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60B1 -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 Google Patents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60B1
KR102232560B1 KR1020200135620A KR20200135620A KR102232560B1 KR 102232560 B1 KR102232560 B1 KR 102232560B1 KR 1020200135620 A KR1020200135620 A KR 1020200135620A KR 20200135620 A KR20200135620 A KR 20200135620A KR 102232560 B1 KR102232560 B1 KR 10223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direct live
lift arm
roll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60B1/ko
Priority to PCT/KR2021/012375 priority patent/WO20220859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상태의 배전선로에서 간접 활선 작업중 전선을 안전하게 이선 시키기 위한 리프트 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파이프의 상단에 수평 이동되는 이동롤러 유닛을 갖는 수평 이동바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하고, 절연파이프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용 장비의 윈치에 장착 및 상하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고소작업용 장비에 의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전선로 내 광범위한 위치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 이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교체 등의 안전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수평 이동바에 장착되어 전선의 구속이 가능한 이동롤러 유닛의 이동에 따른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Roller movable insulated lift arm for indirect live wir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본 발명은 활선상태의 배전선로에서 간접 활선 작업중 전선을 안전하게 이선 시키기 위한 리프트 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 내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는 장주 변경작업을 비롯하여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 교체작업 등을 무정전 상태로 수행함에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전선과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간편하게 전선을 상하좌우로 이선이 가능하게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 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기존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By-pass)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기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케이블차와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바켓트럭 및 활선작업용 공기구 일체를 갖추고, 직접활선작업으로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되게 한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완철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직업활선작업으로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철거하여야 배전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전기용량이 5,000KW를 초과하는 배전선로는 기존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한 작업시에 기존 케이블 공법용 케이블의 허용용량이 5,000KW이하이기 때문에 배전선로의 용량을 5,000KW이하로 줄이기 위하여 타 배전선로로 전력부하를 절체하는데 따른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고, 효과적 배전선로의 계통운영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한 전주에 상하 2회선 이상의 배전선로는 상단 배전선로의 작업을 현행 무정전 공법으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252786호에서와 같이 전주내 전선 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내에서 신구 전선교체 및 이설전선 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가며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선 이선기구는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제작이 매우 곤란하면서도 암체가 회동하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전선의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활선의 이선 범위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는 등 비교적 충분한 안전 작업공간의 확보를 요하는 완철 및 전주교체 과정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는 불가능하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선 이선기구는 완철에 설치되어 활선을 롤러에 고정하기 위해 부득이 직접 활선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등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이선 기구들을 설치하여 직접 활선으로 전선을 이선하는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나, 작업 환경이 간접 활선작업으로 바뀌면서 각각의 이선에 필요한 기구들에 대하여 간접 활선공구들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매우 위험한 작업이 되거나 작업 자체가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10-1946206호(전주에 설치되는 간접활선작업용 리프트 암), 특허출원등록 제10-1955155호(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를 제안하여,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의 이선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 암 및 인상장치는 그 설치 구조가 전주에 설치 사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작업 반경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부득이 작업자가 전선과 근접하여야 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노출되었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 암 및 인상장치는 전선을 파지 고정하기 위한 롤러 구조가 고정되어 있는 것인바, 이 또한 부득이 작업자가 전선과 근접하여야 하는 안전상의 문제가 노출되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52786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946206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9551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절연파이프의 상단에 수평 이동되는 이동롤러 유닛을 갖는 수평 이동바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게 하고, 절연파이프를 이용하여 통상의 활선 버켓이나 크레인 등 고소작업용 장비의 윈치에 장착 및 상하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고소작업용 장비에 의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전선로 내 광범위한 위치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 이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 교체 등의 안전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평 이동바에 장착되어 전선의 구속이 가능한 이동롤러 유닛의 이동에 따른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부는 수평으로 관통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파이프 장착부가 형성된 바디;
수직 상태를 이루어 상단이 상기 바디의 파이프 장착부에 장착되는 절연파이프;
상기 바디의 가이드관을 수평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디로부터 수평 이동 조절되는 수평 가이드부;
상기 바디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며, 상단에는 상부 절연롤러가 형성된 절연 수직 연장대; 및
상기 수평 가이드부에 형성되며, 자체 구동력에 의해 수평 가이드부를 따라 수평 이동되며, 수평 절연롤러가 형성된 복수의 이동롤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수평 가이드부는,
바디의 가이드관을 관통하는 관체로 된 수평 지지바;
상기 수평 지지바의 상부에 적층 형성 및 상기 가이드관을 관통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적층 형성 및 상기 가이드관을 관통하며, 상부면에 기어부를 이루는 랙크;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수평 지지바와 랙크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어 양측에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며,
또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장주 변경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윈치를 갖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
고소작업용 장비를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가이드부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의 수평 절연롤러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에 고정된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이동롤러 유닛을 좌우로 이동시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
전주로부터 핀장주를 철거하고 현수애자와 데드엔드클램프가 설치되는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하는 완철 변경공정;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완철 하부로 하강 및 이동롤러 유닛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선 복귀공정;
상기 데드엔드클램프에 장선기를 설치하고, 이동롤러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면서 장선기의 전선클립으로 전선을 파지 고정하고, 장선기를 조작 및 전선의 적정 이도를 조정하는 긴선공정;
간접활선용 피박기로 전선을 피박 하고, 전선 벤딩기로 전선을 벤딩하여 데드엔드클램프에 체결하여 고정하며, 점퍼선을 구성 및 커버를 취부하고 테이핑 마감하는 장주 변경공정; 및
장선기를 철거 및 전선으로부터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며,
또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윈치를 갖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
고소작업용 장비를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가이드부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의 수평 절연롤러에 전선을 고정하고, 절연 수직 연장대의 상부 절연롤러에 가공지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이동롤러 유닛을 좌우로 이동시켜 안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는 위치로 전선 및 가공지선을 안전한 위치로 이선하는 전선 이선공정;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는 할입주 신설공정;
