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196B1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196B1
KR102250196B1 KR1020200079562A KR20200079562A KR102250196B1 KR 102250196 B1 KR102250196 B1 KR 102250196B1 KR 1020200079562 A KR1020200079562 A KR 1020200079562A KR 20200079562 A KR20200079562 A KR 20200079562A KR 102250196 B1 KR102250196 B1 KR 10225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in shaft
main shafts
link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성
조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음
Priority to US16/936,69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35785B2/en
Priority to CN202010745841.0A priority patent/CN11353907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 제1몸체와 제2몸체에 부착되어 접어지거나 펴지며 접어졌을때는 절곡된 호형부가 형성되는 화상부;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펼쳐진상태와 서로 겹쳐지는 접힌상태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고, 힌지장치는,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제2몸체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 제1,2브라켓 각각의 일단에 관통 결합되며 외주면에 돌출되게 핀이 형성되며 병렬 배치된 제1,2메인축; 제1,2메인축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가이드홈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2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2메인축에 형성된 각각의 핀이 제1,2관체 각각의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2메인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제1,2메인축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구와, 상기 제1,2메인축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제2링크연결구와, 제1,2링크연결구에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2링크와, 제1,2링크에 형성되며 제1몸체에 부착되는 제1,2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2몸체를 접으면, 제1,2연결판이 근접되고 제1,2링크연결구가 제1,2메인축을 타고 이동하여 상호 근접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개시되는 내용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1몸체와 제2몸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2몸체 간의 회전각도를 원활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용 단말기를 비롯하여 휴대용 전자장치에 대한 산업적 수요는 해를 더할수록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갖춘 휴대용 전자장치가 선보이고 있다.
휴대폰과 같은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는 영상이나 그림 등을 표시하는 화상부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화상부를 통하여 TV를 시청하거나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휴대용 단말기도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소비자의 요구 및 기능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폴더형, 슬라이드형, 바(bar)형 등으로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여기서 폴더형 단말기란, 가용면역이 확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몸체가 서로 힌지작동 되면서 펼쳐지도록 이루어진 형태의 단말기를 말하는데, 구조적인 특징의 우수성에 기인하여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박막형 액정기술의 개발 및 기타 부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가 슬림화되어 가고 있으며, 그 수요가 날로 늘어가고 있다.
다만,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의 외형은 음성통화, 메시지 전송 등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에 보다 적합한 외형을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데는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예컨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 동영상 파일 등을 시청하기에 불편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909713호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로서,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궁극적으로는 전체 장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기준 오픈 각도 및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909713호에 의할 때,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비교적 넓은 범위로서 활용하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는 것이나, 개선의 여지는 있는 것이며 새로운 형태의 힌지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예컨대, 작은 크기의 전자장치임에도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힌지회동하는 두 개의 몸체 모두에 액정화면을 형성하고, 전자장치를 펼치는 경우, 두 개의 액정화면이 결합되어 하나의 큰 화면을 형성하는 형태의 전자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에 적합한 형태의 힌지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화상부가 종이처럼 접혀지지 않고 소정의 반경을 갖는 호형 절곡부가 남을 수 밖에 없으므로 이 호형 절곡부를 최소화하여 접었을때 양 몸체가 들뜨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되는 내용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되는 영역에 힌지 구조를 배치하여 폴딩, 언폴딩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변하는 길이 편차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의 변형 및 파손을 막는 힌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동일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 제1몸체와 제2몸체에 부착되어 접어지거나 펴지며 접어졌을때는 절곡된 호형부가 형성되는 화상부;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펼쳐진상태와 서로 겹쳐지는 접힌상태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고,
힌지장치는,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제2몸체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
제1,2브라켓 각각의 일단에 관통 결합되며 외주면에 돌출되게 핀이 형성되며 병렬 배치된 제1,2메인축;
제1,2메인축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가이드홈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2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2메인축에 형성된 각각의 핀이 제1,2관체 각각의 가이드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2메인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제1,2메인축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구와, 상기 제1,2메인축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제2링크연결구와, 제1,2링크연결구에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2링크와, 제1,2링크에 형성되며 제1몸체에 부착되는 제1,2연결판으로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2몸체를 접으면, 제1,2연결판이 근접되고 제1,2링크연결구가 제1,2메인축을 타고 이동하여 상호 근접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의 제1,2관체에 각기 끼움결합되는 제1,2축핀과, 상기 제1,2축핀에 각기 결합되는 제1,2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2스프링에 지지되며 제1,2축핀에 결합되는 제1지지판과, 제1지지판과 평행하게 결합되며 제1,2축핀에 결합된 제2지지판과, 제1,2지지판 사이에 개재되며 제1,2축핀에 각기 결합되는 제1,2기어와, 제1,2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복수의 연동기어로 구성되는 기어연결부;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폴딩되는 영역에 힌지 구조를 배치하여 폴딩, 언폴딩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변하는 길이 편차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의 변형 및 파손을 막는 힌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친 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힌지장치'의 펼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일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힌지장치'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힌지장치'를 반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힌지장치'를 수평하게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친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상기 도 12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의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확대도,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친 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힌지장치'의 펼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일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힌지장치'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힌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힌지장치'를 반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힌지장치'를 수평하게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몸체(P1)와 제2몸체(P2); 제1몸체(P1)와 제2몸체(P2)에 부착되어 접어지거나 펴지는 화상부(P3);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펼치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힌지장치(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장치(A)는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펼쳐진상태와 서로 겹쳐지는 접힌상태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게된다.
