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693B1 - 시서스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시서스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693B1
KR102255693B1 KR1020210023483A KR20210023483A KR102255693B1 KR 102255693 B1 KR102255693 B1 KR 102255693B1 KR 1020210023483 A KR1020210023483 A KR 1020210023483A KR 20210023483 A KR20210023483 A KR 20210023483A KR 102255693 B1 KR102255693 B1 KR 10225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seedling
soil
sisus
cul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화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화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화무역
Priority to KR102021002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서스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정하게 조성된 토양조성물을 사용하여 시서스 모종을 수차례 걸쳐 이식하면서 재배한 후 토양에 정식함으로써 정식 후 농약 살포나 시비 없이도 단기간에 유효성분함량이 높은 시서스를 재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방법은, 시서스 모종을 준비하는 단계;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화분에 시서스 모종을 삽목하여 재배하는 화분 삽목 재배 단계;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1~4차에 걸쳐 이식하면서 재배하는 화분 이식 재배 단계; 화분 이식 재배 단계가 끝난 후 토양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토양 재배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서스의 재배방법{Cultivation method of Cissus quadrangularis}
본 발명은 시서스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정하게 조성된 토양조성물을 사용하여 시서스 모종을 수차례 걸쳐 이식하면서 재배한 후 토양에 정식함으로써 정식 후 농약 살포나 시비 없이도 단기간에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시서스를 재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서스(Cissus quadrangularis Linn, 시서스 쿼드랑굴라리스)는 갈매나무목 포도과 시서스속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시서스는 담쟁이덩굴과 비슷하게 자라는데, 속명인 'Cissus'는 그리스어로 '담쟁이덩굴'을 뜻한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 원산지이며 전세계적으로 약 350종이 분포한다. 시서스에는 '포도아이비'라고 불리는 생명력이 강한 엔렌다니카, '캥거루아이비'라고 불리는 안타르티카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줄기는 목질화해서 덩굴손이 없으며, 잎은 길이 10cm 정도로 단엽(홑잎)이고 가죽과 같은 느낌을 가지며 두껍다. 꺾꽂이로 번식하고, 생명력이 강해 기르기가 쉬워서 흔히 볼 수 있는 관엽식물이다. 시서스 안타르티카는 잎이 난형으로 밝은 녹색이고 가장자리에 엉성한 톱니가 있다. 덩굴손이 있어서 다른 물체에 매달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끈으로 연결시켜 유인하여 기를 수 있다. 오존에 민감해 오존에 의한 피해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기를 때 오존경보장치 기능을 할 수 있다.
아시아, 아프리카 및 아라비아 반도의 특정 지역에 서식하는 시서스는 오랫동안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자연 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시서스는 우리 몸에서 비만과 관련된 호르몬에 균형을 잡아 주는데 그 중에서도 식욕억제호르몬인 렙틴과 지방합성억제호르몬인 아디포넥틴을 조절해 체중 감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시서스에 들어있는 항산화성분은 몸에 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감소시켜 고혈압, 동맥경화 등 다양한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세로토닌 배출을 증가시켜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주고, 치아 및 뼈의 건강, 염증감소, 호흡장애 개선, 당뇨예방, 면역력 증진, 생리통 완화 등의 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다이어트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시서스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효능이 탁월하고, 시서스에 함유된 퀘르세틴, 이소람네팅 성분이 지방을 분해시키는 효과는 우수하면서 부작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서스는 해외에서는 가공식품, 약용식품, 식품 등의 재료로 쓰이고 있으며 지방 흡수는 물론 지방세포 내 지방 합성과 축적을 억제한다는 것이 입증되면서 이미 많은 다이어트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시서스는 한번에 파종 또는 삽목하여 이식없이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통상 1년 이상 1년 2개월 정도 재배하여야 수확이 가능하다. 열대와 아열대 기후에서 자라는 식물이므로 평균 21~25℃의 온도에서 40~70% 습도를 유지하면서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보다 높은 고온에서는 유효성분이 제대로 나오지 않고 21℃ 이하의 온도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시서스 재배방법에서는 많은 지역에서 수시로 농약을 살포하고 있어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생산된 시서스에 농약이 축적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8621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6160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104388호
