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281B1 -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 Google Patents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281B1
KR102233281B1 KR1020200136736A KR20200136736A KR102233281B1 KR 102233281 B1 KR102233281 B1 KR 102233281B1 KR 1020200136736 A KR1020200136736 A KR 1020200136736A KR 20200136736 A KR20200136736 A KR 20200136736A KR 102233281 B1 KR102233281 B1 KR 10223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afety
fabric
yarn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박은지
Original Assignee
박준영
박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영, 박은지 filed Critical 박준영
Priority to KR102020013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은 경사인 포이사와 위사인 제1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 및 경사인 제2 화섬사와 위사인 제3 화섬사와 경사 및 심사인 고무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포이사밴드에 적층되어 결합되고 포이사밴드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를 포함하며, 포이사밴드의 중심부와 안전밴드의 중심부는 안전밴드를 이루는 고무사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1 주름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IMPACT ABSORBTION LANYARD FOR INDUSTRY SAFETY SWING}
본 발명은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교량 등과 같은 고층 구조물을 건설하는 건설현장, 대형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 전신주나 철탑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현장 등과 같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설치된 구조물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추락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보호장구로써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와 안전모 등의 개인용 안전보호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여기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안전대와 고정지지대에 충격흡수죔줄에 연결된 걸고리 모양의 훅을 고정하여 사용하는데, 충격흡수죔줄에는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충격 흡수장치가 설치되며 추락 시 작업자에게 미치는 강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한다.
종래의 충격흡수죔줄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천연섬유, 화섬사 등과 같은 재료를 꼬아 만든 로프의 일단을 작업자에 걸고 타단을 고정지지대 등에 걸어 작업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충격흡수죔줄은 길이가 길고 느슨한 상태로 사용되므로 작업자의 작업활동을 방해할 뿐 아니라 추락 시에 생기는 강한 하중이 작업자에게 직접 가해져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0537호에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이중직물의 탄성부 및 합성섬유사로 직조된 제직부로 구성된 안전로프원단에 있어서 다수개의 합성섬유사인 위사와 경사로 이중 제직하되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직물과, 튜브직물의 내부에 내장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포이사밴드와, 포이사밴드를 내장한 상부는 접어서 훅을 결속하는 훅고리를 갖는 제직부가 형성되고 훅고리 하부를 순차로 접어 주름부로 형성된 탄성부를 완성한 후 하부를 접어서 카바리나를 결속하는 카바리나 고리가 형성된 안전벨트 원단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7149호에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이중직물의 탄성부 및 합성섬유사로 직조된 제직부로 구성된 안전벨트원단에 있어서, 다수개의 합성섬유사인 위사와 경사를 교호적으로 교차하여 튜브형상으로 단독제직되는 튜브직물과, 튜브직물의 내부에 내장되며 튜브직물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탄성을 부여하는 포이사생지와, 포이사생지가 내장되어 가열되는 열에 의하여 응축되면서 튜브직물과 함께 주름부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고, 튜브직물은 포이사생지를 기초로 형성된 탄성부의 상,하 또는 일측의 영역에 대하여 더 넓은 면적으로 제직부로 이루어지고, 제직부는 상,하부를 순차적으로 접어서 카라비너를 결속하는 카라비너 고리와 훅를 결속하는 훅고리를 형성하며, 튜브직물에 수용된 포이사생지는 포이사를 위사와 경사로 제직하여 이루어지고 튜브직물에 내장하여 상,하단이 재봉되어 튜브직물과 함께 신축조절이 이루어지는 안전벨트 원단이 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튜브직물의 내부에 힘이 가해지면 늘어나는 포이사로 제직된 포이사밴드 또는 포이사생지가 수용되어 안전벨트 원단의 길이가 짧아지기는 하나 여전히 작업자의 작업활동을 방해할 정도로 길이가 길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격흡수죔줄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과 동시에 추락 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잘 흡수할 수 있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0537호(2015.04.