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361B1 -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 Google Patents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361B1
KR102247361B1 KR1020200111809A KR20200111809A KR102247361B1 KR 102247361 B1 KR102247361 B1 KR 102247361B1 KR 1020200111809 A KR1020200111809 A KR 1020200111809A KR 20200111809 A KR20200111809 A KR 20200111809A KR 102247361 B1 KR102247361 B1 KR 102247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aw blade
circular saw
blade suppor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갑
Original Assignee
김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갑 filed Critical 김종갑
Priority to KR102020011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361B1/ko
Priority to DE112021002682.8T priority patent/DE112021002682T5/de
Priority to PCT/KR2021/011416 priority patent/WO2022050633A1/ko
Priority to US18/010,248 priority patent/US2023026427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23Circular saw blades with inserted segments having more than on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9/00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3D59/006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for removing or collect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25Details of saw blad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4Circular saw blades with inserted saw teeth, i.e. the teeth being individually ins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원형톱이 개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원형톱은 원판형으로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원주를 따라 원판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톱날지지부들,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상부, 상기 상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하부 및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팁들과, 상기 복수의 톱날지지부들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 각각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복수의 톱날지지부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하부는 상기 복수의 톱날지지부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의 단차부들은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하는 금속절단용 원형 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CIRCULAR SAW EQUIPPED WITH STEPPED SECTION TIP}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단차부를 가지는 팁 및 이를 가지는 원형 톱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금속 절단용 원형 톱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절단기에 장착되어 금속 재질의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원형 톱날에 있어서, 절단을 수행하는 절삭 팁에, 후방을 향해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가공된 하부 전면과, 양 측면의 후단부가 절삭 팁 회전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도입하여, 절단 작업 중 절삭 칩의 배출이 용이하고, 피절단물과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므로 절삭 팁이 받는 접촉저항과 간섭을 저감시켜 원형 톱날의 절삭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절삭팁 파손의 주 원인이 되는 톱날의 떨림 (또는 진동) 현상을 최대한 감소시켜 절삭 팁 파손방지 및 절단표면의 품질향상(clean cut) 효과가 가능토록 한 금속 절단용 원형 톱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 톱날은 둘레 변을 따라 절삭날이 형성되어 금속재 파이프나 철판, 환봉, 비철금속(Cu, Al 등) 등 각종 산업용 소재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원형 톱날의 절삭 날은 강도 및 경도가 매우 강한 금속재들을 절단하게 되므로 원형 톱날의 톱날부에 금속 절단용 절삭 팁이 고주파 용접을 통해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삭 팁은 절단 작업 시 직접 금속재에 접촉되어 그 표면을 조금씩 절삭하여 피절단물이 절단 가공된다.
이에 상기 절삭 팁은 매우 높은 강도 및 경도가 요구되므로, 텅스텐 카바이드또는 또는 서멧(cermet)과 같은 합금으로 제작되어 절삭성과 내마모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절단용 원형 톱날의 절삭 팁은 강도 및 경도가 매우 강한 금속재를 주로 절삭 가공하는데 사용하므로 아무리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 절삭 팁을 제작하더라도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나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절단 작업 중 발생하는 절삭 칩이 원형 톱날의 톱날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으면서 절삭 팁과 피절단물간의 접촉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게 되면, 절삭 팁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어 절삭 팁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절삭 팁의 마모 또는 파손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하여 피절단물의 절단면이 미려하지 못하여 정밀 절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 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5878 (2015.02.16 등록) "금속 절단용 원형톱"의 내용을 더욱 진일보시켜 신규성, 진보성이 추가된 것으로서, 단차부를 가지는 팁 및 이를 가지는 원형 톱은, 피절단물과의 접촉을 줄여, 간섭 및 마찰에 의한 영향을 줄여, 절단팁의 파손 및 마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원형톱은 원판형으로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원주를 따라 원판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톱날부들,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상부, 상기 상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 연장되되 전면이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드 지게 형성되는 하부 및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팁들과, 