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368B1 -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 Google Patents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368B1
KR101672368B1 KR1020140061053A KR20140061053A KR101672368B1 KR 101672368 B1 KR101672368 B1 KR 101672368B1 KR 1020140061053 A KR1020140061053 A KR 1020140061053A KR 20140061053 A KR20140061053 A KR 20140061053A KR 101672368 B1 KR101672368 B1 KR 10167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mart
smart device
volt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0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4499A (en
Inventor
김영한
안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몬
Priority to KR102014006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36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17Compensating for errors; Adjusting or regulating means therefor
    • G01R11/18Compensating for variations in ambient conditions
    • G01R11/185Temperature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소비전력, 전압 및 전류를 비롯하여 복수개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된 전기코드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복수의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인지하고, 인지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부터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시켜 송출하는 DCU(Data Control Unit) 및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DCU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including a power consumption, a voltage, and a current supplied to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for controlling a driving power supplied to a smart device, a smart outlet,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multi-tab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One or more smart devices for transmitting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 controller for receiving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smart device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the driving status of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monitoring result, A smart outlet for controlling an AC power supplied to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in response to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DCU, .

Description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0002]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smart concentrators using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nd smart receptacles, a smart multi-tab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본 발명은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소비전력, 전압 및 전류를 비롯하여 복수개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된 전기코드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복수의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인지하고, 인지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 smart outlet,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nd a smart multi- It senses the driving state of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transmitted through electric cord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including power consumption, voltage and current, and controls the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 smart outlet,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multi-tab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nd a smart multi-tab.

컴퓨터와 컴퓨터 네트워크가 가정/사무실에 보급되면서 차세대 가정/사무실에서는 네트웍(Network)망으로 연결되는 컴퓨터, 통신기능이 부여된 스마트기기를 비롯하여 안전 시스템이 갖추어질 수 있도록 연구개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적용되고 있다.As computers and computer networks are spreading to the home / office, next generation home / office will be applied not only for R & D but also for safety systems including computers connected to network, smart devices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etc. have.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기기의 경우 사용자들은 대부분 스마트기기의 플러그는 콘센트에 꽂아놓은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스마트기기로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지 않는다.In the case of a smart device installed in each home or office, most users do not allow the smart device to be supplied with driving power by operating the power button while the plug of the smart device is plugged into the outlet.

스마트기기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마트기기로는 지속적으로 대기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마트기기로 인한 대기소모전력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즉, 상시적으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두기 때문에 대기소모전력이 발생하고, 이렇게 스마트기기의 대기모드에서 소모되는 대기소모전력이 전체 전력소비량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 국가적인 전력낭비가 아닐 수 없다.Since the plug of the smart device is plugged into the outlet, the standby power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smart device, which causes a large amount of standby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smart device. That is, standby power is generated because the plug is always plugged into the outlet, and the standby power consumed in the standby mode of the smart device occupies 10%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This is a waste of national power.

이러한 대기소모전력으로 인한 전력낭비를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다양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들이 제안되었다.Various power saving receptacle devices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or eliminate power waste due to such standby power consumption.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9-0052845, 절전형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제품의 전력량을 측정하여 대기모드임을 판단한 후 전력을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나, 수많은 가전제품들은 기본적으로 대기모드를 지원하지 않거나, 지원하더라도 소비되는 전력량으로 만으로 대기모드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다.Th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52845, power saving type receptacle device) relates to a technique of measuring power of a product connected to an outlet to determine power saving mode after determining that the device is in the standby mode. However, , It is very inaccurate to determine the standby mode only by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10-0054048, 스마트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는 스케줄에 따라 전기제품 각각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나, 이 경우 모든 가전제품에 적당한 사용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스케줄을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타당성이 결여된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54048, smart meter controller and Intelligent Electronic Household distribution system with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hutting off standby power of each electric product according to a schedule, but in this case, Inputting the schedule for setting the time is inconvenient for practical use because it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user.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3-0009693, 원격 전력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은 공장, 인텔리전트 빌딩, 아파트, 병원, 학교 등과 같은 공공시설 물의 전력운전시스템을 인터넷을 통하여 관리ㆍ운영함으로써 유지관리에 있어 인력절감과 에너지절감 및 전기요금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수용가의 관리자가 전력시설물의 전력사용정보를 인터넷이 가능한 어떠한 장소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감시기능만 있고 차단 기능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09693, Remote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is a system for managing and operating the power operation system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intelligent buildings, apartments, hospitals, , Which can be expected to save manpower, reduce energy and reduce electricity bills, and allow a customer to manage power usage information of power facilities at any place where the Internet is available. There is a problem.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8-0059038,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은 가정의 가전기기의 전력을 제공하는 플러그가 끼워지는 컨센트 플러그마다 콘센트제어기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PLC제어모듈과 계전기(relay)를 비치하여 외부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PC나 핸드폰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면, 제어신호에 따라 콘센트제어기가 그 신호를 대기 전력 차단플러그에 전달하고, 그 차단플러그의 PLC제어모듈이 계전기를 작동시켜 소망하는 플러그에 전달되는 전류를 차단시키는 방식으로 가전기기의 ON-OFF를 제어하는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기기들을 강제로 오프시키는 경우 소비전력이 많은 상태에서는 강제로 전원 플러그를 빼는 것과 동일하므로 실제로 각각의 기기들에 심한 스트레스를 주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기기들이 수명이 짧아지거나 고장이 난다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59038, Standby Power Management System) has a PLC control module and a relay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n outlet controller for each outlet plug in which a plug that provides electric power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is inserted. When a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PC or a mobile phone connected to the Internet from the outside, the outlet controller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tandby power cutoff plu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and the PLC control module of the shutoff plug activates the rel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power management system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a home appliance by blocking a current transmitted to a plug. For example, when each of the devices is forcibly turned off, the power plug is forcibly removed In fact, each of the devices actually causes a lot of stress, The problem is there is a short or a failure fly.