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7149호(2016.07.0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가 작업 시에 전체 길이가 짧게 유지되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경사인 포이사와 위사인 제1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 및 경사인 제2 화섬사와 위사인 제3 화섬사와 경사 및 심사인 고무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상기 포이사밴드에 적층되어 결합되고 상기 포이사밴드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충격에 의해 상기 포이사밴드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포이사밴드의 중심부와 상기 안전밴드의 중심부는 상기 안전밴드를 이루는 상기 고무사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1 주름부를 형성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름부는 경사로서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3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로서 상기 포이사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1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상기 고무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름부는 상기 고무사가 위사인 2 내지 4개의 상기 제3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위사인 2 내지 4개의 상기 제1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 주름부는 나란하게 배치된 4 내지 8개의 상기 제2 화섬사들을 하나의 제1 단위체로 하며, 상기 제1 단위체들 사이에 2개의 상기 고무사가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밴드는 중심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2 주름부; 및 상기 제2 주름부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1 편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밴드는 중심부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3 주름부; 및 상기 제3 주름부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2 편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름부와 상기 제3 주름부는 경사로서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3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로서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3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상기 고무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주름부와 상기 제3 주름부는 나란하게 배치된 4 내지 8개의 상기 제2 화섬사들을 하나의 제2 단위체로 하며, 상기 제2 단위체들 사이에 1개의 상기 고무사가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편평부와 상기 제2 편평부는 상기 고무사가 심사로서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이사밴드의 일단부와 상기 안전밴드의 일단부는 상호 끝단이 일치된 상태에서 접철되고 재봉되어 카라비너에 결속되는 카라비너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포이사밴드의 타단부와 상기 안전밴드의 타단부는 상호 끝단이 일치된 상태에서 접철되고 재봉되어 훅에 결속되는 훅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전밴드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카라비너 고리 및 상기 훅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철될 수 있다.
상기 고무사는 총 신장길이의 70 내지 90% 신장된 상태에서 제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엘라쇼바를 고무사로 제직하여 주름지게 함으로써 충격흡수죔줄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포이엘라쇼바가 신축되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이엘라쇼바를 제직함에 있어서 포이사와 화섬사와 함께 고무사를 제직하는 것만으로 신축가능한 포이엘라쇼바를 제조할 수 있어 별도의 열가공 등을 요하지 않으므로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이엘라쇼바 내의 고무사가 1차 충격을 흡수하고 포이사가 2차 충격을 흡수하므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더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이사밴드와 안전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1 주름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중심부와 포이사밴드의 중심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2 주름부 및 제3 주름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2 주름부 또는 제3 주름부와 포이사밴드의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1 편평부 및 제2 편평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1 편평부 및 제2 편평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라비너 고리 및 훅 고리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라비너 고리 및 훅 고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a, 도 11b,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이사밴드와 안전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1 주름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중심부와 포이사밴드의 중심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2 주름부 및 제3 주름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2 주름부 또는 제3 주름부와 포이사밴드의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1 편평부 및 제2 편평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의 제1 편평부 및 제2 편평부 제직상태를 나타내는 조직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라비너 고리 및 훅 고리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라비너 고리 및 훅 고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100)은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130)와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120)가 상호 적층되게 결합된 결합체(110)와, 결합체(110)의 일단부가 결속되는 하나의 카라비너(150)와, 결합체(110)의 타단부가 결속되는 하나의 훅(160)을 포함한다.
산업안전그네는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어깨벨트, 가슴벨트, 허리벨트, 다리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추락 사고시 작업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결합체(110)를 구성하는 포이사밴드(130)가 신장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안전밴드(120)는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재의 추락을 방지한다.