힌지장치(A)는, 제1몸체(P1)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2a)과, 제2몸체(P2)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2b);
제1,2브라켓(2a,2b) 각각의 일단에 관통 결합되며 병렬 배치된 제1,2메인축(4a,4b); 제1,2메인축(4a,4b)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1,2메인축(4a,4b)의 회전시 제1,2메인축(4a,4b)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더(6);
제1,2메인축(4a,4b)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6)에 연결되는 제1,2링크연결구(81,82)와, 상기 제1,2링크연결구(81,82)에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2링크(83a,83b)와, 제1,2링크(83a,83b)와 힌지 결합되며 제1,2몸체(P1,P2)에 각기 부착되는 제1,2연결판(84,85)으로 구성되는 이동부(8);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2몸체(P1,P2)를 접으면, 제1,2연결판(84,85)이 상호 근접되고, 제1,2링크연결구(81,82)가 제1,2메인축(4a,4b)을 타고 이동하여 상호 근접되도록 한다.
제1몸체(P1) 및 제2몸체(P2)는 각기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화상부(P3)의 절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다.
제1몸체(P1) 및 제2몸체(P2)는 각기 제1,2브라켓(2a,2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홈(P10,P2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홈(P10,P20)에는 슬라이드 돌기(P13,P23)가 형성되고, 제1,2브라켓(2a,2b) 각각에는 슬라이드 돌기(P13,P23)가 끼워지도록 레일홈(20a,20b)이 형성된다.
제1,2브라켓(2a,2b) 각각은 일측에 통공을 갖는 보스(21a,21b)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레일홈(20a,20b)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메인축(4a,4b) 각각은, 동일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상이며 제1,2몸체(P1,P2)의 장변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제1,2브라켓(2a,2b)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보스(21a,21b)에 관통 결합되며 외주면에 돌출되게 핀(41a.41b)이 형성되며 병렬 배치된다.
슬라이더(6)는, 제1,2메인축(4a,4b)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가이드홈(63)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2관체(61,62)와, 제1,2관체(61,62)의 일단에 가로질러 연결되는 연결대(64)와, 제1,2관체(61,62)의 중간부위를 연결하며 체결공(650)을 갖는 브라켓(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메인축(4a,4b) 각각에는 제1,2축핀(41a,41b)이 각기 돌출 형성된다.
제1,2메인축(4a,4b)의 각 제1,2축핀(41a,41b)들은 제1,2관체(61,62) 각각의 가이드홈(63)에 결합되어 상기 제1,2메인축(4a,4b)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홈(63)은 제1,2관체(61,62)마다 각기 2개의 가이드홈(63)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되 2개의 가이드홈(63)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대략 'X'자 형태로 배열된다.