즉, 종래기술에서는 각각의 센싱 장치에 대한 진단 기능이 없다. 즉, 정확하지 않은 값을 센싱하여 전송을 하여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diagnostic function for each sensing device.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way to check the inaccurate value even if it is transmitted.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대부분 릴레이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장 작은 릴레이 부품이라 해도 실질적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중인 벽 매립형 콘센트나 멀티탭에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지나치게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상업적으로 타당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most of the relays are used to shut off the standby power. In the case of using the relays, even the smallest relay parts can not be used in a wall-plugged receptacle or a multi- It takes up a volum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feasible commercially.

그리고 종래기술에서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각종 기기(Device)에 대한 소비전력만으로 기기(Device)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되어서, 정확하게 기기(Device)의 상태 파악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state of the device because the device is determined only by the power consumption of various devices connected to the outlet.

또한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이 동작하고 있을 때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강제로 전원플러그를 전기콘센트에서 빼는 것과 같기 때문에 기기들이 나쁜 영향을 받아서, 제품 수명이 짧아지거나, 반복되면 고장이 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Also, if you turn off the power while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outlet are running, it is likely to force the devices to be disconnected from the electrical outlet,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equipment, shorten the life of the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high.

또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의 통신을 하는 경우 실제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 모듈이나 모뎀의 소비전력은 최소 0.8W~0.9W이므로, 실제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 모듈이나 모뎀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Embedded microprocessor)에서 의해서 평상시에는 대기모드(Standby Mode)로 동작하다가, 센싱된 값이 특정한 범위를 넘거나 혹은 급속한 변화가 있을 때만 대기모드(Standby Mode)에서 정상동작 모드(Normal Mode)로 DCU(Data Control Unit) 또는 서버(Server)와 통신을 수행해야 하므로, 대기모드에 따른 소비전력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Embedded microprocessor)에서는 대기모드를 지원하나,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모듈이나 WiFi 모뎀의 경우 대기모드를 지원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case of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type communica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or modem is at least 0.8W ~ 0.9W.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Standby mode by a microprocessor or an embedded microprocessor, and only in Standby Mode when the sensed value exceeds a certain range or changes rapidly. (Data Control Unit) or a server (Server) in a normal m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standby mode increases. In other words, a microprocessor or an embedded microprocessor supports standby mode. However, since a standby mode is not supported in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Fi modem, .