한편, 결합체(110)의 일단부는 카라비너(150)에 결속되며, 카라비너(150)는 산업안전그네의 허리벨트 또는 작업자의 등에 배치되는 그네걸이(170)에 체결된다. 그리고 결합체(110)의 타단부는 훅(160)에 결속되며, 훅(160)은 고정지지대 등에 체결되어 작업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한다. 즉, 추락사고 시 작업자의 체중 및 그 가속도에 의해 증가된 하중은 훅(160)을 통해 결합체(110)에 전달되며, 추락사고에 의해 충격하중이 결합체(110)에 전달되는 경우에 결합체(110)는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는 경사인 포이사(131)와 위사인 제1 화섬사(133)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는 포이사밴드(130)와, 경사인 제2 화섬사(121)와 위사인 제3 화섬사(123)와 경사 및 심사인 고무사(125)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포이사밴드(130)에 적층되어 결합된 안전밴드(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와 안전밴드(120)의 중심부는 안전밴드(120)를 이루는 고무사(125)에 의해 상호 적층되게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포이사밴드(130)는 경사인 포이사(131)와 위사인 제1 화섬사(133)를 사용하여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편평하게 형성된다. 포이사(POY, Partially Oriented Yarn,131)는 큰 힘이 가해지면 길이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추락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포이사(131)로 제직된 튜브직물이 늘어나면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강한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다.
포이사밴드(130)는 추락사고에 의해 충격하중이 전달되면 1차로 안전밴드(120)와 상호 결합된 고무사(125)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하고, 2차로 고무사(125)들이 끊어지고 포이사(131)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한다. 따라서, 추락사고 시에 작업자에 가해지는 강한 충격을 1차로 고무사(125)들과 2차로 포이사(131)들이 완화 및 흡수하므로, 작업자에게 강한 충격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밴드(120)는 경사인 제2 화섬사(121)와 위사인 제3 화섬사(123) 및 경사 및 심사인 고무사(125)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된다.
안전밴드(120)는 포이사밴드(130)에 적층되어 결합되며 포이사밴드(130)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강한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한편, 작업자가 산업안전그네에 충격흡수죔줄(100)을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충격흡수죔줄(100)의 길이가 길면 작업자의 작업활동을 방해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격하중이 가해지기 전의 평상시에 결합체(110)의 길이를 짧게하기 위해 안전밴드(120)의 중심부와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를 주름지게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와 안전밴드(120)의 중심부를 안전밴드(120)를 이루는 고무사(125)를 이용하여 상호 적층되게 결합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즉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와 안전밴드(120)의 중심부는 함께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주름부(C1)의 제직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밴드(120)의 중간부를 이루는 튜브직물은 경사로서 제2 화섬사(121)가 사용되며, 위사로서 제3 화섬사(123)가 사용된다. 또한 경사인 제2 화섬사(121)들 사이에 고무사(125)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나란하게 배치된 4 내지 8개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1 단위체(S1)로 하는 경우에, 2개의 고무사(125)는 제1 단위체(S1)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8개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1 단위체(S1)로 하여 2개의 고무사(125)가 제1 단위체(S1)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는 4개 미만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1 단위체(S1)로 하고 제1 단위체(S1)들 사이에 2개의 고무사(125)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제1 주름부(C1)의 주름이 과하게 생기며, 8개 초과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1 단위체(S1)로 하여 2개의 고무사(125)가 제1 단위체(S1)들 사이에 반복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제1 주름부(C1)의 주름을 형성하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밴드(120)의 중심부와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는 안전밴드(120)를 이루는 고무사(125)에 의해 결합되고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무사(125)는 경사로서 안전밴드(12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1)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제3 화섬사(123)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안전밴드(12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로서 포이사밴드(13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D2)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제1 화섬사(13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안전밴드(12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사이에 배치된다.
2개의 고무사(125)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안전밴드(120)의 중심부와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를 적층되게 결합하고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즉 2개의 고무사(125)는 복수의 제3 화섬사(123) 및 복수의 제1 화섬사(133)와 제직되는 경우에는 경사로서 기능하고, 복수의 제3 화섬사(123) 및 복수의 제1 화섬사(133)와 제직되지 않는 경우에는 심사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무사(125)는 경사로서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에 위치한 위사인 2 내지 4개의 제3 화섬사(123)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심사로서 위사인 8개의 제3 화섬사(12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경사로서 포이사밴드(130)의 하부직물(D2)에 위치한 위사인 2 내지 4개의 제1 화섬사(13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심사로서 위사인 8개의 제3 화섬사(12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는 2개의 고무사(125)가 위사인 1개의 제3 화섬사(123)의 상측 또는 제1 화섬사(13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경우에 제1 주름부(C1)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2개의 고무사(125)가 위사인 5개 이상의 제3 화섬사(123)의 상측 또는 제1 화섬사(13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경우에 고무사(125)가 튜브직물의 바깥으로 들어날 수 있으며, 이때 외부와의 마찰에 의해 고무사(125)가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고무사(125)가 심사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위사인 8개의 제3 화섬사(12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름의 높이에 따라 2개의 고무사(125)가 심사로서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소정거리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고무사(125)는 총 신장길이의 70 ~ 90% 신장된 상태에서 제직된다.
