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184B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184B1
KR102241184B1 KR1020190167942A KR20190167942A KR102241184B1 KR 102241184 B1 KR102241184 B1 KR 102241184B1 KR 1020190167942 A KR1020190167942 A KR 1020190167942A KR 20190167942 A KR20190167942 A KR 20190167942A KR 102241184 B1 KR102241184 B1 KR 102241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nit
coil
magnet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렬
양현석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16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04R9/047Construction in which the windings of the moving coil lay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제1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제1 진동부,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제2 진동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1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와 이격하여 위치하는 진동출력부, 상기 제1 진동부와 상기 진동출력부를 연결하는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부와 상기 진동출력부를 연결하는 제2 진동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Vibration generator}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진동부가 있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어폰 장치 등은 종래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작은 폼팩터로 설계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이에 탑재되는 부품도 소형화될 필요가 있고, 방수방진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새롭게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음향출력장치의 경우, 종래에는 스피커를 내부에 탑재하고 하우징에 음향출력구멍을 형성하여 음향을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하우징에 음향출력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설계의 제약이 있고, 방수방진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보다 향상된 음향효과를 달성하거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하나의 디바이스에 둘 이상의 음향출력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스피커가 장착되는 위치가 아닌 추가로 다른 위치에 음향출력장치가 탑재될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동을 이용한 음향의 출력 방식은 좋은 대안으로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을 이용한 음향의 출력 방식은 통상의 스피커 대비 넓은 음역을 커버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진동을 이용한 음향 출력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914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118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6-529829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넓은 대역의 주파수에서 충분한 진동량을 확보하여 넓은 음역을 커버할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2개의 진동부를 구비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2개의 진동부를 구비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제1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제1 진동부,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제2 진동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1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와 이격하여 위치하는 진동출력부, 상기 제1 진동부와 상기 진동출력부를 연결하는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부와 상기 진동출력부를 연결하는 제2 진동전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부는 상기 제1 진동부보다 더 큰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진동전달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결합된 코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코일결합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1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부는, 상기 제2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진동전달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결합된 코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코일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부는, 상기 제2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전달부는 각각 상기 제1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전달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결합된 코일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결합부와 상기 진동출력부를 연결하는 코일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결합부에는 상기 제1 코일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결합부는 상기 진동출력부와 상기 제2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결합부와 상기 진동출력부 사이에 상기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전달부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제2 코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와 결합된 코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결합부에는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부는, 상기 제2 마그네트와 결합되되, 일부가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이격되어 대향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부, 상기 제2 진동부 및 상기 제1 코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코일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넓은 대역의 주파수에서 충분한 진동량을 확보하여 넓은 음역을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2개의 진동부를 구비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2개의 진동부를 구비하면서도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도시한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 및 각 구성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에서 위쪽 방향을 상방으로 지칭하고 도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하방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향의 지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방향의 명칭에 한정되어 본 발명의 구성 및 기능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도시한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제1 진동부(110), 제2 진동부(120), 제1 코일부(131), 제2 코일부(132), 진동출력부(150), 제1 진동전달부(141) 및 제2 진동전달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의 각 구성 및 구성 간의 결합관계 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진동부(110)는 제1 마그네트(111), 제1 결합부(113), 제1 연결부(114) 및 제1 요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1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마그네트(11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태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마그네트(111)는 중공부가 없이 내부가 채워진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 연결부(114)가 제1 마그네트(111)의 중공부를 관통하는 형태가 아니라, 상면에 결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결합부(113)는 제1 마그네트(11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13)는 제1 마그네트(11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3)는 제1 마그네트(111)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제1 마그네트(111)의 중공부 부분은 채워진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마그네트(111)가 링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1 결합부(113)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3)는 경우에 따라서 제1 마그네트(111)와 결합된 요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제1 결합부(113)는 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13)는 경우에 따라서 제1 진동부(110)의 중량체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제1 결합부(113)는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3)의 크기나 중량 등에 의해 제1 진동부(110)의 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114)는 하단이 제1 결합부(113)와 연결되고, 상단은 후술할 제1 진동전달부(14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14)는 제1 마그네트(111)의 중공부를 관통하여 상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14)는 후술할 코일결합부(133)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요크(112)는 제1 마그네트(111)와 결합된다. 