브레이크 요소 (1.2) 가 밸런스 휠 (1.1) 의 외부 림과 축선 방향으로 맞물리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동 위치 또는 제동 상태로 축선 방향으로 변위 또는 변형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브레이크 요소 (1.2) 는 밸런스 휠 (1.1) 에 제동 토크를 인가하고 밸런스 휠 (1.1) 이 회전 또는 진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거나 막도록 구성된다.
축선 방향 변위를 유도하기 위해 브레이크 링 (2.2) 은,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제 2 휠 (3.2) 을 향하고 외주부를 따르는 베벨 섹션 (2.2.a) 을 포함한다.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외부 치형부 (3.1.a) 를 구비한 제 1 휠 (3.1) 을 포함한다. 외부 치형부 (3.1.a) 는 이스케이프 휠 (1.3) 과 맞물린다. 제 2 휠 (3.2) 의 측면에 다수의 스톱 래치들 (3.5) 이 제공되는데 상기 래치들은 제 2 휠 (3.2) 에서 피봇 선회 가능하게 변위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3 개의 등거리에 배열된 스톱 래치들 (3.5) 이 제공되고 상기 래치들은 각각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중심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 축선 및 따라서 제 1 휠 (3.1) 및/또는 제 2 휠 (3.2) 의 중심 축선 또는 회전 축선에 대해 피봇 선회 가능하다.
스톱 래치들 (3.5) 각각은 제 1 단부 및 제 1 단부에 대향하여 위치된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스톱 래치들 (3.5) 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 위치된 위치에서 제 2 휠 (3.2) 에 피봇 선회 가능하게 배열된다. 제 1 단부는 베벨 섹션 (3.5.a) 을 구비한다. 제 2 단부는 휠 (3.7) 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제 1 단부의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향한 피봇 선회 운동은 제 2 단부의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향한 피봇 선회 운동을 동반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베벨 섹션들 (3.5.a) 은 브레이크 링 (2.2) 의 베벨 섹션 (2.2.a) 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베벨 섹션 (3.5.a) 의 조정된 또는 동시적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향한 운동은 브레이크 링 (2.2) 의 베벨 섹션 (2.2.a) 과 각각의 맞물림을 유발한다. 결과적으로 스톱 래치들 (3.5) 은 브레이크 링 (2.2) 의 하부면 아래에서 미끄러져서 제 2 휠 (3.2) 로부터 이격되게 브레이크 링 (2.2) 의 축선 방향 변위를 유발한다. 이런 식으로, 전달 요소 (2.3) 는 축선 방향으로 변위되어서 전술한 대로 밸런스 휠 (1.1) 에 제동 효과를 적용한다.
스톱 래치들 (3.5) 각각은 스톱 스프링 (3.6) 에 의해 바이어싱된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대로 제동 스프링들 (3.6) 은 스톱 래치들 (3.5) 의 제 1 단부를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피봇 선회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일종의 자체 구동되거나 자동화된 제동 효과가 구현된다. 스톱 스프링들 (3.6) 의 영향 하에 스톱 래치들 (3.5) 의 베벨 섹션들 (3.5.a) 은 브레이크 링 (2.2) 을 들어올리도록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변위된다.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제 2 휠 (3.2) 에 동축이고 제 1 휠 (3.1) 에 대향한 제 2 휠 (3.2) 의 일측에 위치한 조절 링 (3.3) 을 추가로 포함한다. 조절 링 (3.3) 은 제 2 휠 (3.2) 에 대한 중심 축선에 대해 회전 또는 피봇 선회 가능하다. 조절 링 (3.3) 은 제 2 휠 (3.2) 과 베어링 링 (3.4) 사이에 끼워져 있다. 베어링 링 (3.4) 및 제 2 휠 (3.2) 은 상호 고정된다. 조절 링 (3.3) 은 양자, 제 2 휠 (3.2) 및 베어링 링 (3.4) 에 대해 회전 또는 피봇 선회 가능하다.