2개의 가이드홈(63)에는 각기 제1,2축핀(41a,41b)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제1,2메인축(4a,4b)이 회전하면 제1,2축핀(41a,41b)이 가이드홈(63)의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2축핀(41a,41b)이 가이드홈(6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2메인축(4a,4b)의 회전작동을 정확하게 안내하게 되고, 슬라이더(6)가 제1,2메인축(4a,4b) 상에서 직선 이동을 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슬라이더(6)가 직선 이동을 하게 되면 그에 링크(83)로 힌지 결합된 이동부(8)가 가이드홈(63)의 경사각도로 인해 90°의 사잇각 내에서 수평, 수직 또는 경사 각도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2브라켓(2a,2b)의 펼치거나 접는 작동 또는 경사지게 펴지는 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동부(8)는, 제1메인축(4a)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6)에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구(81)와, 상기 제2메인축(4b)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제2링크연결구(82)와, 제1,2링크연결구(81,82)에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2링크(83a,83b)와, 제1,2링크(83a,83b)에 형성되며 제1몸체(P1)에 부착되는 제1,2연결판(84,85)으로 구성된다.
제1,2연결판(84,85)은 각기 제1,2몸체(P1,P2)에 결합되며, 제1,2연결판(84,85) 각각은 그 양측에 각기 제1,2링크(83a,83b)가 연결되고, 링크(83)는 슬라이더(6)와 일체로 결합된 제1,2링크연결구(81,82)와 힌지 연결됨으로써 양측 제1,2링크(83a,83b)가 회전하면서 양측 제1,2링크연결구(81,82) 간의 근접 또는 이격 작동을 하게 된다.
양측 제1,2링크연결구(81,82) 간의 근접 작동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가 접힌 상태가 된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제1,2링크연결구(81,82) 간의 이격 작동은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가 펼쳐진 상태가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2브라켓(2a,2b)은 각기 일단에 보스(21a,21b)가 형성되고, 보스(21a,21b)에 제1,2메인축(4a,4b)이 끼움결합된다.
제1,2브라켓(2a,2b)의 양측 보스(21a,21b)를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24)가 구비되고, 지지대(24)의 일측에는 제1,2축핀(41a,41b)이 관통 결합되도록 통공을 갖는 플랜지(25)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를 접으면, 제1,2연결판(84,85)이 근접되고 제1,2링크연결구(81,82)가 제1,2메인축(4a,4b)을 타고 이동하야 상호 근접되도록 한 것이다.
슬라이더(6)의 제1,2관체(61,62)에 각기 제1,2축핀(41a,41b)이 끼움결합된다.
한편 제1,2축핀(41a,41b)에는 각기 제1,2스프링(52a,52b)이 결합된다.
제1,2스프링(52a,52b)은 일단부는 제1,2브라켓(2a,2b)이 결합되는 지지대(24)의 플랜지(25)에 각기 밀착되고, 타단부는 기어연결부(5)의 제1지지판(53)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제1,2축핀(41a,41b)은 플랜지(25)를 관통하여 슬라이더(6)의 제1,2관체(61,62)에 각기 끼움결합된다.
기어연결부(5)는 제1메인축(4a)과 제2메인축(4b)의 회전각도를 상호 동일해질 수 있도록 보정하는 작용을 한다.
기어연결부(5)는, 제1,2스프링(52a,52b)에 지지되며 제1,2축핀(41a,41b)에 결합되는 제1지지판(53)과, 제1지지판(53)과 평행하게 결합되며 제1,2축핀(41a,41b)에 결합된 제2지지판(56)과, 제1,2지지판(53,56) 사이에 개재되며 제1,2축핀(41a,41b)에 각기 결합되는 제1,2기어(54a,54b)와, 제1,2기어(54a,54b)와 치차 결합되는 복수의 연동기어(55)로 구성된다.
제1,2기어(54a,54b)는 동일한 치차갯수를 갖는 피니언기어이다.
복수의 연동기어(55)는 제1,2기어(54a,54b) 보다 작은 치차갯수를 갖는 피니언기어이며, 짝수개로 구비됨으로써 제1,2기어(54a,54b)의 회전 구동이 상호 상반되는 방향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방향 전환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반 접힘 상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가 약 45°간격으로 전개되고, 제1,2브라켓(2a,2b)이 슬라이드홈(P10,P20)에서 이동하게 된다.
제1,2메인축(4a,4b)이 동반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1,2축핀(41a,41b)은 가이드홈(63)의 중간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기어연결부(5)의 제1,2기어(54a,54b)가 45°동반 회전하여 회전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
[펼침 작동]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가 180°간격으로 전개되고,
제1,2브라켓(2a,2b)이 슬라이드홈(P10,P20)에서 더 이동하여 끝부분에 밀착된다.
