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994B1 -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 Google Patents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994B1
KR102258994B1 KR1020210000772A KR20210000772A KR102258994B1 KR 102258994 B1 KR102258994 B1 KR 102258994B1 KR 1020210000772 A KR1020210000772 A KR 1020210000772A KR 20210000772 A KR20210000772 A KR 20210000772A KR 102258994 B1 KR102258994 B1 KR 10225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ushion
groove
headres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훠링
민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훠링, 민지홍 filed Critical (주)훠링
Priority to KR102021000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2Head-res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이 구비된 패널의 분리가 용이하여 다른 쿠션이 구비된 패널의 호환이 가능하며, 쿠션의 상하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은 정면에 커버로 감싸진 쿠션이 위치되고, 후면 좌·우측에 제1 후크돌기 및 제2 후크돌기가 구비되어 후술할 착탈수단에 의해 분리 호환 가능한 패널;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정면에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가 관통 산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후면에 수직으로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 가이드 부에 의해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케이스;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부; 상기 케이스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를 잠금하거나 해제하여 쿠션이 구비된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수단;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 부를 따라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케이스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Segregation-compatible and curve movable neck cushion used for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가 용이하여 쿠션의 호환이 가능하며, 커브 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임의대로 쿠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차량 시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차량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부위를 기댈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머리부위를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쿠션기능이 있는 폼(Foam)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차량 운행중 탑승자의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하여 뭉친 목의 근육을 풀어주거나 피곤함을 덜어 주는 기능도 담당한다. 그러나, 운행중 잠시간의 목 피로는 풀어줄 수 있으나, 기댄 상태로 수면을 취하거나, 편안한 상태에서의 운전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종래 헤드레스트는 장거리나 야간 운행에 따른 차량 운전자의 피곤함을 덜기 위해 수면을 취할 경우, 머리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어 머리가 꺾인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고 그로 인해 목 부위 등이 뻐근해져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중 피곤해진 목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댈 경우 시선이 차량의 천정으로 향하게 되어 차량 운행이 불편해지는 등 안정적인 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헤드레스트의 형상을 개선하여 탑승자의 목이 위치되는 부분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휴식 중 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뭉친 목 근육을 풀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헤드레스트의 하부를 돌출 형성할 경우, 휴식시에는 편안한 느낌을 얻을 수 있으나,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탑승자의 목에 무리가 가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지지하는 위치가 달라지는 등 효과적으로 목을 지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 줄 수 있도록 항상 돌출상태를 유지할 경우, 머리가 뒤로 완전히 젖혀지는 것은 방지해줄 수는 있으나, 운행 중 지속적으로 머리가 꼿꼿한 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 오히려 목에 무리가 가는 등 편안함과 안락감을 제공한다는 본연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머리를 정확하게 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돌이 발생할 경우 충격으로 인해 머리가 뒤로 젖혀져 목에 큰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차량 탑승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탑승자에게 최적으로 편안함과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806121호
2. 등록특허공보 제10-1806122호
3. 등록특허공보 제10-0832459호
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2002호
5.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5582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수단에 의해 쿠션이 구비된 패널의 착탈이 용이하여 새로운 쿠션의 호환이 가능하며, 회전 가이드 부에 의해 커브 이동이 가능하고,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쿠션의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한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은 정면에 커버로 감싸진 쿠션이 위치되고, 후면 좌·우측에 제1 후크돌기 및 제2 후크돌기가 구비되어 후술할 착탈수단에 의해 분리 호환 가능한 패널;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정면에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가 관통 산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후면에 수직으로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 가이드 부에 의해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케이스;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부; 상기 케이스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를 잠금하거나 해제하여 쿠션이 구비된 패널이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수단;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 부를 따라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케이스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제1 수용홈이 구비된 제1 관체와, 일부가 상기 제1 수용홈에 이송 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 수용홈이 구비된 제2 관체와, 상기 제1 관체와 제2 관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로 구성된 연결대; 및 상기 제2 관체의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전면판과, 후면판이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쿠션 커버의 테두리가 위치하여 쿠션 커버에 감싸진 쿠션이 패널 정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의 정면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홈;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슬롯홈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돌기; 상기 삽입돌기 끝단에 구비됨과 더불어 슬롯홈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상 