본 발명은 일정하게 조성된 토양조성물을 이용한 모종 이식 재배를 통해 시서스의 뿌리 활착이 왕성하고 건강하며 성장이 빨라 빠른 수확이 가능하고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시서스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토양조성물을 이식 재배에 사용하여 정식 후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농약 살포나 시비 없이도 병충해를 방지하고 잘 자랄 수 있으므로, 농약이나 비료의 사용을 없애거나 크게 줄일 수 있고 농약이나 비료의 사용이 제한된 지역에서도 시서스를 재배할 수 있는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시서스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온에서도 잘 자라고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시서스를 얻을 수 있는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서스 모종을 준비하는 단계;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화분에 상기 시서스 모종을 이식하여 재배하는 모종 이식 재배 단계;
상기 모종 이식 재배한 시서스를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보다 큰 화분에 1회 이상 수차례 이식하면서 재배하는 묘목 이식 재배 단계;
상기 묘목 이식 재배 단계가 끝난 후 토양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토양 재배 단계를 포함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재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화분에 시서스 모종을 이식하여 20~30일 동안 재배하는 모종 이식 재배 단계;
상기 모종 이식 재배한 시서스를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하는 1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상기 1차 이식 재배한 시서스를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하는 2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상기 2차 이식 재배한 시서스를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하는 3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및
상기 3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가 끝난 후 토양에 정식하여 4개월 이상 재배하는 토양 재배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30~50:20~40:20~4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70~12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35~45:25~35:25~3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온도 35~39℃, 습도 30~40%로 90~10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다.
상기 부엽토 발효물은, 바람직하게는 부엽토 또는 낙엽에 액비를 살포하면서 40~8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엽토 또는 낙엽에 8~12배 희석한 액비를 90~100:5의 중량비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22~28회 살포하고 온도 35~39℃, 습도 60~80%로 45~6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다.
상기 팜박 발효물은, 바람직하게는 팜박에 액비를 살포하면서 40~8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팜박에 18~22배 희석한 액비를 80~100:10의 중량비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22~28회 살포하고 온도 35~39℃, 습도 60~80%로 45~6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다.
상기 액비는,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토착미생물 배양액을 생선부산물과 사탕수수박을 포함하는 혼합 부산물에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은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비는, 생선부산물 20~30중량부, 해수 30~40중량부 및 사탕수수박 15~25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부산물에, 부엽토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토착미생물 배양액 8~12중량부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 후 30~40℃로 40~80시간 동안 1차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숙성 후 액체만 분리하여 쌀겨분말 8~12중량부를 첨가하고 30~40℃로 40~80시간 동안 2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재배방법에서 묘목 이식 재배 단계는 화분에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과 낙엽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 사용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과 낙엽이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방법은 일정 비율로 조성된 토양조성물을 이용하여 시서스 어린 모종을 화분에서 수차례 이식하면서 재배한 후 토양에 정식함으로써 시서스의 뿌리 활착이 왕성하여 뿌리가 현저하게 건강하고, 성장이 빨라 빠른 수확이 가능하며, 단기간에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은 시서스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종을 식재하고 1년 이상이 경과하여야 시서스의 수확이 가능하던 종래 방법과 달리,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따르면 시서스 어린 모종을 토양에 정식한 후 4개월 후부터 수확이 가능하고, 본격적인 수확은 6개월 후부터 가능하며, 2개월에 한번씩 줄기를 수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방법은 정식 후 별도의 농약 살포나 시비 없이 시서스를 건강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농약이나 비료의 사용이 금지된 지역에서도 환경오염 없이 시서스를 친환경적으로 안전하게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방법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시서스를 재배하는 온도인 21~25℃에 비해 높은 온도인 28~33℃의 고온에서도 시서스가 잘 자라며, 유효성분 함량이 높은 시서스를 수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화산토의 사진이다.
도 2는 부엽토과 액비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과정의 사진이다.
도 3은 부엽토과 액비를 혼합하여 3주 동안 발효시켰을 때의 사진이다.
도 4는 팜박과 액비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과정의 사진이다.
도 5는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혼합한 사진이다.