신설한 할입주에 가공지선 지지대 및 완철, 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신설공정;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하강 및 이동롤러 유닛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한 할입주의 완철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는 전선 복귀공정;
신설된 할입주의 애자에 전선을 고정하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 및
전선 및 가공지선으로부터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며,
또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전주를 교체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윈치를 갖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
고소작업용 장비를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가이드부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의 수평 절연롤러에 전선을 고정하고, 절연 수직 연장대의 상부 절연롤러에 가공지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고정된 바인드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데드앤드클램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이동롤러 유닛을 좌우로 이동시켜 안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는 위치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
기설치된 전주를 철거하고, 신설 전주를 설치하는 전주 교체공정;
철거되는 전주의 장주를 철거하고, 신설 전주에 완철 및 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교체공정;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하강 및 이동롤러 유닛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된 완철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안착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는 전선 복귀공정;
신설된 완철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전선을 고정하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 및
전선 및 가공지선으로부터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며,
또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완철을 교체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윈치를 갖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
고소작업용 장비를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가이드부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의 수평 절연롤러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고정된 바인드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데드앤드클램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이동롤러 유닛을 좌우로 이동시켜 안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는 위치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
전주로부터 기존 완철을 철거하고, 기존 완철이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완철을 설치 및 LP애자 또는 현수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교체공정;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하강 및 이동롤러 유닛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된 완철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안착시키는 전선 복귀공정;
신설된 완철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 및
전선으로부터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은, 절연파이프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용 장비의 위치에 장착 및 그 윈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하게 구성된 것인바, 고소작업용 장비의 자유로운 위치 변경 및 승강 작동에 따라 작업 위치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 교체 등의 무정전 공법 과정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전선의 이선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으로 수평 이동바로부터 이동롤러 유닛의 좌우 이동까지 가능한 것인바, 간접 활선작업 과정에서 안정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바 구동부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바 구동부 요부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바디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롤러 유닛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롤러 유닛 요부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가이드부 연결수단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가이드부 연결수단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장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전선 인상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롤러 유닛 작동상태도.
도 13 내지 도 23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서의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 장주 변경 실시예도.
도 24 내지 도 30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서의 할입주를 신설 실시예도.
도 31 내지 도 36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서의 전주 교체 실시예도.
도 37 내지 도 42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서의 완철 교체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바 구동부 정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바 구동부 요부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은 바디(100)와, 절연파이프(200)와, 수평 가이드부(300)와, 절연 수직 연장대(400)와, 이동롤러 유닛(500)(500')과, 하중 지지부(600)로 구성된다.
먼저, 바디(100)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그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바디(100)는 먼저,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어 후술하는 수평 가이드부(300)가 수평 관통되는 가이드관(11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11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신축력 또는 탄성을 가지는 보호패드(111)가 더 구성된다.
그리고 바디(100)에는 상기 가이드관(110)의 하부에 하부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절연파이프(200)가 장착되도록 하부로 개방되는 파이프 장착부(120)가 구성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디(100)에는 상기 가이드관(110)의 하부 양측에는 후술하는 수평 가이드부(300)의 가압 고정이 가능한 수평바 가압볼트(130)가 더 구성된 것으로, 이때, 수평바 가압볼트(130)는 가이드관(110)의 하부로 이격되게 양측에 형성되는 너트체(131)에 나사 결합되는 한편, 선단이 상기 가이드관(110) 하부를 관통하여 보호패드(111)를 가압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수평바 가압볼트(130)에는 회전 조작이 가능한 작동고리(130a)가 구성되어, 통상의 활전 작업용스틱 등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절연파이프(200)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통상의 활선 버켓이나 크레인 등 고소작업용 장비에 형성되는 윈치(도면중 미도시함)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절연 재질로 된 사각 관체 형태를 이루며 수직 길이를 이루어 그 상단이 상기 바디(100)의 파이프 장착부(120)에 삽입 및 볼트 등을 통해 결합 장착되게 구성된다.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바디(100)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수평 가이드부(300)는 좌우 길이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바디(100)의 가이드관(110)을 수평 관통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가이드관(110)을 수평 관통하여 지지력을 부여하는 관체로 된 수평 지지바(310)가 구성된다.
또한, 수평 가이드부(300)는 좌우 길이를 이루며 상기 가이드관(110)을 수평 관통하는 한편, 상기 수평 지지바(310)의 상부에 적층되어 볼트 결합되는 가이드바(320)가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바(320)는 후술하는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또한, 수평 가이드부(300)는 좌우 길이를 이루며 상기 가이드관(110)을 수평 관통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바(320)의 상부에 적층되어 볼트 결합되는 랙크(33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랙크(330)는 상부면에 나사부를 이루게 구성되어 이동롤러 유닛(500)(500')이 치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바(320)는 상기 수평 지지바(310)와 랙크(330)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에 수평 가이드부(300)에는 폭 방향 양측에는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홈(321)이 각각 구성되어 후술하는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걸림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절연파이프(200)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통상의 고소작업용 장비에 형성된 윈치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절연 재질로 된 사각 관체 형태를 이루며 수직 길이를 이루어 상단이 상기 바디(100)의 파이프 장착부(120)에 삽입 및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파이프(200)에는 그 하단에 윈치의 견인와이어에 형성되는 윈치 견인고리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연결공(210)이 관통 구성된다.
상기 절연 수직 연장대(400)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절연파이프(200)를 수직으로 연장 형성하되, 상기 바디(100)의 상부 즉, 가이드관(110) 상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또한, 절연 수직 연장대(400)의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상부 절연롤러(401)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에 복수 형성되며, 각각에는 수평 절연롤러(501)가 형성되어 전선을 장악하는 한편, 자체 구동력에 의해 수평 가이드부(300)를 따라 좌우 이동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먼저 이동블록(510)이 구성된 것으로, 이동블록(510)은 좌우 및 하부로 개방되어 상기 각각의 수평 가이드부(300)의 랙크(330)가 관통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510)은 그 하단 양측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의 가이드홈(32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걸림 구성된다.