상기 복수의 톱날부들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 각각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은 양 측면의 후단부가 상기 복수의 절삭팁들의 회전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복수의 톱날부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하부는 상기 복수의 톱날부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의 단차부들은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절단팁은, 제1 면, 상기 제1 면의 제1 모서리부터 연장되는 곡면, 상기 곡면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평면, 및 상기 제1 면과 접하는 영역에서 절삭날을 포함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의 제1 모서리를 마주보는 제2 모서리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에 접하는 모서리는 모따기된 제4 면,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일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3의 일모서리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제5 면과,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타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3의 타모서리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제6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 및 이를 가지는 원형 톱은, 피절단물의 절단에 의한 부산물이 팁의 단차부를 따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고, 피절단물과의 접촉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 및 이를 가지는 원형 톱은, 피절단물과의 접촉을 줄여, 간섭 및 마찰에 의한 영향을 줄여, 절단팁의 파손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 및 이를 가지는 원형 톱은, 단차부를 두어, 절단을 위한 강도가 필요한 영역은 충분한 두께를 가져, 절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 및 이를 가지는 원형 톱은, 팁이 안착되는 포켓을 가지고 있어, 팁의 이탈을 방지하고, 브레이징(brazing)면적을 넓혀 접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톱날은 후방을 향해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하부 전면을 갖고, 양 측면의 후단부가 회전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절삭 팁을 도입하여 절단 작업 중 발생하는 절삭 칩이 원형 톱날의 절삭 팁 외부로 쉽게 배출함으로써 절삭 팁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키고, 절삭 팁과 피절단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간섭을 저감시켜 절삭 팁의 마모, 파손 등을 방지하여 원형 톱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톱날은 내구성이 향상됨에 따라 절삭 팁의 재가공 또는 교체 등이 줄어서,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절삭날부의 강도 및 경도 저하를 줄여 원형 톱날의 절삭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매유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톱날은 절삭 팁의 후면이 부착되는 톱날부의 부착면이 몸체의 중심선에 대하여 몸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20˚~ -30˚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 팁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켜 절삭 팁의 절삭날부 등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삭 팁이 몸체의 톱날부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톱날은 절삭날부와 연결된 상부 전면이 몸체의 중심선과 직교되는 수평선에서 몸체의 회전 방향으로 -20˚~ -30˚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날부가 피절단물에 접촉되는 순간 최적의 각도로 진입하면서 절삭이 이루어지므로 절삭 효율이 뛰어나고, 절단면이 미려하여 정밀 가공에 매우 유리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형 톱날은 절삭 팁이 톱날부에 부착되었을 때 함몰부의 전방 측벽이 몸체의 중심선에 일치하는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방 측벽이 양 측면의 전방 상단부에서 후방 상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 팁의 강도 보장 및 절삭 팁과 피절단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형 톱날 전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측벽과 몸체의 측면은 중심선에서 전방측벽의 함몰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측면경사면을 이루어, 절삭력은 유지되고 피절단물 간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원형톱날의 내구성을 최적화한 원형 톱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는 원형 톱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는 원형 톱을 도 1의 A 영역에서 확대한 도면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는 원형 톱을 도 1의 A영역에서 다른 방향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는 원형 톱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는 원형 톱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는 원형 톱을 도 1의 A 영역에서 확대한 도면이고,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는 원형 톱을 도 1의 A영역에서 다른 방향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형톱(100)은 원형 바디를 따라 절삭날이 형성되어, 파이프, 강판, 비철금속과 같은 부재를 절단하거나, 홈을 생성할 수 있다. 원형톱(100)은
절단기(미도시) 등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원형으로 형성되는 바디(110) 및 바디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톱날지지부(1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톱(100)의 바디(110)는 절단기 등에 장착되고, 절단기 등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원형톱(100)의 바디(11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톱날지지부(130)들은 피절삭물에 절삭날이 접촉하여, 피절삭물을 성형하거나, 절단할 수 있다. 바디(110)는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절삭날들은 톱날지지부(130)들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원형톱(100)은 절단기 등에 마운트되기 위한 개구(191)(opening)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191)의 둘레를 따라, 개구(19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개구(192)를 포함할 수 있다. 작은 개구(192)는 원형톱(100)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단기와 추가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보조 결합구로 활용될 수 있다.
