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541B1 -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541B1
KR102242541B1 KR1020190099041A KR20190099041A KR102242541B1 KR 102242541 B1 KR102242541 B1 KR 102242541B1 KR 1020190099041 A KR1020190099041 A KR 1020190099041A KR 20190099041 A KR20190099041 A KR 20190099041A KR 102242541 B1 KR102242541 B1 KR 10224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power consumption
switc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9875A (en
Inventor
김규복
Original Assignee
김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복 filed Critical 김규복
Priority to KR102019009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541B1/en
Publication of KR2021001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6Combination of signalling, telemeter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8Repea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전력선 통신을 활용해 건물의 조명, 전력, 방범 등의 관리 및 자동 제어하여 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일례로, 건물 내에 각각 설치된 전력공급/차단 제어기능과 전력소비량/온습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제1 제어감지기와, 인체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제2 제어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의 감지데이터를 전력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며, 외부로부터 제어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감지부; 인터넷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감지부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의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제어 감지부와 상기 관리서버 간의 통신연결을 위한 통신 중계부를 포함하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reduce installation cost by using the exist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o manage and automatically control lighting, power, crime prevention, etc. It is to make energy management possible.
For example, a first control sensor having a power supply/blocking control function and a power consumption/temperature/humidity detection function respectively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second control sensor having a human body detection function, wherein the first control sensor and the A control sensing unit that transmits sensing data of the second control detector to the outside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performs a control function by receiving control data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sensing data is collected from the control sensing unit to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sensor and the second control sensor, and the first control sensor and the second control sensor are used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And a communication relay unit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sensing unit and the management server.

Figure R1020190099041
Figure R1020190099041

Description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Low 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이란 각 건축물에 포설되어 있는 전력선에 통신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실어 보내고 이를 고주파 필터를 통해 분리하여 그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을 말하며, 이와 같은 전력선 통신은 기존의 전기배선을 활용하는 방식임에 따라 별도의 통신배선 공사가 불필요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에너지관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고효율 에너지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으로, 고효율 건물에너지에 최선의 방향을 채택한다.In general,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refers to a method of converting and loading a communication signal into a high-frequency signal on a power line installed in each building and separating it through a high-frequency filter to receive the communication signal. Since communication is a method of utilizing the existing electric wiring, it has the advantage that a separate communication wiring work is unnecessary. Therefore, as a method of maximizing energy management efficiency, it adopts the best direction for high-efficiency building energy as an advantage of improving high-efficiency energy and efficiency.

상기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전용 통신선을 배제한 상태에서 전력선을 통해 각종 전기 시설물을 제어하는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빌딩, 관공서, 아파트, 산업시설 등의 건축물들이 택지 내 대단위 규모로 들어섬에 따라 이와 함께 유비쿼터스화되어 시공되는 다양한 전기기반 시설물들이 전력선을 통해 효율적인 제어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최근에는, 공공기관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설치 의무화 실행 정책과 공공 건축물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인증 의무화와 같은 에너지 절감 정책이 활성화됨에 따라 보급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공급이 필요한 실정이며,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여 보다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가 필요하다.For the above reasons, interest has recently been focused on controlling various electric facilities through power lines while excluding dedicated communication lines. In particular, as buildings such as buildings, government offices, apartments, industrial facilities, etc.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necessary to efficiently control various electric infrastructure facilities that are constructed and ubiquitous together through power lines. In addition, as energy saving policies such as the mandatory installation of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by public institutions and the mandatory certification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for public buildings have been activated, the supply of an entry-level building automation system is required. In fac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energy by providing various sensor data.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781호(등록일자: 2006년03월13일)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11781 (Registration date: March 13, 2006) 등록특허공보 제10-0935420호(등록일자: 2009년12월28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35420 (Registration date: December 28, 2009)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032호(공개일자: 2011년01월17일)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5032 (Publication date: January 17, 2011)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전력선 통신을 활용해 건물의 조명, 전력, 방범 등의 관리 및 자동 제어를 실시하여 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installation cost and enabling more efficient energy management by performing management and automatic control of lighting, power, crime prevention, etc. of a building using exist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은, 건물 내에 각각 설치된 전력공급/차단 제어기능과 전력소비량/온습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제1 제어감지기와, 인체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제2 제어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의 감지데이터를 전력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며, 외부로부터 제어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감지부; 인터넷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감지부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의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제어 감지부와 상기 관리서버 간의 통신연결을 위한 통신 중계부를 포함한다.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rol sensor having a power supply/blocking control function and a power consumption/temperature and humidity detection function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a human body detection function. A control detector comprising a second control detector, transmitting sensing data of the first control detector and the second control detector to the outside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performing a control function by receiving control data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sensing data is collected from the control sensing unit to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sensor and the second control sensor, and the first control sensor and the second control sensor are used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And a communication relay unit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sensing unit and the management server.