또한 안전밴드(120)의 길이는 포이사밴드(130)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안전밴드(120)의 중심부와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를 상호 결합하여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 경우에도 안전밴드(120)의 중심부 양측에서 끝단에 이르는 길이가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 양측에서 끝단에 이르는 길이보다 길다.
이러한 경우에 작업자의 작업활동을 방해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안전밴드(120)는 중심부(구체적으로 제1 주름부(C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조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2 주름부(C2)와, 중심부(구체적으로 제1 주름부(C1))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3 주름부(C3)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주름부(C2) 및 제3 주름부(C3)의 길이는 평상시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충격흡수죔줄(100)이 늘어짐이 없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주름부(C2)와 제3 주름부(C3)의 제직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주름부(C2)와 제3 주름부(C3)는 제2 주름부(C2)의 양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튜브직물로 제직된다. 그리고 제2 주름부(C2)와 제3 주름부(C3)를 제직함에 있어서 제1 주름부(C1)를 형성하는 고무사(125)가 사용된다. 한편 제2 주름부(C2)와 제3 주름부(C3)는 동일하게 제직되므로 제2 주름부(C2)의 제직상태를 설명하고, 제3 주름부(C3)의 제직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밴드(120)의 제2 주름부(C2)를 이루는 튜브직물은 경사로서 제2 화섬사(121)가 사용되며, 위사로서 제3 화섬사(123)가 사용된다. 또한 경사인 제2 화섬사(121)들 사이에 고무사(125)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나란하게 배치된 4 내지 8개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2 단위체(S2)로 하는 경우에, 1개의 고무사(125)는 제2 단위체(S2)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8개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2 단위체(S2)로 하여 1개의 고무사(125)가 제2 단위체(S2)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는 4개 미만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2 단위체(S2)로 하고 제2 단위체(S2)들 사이에 1개의 고무사(125)를 반복하여 배치하는 경우에 제2 주름부(C2)의 주름이 과하게 생기며, 8개 초과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2 단위체(S2)로 하여 1개의 고무사(125)가 제2 단위체(S2)들 사이에 반복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제2 주름부(C2)의 주름을 형성하기 어려움이 있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고무사(125)는 경사로서 안전밴드(12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1)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제3 화섬사(123)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안전밴드(12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로서 안전밴드(12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D1)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제3 화섬사(12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안전밴드(12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사이에 배치된다.
1개의 고무사(125)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제1 주름부(C1)의 일측에 연속되게 제2 주름부(C2)를 형성한다. 즉 1개의 고무사(125)는 복수의 제3 화섬사(123)와 제직되는 경우에는 경사로서 기능하고, 복수의 제3 화섬사(123)와 제직되지 않는 경우에는 심사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1개의 고무사(125)는 경사로서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에 위치한 위사인 2 내지 4개의 제3 화섬사(123)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심사로서 위사인 19개의 제3 화섬사(12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경사로서 안전밴드(120)의 하부직물(D1)에 위치한 위사인 2 내지 4개의 제3 화섬사(12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심사로서 위사인 19개의 제3 화섬사(12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는 1개의 고무사(125)가 위사인 1개의 제3 화섬사(123)의 상측 또는 제3 화섬사(12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경우에 제2 주름부(C2)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1개의 고무사(125)가 위사인 5개 이상의 제3 화섬사(123)의 상측 또는 제3 화섬사(123)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경우에 고무사(125)가 튜브직물의 바깥으로 들어날 수 있으며, 이때 외부와의 마찰에 의해 고무사(125)가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고무사(125)가 심사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위사인 19개의 제3 화섬사(123)의 간격에 해당되는 소정거리만큼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름의 높이에 따라 1개의 고무사(125)가 심사로서 안전밴드(120)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소정거리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고무사(125)는 총 신장길이의 70 ~ 90% 신장된 상태에서 제직된다.