제1 요크(112)는 제1 마그네트(111)와 제1 코일부(131)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회로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 요크(112)는 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요크(112)는 제1 마그네트(11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요크(112)는 제1 마그네트(111)의 상면과 대응되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한 도 1에서는 제1 요크(112)가 제1 마그네트(111)의 상면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요크(112)가 결합된 위치는 자기회로를 집중시키려는 방향 및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진동부(120)는 제2 마그네트(121), 제2 결합부(123), 제2 연결부(124) 및 제2 요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12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마그네트(12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태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121)는 제1 마그네트(1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마그네트(111)와 제2 마그네트(121)는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마그네트(111)와 제2 마그네트(121)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동심원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121)의 중공부에는 제1 마그네트(111) 뿐만 아니라 제1 결합부(113) 및 제1 연결부(114)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121)는 제1 마그네트(111)보다 상하 방향의 높이가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마그네트(111)의 상면과 제2 마그네트(121)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그네트(121)의 하면은 제1 마그네트(111)의 하면보다 더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23)는 제2 마그네트(121)에 결합된다. 제2 마그네트(12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3)는 중심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3)는 구체적으로, 하면과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은 관통부가 형성된 링 형태의 판 또는 다각형 형태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은 하면의 외측 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3)의 하면은 제2 마그네트(121)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123)의 하면 중 내측 부분에 제2 마그네트(121)의 하면이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방식에 의해 제2 마그네트(121)와 제2 결합부(123)의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3)의 측면은 제2 마그네트(121)를 둘러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3)는 경우에 따라서 제2 마그네트(121)와 결합된 요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제2 결합부(123)는 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123)는 경우에 따라서 제2 진동부(120)의 중량체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럴 경우 제2 결합부(123)는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3)의 크기나 중량 등에 의해 제2 진동부(120)의 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4)는 링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4)는 제2 결합부(123)의 테두리 부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124)는 하단이 제2 결합부(123)와 연결되고, 상단은 후술할 제2 진동전달부(14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24)는 제2 마그네트(121)와의 사이에 제2 코일부(132)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요크(122)는 제2 마그네트(121)와 결합된다. 제2 요크(122)는 제2 마그네트(121)와 제1 코일부(131) 및 제2 코일부(132)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기회로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요크(122)는 철 등의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크(122)는 제2 마그네트(121)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요크(122)는 제2 마그네트(121)의 상면과 대응되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첨부한 도 1에서는 제2 요크(122)가 제2 마그네트(121)의 상면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요크(122)가 결합된 위치는 자기회로를 집중시키려는 방향 및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진동부(120)는 제1 진동부(110)보다 더 큰 중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마그네트(121)가 제1 마그네트(111)보다 더 큰 중량을 가지는 것에 의해 제2 진동부(120)가 제1 진동부(110)보다 중량이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123)가 제1 결합부(113)보다 중량이 더 클 수도 있다. 또한, 제2 연결부(124)가 제1 연결부(114)보다 중량이 더 클 수도 있다.
제1 코일부(131)는 제1 마그네트(111)와 제2 마그네트(121) 사이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코일부(131)는 제1 마그네트(111)와 제2 마그네트(121) 모두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코일부(131)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복수 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코일부(131)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부(131)는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단이 제1 마그네트(111) 및 제2 마그네트(121)의 상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코일부(131)의 하단은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마그네트(121)의 하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일부(131)는 내측면이 제1 마그네트(111)의 외측면과 대향하게 위치한다. 제1 코일부(131)는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마그네트(111)의 외측면의 절반 이상과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코일부(131)는 외측면이 제2 마그네트(121)의 내측면과 대향하게 위치한다. 제1 코일부(131)는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마그네트(121)의 내측면의 절반 이상과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코일부(132)는 제2 마그네트(1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코일부(132)는 제2 마그네트(121)와 제2 연결부(124)의 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코일부(132)는 제2 마그네트(121)와 제2 연결부(124)의 측면 모두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코일부(132)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복수 회 권선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코일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권선될 수 있다. 제2 코일부(132)는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단이 제2 마그네트(121)의 상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코일부(132)의 하단은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마그네트(121)의 하면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코일부(132)의 하단은 제2 진동부(12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코일부(132)의 하단은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결합부(123)의 하면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코일부(132)의 하단은 제2 진동부(120)가 진동하는 상태에서도 제2 결합부(123)의 하면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코일부(132)는 내측면이 제2 마그네트(121)의 외측면과 대향하게 위치한다. 제2 코일부(132)는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마그네트(121)의 외측면의 절반 이상과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코일부(131) 및 제2 코일부(132)는 코일결합부(133)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부(131) 및 제2 코일부(132)의 상단이 코일결합부(133)와 결합될 수 있다. 코일결합부(133)는 제1 마그네트(111) 및 제2 마그네트(1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결합부(133)는 후술할 진동출력부(1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코일결합부(13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제2 연장부(124)의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코일결합부(133)는 제1 코일부(131) 및 제2 코일부(132)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일결합부(133)는 도체 패턴이 형성된 구조물이거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부(131) 및 제2 코일부(132)의 끝단 부분은 회로부의 단자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부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외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코일결합부(133)는 코일고정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코일고정부(135)는 코일결합부(133)와 진동출력부(150)을 연결한다. 코일고정부(135)에 의해 제1 코일부(131) 및 제2 코일부(132)에서 발생한 진동이 후술할 진동출력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상부에는 진동출력부(150)가 위치할 수 있다. 진동출력부(150)와 제2 마그네트(121) 사이에는 코일결합부(133)가 위치할 수 있다.