또한, 상기 제1 제어감지기는 전기 스위치와 전기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감지기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trol sensor may include an electric switch and an electrical outlet, and the second control sensor may include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전기 스위치는, 전기제품의 전력공급/차단을 수동제어하기 위한 수동 제어부;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력공급/차단을 자동제어하기 위한 자동 제어부; 전기제품의 전력 소비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 소비량 측정부; 건물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부; 및 상기 수동 제어부와 상기 자동 제어부에 따른 전력공급/차단 제어상태에 대한 감지데이터와, 상기 전력 소비량 측정부와 상기 온습도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감지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부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통신 중계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자동 제어부로 전달하는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switch may include a manual control unit for manually controlling power supply/disconnection of an electric product; An automatic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power supply/disconnection of electric products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advance or the control data; A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 product;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unit for measuring temperature/humidity inside the building; And transmitting sensing data for a power supply/disconnection control state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unit and the automatic control unit, and sensing data measured through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and the temperature/humidity sensor unit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respectively, and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It may include a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automatic control unit through.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기 스위치로부터 스위치 감지데이터를 수신하는 스위치 감지데이터 수신부; 상기 스위치 감지데이터 중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임계값 이하인 온도정상모드인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과 제2 온도 임계값 사이인 온도주의모드인지, 상기 제2 온도 임계값 이상인 온도경고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온도구간 판별부; 상기 온도정상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미리 스케줄링 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 제어데이터를 상기 전기 스위치로 송출하는 온도정상모드 제어부; 상기 온도주의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스위치 경고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온도주의모드 제어부; 및 상기 온도경고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전기 스위치를 미리 설정된 일정주기로 온/오프를 반복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제어데이터를 상기 전기 스위치로 송출하는 온도경고모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임계값 및 상기 제2 온도 임계값 순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switch detection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witch detection data from the electric switch through the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A temperature warning mode in which a temperature value of the switch detection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temperature threshold value, a temperature attention mod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threshold value and a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value, or a temperature warning mode great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value A temperature section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temperature normal mod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first switch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on/off of the electric switch to the electric switch according to pre-scheduled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temperature normal mode; A temperature caution mod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switch warning message to a pre-designated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temperature caution mode; And a temperature warning mod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second switch control data to the electric switch for repeatedly turning on/off the electric switch at a predetermined period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temperature warning mode,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threshold value And higher in the order of the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또한, 상기 전기 콘센트는, 전기제품의 플러그와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플러그 접속부;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접속부를 통해 전기제품의 전력공급/차단을 개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스위치부; 상기 플러그 접속부 전체에 대한 전력공급/차단을 통합 제어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부;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연결된 전기제품의 개별 소비전력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개별 전력 소비량 측정부; 및 상기 개별 전력 소비량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개별 소비전력량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부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통신 중계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개별 스위치부 또는 상기 메인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outle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ug connection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g of an electrical appliance; A plurality of individual switch units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g connection units and configured to individually control power supply/disconnection of an electric product through the plug connection unit; A main switch unit for integrated control of power supply/disconnection to the entire plug connection unit; An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n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mount of an electr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f the plug connection units; And each transmitting sensing data on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and transmitting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to the individual switch unit or the main switch unit. It may include an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기 콘센트로부터 콘센트 감지데이터를 수신하는 콘센트 감지데이터 수신부; 상기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소비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소비전력 임계값 이하인 상태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대기전력 소비모드인지, 미리 설정된 제2 소비전력 임계값과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사이인 일반전력 소비모드, 상기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이상인 과전력 소비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소비전력구간 판별부; 상기 대기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개별 스위치부 또는 상기 메인 스위치부를 강제 오프시키는 제1 콘센트 제어데이터를 상기 전기 콘센트로 송출하는 대기전력 소비모드 제어부; 상기 일반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력소비량정보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일반전력 소비모드 제어부; 및 상기 과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개별 스위치부 또는 상기 메인 스위치부를 강제 오프시키는 제2 콘센트 제어데이터를 상기 전기 콘센트로 송출하면서, 상기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력소비량정보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과전력 소비모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비전력 임계값, 상기 제2 소비전력 임계값 및 상기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순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the outlet detection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outlet detection data from the electrical outlet through the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included in the outlet detection data is a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in which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and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between a second prese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and a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A power consumption sec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normal power consumption mode or an overpower consumption mod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first outlet control data forcibly turning off the individual switch unit or the main switch unit to the electric outlet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A general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let detection data to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general power consumption mode;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overpower consumption mode, a user terminal designated in advance by transmitting the second outlet control data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individual switch unit or the main switch unit to the electric outlet, and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let detection data. And an over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o, and may be set higher in the order of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nd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또한, 상기 전기 콘센트는, 상기 전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전원이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턴 온되는 경우 상기 전기 콘센트를 미리 설정된 테스트 시간을 갖는 대기전력 테스트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테스트 버튼부; 및 상기 대기전력 테스트 모드 동안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일정 시간 간격마다 대기전력량을 측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대기전력 테스트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측정된 대기전력량에 대한 평균 값인 평균 대기전력량을 산출하는 평균대기전력량 산출부; 및 상기 평균대기전력량을 상기 제1 소비전력 임계값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평균대기전력량에서 미리 설정된 기본 대기전력량을 더한 값을 상기 제1 소비전력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상기 제1 소비전력 임계값을 설정하는 대기전력 임계값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outlet is a standby power test button for setting the electric outlet to a standby power test mode having a preset test time when turned on in a state in which all electric products connected to the electric outlet are turned off. ; And a standby power test execution unit that measures the amount of standby power for each plug connection uni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during the standby power test mode and transmits the measured amount of standby power to the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n average standby power amount calculating unit that calculates an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that is an average value; And setting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as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or by setting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preset basic standby power amount from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as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nd the first power consumption for each plug connector. It may further include a standby power threshold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threshold.

또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건물 내 미리 설정된 감시영역을 대상으로 인체감지여부와 감지인원수를 각각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감지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부로 각각 전송하는 센서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ncludes: a detection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 human body is detected and the number of people to be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monitoring area in a building; And a sensor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measur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unit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력선 통신을 활용해 건물의 조명, 전력, 방범 등의 관리 및 자동 제어를 실시하여 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한 빌딩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installation costs and enabling more efficient energy management by performing management and automatic control of lighting, power, and crime prevention of a building using existing power line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for setting a standby power thresh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taking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considera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감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setting a standby power thresh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to do.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딩 자동화 시스템(10)은 제어 감지부(1000), 관리서버(2000) 및 중계 통신부(3000)를 포함한다.1 and 2,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detection unit 1000, a management server 2000, and a relay communication unit 3000.

상기 제어 감지부(1000)는, 건물 내에 각각 설치된 전력공급/차단 제어기능과 전력소비량/온습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제1 제어감지기(1100)와, 인체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제2 제어감지기(1120)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제어감지기(1100)와 제2 제어감지기(1120)를 통해 센싱된 감지데이터를 전력선통신(PLC)을 통해 통신 중계부(3000)로 1차 전송된 후 인터넷 통신(TCP/IP)을 통해 다시 관리 서버(2000)로 2차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0)로부터 통신 중계부(3000)를 통해 제어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detector 1000 includes a first control detector 1100 having a power supply/blocking control function and a power consumption/temperature/humidity detection function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a second control detector 1120 having a human body detection function. ), and after the detection data sensed through the first control detector 1100 and the second control detector 1120 is first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30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nternet communication ( TCP/IP)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0 again. In addition, each control data is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3000 to perform a preset control function.