하부에 제1경사면이 구비된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 후크돌기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통공 일측과 일측변이 제1 및 제2 후크돌기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이송판;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직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케이스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 누름 조작 시 이송판을 타측으로 이송하여 제1 및 제2 후크돌기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1 버튼; 상기 이송판에 설치되는 제1 설치판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설치판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이송된 이송판을 원위치시키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의 정면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끼움홈;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 일단은 이송블럭과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 후면을 통과하여 회전 가이드 부의 복수 개 제1 끼움홈 중 어느 하나의 제1 끼움홈에 삽입되는 제1 끼움돌기; 일단 양면에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블럭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조작 시 제1 끼움돌기가 어느 하나의 제1 끼움홈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2 버튼; 일단은 상기 이송블럭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어 이송된 이송블럭 및 제1 끼움돌기와 회전된 제2 버튼을 원위치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공; 상기 장공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되는 제2 끼움홈; 상기 장공에 몸체의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2 관체를 관통하여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와, 상기 제2 관체의 제2 수용홈에 위치하는 바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판과, 상기 2 관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바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된 레버; 상기 바의 중앙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며 복 수개의 제2 끼움홈 중 어느 하나의 제2 끼움홈에 위치하는 제2 끼움돌기; 일단은 상기 걸림판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관체의 제2 수용홈과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걸림판을 지속적으로 밀어주어 제2 끼움돌기가 어느 하나의 제2 끼움홈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3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는 일측에 제1 파지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3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고정부; 일측에 제2 파지홈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3 수용홈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 일측은 고정부과 연결되고 타측은 이송부와 연결됨과 더불어 외측으로 이송된 이송부를 밀어주어 제1 파지홈과 제2 파지홈이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구비된 한 쌍의 수직봉을 파지하도록 하는 제4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은 쿠션과 연동하는 케이스가 회전 가이드 부를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사용자 임의대로 쿠션을 위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탈수단에 의해 패널이 분리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쿠션이 구비된 패널을 임의 대로 호환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부에 의해 쿠션이 전후 방향으로 이송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대로 쿠션을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널을 이루는 전면판과 후면판이 볼트에 의해 분리 및 결합되고,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쿠션을 감싸는 커버가 위치하여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형태 또는 노후된 쿠션과 커버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지부재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본원 발명을 차량의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에 착탈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패널의 전면판과 후면판이 쿠션 커버 테두리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케이스의 정면을 분리한 도면이고,
도 7은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8은 회전 가이드 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이탈방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착탈수단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착탈수단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이송판의 이송에 의해 후크돌기의 잠금이 해제되어 패널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각도 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1 끼움홈에 제1 끼움돌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제2 버튼 누름 조작에 의해 제1 까움돌기가 제1 끼움홈에서 이탈함으로써 패널 및 케이스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쿠션이 상·중·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길이조절부의 레버와 제3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제1 관체와 제2 관체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제2 관체와 파지수단의 고정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파지부재의 이송부가 외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패널의 전면판과 후면판이 쿠션 커버 테두리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케이스의 정면을 분리한 도면이고, 도 7은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8은 회전 가이드 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이탈방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착탈수단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착탈수단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3은 이송판의 이송에 의해 후크돌기의 잠금이 해제되어 패널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각도 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1 끼움홈에 제1 끼움돌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제2 버튼 누름 조작에 의해 제1 까움돌기가 제1 끼움홈에서 이탈함으로써 패널 및 케이스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쿠션이 상·중·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길이조절부의 레버와 제3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제1 관체와 제2 관체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제2 관체와 파지수단의 고정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파지부재의 이송부가 외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은 크게 패널(10)과, 케이스(20)와, 회전 가이드 부(30)와, 이탈방지부재(40)와, 착탈수단(50)과, 각도 조절수단(60)과, 연결대(70) 및 파지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10)은 정면에 커버(11)로 감싸진 쿠션(12)이 위치되고, 후면 좌·우측에 제1 후크돌기(13) 및 제2 후크돌기(14)가 구비된다.