진동출력부(150)는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로부터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을 진동발생장치 외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진동출력부(150)는 후술할 제1 진동전달부(141) 및 제2 진동전달부(142)와 연결되어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의 진동을 전달받는다.
제1 진동전달부(141)는 제1 진동부(110)와 진동출력부(150)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진동전달부(142)는 제2 진동부(120)와 제2 진동부(120)를 연결한다.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는 각각 제1, 제2 진동부(110, 120)의 진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는 종이, 섬유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는 주름진 형태이거나 접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진동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주름이나 접힌 부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에 의해 진동이 진동출력부(15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제1 진동전달부(141)는 하단이 제1 연결부(1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진동전달부(141)의 상단은 진동출력부(150)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진동전달부(141)는 진동출력부(150)와 코일결합부(13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진동전달부(142)는 하단이 제2 연결부(124)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진동전달부(142)의 상단은 진동출력부(150)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진동전달부(142)는 코일결합부(133)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는 서로 분리된 2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는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는 상단이 서로 연결된 형태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제1 진동부(110), 제2 진동부(120), 제1 코일부(131), 제2 코일부(132), 제1 진동전달부(141) 및 제2 진동전달부(142)는 하우징(16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출력부(150)는 하우징(160)의 외부로 노출되어 진동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코일부(131) 및 제2 코일부(132)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1 진동부(110) 및 제2 진동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일부(131) 및 제2 코일부(13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 코일부(131)와 제1 마그네트(111) 사이에서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제1, 2 코일부(131, 132)와 제2 마그네트(121) 사이에서도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제1, 제2 진동부(110, 120)는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제2 진동부(110, 120)의 진동은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를 통해 진동출력부(150)로 전달된다. 진동출력부(150)에 의해 출력된 진동은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 제2 코일부(131, 132)에 인가되는 전류는 다양한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가청주파수는 대략 20Hz 내지 20,000Hz를 의미한다. 낮은 주파수는 저음에 해당하고, 높은 주파수는 고음에 해당한다.
제1 진동부(110)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로 진동할 때, 효율적으로 진동출력부(150)에 진동을 잘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진동부(120)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로 진동할 때, 효율적으로 진동출력부(150)에 진동을 잘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제1 진동부(110)의 특징과 제2 진동부(120)의 특징이 잘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S1은 제1 진동부(110)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S2는 제2 진동부(120)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의 피크 구간이 S2의 피크 구간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 S3은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 전체의 주파수에 따른 음압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S3을 도면 알 수 있듯이, 제1 진동부(110)와 제2 진동부(120)가 발생한 진동을 조합한 진동발생장치의 진동에 의해서는 가청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진동부(110)와 제2 진동부(120)의 주파수에 따른 차이는 제1 진동부(110)와 제2 진동부(120)의 중량 차이에 기인할 수 있다. 제1 진동부(110)와 제2 진동부(120)의 중량 차이는 가청주파수 대역 내에서 제1 진동부(110)에 의해 진동출력부(150)에 전달되는 진동과 제2 진동부(120)에 의해 진동출력부(150)에 전달되는 진동이 조합되어 적절한 크기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1 코일부(131)와 제2 코일부(132)는 주파수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조건으로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1 코일부(131)와 제2 코일부(132)는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 조절된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부(131)는 낮은 주파수의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인가받을 때 전류의 크기가 더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제1 진동부(110)가 더 큰 진동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코일부(132)는 높은 주파수의 신호보다 낮은 주파수의 신호를 인가받을 때 전류의 크기가 더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제2 진동부(110)가 더 큰 진동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에서는 진동부가 2개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진동부는 3개 이상인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코일고정부(135)는 제1 코일부(131)와 하우징(16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코일부(131)는 진동출력부(150)와는 직접 결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는 상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진동전달부(141, 142)의 서로 연결된 상단은 진동출력부(150)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제2 코일부(132)가 없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 마그네트(121)와 제2 연결부(124)가 여전히 이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 마그네트(121)와 제2 연결부(124)가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코일부(13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 코일부(131)와 제1 마그네트(111) 사이에서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리고 제1 코일부(131)와 제2 마그네트(121) 사이에서도 전자기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제1, 제2 진동부(110, 120)는 상하로 진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첫번째 실시예보다 전자기력의 크기는 작을 수 있지만,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제1 진동부