도 6은 재배할 시서스 모종의 사진이다.
도 7은 화분에 이식된 시서스 모종의 사진이다.
도 8은 화분에 이식된 시서스 모종이 일정하게 성장한 묘목 사진이다.
도 9는 1차 묘목 이식 재배 중인 시서스의 사진이다.
도 10은 2차 묘목 이식 재배 중인 시서스의 사진이다.
도 11은 2차 묘목 이식 후 일정하게 성장하여 3차 묘목 이식되기 전의 시서스 사진이다.
도 12는 3차 묘목 이식 재배 중인 시서스의 사진이다.
도 13은 토양에 식목 후 3개월이 지난 시서스의 사진이다.
도 14는 토양에 식목 후 4개월이 지난 시서스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방법은,
시서스 모종을 준비하는 단계;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화분에 시서스 모종을 이식하여 재배하는 모종 이식 재배 단계;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묘목을 1회 이상 수차례 이식하면서 재배하는 묘목 이식 재배 단계; 묘목 이식 재배 단계가 끝난 후 토양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토양 재배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은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포함한다.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30~50:20~40:20~4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70~12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35~45:25~35:25~3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온도 35~39℃, 습도 30~40%로 90~10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40:30: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발효시킨다.
상기 화산토는 화산 분출물을 기본 재료로 하여 생성된 토양으로, 본 발명에서 '화산토'는 이러한 화산토에 흙을 최대 2배 중량 혼합한 것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상기 부엽토 발효물은 부엽토 또는 낙엽에 액비를 혼합하고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엽토 또는 낙엽에 액비를 살포하면서 40~8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엽토 또는 낙엽에 8~12배 희석한 액비를 90~100:5의 중량비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22~28회 살포하고 온도 35~39℃, 습도 60~80%로 45~6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부엽토(腐葉土)는 나뭇잎이나 작은 가지 등이 미생물에 의해 부패, 분해되어 생긴 흙을 말한다. 상기 부엽토는 자연에서 채취하여 사용하거나 상품화되어 있는 부엽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팜박 발효물은 팜박에 액비를 혼합하고 발효시켜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팜박에 액비를 살포하면서 40~8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팜박에 18~22배 희석한 액비를 80~100:10의 중량비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22~28회 살포하고 온도 35~39℃, 습도 60~80%로 45~6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액비(liquid fertilizer, 液肥)는 액체 상태의 비료를 말한다. 액비는 상품화된 다양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비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토착미생물 배양액을 사용하여 생선부산물과 사탕수수박을 포함하는 혼합 부산물을 발효시켜 얻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비는, 토착미생물 배양액을 생선부산물과 사탕수수박을 포함하는 혼합 부산물에 접종하는 단계; 접종 후 1차 숙성시키는 단계; 및 1차 숙성 후 액체만 분리하여 2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생선부산물 20~30중량부, 해수 30~40중량부 및 사탕수수박 15~25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부산물에, 부엽토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토착미생물 배양액 8~12중량부를 접종한다.
상기 접종 후 30~40℃로 40~80시간 동안 1차 숙성시키며, 바람직하게는 36~38℃로 48~60시간 동안 1차 숙성시킨다.
상기 1차 숙성 후 액체만 분리하여 2차 숙성시켜 액비를 제조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액체에 쌀겨분말을 첨가하고 30~40℃로 40~80시간 동안 2차 숙성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된 액체에 쌀겨분말 8~12중량부를 첨가하고36~38℃로 48~60시간 동안 2차 숙성시킨다.
이러한 숙성의 전과정은 숙성탱크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선부산물로는 생선 가공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은 물론 상품성이 낮은 다양한 어종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액비는 상기 부엽토 발효시 8~12배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배 정도 희석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팜박 발효 시에는 이렇게 얻어진 액비를 18~22배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배 정도 희석하여 사용한다. 액비를 희석할 때는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하여 희석할 수 있다.