또한, 결합체(110)의 일단부가 카라비너(150)에 결속되고 타단부가 훅(160)에 결속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120)는 제2 주름부(C2)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1 편평부(F1)와, 제3 주름부(C3)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2 편평부(F2)를 더 포함한다.
안전밴드(120)의 일단부를 이루는 제1 편평부(F1)의 끝단과 포이사밴드(130)의 일단부 끝단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접철되고 제봉되어 카라비너(150)에 결속되는 카라비너 고리(H1)를 형성하고, 안전밴드(120)의 타단부를 이루는 제2 편평부(F2)의 끝단과 포이사밴드(130)의 타단부 끝단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접철되고 제봉되어 훅(160)에 결속되는 훅 고리(H2)를 형성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편평부(F1)와 제2 편평부(F2)의 제직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편평부(F1)는 제2 주름부(C2)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튜브직물로 제직된다. 그리고 제2 편평부(F2)는 제3 주름부(C3)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튜브직물로 제직된다. 한편 제1 편평부(F1)와 제2 편평부(F2)는 동일하게 제직되므로 제1 편평부(F1)의 제직상태를 설명하고, 제2 편평부(F2)의 제직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밴드(120)의 제1 편평부(F1)를 이루는 튜브직물은 경사로서 제2 화섬사(121)가 사용되고, 위사로서 제3 화섬사(123)가 사용되며, 심사로서 고무사(125)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나란하게 배치된 4 내지 8개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3 단위체(S3)로 하는 경우에, 1개의 고무사(125)는 제3 단위체(S3)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8개의 제2 화섬사(121)들을 하나의 제3 단위체(S3)로 하여 1개의 고무사(125)가 제2 단위체(S2)들 사이에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고무사(125)는 제3 화섬사(123)와 제직되지 않는 심사로서 안전밴드(120)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U1)과 하부직물(D1)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편평부(F1)와 제2 편평부(F2)를 형성한 후,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편평부(F1)의 끝단과 포이사밴드(130)의 일단부 끝단이 일치된 상태에서 접철하고 재봉하여 카라비나에 결속되는 카라비너 고리(H1)를 형성하고, 제2 편평부(F2)의 끝단과 포이사밴드(130)의 타단부 끝단이 일치된 상태에서 접철하고 재봉하여 훅(160)에 결속되는 훅 고리(H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안전밴드(120)는 포이사밴드(130)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제2 주름부(C2) 및 제3 주름부(C3)의 길이에 따라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를 형성한 후 제1 편평부(F1) 및 제2 편평부(F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를 형성한 후 제1 편평부(F1) 및 제2 편평부(F2) 양쪽을 도 10에서와 같이 카리비너 고리 및 훅 고리(H2)에 접철하거나, 도 9에서와 같이 카라비너 고리(H1)를 형성하고 제2 편평부(F2)를 도 10에서와 같이 훅 고리(H2)에 접철하거나, 도 9에서와 같이 훅 고리(H2)를 형성하고 제1 편평부(F1)를 도 10에서와 같이 카라비너 고리(H1)에 접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를 카라비너(150)와 훅(160)에 결속한 경우에 카라비너 고리(H1)와 훅 고리(H2)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도록 보호커버(180)를 씌운다(도 1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밴드(120)의 일단부와 포이사밴드(130)의 일단부에 카라비너 고리(H1)가 형성되고 안전밴드(120)의 타단부와 포이사밴드(130)의 타단부에 훅 고리(H2)가 형성되게 도시되었으나, 반대로 안전밴드(120)의 일단부와 포이사밴드(130)의 일단부에 훅 고리(H2)가 형성되고 안전밴드(120)의 타단부와 포이사밴드(130)의 타단부에 카라비너 고리(H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100)에 의한 충격 완화 및 흡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 도 11b,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추락사고 시 작업자의 체중 및 그 가속도에 의해 충격하중이 결합체(110)에 전달되는 경우에 결합체(110)는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도 1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하중이 결합체(110)에 전달되면 1차로 안전밴드(120)와 포이사밴드(130)를 상호 결합하는 고무사(125)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한다. 그리고 충격하중에 의해 순차로 도 1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사(125)들이 끊어지고 포이사밴드(13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한다. 그리고, 강한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안전밴드(120)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참고로,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에서와 같이 카라비너 고리(H1)와 훅 고리(H2)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충격흡수죔줄(100)의 인장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2a는 카라비너 고리(H1)와 훅 고리(H2)를 형성한 후 제1 편평부(F1) 및 제2 편평부(F2)를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에 접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도 10 참조)이며, 충격하중이 결합체(110)에 전달되면 1차로 안전밴드(120)와 포이사밴드(130)를 상호 결합하는 고무사(125)들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한다. 