상기 제1 제어감지기(1100)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스위치(1110)와 전기 콘센트(11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스위치 장치나 콘센트뿐만 아니라, PLC를 이용할 수 있는 건물 내 설치된 다양한 전기제어 관련기기나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detector 1100 may include an electric switch 1110 and an electric outlet 1120 as shown in FIGS. 1, 3 and 4, but in this embodiment, not only such a switch device or an outlet In addition, a variety of electrical control-related devices or appliances installed in a building where PLC can be used can be applied.

상기 전기 스위치(1110)는, 기존의 건물 내 설치된 조명 기기의 온/오프 스위치를 대체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수동 제어부(1111), 자동 제어부(1112), 전력 소비량 측정부(1113), 온습도 센서부(1114) 및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1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switch 1110 is a configuration installed in place of an on/off switch of an existing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manual control unit 1111, an automatic control unit 1112, a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1113,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 unit 1114 and a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15 may be included.

상기 수동 제어부(1111)는 전기제품의 전력공급/차단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스위치(1110)를 사용자가 직접 온/오프 시키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nual control unit 1111 may manually control power supply/disconnection of the electric product. For example, a button for directly turning on/off the electric switch 1110 may be included.

상기 자동 제어부(1112)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관리서버(20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력공급/차단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스위치(1110)를 통해 사용되는 조명의 사용이 없는 시간대 혹은 해당 전기 스위치(1110) 자체에 대한 이상이 발견되는 등의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르거나, 관리서버(20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tomatic control unit 1112 may automatically control power supply/disconnection of the electric product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advance or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0. For example, the user does not directly control when there is no use of the lighting used through the electric switch 1110 or an abnormality with the corresponding electric switch 1110 itself is found, but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advance, or ,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0 to enable automatic on/off operation.

상기 전력 소비량 측정부(1113)는 전기제품의 전력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일정 시간마다 소비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 값을 관리서버(20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1113 may measu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product. More specifically,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1113 measures the current consumption every predetermined time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management server 2000.

상기 온습도 센서부(1114)는 건물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 시간마다 각각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값을 각각 관리서버(20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unit 1114 may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building at each predetermined time, and transmit the measured values to the management server 2000, respectively.

상기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1115)는, 수동 제어부(1111)와 자동 제어부(1112)에 따른 전력공급/차단 제어상태에 대한 감지데이터와, 전력 소비량 측정부(1113)와 온습도 센서부(1114)를 통해 측정된 감지데이터를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통신 중계부(3000)로 각각 전송하고, 통신 중계부(3000)를 통해 관리서버(20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다시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수신하여 자동 제어부(1112)로 전달할 수 있다.The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15, through the detection data on the power supply / cut-off control state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unit 1111 and the automatic control unit 1112,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1113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unit 1114. Each of the measured sens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30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nd th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0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3000 is again transmitted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t may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control unit 1112.

상기 전기 콘센트(1120)는 기존 건물 내 설치된 콘센트 또는 멀티 탭을 대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플러그 접속부(1121), 개별 스위치부(1122), 메인 스위치부(1123), 개별 전력 소비량 측정부(1124),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1125), 대기전력 테스트 버튼부(1126) 및 대기전력 테스트 실행부(1127)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al outlet 1120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placing an outlet or a multi-tap installed in an existing building, and includes a plug connection part 1121, an individual switch part 1122, a main switch part 1123, and an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part 1124. ), an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25, a standby power test button unit 1126, and a standby power test execution unit 1127.

상기 플러그 접속부(1121)는 전기제품의 플러그와 각각 접속되며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 접속부(1121)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코드 구성에 해당될 수 있다.Each of the plug connection parts 1121 is connected to a plug of an electric appliance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The plug connection part 1121 may correspond to a code configuration into which a plug of an electric product can be inserted.

상기 개별 스위치부(1122)는 플러그 접속부(1121) 별로 설치되고, 플러그 접속부(1121)를 통해 전기제품의 전력공급/차단을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스위치부(1121)는 기존의 멀티 탭에서 각 접속구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 구성과 유사하며, 본 실시예의 개별 스위치부(1122)는 수동과 자동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dividual switch unit 1122 is installed for each plug connection unit 1121, and power supply/disconnection of the electric product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through the plug connection unit 1121. This individual switch unit 1121 is similar to the button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each connection in the existing multi-tap, and the individual switch unit 1122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both manual and automatic functions. have.

상기 메인 스위치부(1123)는 플러그 접속부(1121) 전체에 대한 전력공급/차단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스위치부(1123)는 기존의 멀티 탭에서 다수의 접속구의 온/오프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버튼 구성과 유사하며, 본 실시예의 메인 스위치부(1123)는 수동과 자동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switch unit 1123 may integrally control power supply/disconnection to the entire plug connection unit 1121. This main switch unit 1123 is similar to a button configuration for integrated control of on/off of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in a conventional multi-tap, and the main switch unit 1123 of this embodiment includes both manual and automatic functions. Can be.

상기 개별 전력 소비량 측정부(1124)는 플러그 접속부(1121) 별로 연결된 전기제품의 개별 소비 전력량을 일정 시간마다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접속부(1121)가 접속구 a, b, c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접속구 a, b, c에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접속구 a, b, c 각각에 흐르는 소비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접속구 a, b, c 각각에 대한 소비 전류 값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1124 may measure an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mount of an electric product connected to each plug connection unit 1121 at each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when the plug connection part 1121 is provided with connection ports a, b, and c, and the electrical appliance plug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onnection ports a, b, and c, the current consumption flowing through the connection ports a, b, and c is measured. It is possible to measure and provide the measured values for current consumption values for each of the connections a, b, and c.