이러한 패널(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12)을 감싸는 커버(11)의 테부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전면판(15)과, 후면판(16)이 볼트(17)에 의해 결합되어 전면판(15)과 후면판(16) 사이에 쿠션(12)을 감싸는 커버(11)의 테두리를 위치한 후 볼트(17)로 전면판(15)과 후면판(16)을 고정하여 커버(11)의 테두리를 파지 고정함으로써 커버(11)에 감싸진 쿠션(12)이 패널(10)의 전면판(15) 정면에 위치한다.
상기 쿠션(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중앙이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상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한 모양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패널(10)은 후술할 착탈수단(50)에 의해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쿠션(12)을 가지는 패널(10)을 임의대로 분리하여 다른 패널(10)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판(15)과 후면판(16)이 볼트(17)에 의해 분리 및 결합됨으로 볼트(17)를 풀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쿠션(12)으로 교환하거나 또는 노후된 쿠션(12)과 커버(11)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21)이 구비되고 정면에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가 관통 산입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후면에 수직으로 한 쌍의 가이드 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21)은 후술할 착탈수단(50) 및 각도 조절수단(6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홈(23)은 후술할 회전 가이드 부(30)의 가이드 돌기(31)와 연계하여 케이스(20)가 회전 가이드 부(30)를 따라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31)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 홈(23)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32)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0)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가이드 한다.(도 18 참조)
이러한, 회전 가이드 부(30)는 가이드 돌기(32)가 구비된 정면판(31)과, 이 정면판(31)에 설치되어 후술할 이탈방지부재(40)의 헤드(43)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배면덮개(33)로 이루어진다.
한편, 가이드 홈(23)이 형성된 케이스(20)의 배면 일부는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과 동일한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부재(40)는 상기 케이스(20)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4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 중앙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홈(41)과, 상기 케이스(20)의 후면에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슬롯홈(41)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돌기(42)와, 상기 삽입돌기(42) 끝단에 구비됨과 더불어 슬롯홈(41)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헤드(43)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43)는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과 배면덮개(33) 사이 공간에 위치하여 케이스(20) 상·하 회전 시 정면판(31)과 배면덮개(33) 사이 공간에서 이동됨과 더불어 슬롯홈(41)에 걸려 이탈되지 아니함으로써 케이스(20)가 회전 가이드 부(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착탈수단(50)은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를 잠금하거나 해제하여 쿠션(12)을 구비한 패널(10)이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착탈수단(50)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상·하부에 제1경사면(51a)이 구비된 돌기(51b)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 후크돌기(13)가 관통하는 통공(51c)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통공(51c) 일측과 일측변이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이송판(51)과, 상기 제1 경사면(51a)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52a)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직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케이스(20)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 누름 조작 시 이송판(51)을 타측으로 이송하여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1 버튼(52)과, 상기 이송판(51)에 설치되는 제1 설치판(53a)과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설치판(53b)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버튼(52)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이송된 이송판(51)을 원위치시키는 제1 스프링(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판(51)은 무게 감소 및 상기 제2 설치판(53b)이 제1 설치판(53a) 일측에 설치되기 용이하고, 후술할 각도 조절수단(60)의 이송블럭(62)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내부에 살빼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이송판(51)이 원활하게 좌우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판(21)에 수평으로 안내 홈(51d)이 형성되고, 이 안내 홈(51d)에 수용되는 안내 돌기(24)가 케이스(20)의 정면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버튼(52)이 원활하게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제1 버튼(52) 좌우측에 안내 편(52b)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착탈수단(50)은 쿠션(12)이 구비된 패널(10)을 교체하고자 할 때 제1 버튼(52)을 눌러주면 제2 경사면(52a)과 제1 경사면(51a)에 의해 이송판(51)이 수평으로 이송되어 패널(10)에 구비된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패널(10)이 분리되고, 패널(10) 분리 후 제1 버튼(52)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제1 스프링(53)의 복원 작용에 의해 이송판(51) 및 제1버튼(52)이 원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10) 부착 시 이송판(51)의 통공(51c) 일측을 밀어주는 제1 후크돌기(13)와, 이송판(51)의 일측변을 밀어주는 제2 후크돌기(14)에 의해 이송판(51)이 수평으로 이송된 후 제1 스프링(53)의 복원 작용에 의해 원위치하여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를 잠금되어 패널(10)이 케이스(20)에 부착된다.