그리고 충격하중에 의해 순차로 도 1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사(125)들이 끊어지고 포이사밴드(13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작업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하며 동시에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에 접철된 제1 편평부(F1) 및 제2 편평부(F2)가 보호커버(180)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강한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안전밴드(120)에 의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100)은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130)와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120)가 상호 적층되게 결합된 두 개의 결합체(110)와, 두 개의 결합체(110)의 일단부가 함께 결속되는 하나의 카라비너(150)와, 두 개의 결합체(110)의 타단부에 각각 결속되는 두 개의 훅(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두 개의 결합체(110)를 사용하고, 각각의 결합체(110)의 일단부를 하나의 카라비너(150)에 함께 결속하고, 각각의 결합체(110)의 타단부를 각각 훅(160)에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100)은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130)와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120)가 상호 적층되게 결합된 결합체(110)와, 결합체(110)의 일단부가 결속되는 하나의 카라비너(150)와, 결합체(110)의 타단부가 결속되는 하나의 훅(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는 경사인 포이사(131)와 위사인 제1 화섬사(133)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는 포이사밴드(130)와, 경사인 제2 화섬사(121)와 위사인 제3 화섬사(123)와 경사 및 심사인 고무사(125)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포이사밴드(130)에 적층되어 결합된 안전밴드(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와 안전밴드(120)의 중심부는 안전밴드(120)를 이루는 고무사(125)에 의해 상호 적층되게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즉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와 안전밴드(120)의 중심부는 함께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그리고 안전밴드(120)는 중심부(구체적으로 제1 주름부(C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조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2 주름부(C2)와, 제2 주름부(C2)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1 편평부(F1)와, 중심부(구체적으로 제1 주름부(C1))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2 편평부(F2)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120)는 중심부에 마련된 제1 주름부(C1)와, 제1 주름부(C1)의 일측에서 연장된 제2 주름부(C2)와, 제1 주름부(C1)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3 주름부(C3)와, 제2 주름부(C2)에서 연장된 제1 편평부(F1)와, 제3 주름부(C3)에서 연장된 제2 편평부(F2)를 포함하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1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120)의 구성 중 제3 주름부(C3)를 생략하고 제1 주름부(C1)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2 편평부(F2)를 구비한다.
이는 안전밴드(120)의 길이가 포이사밴드(130)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포이사밴드(130)의 총 신장길이를 고려하여 카라비너(150) 측에 배치된 제2 주름부(C2)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1 편평부(F1) 및 제2 편평부(F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길이가 증가된 제1 편평부(F1) 및 제2 편평부(F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철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100)은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130)와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120)가 상호 적층되게 결합된 두 개의 결합체(110)와, 두 개의 결합체(110)의 일단부가 함께 결속되는 하나의 카라비너(150)와, 두 개의 결합체(110)의 타단부에 각각 결속되는 두 개의 훅(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두 개의 결합체(110)를 사용하고, 각각의 결합체(110)의 일단부를 하나의 카라비너(150)에 함께 결속하고, 각각의 결합체(110)의 타단부를 각각 훅(160)에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100)은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130)와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120)가 상호 적층되게 결합된 결합체(110)와, 결합체(110)의 일단부가 결속되는 하나의 카라비너(150)와, 결합체(110)의 타단부가 결속되는 하나의 훅(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는 경사인 포이사(131)와 위사인 제1 화섬사(133)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는 포이사밴드(130)와, 경사인 제2 화섬사(121)와 위사인 제3 화섬사(123)와 경사 및 심사인 고무사(125)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포이사밴드(130)에 적층되어 결합된 안전밴드(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와 안전밴드(120)의 중심부는 안전밴드(120)를 이루는 고무사(125)에 의해 상호 적층되게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즉 포이사밴드(130)의 중심부와 안전밴드(120)의 중심부는 함께 제1 주름부(C1)를 형성한다.