제 2 휠 (3.2) 을 향한 조절 링 (3.3) 의 측면에 다수의 축선 방향 연장 캠들 (3.3.a) 이 제공된다. 캠들 (3.3.a) 각각은 베벨 측면 섹션 (3.3.c) 을 포함한다. 베벨 측면 섹션 (3.3.c) 은 스톱 래치 (3.5) 의 제 2 단부 (3.5.b) 와 접한다. 특히, 베벨 측면 섹션 (3.3.c) 은 스톱 래치의 제 2 단부 (3.5.b)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휠 (3.7) 과 반경 방향 또는 접선 방향으로 접한다.
도 3 및 도 4 에 추가로 도시된 대로, 캠들 (3.3.a) 은 제 2 휠의 관통공 (3.2.a) 을 통하여 연장된다. 캠들 (3.3.a) 의 축선 방향 연장부는 제 2 휠 (3.2) 의 두께보다 크다. 이런 식으로, 캠들 (3.3.a) 의 적어도 일부는 조절 링 (3.3) 으로부터 이격되게 향하는 제 2 휠 (3.2) 측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이런 식으로, 캠들 (3.3.a) 의 베벨 측면 섹션 (3.3.c) 은 스톱 래치 (3.5) 의 휠 (3.7) 과 접한다.
조절 링 (3.3) 은 그것의 외주부에 로킹 치형부 (3.3.b) 를 구비한다. 로킹 치형부 (3.3.b) 에 의하여, 제 2 휠 (3.2) 에 대한 조절 링 (3.3) 의 회전 운동을 해제하고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 2 휠 (3.2) 에 대한 조절 링 (3.3) 의 회전이 차단되거나 개시될 수 있다.
도 4 에 추가로 도시된 대로, 조절 링 (3.3) 의 외부 림의 내측부에 다수의 휠들 (3.8) 이 제공된다. 이런 식으로, 제 2 휠 (3.2) 에 대한 조절 링 (3.3) 의 명확한 회전 운동이 지지된다.
도 2 에 추가로 도시된 대로, 투어빌론 블록 (7.1) 과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사이에 볼 베어링 (3.9) 이 제공된다. 특히, 볼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들 (3.9) 은 투어빌론 블록 (7.1) 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 연장 그루브와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내측 사이에 배열된다. 볼 베어링들 (3.9) 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내측 대면 그루브는 제 1 휠 (3.1) 및 제 2 휠 (3.2) 의 배열에 의해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전체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해 또는 무브먼트 (10) 의 베이스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미도시).
무브먼트 (10) 는 스프링 (5.1) 을 구비한 로킹 레버 (5) 를 추가로 포함한다. 로킹 레버 (5) 는 제 2 휠 (3.2) 의 외부 치형부 (3.2.b) 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치형부 (5.2.a) 를 구비한 자유 단부 (5.2) 를 포함한다. 치형부 (5.2.a) 가 치형부 (3.2.b) 와 맞물린다면 제 2 휠 (3.2) 의 회전 및 따라서 전체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회전이 방지 및 차단된다.
스프링 (5.1) 의 작용에 반하여 로킹 레버 (5) 를 피봇 선회하면 도 12 에 도시된 대로 제로 리셋 메커니즘 (2) 을 해제하여서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해 그리고/또는 무브먼트 (10) 의 베이스에 대해 전체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무브먼트 (10) 는 도 4 및 도 14 에 도시된 대로 자유 단부에 카운터스톱 (4.1.a) 을 가지는 스톱 레버 (4) 를 추가로 포함한다. 카운터스톱 (4.1.a) 은 캐리지 (1.5) 의 스톱 (1.5.a) 에 접하여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초침 (1.4) 은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해 미리 규정된 회전 위치, 예컨대 제로 초 위치를 달성함에 따라 제로 리셋 작동 중 캐리지 (1.5) 의 회전은 차단 및 저지될 수 있다.