상기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1125)는 개별 전력 소비량 측정부(1124)를 통해 측정되는 개별 소비전력량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통신 중계부(3000)로 각각 전송하고, 통신 중계부(3000)를 통해 관리서버(20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개별 스위치부(1122) 또는 메인 스위치부(1123)로 전달하여, 콘센트의 접속구 별 일괄 제어 또는 개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The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25 transmits sensing data on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1124 to the communication relay 30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0 through 3000) is transferred to the individual switch unit 1122 or the main switch unit 1123, thereby enabling collective control or individual control for each connection port of the outlet.

상기 대기전력 테스트 버튼부(1126)는 전기 콘센트(1120)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전원이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턴 온되는 경우 전기 콘센트(1120)를 미리 설정된 테스트 시간을 갖는 대기전력 테스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전력 테스트 버튼부(1126)과 관련하여 대기전력 임계값 설정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tandby power test button unit 1126 sets the electric outlet 1120 to a standby power test mode having a preset test time when all of the electric products connected to the electric outlet 1120 are turned off and turned on. I can. As described abov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a method of setting the standby power threshold value in relation to the standby power test button unit 1126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대기전력 테스트 실행부(1127)는 대기전력 테스트 모드 동안 플러그 접속부(1121) 별로 일정 시간 간격마다 대기전력량을 측정하여 관리서버(20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전력 테스트 실행부(1127)과 관련하여 대기전력 임계값 설정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tandby power test execution unit 1127 may measure the amount of standby power for each plug connection unit 1121 during the standby power test mod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ransmit the measured amount of standby power to the management server 200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a method of setting the standby power threshold value in relation to the standby power test execution unit 1127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 제어감지기(11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감지센서(1210)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기구뿐만 아니라, PLC를 이용할 수 있는 건물 내 설치된 다양한 센서들을 적용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detector 1120 may include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210 as shown in FIGS. 1 and 5, but in this embodiment, various sensors installed in a building capable of using a PLC as well as such devices Can be applied.

상기 제2 제어감지기(1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감지센서(1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체감지센서(1210)는 감지 센서부(1211)와 센서 전력선 통신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sensor 1120 may include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210 as shown in FIG. 5,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210 includes a detection sensor unit 1211 and a sensor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212. Can include.

상기 감지 센서부(1211)는 건물 내 미리 설정된 감시영역을 대상으로 인체감지여부와 감지인원수를 각각 감지하고, 해당 감지데이터를 센서 전력선 통신부(1212)로 전달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unit 1211 may detect whether a human body is detected and the number of people to be detected, respectively, targeting a predetermined monitoring area in a building,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detection data to the sensor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212.

상기 센서 전력선 통신부(1212)는 감지 센서부(1211)를 통해 측정된 감지데이터를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통신 중계부(30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The sensor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212 may each transmit the sensing data measur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unit 1211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30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상기 관리서버(2000)는, 인터넷통신(TCP/IP)을 통해 제어 감지부(1000)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일정 시간 단위로 일괄 수집하여 제1 제어감지기(1100)와 제2 제어감지기(1200)의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제어데이터를 제1 제어감지기(1100)와 제2 제어감지기(1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0 collectively collects detection data from the control detection unit 1000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TCP/IP) at a predetermined time unit, The operation is monitored, and control data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detector 1100 and the second control detector 1200.

이를 위해, 관리서버(2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감지기(1100)를 관리하기 위한 A파트와 B파트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여기서 A파트는 전기 스위치(1110)를 관리하기 위한 파트이고, B파트는 전기 콘센트(1120)을 관리하기 위한 파트이다. 물론,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제어감지기(1200)를 관리하기 위한 파트도 존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management server 2000 may be classified into part A and part B for managing the first control detector 1100, as shown in FIG. 6, where part A manages the electric switch 1110. Part B is a part for managing the electrical outlet 1120.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re is also a part for managing the second control sensor 12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briefly described.

이러한 관리서버(2000)는 스위치 감지데이터 수신부(2110), 온도구간 판별부(2120), 온도정상모드 제어부(2130), 온도주의모드 제어부(2140), 온도경고모두 제어부(2150), 콘센트 감지데이터 수신부(2210), 소비전력구간 판별부(2220), 대기전력 소비모드 제어부(2230), 일반전력 소비모드 제어부(2240), 과전력 소비모드 제어부(2250), 평균대기전력량 산출부(2260) 및 대기전력 임계값 설정부(22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2000 includes a switch detection data receiving unit 2110, a temperature section determination unit 2120, a temperature normal mode control unit 2130, a temperature caution mode control unit 2140, a temperature warning control unit 2150, and outlet detection data. The receiving unit 2210, the power consumption section determination unit 2220,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30, the general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40, the over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50,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calculation unit 2260, and A standby power threshold setting unit 2270 may be included.

상기 스위치 감지데이터 수신부(2110)는,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1115)를 통해 전기 스위치(1110)로부터 스위치 감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스위치 감지데이터는, 전기 스위치(1110)의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1115)를 통해 통신 중계부(3000)로 전송된 후, 통신 중계부(3000)에서 관리서버(2000)의 스위치 감지데이터 수신부(2110)로 다른 감지데이터들과 함께 일괄 전송될 수 있다. The switch detection data receiving unit 2110 may receive switch detection data from the electric switch 1110 through the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15. More specifically, after the switch detec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3000 through the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15 of the electric switch 1110,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3000 detects the switch of the management server 2000 It may be collectively transmitted together with other sensing data to the data receiving unit 2110.