그리고 안전밴드(120)는 중심부(구체적으로 제1 주름부(C1))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1 편평부(F1)와, 중심부(구체적으로 제1 주름부(C1))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조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3 주름부(C3)와, 제3 주름부(C3)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2 편평부(F2)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120)는 중심부에 마련된 제1 주름부(C1)와, 제1 주름부(C1)의 일측에서 연장된 제2 주름부(C2)와, 제1 주름부(C1)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3 주름부(C3)와, 제2 주름부(C2)에서 연장된 제1 편평부(F1)와, 제3 주름부(C3)에서 연장된 제2 편평부(F2)를 포함하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1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밴드(120)의 구성 중 제2 주름부(C2)를 생략하고 제1 주름부(C1)의 일측에서 연장된 제2 편평부(F2)를 구비한다.
이는 안전밴드(120)의 길이가 포이사밴드(130)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포이사밴드(130)의 총 신장길이를 고려하여 훅(160) 측에 배치된 제3 주름부(C3)의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제1 편평부(F1) 및 제2 편평부(F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길이가 증가된 제1 편평부(F1) 및 제2 편평부(F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카라비너 고리(H1) 및 훅 고리(H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철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죔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100)은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130)와 충격에 의해 포이사밴드(130)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120)가 상호 적층되게 결합된 두 개의 결합체(110)와, 두 개의 결합체(110)의 일단부가 함께 결속되는 하나의 카라비너(150)와, 두 개의 결합체(110)의 타단부에 각각 결속되는 두 개의 훅(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1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두 개의 결합체(110)를 사용하고, 각각의 결합체(110)의 일단부를 하나의 카라비너(150)에 함께 결속하고, 각각의 결합체(110)의 타단부를 각각 훅(160)에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충격흡수죔줄 110: 결합체
120: 안전밴드 130: 포이사밴드
150: 카라비너 160: 훅
170: 그네걸이 180: 보호커버

Claims (12)

  1. 경사인 포이사와 위사인 제1 화섬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포이사밴드; 및
    경사인 제2 화섬사와 위사인 제3 화섬사와 경사 및 심사인 고무사에 의해 튜브직물로 제직되되, 상기 포이사밴드에 적층되고, 상기 포이사밴드의 총 신장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충격에 의해 상기 포이사밴드가 파단되는 경우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사는,
    경사로서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3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로서 상기 포이사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1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포이사밴드와 상기 안전밴드를 상호 결합하며,
    상기 고무사에 의해 상기 포이사밴드와 상기 안전밴드가 상호 결합된 영역은 상기 포이사밴드와 상기 안전밴드가 함께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1 주름부를 형성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름부는,
    상기 고무사가 위사인 2 내지 4개의 상기 제3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가고 위사인 2 내지 4개의 상기 제1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가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름부는,
    나란하게 배치된 4 내지 8개의 상기 제2 화섬사들을 하나의 제1 단위체로 하며,
    상기 제1 단위체들 사이에 2개의 상기 고무사가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드는,
    상기 제1 주름부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2 주름부; 및
    상기 제2 주름부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1 편평부를 더 포함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드는,
    상기 제1 주름부의 타측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주름진 제3 주름부; 및
    상기 제3 주름부에서 연장되고 튜브직물로 제직되며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제2 편평부를 더 포함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름부와 상기 제3 주름부는,
    경사로서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3 화섬사의 상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고 경사로서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하부직물에 위치되고 연속되게 배치된 위사인 복수의 상기 제3 화섬사의 하측으로 엮여 들어간 후 심사로서 소정거리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동작을 반복하는 상기 고무사에 의해 형성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름부와 상기 제3 주름부는,
    나란하게 배치된 4 내지 8개의 상기 제2 화섬사들을 하나의 제2 단위체로 하며,
    상기 제2 단위체들 사이에 1개의 상기 고무사가 반복하여 나란하게 배치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평부와 상기 제2 편평부는,