제1,2메인축(4a,4b)이 동반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1,2축핀(41a,41b)은 가이드홈(63)의 끝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기어연결부(5)의 제1,2기어(54a,54b)가 180°동반 회전하여 회전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친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상기 도 12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의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확대도,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장치'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몸체(P1)와 제2몸체(P2); 제1몸체(P1)와 제2몸체(P2)에 부착되어 접어지거나 펴지는 화상부(P3); 상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펼치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힌지장치(A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장치(A2)는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펼쳐진상태와 서로 겹쳐지는 접힌상태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연결하게된다.
힌지장치(A2)는, 제1몸체(P1)에 결합되며, 결합공을 갖는 제1링크연결구(81)와, 결합공(202a)을 갖는 제1힌지고리(200a)가 부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수평하게 장공(322a)이 형성된 이동가이드(32a)를 구비한 제1연결판(3a); 제2몸체(P2)에 결합되며, 결합공을 갖는 제2링크연결구(82)와, 결합공(202b)을 갖는 제2힌지고리(200b)가 부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수평하게 장공(322b)이 형성된 이동가이드(32b)를 구비한 제2연결판(3b); 제1링크연결구(81)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메인축(4a); 제2링크연결구(82)에 관통하여 결합되며 제1메인축(4a)과 병렬 배치되는 제2메인축(4b); 제1,2메인축(4a,4b)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2링크연결구(81,82)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1,2메인축(4a,4b)의 회전시 제1,2메인축(4a,4b)을 따라 제1,2링크연결구(81,82)와 동반하여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더(6); 일단이 상기 제1,2링크연결구(81,82)에 각기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2연결판(3a,3b)에 힌지 결합되는 제1,2링크(83a,83b);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2몸체(P1,P2)를 접으면, 제1,2연결판(84,85)이 상호 근접되고, 제1,2링크연결구(81,82)와 슬라이더(6)가 제1,2메인축(4a,4b)을 타고 이동하여 제1,2링크연결구(81,82)가 상호 근접된다.
제1,2메인축(4a,4b) 각각은 동일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봉 형상이며 제1,2몸체(P1,P2)의 장변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제1,2브라켓(2a,2b)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보스(21a,21b)에 관통 결합되며 외주면에 돌출되게 핀(41a.41b)이 형성되며 병렬 배치된다.
슬라이더(6)는 제1,2링크연결구(81,82)의 내부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6)는 제1,2링크연결구(81,82)의 결합공(810,820)에 끼움결합된다.
도 11,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는, 제1,2메인축(4a,4b)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가이드홈(63)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2관체(61,62)와,
제1,2관체(61,62)의 일단에 가로질러 연결되는 연결대(64)와, 제1,2관체(61,62)의 중간부위를 연결하며 체결공(650)을 갖는 브라켓(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2메인축(4a,4b) 각각에는 제1,2축핀(41a,41b)이 각기 돌출 형성된다.
제1,2메인축(4a,4b)의 각 제1,2축핀(41a,41b)들은 제1,2관체(61,62) 각각의 가이드홈(63)에 결합되어 상기 제1,2메인축(4a,4b)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제1,2관체(61,62)마다 각기 2개의 가이드홈(63)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되 2개의 가이드홈(63)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대략 'X'자 형태로 배열된다.
2개의 가이드홈(63)에는 각기 제1,2축핀(41a,41b)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제1,2메인축(4a,4b)이 회전하면 제1,2축핀(41a,41b)이 가이드홈(63)의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2축핀(41a,41b)이 가이드홈(6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2메인축(4a,4b)의 회전작동을 정확하게 안내하게 되고, 슬라이더(6)가 제1,2메인축(4a,4b) 상에서 직선 이동을 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가이드홈(63)의 길이에 의해 회전각도가 정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90도 회전각을 갖도록 하되 필요에 따라 가이드홈(63)의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함으로써 회전각의 변경이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슬라이더(6)가 제1,2메인축(4a,4b) 상에서 직선 이동을 하게 되면 그에 링크(83)로 힌지 결합된 이동부(8)가 가이드홈(63)의 경사각도로 인해 90°의 사잇각 내에서 수평, 수직 또는 경사 각도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결국 제1,2브라켓(2a,2b)의 펼치거나 접는 작동 또는 경사지게 펴지는 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부(8)는, 제1메인축(4a)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6)에 연결되는 제1링크연결구(81)와, 상기 제2메인축(4b)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는 제2링크연결구(82)와, 제1,2링크연결구(81,82)에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2링크(83a,83b)를 포함한다.