상기 온도구간 판별부(2120)는, 수신된 스위치 감지데이터 중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임계값 이하인 온도정상모드인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임계값과 제3 온도 임계값 사이인 온도주의모드인지, 상기 제3 온도 임계값 이상인 온도경고모드인지를 측정 값과 임계 값들을 비교하여 각각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도 임계값은 상기 제2 온도 임계값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도 임계값은 50℃, 제2 온도 임계값은 60℃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ction determining unit 2120 is a temperature caution mode in which a temperature value of the received switch detection data is a temperature normal mode in which a temperatur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temperature threshold value, or between a preset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value and a third temperature threshold value.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warning mod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temperature threshold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measured values and threshold values, respectively. Here, the first temperature threshold may be set low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For example, the first temperature threshold may be set to 50°C, and the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may be set to 60°C, respectively.

상기 온도정상모드 제어부(2130)는, 온도구간 판별부(2120)를 통해 온도정상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미리 스케줄링 된 정보에 따라 전기 스위치(1110)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 제어데이터를 전기 스위치(1110)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온도 값이 50℃인 제1 온도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정상적인 제어동작을 위해 프로그래밍 된 제1 스위치 제어데이터가 일정 시간에 맞춰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normal mode control unit 2130 is determined as the temperature normal mode through the temperature section determination unit 2120, the first switch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electric switch 1110 according to pre-schedul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switch 1110.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is less than the first temperature threshold value of 50° C., the first switch control data programmed for a normal control ope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온도주의모드 제어부(2140)는, 온도구간 판별부(2120)를 통해 온도주의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스위치 경고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주의모드는 측정 온도 값이 어느 정도 위험 수치에 도달한 경우로, 해당 사용자단말(1)로 경고메시지를 전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aution mode control unit 2140 may transmit a switch warning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 designated in advance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temperature caution mode through the temperature section determination unit 2120. Such a temperature caution mode is a case in which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reaches a dangerous value to some extent, and can be operated to transmit a warning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

상기 온도경고모두 제어부(2150)는, 온도구간 판별부(2120)를 통해 온도경고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전기 스위치(1110)를 미리 설정된 일정주기로 온/오프를 반복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제어데이터를 전기 스위치(1110)로 송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경고모드는 측정 온도 값이 상당히 위험한 수치에 도달한 경우로, 제2 스위치 제어데이터를 해당 전기 스위치(1110)로 송출하여, 해당 전기 스위치(1110)가 일정 주기로 온/오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그 주변 사람에게 현재 위험 또는 긴급 상황(화재 가능성이 높음)임을 직관적으로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warning mode is determined through the temperature section determination unit 2120, the temperature warning control unit 2150 transmits second switch control data for repeatedly turning on/off the electric switch 1110 at a predetermined perio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witch 1110. In this temperature warning mode, when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reaches a very dangerous value, the second switch control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 switch 1110,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 switch 1110 repeats the on/off operation at a certain period. By doing so, it can play a role of intuitively disseminating the current danger or emergency situation (fire possibility is high) to the people around him.

상기 콘센트 감지데이터 수신부(2210)는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1125)를 통해 전기 콘센트(1120)로부터 콘센트 감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콘센트 치 감지데이터는, 전기 콘센트(1120)의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1125)를 통해 통신 중계부(3000)로 전송된 후, 통신 중계부(3000)에서 관리서버(2000)의 콘센트 감지데이터 수신부(2210)로 다른 감지데이터들과 함께 일괄 전송될 수 있다. The outlet detection data receiver 2210 may receive outlet detection data from the electrical outlet 1120 through the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25. More specifically, after the outlet value detec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3000 through the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25 of the electric outlet 1120, the outlet value of the management server 2000 in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3000 It may be collectively transmitted to the sensing data receiving unit 2210 together with other sensing data.

상기 소비전력구간 판별부(2220)는,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소비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소비전력 임계값 이하인 상태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대기전력 소비모드인지, 미리 설정된 제2 소비전력 임계값과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사이인 일반전력 소비모드,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이상인 과전력 소비모드인지를 측정 값과 임계 값들을 비교하여 각각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소비전력 임계값들은 제1 소비전력 임계값, 상기 제2 소비전력 임계값 및 상기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순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The power consumption section determination unit 2220 is a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in which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ncluded in the outlet detection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nd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a preset secon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Whether a normal power consumption mode between the value and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nd an overpower consumption mod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s, respectively. Here,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s may be set higher in the order of a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nd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상기 대기전력 소비모드 제어부(2230)는, 소비전력구간 판별부(2220)를 통해 대기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개별 스위치부(1122) 또는 메인 스위치부(1123)를 강제 오프시키는 제1 콘센트 제어데이터를 해당 전기 콘센트(1120)로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대기전력 값이 제1 소비전력 임계값 인 10W 이하이면서,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해당 플러그 접속부(1121)에서는 대기전력 소비가 일어나고 있음으로 간주하여 해당 플러그 접속부(1121)를 강제 오프시켜 대기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30 controls a first outlet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individual switch unit 1122 or the main switch unit 1123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through the power consumption section determination unit 2220.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outlet 1120. For example, if the measured standby power value is less than 10W, which is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and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lug connection 1121 considers that standby power consumption is occurring, and the corresponding plug connection 1121 is By forcibly turning off standby power consumption, energy can be saved.

상기 일반전력 소비모드 제어부(2240)는, 소비전력구간 판별부(2220)를 통해 일반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력소비량정보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콘센트 감지데이터는 실시간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로 일반적인 전력 소비 상황에 대한 관리자 보고를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측정된 전력 소비량이 제2 소비전력 임계값인 2500W와 제3 소비전력 임계값인 3000W 사이인 경우 측정 전력 소비량을 해당 측정 전력 소비량에 대한 정보로 가공하여 사용자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The general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40 may transmit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let detection data to the user terminal 1 designated in advance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general power consumption mode through the power consumption section determination unit 2220. . At this time, the outlet detection data i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n real time, and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report a general power consumption situation. For example, if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is between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of 2500W and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of 3000W,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is processed as information on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 I can.