그리고 현재 가정, 사무소 등등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전기콘센트나 멀티 탭을 이용하여 사용하지 않는 기기에 대해서 전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전력 절감을 구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saving is required in a place where electricity is used at home, office, etc., by using an electrical outlet or multi-tap to cut off power to unused devices.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 10-2009-0052845 호(발명의 명칭: 절전형 콘센트 장치)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52845 (entitled "Power saving type receptacle device")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 10-2010-0054048 호(발명의 명칭: 스마트미터 제어기 및 이를 구비한 지능형 전자식 세대 분전반 시스템)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54048 (the name of the invention: smart meter controller and intelligent electronic household distribution system equipped therewith)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 10-2003-0009693 호(발명의 명칭: 원격 전력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09693 (Title: Remote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 10-2008-0059038 호(발명의 명칭: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59038 (Title: Standby Pow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하는 모드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기기에 대해서 센싱, 진단 및 관리모드(트라이플렉스)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 전압, 전류, 전기코드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 등의 값을 측정하여 변화하는 각각의 값들을 센싱한 후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또는 WiFi 프로토콜(Protocol) 또는 지그비(zigee) 통신을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켜 DCU(Data Control Unit)로 전송하고, 이를 DCU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콘센트나 멀티탭에 스마트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신뢰성 및 더 향상된 에너지 절감 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ode of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smart device, but may be a mode of sequentially sensing, diagnosing, and managing (triplexing) a smart device, The temperature is measured through the code, and each value is sensed and converted into signals that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vi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or WiFi protocol or Zigee communication, Data Control Unit), and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that provides reliability and more energy saving function by giving smart function to the outlet or multi-tap so that it can be integrated in the DCU. Power management system and smart outlet, and smart multitap with triplex mode function. Yonghan to provide a power management system and smart power strip,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나 멀티탭에 연결된 각종 전기제품들은 나쁜 영향을 받지 않고, 대기전류를 차단하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Embedded Microprocessor)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모듈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에 대해 대기모드(Standby Mode)와 정상동작 모드(Normal Mode)를 제어하여 제어시스템 자체의 소비전력도 최소화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n embedded microprocessor is connected to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or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outlet that provides triplex mode function that minimiz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system by controlling Standby Mode and Normal Mode for module, Smart outlet, Triplex mo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management system and a smart multi-tap using a smart multi-tab that provides functions.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부터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시켜 송출하는 DCU(Data Control Unit) 및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DCU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smart devices that transmit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controller for receiving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smart device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the driving status of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a monitoring result, A smart outlet for controlling an AC power supplied to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in response to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DCU, . ≪ / RTI >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콘센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DCU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변환시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outlet measures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an AC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monitors changes in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ource,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at least one smart device in response to input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콘센트는 상기 DCU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원 제어정보는 스마트기기 대기모드 전환 요청정보 또는 전원오프 요청정보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DCU may be smart device standby mode switching request information or power off request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DCU는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기모드의 전력량과 일치되는 시점에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 전원오프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CU may transmit power off request information to the smart outlet at a time when the power consumption supplied to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through the smart outlet coincides with the predetermined amount of standby mode power .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콘센트는 외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와, 상기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상기 DCU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DCU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DCU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outlet includes a power controller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AC power to each of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plug connectors in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A power amou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ource,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with preset reference power, A diagnosis unit for diagnosing an operation state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and comparing the power, Determines the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 and transmits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DCU The smart device operating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mbedded microprocessor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communicated between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the DCU Lt; / RTI >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or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콘센트는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outle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plug,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electric cord.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콘센트는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outlet has a hole for tes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t a position that is in lin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formed of a rubber stopper or a screw- Can be block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전력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스위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부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trol un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at least one plug coupling unit, the power control unit is a switch, and when one of the one or more power control units is turned on or off, May supply or block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 외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 상기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 상기 전력량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 상기 전력량 센서부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상기 DCU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DCU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DCU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smart outlet providing a trip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plug connector to which one or more smart devices are connected; A power controller for supplying or blocking AC power to each of the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plug connectors in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A power amou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A diagnostic unit for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iagnose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comparing the power value of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DCU with the power value of the smart device to determine a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 An embedded microprocessor for sending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e information to the DCU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the DCU.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or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콘센트는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outle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plug,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electric cord.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콘센트는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outlet has a hole for tes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t a position that is in lin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formed of a rubber stopper or a screw- Can be block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전력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스위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부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trol un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at least one plug coupling unit, the power control unit is a switch, and when one of the one or more power control units is turned on or off, May supply or block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스마트기기들;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로부터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시켜 송출하는 DCU(Data Control Unit);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DCU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포함할 수 있다.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a tri-f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for transmitting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monitoring the driving status of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generating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Data Control Unit); And a smart multitap that controls an AC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in response to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DCU, wherein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include a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to which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are connected can do.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멀티탭은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DCU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변환시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multi-tap measures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monitors the change of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may be converted and supplied in response to the inputted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DCU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원제어정보는 스마트기기 대기모드 전환 요청정보 또는 전원오프 요청정보일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DCU may be smart device standby mode switching request information or power off request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DCU는 상기 스마트 멀티탭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기모드의 전력량과 일치되는 시점에 상기 스마트 멀티탭으로 전원오프 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CU may transmit power-off request information to the smart multi-tap at a time when the power consumption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through the smart multi-tap matches a preset amount of power in the standby mode .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멀티탭은 외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와, 상기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상기 DCU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DCU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DCU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multi-tap includes a power control unit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AC power to each of the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in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A power amou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ource,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with preset reference power, A diagnosis unit for diagnosing an operation state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and comparing the power, Determines the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 and sends the generated smart device driving state information to the DCU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 embedded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in response to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us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the DCU have.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or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멀티탭은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multi-tap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plug,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electric cord.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멀티탭은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multi-tap has a hole for tes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t a position in a lin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formed of a rubber stopper or a screw- Can be block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전력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스위치이며, 상기 복수의 전력제어부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해당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control un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plurality of plug coupling units, the power control unit is a switch, an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power control units is turned on or off, Can supply or block the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은 복수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 외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 상기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 상기 전력량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 상기 전력량 센서부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상기 DCU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DCU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DCU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smart multi-tab providing a tri-f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to which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are connected; A power controller for supplying or blocking AC power to each of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in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A power amou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A diagnostic unit for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iagnose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comparing the power value of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DCU with the power value of the smart device to determine a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us information, and an embedded micro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the DCU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or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멀티탭은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multi-tap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plug,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electric cord.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스마트 콘센트는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outlet has a hole for tes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t a position that is in lin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formed of a rubber stopper or a screw- Can be block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전력제어부는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전력제어부는 스위치이며, 복수의 전력제어부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trol uni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plurality of plug coupling units, the power control unit is a switch, and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power control units is turned on or off, The AC power can be suppli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sub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기기에의 소비전력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기기에 대해서 센싱, 진단 및 관리모드(트라이플렉스)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 전압, 전류, 전기코드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 등의 값을 측정하여 변화하는 각각의 값들을 센싱한 후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또는 WiFi 프로토콜(Protocol)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을 채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센싱값들을 변환시켜 DCU(Data Control Unit)로 전송하고, 이를 DCU(Data Control Unit)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콘센트나 일반 멀티탭에 스마트스위치를 직접 연결하여 높은 신뢰성 및 더 향상된 에너지 절감 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performing the mode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 device, the smart device can be configured to sequentially perform sensing, diagnosis, and management mode (triplex) , Temperature, etc. transmitted through voltage, current, and electric code, and senses the changed values, and then uses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or WiFi protocol or Zigbee communication method (DCU), which can be integrated in a DCU (Data Control Unit), so that a smart switch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 general outlet or a general multi-tab, It is possible to secure an energy sav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전기콘센트나 멀티탭을 설치하기 어렵거나 힘든 환경에서 전기선으로 공급되는 전력, 전압, 전류 및 전기코드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power, voltage, current, and temperature transmitted through an electric cord, which is difficult to install an electrical outlet or a multi-tap, .