제1,2링크(83a,83b)는 각기 제1연결판(3a) 또는 제2연결판(3b)에 힌지 결합된다.
제1,2연결판(3a,3b)은, 각기 제1,2몸체(P1,P2)에 결합된다(도 9, 도 15 참조).
제1,2연결판(3a,3b) 각각은 배면에 각기 제1,2링크(83a,83b)가 연결되고, 일측에는 제1,2연결고리(200a,200b)가 각기 장착된다(도 11 참조).
제1,2링크(83a,83b)는 대칭되게 배치되며, 각각은 일단이 슬라이더(6)와 결합된 제1,2링크연결구(81,82)와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제1,2연결판(3a,3b)의 저면에 힌지 결합된다.
양측 제1,2링크(83a,83b)가 절첩 작동되는 과정에서 양측 제1,2링크연결구(81,82) 간의 근접 또는 이격 작동을 하게되어 절첩 작동이 실행될 수 있다.
제1,2링크연결구(81,82) 간의 이격 작동은 도 12,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가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양측 제1,2링크연결구(81,82) 간의 근접 작동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가 접힌 상태가 된 것이다.
제1,2연결고리(200a,200b)를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고리(200a)는 일단에 결합공(202a)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핀(204a)이 형성된다.
결합공(202a)에는 제1메인축(4a)이 끼움결합되고 가이드핀(204a)은 이동가이드(32a)의 장공(322a)에 결합된다.
제2연결고리(200b)는 일단에 결합공(202b)이 형성되고, 타측에 가이드핀(204b)이 형성되며, 결합공(202b)에는 제2메인축(4b)이 끼움결합되고 가이드핀(204b)은 이동가이드(32b)의 장공(322b)에 결합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를 접으면, 제1,2연결판(3a,3b)이 근접되고 제1,2링크연결구(81,81a,82,82a)가 제1,2메인축(4a,4b)을 타고 이동하여 상호 근접된다.
슬라이더(6)의 제1,2관체(61,62)에 각기 제1,2축핀(41a,41b)이 끼움결합된다.
한편 도 11,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축핀(41a,41b)에는 각기 제1,2스프링(52a,52b)이 결합된다.
제1,2스프링(52a,52b)은 일단부는 제1캠판(57)에 각기 밀착되고, 타단부는 각도설정부(7)의 마감부재(59)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제1,2축핀(41a,41b)은 제1지지판(53), 제1캠판(57), 제2캠판(58)을 관통하여 제1,2스프링(52a,52b) 및 마감부재(59)에 각기 끼움결합된다.
한편 각도설정부(7)는 제1메인축(4a)과 제2메인축(4b)의 회전각도를 상호 동일해질 수 있도록 보정해주는 작용을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설정부(7)는, 제1,2메인축(4a,4b)에 양측이 결합되는 제1지지판(53)과, 제1,2메인축(4a,4b)에 각기 결합되며 제1지지판(53)에 밀착되는 제1,2기어(54a,54b)와, 제1,2기어(54a,54b)와 치차 결합되는 복수의 연동기어(55); 제1,2메인축(4a,4b)에 양측이 결합되며 양측에 각기 제1캠(572)이 형성된 제1캠판(57)과, 제1,2메인축(4a,4b)에 양측이 결합되며 양측에 각기 제2캠(58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캠판(57)과 결합되는 제2캠판(58); 제1,2메인축(4a,4b)에 각기 결합되며 제1캠판(57)에 지지되는 제1,2스프링(52a,52b); 제1,2메인축(4a,4b)에 각기 결합되며 제1,2스프링(52a,52b)에 지지되는 마감부재(59);로 구성된다.
제1,2기어(54a,54b)는 동일한 치차갯수를 갖는 피니언기어이다.
연동기어(55)는 제1,2기어(54a,54b) 보다 작은 치차갯수를 갖는 피니언기어이며, 여러개가 연결됨으로써 제1,2기어(54a,54b)의 회전 구동이 상호 상반되는 방향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방향 전환이 가능해지고, 회전속도를 완만하게 감속시켜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펼침 작동]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가 180°간격으로 전개되고,
제1,2연결고리(200a,200b)의 각 가이드핀(204a,204b)은 이동가이드(32a,32b)의 장공(322a,322b)의 일단부로 이동된다.