상기 토착미생물 배양액은 부엽토, 토양으로부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균주를 분리하여 배양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을 사용하여 시서스 모종을 화분에서 수차례 이식 재배한 후 토양에 정식하면, 토양조성물에서 시서스 뿌리에 미생물이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 이후 토양 정식 후 별도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도 병충해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뿌리 활착이 왕성하여 뿌리가 현저하게 건강하고 성장이 빨라지게 되며, 유효성분의 함량도 높아지게 된다.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방법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화분에 시서스 모종을 이식 재배하는 모종 이식 재배 단계; 화분에서 성장한 묘목을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좀더 큰 화분으로 이식 재배하는 1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좀더 큰 화분으로 이식 재배하는 2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좀더 큰 화분으로 이식 재배하는 3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토양에 정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재배할 시서스 모종을 준비한다. 시서스 모종은 시서스를 삽목하여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배할 시서스 모종은 길이 5~1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서스 모종을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을 담은 제1 화분에 이식하여 통상 20~30일 동안 1차 재배한다. 1차 재배를 위한 화분은 시서스 모종의 재배에 적합하도록 직경 5~10cm의 화분이 바람직하다.
화분에 이식한 모종이 일정하게 성장하여 묘목이 되면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제2화분에 묘목을 1차로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한다. 제2화분은 제1화분 보다 큰 것을 사용하며, 직경 6~12cm의 화분이 바람직하다.
1차 묘목 이식 재배 후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제3화분에 2차로 묘목을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한다. 제3화분은 제2화분 보다 큰 것을 사용하며, 직경 10~15cm의 화분이 바람직하다.
2차 묘목 재배한 후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제4화분에 3차로 묘목을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한다. 제4화분은 제2화분 보다 큰 대형 화분을 사용하며, 직경 15~20cm의 화분이 바람직하다.
상기 묘목 이식 재배 단계에서는 화분에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과 낙엽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차 및 3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에서 토양조성물과 낙엽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과 낙엽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과 낙엽은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2.5:1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묘목 이식 재배가 끝난 후 시서스를 토양에 정식하여 4개월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월~6개월 토양 재배한다.
상기와 같이 시서스를 재배하는 과정에서 해뜨기 전과 해진 후 1일 2회 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배 온도는 일반적인 시서스 재배 온도인 평균 21~25℃는 물론 이보다 높은 평균 28~33℃의 온도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습도는 30~8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재배한 시서스는 토양에 정식하고 4개월 후부터 수확이 가능하고, 본격적인 수확은 6개월 후부터 가능하며, 2개월에 한번씩 줄기를 수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서스 재배방법은, 상기와 같이 최적화된 토양 미생물 환경과 영양 조건에서 일정 기간 재배한 후 토양에 정식함으로써 정식 후 비료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서스의 성장이 빠르고 병충해에 강하며 28~33℃의 고온에서도 시서스를 재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서스 재배용 토양 조성물의 제조
부엽토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토착미생물 배양액 10㎏을 생선부산물 30㎏, 해수 30㎏ 및 사탕수수박 20㎏을 혼합한 혼합물에 접종하여 숙성탱크에서 36~38℃로 52시간 동안 1차 숙성시켰다. 1차 숙성 후 액체만을 추출하여 쌀겨분말 10㎏을 첨가하고 36~38℃로 52시간 동안 2차 숙성시켜 액비를 제조하였다.
화산토를 준비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화산토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부엽토(SAMUDERA사 제조) 95㎏에 10배 희석한 액비 5㎏을 48시간 간격으로 25회 살포하여 온도 35~39℃, 습도 60~80%로 50일 동안 발효시켜 부엽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부엽토와 액비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과정을 도 2와 3에 나타내었다.
팜박 90㎏에 20배 희석한 액비 10㎏을 48시간 간격으로 25회 살포하여 온도 35~39℃, 습도 60~80%로 50일 동안 발효시켜 팜박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팜박과 액비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과정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부엽토 발효물 90㎏, 팜박 발효물 90㎏ 및 화산토 120㎏을 혼합하고 35~39℃, 습도 30~40%로 95일 동안 발효시켜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혼합한 상태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시서스 재배용 토양 조성물의 제조
액비로 Ori-Ocean Blue사로부터 구입한 액비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산토,
<실시예 3>
시서스 재배용 토양 조성물의 제조
부엽토로 Ori-Ocean Blue사에서 구입한 부엽토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시서스의 재배
시서스를 삽목하여 재배할 시서스 모종을 준비하였다. 재배할 시서스 모종의 사진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을 시서스의 재배에 사용하였다.