또한, 이동롤러 유닛(500)(500')에는 구동기어(520)가 구성된 것으로, 구동기어(520)는 상기 이동블록(510)의 내측 상부 일측에서 랙크(330)와 직각 방향으로 축설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기어(520)는 상기 각각의 수평 가이드부(300)의 랙크(330)에 치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구동기어(520)가 회전시 랙크(330) 치합력에 의해 랙크(330)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롤러 유닛(500)(500')에는 가이드기어(530)가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기어(530)는 상기 이동블록(510)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기어(520) 일측에 축설 및 상기 랙크(330)와 치합되게 구성된다.
이에, 가이드기어(530)는 구동기어(520) 구동에 따른 이동블록(510)이 이동시 랙크(330) 치합력에 의해 이동블록(51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롤러 유닛(500)(500')에는 상기 구동기어(5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롤러 동력부(540)가 구성된다.
이때,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이동블록(510)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구동기어(520)와 결합되어 그 구동기어(520)에 회전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 동력부(540)는 먼저, 동력부 하우징(541)이 구성된 것으로, 동력부 하우징(541)은 상기 이동블록(510)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롤러 동력부(540)에는 웜휠(542)이 구성된 것으로, 웜휠(542)은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내측에 수평 축설되는 한편, 상기 구동기어(520)와 구동축(542a)으로 연결되어 동시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롤러 동력부(540)에는 동력축(543)이 구성된 것으로, 동력축(543)은 그 일측이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내측에서 상기 웜휠(542)과 치합되는 웜(543a)이 형성되며, 그 타측이 동력부 하우징(54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태의 롤러 조작부(543b)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롤러 조작부(543b) 조작에 의해 동력축(543)을 회전시 그 동력축(543)의 웜(543a)과 치합된 웜휠(54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구동축(542a)으로 연결된 구동기어(520)가 회전 및 랙크(330) 치합력에 의해 랙크(330)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수평 가이드바(320)에서 각각 이동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은 상기 이동블록(510)의 외측에서 그 이동블록(510)과 간섭없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이동블록(510)에는 상기 구동축(542a)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이동블록 고정공(511)이 관통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록 고정공(511)에 삽탈되어 동력부 하우징(541)의 고정 및 회전을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덱스 플런져(541a)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인덱스 플런져(541a)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돌출되는 고정핀이 구성되어 그 고정핀의 인출 및 인입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것이면 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인덱스 플런져(541a)를 복수개 구성시에는 복수의 인덱스 플런져(541a)가 모두 인출될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인덱스 플런져(541a)가 이동블록 고정공(511)에 삽입 고정시 동력부 하우징(541)이 이동블록(510)에 고정되어 동력축(543)의 회전만으로 구동축(542a)을 회전시키고, 인덱스 플런져(541a)가 이동블록 고정공(511)으로부터 이탈시 동력부 하우징(541)이 이동블록(510)과 분리되어 그 동력부 하우징(541)의 수동 회전에 의해 구동축(542a)이 360°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동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연 수직 연장대(400)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절연롤러(401) 및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형성되는 수평 절연롤러(501)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좌우 롤러가 배치되며, 상부 몸체가 개폐레버 작동에 의해 상하 개폐되어 전선의 진출이 가능하게 하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81079호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중 지지부(600)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의 하중을 지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하중 지지부(600)는 먼저, 상기 절연파이프(200)가 슬라이딩 관통 되도록 그 절연파이프(200)에 결합 및 볼트 고정되는 승강블록(61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승강블록(610)의 좌우 양측에는 힌지부(611)가 구성된다.
또한, 하중 지지부(600)에는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의 수평 지지바(310)가 관통되어 그 수평 지지바(310)를 따라 슬라이딩 조절되며, 상기 절연파이프(200)를 중심으로 양측 한 쌍의 지지블록(620)이 구성된다.
이때, 지지블록(620)은 그 상단 양측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의 가이드홈(32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걸림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블록(620)은 상기 수평 지지바(310)에 고정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지지블록(620)의 저면 일측에는 수평 지지바(310)를 가압 고정하는 블록 고정볼트(622)가 관통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블록(620)에는 저면 타측에 후술하는 지지바(630)를 결합하기 위한 지지바 걸이핀(621)이 구성된다.
또한, 하중 지지부(600)에는 상기 승강블록(610)과 양측의 지지블록(620)을 연결하여 수평 가이드부(300)를 지지하는 양측 한 쌍의 지지바(630)가 구성된다.
이때, 양측의 지지바(630)는 각각 하단이 상기 승강블록(610)의 힌지부(611)에 결합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며, 각각의 상단은 양측 지지블록(620)의 지지바 걸이핀(621)에 걸어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바 걸이핀(621)과 지지바(630)는 특정 방향에서만 서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바 걸이핀(621)은 상하 폭이 좌우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630)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바 걸이핀(621)의 상하 폭은 진입 가능하고, 좌우 폭은 진입이 불가능도록 일측으로 개방되는 걸이핀 결합홈(631)이 구성된 것으로, 특정 방향으로 지지바(630)의 설치가 가능하게 하고, 설치된 상태에서 소정 회동시킴으로 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수평 지지바(310)과 가이드바(320)과 랙크(330)를 이루는 수평 가이드부(300)를 연결하여 그 길이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가이드부 연결수단(700)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부 연결수단(700)은 먼저, 양측의 수평 가이드부(300)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어댑터부(710)와, 회전 방지부(770)로 구성된다.
이때, 어댑터부(710)는 먼저, 어댑터 체결구(720)가 구성된 것으로, 어댑터 체결구(720)는 연결하고자 하는 어느 한 측의 수평 지지바(310)의 내측 단부에 내입 및 볼트 결합되게 구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는 어댑터 결합홈(721)이 구성된 것인데, 어댑터 결합홈(721)은 내측으로부터 단부에 이르게 벌어지는 "테이퍼 홈"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어댑터 결합홈(721)의 내측 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후술하는 어댑터 결합볼트(750)가 체결되는 나사홀(722)이 구성된다.
그리고 어댑터 체결구(720)에는 상기 어댑터 결합홈(721)이 개방되는 측 단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걸림홈(723)이 단부로 개방되게 구성된다.