상기 과전력 소비모드 제어부(2250)는, 소비전력구간 판별부(2220)를 통해 과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개별 스위치부(1122) 또는 메인 스위치부(1123)를 강제 오프시키는 제2 콘센트 제어데이터를 해당 전기 콘센트(1120)로 송출하면서, 해당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력소비량정보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소비 전력량이 제3 소비전력 임계값인 3000W를 넘어가는 경우 해당 전기 콘센트(1120)의 플러그 접속부(1121)를 강제 오프시키는 제2 콘센트 제어데이터를 송출한 후,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1)로 해당 관련 정보를 전달하여 과부하 방지 및 상황보고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over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50 controls a second outlet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individual switch unit 1122 or the main switch unit 1123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overpower consumption mode through the power consumption section determination unit 2220. While transmitting data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outlet 1120,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outlet detectio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 designated in advance. For example, if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of 3000W, the second outlet control data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plug connection part 1121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outlet 1120 is transmitted, and then a predetermined user By transferring the releva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 overload prevention and situation report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상기 평균대기전력량 산출부(2260)는, 플러그 접속부(1121) 별로 측정된 대기전력량에 대한 평균 값인 평균 대기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콘센트(1120)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전원이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전력 테스트 버튼부(1126)이 눌려지게 되면 해당 전기 콘센트(1120)를 미리 설정된 테스트 시간(약 10초) 동안은 대기전력 테스트 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테스트 시간 동안 각 플러그 접속부(1121) 별로 대기전력 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합을 측정 횟수로 나누어 각 플러그 접속부(1121) 별 평균 대기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The average standby power amount calculation unit 2260 may calculate an average standby power amount,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the standby power amount measured for each plug connection unit 1121. For example, when the standby power test button unit 1126 is pressed as shown in FIG. 7 in a state in which all electric products connected to the electric outlet 1120 are turned off, the corresponding electric outlet 1120 is preset. During the test time (approximately 10 seconds), the standby power test mode can be set, and the standby power value can be measured for each plug connection 1121 during this test time, and the sum of these can be divided by the number of measurements to each plug connection. (1121)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for each can be calculated.

상기 대기전력 임계값 설정부(2270)는, 평균대기전력량을 제1 소비전력 임계값으로 설정하거나, 평균대기전력량에서 미리 설정된 기본 대기전력량을 더한 값을 제1 소비전력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플러그 접속부(1121) 별로 제1 소비전력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threshold setting unit 2270 may set an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as a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or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preset basic standby power amount from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as a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may be set for each (1121).

예를 들어, 평균대기전력량 산출부(2260) 산출된 각 평균대기전력량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기본 대기전력량(약 2W)씩을 더하여 상술한 제1 소비전력 임계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기전력량에 대한 임계치를 조금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calculated by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calculation unit 2260 may be set as the aforementioned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by adding a preset amount of basic standby power (about 2W) as shown in FIG. 7. , Accordingly, a threshold value for the amount of standby power may be set slightly higher.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시간 동안 각 플러그 접속부(1121) 별로 대기전력 값을 측정한 후, 이들의 합을 측정 횟수로 나누어 각 플러그 접속부(1121) 별 평균대기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산출된 평균 대기전력량은 상술한 제1 소비전력 임계값으로서 바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after measuring the standby power value for each plug connection 1121 during the test time, the sum of these is divided by the number of measurements to calculate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for each plug connection 1121. In addition,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rectly set as the above-described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상기 중계 통신부(3000)는 제어 감지부(1000)와 관리서버(2000) 간의 통신연결을 담당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중계 통신부(3000)는 제어 감지부(1000)와 각각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연결되며, 관리서버(3000)와는 인터넷 통신(TCP/IP)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중계하여 제어 단과 관리 단에서의 데이터, 신호, 정보 등을 일괄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3000 may be responsible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detection unit 100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0. More specifically,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30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tection unit 1000 and each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0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TCP/IP). By relay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data, signals, and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and management stages can be collectively delivered.

좀 더 구체적으로, 관리서버(3000) 기준으로 본 다면, 관리서버(3000)에서는 인터넷통신(TCP/IP)을 통하여 각 중계 통신부(3000)를 단위로 하여 제어데이터를 중계 통신부(3000)에 일괄 전송함으로써 기기 간 동기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management server 3000, the management server 3000 collectively transmits control data to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3000 by using each relay communication unit 3000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TCP/IP). By transmitting, you can speed up the synchronization between devices.

또한, 중계 통신부(3000)는 관리서버(3000)에서 받은 제어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곧바로 가 전력선 통신(PLC)을 통해 제어 감지부(10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제어는 기기 별로 개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중계 통신부(3000)는 제어 감지부(1000)로부터 수집된 감지데이터를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00)에 일괄 전송하여, 관리서버(2000)가 각각의 제어 감지부(1000)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3000 may store the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0 in a memory and then immediately transfer it to the control detection unit 1000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Can be performed individually. In addition,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3000 collectively transmits the detection data collected from the control detection unit 1000 to the management server 300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management server 2000 Make sure you know the status.

한편, 관리서버(2000)는 제어 감지부(1000)로부터 각각 감지데이터를 수신한 후, 기기들의 제어정보와 동작상태가 서로 다른지를 확인한 후, 서로 다를 경우, 해당 제어 감지부(1000)에 변경된 상태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각각의 제어 감지부(1000)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erver 2000 receives the detection data from the control detection unit 1000, and then checks whether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trol data may be transmitted to control an operation in a state, and such an oper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for each control sensing unit 100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장비의 통합(조명 제어기와 스위치 장치를 스마트 스위치 단일 장치로 대체)과 중계기 연결의 확장(중계기 1개당 스마트 스위치 최대 200개까지 연결)을 통해 시스템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조명 제어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simplifying the system configur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system equipment (replacement of the lighting controller and switch device with a single smart switch device) and expansion of the repeater connection (up to 200 smart switches per repeater), lighting The cost of the controller can be reduced.

또한, 통신 공사의 생략(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기 배선을 통신망으로 이용)과 설치 비용 감소(벽면에 설치된 기존 스위치 제거 후 스마트 스위치로 전기 배선 연결)을 통해 조명 제어기의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lighting controller by omitting the communication construction (using the electric wiring as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removing the existing switch installed on the wall and connecting the electric wiring with a smart switch).