제1,2메인축(4a,4b)이 각기 회전하게 되고, 제1,2축핀(41a,41b)은 가이드홈(63)의 끝 부위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되면서 180°의 회전각을 유발하게 된다.
아울러 각도설정부(7)의 제1,2기어(54a,54b)가 180°동반 회전된 후 이렇게 회전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
[접힘 상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몸체(P1,P2)가 평행하게 접혀지게 되면
제1,2연결고리(200a,200b)의 각 가이드핀(204a,204b)은 이동가이드(32a,32b)의 장공(322a,322b)의 타단부로 이동된다.
제1,2브라켓(2a,2b)이 슬라이드홈(P10,P20)에서 이동하게 된다.
제1,2메인축(4a,4b)이 동반하여 회전하게 되고, 제1,2축핀(41a,41b)은 가이드홈(63)의 중간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각도설정부(7)의 제1,2기어(54a,54b)가 90°동반 회전된 후 이렇게 회전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P1 : 제1몸체 P2 : 제2몸체
P3 : 화상부 A : 힌지장치
2a : 제1브라켓, 2b : 제2브라켓
4a : 제1메인축 4b : 제2메인축
6 : 슬라이더 8 : 이동부
41a,41b : 핀 52a:제1스프링
52b :제2스프링 61 : 제1관체
62 : 제2관체 63 : 가이드홈
81 : 제1링크연결구 82 : 제2링크연결구
83a : 제1링크 83b : 제2링크
84 : 제1연결판 85 : 제2연결판

Claims (11)

  1. 판상으로 형성되며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몸체(P1)와 제2몸체(P2);
    상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에 부착되어 접어지거나 펴지는 화상부(P3);
    상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펼치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힌지장치(A);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장치(A)는
    상기 제1몸체(P1)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2a)과, 제2몸체(P2)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2b);
    상기 제1,2브라켓(2a,2b) 각각의 일단에 관통 결합되며 병렬 배치된 제1,2메인축(4a,4b);
    상기 제1,2메인축(4a,4b)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1,2메인축(4a,4b)의 회전시 상기 제1,2메인축(4a,4b)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더(6);
    상기 제1,2메인축(4a,4b)의 외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6)에 연결되는 제1,2링크연결구(81,82)와, 상기 제1,2링크연결구(81,82)에 각기 힌지 결합되는 제1,2링크(83a,83b)와, 제1,2링크(83a,83b)와 힌지 결합되며 제1,2몸체(P1,P2)에 각기 부착되는 제1,2연결판(84,85)으로 구성되는 이동부(8);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2몸체(P1,P2)를 접으면, 제1,2연결판(84,85)이 상호 근접되고, 제1,2링크연결구(81,82)가 제1,2메인축(4a,4b)을 타고 이동하여 상호 근접되며,
    상기 슬라이더(6)는
    상기 제1,2메인축(4a,4b)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가이드홈(63)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2관체(61,62);
    상기 제1,2메인축(4a,4b) 각각에 형성된 제1,2축핀(41a,41b);
    상기 제1,2관체(61,62)의 일단에 가로질러 연결되는 연결대(64);
    상기 제1,2관체(61,62)의 중간부위를 연결하며 체결공(650)을 갖는 브라켓(65);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축핀(41a,41b)은 제1,2관체(61,62) 각각의 가이드홈(6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축핀(41a,41b)에 각기 결합되는 제1,2스프링(52a,52b);
    상기 제1,2브라켓(2a,2b)이 결합되는 지지대(24);
    상기 지지대(24)에 형성된 플랜지(25);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스프링(52a,52b)은 일단부는 지지대(24)의 플랜지(25)에 각기 밀착되고, 타단부는 기어연결부(5)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연결부(5)는
    상기 제1,2스프링(52a,52b)에 지지되며 제1,2축핀(41a,41b)에 결합되는 제1지지판(53);
    상기 제1지지판(53)과 평행하게 결합되며 제1,2축핀(41a,41b)에 결합된 제2지지판(56);
    상기 제1지지판(53)과 제2지지판(56)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2축핀(41a,41b)에 각기 결합되는 제1,2기어(54a,54b);
    상기 제1,2기어(54a,54b)와 치차 결합되는 복수의 연동기어(5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P1) 또는 제2몸체(P2)는 각기 제1,2브라켓(2a,2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홈(P10,P2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P10,P20)에는 슬라이드 돌기(P13,P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2브라켓(2a,2b) 각각에는 슬라이드 돌기(P13,P23)가 끼워지도록 레일홈(20a,2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6. 판상으로 형성되며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몸체(P1)와 제2몸체(P2);
    상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에 부착되어 접어지거나 펴지는 화상부(P3);
    상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펼치거나 접혀지도록 하는 힌지장치(A2);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장치(A2)는,
    상기 제1몸체(P1)에 결합되며, 결합공(810)을 갖는 제1링크연결구(81)와, 결합공(202a)을 갖는 제1힌지고리(200a)가 부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수평하게 장공(322a)이 형성된 이동가이드(32a)를 구비한 제1연결판(3a);
    상기 제2몸체(P2)에 결합되며, 결합공(820)을 갖는 제2링크연결구(82)와, 결합공(202b)을 갖는 제2힌지고리(200b)가 부착 형성되며, 하부에는 수평하게 장공(322b)이 형성된 이동가이드(32b)를 구비한 제2연결판(3b);
    상기 제1링크연결구(81)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메인축(4a);