소형의 제1화분에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을 담고 시서스 모종을 이식하여 30일 동안 재배하였다. 도 7은 화분에 이식된 시서스 모종의 사진이고 도 8은 시서스 모종이 일정하게 성장한 묘목 사진이다.
모종 이식 재배 후 일정하게 성장한 시서스 묘목을 1차로 시서스 재배용 일토양조성물을 담은 보다 큰 제2화분(중형화분)에 이식하여 30 동안 재배하였다(1차 묘목 이식 재배). 도 9는 1차 묘목 이식 재배 중인 시서스의 사진이다.
1차 묘목 이식 재배된 시서스를 2차로 보다 큰 제3화분(대형화분)에 이식하여 30 동안 재배하였다(2차 묘목 이식 재배). 이때 화분에는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과 낙엽을 2:1로 혼합하여 담았다. 도 10은 2차 묘목 이식 재배 중인 시서스의 사진이고, 도 11은 일정하게 성장하여 3차 묘목 이식되기 전의 사진이다.
2차 묘목 이식되어 도 11과 같이 성장한 시서스를 3차로 가장 큰 대형화분인 제4화분에 이식하여 40일 동안 재배하였다(3차 묘목 이식 재배). 이때 화분에는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과 낙엽을 1:1로 혼합하여 담았다. 도 12는 3차 묘목 이식 재배 중인 시서스의 사진이다.
3차 묘목 이식 재배된 시서스가 도 12와 같이 성장하면, 토양에 정식하였다. 도 13은 식목 후 3개월이 지난 시서스의 사진이다. 도 14는 식목 후 4개월이 지나 수확이 가능한 시서스의 사진이다.
상기 시서스의 재배과정에서 매일 2회, 해뜨기 전과 해진 후에 관수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액비로 발효시킨 부엽토 발효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 사용된 방법 또는 장비
질소(as N)(As is basis) %w/w 0.8 MS417:1994
질소(as N)(Dry basis) %w/w 6.3 MS417:1994
인(as P2O5)(As is basis) %w/w 0.3 MS417:1994
인(as P2O5)(Dry basis) %w/w 2.4 MS417:1994
칼륨(as K2O)(As is basis) %w/w 0.3 MS417:1994
칼륨(as K2O)(Dry basis) %w/w 2.4 MS417:1994
휴믹산(As is basis) %w/w 0.6 in House Method
휴믹산(Dry basis) %w/w 4.7 in House Method
붕소(as B2O3)(As is basis) mg/kg 182.0 AOAC 982.01, 17th Ed
붕소(as B2O3)(Dry basis) mg/kg 0.1 AOAC 982.01, 17th Ed
마그네슘(as MgO)(As is basis) %w/w 678.2 MS417:1994
마그네슘(as MgO)(Dry basis) %w/w 0.5 MS417:1994
구리(as Cu)(As is basis) mg/kg 8.8 AOAC 965.09, 17th Ed
구리(as Cu)(Dry basis) mg/kg 69.3 AOAC 965.09, 17th Ed
아연(as Zn)(As is basis) mg/kg 70.9 AOAC 965.09, 17th Ed
아연(as Zn)(Dry basis) mg/kg 558.0 AOAC 965.09, 17th Ed
수분 %w/w 87.3 oven(2시간, 105℃)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생선부산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 사용된 방법 또는 장비
질소(as N)(Dry basis) %w/w 7.1 MS417:1994
인(as P2O5)(Dry basis) %w/w 2.7 MS417:1994
칼륨(as K2O)(Dry basis) %w/w 8.9 MS417:1994
수분 %w/w 88.8 oven(2시간, 105℃)
<실험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액비의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 사용된 방법 또는 장비
질소(as N)(Dry basis) %w/w 10.9 MS417:1994
인(as P2O5)(Dry basis) %w/w 1.6 MS417:1994
칼륨(as K2O)(Dry basis) %w/w 15.6 MS417:1994
수분 %w/w 93.6 oven(2시간, 105℃)
<실험예 4>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액비(Ori-Ocean Blue사)의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 사용된 방법 또는 장
질소(as N)(As is basis) %w/w 13.6 MS417:1994
인(as P2O5)(As is basis) %w/w 4.5 MS417:1994
칼륨(as K2O)(Dry basis) %w/w 4.5 MS417:1994
휴믹산(Dry basis) %w/w 36.4 in House Method
붕소(as B2O3)(Dry basis) mg/kg 679.5 AOAC 982.01, 17th Ed
마그네슘(as MgO)(Dry basis) %w/w 1.1 MS417:1994
구리(as Cu)(Dry basis) mg/kg ND<0.1 AOAC 965.09, 17th Ed
아연(as Zn)(Dry basis) mg/kg 193.2 AOAC 965.09, 17th Ed
수분 %w/w 95.6 oven(2시간, 105℃)
아르기닌 %w/w 2.34 AOAC 994.12&JAOAC,Vol71,No6,1988
아스파르트산 %w/w 0.00 AOAC 994.12&JAOAC,Vol71,No6,1988