또한, 본 발명은 콘센트나 멀티탭에 연결된 각종 전기제품들은 나쁜 영향을 받지 않고, 대기전류를 차단하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Embedded Microprocessor)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모듈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에 대해 대기모드(Standby Mode)와 정상동작 모드(Normal Mode)를 제어하여 제어시스템 자체의 소비전력도 최소화 함으로써, 절전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lectronic appliances connected to an outlet or a multi-tap, which is not adversely affected and is capable of shutting off a standby current. An embedded microprocessor i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em or a zigbee, The power saving effect can be maximized by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trol system itself by controlling the standby mode and the normal operation mod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전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위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된 내부온도센서를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적용된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device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pplied to FIG.
FIG. 3 is an external view of the power supply device provided with the triplex mode function applied to FIG. 1 from above.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agno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pplied to FIG. 2. FIG.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a tri-f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pplied to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A power management system and a smart outlet using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 실시예1Example 1 ))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outl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위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된 내부온도센서를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the triplex mode function applied to FIG. Fig. 3 is an external view of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pplied to Fig. 1 from above.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agno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pplied to FIG. 2. FIG.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전원관리시스템은, 하나의 스마트 콘센트(300a(1))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 제 1 DCU(400), 제 2 DCU(50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a power management system providing a trip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600 (2) coupled to one smart outlet 300a ), Smart receptacles 300a (1) to 300a (N), a first DCU 400 and a second DCU 500.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600(1), 600(2))는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제 DCU(Data Control Unit, 400)로 전송한다.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transmit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to a data control unit 4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제 1 DCU(400)는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로부터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수신받아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시켜 송출한다.The first DCU 400 receives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the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2), and generates and transmits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도 2의 310a(1), 310a(2))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 1 DCU(400)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한다.The smart receptacles 300a (1) - 300a (N)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plug connectors 310a (1), 310a (2) And controls the AC power supplied to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in response to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제 1 DCU(400)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변환시켜 공급되도록 한다.The smart outlets 300a (1) to 300a (N) measure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ied to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600 (2)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one or more smart devices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st DCU 400, and supplies the converted power, voltage, and current.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는 제 1 DCU(40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원 제어정보는 스마트기기 대기모드 전환 요청정보 또는 전원오프 요청로 이루어진다.The smart power supplies 300a (1) to 300a (N)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st DCU 400 is a smart device standby mode switching request information or a power off request.

제 1 DCU(400)는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기모드의 전력량과 일치되는 시점에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 전원오프 요청정보를 전송한다.The first DCU 400 determines that the power consumption supplied to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through the smart outlets 300a (1) to 300a (N) And transmits power-off request information to the smart outlet at a time when the power-off request information matches the power-off request information.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도 2의 340a)의 제어에 응하여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310a(1), 310a(2))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600(1), 600a(2))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320a)와, 스마트기기들(600(1), 600(2))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330a)와, 전력량 센서부(330a)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330a)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360a)와, 전력량 센서부(330a)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제 1 DCU(400)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제 1 DCU(400)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320a)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와,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와 상기 제 1 DCU(400)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350a)로 이루어진다.The smart receptacles 300a (1) to 300a (N) are connected to one or more plug connectors 310a (1), 310a (2) in response to control of an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in FIG. 2) A power control unit 320a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AC power to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A power amount sensor 330a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ied from the AC power source 330a; A diagnostic unit 360a for diagnos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energy sensor unit 330a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by comparing the electric power, the voltage and the current value of the AC power source from the electric energy sensor unit 330a, DCU 400 to the power value of the smart device, And sends the generated smart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DCU 4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smart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DCU 400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320a and a communication unit 350a for communicating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and the first DCU 400 with each other.

통신부(350a)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351a) 또는 WiFi 모뎀(352a)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진다.The communication unit 350a include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351a or a WiFi modem 352a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는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331a)를 비롯하여 스마트기기들((600(1), 600(2))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스마트기기의 진동상태를 측정하는 진동센서 및 스마트기기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를 외부 인터페이스부(333a)로 더 포함하고 있다.The smart receptacles 300a (1) to 300a (N) ar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to be plugged with the smart devices 600 (1) to 600a (N), includ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331a, (2)), a vib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vibration state of the smart device, and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smart device is installed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face unit 333a .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는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도 3의 700)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도 3의 700)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된다. 이때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도 3의 700)은 플러그와 결합되는 연결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플러그 결합부(310a(1), 310a(2))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콘센트의 경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310a(1), 310a(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도 3의 700) 또한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다.The smart receptacles 300a (1) to 300a (N) have inner temperature sensor test holes (700 in FIG. 3) formed at positions that are in line with the upper case inner temperature sensor, 700 of FIG. 3) is cut off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y a rubber stopper or a screw-shaped plastic stopper. In this case, since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700 in FIG. 3)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plug, it is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of the plug coupling portions 310a (1) and 310a (2) (One or more plug coupling portions 310a (1), 310a (2)) are provided, at least on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test hole (700 in FIG. 3) is also provided as shown in FIG.

전력제어부(320a)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310a(1), 310a(2))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전력제어부(320a)는 스위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부(320a)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하거나, 또는 차단시킨다.
The power control unit 320a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one or more plug coupling units 310a (1) and 310a (2), and the power control unit 320a is a switch, and one of the one or more power control units 320a When the power control unit is turned on or off, the power control unit supplies, or blocks, the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unit.

스마트 콘센트Smart outle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에 대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2 and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outlet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구성된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outlet that provides the triplex mode fun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에 구비된 플러그 연결부(310a(1), 310a(2))에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600(1), 600(2))에 구비된 꽂은 후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의 구동스위치를 각각 온시키면,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은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의 고유 맥어드레스(MAC ADDRESS)와 같은 식별정보를 제 1 DCU(400)로 전송한다.3,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to 600 (1) may be connected to plug connectors 310a (1) and 310a (2) provided in smart receptacles 300a 600 (1), 600 (2)) after turning on the drive switches of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600 (2) Transmits to the first DCU 4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unique MAC address (MAC ADDRESS) of the smar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면 제 1 DCU(400)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별도로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나 서버를 통해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의 구동조건정보를 읽어들이고, 이러한 구동조건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들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제 1 DCU(400)는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시켜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의 통신부(352a)를 통해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로 전송한다.The first DCU 400 then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600 (2) through a database or a server that is separately construct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600 (2), and monitors the driving state of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600 (2) based on the driving condition information. The first DCU 400 generates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transmits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to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via the communication unit 352a of the smart receptacles 300a (1) to 300a (N) send.