상기 각도 조절수단(60)은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를 따라 케이스(20)가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것을 조절한다.
즉, 케이스(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수단(60)은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끼움홈(61)과,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62)과, 일단은 이송블럭(62)과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20) 후면을 통과하여 회전 가이드 부(30)의 복수 개 제1 끼움홈(61) 중 어느 하나의 제1 끼움홈(61)에 삽입되는 제1 끼움돌기(63)와, 일단 양면에 회전축(64a)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0)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블럭(62)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조작 시 이송블럭(62)을 이송하여 제1 끼움돌기(63)가 제1 끼움홈(61)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2 버튼(64)과, 일단은 상기 이송블럭(6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20)의 정면 내측과 연결되어 이송된 이송블럭(62) 및 제1 끼움돌기(63)와 회전된 제2 버튼(64)을 원위치하는 제2 스프링(65)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끼움돌기(63)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64)은 타단에 접촉돌기(64b)가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이 접촉돌기(64b)는 일단은 제2 버튼(64)의 타단과 연결되고 자유단부는 상기 이송블럭(62)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버튼(64) 회전 시 접촉돌기(64b)가 이송블럭(62)을 눌러 이송되게 한다.
상기한 각도 조절수단(60)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임의대로 쿠션(12)의 위치를 회전(커브 이동 및 멈춤고정)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 버튼(64)을 눌러주면 접촉돌기(64b)에 의해 이송블럭(62)이 전방측으로 수평 이송되어 이송블럭(62)에 형성된 제1 끼움돌기(63)가 제1 끼움홈(61)으로부터 이탈하여 케이스(20)가 회전 가이드 부(30)를 따라 상하로 커브 이동(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케이스(2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한 후, 제2 버튼(64)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제2 스프링(65)의 복원 작용에 의해 제1 끼움돌기(63)가 제2 끼움홈(61)에 끼워져 쿠션(12)이 구비된 패널(10)과 이 패널(10)과 연결된 케이스(20)의 커브 이동(회전)을 멈춤 고정하여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연결대(70)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의 배면덮개(33)에 고정 형성되며 제1 수용홈(71a)이 구비된 제1 관체(71)와, 일부가 상기 제1 수용홈(71a)에 이송 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 수용홈(72a)이 구비된 제2 관체(72)과, 상기 제1 관체(71)과 제2 관체(72)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73)로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73)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체(71)의 일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제1 수용홈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장공(74)과, 상기 장공(7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되는 제2 끼움홈(75)과, 상기 장공(71)에 몸체의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2 관체(72)를 관통하여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76a)와, 상기 제2 관체(72)의 제2 수용홈(72a)에 위치하는 바(76a)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판(76b)과, 상기 2 관체(72)의 외부에 위치하는 바(76a)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76c)로 구성된 레버(76)와, 상기 바(76a)의 중앙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 형성되며 복 수개의 제2 끼움홈(75) 중 어느 하나의 제2 끼움홈(75)에 위치하는 제2 끼움돌기(77)와, 일단은 상기 걸림판(76b)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관체(72)의 제2 수용홈(72a) 일측 내면과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걸림판(76b)을 지속적으로 밀어주어 제2 끼움돌기(77)가 어느 하나의 제2 끼움홈(75)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3 스프링(78)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길이조절부(73)는 사용자가 손잡이(76c)를 당겨 제2 끼움돌기(77)가 제2 끼움홈(75)에서 이탈하게 한 후, 제1 및 제2 관체(71,72)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인 다음 손잡이(76c)를 놓으면 제3 스프링(78)의 복원 작용에 의해 제2 끼움돌기(77)가 제2 끼움홈(75)에 삽입되어 조정된 제1 및 제2 관체(71,72)의 길이가 고정된다.