또한, 어댑터부(710)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한 측의 수평 지지바(310)의 내측 단부에 내입 형성되어 후술하는 어댑터(740)를 수용하는 관체 형태의 어댑터 취부관(730)이 구성된 것으로, 어댑터 취부관은 동일 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볼트(731)를 통해 수평 지지바(310)이 결합되며, 이때 가이드 볼트(731)는 어댑터 취부관(730)의 내측으로 소정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어댑터부(710)에는 상기 어댑터 체결구(720)와 체결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양측 수평 가이드부(300)를 연결하는 어댑터(740)가 구성된 것으로, 어댑터(740)는 그 후방이 상기 어댑터 취부관(73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어댑터(740)는 먼저, 선단에는 상기 수평 지지바(310)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어댑터 체결구(720)의 어댑터 결합홈(721)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741)가 돌출 구성된 것으로, 결합부(741)는 상기 어댑터 결합홈(721)과 대응되도록 테이퍼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돌출된 결합부(741)의 후방 둘레에는 상기 어댑터 체결구(720)의 걸림홈(723)과 대응되는 걸림돌기(742)가 돌출 구성되어 결합부(741)가 어댑터 결합홈(721)에 삽입시 걸림홈(723)에 끼움되어 서로간에 회전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어댑터(740)에는 후방 둘레에는 수평상을 이루면서 후단으로 개방되어 어댑터(740) 어댑터 취부관(730)에 삽입시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착탈 가이드홈(743)이 구성된다.
그리고 어댑터(740)에는 후방 둘레에 상기 착탈 가이드홈(743)으로부터 둘레를 따라 90°를 이루는 회전 가이드홈(744)이 구성된 것으로, 회전 가이드홈(744)에는 상기 가이드 볼트(731) 단부가 삽입 안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어댑터(740)의 중앙에는 수평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볼트 관통홀(745)이 구성된 것으로, 결합볼트 관통홀(745)은 상기 어댑터 체결구(720)의 나사홀(722)과 수평 연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어댑터부(710)에는 상기 어댑터 체결구(720)와 어댑터(740)를 서로 체결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 결합볼트(750)가 구성된 것으로, 어댑터 결합볼트(750)는 상기 어댑터(740)의 후방으로부터 결합볼트 관통홀(745)에 삽입 및 어댑터 체결구(720)의 나사홀(722)에 나사 체결되어 그 어댑터 체결구(720)와 어댑터(740)를 결합하게 구성된다.
즉, 어댑터부(710)는 이웃하는 수평 가이드부(300)를 연결 결합하되, 어댑터 체결구(720)에 어댑터(74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어댑터(740)의 후방을 어댑터 취부관(730)에 삽입하되, 착탈 가이드홈(743)과 가이드 볼트(731)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결합하고, 그 가이드 볼트(731)가 회전 가이드홈(744)에 수용된 상태에서 90° 회전시켜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양측 수평 가이드부(300)를 연결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 연결수단(700)의 회전 방지부(770)는 상기와 같이 양측의 수평 가이드부(300)가 어댑터부(710)에 의해 회전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회전 방지부(770)는 먼저, 어느 한 측의 가이드바(320) 단부에는 회전방지 결합홈(771)이 구성된다.
또한, 회전 방지부(770)는 상기 다른 한 측의 가이드바(320)에 상기 회전방지 결합홈(771)에 삽입 결합되는 회전방지 결합핀(772)이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방지 결합핀(772)은 가이드바(320) 내측에 스프링(S) 탄설되어 스프링력에 의해 전방 돌출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 결합핀(772)은 그 일측이 가이드바(320)에 형성되는 장공(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가이드바(320)의 측면으로 노출되게 손잡이(도면중 미도시함) 구성하여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후방 인입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회전 방지부(770)는 상기와 같이 어댑터부(710)를 통해 양측 수평 가이드부(300)을 회전 결합하는 과정에서는 회전방지 결합핀(772)을 인입시켜 회전 간섭이 방지되게 하고, 90°회전시에는 스프링(S)력에 의해 회전방지 결합핀(772)이 회전방지 결합홈(771)에 삽입되어 양측 수평 가이드부(300)의 회전을 방지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 수평 가이드부(300)는 상기 가이드부 연결수단(700)을 통해 복수를 선택적으로 연결 사용함으로 작업 환경에 따른 길이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교체 등의 무정전 공법 과정에서 전선(활선)을 이선하여 충분한 사선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을 완철로부터 승강 및 좌우 이동시켜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은 도 10을 참조하여 통상의 활선 작업에 사용되는 활선 버켓이나 크레인 등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절연파이프(200)를 통해 장착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200)는 고소작업용 장비(50)의 윈치(51)에 장착하되, 절연파이프(2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210)에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211)으로 연결 고정한다.
