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336B1 -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336B1
KR102256336B1 KR1020190141891A KR20190141891A KR102256336B1 KR 102256336 B1 KR102256336 B1 KR 102256336B1 KR 1020190141891 A KR1020190141891 A KR 1020190141891A KR 20190141891 A KR20190141891 A KR 20190141891A KR 102256336 B1 KR102256336 B1 KR 10225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contact
pad
groo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447A (ko
Inventor
정서영
Original Assignee
정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찬 filed Critical 정병찬
Priority to KR102019014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336B1/ko
Priority to PCT/KR2020/012503 priority patent/WO2021091075A1/ko
Publication of KR2021005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밸브홀이 형성된 덮개부, 상기 밸브홀에 배치되어 있고 진공압을 유지하는 밸브부 및 상기 덮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부를 상기 밸브홀의 주변에 밀착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누름부에 의해 밸브부가 밸브홀의 주변에 압축되면서 밀착되어 외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면서 진공 용기의 진공압 유지 시간이 증가하여 식품 보존 기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COVER FOR VACUUM RECEPTACLE AND VACUUM RECEPTA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은 섭취하기 전까지는 변질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식품은 신선도의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식품은 외기와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방치하게 되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 유해 물질들이 식품에 접촉하면서 산화되어 변질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식품의 변질 방지를 위해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하는 진공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진공 용기는 식품이 담기는 용기본체,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의 개방부를 닫는 덮개, 덮개의 밸브홀에 배치된 패드 형태의 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진공 용기는 펌프 방식으로 용기본체의 내부를 진공압으로 형성하여 외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펌프 후 밸브가 밸브홀의 주변에 밀착되면서 용기본체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고 일정 기간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패드 형태의 밸브가 밸브홀의 주변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여 진공 유지 시간을 오래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서 외기가 용기본체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었다.
한편, 용기본체에 담긴 식품이 발효물인 경우 보관 중 발효가스가 발생하게 되었다.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밸브가 들리면서 발효가스가 용기본체의 외부로 배출되었다. 밸브부의 들림으로 진공유지 및 식품 발효 효율이 저하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703호 (2010.07.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4084호 (2011.07.21.)
본 발명은 진공 용기 덮개의 밸브홀에 배치된 밸브가 밸브홀의 주변에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여 진공용기의 진공압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는 밸브홀이 형성된 덮개부, 상기 밸브홀에 배치되어 있고 진공압을 유지하는 밸브부 및 상기 덮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부를 상기 밸브홀의 주변에 밀착시키는 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용기 덮개는, 상기 덮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누름부가 위치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밸브홀이 형성된 덮개본체, 상기 덮개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경사면과 평면으로 이루어진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평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부의 회전을 한정하는 밸브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편과 상기 밸브 스토퍼는 상기 밸브홀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는, 밸브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밸브홀을 관통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의 평면에 위치하여 상기 스토퍼에 걸리는 당김편 및 상기 밸브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본체의 상면에서 상기 밸브홀의 주변을 덮는 밀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의 평면과 접하는 상기 당김편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는 당겨지고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밸브홀의 주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손잡이는, 상기 밸브몸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밀착패드에서 돌출되어 경사면과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누름부에 의해 눌리는 눌림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눌림편은 상기 밀착패드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덮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형성된 회전 손잡이 및 상기 회전링에서 돌출되어 경사면과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눌림편을 누르는 누름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은, 상기 회전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배열된 상기 눌림편과 마주하며, 상기 밸브 손잡이는 상기 회전링의 중앙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전링의 외부 둘레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회전링이 접하는 회전홈과 상기 회전 스토퍼가 접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홈의 걸림턱에 걸리면 상기 누름편의 평면과 상기 눌림편의 평면이 서로 접하여 상기 밀착패드가 상기 밸브홀의 주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스토퍼와 상기 회전홈의 바닥 사이에는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링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밀착패드가 접하는 패드밀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에 상기 밸브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패드밀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회전링, 그리고 상기 회전링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밸브 손잡이는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링의 외부둘레와 상기 패드밀착홈의 둘레 사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과 상기 덮개본체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전링의 하면에서 상기 밀착패드를 향해 돌출되어 접하고 있고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누름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일측이 상기 덮개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면이 상기 밀착패드를 누르는 누름덮개, 상기 누름덮개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덮개 손잡이, 상기 누름덮개의 타측과 상기 덮개본체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덮개의 하면에서 상기 밀착패드를 향해 돌출되어 접하고 있고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누름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밀착패드가 위치하고 상기 누름편이 삽입되는 패드밀착홈과 상기 패드밀착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누름덮개가 위치하는 누름덮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덮개홈의 지름은 상기 패드밀착홈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패드밀착홈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할 수 있는 누름 승강링, 상기 누름 승강링의 외부 둘레에서 돌출되어 있는 승강 가이드 돌기 및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과 상기 누름 승강링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밀착홈의 둘레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승강 가이드홈과, 상기 승강 가이드홈과 수직하고 상기 패드밀착홈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가이드 돌기가 상기 회전 