그러면 스마트 콘센트(300a(1)~300a(N))의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전력제어부(320a)를 온시킨 후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600(1), 600(2))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한다. 이때 전력제어부(320a)는 FET 소자로 이루어진 자동 스위치이며, 멀티탭과 같이 수동스위치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온되어야 한다.Then,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of the smart receptacles 300a (1) to 300a (N) turns on the power control unit 320a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source control information, and then turns on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600 (1) 600 (2)). At this time, the power control unit 320a is an automatic switch made up of an FET device. If the switch is a manual switch such as a multi-tap, it must be turned on by a user.

이때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80a)와 타이머(370a)가 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380a for supplying power and a timer 370a.

타이머(370a)의 역할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면, 일정 시간마다 구동 확인 신호를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로 출력하고,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는 구동 확인 신호에 응하여 구동신호를 타이머(370a)로 출력한다. 여기서 타이머(370a)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로 구동 확인 신호를 출력한 후 일정 시간동안 구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로 리셋신호를 출력하고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는 리셋 신호에 의해 초기화된다.The function of the timer 370a is briefly described. The driving microcomputer 340a outputs a driving confirmation signal to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outputs a driving signal to the timer 370a in response to the driving confirmation signal do. Here, the timer 370a outputs a drive confirmation signal to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and if the drive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determines that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is not operating normally, And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is initialized by a reset signal.

이와 같이 스마트기기들(600(1), 600(2))에 구동전원이 공급되고 나면 전력량 센서부(330a)는 스마트기기(600(1), 600(2))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로 출력한다.After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330a outputs the power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 Voltage and current are measured and output to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그리고 내부온도센서(335a)는 플러그가 플러그 결합부(310a)에 꽂힌 후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여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로 출력한다.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335a measures the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electric cord after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coupling part 310a and outputs the measured temperature to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그러면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는 전력량 센서부(330a)로부터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600(1), 600(2))의 구동상태를 판단한 후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데이터를 생성시켜 제 1 DCU(400)로 전송하는 한편 제 1 DCU(400)로부터 수신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제어 데이터에 응하여 전력제어부(320a)를 제어한다.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receives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330a and compares the received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with preset referenc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etermine which of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Generates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e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first DCU 400 while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320a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DCU 400. [

이때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는 스마트기기들(600(1), 600(2))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스마트기기가 복수의 플러그 연결부(310) 중 임의의 플러그 연결부(310)에 연결되는 경우 해당 스마트기기로부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플러그 연결부(310) 식별정보와 매칭시키고 여기에 스마트 콘센트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제 1 DCU(400)로 송출하고, 제 1 DCU(400)는 스마트기기 식별정보를 통해 스마트기기를 인식하고, 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 등 구동조건을 모니터링한 후 구동조건에 따른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로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connects any one or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of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to any plug connection 310 of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ions 310 The first DCU 4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smart device,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plug connection unit 3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smart outl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DCU 400, And monitors the driving conditions such a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 device, generates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and outputs the information to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즉, 제 1 DCU(400)는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해야 하는 경우 2가지 방법으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스마트기기들(600(1), 600(2))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거나, 나쁜 영향을 주는 경우에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첫번째 방식은 스마트 콘센트(300a(1), 300a(2))를 통해 스마트기기들(600(1), 600(2)) 중 해당 스마트기기에 탑재된 컨트롤러로 대기모드 요청신호 또는 전원오프 요청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스마트기기의 컨트롤러가 대기모드 요청신호 또는 전원오프 요청신호에 응하여 대기모드 또는 전원오프모드로 전환시킨 후 스마트 콘센트(300a(1), 300(2))를 통해 구동전원을 차단시키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식은 긴급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해당 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이 최소인 시간까지 대기를 한 후 해당 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이 최소전력이 되는 순간에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 1 DCU(400) 또는 별도로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해당 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 등등 구동조건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해야 한다. 이에 제 1 DCU(400)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는 스마트기기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스마트기기의 구동조건을 저장하고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DCU 400 is to cut off the driving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 the first DCU 400 is shut down in two ways, so that the first DCU 400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 So that it can be minimized even when it has bad influence. The first method of shutting off the driving power is to supply a standby mode request signal to the controller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smart device among the smart devices 600 (1) and 600 (2) via the smart receptacles 300a (1) The controller of the smart device switches the smart receptacles 300a (1) and 300 (2) to the standby mode or the power off mode in response to the standby mode request signal or the power off request signal And the driving power is cut off through the power supply.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of shutting off the driving power at the moment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 device becomes minimum power after waiting until the time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mart device is minimum, except for an urgent situ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second schem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driving conditions such as power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smart device through the first DCU 400 or a separate database. The first DCU 400 or the separate database stores driving conditions of the corresponding smart devic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한편, 진단부(360a)는 전력량 센서부(330a)에 의해 측정된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330a)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로 출력한다.The diagnosis unit 360a diagnos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330a by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330a with preset referenc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And outputs the diagnosis result to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a)는 진단부(360a)의 진단 결과를 판단하여 이상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스마트 콘센트(300a(1), 300a(2)))에 구비된 램프를 점멸시키거나 또는 램프의 색상을 정상일 때와 비정상일 때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구현한 후 색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위의 램프는 전력제어부(320a)와 함께 기존의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또는 보조스위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a determines the diagnosis result of the diagnosis unit 360a and blinks the lamp provided in the smart receptacles 300a (1), 300a (2)) so that the user can know if there is an abnormality, The color of the lamp is implemented so as to have different colors when the lamp is normal and abnormal, and then displayed in color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lamp easily. The above lamp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ain switch or an auxiliary switch of a conventional multi-tap together with the power control unit 320a.