상기 파지부재(80)는 상기 제2 관체(72)의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목쿠션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파지부재(80)는 일측에 제1 파지홈(8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3 수용홈(81b)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수용홈(81b)의 개방측 내주연에 제1 걸림턱(81c)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70)의 제2 관체(72)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고정부(81)와, 일측에 제2 파지홈(82a)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3 수용홈(82b)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 외주연에 제2 걸림턱(82b)이 형성된 이송부(82)과, 일측은 고정부(81)의 제1 걸림턱(81c)과 연결되고 타측은 이송부(82)의 제2 걸림턱(82b)과 연결됨과 더불어 외측으로 이송된 이송부(82)를 원위치로 밀어주어 제1 파지홈(81a)과 제2 파지홈(82a)이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구비된 한 쌍의 수직봉을 파지하도록 하는 제4 스프링(8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81)와 연결되는 제2 관체(72)는 고정부(8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관체(72)의 끝단에 걸림돌기(72b)가 형성되고, 고정부(81)에 상기 걸림돌기(72b)가 삽입 수용되는 걸림홈(82c)이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에 의해 파지되는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이 견고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에 탄성 재질의 패드(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80)는 사용자가 이송부(82)를 외측으로 당겨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 내측에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이 위치하도록 한 후 놓으면 제4 스프링(83)의 복원 작용에 의해 이송부(82)가 원 상태로 돌아가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이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파지홈(81a,82a)은 도시된 같이 고정부(81)와 이송부(82)의 배면이 개방된 형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패널 11 :커버
12 : 쿠션 13 : 제1 후크돌기
14 : 제2 후크돌기 15 : 전면판
16 : 후면판 17 : 볼트
20 : 케이스 21: 수용공간
22 : 관통공 23 : 가이드 홈
24 : 안내돌기 30 : 회전 가이드 부
31 : 정면판 32 : 가이드 돌기
33 : 배면덮개 40 : 이탈방지부재
41 : 슬롯홈 42 : 삽입돌기
43 : 헤드 50 : 착탈수단
51 : 이송판 51a : 제 경사면
51b : 돌기 51c : 통공
51d : 안내 홈 52 : 제1 버튼
52a : 제2 경사면 52b : 안내 편
53 : 제1 스프링 53a : 제1 설치편
53b : 제2 설치편 60 : 각도조절수단
61 : 제 끼움홈 62 : 이송블럭
63 : 제1 끼움돌기 64 : 제2 버튼
64a : 회전축 64b : 접촉돌기
65 : 제2 스프링 70 : 연결대
71 : 제1 관체 71a : 제1 수용홈
72 : 제2 관체 72a : 제2 수용홈
72b : 걸림돌기 73 : 길이조절부
74 : 장공 75 : 제2 끼움홈
76 : 레버 76a : 바
76b : 걸림판 76c : 손잡이
77 : 제2 끼움돌기 78 : 제3 스프링
80 : 파지부재 81 : 고정부
81a : 제1 파지홈 81b : 제3 수용홈
81c : 제1 걸림턱 82 : 이송부
82a : 제2 파지홈 82b : 제2 걸림턱
82c : 걸림홈 83 : 제4 스프링
84 : 패드

Claims (8)

  1. 정면에 커버(11)로 감싸진 쿠션(12)이 위치되고, 후면 좌·우측에 제1 후크돌기(13) 및 제2 후크돌기(14)가 구비되어 후술할 착탈수단(50)에 의해 케이스(20)에 분리 호환 가능한 패널(10);
    내부에 수용공간(21)이 구비되고 정면에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가 관통 산입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후면에 수직으로 한 쌍의 가이드 홈(23)이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 가이드 부(30)에 의해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케이스(20);
    호형으로 이루어진 정면판(31)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 홈(23)에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32)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0)가 상하로 커브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 부(30);
    상기 케이스(20)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40);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를 잠금하거나 해제하여 쿠션(12)이 구비된 패널(10)이 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수단(50); 및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를 따라 상하로 커브 이동하는 케이스(20)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의 후면에 형성되며 제1 수용홈(71a)이 구비된 제1 관체(71)와, 일부가 상기 제1 수용홈(71a)에 이송 가능하게 수용되며 제2 수용홈(72a)이 구비된 제2 관체(72)과, 상기 제1 관체(71)과 제2 관체(72)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73)로 구성된 연결대(70); 및