가이드홈과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 승강링은 상기 회전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회전된 상기 누름 승강링은 고정되어 승강하지 않고 상기 밀착패드를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을 누르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패드밀착홈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누름편, 상기 누름편에 형성된 제1 물림부 및 상기 회전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물림부와 접하는 제2 물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물림부와 상기 제2 물림부는 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물림부와 상기 제2 물림부가 접하면 상기 회전링은 상기 누름편을 눌러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은, 내부가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누름편이 위치한 회전몸체,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제1 물림부가 형성된 가이드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편은,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누름몸체, 그리고 상기 누름몸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부로 삽입된 누름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물림부는 상기 누름가이드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밸브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부의 밀착패드가 접하는 패드밀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누름부에 의해 눌리어 압착되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된 진공 용기 덮개, 그리고 내부에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공 용기 덮개가 결합되는 용기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부의 회전으로 누름편은 밸브부의 밀착패드에 형성된 눌림편을 누르게 되면서 밀착패드가 밸브홀의 주변인 패드밀착홈의 바닥으로 누르게 된다. 이때 밀착패드가 눌리면서 압축되어 밀착 패드밀착홈의 바닥에 밀착된다. 밀착패드가 패드밀착홈에 완전하게 밀착되면서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착패드가 들리지 않는다. 이에 식품의 발효 효율이 증가하고 진공 용기의 진공압 유지 시간이 증가하여 식품 보존 기간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진공 용기 덮개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덮개부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밸브부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덮개부에 밸브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밸브부와 누름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8은 도 5의 덮개부에 누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
도 9는 도 8을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을 Ⅹ-Ⅹ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밸브부와 누름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도 8의 덮개부에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반단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ⅩⅣ-ⅩⅣ 선을 따라 자른 전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를 나타낸 분해도.
도 16은 도 15의 누름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진공 용기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를 나타낸 분해도.
도 19는 도 18의 누름 덮개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진공 용기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를 나타낸 분해도.
도 22는 도 21의 진공 용기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누름 승강링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를 나타낸 분해도.
도 25는 도 24의 누름편과 회전링을 나타낸 분해도.
도 26은 도 24의 진공 용기 덮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제1 물림부와 제2 물림부가 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공 용기 덮개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덮개부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밸브부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덮개부에 밸브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밸브부와 누름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5의 덮개부에 누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9는 도 8을 Ⅸ-Ⅸ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을 Ⅹ-Ⅹ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밸브부와 누름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8의 덮개부에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을 ⅩⅣ-ⅩⅣ 선을 따라 자른 전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진공 용기(1)는 진공 용기 덮개(20)와 식품이 담기는 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0)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20)는, 용기본체(10)의 개방부에 배치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가 진공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본체(10)의 진공압은 별도의 펌프도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다. 펌프도구는 진공 용기 덮개(20)에 결합되어 진공압을 형성하고, 진공압 형성 후 진공 용기 덮개(20)에서 분리된다.
도 2를 더 참고하면, 진공 용기 덮개(20)는 덮개부(21), 밸브부(22) 및 누름부(23)를 포함한다. 진공 용기 덮개(20)는 고정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21)는 용기본체(10)와 결합된다. 밸브부(22), 누름부(23) 및 고정부(24)는 덮개부(21)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가 진공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더 참고하면, 덮개부(21)는 덮개본체(211), 걸림편(212) 및 밸브 스토퍼(213)를 포함한다.
덮개본체(211)는 용기본체(10)의 개방부에 배치되어 클램프(도시하지 않음), 날개클립 따위의 결합수단으로 용기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덮개본체(211)와 용기본체(10)가 접하는 부분에는 기밀유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본체(211)는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용기본체(10)에 수용된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본체(211)는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본체(211)의 상면에는 패드안착홈(221g), 회전홈(211c) 및 안착홈(221g)이 형성되어 있다. 패드안착홈(221g), 회전홈(211c) 및 안착홈(221g)은 덮개본체(211)의 상면이 용기본체(10)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 패드안착홈(221g), 회전홈(211c) 및 안착홈(221g)은 덮개본체(211)의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펌프도구는 덮개본체(211)의 함몰된 부분에 위치한다.
패드밀착홈(211a)의 중앙에는 밸브홀(211b)이 관통되어 있다. 밸브홀(211b)의 둘레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밸브홀(211b)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본체(211)가 용기본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의 내부는 밸브홀(211b)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이에 진공압 형성 시 용기본체(10)의 공기는 밸브홀(21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덮개본체(211)의 최 상면을 기준으로 패드밀착홈(211a)의 깊이는 회전홈(211c)의 깊이보다 깊다. 이에 회전홈(211c)과 패드밀착홈(211a)은 단을 이루고 있다. 회전홈(211c)의 바닥 적어도 일부분은 함몰되어 스토퍼홈(211d)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홈(211d)은 90ㅀ범위로 형성되며 밸브홀(211b)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홈(211d)의 바닥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11e)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홈(211c)에서 스토퍼홈(211d)이 함몰되면서 형성되어 스토퍼홈(211d)의 양단에는 걸림턱(211f)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221g)은 밸브홀(211b)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폭이 다른 제1 홈(211h)과 제2 홈(211i)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홈(211i)은 제1 홈(211h)의 바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홈(211h)의 깊이는 덮개본체(211)의 최 상면을 기준으로 회전홈(211c)의 깊이보다 낮고, 제2 홈(211i)의 깊이는 회전홈(211c)의 깊이보다 낮다. 이에 제1 홈(211h)과 제2 홈(211i)은 다단을 이루며 제1 홈(211h)은 스토퍼홈(211d)을 통해 회전홈(211c)과 연결되어 있다.