이후,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활선용 롤러 이동식 리프트 암(1)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 위치로 이동 및 수평 절연롤러(501)의 개폐 작동을 통해 전선(20)을 장악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장학하는 과정에서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장악되는 전선 위치에 미세한 위치 조절 및 이선이 가능하게 하되, 이는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수평 가이드부(300)로부터 랙크(330)를 따라 좌우 수평 이동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롤러 조작부(543b) 조작에 의해 동력축(543)을 회전시키게 되면, 웜(543a)의 회전력이 웜휠(542)로 전달되게 되는 것인바, 이에 구동축(542a)으로 연결된 롤러 구동기어(52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그 롤러 구동기어(520)는 치합된 수평 가이드부(300)의 랙크(33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각각의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해 각각 구동 가능한 것인바, 이는, 작업 환경에 따라 선택 작동을 통해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에 의해 전선(20)의 장악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롤러 동력부(540)의 롤러 조작부(543b)의 조작은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때 활선작업용스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은 물론,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등록 제10-2021001호, 특허등록 제10-1963537호, 특허등록 제10-1963539호 플라이어 스틱이나, 특허등록 제10-2028010호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전선(20)이 장악된 상태에서 전선(20)을 인상하되, 이는 도 11을 참조하여 고소작업용 장비(50)의 윈치를 작동시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승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장악된 전선(20)이 인상되어 완철(31) 상부로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전선(20)이 인상된 상태에서 그 전선(20)을 완철(31)의 양단으로 벗어나게 하되, 이는 도 12를 참조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수평 가이드부(300)에서 이동시켜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은 상기 미세한 위치 조절시 작동과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은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 교체 등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에,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 실시예 1
도 13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장주 변경하기 위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리프트 암 장착공정(S110)과, 전선 장악공정(S120)과, 전선 분리공정(S130)과, 전선 이선공정(S140)과, 완철 변경공정(S150)과, 전선 복귀공정(S160)과, 긴선공정(S170)과, 장주 변경공정(S180)과, 철거공정(S190)을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리프트 암 장착공정(S110)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통상의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통상의 윈치(51)를 갖는 활선 버켓이나 크레인 등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는, 절연파이프(200)를 통해 장착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200)는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되는 윈치(51)에 수직 장착하며, 이때 그 절연파이프(2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210)에는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211)으로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와이어(52)를 권취시 리프트 암(1)이 상부로 인상되고, 와이어(52)를 권해시 리프트 암(1)이 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 장악공정(S120)을 수행하되,
이는, 본 발명 리프트 암(1)을 이선 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리프트 암(1)의 수평 가이드부(300)를 핀장주(30)에 근접 및 전선(20)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 가이드부(300)를 이동시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과 근접하게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한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즉,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은 상기와 같이 롤러 동력부(540)의 동력축(543)을 회전 조절하되, 동력축(543)을 회전시 그 동력축(543)의 웜(543a)과 치합된 웜휠(54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구동축(542a)으로 연결된 구동기어(520)가 회전 및 랙크(330) 치합력에 의해 수평 가이드부(300)의 랙크(330)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수평 가이드바(320)에서 각각 이동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전선(20)을 완철(31)과 간섭되지 않는 안전 거리로 2차 이선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전선(20)의 인상 및 확장을 통해 장주의 근방에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동력축(543)의 롤러 조작부(543b)를 걸어 회전 조절하여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전선을 장악하되, 이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 및 전선(20)을 진입시켜 장악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전선 분리공정(S130)을 수행하되,
이는, 통상 핀장주의 LP애자(35)에 안착 설치되는 전선(20)은 그 LP애자(35)와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도면중 미도시함)으로 고정된 것인바, 이에 그 바인드를 컷팅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그 LP애자(35)와 전선(20)을 분리하게 된다.
이후, 전선 이선공정(S140)을 수행하되,
이는, 도 15를 참조하여 LP애자(35)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안전한 거리로 이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이선은 윈치(51) 작동을 통해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인상시켜 배전선로 상부로 1차 이선시킨다.
이후, 연속하여 수평 가이드부(300)로부터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20)이 완철(31)의 양측으로 벗어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장악공정(S120)에서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작동과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완철 변경공정(S150)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전선(20)이 안전하게 이선된 상태에서 기존의 핀장주(30)를 철거하고, 새로운 내장주용 완철(31)을 교체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교체된 내장주용 완철(31)에는 현수애자(41) 및 데드엔드클램프(42)를 설치하면 된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160)을 수행하되,
이는,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전선 이선공정(S140)에서와 같이 인상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이 이동된 리프트 암(1)을 새로 설치된 내장주용 완철(31) 위치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인상된 리프트 암(1)을 하상 시키되, 내장주용 완철(31) 하부로 하강시키고, 연속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를 이동 조절하여 전선(2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의 하강과 수평 이동바(200)(200')의 축소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장악공정(S120) 과정에서의 반대 작동을 통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긴선공정(S170)을 수행하되,
이는, 도 18을 참조하여 먼저, 상기와 같이 신설된 내장주용 완철(31) 또는 데드엔드클램프(42)에 장선기(43)를 설치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장선기(43)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장선기는 물론,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출원등록 제10-1984829호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또는 특허출원 제10-2020-0043904호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의 적용을 통한 간접활선 작업으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설치된 장선기(43)를 이용하여 전선(20)을 파지 고정하되, 이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으로 장선기(43)를 조작하여 전선클립으로 전선(20)을 고정하고, 전선(20)의 적정 이도를 조정한다.
이후, 장주 변경공정(S180)을 수행하되,
이는, 먼저, 간접활선용 피박기로 전선을 피박 하고, 피박된 전선을 전선 벤딩기로 벤딩한 후, 데드엔드클램프에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와 함께 점퍼선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점퍼선의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점퍼선의 구성은 먼저, 도 19를 참조하여 전선(20)을 그대로 사용하여 점퍼선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전선(20)을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시에는 전선(20)의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에 물리는 위치를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피박 및 벤딩하여 전선(20)을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데드엔드클램프(42)에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의 사이 전선(20)에 대하여 점퍼선(44)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드엔드클램프(42)가 체결된 위치는 데드엔드클램프용 커버(42a)를 취부 및 테이핑하여 마감하면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점퍼선의 구성은 도 20을 참조하여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과 별도의 전선(20')를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과 별도의 전선(20')을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시에는 먼저,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선(20)에 대하여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을 연결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피박한다.
이후, 그 피박된 전선(20)에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의 케이블 헤드를 결합하여 임시로 바이패스 연결하면 된다.
그리고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 내측의 전선(20)을 절단하여 분리하고 적절한 길이의 별도 전선(20') 양단을 절단된 전선(20)과 슬리브(45) 압축 연결하여 전선(20')에 대하여 점퍼선(44)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로 연결된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는 철거하고, 전선(20)과 전선(20')의 연결된 위치는 슬리브용 커버(45a)를 이용하여 취부 및 테이핑 마감하면 된다.
또한,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을 연결하기 위해 전선(20)의 피박된 위치는 테이핑 또는 슬리브용 커버 등을 통해 마감하면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점퍼선(44)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별도 전선(20')을 이용하여 기존 전선(20)과 연결하여 구성함은, 양측의 데드엔드클램프(42)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20)에 대하여 비교적 짧거나 그 점퍼선 구성에 적합하지 못할시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점퍼선의 구성은 도 21을 참조하여 별도의 전선(20')를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전선(20')을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시에는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선(20)에 대하여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피박한다.