무브먼트 (10) 는 도 1, 도 6, 도 8 및 도 13 에 도시된 대로 2 개의 스위칭 래치들 (6) 을 추가로 포함한다. 스위칭 래치들 (6) 각각은 스프링 (6.3) 을 구비한다. 스위칭 래치들 (6) 은 축선 (6.4) 에 피봇 장착된다. 스위칭 래치들 (6) 각각은 제 1 단부를 포함하고 이 단부에 의해 2 개의 스위칭 래치들 (6) 은 상호 맞물린다. 그러므로, 수용 섹션 (6.6) 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유도될 수도 있는 스위칭 래치들 (6) 중 하나의 피봇 선회 운동은 제 1 단부 (6.5) 를 통하여 다른 스위칭 래치 (6) 에 전달 가능하다. 힘이 수용 섹션 (6.6) 에 인가됨에 따라 각각의 스위칭 래치 (6) 는 시계 방향으로 피봇 선회된다. 다른 스위칭 래치 (6) 에 대한 기계적 커플링을 통하여, 다른 스위칭 래치 (6) 는 도 8 에 도시된 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 선회된다.
스위칭 래치들 (6) 은 각각 추가 스프링 요소 (6.2.a) 를 구비한 레버 (6.7) 를 포함한다. 레버 (6.7) 의 단부 섹션에서 조절 링 (3.3) 의 로킹 치형부 (3.3.b) 와 맞물리는 뾰족한 팁 (6.1.a) 을 가지는 피봇 요소가 제공된다. 도 6 에 도시된 대로, 피봇 요소들 (6.1) 은 로킹 치형부 (3.3.b) 와 맞물려서 제 2 휠 (3.2) 에 대한 조절 링 (3.3) 의 회전을 방지한다. 힘이 수용 섹션 (6.6) 에 인가됨에 따라 도 8 에 도시된 대로 2 개의 스위칭 래치들 (6) 은 피봇 선회되고 레버 섹션들 (6.7) 은 로킹 치형부 (3.3.b) 로부터 이격되게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피봇 요소들은 로킹 치형부 (3.3.b) 를 해제하고 조절 링 (3.3) 은 스톱 스프링들 (3.6) 의 작용 하에 제 2 휠 (3.2) 에 대해 이동 또는 회전하도록 해제된다.
피봇 요소들 (6.1) 은 스프링 요소들 (6.2.a) 과 맞물린다. 수용 섹션 (6.6) 에 인가된 힘이 제거됨에 따라, 스프링들 (6.3) 은 레버 섹션들 (6.7) 을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변위시켜서 피봇 요소들 (6.1) 을 로킹 치형부 (3.3.b) 와 맞물리게 하여 피봇 요소 (6.1) 를 통하여 조절 링 (3.3) 에 토크를 유도하여서 스프링 요소들 (3.6) 의 작용에 반하여 조절 링 (3.3) 의 회전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제로 리셋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무브먼트 (10) 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구동 모드 (D) 로도 나타낸, 초기 상태에서, 도 11 에 도시된 대로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로킹 레버 (5) 를 통하여 투어빌론 블록 (7.1) 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다. 초 샤프트 (7.2) 는 기계 에너지 소스 (미도시) 에 연결되고 기계 에너지를 진동 밸런스 휠 (1.1) 에 제공한다. 이스케이프 휠 (1.3) 은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제 1 휠 (3.1) 의 외부 치형부 (3.1.a) 와 맞물린다. 이스케이프 휠 (1.3) 은 캐리지 (1.5) 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전체 캐리지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 1 휠 (3.1) 둘레에 회전한다.
구동 모드 (D) 에서, 스톱 레버 (4) 는 해제 위치에 있다. 카운터스톱 (4.1.a) 은 캐리지 (1.5) 의 스톱 (1.5.a) 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캐리지 (1.5) 가 회전될 때 스톱 (1.5.a) 은 카운터스톱 (4.1.a) 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2 개의 스위칭 래치들 (6) 및 그것들의 피봇 요소들 (6.1) 은 조절 링 (3.3) 과 맞물린다. 이런 식으로 그리고 구동 모드 (D) 로 있는 동안 조절 링 (3.3) 은 제 2 휠 (3.2) 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사용자가 스위칭 래치들 (6) 의 수용 섹션들 (6.6) 에 힘을 가할 때, 스위칭 래치들, 특히 피봇 요소들 (6.1) 은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피봇 선회되어서 조절 링 (3.3) 을 해제한다. 따라서, 조절 링 (3.3) 은 제 2 휠 (3.2) 에 대해 스톱 스프링들 (3.6) 의 영향 하에 회전된다. 전술한 대로, 관통공 (3.2.a) 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캠들 (3.3.a) 은 스톱 래치들 (3.5) 의 각각의 피봇 선회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제 2 휠 (3.2) 에 대한 조절 링 (3.3) 의 회전은 스톱 래치들 (3.5) 의 스프링 구동된 피봇 선회를 허용한다.