걸림편(212)은 덮개본체(211)의 하면에서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212)은 밸브홀(211b)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밸브홀(211b)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걸림편(212)들은 경사면(212a)과 평면(212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면(212b)은 덮개본체(211)의 하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된 부분이다. 경사면(212a)은 덮개본체(211)의 하면과 평면(212b)을 연결한다.
밸브 스토퍼(213)는 걸림편(21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밸브 스토퍼(213)는 경사면(212a)과 평면(212b)의 경계로부터 가장 먼 평면(212b) 부분에서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밸브 스토퍼(213)는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다.
도 4를 더 참고하면, 밸브부(22)는 밸브몸체(221), 밀착패드(223) 및 당김편(225)을 포함한다. 밸브부(22)는 밸브 손잡이(222) 및 눌림편(2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22)는 밸브홀(211b)을 통해 외기가 진공압을 유지하는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밸브부(22)는 외력에 의해 눌릴 수 있는 실리콘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밸브몸체(221)는 덮개본체(211)의 외부에서 하부측이 밸브홀(211b)을 관통하고 있다. 이때 밸브몸체(221)는 억지끼움 형태로 밸브홀(211b)을 관통한다. 이에 밸브홀(211b)과 밸브몸체(221)의 사이를 통해 외기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몸체(221)의 상부측은 덮개본체(211)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부측은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밸브몸체(221)는 밸브홀(211b)을 관통한 상태에서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를 더 참고하면, 밀착패드(223)는 덮개본체(211)의 외측에서 밸브몸체(221)의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기설정된 두께와 넓이를 갖는다.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에 위치하여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과 접하고 있다. 밀착패드(223)의 밀착으로 외기가 밸브몸체(221)와 밸브홀(211b)의 둘레 사이를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한다. 밀착패드(223)의 밀착력에 따라 용기본체(10)의 내부 진공압 유지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당김편(225)은 밸브몸체(221)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당김편(225)의 상하 방향 두께는 밀착패드(223)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당김편(225)은 밸브몸체(2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당김편(225)은 밸브몸체(221)의 하부측이 밸브홀(211b)을 통과할 때 함께 통과하여 덮개본체(211)의 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당김편(225)은 이웃한 걸림편(212)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걸림편(212)의 평면(212b)과 접한다.
한편, 당김편(225)이 이웃한 걸림편(2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밸브몸체(22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당김편(225)은 걸림편(212)의 경사면(212a)과 접하면서 회전한다. 당김편(225)은 경사면(212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당김편(225)은 밸브몸체(221)를 용기본체(10)의 내부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밸브몸체(221)의 지속적인 회전으로 당김편(225)은 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편(212)의 평면(212b)에 위치하며, 밸브 스토퍼(213)에 걸리게 된다. 이때 밸브몸체(221)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당겨지는 밸브몸체(221)에 의해 밀착패드(223)의 하면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더욱 밀착되어 외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당김편(225)이 이웃한 걸림편(212)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걸림편(212)의 평면(212b)과 접하고 있을 때 펌프도구가 덮개본체(211)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밸브 손잡이(222)는 밸브몸체(221)의 상부측 외부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밸브 손잡이(222)는 날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잡고 당길 수 있다. 당김편(225)이 이웃한 걸림편(212)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밸브 손잡이(222)를 상부로 당기면 밸브몸체(221)는 상승할 수 있다. 이때 밀착패드(223)의 하면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떨어질 수 있다. 밸브몸체(221)가 상승할 때 외기가 밸브몸체(221)의 외부 둘레와 밸브홀(211b)의 둘레 사이를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진공용기의 진공압이 해제될 수 있다.
눌림편(224)은 밀착패드(223)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경사면(223a)과 평면(233b)을 갖는다. 눌림편(224)은 밀착패드(22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눌림편(224)은 외력에 의해 눌릴 수 있으며 이때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를 더 참고하면, 누름부(23)는 회전링(231), 회전 손잡이(232) 및 누름편(233)을 포함한다. 누름부(23)는 회전 스토퍼(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23)는 밀착패드(223)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눌림편(224)을 가압한다.
회전링(231)은 중앙 부분이 관통되어 관통홀(231c)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이 회전홈(211c)의 바닥에 놓여 회전홈(211c)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링(231)의 중앙으로 밸브 손잡이(222)가 노출되어 있다. 회전링(231)의 상면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회전링(231)의 하면 외측(231a) 부분은 회전홈(211c)과 접하며 내측(231b)은 밀착패드(223)의 상면과 마주한다. 회전링(231)의 내측(231b) 둘레는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와 접한다.