바디(110)는 절단 공정 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톱날지지부(130)들은 톱니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절개홈을 일정 간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원형톱(100)은 바디(110), 복수의 톱날부들(130), 복수의 절단팁들(140) 및 복수의 안착부들(15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0)는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톱날지지부(130)은, 바디(110)의 원주를 따라 원판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톱날지지부(130)들은 원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톱날지지부(130)들은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도가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톱날지지부(130)가 이루는 각도가 2도씩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톱날지지부(130)들은 180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톱날지지부(130)들은 돌출부들(131) 및 안착부(1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150)들은 복수의 톱날지지부(130)들로부터 바디(110)의 중심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안착부(150)들은 톱날지지부(130)(또는 바디(110))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 홈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홈은 복수의 절단팁(140)들이 안착되어 수납되는 공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절단팁(140)들은 복수의 안착부(150)들에 끼워져서 바디(100)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절단팁(10)은, 복수의 안착부(150)들에 고주파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절단팁(140)들은 제 1면(141), 제 2면(143), 제3 면(147), 제4 면(145), 제5 면(148) 및 제 5면을 마주보는 제 6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141)은 복수의 절단팁(140)들은 바디(110)의 외부를 향할 수 있다(또는 바디(110)의 반경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2 면(143)은 상기 제1 면의 제1 모서리부터 연장되는 곡면(143a), 상기 곡면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평면(143b), 및 상기 제1 면과 접하는 영역에서 절삭날(149)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147)은 상기 제1 면(141)의 제1 모서리를 마주보는 제2 모서리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면(145)은 상기 제2 면(143) 및 상기 제3 면(147)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면(143)과 상기 제3 면(147)에 접하는 모서리는 모따기될 수 있다. 제 5면(148)은 상기 제1 면(141), 상기 제2 면(143), 상기 제3 면(147), 및 상기 제4 면(145)의 모서리를 따라 둘러 쌓여져 형성된 면일 수 있다. 제 6면은 제 5면(148)을 마주보고, 상기 제2 면의 일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3의 일모서리로 형성되는 단차부(142)를 포함하는 제5 면(148), 상기 제1 면(141), 상기 제2 면(143), 상기 제3 면(147), 및 상기 제4 면(145)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타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3의 타모서리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143a)은 절단날(149)와 접하는 부분에서 기울기를 가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40)은 절삭날(149)와 연결되어 후방 상측(예: 제1 면(141))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상부 전면(예: 제2 면(143))을 포함하고, 상부 전면은 절단팁(140)이 톱날부(130)에 부착되었을 때 몸체의 중심선과 직교되는 수평선에서 상기 몸체의 회전 방향으로 -20˚~ -30˚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40)은 제2 면(143)(예: 전면 또는 회전 방향을 향하는 면)의 상부(140a)를 형성하는 측벽이 양 측면의 상부(140a)에서 하부(140b)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면(143)과 맞닿는 측벽과 바디(110)의 측면은 중심선에서 제2면(143)과 맞닿는 측벽의 함몰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면(143)과 제3 면(147) 사이의 두께는 제2 면(143)이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고,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운데 부분에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기가 구동되어 절단팁(140)의 절삭 날(149)에 의해 피절삭물이 가공되는 경우, 피절삭물의 부산물은 제2면(143)의 곡면(143a)로 안내될 수 있고, 안내된 부산물은 단차부(142)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면(143)의 곡면(143a)과 절단날(149)이 접하는 평면에 의해 곡면(143a)으로의 부산물 전달이 용이할 수 있다.