이후, 그 피박된 전선(20)의 위치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으로 별도의 전선(20')을 슬리브(45)를 이용하여 압축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의 외측으로는 전선(20)과 분리되는 전선(20')을 이용한 바이패스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선(20')로 바이패스 된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 사이의 전선(20)은 절단하여 분리함으로 전선(20')에 대하여 점퍼선(44)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별도 전선(20')을 이용한 점퍼선(44)의 구성시 그 전선(20')이 연결된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감할 수 있다.
이는, 일예로 도 22를 참조하여 데드엔드클램프(42)와 근접시에는 테드엔트클램프용 커버(42a)로 취부 및 테이핑 마감하고, 도 23을 참조하여 데드엔드클램프(42)와 이격시에는 슬리브용 커버(45a)로 취부 및 테이핑 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의 마감은 현장 상황 및 선로 상황 등 다양한 여건에 따라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선(20)의 피박시 적용되는 피박기는 본 발명 출원이에 의해 안출된 특허출원등록 제10-1977011호"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등의 적용을 통한 간접활선 작업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후, 철거공정(S19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점퍼선(44)이 구성된 상태에서 전선(20)을 잡고 있는 장선기(43)를 철거하며, 이후, 연속하여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철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철거 과정에서 장선기(43)의 철거와 상기 수평 절연롤러(501)의 개방은 전선의 장악과 같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또는 경간분리 공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활선상태로는 장주 일측만 긴선작업을 수행하고 전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 내측은 사선상태로 다른 일측의 긴선작업을 수행하여 장주 변경공정 작업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장주 변경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2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기 위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4를 참조하여 리프트 암 장착공정(S210)과, 전선 장악공정(S220)과, 전선 이선공정(S230)과, 할입주 신설공정(S240)과, 완철 신설공정(S250)과, 전선 복귀공정(S260)과, 전선 고정공정(S270)과, 철거공정(S280)을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리프트 암 장착공정(S210)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통상의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통상의 윈치(51)를 갖는 활선 버켓이나 크레인 등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는, 절연파이프(2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200)는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되는 윈치(51)에 수직 장착하며, 이때 그 절연파이프(2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210)에는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211)으로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와이어(52)를 권취시 리프트 암(1)이 상부로 인상되고, 와이어(52)를 권해시 리프트 암(1)이 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 장악공정(S220)을 수행하되,
이는, 본 발명 리프트 암(1)을 이선 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리프트 암(1)의 수평 가이드부(300)를 전주(10)와 전주(10) 사이 전선(20)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 가이드부(300)를 이동시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과 근접하게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한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즉,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은 상기와 같이 롤러 동력부(540)의 동력축(543)을 회전 조절하되, 동력축(543)을 회전시 그 동력축(543)의 웜(543a)과 치합된 웜휠(54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구동축(542a)으로 연결된 구동기어(520)가 회전 및 랙크(330) 치합력에 의해 수평 가이드부(300)의 랙크(330)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수평 가이드바(320)에서 각각 이동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전선(20)을 완철(31)과 간섭되지 않는 안전 거리로 2차 이선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전선(20)의 인상 및 확장을 통해 장주의 근방에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동력축(543)의 롤러 조작부(543b)를 걸어 회전 조절하여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전선을 장악하되, 이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 및 전선(20)을 진입시켜 장악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선(20)의 장악과 함께 전주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공지선(21)을 장악하되, 이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절연 수직 연장대(4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절연롤러(401) 개방 및 가공지선(21)을 진입시켜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전선 이선공정(S230)을 수행하되,
이는,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전선을 안전한 거리로 이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이선은 윈치(51) 작동을 통해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인상시켜 배전선로 상부로 1차 이선시킨다.
이후, 연속하여 수평 가이드부(300)로부터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20)이 완철(31)의 양측으로 벗어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장악공정(S220)에서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작동과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할입주 신설공정(S240)을 수행하되,
이는, 도 27을 참조하여 전주(10)와 전주(10) 사이에 형성된 안전한 작업 공간에 가공지선 지지대(15)를 갖는 할입주(11)를 신설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신설되는 할입주(11)는 통상의 전주를 신설하는 건주공사와 같이 전주 상단을 방호하여 건주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접지근가를 이용한 지지 등을 수행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완철 신설공정(S250)을 수행하되,
이는, 도 2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할입주(11)에는 가공지선 지지대(15) 및 전선(20)이 지나가는 위치에 대하여 완철(31)과 애자를 설치하면 된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26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 전선 이선공정(S230)에서와 같이 인상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이 이동된 리프트 암(1)을 다시 완철(31) 위치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인상된 리프트 암(1)을 하강시키고, 연속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를 이동 조절하여 전선(20)을 완철(31)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부 절연롤러(401)에 장악된 가공지선(21) 또한 할입주(11)의 가공지선 지지대(15)에는 가공지선(21)을 위치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의 하강과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장악공정(S220) 과정에서의 반대 작동을 통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전선 고정공정(S27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위치된 전선(20) 및 가공지선(21)을 고정하되, 먼저, 전선(20)은 애자에 고정하면 되고, 가공지선(21)은 가공지선 지지대(15)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할입주(11)을 신설하는 과정에서 그 전선(20)을 연결하기 위해 할입주(11)에 설치되는 장주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핀장주 또는 내장주의 구성 가능하다.
이를 위해, 먼저, 도 28을 참조하여 핀장주를 구성시에는 완철 신설공정(S250)에서 완철(31)에 설치되는 애자를 완철(31) 상부에 LP애자(35)로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상기 전선(20)을 LP애자(35)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된다.