리셋 스프링들 (3.6) 의 작용 하에 스톱 래치들 (3.5) 각각은 그것의 베벨 섹션 (3.5.a) 의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향한 피봇 선회 운동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도 9 에 도시된 대로, 브레이크 링 (2.2) 은 축선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거나 변위되고 브레이크 요소 (1.2) 를 밸런스 휠 (1.1) 의 외부 림과 마찰 맞물리게 한다. 무브먼트 및 따라서 밸런스 휠 (1.1) 의 진동 무브먼트가 정지된다. 무브먼트는 그러면 리셋 모드 (R) 에 있다.
초침 (1.4) 은 무브먼트 (10) 의 문자반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놓일 것이다. 이제 밸런스 휠 (1.1) 이 정지될 때, 도 10 에 도시된 대로, 사용자는 스톱 레버 (4) 및 로킹 레버 (5) 의 다른 순차적 또는 조합된 운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 카운터스톱 (4.1.a) 및 스톱 (1.5.a) 이 반경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도 10 에 도시된 대로 스톱 레버 (4) 는 정지 구성으로 피봇 선회된다. 그 후에, 도 12 에 도시된 대로, 로킹 레버 (5) 는 스프링 (5.1) 의 작용에 대한 해제 구성으로 피봇 선회된다. 이런 식으로, 치형부 (3.2.b) 와 치형부 (5.2.a) 의 맞물림이 해제 및 저지된다. 전체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이 해제되고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밸런스 휠 (1.1) 의 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링 (2.2) 이 축선 방향으로 변위됨에 따라,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투어빌론 유닛 (1) 및 따라서 캐리지 (1.5) 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거나 회전 가능하게 로킹된다. 특히, 브레이크 링 (2.2) 이 스톱 래치들 (3.5) 과 맞물리기만 하면 클러치 (2) 는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과 투어빌론 유닛 (1) 사이에 토크 방지 맞물림을 제공한다. 이 리셋 모드 (R) 에서, 여전히 초 샤프트 (7.2) 와 맞물리는 투어빌론 유닛 (1), 특히 캐리지 (1.5) 는 기계 에너지 소스의 작용 하에 회전된다. 캐리지 (1.5) 와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사이 회전 커플링으로 인해 스톱 (1.5.a) 이 카운터스톱 (4.1.a) 과 맞물릴 때까지 전체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과 캐리지 (1.5) 는 회전된다. 그러면, 초침 (1.4) 은 제로 구성에 도달할 것이다.
투어빌론 유닛 (1) 과 제로 리셋 메커니즘의 이런 조합된 회전 중, 기준과 무브먼트의 완벽한 동기화가 제공될 수 있다. 무브먼트 (10) 가 전술한 리셋 모드로 있는 동안, 투어빌론 유닛 (1) 뿐만 아니라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임의의 래치들 또는 무브먼트 (10) 의 다른 기계 부품들과 어떠한 맞물림도 없다. 따라서, 투어빌론 유닛 (1) 과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조합된 회전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총 에너지는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전력 리저브를 증가시키고 또한 무브먼트 (10) 의 장기적 안정성 및 정확도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리셋 모드 (R) 로부터 구동 모드 (D) 로 복귀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된 단계들이 역순으로 실행된다. 그러므로, 로킹 레버 (5) 의 자유 단부 (5.2) 는 제 2 휠 (3.2) 과 맞물려서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한 제 2 휠 (3.2) 의 어떠한 추가 회전 운동도 방지한다. 그 후에, 스톱 레버 (4) 는 해제 구성으로 피봇 선회되어서 캐리지 (1.5) 의 스톱 (1.5.a) 을 위한 길을 제공한다. 그 후에, 피봇 요소들 (6.1) 이 리셋 스프링들 (3.6) 의 작용에 반하여 조절 링 (3.3) 에서 회전을 유도하도록 스위칭 래치들 (6) 은 스프링 요소들 (6.3) 의 작용 하에 피봇 선회된다.