곡면(143a)과 절단날(149)과 접하는 부분에서 기울기를 가지는 평면으로 형성되면,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만입되는 곡면(143a)에 의해 부산물의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절단날(149)의 두께의 급격한 감소를 방지하여, 절단팁(1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40)들은 초경합금 또는 서멧(cermet) 또는 초경합금과 서멧을 결합한 서멧초경합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초경합금은 높은 경도를 가지는 탄화물과 인성을 가지는 금속을 혼합물로, 경도와 인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금속 절단기 또는 다양한 소재, 부품에 활용되고 있다. 써멧은 TiC-Ni-Mo계열의 초경합금을 사용한 것으로, 세라믹의 특성과 금속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멧 공구는 세라믹이 포함하는 경도, 내마모성, 내산성, 내약품성을 가지고, 금속이 포함하는 강인성, 가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멧초경합금은 초경합금과 서멧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금속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서멧초경합금은 내열성 및 내 산화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작아 피절삭물과의 마찰에 의하 열 발생이 줄어, 절삭 속도가 빠르고, 마찰에 의한 절단팁(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0)의 재질은 피절삭물의 종류 및 절단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날(149)이 형성되는 부분은 고내구성, 절삭성 및 내 마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추가로 서멧, 초경합금 또는 서멧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진 복합코팅을 진행하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절단팁(140)들은, 바디(110)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삭날(149)을 포함하는 상부(140a), 상부(140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부(140b) 및 상부(140a)와 하부(140b)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140a)는 복수의 톱날지지부(13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하부(140b)는 복수의 톱날지지부(13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톱날지지부(130)의 두께는 tb이고, 상부(140a)의 두께는 ta일 수 있다. 이때, ta는 tb보다 클 수 있다. 하부(140b)의 두께는 복수의 톱날지지부(130)의 두께인 ta일 수 있다. 상부(140a)와 하부(140b)의 두께 차이에 의해, 상부(140a)와 하부(140b)의 경계면에 단차를 가지는 계단모양의 단차부(142)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절단팁에 형성된 단차부(142)들의 바디(11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 면(148) 및 제5 면을 마주보는 제6 면의 두께는 단차부(142)를 중심으로, 상이할 수 있다. 제5 면(148) 및 제6 면에서 상부(140a)에 해당하는 영역은, 바디(110)의 양측면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5 면(148)에서 하부(140b)에 해당하는 영역은 바디(110)의 양측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면(148)의 하부(140b)와 바디(110)의 일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5 면을 마주보는 제6 면의 하부(140b)는 바디(110)의 타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40)는 단차부(142)를 포함하고 있어, 절삭날(149)이 형성된 상부(140a)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하부(140b)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져서, 절단 공정시, 피절단물과의 간섭되지 않는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어, 열발생이 줄어들고, 물리적인 접촉이 적어, 절단팁(140)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40)은 제2 면(143)과 제4 면(145)이 접하는 영역에서 모서리가 제거된 제1 모따기 영역(144) 및 제3 면(147)과 제4 면(145)이 접하는 영역에서 모서리가 제거된 제2 모따기 영역(14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절단팁(140)은 제4 면(145)과 상기 바디(110)의 회전 방향(예: 도 1, 도 2a 및 도 2b에서 반시계 방향)을 향하는 제2 면(143)이 접하는 모서리에 모따기될 수 있고, 제4 면(145)과 상기 바디(110)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제2 면(143)에 대향하는 면에 접하는 모서리에 모따기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150)는 안착면(155)과 안착면(155)의 일단에 형성된 경사면(153)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155)의 타단은 안착면(155)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예: 바디(110)의 반경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20도 이내의 각도)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155)은 절단팁(140)의 제3 면(145)과 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150)의 경사면(153)은 절단팁(140)의 제1 모따기 영역(144)과 접할 수 있다. 절단팁(140)의 제2 모따기 영역(146)은 안착부(150)와 완전 밀착을 위해 챔퍼링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150)는 포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50)는 절단팁(140)의 제3 면(147)의 전체와 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안착면(155)과 절단팁(140)의 제4 면(145)와 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안착부(150)의 경사면(153)과 제1 모따기 영역(144)이 접하게 형성될 수 있어, 절단팁(140)과 안착부(150)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켓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부(150)에 의해, 절단팁(140)과 안착부(150)의 접착시, 절단팁(140)의 용접 면적이 늘어나고, 접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절단 공정 중 피절단물과의 마찰에 의해 바디(110)의 회전 