    상기 고무사가 심사로서 상기 안전밴드를 형성하는 튜브직물의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사이에 배치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이사밴드의 일단부와 상기 안전밴드의 일단부는 상호 끝단이 일치된 상태에서 접철되고 재봉되어 카라비너에 결속되는 카라비너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포이사밴드의 타단부와 상기 안전밴드의 타단부는 상호 끝단이 일치된 상태에서 접철되고 재봉되어 훅에 결속되는 훅 고리를 형성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밴드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카라비너 고리 및 상기 훅 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철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사는 총 신장길이의 70 내지 90% 신장된 상태에서 제직되는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20200136736A 2020-10-21 2020-10-21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223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36A KR102233281B1 (ko) 2020-10-21 2020-10-21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736A KR102233281B1 (ko) 2020-10-21 2020-10-21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281B1 true KR102233281B1 (ko) 2021-03-29

Family

ID=7524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736A KR102233281B1 (ko) 2020-10-21 2020-10-21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2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879B1 (ko) * 2022-06-14 2023-03-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KR102537382B1 (ko) * 2022-05-16 2023-06-01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EP4205815A1 (en) * 2021-12-10 2023-07-05 Dongguan Polyunion Textile Technology Co. Ltd. Energy absorber, method for weaving energy absorber, and weav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537B1 (ko) 2013-10-08 2015-04-08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37149B1 (ko) 2016-05-20 2016-07-07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160003667U (ko) * 2015-04-15 2016-10-25 김정석 주름이 형성된 개줄
KR101797672B1 (ko) * 2017-07-24 2017-11-15 박준영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537B1 (ko) 2013-10-08 2015-04-08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03667U (ko) * 2015-04-15 2016-10-25 김정석 주름이 형성된 개줄
KR101637149B1 (ko) 2016-05-20 2016-07-07 김정석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1797672B1 (ko) * 2017-07-24 2017-11-15 박준영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5815A1 (en) * 2021-12-10 2023-07-05 Dongguan Polyunion Textile Technology Co. Ltd. Energy absorber, method for weaving energy absorber, and weaving device
KR102537382B1 (ko) * 2022-05-16 2023-06-01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KR102513879B1 (ko) * 2022-06-14 2023-03-27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WO2023243872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이스턴산업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281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KR101797672B1 (ko) 산업안전그네용 충격흡수죔줄
ES2743805T3 (es) Absorbente de energía
US6533066B1 (en) Lanyard with integral fall arrest energy absorber
US8701826B2 (en) Shock absorbing lanyard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KR101237196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20110096665A (ko)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68731A1 (en)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KR102513879B1 (ko) 포이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충격흡수죔줄의 제조방법
KR101510537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3269B1 (ko) 슬라이딩 하우스 내 안전벨트 시스템
KR101213795B1 (ko) 신축안전로프원단
KR101269373B1 (ko) 탄성밴드 및 이를 이용한 묶음수단
KR101637149B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2537382B1 (ko) 포이엘라 튜브밴드를 구비한 충격흡수죔줄
JP3203205U (ja) 高所作業用命綱
CA2521389C (en) Energy absorber for personal fall arrestor
KR20180047799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220095111A (ko) 충격 흡수 기구
JP2009112511A (ja) 防護ネット
KR20180040401A (ko) 고소 작업용 충격흡수장치
NO162180B (no) Innretning for demping av stoetbelastninger.
JP3613796B2 (ja) 高所作業用の安全帯
JP6739015B2 (ja) じゃばら状に伸縮する筒状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