그리고 전선 고정공정(S270)에서는 상기 전선(20)을 LP애자(35)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LP애자(35)에 고정 및 가공지선(21)을 가공지선 지지대(15)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바인드로 체결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할입주(11)에 설치되는 장주를 내장주로 구성시에는,
도 29를 참조하여 완철 신설공정(S250)에선 완철(31)에 설치되는 애자를 완철(31)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현수애자(41)로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완철(31)에 위치되는 전선(20)을 그 완철(31)의 하부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전선 고정공정(S270)에서는 상기 전선(20)을 현수애자(41)에 연결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현수애자(41)에 연결 고정하는 과정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내장주의 구성과 같이 무정전 상태로 완철(31)을 중심으로 양측의 전선(20)을 데드엔드클램프(42)를 이용하여 현수애자(41)에 고정하고 점퍼선(44)을 구성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점퍼선(44)의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상기 핀장주를 내장주로 장주 변경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서와 같이 그 전선(20)을 직접 사용하여 구성하거나, 파이패스 점퍼케이블(44a)을 이용하여 바이패스 및 별도의 전선(20')을 이용하여 연결 구성하거나, 별도의 전선(20')을 이용하여 전선(20)에 직접 연결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철거공정(S28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0을 참조하여 먼저, 전선(20)을 장악하고 있는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하여 각각의 전선을 분리하고, 연속하여 상부 절연롤러(401)를 개방하여 가공지선(21)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철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철거 과정에서 상기 수평 절연롤러(501) 및 상부 절연롤러(401)의 개방은 전선 및 가공지선의 장악과 같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할입주를 신설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3
도 31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노후 전주를 교체하기 위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1을 참조하여 리프트 암 장착공정(S310)과, 전선 장악공정(S320)과, 전선 분리공정(S330)과, 전선 이선공정(S340)과, 전주 교체공정(S350)과, 완철 교체공정(S360)과, 전선 복귀공정(S370)과, 전선 고정공정(S380)과, 철거공정(S390)을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리프트 암 장착공정(S310)은,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통상의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통상의 윈치(51)를 갖는 활선 버켓이나 크레인 등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는, 절연파이프(2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200)는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되는 윈치(51)에 수직 장착하며, 이때 그 절연파이프(2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210)에는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211)으로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와이어(52)를 권취시 리프트 암(1)이 상부로 인상되고, 와이어(52)를 권해시 리프트 암(1)이 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 장악공정(S320)을 수행하되,
이는, 본 발명 리프트 암(1)을 이선 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리프트 암(1)의 수평 가이드부(300)를 교체 하고자 하는 전주(10) 근방 전선(20)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 가이드부(300)를 이동시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과 근접하게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한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즉,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은 상기와 같이 롤러 동력부(540)의 동력축(543)을 회전 조절하되, 동력축(543)을 회전시 그 동력축(543)의 웜(543a)과 치합된 웜휠(54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구동축(542a)으로 연결된 구동기어(520)가 회전 및 랙크(330) 치합력에 의해 수평 가이드부(300)의 랙크(330)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수평 가이드바(320)에서 각각 이동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전선(20)을 완철(31)과 간섭되지 않는 안전 거리로 2차 이선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전선(20)의 인상 및 확장을 통해 장주의 근방에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동력축(543)의 롤러 조작부(543b)를 걸어 회전 조절하여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전선을 장악하되, 이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 및 전선(20)을 진입시켜 장악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선(20)의 장악과 함께 전주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공지선(21)을 장악하되, 이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절연 수직 연장대(4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절연롤러(401) 개방 및 가공지선(21)을 진입시켜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전선 분리공정(S330)을 수행하되,
이는, 통상의 핀장주 또는 내장주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로부터 전선을 분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통상의 핀장주의 경우, 그 핀장주의 LP애자(35)에 안착 설치되는 전선(20)은 그 LP애자(35)와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도면중 미도시함)으로 고정된 것인바, 이에 그 바인드를 컷팅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그 LP애자(35)와 전선(20)을 분리하게 된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에는 데드앤드클램프를 현수애자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후, 전선 이선공정(S34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LP애자(35)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안전한 거리로 이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이선은 윈치(51) 작동을 통해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인상시켜 배전선로 상부로 1차 이선시킨다.
이후, 연속하여 수평 가이드부(300)로부터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20)이 완철(31)의 양측으로 벗어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장악공정(S320)에서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작동과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 현수애자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이선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이동시켜 가능할 것이다.
이후, 전주 교체공정(S35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4를 참조하여 통상의 전주 교체와 같이 교체하고자 하는 장주를 철거하되, 이때에는 기존의 완철 및 애자 등 장주 전체를 함께 철거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와 같이 기존 전주(10)가 철거된 위치에 가공지선 지지대(15)를 갖는 신설 전주(10')를 신설하되, 이는, 통상의 전주를 신설하는 건주공사와 같이 전주 상단을 방호하여 건주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접지근가를 이용한 지지 등을 수행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완철 교체공정(36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철거된 전주(10)로부터 완철(31) 및 LP애자(35)를 철거하고, 그 철거한 완철(31) 및 LP애자(35)를 신설 설치된 전주(10')에 설치하면 된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 철거한 완철 및 현수애자를 신설 설치된 전주(10')에 설치하면 될 것이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37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5를 참조하여 상기 전선 이선공정(S340)에서와 같이 인상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이 이동된 리프트 암(1)을 다시 핀장주(30) 위치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인상된 리프트 암(1)을 하강시키고, 연속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를 이동 조절하여 전선(20)을 LP애자(35)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 데드앤드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선을 현수애자에 근접시키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부 절연롤러(401)에 장악된 가공지선(21) 또한 신설 전주(10')의 가공지선 지지대(15)에는 가공지선(21)을 위치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의 하강과 수평 이동바(200)(200')의 축소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장악공정(S320) 과정에서의 반대 작동을 통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전선 고정공정(S38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위치된 전선(20) 및 가공지선(21)을 고정하되, 먼저, 전선(20)은 LP애자(35)에 고정하면 되고, 가공지선(21)은 가공지선 지지대(15)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LP애자(35)에 고정 및 가공지선(21)을 가공지선 지지대(15)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바인드로 체결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 데드앤드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선을 현수애자에 연결하면 될 것이다.