알라닌 %w/w 0.00 AOAC 994.12&JAOAC,Vol71,No6,1988
글루탐산 %w/w 0.00 AOAC 994.12&JAOAC,Vol71,No6,1988
글리신 %w/w 0.12 AOAC 994.12&JAOAC,Vol71,No6,1988
히스티딘 %w/w 0.00 AOAC 994.12&JAOAC,Vol71,No6,1988
아이소류신 %w/w 0.12 AOAC 994.12&JAOAC,Vol71,No6,1988
류신 %w/w 0.15 AOAC 994.12&JAOAC,Vol71,No6,1988
라이신 %w/w 0.11 AOAC 994.12&JAOAC,Vol71,No6,1988
메타이오닌 %w/w 0.07 AOAC 994.12&JAOAC,Vol71,No6,1988
페닐알라닌 %w/w 0.00 AOAC 994.12&JAOAC,Vol71,No6,1988
프롤린 %w/w 0.00 AOAC 994.12&JAOAC,Vol71,No6,1988
세린 %w/w 0.04 AOAC 994.12&JAOAC,Vol71,No6,1988
타이로신 %w/w 0.17 AOAC 994.12&JAOAC,Vol71,No6,1988
트레오닌 %w/w 0.35 AOAC 994.12&JAOAC,Vol71,No6,1988
발린 %w/w 0.06 AOAC 994.12&JAOAC,Vol71,No6,1988
<실험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부엽토(SAMUDERA사 제조)의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 사용된 방법 또는 장비
질소(as N)(Dry basis) %w/w 0.72 KJELDAHL
인(as P2O5)(Dry basis) %w/w 0.57 COLORIMETERIC
칼륨(as K2O)(Dry basis) %w/w 0.005 AAS
붕소(B)(Dry basis) %w/w 0.007 AAS
마그네슘(as MgO)(Dry basis) %w/w 0.12 AAS
<실험예 6>
실시예 3에서 사용한 부엽토(Ori-Ocean Blue사 제조)의 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결과 사용된 방법 또는 장비
질소(as N)(Dry basis) %w/w 0.60 KJELDAHL
인(as P2O5)(Dry basis) %w/w 0.31 COLORIMETERIC
칼륨(as K2O)(Dry basis) %w/w 0.003 AAS
붕소(B)(Dry basis) %w/w 0.012 AAS
마그네슘(as MgO)(Dry basis) %w/w 0.044 AAS

Claims (8)

  1. 시서스 모종을 준비하는 단계;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화분에 상기 시서스 모종을 이식하여 재배하는 모종 이식 재배 단계;
    상기 모종 이식 재배한 시서스를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1회 이상 수차례 이식하면서 재배하는 묘목 이식 재배 단계;
    상기 묘목 이식 재배 단계가 끝난 후 토양에 정식하여 재배하는 토양 재배 단계를 포함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이 담긴 화분에 시서스 모종을 이식하여 20~30일 동안 재배하는 모종 이식 재배 단계;
    상기 모종 이식 재배한 시서스를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하는 1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상기 1차 이식 재배한 시서스를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하는 2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상기 2차 이식 재배한 시서스를 상기 토양조성물이 담긴 더 큰 화분에 이식하여 30~40일 동안 재배하는 3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 및
    상기 3차 묘목 이식 재배 단계가 끝난 후 토양에 정식하여 4개월 이상 재배하는 토양 재배 단계를 포함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은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30~50:20~40:20~4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70~12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은 화산토, 부엽토 발효물 및 팜박 발효물을 35~45:25~35:25~3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온도 35~39℃, 습도 30~40%로 90~10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엽토 발효물은 부엽토 또는 낙엽에 액비를 살포하면서 40~8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고,
    상기 팜박 발효물은 팜박에 액비를 살포하면서 40~8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며,
    상기 액비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토착미생물 배양액을 생선부산물과 사탕수수박을 포함하는 혼합 부산물에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비는,
    생선부산물 20~30중량부, 해수 30~40중량부 및 사탕수수박 15~25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부산물에, 부엽토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포함하는 토착미생물 배양액 8~12중량부를 접종하는 단계;