반대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절삭 팁(20)의 제4 면(145), 제3 면(147), 제1 모따기 영역(144) 및 제2 모따기 영역(146)에 분산, 상쇄시켜, 절단팁(140)이 바디(110)의 톱날지지부(13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150)는 경사면(153)이 연장되어 절단팁(140)의 제2 면(143)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단팁(140)의 평면(143b)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10)의 톱날지지부(130)는 바디(110)의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31)와 원주면으로부터 만입되는 만곡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톱날부(131)와 만곡부(133)를 연결시키는 제1 경사면(13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34a)은 바디(110)의 회전방향(예: 반시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만곡부(133)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경사면(134a)은 만곡부(133)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부(131)를 향하여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10)의 톱날지지부(130)는 만곡부(133)의 타단으로부터 절단팁(140)의 제2 면(143)의 평면(143b)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면(13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134b)은 제2 면(143)과 실질적으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경사면(134b)은 제2 면(143)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40)의 제1 면(141)은 돌출부(131)의 상면보다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절단팁(140)과 돌출부(131)는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는 원형 톱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디(110)는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원주(c)를 따라 배치되는 톱날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톱날지지부(130)는 원주(c)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131) 및 원주(c)로부터 만입되는 만입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40)의 두께가 변하는 단차부(142)는 원주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단팁(140)의 단차부(142)는 바디(11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반지름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디(110)의 중심으로부터 단차부(142)에 수직되는 거리는 동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부(140)의 절삭날(예: 도 2b의 절삭날(149))을 포함하는 상부(140a)는 두께가 두꺼워서 실제 피절삭물을 절단하거나 가공하는 두께일 수 있다. 절삭날(149)이 도 2a의 두께 ta로 절삭을 하는 경우, 피절삭물의 가공에 따라 발생하는 부산물(예: 절삭 칩)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서 단차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42)에 의해 상부(140a)와 구별되는 하부(140b)는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얇은 두께를 가지는 하부(140b)는 바디(110)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생성되는 부산물은 하부(140b)를 통해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150)와 접하는 절단팁(140)의 제3 면(147)은 원의 중심으로부터 형성된 반경 방향과 일정한 기울기(a)를 가질 수 있다. 기울기(a)는 대략 20도 내지 30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원형 톱날에서 절단팁(140)의 후면이 부착되는 톱날부(130)의 안착부(150)는 상기 바디(110)의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몸체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20°~ -30˚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150)와 접하는 절단팁(140)의 제4 면(145)은 반경 방향과 일정한 기울기(b)를 가질 수 있다. 기울기(b)는 대략 65도 내지 75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기울기(b)가 65보다 작게되는 경우 절단 공정시, 접촉 부하가 바디(11)로 전달되고, 절단팁(140)의 장착 각도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즉, 절삭날(149)이 피절단물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이 제2 면(143)의 기울기 또는 곡면에 일치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용접된 부위가 파손되어 절단팁(140)의 분리 이탈이 용이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단팁(140)이 톱날지지부(130)의 안착부(150)에 용접되어 부착되는 경우, 절단팁(140) 자체가 기울기(b)를 가지고 부찰되고, 절단팁(140) 자체의 기울기 각도와 절단칩에 형성된 각면의 기울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절삭날(149)이 바디(110)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최적의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단차부를 가지는 절단 팁 및 절단 팁을 포함하는 원형톱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본 명세서의 도면을 바탕으로, 단차부를 가지는 절단 팁 및 절단 팁을 포함하는 원형톱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절단팁(140)들은 바디(110)의 외부를 향하는(또는 바디(110)의 반경 방향을 향하는) 제1 면(141), 상기 제1 면의 제1 모서리부터 연장되는 곡면(143a), 상기 곡면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평면(143b), 및 상기 제1 면과 접하는 영역에서 절삭날(149)을 포함하는 제2 면(143), 상기 제1 면의 제1 모서리를 마주보는 제2 모서리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면(147), 상기 제2 면(143) 및 상기 제3 면(147)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면(143)과 상기 제3 면(147)에 접하는 모서리는 모따기된 제4 면(145), 상기 제1 면(141), 상기 제2 면(143), 상기 제3 면(147), 