    상기 제2 관체(72)의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직봉을 파지하는 파지부재(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10)은 전면판(15)과, 후면판(16)이 볼트(17)에 의해 결합되며, 전면판(15)과 후면판(16) 사이에 커버(11)의 테두리가 위치하여 커버(11)에 감싸진 쿠션(12)이 패널(10) 정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40)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홈(41);
    상기 케이스(20)의 후면에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슬롯홈(41)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돌기(42);
    상기 삽입돌기(42) 끝단에 구비됨과 더불어 슬롯홈(41)의 폭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는 헤드(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50)은 상기 수용공간(21)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상·하부에 제1경사면(51a)이 구비된 돌기(51b)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 후크돌기(13)가 관통하는 통공(51c)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통공(51c) 일측과 일측변이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에 걸리도록 위치하는 이송판(51);
    상기 제1 경사면(51a)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52a)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21)에 수직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케이스(20)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 누름 조작 시 이송판(51)을 타측으로 이송하여 제1 및 제2 후크돌기(13,14)의 걸림을 해제하는 제1 버튼(52);
    상기 이송판(51)에 설치되는 제1 설치판(53a)과 상기 케이스(20)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설치판(53b)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버튼(52)의 누름 조작에 의해 이송된 이송판(51)을 원위치시키는 제1 스프링(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수단(60)은 상기 회전 가이드 부(30)의 정면판(31)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끼움홈(61);
    상기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62);
    일단은 이송블럭(62)과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20) 후면을 통과하여 회전 가이드 부(30)의 복수 개 제1 끼움홈(61) 중 어느 하나의 제1 끼움홈(61)에 삽입되는 제1 끼움돌기(63);
    일단 양면에 회전축(64a)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0)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블럭(62)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 조작 시 제1 끼움돌기(63)가 제1 끼움홈(61)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제2 버튼(64);
    일단은 상기 이송블럭(6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20)에 연결되어 이송된 이송블럭(62) 및 제1 끼움돌기(63)와 회전된 제2 버튼(64)을 원위치하는 제2 스프링(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73)는 상기 제1 관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관체(71)의 일면에 형성되는 장공(74);
    상기 장공(74)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 수개 형성되는 제2 끼움홈(75);
    상기 장공(74)에 몸체의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제2 관체(72)를 관통하여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76a)와, 상기 제2 관체(72)의 제2 수용홈(72a)에 위치하는 바(76a)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림판(76b)과, 상기 제2 관체(72)의 외부에 위치하는 바(76a)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76c)로 구성된 레버(76);
    상기 바(76a)에 형성되며 복 수개의 제2 끼움홈(75) 중 어느 하나의 제2 끼움홈(75)에 위치하는 제2 끼움돌기(77);
    일단은 상기 걸림판(76b)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관체(72)의 제2 수용홈(72a)과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걸림판(76b)을 지속적으로 밀어주어 제2 끼움돌기(77)가 어느 하나의 제2 끼움홈(75)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3 스프링(7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80)는 일측에 제1 파지홈(81a)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3 수용홈(81b)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70)의 제2 관체(72)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고정부(81);