    상기 접종 후 30~40℃로 40~80시간 동안 1차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숙성 후 액체만 분리하여 쌀겨분말 8~12중량부를 첨가하고 30~40℃로 40~80시간 동안 2차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엽토 발효물은 부엽토 또는 낙엽에 8~12배 희석한 액비를 90~100:5의 중량비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22~28회 살포하고 온도 35~39℃, 습도 60~80%로 45~6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이며,
    상기 팜박 발효물은 팜박에 18~22배 희석한 액비를 80~100:10의 중량비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22~28회 살포하고 온도 35~39℃, 습도 60~80%로 45~60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묘목 이식 재배 단계는 화분에 시서스 재배용 토양조성물과 낙엽이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담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서스의 재배방법.
KR1020210023483A 2021-02-22 2021-02-22 시서스의 재배방법 KR10225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83A KR102255693B1 (ko) 2021-02-22 2021-02-22 시서스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83A KR102255693B1 (ko) 2021-02-22 2021-02-22 시서스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693B1 true KR102255693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483A KR102255693B1 (ko) 2021-02-22 2021-02-22 시서스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693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8827A1 (de) * 1992-11-30 1995-11-02 Büro Für Landnutzungsplanung Helmut Bronk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humusschicht auf kippen und anderen erosionsgefährdeten und vegetationsfeindlichen böden
JPH08104585A (ja) * 1994-09-29 1996-04-23 Mitsubayashi:Kk 農業及び園芸用資材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24401A (ko) * 2000-02-07 2000-05-06 박민수 배양토 제조방법
KR101286217B1 (ko) 2012-08-31 2013-07-16 주식회사 옥시바이온 천연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US20150101376A1 (en) * 2012-02-28 2015-04-16 Biokasvu Oy Fertilizer, its use and a process for preparing it
KR20150050725A (ko) * 2013-10-31 2015-05-11 (주)수프로 수목 생산방법
US20150361005A1 (en) * 2014-06-11 2015-12-17 Max Wellness Argo Sp. z.o.o. Plant food, nutrient and soil conditioner formulation
KR101769362B1 (ko) * 2016-09-28 2017-08-21 최명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WO2017210768A1 (en) * 2016-06-09 2017-12-14 Avalon Alliance Inc.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KR101908518B1 (ko) * 2018-07-10 2018-10-17 김덕형 스테비아 액비를 이용한 기능성 스테비아 양파 재배방법 및 그 스테비아 이용한 양파즙
CN108774091A (zh) * 2018-08-27 2018-11-09 铅山县满眼春林业开发有限公司 一种栽培白粉藤的有机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KR20190104388A (ko) 2017-01-10 2019-09-09 넥티움 파마 에스.엘. 식욕과 갈망 감소, 포만감 증진, 기분 개선 및 스트레스 저하를 위한 조성물
KR102161601B1 (ko) 2013-01-03 2020-10-05 라일라 뉴트라슈티칼스 육체적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상승적 식이 보조제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8827A1 (de) * 1992-11-30 1995-11-02 Büro Für Landnutzungsplanung Helmut Bronk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humusschicht auf kippen und anderen erosionsgefährdeten und vegetationsfeindlichen böden