회전 손잡이(232)는 회전링(231)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232)는 회전링(2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사용자는 회전 손잡이(232)를 잡은 상태에서 회전링(2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누름편(233)은 회전링(231)의 내측(231b) 하면에서 밀착패드(223)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경사면(233a)과 평면(233b)을 갖는다. 누름편(233)의 경사면(233a)은 눌림편(224)의 경사면(224a)과 대응되게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누름편(233)은 회전링(2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누름편(233)은 회전링(231)의 회전에 따라 이웃한 눌림편(224)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눌림편(224)과 마주할 수 있다(도면 도 11 및 도 12 참조).
누름편(233)이 이웃한 눌림편(224)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링(231)이 회전하는 경우 누름편(233)의 경사면(223a)은 눌림편(224)의 경사면(224a)과 접하면서 회전한다. 이때 회전하는 회전링(231)이 승강하지 않고 정 자리에서 회전하므로 누름편(233)의 경사면(223a)은 눌림편(224)의 경사면(233a)을 누르게 된다. 회전링(231)의 회전으로 누름편(233)의 평면(233b)은 눌림편(224)의 평면(233b)과 접한다. 이때 눌림편(224)과 밀착패드(223)가 누름편(233)에 의해 압축되며, 밀착패드(223)의 하면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완전히 밀착되어 밀착패드(223)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 사이로 외기가 유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용기본체(10)의 진공압 유지 시간이 증가되어 식품 보존 기간 또한 오래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패드(223)가 누름부(23)에 의해 눌려 있으므로 용기본체(10)에서 발행하는 발효가스의 압력에 들리지 않는다. 이에 발효가스가 배출되면서 발효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회전 스토퍼(234)는 회전링(231)의 내측(231b)의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스토퍼홈(211d)에 위치한다. 회전 스토퍼(234)의 하면과 스토퍼홈(211d)의 바닥은 서로 접하고 있다. 서로 접하고 있는 회전 스토퍼(234)와 스토퍼홈(211d)에는 가이드돌기(234a)와 가이드홈(211e)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234a)가 가이드홈(211e)에 삽입되면서 회전링(231)은 흔들리지 않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회전 스토퍼(234)는 걸림턱(211f)과 접하면 회전링(231)은 회전하지 않는다. 아울러, 회전 스토퍼(234)가 걸림턱(211f)에 걸리면 누름편(233)의 평면(233b)과 눌림편(224)의 평면(233b)은 서로 접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부(24)는 고정몸체(241), 그리고 고정 가이드돌기(242)를 포함하며, 누름부(23)가 회전홈(211c)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누름부(23)를 지지한다.
고정몸체(241)는 제1 홈(211h)을 따라 위치하며 회전 스토퍼(234)의 상면과 접하여 누름부(23)가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고정몸체(241)의 중앙에는 관통홀(2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241b)의 둘레는 회전링(231)의 외측면과 마주한다.
고정몸체(241)의 상면에는 펌프도구가 위치할 수 있다. 돌출띠(241a)의 상면에는 펌프도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띠(241a)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돌출띠(241a)는 펌프도구의 위치를 설정하고 펌프 시 펌프도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고정 가이드돌기(242)는 고정몸체(24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고정몸체(24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고정 가이드돌기(242)는 제2 홈(211i)으로 삽입되어 있다. 고정 가이드돌기(242)는 제2 홈(211i)에 억지끼움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가이드돌기(242)의 삽입으로 고정부(24)는 덮개본체(211)의 상면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진공 용기 덮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부(22), 누름부(23) 및 고정부(24)가 결합된 덮개본체(211)를 용기본체(10)와 결합한다. 밸브부(22)의 당김편(225)이 걸림편(212)의 평면(212b)에 위치하도록 밸브부(22)를 회전시켜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밀착된다. 그리고 누름부(23)의 누름편(233)은 이웃한 눌림편(22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밀착패드(223)가 누름부(23)에 의해 눌리지 않도록 한다.
펌프도구를 고정부(24)에 위치시켜 돌출띠(241a)가 펌프도구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펌프도구의 내부는 패드밀착홈(211a)과 연결된다. 펌프도구가 작동하면 펌프도구의 내부 압력이 패드밀착홈(211a) 및 용기본체(10)의 내부 압력보다 낮게 되면서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서 들린다. 그리고 용기본체(10)의 공기는 밸브홀(211b)과 밸브몸체(221), 그리고 밀착패드(223)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 사이를 통해 배출된다. 펌프도구의 지속적인 작동으로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진공압이 형성된다.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된 상태에서 펌프도구를 제거하면 패드밀착홈(211a)의 주변은 대기압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0)의 진공압으로 밸브부(22)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당겨지게 되면서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더욱 밀착된다. 밀착패드(223)의 밀착으로 외기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여 진공압은 지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23)가 밀착패드(223)를 누르고 있으므로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착패드(223)가 들리지 않는다. 이에 발효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밀착패드(223)가 패드밀착홈(211a)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 손잡이(232)를 이용하여 회전링(231)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누름편(233)의 평면(233b)이 눌림편(224)의 평면(233b)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눌림편(224)은 누름편(233)에 의해 눌린다. 밸브부(22)가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어 누름편(233)이 눌림편(224)을 누를 때 밀착패드(223)는 압착되면서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더욱 밀착되어 외기의 유입을 더욱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용기본체(10)의 진공압 유지 시간을 더욱 지속할 수 있다.