    일측에 제2 파지홈(82a)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3 수용홈(81b)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82);
    일측은 고정부(81)과 연결되고 타측은 이송부(82)와 연결됨과 더불어 외측으로 이송된 이송부(82)를 밀어주어 제1 파지홈(81a)과 제2 파지홈(82a)이 헤드레스트에 구비된 한 쌍의 수직봉을 파지하도록 하는 제4 스프링(8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KR1020210000772A 2021-01-05 2021-01-05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KR10225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72A KR102258994B1 (ko) 2021-01-05 2021-01-05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772A KR102258994B1 (ko) 2021-01-05 2021-01-05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994B1 true KR102258994B1 (ko) 2021-06-01

Family

ID=7637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772A KR102258994B1 (ko) 2021-01-05 2021-01-05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00Y1 (ko) * 2005-06-29 2005-09-14 (주)거성 의자용 헤드레스트 구조
KR20060103302A (ko) * 2006-08-29 2006-09-28 최은혁 자동차용 슬라이드형 헤드레스트
CN202429093U (zh) * 2011-08-24 2012-09-12 上海宏翱汽车配件有限公司 推拉式汽车颈枕
CN105059155A (zh) * 2015-08-18 2015-11-18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带自适应颈托功能的座椅头枕
JP2017056858A (ja) * 2015-09-17 2017-03-23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CN110395161A (zh) * 2019-07-04 2019-11-01 广汽零部件有限公司 一种自适应颈托
KR102157274B1 (ko) * 2019-06-07 2020-09-17 손익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KR20200142448A (ko) * 2019-06-12 2020-12-22 서정옥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00Y1 (ko) * 2005-06-29 2005-09-14 (주)거성 의자용 헤드레스트 구조
KR20060103302A (ko) * 2006-08-29 2006-09-28 최은혁 자동차용 슬라이드형 헤드레스트
CN202429093U (zh) * 2011-08-24 2012-09-12 上海宏翱汽车配件有限公司 推拉式汽车颈枕
CN105059155A (zh) * 2015-08-18 2015-11-18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带自适应颈托功能的座椅头枕
JP2017056858A (ja) * 2015-09-17 2017-03-23 日本発條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KR102157274B1 (ko) * 2019-06-07 2020-09-17 손익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경추지지장치
KR20200142448A (ko) * 2019-06-12 2020-12-22 서정옥 좌석용 헤드레스트 목베개
CN110395161A (zh) * 2019-07-04 2019-11-01 广汽零部件有限公司 一种自适应颈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462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KR102644383B1 (ko) 2021-12-17 2024-03-08 주식회사 다스 시트의 넥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30B1 (ko)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US8313115B2 (en) Stroller
JPH03275008A (ja) 高さと傾斜の調節機構を有する椅子
KR102258994B1 (ko)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WO2012118341A2 (ko) 다기능 헤드레스트
KR101232825B1 (ko) 의자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1413697B1 (ko) 의자의 머리받침 부재 조절 장치
JP4912987B2 (ja) 子供乗せ装置及び二輪車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05386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200382308Y1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1047664B1 (ko) 머리 받침구
JP2011092392A (ja) ロッキング椅子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KR20120100786A (ko) 다기능 헤드레스트
KR101177247B1 (ko) 머리받침구
CN113498944B (zh) 椅子及其支撑机构
JP2021106758A (ja) ヘッドレスト付き椅子
KR101193411B1 (ko) 머리 받침구
KR100284699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헤드레스트 이송장치
CN113475887B (zh) 一种带有头枕的椅子
JP2784600B2 (ja) 椅子における座受ロッキング反力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