전력량 센서부(330a)의 이상 여부는 상술한 내용과 같이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제공하고 있으나, 내부온도센서(335a)는 실제로 일정기간을 사용하는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오동작을 해도 이를 확인하는 방법이 스마트 콘센트(300a(1), 300(2)) 자체 내에 구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콘센트(300a(1), 300(2))의 상부 케이스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700) 상부에 고출력 엘이디 램프를 위치시킨 후 점등시켜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700) 내부로 빛을 조사하여 내부온도센서(335a)에 열을 가해주면서 내부온도센서(335a)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실제로 내부온도센서(335a)는 다른 센서에 비하여 고장 또는 오동작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대한 법률 시행규칙*1에 의하면 5000제곱미터 이상은 년 2회, 5000제곱미터 미만은 년 1회 화재방지용 내부온도센서의 동작유무를 점검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적용된 바와 같이 스마트 콘센트(300a(1), 300(2))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700)을 형성시켜 고출력 엘이디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 용이하게 내부온도센서의 동작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335a diagnoses the abnormality of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330a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the diagnosis result. However, i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335a actually uses a certain period of time, Since the method is not implemented in the smart receptacles 300a (1), 300 (2) itself, the upper case of the smart receptacles 300a (1), 300 (2) A high power LED lamp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test hole 700 and then illuminated so as to irradiate light into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test hole 700 to apply heat to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335a, As shown in FIG. Actually, since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335a is very likely to fail or malfunc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sensors, according to the Implementing Regulations for Fire Service Faciliti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 1, Once a year, it is required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for fire prevention. Therefore, when the high-power LED lamp is used in the smart receptacles 300a (1) and 300 (2) by forming the hole 700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can be easily checked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A power management system and a smart multi-tap using a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a tri-f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 실시예2Example 2 ))

스마트 smart 멀티탭을Multi-tap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Used power management system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적용된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a tri-f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applied to FIG.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스마트기기들(600(1)~600(N))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스마트기기들(600(1)~600(N))로부터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600(1)~600(N))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시켜 송출하는 제 1 DCU(Data Control Unit, 400)와, 복수의 스마트기기들(600(1)~600(N))이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310b(1)~310b(N))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DCU(400)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600(1)~600(N))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복수의 스마트 멀티탭(300b(1)~300b(N))로 이루어진다.A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a tri-f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600 (1) to 600 (N 600 (N)) receiving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600 (1) to 600 (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DCU (Data Control Unit) 400 for monitoring the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s 600 (1) to 600 (N) and for generating and sending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And a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310b (1) to 310b (N)) to which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310a to 310n are connect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DCU 400, A plurality of smart meters for controlling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600 (1) to 600 (N) It comprises a tab (300b (1) ~ 300b (N)).

스마트 멀티탭(300b(1)~300b(N))은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600(1)~600(N))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제 1 DCU(400)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600(1)~600(N))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변환시켜 공급되도록 한다.The smart multitaps 300b (1) to 300b (N) measure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600 (1) to 600 (N) (1) to 600 (N) in response to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st DCU (400)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upply are converted and supplied.

제 1 DCU(400)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원 제어정보는 스마트기기 대기모드 전환 요청정보 또는 전원오프 요청정보이며, 제 1 DCU(400)는 상기 스마트 멀티탭(300b(1)~300b(N))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600(1)~600(N))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기모드의 전력량과 일치되는 시점에 상기 스마트 멀티탭(300b(1)~300b(N))으로 전원오프 요청정보를 전송한다.Th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rst DCU 400 is smart device standby mode switching request information or power off request information and the first DCU 400 transmits the smart multi tap 300b (1) to 300b (N) To the smart multi-tapes 300b (1) to 300b (N) at a time point when the power consumption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600 (1) to 600 (N) Power off request information.

스마트 멀티탭(300b(1)~300b(N))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b)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310b(1)~310b(N))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320b)와, 상기 스마트기기들(600(1)~600(N))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330b)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330b)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330b)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360b)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330b)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DCU(400)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제 1 DCU(400)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320b)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b)와,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340b)와 상기 제 1 DCU(400)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350b)로 이루어진다.The smart multitaps 300b (1) to 300b (N)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lug coupling portions 310b (1) to 310b (N)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b as shown in FIG. 6) A power control unit 320b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the AC power to each of the smart devices 600 and 600 and a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600 (1) to 600 (N) And a current value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330b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power, a voltage and a current value, and outputs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power amount sensor 330b A diagnosis unit 360b for diagnosing the operation state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and a control unit 360b for receiv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330b, Compared with the power value of the smart device among the control information, the smart device is driven And sends the generated smart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DCU 400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mart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st DCU 400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An embedded microprocessor 340b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320b and a communication unit 350b for communicating the embedded microprocessor 340b and the first DCU 400 with each other.

통신부(350b)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351b) 또는 WiFi 모뎀(352b)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진다.The communication unit 350b include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351b or a WiFi modem 352b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스마트 멀티탭(300b(1)~300b(N))은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331b)를 비롯하여, 스마트기기들((600(1), 600(2))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스마트기기의 진동상태를 측정하는 진동센서 및 스마트기기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센서를 외부 인터페이스부(333b)로 더 포함하고 있다.The smart multi-tabs 300b (1) - 300b (N) are provided at the connection with the plugs to allow the smart devices 600 (1), 300b A vib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vibration state of the smart device and an external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smart device is installed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face unit 333b .