덮개 분리를 위해 진공압 해제 시 회전 손잡이(232)를 이용하여 회전링(231)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링(231)의 회전으로 누름편(233)의 평면(233b)이 눌림편(224)의 평면(233b)을 벗어나게 되면서 누름편(233)은 이웃한 눌림편(224)의 사이에 위치한다.
밸브 손잡이(222)를 이용하여 밸브몸체(221)를 들어 올린다. 실리콘의 밸브몸체(221)는 늘어나면서 상승하고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서 떨어지게 된다. 외기가 밀착패드(223)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 사이, 그리고 밸브몸체(221)와 밸브홀(211b)의 사이를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용기본체(10)의 진공압이 해제될 수 있다.
진공압이 해제된 후 밸브부(22)를 회전시켜 당김편(225)이 걸림편(212)의 평면(212b)을 벗어나 이웃한 걸림편(2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밸브몸체(221)를 당기게 되면 당김편(225)이 덮개본체(211)의 하면과 접하게 되면서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서 더욱 떨어지게 된다. 용기본체(10)의 진공압 해제로 덮개는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누름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진공 용기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20a)는 덮개부(21), 밸브부(22) 및 누름부(23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1) 및 밸브부(22)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및 밸브부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1)는 걸림편(212)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23a)는 회전링(231d), 그리고 회전 손잡이(232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23a)는 누름편(23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링(231d)은 패드밀착홈(211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링(231d)의 중앙에는 밸브 손잡이(222)가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231e)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링(231d)의 하면은 밀착패드(223)와 마주한다. 회전링(231d)의 외부 둘레와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는 서로 접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는 나사(2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회전링(231d)과 덮개본체(211)는 나사(235) 결합되어 있다. 회전링(231d)과 덮개본체(211)의 결합 방식을 나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회전링(231d)은 나사(235)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패드밀착홈(211a)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누름편(233a)은 회전링(231d)의 하면에서 밀착패드(223)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누름편(233a)은 회전링(231d)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밀착패드(223)와 접하거나 밀착패드(223)에서 떨어질 수 있다. 누름편(233a)은 회전링(231d)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할수록 밀착패드(223)를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밀착시킨다. 누름편(233a)이 밀착패드(223)를 가압하게 되면서 발효가스에 의해 밀착패드(223)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서 들리지 않아 용기본체에서 발효가스가 배출되지 않는다.
회전 손잡이(232a)는 회전링(231d)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232a)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회전링(231d)에는 배기홀(236)이 형성되어 있다. 펌프도구가 덮개본체(211)에 배치되어 작동할 때 용기본체(10)(도면 도 1 참조)의 공기는 배기홀(23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기홀(236)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누름 덮개가 닫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8의 진공 용기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20b)는 덮개부(21), 밸브부(22) 및 누름부(23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1) 및 밸브부(22)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및 밸브부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1)는 걸림편(212)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23b)는 누름덮개(237), 덮개 손잡이(237b), 걸림홈(238a) 및 걸림돌기(238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23b)는 누름편(23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덮개(237)는 일측이 덮개본체(211)와 힌지(237a) 결합되어 있다. 누름덮개(237)는 힌지(237a)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누름덮개(237)의 하면에 누름편(233b)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편(233b)은 누름덮개(237)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밀착패드(223)를 누른다. 누름덮개(237)의 지름은 누름편(233b)의 지름보다 크다. 그러나 누름덮개(237)와 누름편(233b)의 지름은 같을 수 있다. 누름덮개(237)의 중앙에는 밸브 손잡이(222)가 돌출되도록 관통홀(231f)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덮개본체(211)에는 밀착패드(223)가 위치하고 누름편(233b)이 삽입되는 패드밀착홈(211a)과 연결되어 있고 누름덮개(237)가 위치하는 누름덮개홈(211j)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덮개홈(211j)의 지름은 상기 패드밀착홈(211a)의 지름보다 크다.
덮개 손잡이(237b)는 누름덮개(237)의 타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덮개 손잡이(237b)를 잡고 누름덮개(237)를 힌지(237a)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누름덮개(237)의 타측 하면에는 돌출편(238)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편(238)의 일면은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 일부분과 마주한다. 돌출편(238)의 일면에는 반원 형태로 함몰된 걸림홈(238a)이 형성되고 있고, 돌출편(238)과 마주하는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에는 반구 형태로 돌출된 걸림돌기(238b)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238b)가 걸림홈(238a)에 걸리면서 누름부(23b)는 덮개본체(211)에 고정된다.
걸림돌기(238b)가 걸림홈(238a)에 걸리면 누름편(233b)은 밀착패드(223)를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용기본체(10)(도면 도 1 참조)에서 밸브홀(211b)을 통해 배출되는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착패드(223)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서 들리지 않아 용기본체에서 발효가스가 배출되지 않는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진공 용기 덮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1의 누름 승강링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20c)는 덮개부(21), 밸브부(22) 및 누름부(23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1) 및 밸브부(22)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및 밸브부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1)는 걸림편(212)을 생략할 수 있다.
누름부(23c)는, 누름 승강링(239), 승강 가이드 돌기(239a) 및 탄성부재(239b)를 포함한다.