캠들 (3.3.a) 의 베벨 측면 섹션들 (3.3.2) 이 스톱 래치들 (3.5) 상에 각각의 피봇 선회 운동을 유도하므로, 제 2 휠 (3.2) 에 대한 조절 링 (3.3) 의 회전은 스톱 래치들 (3.5) 의 피봇 선회를 유발한다. 따라서, 베벨 섹션들 (3.5.a) 은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피봇 선회되어서 디스크 스프링 (2.4) 의 작용 하에 브레이크 링 (2.2) 의 축선 방향으로 향하는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해제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링 (2.2) 은 도 7 에 도시된 대로 해제 위치로 복귀하고 밸런스 휠 (1.1) 을 해제한다. 무브먼트는 그 후 다시 진동하기 시작한다.
1 투어빌론 유닛
1.1 밸런스 휠
1.2 브레이크 요소
1.3 이스케이프 휠
1.4 초침
1.5 캐리지
1.5.a 스톱
2 클러치
2.1 플랜지
2.2 브레이크 링
2.2.a 베벨 섹션
2.3 전달 요소
2.4 디스크 스프링
3 제로 리셋 메커니즘
3.1 제 1 휠
3.1.a 외부 치형부
3.2 제 2 휠
3.2.a 관통공
3.2.b 치형부
3.3 조절 링
3.3.a 캠
3.3.b 로킹 치형부
3.3.c 베벨 측면 섹션
3.4 베어링 링
3.5 스톱 래치
3.5.a 베벨 섹션
3.5.b 제 2 단부
3.6 스톱 스프링
3.7 휠
3.8 휠
3.9 볼 베어링
4. 스톱 레버
4.1.a 카운터스톱
5 로킹 레버
5.1 스프링
5.2 자유 단부
5.2.a 치형부
6 스위칭 래치
6.1 피봇 요소
6.1.a 뾰족한 팁
6.2.a 스프링 요소
6.3 스프링
6.4 축선
6.5 제 1 단부
6.6 수용 섹션
6.7 레버 섹션
7.1 투어빌론 블록
7.2 초 샤프트
10 무브먼트
11 문자반

Claims (15)

  1. 투어빌론 (tourbillion) 블록 (7.1), 투어빌론 유닛 (1) 및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을 포함한 무브먼트로서,
    상기 투어빌론 유닛 (1) 은 캐리지 (1.5), 밸런스 휠 (1.1) 및 이스케이프 휠 (1.3) 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휠 (1.1) 및 상기 이스케이프 휠 (1.3) 은 상기 캐리지 (1.5) 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캐리지 (1.5) 는 상기 투어빌론 블록 (7.1)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상기 이스케이프 휠 (1.3) 과 맞물리는 외부 치형부를 구비한 제 1 휠 (3.1) 을 포함하고 상기 무브먼트는 구동 모드 (D) 와 리셋 모드 (R)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상기 구동 모드 (D) 일 때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상기 투어빌론 블록 (7.1) 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고 상기 리셋 모드 (R) 일 때, 상기 투어빌론 유닛 (1) 뿐만 아니라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임의의 래치들 또는 상기 무브먼트의 다른 기계 부품들과 어떠한 맞물림도 없도록,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상기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무브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1.5) 에 배열되고 해제 위치 또는 해제 상태로부터 제동 위치 또는 제동 상태로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축선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것 중 하나인 브레이크 요소 (1.2)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동 상태일 때 상기 브레이크 요소 (1.2) 는 상기 밸런스 휠 (1.1) 의 외부 림과 축선 방향으로 맞물리는, 무브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상기 제 1 휠 (3.1) 에 동축이고 상기 제 1 휠 (3.1) 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고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 (5) 와 맞물릴 수 있는 제 2 휠 (3.2) 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레버 (5) 가 상기 제 2 휠 (3.2) 와 맞물릴 때, 상기 제 2 휠 (3.2) 및 상기 제 1 휠 (3.1) 의 회전이 차단되는, 무브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1.5) 는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 (4) 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스톱 (1.5.a) 을 포함하는, 무브먼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모드 (R) 일 때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또는 상기 제 1 휠 (3.1) 및 상기 제 2 휠 (3.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캐리지 (1.5) 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는, 무브먼트.