JPH08104585A (ja) * 1994-09-29 1996-04-23 Mitsubayashi:Kk 農業及び園芸用資材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24401A (ko) * 2000-02-07 2000-05-06 박민수 배양토 제조방법
US20150101376A1 (en) * 2012-02-28 2015-04-16 Biokasvu Oy Fertilizer, its use and a process for preparing it
KR101286217B1 (ko) 2012-08-31 2013-07-16 주식회사 옥시바이온 천연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161601B1 (ko) 2013-01-03 2020-10-05 라일라 뉴트라슈티칼스 육체적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상승적 식이 보조제
KR20150050725A (ko) * 2013-10-31 2015-05-11 (주)수프로 수목 생산방법
US20150361005A1 (en) * 2014-06-11 2015-12-17 Max Wellness Argo Sp. z.o.o. Plant food, nutrient and soil conditioner formulation
WO2017210768A1 (en) * 2016-06-09 2017-12-14 Avalon Alliance Inc.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KR101769362B1 (ko) * 2016-09-28 2017-08-21 최명규 황칠나무 묘목의 재배방법
KR20190104388A (ko) 2017-01-10 2019-09-09 넥티움 파마 에스.엘. 식욕과 갈망 감소, 포만감 증진, 기분 개선 및 스트레스 저하를 위한 조성물
KR101908518B1 (ko) * 2018-07-10 2018-10-17 김덕형 스테비아 액비를 이용한 기능성 스테비아 양파 재배방법 및 그 스테비아 이용한 양파즙
CN108774091A (zh) * 2018-08-27 2018-11-09 铅山县满眼春林业开发有限公司 一种栽培白粉藤的有机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ISSUS 소형 시서스 나무 모종 묘목 화분 파는곳 재배 키우기", 약초이야기(2020.05.02.) https://miracle-farmer.tistory.com/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762B1 (ko) 연작 오이와 수박의 시들음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균주 및 그것의 미생물 유기질 비료
CN102342215B (zh) 一种生姜育苗移栽栽培方法
CN102550352B (zh) 猕猴桃果期田间管理方法
CN103858722A (zh) 一种油桃种植方法
KR20060015684A (ko) 비타민을 증강시키는 벼의 재배방법
KR101075877B1 (ko) 자연농법
Kumawat et al. Growth and development of groundnut (Arachis hypogaea) under foliar application of panchgavya and leaf extracts of endemic plants
US7271128B2 (en) Organ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promoting plant growth
KR101932981B1 (ko) 고로쇠 수액과 매실엑기스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CN109168925B (zh) 一种提高盐碱地番石榴品质和产量的栽培方法
KR102255693B1 (ko) 시서스의 재배방법
KR20180015822A (ko) 난초과 식물용 천연 액비 및 그 제조방법
KR101639552B1 (ko) 산양삼 열매를 이용하여 재배한 숲삼 및 이의 재배방법
CN111972232A (zh) 一种双收藜麦种植方法
Korus Effect of the Cultivar and Harvest Date of Kale (L. var.) on Crop Yield and Plant Morphological Features
KR101002570B1 (ko) 기능성 사과 재배를 위한 베타카로틴 조성물
KR910006203B1 (ko) 다년생 도라지 재배방법
CN105594397A (zh) 一种抗病虫害能力强的百合栽培技术
KR102382531B1 (ko) 이끼와 다육이를 공생 재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공생 재배된 이끼와 다육이
KR102649073B1 (ko) 부추 재배 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부추
KR102496357B1 (ko) 아르기닌과 글루타민산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능성 벼의 재배방법 및 이를 통해 재배되어 수확된 기능성 벼
CN110463528B (zh) 一种提高火龙果贮藏性能的间作方法
CN109247188B (zh) 金蝉花人工培育方法
TWI714499B (zh) 具經濟價值之塊菌接種至Castanea屬植物形成菌根苗的方法
Barad et al. Effect of nitrogen levels and cuttings (main and ratoon) on growth and flowering of golden rod (Solidago canadensis L.) during summer and rainy season pla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