누름 승강링(239)은 패드밀착홈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누름 승강링(239)의 중앙에는 밸브 손잡이(222)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231g)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 승강링(239)은 하강하면서 밀착패드(223)를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돌기(239a)는 누름 승강링(239)의 외부 둘레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한편,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에는 승강 가이드 돌기(239a)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승강 가이드홈(211k)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 가이드홈(211k)은 패드밀착홈(211a)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에는 승강 가이드홈(211k)의 하부측과 수직하고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가이드홈(211m)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 가이드 돌기(239a)가 승강 가이드홈(211k)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가이드 돌기(239a)가 회전 가이드홈(211m)과 일치하면 누름 승강링(239)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승강 가이드 돌기(239a)가 회전 가이드홈(211m)을 따라 이동하면서 누름 승강링(239)은 회전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돌기(239a)가 회전 가이드홈(211m)에 위치한 상태에서 누름 승강링(239)은 고정되어 상승하지 않는다. 승강 가이드 돌기(239a)가 회전 가이드홈(211m)에 위치한 상태에서 누름 승강링(239)의 하면은 밀착패드(223)를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으로 누른다. 이에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용기본체(10)(도면 도 1 참조)에서 밸브홀(211b)을 통해 배출되는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착패드(223)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서 들리지 않아 용기본체에서 발효가스가 배출되지 않는다.
탄성부재(239b)는 패드밀착홈(211a)에 위치하여 하단이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과 접하고 상단이 누름 승강링(239)과 접한다. 탄성부재(239b)는 누름 승강링(239)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부재(239b)는 승강 가이드 돌기(239a)가 회전 가이드홈(211m)에 위치하고 있을 때 누름 승강링(239)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승강 가이드 돌기(239a)가 회전 가이드홈(211m)에서 승강 가이드홈(211k)에 위치하면 누름 승강링(239)이 탄성부재(239b)를 가압하는 압력이 해제되면서 누름 승강링(239)은 승강 가이드홈(211k)의 안내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누름 승강링(239)은 밀착패드(223)에서 떨어질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 내지 도 2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누름편과 회전링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26은 도 24의 진공 용기 덮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제1 물림부와 제2 물림부가 접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 덮개(20d)는 덮개부(21), 밸브부(22) 및 누름부(23d)를 포함한다. 진공 용기 덮개(20d)는 고정부(2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1) 및 밸브부(22)의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및 밸브부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1)는 걸림편(212)을 생략할 수 있다.
누름부(23d)는 회전링(231h), 누름편(233c), 제1 물림부(25a) 및 제2 물림부(25b)를 포함하며 밸브부(22)를 눌러 용기본체(10)(도면 도 1 참조)에서 발생한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밸브부(22)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회전링(231h)은 회전몸체(261), 그리고 가이드몸체(262)를 포함한다.
회전몸체(261)는 패드밀착홈(211a)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몸체(261)와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 사이에는 기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몸체(261)의 내부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회전몸체(261)의 상면에는 복수의 배기홀(236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몸체(261)의 상면에는 펌프도구가 결합될 수 있다. 펌프도구의 작동으로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기가 밸브홀(211b)과 배기홀(236a)을 통해 배출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부는 진공압이 형성된다.
가이드몸체(262)는 회전몸체(261)의 내부 상면에서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몸체(262)의 돌출 길이는 회전몸체(261)의 상하 길이 보다 짧다. 이에 가이드몸체(262)의 하면은 회전몸체(261)를 벗어나지 않는다. 가이드몸체(262)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밀착패드(223)와 마주한다.
제1 물림부(25a)는 가이드몸체(26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물림부(25a)는 가이드몸체(262)의 내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이 뿌리(251a)와 이웃한 이 뿌리(251a)의 사이에 형성된 이홈(253a)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뿌리(251a)는 경사지면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링(231h)은 회전몸체(261)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고정부(24a)에 의해 덮개부(21)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24a)에 의해 회전링(231h)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패드밀착홈(211a)의 둘레를 따라 회전한다.
누름편(233c)은 누름몸체(271), 그리고 누름가이드(272)를 포함하며 밀착패드(223)를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으로 가압한다.
누름몸체(271)는 밀착패드(223)의 상면과 직접 접하고 있다. 누름몸체(271)는 회전링(231h)의 회전에 따라 밀착패드(223)가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압력을 가한다. 그러나 단순히 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압력을 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0)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밀착패드(223)는 패드밀착홈(211a)의 바닥에서 들릴 수 있다.
누름가이드(272)는 누름몸체(271)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가이드몸체(26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밀착패드(223)가 들릴 때 누름몸체(271) 또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몸체(262)의 가이드로 누름몸체(271)는 반듯하게 움직일 수 있다.
제2 물림부(25b)는 누름가이드(272)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1 물림부(25a)와 마주한다. 제2 물림부(25b)는 제1 물림부(25a)와 동일한 이 뿌리(251b)와 이홈(253b)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링(231h)의 회전에 따라 제1 물림부(25a)의 이 뿌리(251a)의 봉우리면(252a)과 제2 물림부(25b)의 이 뿌리(251b)의 봉우리면(252b)이 서로 접하거나, 제1 물림부(25a)의 이 뿌리(251a)의 봉우리면(252a)과 제2 물림부(25b)의 이홈(253b)의 바닥이 마주하고, 제2 물림부(25b)의 이 뿌리(251a)의 봉우리면(252b)과 제1 물림부(25a)의 이홈(253a)의 바닥이 마주할 수 있다.