  6. 제 1 항에 있어서,
    기계 에너지 저장부와 영구적으로 맞물린 초 샤프트 (7.2) 는 상기 캐리지 (1.5) 에 회전 가능하게 로킹되는, 무브먼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 (5) 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 (4) 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톱 (1.5.a) 이 상기 스톱 레버 (4) 와 맞물릴 때까지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및 상기 캐리지 (1.5) 는 상기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해 공동으로 회전 가능한, 무브먼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선회 가능한 로킹 레버 (5) 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피봇 선회 가능한 스톱 레버 (4) 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상기 투어빌론 블록 (7.1) 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무브먼트.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은, 상기 제 1 휠 (3.1) 과 동축이고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 (3.6) 의 작용에 대하여 리셋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2 휠 (3.2) 에 대해 회전 가능한 조절 링 (3.3) 을 포함하는, 무브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셋 스프링 (3.6) 은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에 피봇 선회 가능하게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3.5) 와 맞물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3.5) 는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의 회전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봇 축선에 대해 피봇 선회 가능한, 무브먼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3.5) 는, 상기 제로 리셋 메커니즘 (3) 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기 브레이크 요소 (1.2) 와 작동 가능하게 맞물리는 브레이크 링 (2.2) 의 대응하는 형상의 베벨 섹션 (2.2.a) 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베벨 섹션 (3.5.a) 을 포함하는, 무브먼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링 (3.3) 은,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3.5) 와 반경 방향 또는 접선 방향으로 접하고 상기 조절 링 (3.3) 이 상기 제 2 휠 (3.2) 에 대해 회전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3.5) 의 피봇 선회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베벨 측면 섹션 (3.3.c) 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축선 방향 연장 캠 (3.3.a) 을 포함하는, 무브먼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3.5) 는 상기 캠 (3.3.a) 의 베벨 측면 섹션과 접하는 회전 가능한 휠 (3.7) 을 포함하는, 무브먼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3.3.a) 은 상기 제 2 휠 (3.2) 의 관통공 (3.2.a) 을 통하여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톱 래치 (3.5) 는 상기 조절 링 (3.3) 으로부터 이격되게 향하는 상기 제 2 휠 (3.2) 의 측면에 배열되는, 무브먼트.
  15. 제 1 항에 따른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클록.
KR1020190075714A 2018-06-29 2019-06-25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구비한 투어빌론 KR102260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80966.6 2018-06-29
EP18180966.6A EP3588200B1 (en) 2018-06-29 2018-06-29 Tourbillion with zero reset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32A KR20200002632A (ko) 2020-01-08
KR102260345B1 true KR102260345B1 (ko) 2021-06-02

Family

ID=6283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714A KR102260345B1 (ko) 2018-06-29 2019-06-25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구비한 투어빌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35699B2 (ko)
EP (1) EP3588200B1 (ko)
JP (1) JP6850828B2 (ko)
KR (1) KR102260345B1 (ko)
CN (1) CN110658710B (ko)
RU (1) RU271616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7425A1 (fr) * 2021-02-19 2022-08-24 Montres Breguet S.A. Dispositif pour effectuer un arrêt momentané du fonctionnement d'une montre mécani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9235A (ja) * 2015-08-31 2017-03-09 グラスヒュッテ・ウーレンベトリーブ・ゲーエムベーハー 調整可能なトゥールビヨンを備える機械式のゼンマイ式ムーブメント
JP2017049236A (ja) * 2015-08-31 2017-03-09 グラスヒュッテ・ウーレンベトリーブ・ゲーエムベーハー トゥールビヨンを備える機械式のゼンマイ式ムーブメン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3076B1 (fr) * 1998-07-16 2008-02-13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à tourbillon
EP1359476A1 (fr) * 2002-05-02 2003-11-05 Zenith International SA Pièce d'horlogerie mécanique à tourbillon
CH697459B1 (fr) * 2003-04-03 2008-10-31 Franck Mueller Watchland S A Tourbillon bi-axial pour mouvement horloger, notamment pour montre-bracelet.