    상기 제2링크연결구(82)에 관통하여 결합되며 제1메인축(4a)과 병렬 배치되는 제2메인축(4b);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2링크연결구(81,82)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의 회전시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을 따라 제1,2링크연결구(81,82)와 동반하여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더(6);
    일단이 상기 제1링크연결구(81),제2링크연결구(82)에 각기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2연결판(3a,3b)에 힌지 결합되는 제1,2링크(83a,83b);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몸체(P1)와 제2몸체(P2)를 접으면, 제1연결판(3a), 제2연결판(3b)이 상호 근접되고, 제1,2링크연결구(81,82)와 슬라이더(6)가 제1,2메인축(4a,4b)을 타고 이동하여 제1,2링크연결구(81,82)가 상호 근접되며,
    상기 슬라이더(6)는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의 외면에 각기 끼움결합되며 가이드홈(63)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2관체(61,62);
    상기 제1,2관체(61,62)에 연결되는 연결대(64);
    상기 제1,2관체(61,62)을 연결하며 체결공(650)을 갖는 브라켓(65);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 각각에는 제1,2축핀(41a,41b)이 각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2축핀(41a,41b)은 제1,2관체(61,62) 각각의 가이드홈(6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판(3a,3b) 각각은,
    제1,2링크(83a,83b)가 양측에 연결되고, 제1연결고리(200a)와 제2연결고리(200b)가 각기 장착되며,
    상기 제1,2링크(83a,83b) 각각은 제1링크연결구(81),제2링크연결구(82)와 힌지 연결되고, 제1연결판(3a), 제2연결판(3b)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고리(200a)는, 제1메인축(4a)이 끼움결합되는 결합공(202a)과 이동가이드(32a)의 장공(322a)에 결합되는 가이드핀(20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고리(200b)는, 제2메인축(4b)이 끼움결합되는 결합공(202b)이 형성되고, 이동가이드(32b)의 장공(322b)에 결합되는 가이드핀(20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축(4a)과 제2메인축(4b)의 회전각도를 보정하는 각도설정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설정부(7)는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에 양측이 결합되는 제1지지판(53)과,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에 각기 결합되며 제1지지판(53)에 밀착되는 제1,2기어(54a,54b)와, 제1,2기어(54a,54b)와 치차 결합되는 복수의 연동기어(55);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에 양측이 결합되며 양측에 각기 제1캠(572)이 형성된 제1캠판(57)과,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에 양측이 결합되며 양측에 각기 제2캠(583)이 형성되며 상기 제1캠판(57)과 결합되는 제2캠판(58);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에 각기 결합되며 제1캠판(57)에 지지되는 제1,2스프링(52a,52b);
    상기 제1메인축(4a), 제2메인축(4b)에 각기 결합되며 제1,2스프링(52a,52b)에 지지되는 마감부재(5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79562A 2020-04-22 2020-06-2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0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36,699 US11435785B2 (en) 2020-04-22 2020-07-23 Foldable display device
CN202010745841.0A CN113539077B (zh) 2020-04-22 2020-07-29 可折叠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8888 2020-04-22
KR1020200048888 2020-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196B1 true KR102250196B1 (ko) 2021-05-10

Family

ID=7591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562A KR102250196B1 (ko) 2020-04-22 2020-06-2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1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474B1 (ko) * 2021-05-04 2022-07-11 (주)케이에이치바텍 폴더블 힌지장치
KR102419478B1 (ko) * 2021-05-07 2022-07-11 (주)케이에이치바텍 폴더블 힌지장치
KR20230014002A (ko) *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폴더블 구조를 갖는 힌지장치
KR20230018755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에스코넥 인폴딩 타입 힌지 장치 및 이러한 힌지 장치를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19232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는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66B1 (ko)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140049911A (ko) * 2012-10-18 2014-04-28 이유구 플렉시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101295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KR20150099676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20150120742A (ko) * 2014-04-18 2015-10-28 (주) 프렉코 가이드시트가 연동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60032080A (ko) * 2014-02-21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70000309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80010019A (ko) * 2016-07-20 2018-01-30 (주) 