스마트 멀티탭(300b(1)~300b(N))은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도 3의 700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도 3의 700 참조)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된다. 이때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은 플러그와 결합되는 연결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플러그 결합부마다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된 스마트 멀티탭의 경우 스마트 멀티탭에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 결합부의 개수만큼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도 형성되어 있다.The smart multi-tabs 300b (1) to 300b (N) are formed with holes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see 700 in FIG. 3) at a position on the straight lin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upper- (See 700 in FIG. 3) is blocked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by a rubber stopper or a plastic stopper in the form of a screw. In this case, since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plug, it is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plug coupling portion. In the case of the smart multi-tap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oles are also formed.

전력제어부(320b)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310b(1)~310b(N))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제어부(320a)는 스위치이며, 상기 복수의 전력제어부(320a)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해당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킨다.The power control unit 320b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plurality of plug coupling units 310b (1) to 310b (N), and the power control unit 320a is a switch. Among the plurality of power control units 320a When one power control unit is turned on or off, the corresponding power control unit supplies or blocks the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unit.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스마트 콘센트가 스마트 멀티탭으로만 대체되었으므로, 그 작용효과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실시예 2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smart outlet of the first embodiment is replaced by the smart multi-tap on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operation effect,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second embodiment.

스마트 smart 멀티탭Multitap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the triplex mode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6 and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multit that provides the triplex mode functio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 적산전력량계 200 : 배전반
300a(1)~300a(N) : 스마트 콘센트
300b(1)~300b(N) : 스마트 멀티탭
310a, 310b : 플러그 결합부 320a, 320b : 전력량 제어부
330a, 330b : 전력량 센서부 340a, 340b :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
350a, 350b : 통신부 360a, 360b : 진단부
400 : 제 1 DCU 500 : 제 2 DCU
600(1)~600(N) : 스마트기기
100: Integrated watt hour meter 200: Switchboard
300a (1) to 300a (N): Smart outlet
300b (1) to 300b (N): Smart multi-tap
310a, 310b: plug coupling portions 320a, 320b:
330a, 330b: power amount sensor parts 340a, 340b: embedded microprocessor
350a, 350b: communication units 360a, 360b:
400: first DCU 500: second DCU
600 (1) ~ 600 (N): Smart device

Claims (28)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부터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시켜 송출하는 DCU(Data Control Unit);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DCU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포함하며,
상기 DCU는 상기 스마트 콘센트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기모드의 전력량과 일치되는 시점에 상기 스마트 콘센트로 전원오프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One or more smart devices for transmitting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e information from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monitor the driving status of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and generating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Data Control Unit); And
And a smart outlet for controlling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DCU, ,
Wherein the DCU transmits the power off request information to the smart outlet at a time when the power consumption supplied to the at least one smart device through the smart outlet coincides with the preset amount of power in the standby mode.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DCU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변환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outlet measures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one or more smart devices, monitors a change in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at least one smart device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nd supplies the converted power, voltage, and current to the at least one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U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원 제어정보는 스마트기기 대기모드 전환 요청정보 또는 전원오프 요청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DCU is smart device standby mode switching request information or power off request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외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와,
상기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상기 DCU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DCU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DCU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outlet
A power controller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AC power to each of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plug connectors in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A power amou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A diagnosis unit for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iagnose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comparing the power value of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DCU with the power value of the smart device to determine a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us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the DCU. The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outlet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or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outlet further comprises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plug and measuring a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electric co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outlet has a hole for tes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t a position that is in lin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sealed with a rubber stopper or a screw cap Power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outlet that features triplex mode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스위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부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wer control unit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t least one plug coupling unit,
The power control unit is a switch,
Wherein when one of the one or more power control units is turned on or off, the corresponding power control unit supplies or blocks the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unit. Used power management system.
하나 이상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
외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
상기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
상기 전력량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
상기 전력량 센서부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DCU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DCU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DCU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
One or more plug connectors to which one or more smart devices are connected;
A power controller for supplying or blocking AC power to each of the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one or more plug connectors in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A power amou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A diagnostic unit for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iagnose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source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compares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source with the power value of the smart device among th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DCU to determine the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 An embedded microprocessor for transmitting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e information to the DCU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the DCU. The smart receptacle provides the triplex mode fun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or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mart outlet further comprises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plug to measure a temperature transferred from the electronic co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콘센트는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mart outlet has a hole for tes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t a position that is in lin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sealed with a rubber stopper or a screw cap Smart outlet that features triplex mode fun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플러그 결합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스위치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전력제어부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ower control unit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t least one plug coupling unit,
The power control unit is a switch,
Wherein when one of the one or more power control units is turned on or off, the corresponding power control unit supplies or blocks the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unit.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스마트기기들;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로부터 스마트기기 식별정보 및 구동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의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를 생성시켜 송출하는 DCU(Data Control Unit);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DCU를 통해 송출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제어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포함하며,
상기 DCU는 상기 스마트 멀티탭을 통해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소비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기모드의 전력량과 일치되는 시점에 상기 스마트 멀티탭으로 전원오프 요청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for transmitting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smar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e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monitoring the driving status of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generating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Data Control Unit); And
And a smart multitap that controls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DCU, wherein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
Wherein the DCU transmits power-off request information to the smart multi-tap at a time when the power consumption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through the smart multi-tap matches a preset amount of power in the standby mode.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multi-tap.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멀티탭은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DCU로부터 입력되는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기기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변환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mart multi-tap measures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monitors changes in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nd supplies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to the plurality of smart devic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CU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원제어정보는 스마트기기 대기모드 전환 요청정보 또는 전원오프 요청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DCU is smart device standby mode switching request information or power off request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멀티탭은
외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와,
상기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와,
상기 전력량 센서부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상기 DCU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DCU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DCU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mart multi-
A power controller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AC power to each of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in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A power amou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A diagnosis unit for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iagnose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comparing the power value of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DCU with the power value of the smart device to determine a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us informa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allow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the DCU. The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multi-tap provides a triplex mode func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멀티탭은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mart multitap further comprises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connection part for coupling with the plug and measuring a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cord.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멀티탭은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mart multi-tap has a hole for tes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t a position in a straight line with the upper-layer cas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nd the hole for te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s interrupted by a rubber stopper or a screw- Power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multi-tap that provides the feature of triplex mod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스위치이며,
상기 복수의 전력제어부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해당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The power control unit is a switch,
Wherein when the power control unit of one of the plurality of power control units is turned on or off, the corresponding power control unit supplies or blocks the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uni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복수의 스마트기기들이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
외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들 각각에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전력제어부;
상기 스마트기기들로 공급되는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전력량 센서부;
상기 전력량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력, 전압 및 전류값과 비교하여 전력량 센서부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진단부;
상기 전력량 센서부로부터 교류전원의 전력, 전압 및 전류값을 입력받아 DCU로부터 입력된 구동전원 제어정보 중 스마트기기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스마트기기의 구동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를 상기 DCU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 구동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된 스마트기기 구동전원 제어정보에 응하여 상기 전력제어부를 제어하는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임베디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DCU 상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
A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to which a plurality of smart devices are connected;
A power controller for supplying or blocking AC power to each of smart devic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in response to external control;
A power amount sensor unit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smart devices;
A diagnostic unit for comparing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measured by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iagnose an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source from the power amount sensor unit, compares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AC power source with the power value of the smart device among th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DCU to determine the driving state of the smart device, An embedded microprocessor for transmitting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e information to the DCU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power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mart device driving state information;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embedded microprocessor and the DCU. The smart multi-tap function provides the tri-flex mode functio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 또는 WiFi 모뎀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or a WiFi modem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멀티탭은 플러그와 결합하는 연결부에 마련되어, 전기코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smart multi-tap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plug,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a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cor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멀티탭은 상층 케이스 내부온도센서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에 내부온도센서 테스트용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온도센서 홀은 고무마개 또는 나사형태의 플라스틱 마개에 의해 외부환경과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smart multi-tap is provided with a hole for testing an internal temperature sensor at a position that is in line with the temperature sensor inside the upper cas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hole is block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by a rubber stopper or a screw- Smart Multitap with Triplex Mode functio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결합부와 근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스위치이며,
상기 복수의 전력제어부 중 하나의 전력제어부가 온 또는 오프되면 해당 전력제어부는 플러그 결합부에 연결된 스마트기기로 교류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power controller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plurality of plug connectors,
The power control unit is a switch,
Wherein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power control units is turned on or off, the corresponding power control unit supplies or blocks the AC power to the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plug coupling unit.
KR1020140061053A 2014-05-21 2014-05-21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KR101672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053A KR101672368B1 (en) 2014-05-21 2014-05-21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053A KR101672368B1 (en) 2014-05-21 2014-05-21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499A KR20150134499A (en) 2015-12-02
KR101672368B1 true KR101672368B1 (en) 2016-11-17