DE602004019201D1 (de) 2004-07-13 2009-03-12 Montres Breguet Sa Arretiervorrichtung bei der Zeigerstellung einer Uhr mit einem Tourbillon
DE102006008699B3 (de) * 2006-02-24 2007-08-23 Heitzer, Heinz-Dieter, Dr. Einstellvorrichtung für die Justierung der Zeigerstellung bei mechanischen Uhren
CH701725B1 (fr) * 2006-09-25 2011-03-15 Franck Mueller Watchland S A Tourbillon pour pièce d'horlogerie.
CN101846962B (zh) 2009-04-10 2012-01-04 天津海鸥表业集团有限公司 一种陀飞轮的止动机构
CH704783B1 (fr) * 2011-04-14 2016-09-15 Complitime Sa Mouvement de pièce d'horlogerie.
EP2793087B1 (de) 2013-04-18 2016-06-01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Tourbillon
JP6143185B2 (ja) 2013-09-04 2017-06-0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動作安定機構、ムーブメントおよび機械式時計
FR3023933B1 (fr) 2014-07-17 2016-07-08 Nicolas Heim Cage tourbillon a ancre coaxiale
US9568887B2 (en) * 2015-03-09 2017-02-14 Seiko Instruments Inc. Operation stabilizing mechanism, movement, and mechanical timepiece
CH711476A2 (de) 2015-08-31 2017-03-15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Mechanisches Uhrwerk mit einem Tourbillon.
CH712031A1 (fr) 2016-01-13 2017-07-14 Richemont Int Sa Mécanisme horloger à tourbill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9235A (ja) * 2015-08-31 2017-03-09 グラスヒュッテ・ウーレンベトリーブ・ゲーエムベーハー 調整可能なトゥールビヨンを備える機械式のゼンマイ式ムーブメント
JP2017049236A (ja) * 2015-08-31 2017-03-09 グラスヒュッテ・ウーレンベトリーブ・ゲーエムベーハー トゥールビヨンを備える機械式のゼンマイ式ムーブメ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8710B (zh) 2021-12-31
RU2716168C1 (ru) 2020-03-06
CN110658710A (zh) 2020-01-07
EP3588200A1 (en) 2020-01-01
US20200004206A1 (en) 2020-01-02
JP2020003485A (ja) 2020-01-09
JP6850828B2 (ja) 2021-03-31
EP3588200B1 (en) 2021-10-06
US11435699B2 (en) 2022-09-06
KR20200002632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6054B2 (en) Mechanical clockwork movement with a tourbillon
US9897972B2 (en) Mechanical clockwork movement with an adjustable tourbillon
RU2559347C1 (ru) Турбийон час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и часы
US2475432A (en) One-revolution clutch
JP6128765B2 (ja) 時間に関連があるパラメータを示す指示部材を所定の位置にリセットする装置
CN107203121B (zh) 表传动装置
JP5930324B2 (ja) クラッチ装置
JP2015526253A5 (ko)
KR102260345B1 (ko) 제로 리셋 메커니즘을 구비한 투어빌론
JP2010204099A (ja) 秒針を自動的に帰零させることにより時計の分針を合わせる機構
JP2015219236A (ja) 時計レバー
JP6149121B2 (ja) 時計、特にクロノグラフの分針
CN106662838A (zh) 计时器传动装置
US10037010B2 (en) Timepiece comprising a device for switching a timekeeping mechanism
JP6329237B2 (ja) 時計の調整装置
RU2739709C1 (ru) Стопорный механизм часовой каретки со стопорным колесом
US834779A (en) Controlling device.
RU2741258C1 (ru) Стопор каретки час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с полоской для останова каретки
CN112105993B (zh) 用于锁定钟表发条盒的棘轮的***
CS208452B2 (en) Motor chain saw
JPS6311464B2 (ko)
CN117280284A (zh) 用于钟表的恒定动力擒纵机构
JPS5841493B2 (ja) モ−タ−ドライブキコ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