프렉코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94172A (ko) * 2017-02-13 2018-08-23 주식회사 다이아벨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80122210A (ko) * 2017-05-02 201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125650A (ko) *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다이아벨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988966B1 (ko) * 2016-09-15 2019-09-24 알티전자 주식회사 수직 이동 받침판 폴더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KR20190110244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다이아벨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66B1 (ko)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140049911A (ko) * 2012-10-18 2014-04-28 이유구 플렉시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101295A (ko) * 2013-02-0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휴대단말장치
KR20160032080A (ko) * 2014-02-21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50099676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20150120742A (ko) * 2014-04-18 2015-10-28 (주) 프렉코 가이드시트가 연동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170000309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이 가변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180010019A (ko) * 2016-07-20 2018-01-30 (주) 프렉코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8966B1 (ko) * 2016-09-15 2019-09-24 알티전자 주식회사 수직 이동 받침판 폴더블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KR20180094172A (ko) * 2017-02-13 2018-08-23 주식회사 다이아벨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80122210A (ko) * 2017-05-02 201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125650A (ko) * 2017-05-15 2018-11-26 주식회사 다이아벨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90110244A (ko) * 2018-03-20 2019-09-30 주식회사 다이아벨 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474B1 (ko) * 2021-05-04 2022-07-11 (주)케이에이치바텍 폴더블 힌지장치
KR102419478B1 (ko) * 2021-05-07 2022-07-11 (주)케이에이치바텍 폴더블 힌지장치
KR20230014002A (ko) * 2021-07-20 2023-01-27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폴더블 구조를 갖는 힌지장치
KR102525633B1 (ko) * 2021-07-20 2023-05-12 주식회사 파인엠텍 폴더블 구조를 갖는 힌지장치
KR20230018755A (ko) *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에스코넥 인폴딩 타입 힌지 장치 및 이러한 힌지 장치를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6480B1 (ko) * 2021-07-30 2023-04-28 주식회사 에스코넥 인폴딩 타입 힌지 장치 및 이러한 힌지 장치를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19232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는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식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196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5235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1602B1 (ko)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1435785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311588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5236B1 (ko)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47047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8898B1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KR102250197B1 (ko) 화면의 절곡부를 수용하는 폴더블 힌지장치
JP2019506651A (ja) 折畳み可能コンポーネントおよびモバイル端末
KR20170053377A (ko) 절첩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306864A1 (en) Joining structure of multi-segment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at joining structure
CN113286023B (zh) 电子设备
KR2020001817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KR2019008483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CN105164602A (zh) 多分割框体的结合装置以及具备该结合装置的电子装置
CN111937060A (zh) 设置有柔性显示面板的内折叠型铰链结构
KR20190067400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듀얼힌지장치
US11775012B2 (en) Foldabl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52059A (ko) 반자동 구동부가 설치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CN112929474B (zh) 折叠屏组件和电子设备
WO2014178126A1 (ja) 多分割筐体の結合装置及び該結合装置を備えた電子装置
JP5975173B2 (ja) 分割筐体の結合装置及び分割筐体を備えた電子装置
KR20130120703A (ko) 폴더형 풀플랫 휴대단말기 및 메카니즘 장치
KR10239740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화상부의 신축길이 보정이 가능한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