및 상기 제4 면(145)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일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3의 일모서리로 형성되는 단차부(142)를 포함하는 제5 면(148), 상기 제1 면(141), 상기 제2 면(143), 상기 제3 면(147), 및 상기 제4 면(145)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타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3의 타모서리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면(148)을 마주보는 제6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4 면(145)의 모따기된 제1 모따기 영역(144) 및 제 2 모따기 영역(146)은 안착부(150)에 삽입시, 절삭팁(14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모따기되어 있는 절삭팁은 안착부(150)를 향하는 영역이 안착부(150)에 가까울수록, 폭이 좁아서, 절삭팁(140)의 설치시 절삭팁(140)의 좁은 부분을 안착부(150)를 향하도록 위치하면, 자연스럽게 절삭팁(140)이 안착부(150)에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면(147)과 제4 면(145), 제2 면(143)의 평면(143b)의 일부와 안착부(150)는 다양한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접합 방식으로는, 고주파방식의 브레이징(brazing)용접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형톱(100)은 바디(110)에 형성된 마운트를 위한 개구(191)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톱(100)의 사용을 위해, 절단기의 샤프트(미도시)를 개구(191)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절단기에 원형톱(1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작은 개구(192)에 체결 부재를 결합하여, 사용자는 원형톱(100)은 절단기에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절단기는 전원을 공급받고, 절단기의 구동부를 통해서, 원형톱(100)은 회전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원형톱(100)의 회전 방향은 절단팁(140)의 제2면(143)이 향하는 방향(예: 도 1, 도 2a, 도 2b 및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되고 있는 절단기의 원형톱(100)을 피절삭물에 접근을 시키면, 피절삭물은 원형톱(100)의 톱날지지부(130)에 의해 절삭이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절석물은 원형톱(100)의 절삭팁(1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삭날(149)에 의해서 절삭될 수 있다. 절삭날(149)은 절단팁(140)의 제1 면(141) 및 제2 면(143)이 접하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절삭날(149)은 육면체 형상의 절단팁(140)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어, 피절삭물과 제일 먼저 만나는 부위일 수 있다. 즉, 절삭날(149)에 의해 피절삭물이 절삭되어, 홈이 생긴 후에 원형 톱의 다른 부분이 피절삭물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절삭팁(140)들의 상부(140a)는 복수의 톱날지지부(130)들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고, 하부(140b)는 복수의 톱날지지부(130)들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톱날지지부(130)의 두께는 tb이고, 상부(140a)의 두께는 ta일 수 있다. 이때, ta는 tb보다 클 수 있다. 하부(140b)의 두께는 복수의 톱날지지부(130)의 두께인 ta일 수 있다. 상부(140a)와 하부(140b)의 두께 차이에 의해, 상부(140a)와 하부(140b)의 경계면에 단차를 가지는 계단모양의 단차부(142)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절단팁에 형성된 단차부(142)들의 바디(11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140a) 및 하부(140b)는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어, 절삭팁(140)의 절삭날(149)의 폭은 두께 ta이어서, 피절삭물을 절삭날(149)의 두께인 ta만큼 절삭을 진행하게 된다. 이후에 절삭날(149) 이외에 원형톱을 구성하는 부분(예: 절삭팁(140)의 하부, 톱날지지부(131), 및 바디(110))은 피절삭물과 접촉할 가능성이 줄어들게되고, 피절삭물과 원형톱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열에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원형톱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살팁(140)의 단차부(142)들을 서로 연결하면, 원형톱(100) 바디(110)의 원주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절삭팁(140)에 형성된 단차부(142)들은 바디(11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지고 있고, 바디(110)의 원주(c)에 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팁(140)의 상부(140a)에 의해 피절삭물이 가공되고, 제2 면(143)을 따라 피절삭물의 부산물이 이동될 수 있다. 단차부(142)를 경계로 폭이 얇아진 절삭팁(140)의 하부(140b)는 피절삭물과 사이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간을 통하여, 피절삭물의 부산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원형톱(100) 바디(11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단차부(142)에 의해서, 원형톱(100)의 회전에 의해 자연스럽게 부산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톱(예: 도 1의 원형톱(100))은, 원판형으로 형성된 바디(예: 도 1의 바디(110)), 상기 바디의 원주를 따라 원판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톱날부들(예: 도 1의 복수의 톱날지지부(130)),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상부(예: 도 2a의 상부(140a)), 상기 상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하부(예: 도 2a의 하부(140b)) 및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예: 도 2a의 단차부(142))를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팁(예: 도 2a의 복수의 절단팁(140))들과, 상기 복수의 톱날부들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 각각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착부(예: 도 2a의 복수의 절단팁(150))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복수의 톱날부의 