Family

ID=5488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053A KR101672368B1 (en) 2014-05-21 2014-05-21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3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31B1 (en) * 2018-11-23 2020-03-04 주식회사 삼호테크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25B1 (en) * 2021-04-02 2023-04-03 주식회사 타디스테크놀로지 Power Socket with Anti-Breakag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780B1 (en) * 2012-03-08 2012-09-14 (주) 위즈네트 Smart meter apparatus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and power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05B1 (en) 2001-07-23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suring power of base band digital signal in transmission power auto gain control circuit
KR100538531B1 (en) * 2003-04-03 2005-12-22 류재준 Outlet capable of measuring and controlling power consumed by load
KR20060000304A (en) * 2004-06-28 200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ic power control apparatus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the method of the same
JP4857102B2 (en) 2006-12-22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ob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100054048A (en) 2008-11-13 2010-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in digital broadcating receiver
KR101134299B1 (en) * 2009-03-06 2012-04-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Multi-functional multi-outlet which includes abnormal power detection algorithm
KR20090052845A (en) 2009-05-06 2009-05-26 이윤식 Compass for the golf addre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780B1 (en) * 2012-03-08 2012-09-14 (주) 위즈네트 Smart meter apparatus for efficient power management and power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31B1 (en) * 2018-11-23 2020-03-04 주식회사 삼호테크 Smart multitap assembly with iot for aquar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499A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1596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US8290635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 by detecting electrical signatures of appliances
EP2377228B1 (en) System and methods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monitoring electric energy consumed by home appliances and home network devices
US20180006492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10032070A1 (en) Wireless switching and energy management
US20180152769A1 (en) Smart grid appliance control
AU2012100624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ITTO20000841A1 (en) SYSTEM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ELECTRIC HOUSEHOLD, IN PARTICULAR A HOUSEHOLD APPLIANCE.
AU2012100197B4 (en) Power sensor
KR101871878B1 (en)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usb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AU2011101402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KR20100083393A (en) Power saving outlet device capable of remote power control
KR101167585B1 (en) In-house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mart home
KR100939234B1 (en) Multi concent based on home network with function for managing each concent power individually
EP2410627A1 (en) Electric power consumption micro-meter
KR101672368B1 (en)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concent and smart concent,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multi-tap and multi-tap
KR101531665B1 (en)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switch and triplex mode function providing Smart switch
CN103746296B (en) A kind of Intelligent Microcomputer Protection Unit that possesses mode of operation demonstration, wireless temperature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 protocol auto-conversion function
KR101708762B1 (en) Power monitoring system and power monitoring device
KR102242541B1 (en) Low priced building automatic system utilz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20150111804A (en) Intelligent power plug and power adapter
KR20080112781A (en) Time set up possible green receptacle
KR101012562B1 (en) Power managementing device
AU2011101388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U2011101409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