봉우리면(252a, 252b)과 이홈(253a, 253b)의 바닥이 서로 마주하면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회전링(231h)은 누름편(233c)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때 밀착패드(223)는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들릴 수 있다(도면 도 26 참조).
그러나 봉우리면(252a, 252b)이 서로 마주하면 누름편(233c)은 회전링(231h)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되면서 밀착패드(223)가 들리지 않도록 밀착패드(223)를 누른다(도면 도 27 참조). 이에 발효가스는 용기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진공 용기 10: 용기본체
20, 20a, 20b, 20c, 20d: 진공 용기 덮개 21: 덮개부
211: 덮개본체 211a: 패드밀착홈
211b: 밸브홀 211c: 회전홈
211d: 스토퍼홈 211e: 가이드홈
211f: 걸림턱 221g: 안착홈
211h: 제1 홈 211i: 제2 홈
211j: 누름덮개홈 211k: 승강 가이드홈
211m: 회전 가이드홈 212: 걸림편
212a, 224a, 233a: 경사면 212b, 224b, 233b: 평면
213: 밸브 스토퍼 22: 밸브부
221: 밸브몸체 222: 밸브 손잡이
223: 밀착패드 224: 눌림편
225: 당김편 23, 23a, 23b, 23c, 23d: 누름부
231, 231d, 231h: 회전링 231a: 외측
231c, 231e, 231f, 231g, 241b: 관통홀 231b: 내측
232, 232a: 회전 손잡이 233, 233a, 233b, 233: 누름편
234: 회전 스토퍼 234a: 가이드돌기
235: 나사 236, 236a: 배기홀
237: 누름덮개 237a: 힌지
237b: 덮개 손잡이 238: 돌출편
238a: 걸림홈 238b: 걸림돌기
239: 누름 승강링 239a: 승강 가이드 돌기
239b: 탄성부재 24, 24a: 고정부
241: 고정몸체 241a: 돌출띠
242: 고정 가이드돌기 25a: 제1 물림부
25b: 제2 물림부 251a, 251b: 이 뿌리
252a, 252b: 봉우리면 253a, 253b: 이홈
261: 회전몸체 262: 가이드몸체
271: 누름몸체 272: 누름가이드

Claims (23)

  1. 밸브홀이 형성된 덮개부,
    상기 밸브홀에 배치되어 있고 진공압을 유지하는 밸브부 및
    상기 덮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부를 상기 밸브홀의 주변에 밀착시키는 누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밸브홀이 형성된 덮개본체,
    상기 덮개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경사면과 평면으로 이루어진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평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부의 회전을 한정하는 밸브 스토퍼
    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덮개.
  2. 제1항에서,
    상기 덮개부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누름부가 위치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3. 제1항에서,
    상기 걸림편과 상기 밸브 스토퍼는 상기 밸브홀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4. 제3항에서,
    상기 밸브부는,
    밸브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밸브홀을 관통하는 밸브몸체,
    상기 밸브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의 평면에 위치하여 상기 밸브 스토퍼에 걸리는 당김편 및
    상기 밸브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본체의 상면에서 상기 밸브홀의 주변을 덮는 밀착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의 평면과 접하는 상기 당김편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는 당겨지고 상기 밀착패드는 상기 밸브홀의 주변에 밀착되는
    진공 용기 덮개.
  5. 제4항에서,
    상기 밸브 손잡이는 상기 밸브몸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6. 제4항에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밀착패드에서 돌출되어 경사면과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누름부에 의해 눌리는 눌림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눌림편은 상기 밀착패드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7. 제6항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덮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링,
    상기 회전링에 형성된 회전 손잡이 및
    상기 회전링에서 돌출되어 경사면과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눌림편을 누르는 누름편
    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편은 상기 회전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배열된 상기 눌림편과 마주하며, 상기 밸브 손잡이는 상기 회전링의 중앙을 통해 노출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8. 제7항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전링의 외부 둘레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의 회전 범위를 한정하는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회전링이 접하는 회전홈과 상기 회전 스토퍼가 접하는 스토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스토퍼가 상기 스토퍼홈의 걸림턱에 걸리면 상기 누름편의 평면과 상기 눌림편의 평면이 서로 접하여 상기 밀착패드가 상기 밸브홀의 주변에 밀착되는
    진공 용기 덮개.
  9. 제8항에서,
    상기 회전 스토퍼와 상기 회전홈의 바닥 사이에는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링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진공 용기 덮개.
  10. 제4항에서,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밀착패드가 접하는 패드밀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에 상기 밸브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패드밀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회전링, 그리고
    상기 회전링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 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밸브 손잡이는 노출되는
    진공 용기 덮개.
  11. 제10항에서,
    상기 회전링의 외부둘레와 상기 패드밀착홈의 둘레 사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과 상기 덮개본체는 나사 결합되는 진공 용기 덮개.
  12. 제10항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회전링의 하면에서 상기 밀착패드를 향해 돌출되어 접하고 있고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누름편을 더 포함하는 진공 용기 덮개.