111: 제1 마그네트
112: 제1 요크
113: 제1 결합부
114: 제1 연결부
120: 제2 진동부
121: 제2 마그네트
122: 제2 요크
123: 제2 결합부
131: 제1 코일부
132: 제2 코일부
133: 코일결합부
141: 제1 진동전달부
142: 제2 진동전달부
150: 진동출력부
160: 하우징

Claims (19)

  1. 제1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제1 진동부;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제2 진동부;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2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코일부;
    상기 제1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와 이격하여 위치하는 진동출력부;
    상기 제1 진동부와 상기 진동출력부를 연결하는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부와 상기 진동출력부를 연결하는 제2 진동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진동부는,
    상기 제2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부는 상기 제1 진동부보다 더 큰 중량을 가지는 진동발생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진동전달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결합된 코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코일결합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진동발생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1 요크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부는,
    상기 제2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결합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진동전달부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결합된 코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코일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진동발생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전달부는 각각 상기 제1 진동부 및 상기 제2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전달부는 서로 연결되는 진동발생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와 결합된 코일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결합부와 상기 진동출력부를 연결하는 코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결합부에는 상기 제1 코일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부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결합부는 상기 진동출력부와 상기 제2 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발생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결합부와 상기 진동출력부 사이에 상기 제1 진동전달부 및 상기 제2 진동전달부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진동발생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제2 코일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와 결합된 코일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결합부에는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부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부는,
    상기 제2 마그네트와 결합되되, 일부가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이격되어 대향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진동발생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부, 상기 제2 진동부 및 상기 제1 코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코일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KR1020190167942A 2019-12-16 2019-12-16 진동발생장치 KR10224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42A KR102241184B1 (ko) 2019-12-16 2019-12-16 진동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42A KR102241184B1 (ko) 2019-12-16 2019-12-16 진동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184B1 true KR102241184B1 (ko) 2021-04-16

Family

ID=7574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42A KR102241184B1 (ko) 2019-12-16 2019-12-16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1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9829A (ja) 2013-08-21 2016-09-23 イェイル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感覚信号出力装置
KR101669149B1 (ko) 2015-11-17 2016-10-25 김성호 내장 흡음재를 구비한 이중 프레임 골전도 진동자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시스템
KR20170061188A (ko) 2014-01-06 2017-06-02 션젼 복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골전도 스피커의 누음을 억제하는 방법 및 골전도 스피커
KR20200057878A (ko) * 2018-11-16 2020-05-27 부전전자 주식회사 선형 진동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29829A (ja) 2013-08-21 2016-09-23 イェイル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感覚信号出力装置
KR20170061188A (ko) 2014-01-06 2017-06-02 션젼 복스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골전도 스피커의 누음을 억제하는 방법 및 골전도 스피커
KR101669149B1 (ko) 2015-11-17 2016-10-25 김성호 내장 흡음재를 구비한 이중 프레임 골전도 진동자 구조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시스템
KR20200057878A (ko) * 2018-11-16 2020-05-27 부전전자 주식회사 선형 진동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025B2 (en) Speaker device
US7557474B2 (en) Electromagnetic exciter
EP2408219B1 (en) Micro speaker
KR100902120B1 (ko) 다기능 스피커
US9351062B2 (en) Microphone unit
KR20190123992A (ko)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KR101941851B1 (ko) 디스플레이패널용 멀티코일 진동변환기
KR20040041683A (ko) 스피커
KR102241191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052622B1 (ko)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JP5528866B2 (ja) 多機能型発音体および携帯情報端末
KR102264328B1 (ko) 진동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241184B1 (ko) 진동발생장치
JP2012119845A (ja) 電磁型電気音響変換器
CN209057364U (zh) 微型发声器件和电子产品
KR101821579B1 (ko) 스피커 유닛
KR102149025B1 (ko) 음향 및 진동 발생기
KR101972002B1 (ko) 디스플레이패널용 슬림형 진동변환기
KR102251218B1 (ko) 진동모터
KR100455100B1 (ko) 통화음, 호출음 및 진동기가 통합된 3-모드 일체형 마이크로 스피커
US20230217176A1 (en) Speaker
KR102374602B1 (ko) 솔레노이드 스피커
KR102190412B1 (ko) 마이크로 스피커
KR102127981B1 (ko) 진동 모터
KR100511218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