또한, 전력선 통신을 활용함으로써, 콘센트와 감기지 등도 기존 전기 배선을 이용할 수 있어 설치 및 공사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tilizing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electric wiring for the outlet and the winding pap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cost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implemented.

10: 빌딩 자동화 시스템
1000: 제어 감지부
1100: 제1 제어감지기
1110: 전기 스위치
1111: 수동 제어부
1112: 자동 제어부
1113: 전력 소비량 측정부
1114: 온습도 센서부
1115: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
1120: 전기 콘센트
1121: 플러그 접속부
1122: 개별 스위치부
1123: 메인 스위치부
1124: 개별 전력 소비량 측정부
1125: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
1126: 대기전력 테스트 버튼부
1127: 대기전력 테스트 실행부
1200: 제2 제어감지기
1210: 인체감지센서
1211: 감지 센서부
1212: 센서 전력선 통신부
2000: 관리서버
2110: 스위치 감지데이터 수신부
2120: 온도구간 판별부
2130: 온도정상모드 제어부
2140: 온도주의모드 제어부
2150: 온도경고모드 제어부
2210: 콘센트 감지데이터 수신부
2220: 소비전력구간 판별부
2230: 대기전력 소비모드 제어부
2240: 일반전력 소비모드 제어부
2250: 과전력 소비모드 제어부
2260: 평균대기전력량 산출부
2270: 대기전력 임계값 설정부
3000: 통신 중계부
1: 사용자단말
10: building automation system
1000: control detection unit
1100: first control detector
1110: electrical switch
1111: manual control
1112: automatic control
1113: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1114: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unit
1115: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20: electrical outlet
1121: plug connection
1122: individual switch unit
1123: main switch unit
1124: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1125: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1126: standby power test button
1127: standby power test execution unit
1200: second control detector
121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1211: detection sensor unit
1212: sensor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2000: management server
2110: switch detection data receiver
2120: temperature section discrimination unit
2130: temperature normal mode control unit
2140: temperature attention mode control unit
2150: temperature warning mode control unit
2210: outlet detection data receiver
2220: power consumption section determination unit
2230: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40: General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50: over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2260: average standby power calculation unit
2270: standby power threshold setting unit
3000: communication relay
1: User terminal

Claims (8)