두께(예: 도 2a의 두께 tb)보다 두껍고, 상기 하부는 상기 복수의 톱날부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의 단차부들은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의 단차부들은, 상기 바디의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에 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는,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절삭날로부터 연장되는 곡면과 곡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속적(continuous)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상기 톱날부의 면으로 실질적으로(substantially)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는, 상기 복수의 안착부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과 상기 바디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면 및 대향하는 면과 접하는 부분이 모따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안착부들은,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의 상기 안착면과 상기 바디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면에 모따기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안착부들은,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의 상기 안착면과 상기 바디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는 면에 모따기된 형상과 함께 둘러싸는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절단팁(예: 도 2b의 절단팁(140))은, 제1 면(예: 도 2b의 제1 면(141)), 상기 제1 면의 제1 모서리부터 연장되는 곡면(예: 도 2b의 곡면(143a)), 상기 곡면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평면(예: 도 2b의 평면(143b)), 및 상기 제1 면과 접하는 영역에서 절삭날(예: 도 2b의 절삭날(149))을 포함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의 제1 모서리를 마주보는 제2 모서리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면(예: 도 2b의 제3 면(147)),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에 접하는 모서리는 모따기된 제4 면(예: 도 2b의 제4 면(145)),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일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3의 일모서리로 형성되는 단차부(예: 도 2b의 단차부(142))를 포함하는 제5 면(예: 도 2b의 곡면(148))과,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의 타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3의 타모서리로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제6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차부는, 상기 절단팁이 복수개 원형톱의 안착부에 안착시, 원형 톱의 중심으로부터, 각각의 절단팁 단차부까지의 거리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원형톱의 원주에 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원형톱 110 : 바디
130 : 톱날지지부 140 : 절단팁
142 : 단차부 149 : 절삭날
150 : 안착부

Claims (5)

  1. 원형톱에 있어서,
    원판형으로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원주를 따라 원판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톱날지지부들;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상부, 상기 상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부 및 상기 상부 및 상기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절단팁들; 및
    상기 복수의 톱날지지부들로부터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 각각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착부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복수의 톱날지지부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하부는 상기 복수의 톱날지지부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의 단차부들은 상기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지고, 상기 바디의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에 접하고
    상기 톱날지지부들은, 상기 절단팁들을 지지하고, 상기 바디 방향으로 함몰된 안착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은,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면을 마주보며, 상기 바디에 접하는 면은 상기 바디의 중심을 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반경 방향과 기울기 a를 가지고, 상기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톱날 지지부의 상기 안착부와 접하는 면은 상기 반경방향과 기울기 b를 가지고,
    상기 기울기 a는 20도 내지 30도이고, 상기 기울기 b는 65도 내지 75도인, 원형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바디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절삭날로부터 연장되는 곡면과 곡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연속적(continuous)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상기 톱날지지부의 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는 원형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는,
    상기 복수의 안착부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디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바디의 회전 방향을 향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접하는 모서리에 모따기된 원형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부들은,
    상기 복수의 절단팁들과 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절단팁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모따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형톱.