  13. 제4항에서,
    상기 누름부는,
    일측이 상기 덮개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있고 하면이 상기 밀착패드를 누르는 누름덮개,
    상기 누름덮개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덮개 손잡이,
    상기 누름덮개의 타측과 상기 덮개본체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홈 및 걸림돌기
    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덮개.
  14. 제13항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누름덮개의 하면에서 상기 밀착패드를 향해 돌출되어 접하고 있고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누름편을 더 포함하는 진공 용기 덮개.
  15. 제14항에서,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밀착패드가 위치하고 상기 누름편이 삽입되는 패드밀착홈과 상기 패드밀착홈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누름덮개가 위치하는 누름덮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덮개홈의 지름은 상기 패드밀착홈의 지름보다 큰 진공 용기 덮개.
  16. 제4항에서,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밀착패드가 접하는 패드밀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에 상기 밸브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패드밀착홈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할 수 있는 누름 승강링,
    상기 누름 승강링의 외부 둘레에서 돌출되어 있는 승강 가이드 돌기 및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과 상기 누름 승강링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밀착홈의 둘레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승강 가이드홈과, 상기 승강 가이드홈과 수직하고 상기 패드밀착홈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강 가이드 돌기가 상기 회전 가이드홈과 일치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 승강링은 상기 회전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회전된 상기 누름 승강링은 고정되어 승강하지 않고 상기 밀착패드를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을 누르고 있는
    진공 용기 덮개.
  17. 제4항에서,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밀착패드가 접하는 패드밀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에 상기 밸브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패드밀착홈에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내부가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회전링,
    상기 회전링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누름편,
    상기 누름편에 형성된 제1 물림부 및
    상기 회전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물림부와 접하는 제2 물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물림부와 상기 제2 물림부는 접하거나 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물림부와 상기 제2 물림부가 접하면 상기 회전링은 상기 누름편을 눌러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진공 용기 덮개.
  18. 제17항에서,
    상기 회전링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덮개부와 결합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누름부가 위치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19. 제17항에서,
    상기 회전링은,
    내부가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누름편이 위치한 회전몸체,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제1 물림부가 형성된 가이드몸체
    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덮개.
  20. 제19항에서,
    상기 누름편은,
    상기 밀착패드를 가압하는 누름몸체, 그리고
    상기 누름몸체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내부로 삽입된 누름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물림부는 상기 누름가이드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21. 제3항에서,
    상기 덮개본체에는, 상기 밸브부의 밀착패드가 접하는 패드밀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밀착홈의 바닥에 상기 밸브홀이 형성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22. 제1항에서,
    상기 누름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누름부에 의해 눌리어 압착되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진공 용기 덮개.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진공 용기 덮개, 그리고
    내부에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공 용기 덮개가 결합되는 용기본체
    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KR1020190141891A 2019-11-07 2019-11-07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KR10225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891A KR102256336B1 (ko) 2019-11-07 2019-11-07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PCT/KR2020/012503 WO2021091075A1 (ko) 2019-11-07 2020-09-16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891A KR102256336B1 (ko) 2019-11-07 2019-11-07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447A KR20210055447A (ko) 2021-05-17
KR102256336B1 true KR102256336B1 (ko) 2021-05-27

Family

ID=7584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891A KR102256336B1 (ko) 2019-11-07 2019-11-07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6336B1 (ko)
WO (1) WO20210910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825A (ko) * 2008-12-24 2010-07-02 김남주 밀폐 용기
KR100969703B1 (ko) 2010-03-22 2010-07-14 김용국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101161732B1 (ko) * 2010-08-02 2012-07-11 구정오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101126772B1 (ko) 2010-10-12 2012-03-29 김용국 진공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KR20110098885A (ko) * 2011-08-17 2011-09-02 김용국 진공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JP6664285B2 (ja) * 2016-06-29 2020-03-13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容器蓋及び容器と容器蓋との組み合わせ
US10793325B2 (en) * 2018-04-17 2020-10-06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Food storage and cooking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1075A1 (ko) 2021-05-14
KR20210055447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4480A (en) Vacuum canister
WO2011090249A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JP2004244106A (ja) 食品保存用真空容器
US8919610B2 (en) Vacuum bottle stopper for wine and method
US9096365B2 (en) Vacuum generating apparatus and vacuum contain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4520901A5 (ko)
US9656847B2 (en) Vacuum bottle stopper for introducing inert gas into a wine container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100429069B1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102256336B1 (ko) 진공 용기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용기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101126772B1 (ko) 진공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용기
US20200039724A1 (en) Vacuum-sealed container
KR101445641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400783B1 (ko) 내부압력 배출과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JP2016083052A (ja) 1つのバルブで鍋の一定圧力維持及び真空誘導が可能なバルブが取り付けられた調理用鍋
KR101240668B1 (ko) 저진공 조리용기의 밀폐장치
US20180201428A1 (en) Object Retention and Storage System
AU2003269509A1 (en) Check valve for vacuum packing bags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101108079B1 (ko) 진공 유지 및 해지 장치를 구비한 마개
KR100675485B1 (ko) 조리 용기
KR100554653B1 (ko) 진공커버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20090006407U (ko) 음식물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