건물 내에 각각 설치된 전력공급 및 차단 제어기능과 전력소비량 및 온습도 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제1 제어감지기와, 인체감지기능을 구비하는 제2 제어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의 감지데이터를 전력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며, 외부로부터 제어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감지부;
인터넷통신을 통해 상기 제어 감지부로부터 감지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의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제어감지기와 상기 제2 제어감지기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제어 감지부와 상기 관리서버 간의 통신연결을 위한 통신 중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감지기는 전기 스위치와 전기 콘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감지기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스위치는,
전기제품의 전력공급 및 차단을 수동제어하기 위한 수동 제어부;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상기 제어데이터에 따라 전기제품의 전력공급 및 차단을 자동제어하기 위한 자동 제어부;
전기제품의 전력 소비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력 소비량 측정부;
건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부; 및
상기 수동 제어부와 상기 자동 제어부에 따른 전력공급 및 차단 제어상태에 대한 감지데이터와, 상기 전력 소비량 측정부와 상기 온습도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감지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부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통신 중계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자동 제어부로 전달하는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위치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기 스위치로부터 스위치 감지데이터를 수신하는 스위치 감지데이터 수신부;
상기 스위치 감지데이터 중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임계값 이하인 온도정상모드인지, 상기 제1 온도 임계값과 제2 온도 임계값 사이인 온도주의모드인지, 상기 제2 온도 임계값 이상인 온도경고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온도구간 판별부;
상기 온도정상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미리 스케줄링 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스위치 제어데이터를 상기 전기 스위치로 송출하는 온도정상모드 제어부;
상기 온도주의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스위치 경고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온도주의모드 제어부; 및
상기 온도경고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전기 스위치를 미리 설정된 일정주기로 온오프를 반복시키기 위한 제2 스위치 제어데이터를 상기 전기 스위치로 송출하는 온도경고모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온도 임계값 및 상기 제2 온도 임계값 순으로 높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A first control detector having a power supply and cut-off control function and a power consumption and temperature/humidity detection function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a second control detector having a human body detection function, the first control detector and the second control A control sensing unit that transmits the sensing data of the detector to the outside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performs a control function by receiving control data from the outside, respectively;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sensing data is collected from the control sensing unit to monit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sensor and the second control sensor, and the first control sensor and the second control sensor are used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 management server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And
And a communication relay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detection unit and the management server,
The first control sensor includes an electric switch and an electric outlet,
The second control sensor includes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he electric switch,
A manual control unit for manually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cut-off of electric products;
An automatic control unit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cut-off of electric products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advance or the control data;
A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 product;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building; And
Each of the detection data for the power supply and cut-off control state according to the manual control unit and the automatic control unit, and the detection data measured by the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unit ar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A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o the automatic control unit,
The management server,
A switch detection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witch detection data from the electric switch through the switch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A temperature warning mode in which a temperature value of the switch detection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temperature threshold, a temperature attention mod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threshold and a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or high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A temperature section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temperature normal mode control unit configured to transmit first switch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on/off of the electric switch to the electric switch according to pre-scheduled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temperature normal mode;
A temperature caution mod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switch warning message to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temperature caution mode;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temperature warning mode, a temperature warning mod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second switch control data to the electric switch for repeatedly turning on and off the electric switch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set higher in the order of the first temperature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threshold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콘센트는,
전기제품의 플러그와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플러그 접속부;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 접속부를 통해 전기제품의 전력공급 및 차단을 개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스위치부;
상기 플러그 접속부 전체에 대한 전력공급 및 차단을 통합 제어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부;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연결된 전기제품의 개별 소비전력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한 개별 전력 소비량 측정부; 및
상기 개별 전력 소비량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개별 소비전력량에 대한 감지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부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통신 중계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데이터를 상기 개별 스위치부 또는 상기 메인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outlet,
A plurality of plug connection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g of an electric appliance;
A plurality of individual switch units installed for each of the plug connection units and configured to individually control power supply and cut-off of an electric product through the plug connection unit;
A main switch unit for integrated control of power supply and disconnection to the entire plug connection unit;
An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an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mount of an electric product connected to each of the plug connection units; And
Each of the sensing data on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unit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and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is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switch unit or the main switch unit. Inexpensive building automat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콘센트 전력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기 콘센트로부터 콘센트 감지데이터를 수신하는 콘센트 감지데이터 수신부;
상기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소비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소비전력 임계값 이하인 상태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대기전력 소비모드인지, 미리 설정된 제2 소비전력 임계값과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사이인 일반전력 소비모드, 상기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이상인 과전력 소비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소비전력구간 판별부;
상기 대기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개별 스위치부 또는 상기 메인 스위치부를 강제 오프시키는 제1 콘센트 제어데이터를 상기 전기 콘센트로 송출하는 대기전력 소비모드 제어부;
상기 일반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력소비량정보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일반전력 소비모드 제어부; 및
상기 과전력 소비모드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개별 스위치부 또는 상기 메인 스위치부를 강제 오프시키는 제2 콘센트 제어데이터를 상기 전기 콘센트로 송출하면서, 상기 콘센트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력소비량정보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과전력 소비모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비전력 임계값, 상기 제2 소비전력 임계값 및 상기 제3 소비전력 임계값 순으로 높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management server,
An outlet detection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outlet detection data from the electric outlet through the outlet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included in the outlet detection data is a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in which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and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between a second prese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and a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A power consumption sec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normal power consumption mode or an overpower consumption mod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first outlet control data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individual switch unit or the main switch unit to the electric outlet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mode;
A general 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let detection data to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general power consumption mode; And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overpower consumption mode, the second outlet control data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individual switch unit or the main switch unit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outlet, and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utlet detection data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Including an overpower consumption mod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the secon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and the third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is set higher in the order of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콘센트는,
상기 전기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제품의 전원이 모두 오프된 상태에서, 턴 온되는 경우 상기 전기 콘센트를 미리 설정된 테스트 시간을 갖는 대기전력 테스트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대기전력 테스트 버튼부; 및
상기 대기전력 테스트 모드 동안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일정 시간 간격마다 대기전력량을 측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대기전력 테스트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측정된 대기전력량에 대한 평균 값인 평균 대기전력량을 산출하는 평균대기전력량 산출부; 및
상기 평균대기전력량을 상기 제1 소비전력 임계값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평균대기전력량에서 미리 설정된 기본 대기전력량을 더한 값을 상기 제1 소비전력 임계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플러그 접속부 별로 상기 제1 소비전력 임계값을 설정하는 대기전력 임계값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electrical outlet,
A standby power test button unit configured to set the electrical outlet to a standby power test mode having a preset test time when all of the electric product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outlet are turned off and turned on; And
Further comprising a standby power test execution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tandby powe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ach of the plug connection units during the standby power test mode and transmitting it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An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n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the amount of standby power measured for each plug connection unit; And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for each of the plug connections by setting the average standby power amount as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or by setting a value obtained by adding a preset basic standby power amount from the average standby power amount as the first power consumption threshold value.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tili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andby power threshold setting unit for setting a valu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건물 내 미리 설정된 감시영역을 대상으로 인체감지여부와 감지인원수를 각각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및
상기 감지 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감지데이터를 상기 통신 중계부로 각각 전송하는 센서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A detection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 human body is detected and the number of person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monitoring area in the building; And
A low-cost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or power line communication unit for each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measur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unit to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KR1020190099041A 2019-08-13 2019-08-13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2242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41A KR102242541B1 (en) 2019-08-13 2019-08-13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41A KR102242541B1 (en) 2019-08-13 2019-08-13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75A KR20210019875A (en) 2021-02-23
KR102242541B1 true KR102242541B1 (en) 2021-04-20

Family

ID=7468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041A KR102242541B1 (en) 2019-08-13 2019-08-13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5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559B1 (en) * 2023-05-03 2024-01-09 주식회사 코원이앤씨 Efficient Power supply switch for Apartment hou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85B1 (en) * 2012-01-20 2012-04-17 굿어스 주식회사 Power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781Y1 (en) 2005-11-28 2006-03-17 양광섭 The illumination control system which uses a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1029300B1 (en) * 2009-01-22 2011-04-18 한국전력공사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1103321B1 (en) 2009-07-09 2012-01-11 주식회사 플레넷 remote control apparatus of an indoor light of an intelligent building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0935420B1 (en) 2009-08-14 2010-01-06 (주)성우피앤씨 Integrated controlling system of distributing board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1864608B1 (en) * 2016-08-29 2018-06-05 창신정보통신(주) Circumstantial recognition energy management type smart socket servic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85B1 (en) * 2012-01-20 2012-04-17 굿어스 주식회사 Power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75A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6099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JP4767222B2 (en) Current limiting system
AU2012101351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AU2012100197B4 (en) Power sensor
JP2013004394A (en) Power receptacle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therefor, and power receptacle device
AU2011101402C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KR102242541B1 (en)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N105680256A (en) Intelligent socket
KR1023835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IoT
KR101796841B1 (en) Building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for
JP4191983B2 (en) Current display device
JP6220922B1 (en) Power monitoring processing system
JP2008178160A (en) Safety measure system of plug receptacle
KR101672368B1 (en)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KR20080112781A (en) Time set up possible green receptacle
KR101531665B1 (en)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switch and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switch
JP2018142836A (en) Power monitoring system
CN211956166U (en) Electrical equipment monitoring device
AU2011101388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U2011101409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CN207232745U (en) A kind of intelligent domestic system
KR101645017B1 (en) Mini remote multi control unit
JP2002246964A (e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equipment
CN111273105A (en)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and power supply detection method thereof
JP2017220948A (en) Power monitoring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