KR1020200111809A 2020-09-02 2020-09-02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KR102247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09A KR102247361B1 (ko) 2020-09-02 2020-09-02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DE112021002682.8T DE112021002682T5 (de) 2020-09-02 2021-08-26 Kreissägeblatt mit einer Spitze mit abgestuften Abschnitt
PCT/KR2021/011416 WO2022050633A1 (ko) 2020-09-02 2021-08-26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US18/010,248 US20230264278A1 (en) 2020-09-02 2021-08-26 Circular saw blade equipped with tip having stepped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09A KR102247361B1 (ko) 2020-09-02 2020-09-02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361B1 true KR102247361B1 (ko) 2021-04-30

Family

ID=7574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809A KR102247361B1 (ko) 2020-09-02 2020-09-02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64278A1 (ko)
KR (1) KR102247361B1 (ko)
DE (1) DE112021002682T5 (ko)
WO (1) WO20220506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33A1 (ko) * 2020-09-02 2022-03-10 김종갑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6121A (ja) * 1996-02-14 1997-08-19 Tsune Wagner Carbide:Kk 丸 鋸
JP2005324295A (ja) * 2004-05-14 2005-11-24 Kanefusa Corp チップソー
JP2008105130A (ja) * 2006-10-25 2008-05-08 Tokai Technica:Kk チップソーの切刃構造
EP2815835A1 (de) * 2013-06-21 2014-12-24 Albert Knebel GmbH & Co. KG Holding Sägeblatt mit kleinem Sägezahn
JP6376653B2 (ja) * 2014-07-28 2018-08-22 株式会社谷テック 金属切断用丸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9435A (en) * 1962-02-12 1965-02-16 Oliver Machinery Co Saw for ferrous materials
US4690024A (en) * 1985-02-28 1987-09-01 Black & Decker Inc. Saw blade and tip therefor
KR101495878B1 (ko) 2014-07-18 2015-02-26 (주)파워쏘 금속 절단용 원형 톱
KR102247361B1 (ko) * 2020-09-02 2021-04-30 김종갑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6121A (ja) * 1996-02-14 1997-08-19 Tsune Wagner Carbide:Kk 丸 鋸
JP2005324295A (ja) * 2004-05-14 2005-11-24 Kanefusa Corp チップソー
JP2008105130A (ja) * 2006-10-25 2008-05-08 Tokai Technica:Kk チップソーの切刃構造
EP2815835A1 (de) * 2013-06-21 2014-12-24 Albert Knebel GmbH & Co. KG Holding Sägeblatt mit kleinem Sägezahn
JP6376653B2 (ja) * 2014-07-28 2018-08-22 株式会社谷テック 金属切断用丸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33A1 (ko) * 2020-09-02 2022-03-10 김종갑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2682T5 (de) 2023-05-11
US20230264278A1 (en) 2023-08-24
WO2022050633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5881B2 (en) Throw-away tip
JP2751873B2 (ja) フライス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ライス用カッタ
US8210777B2 (en) Cutting insert, milling tool and cutting method
JP4969570B2 (ja) 工具用、特にフライス用の切削インサート
JP4990374B2 (ja) 両面使用可能な切削インサート及びこれを装着したミーリングカッタ
US8381625B2 (en) Circular saw blade with cutting tips mechanically locked against multiple force vectors
KR20130006634A (ko) 정면 밀링 커터와 그 사용법
US20070163416A1 (en) Circular saw blade
JPWO2012086375A1 (ja) 切削工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102247361B1 (ko) 단차부를 가지는 팁이 장착된 원형톱날
US11618088B1 (en) Machining process with minimized burr formation
WO2012144240A1 (ja) フライス工具
JP2022540581A (ja) フライス加工のための両面切削インサート
US20210114118A1 (en) Insert and cutting tool assembly comprising same
JP2673655B2 (ja) 木材または木質系複合材加工用の回転切削工具
JP3883103B2 (ja) フィンガカッタ
KR101495878B1 (ko) 금속 절단용 원형 톱
JP2007290057A (ja) 超高圧焼結体切削工具
CN220838230U (zh) 一种抗钉型锯片
CN216096763U (zh) 带刀头的圆锯片
JP2505803B2 (ja) エンドミル
KR100517460B1 (ko) 고 이송 커터
KR20230001751A (ko) 엔드밀
CN112846396A (zh) 一种组合式圆锯片
JPH11285921A (ja) 万能刃型丸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