이후, 철거공정(S39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6을 참조하여 먼저, 전선(20)을 장악하고 있는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하여 각각의 전선을 분리하고, 연속하여 상부 절연롤러(401)를 개방하여 가공지선(21)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철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철거 과정에서 상기 수평 절연롤러(501) 및 상부 절연롤러(401)의 개방은 전선 및 가공지선의 장악과 같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주를 교체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4
도 37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노후 완철을 교체하기 위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7을 참조하여 리프트 암 장착공정(S410)과, 전선 장악공정(S420)과, 전선 분리공정(S430)과, 전선 이선공정(S440)과, 완철 교체공정(S450)과, 전선 복귀공정(S460)과, 전선 고정공정(S470)과, 철거공정(S480)을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리프트 암 장착공정(S410)은,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통상의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통상의 윈치(51)를 갖는 활선 버켓이나 크레인 등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는, 절연파이프(2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200)는 고소작업용 장비(50)에 장착되는 윈치(51)에 수직 장착하며, 이때 그 절연파이프(2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210)에는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211)으로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와이어(52)를 권취시 리프트 암(1)이 상부로 인상되고, 와이어(52)를 권해시 리프트 암(1)이 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 장악공정(S420)을 수행하되,
이는, 본 발명 리프트 암(1)을 이선 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리프트 암(1)의 수평 가이드부(300)를 핀장주(30) 근접 전선(20)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 가이드부(300)를 이동시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과 근접하게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한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즉,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은 상기와 같이 롤러 동력부(540)의 동력축(543)을 회전 조절하되, 동력축(543)을 회전시 그 동력축(543)의 웜(543a)과 치합된 웜휠(54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구동축(542a)으로 연결된 구동기어(520)가 회전 및 랙크(330) 치합력에 의해 수평 가이드부(300)의 랙크(330)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수평 가이드바(320)에서 각각 이동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전선(20)을 완철(31)과 간섭되지 않는 안전 거리로 2차 이선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전선(20)의 인상 및 확장을 통해 장주의 근방에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동력축(543)의 롤러 조작부(543b)를 걸어 회전 조절하여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에 형성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전선을 장악하되, 이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 및 전선(20)을 진입시켜 장악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전선 분리공정(S430)을 수행하되,
이는, 통상의 핀장주 또는 내장주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로부터 전선을 분리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통상 핀장주의 경우, 그 핀장주의 LP애자(35)에 안착 설치되는 전선(20)은 그 LP애자(35)와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도면중 미도시함)으로 고정된 것인바, 이에 그 바인드를 컷팅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그 LP애자(35)와 전선(20)을 분리하게 된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에는 데드앤드클램프를 현수애자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후, 전선 이선공정(S44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LP애자(35)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안전한 거리로 이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이선은 윈치(51) 작동을 통해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인상시켜 배전선로 상부로 1차 이선시킨다.
이후, 연속하여 수평 가이드부(300)로부터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20)이 완철(31)의 양측으로 벗어나게 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장악공정(S120)에서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작동과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 현수애자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이선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이동시켜 가능할 것이다.
이후, 완철 교체공정(S450)을 수행하되,
이는, 먼저, 도 40을 참조하여 전선(20)이 안전하게 이선된 상태에서 전주(10)에 기설치된 완철(31)을 철거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기존의 노후된 LP애자(35) 또한 함께 철거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와 같이 기존 완철(31)이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완철(31')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그 새로운 완철(31')에는 LP애자(35) 또한 함께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 완철을 철거 및 새로운 완철을 설치 및 현수애자 또한 함께 설치하면 될 것이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460)을 수행하되,
이는, 도 41을 참조하여 상기 전선 이선공정(S440)에서와 같이 인상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이 이동된 리프트 암(1)을 다시 신설된 완철(31') 위치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인상된 리프트 암(1)을 하강시키고, 연속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를 이동 조절하여 전선(20)을 LP애자(35)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 내장주용 완철(31) 하부로 하강시키고, 데드앤드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이 가능하도록 전선을 현수애자에 근접시키면 될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의 하강과 수평 이동바(200)(200')의 축소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장악공정(S420) 과정에서의 반대 작동을 통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전선 고정공정(S47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위치된 전선(20)을 고정하되, 전선(20)은 LP애자(35)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LP애자(35)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바인드로 체결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내장주의 경우 데드앤드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선을 현수애자에 연결하면 될 것이다.
이후, 철거공정(S480)을 수행하되,
이는, 도 42를 참조하여 먼저, 전선(20)을 장악하고 있는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하여 각각의 전선을 분리하고, 연속하여 고소작업용 장비(50)를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철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철거 과정에서 상기 수평 절연롤러(501)의 개방은 전선 및 가공지선의 장악과 같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존 완철을 교체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철을 교체하는 공법에서는 실질적으로 완철(31)에 설치되는 전선(20)의 이선 및 복귀 고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 공간의 확보 등을 위한 작업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가공지선(21)도 함께 이선 및 복귀 고정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은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장주 변경과, 할입주 신설과, 전주 교체와, 완철 교체 등의 안전하고 편리한 무정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10,10' : 전주 11 : 할입주
15 : 가공지선 지지대 20 : 전선
21 : 가공지선 30 : 핀장주
31,31' : 완철 35 : LP애자
40 : 내장주용 완철 41 : 현수애자
42 : 데드엔드클램프 42a : 데드엔드클램프용 커버
43 : 장선기 44 : 점퍼선
44a : 바이패스 점퍼케이블 45 : 슬리브
45a : 슬리브용 커버 50 : 고소작업용 장비
51 : 윈치 52 : 와이어
100 : 바디 110 : 가이드관
111 : 보호패드 120 : 파이프 장착부
130 : 가압볼트 130a : 작동고리
131 : 너트체
200 : 절연파이프 210 : 와이어 연결공
300 : 수평 가이드부 310 : 수평 지지바
320 : 가이드바 321 : 가이드홈
330 : 랙크
400 : 절연 수직 연장대 401 : 상부 절연롤러
500,500 : 이동롤러 유닛 501 : 수평 절연롤러
510 : 이동블록 511 : 하우징 고정공
520 : 롤러 구동기어 530 : 하우징 가이드롤러
540 : 롤러 동력부 541 : 동력부 하우징
541a : 인덱스 플런져 542 : 웜휠
542a : 구동축 543 : 동력축
543a : 웜 543b : 롤러 조작부
600 : 하중 지지부 610 : 승강블록
611 : 힌지부 620 : 지지블록
621 : 지지바 걸이핀 622 : 블록 고정볼트
630 : 지지바 631 : 걸이핀 결합홈
700 : 가이드부 연결수단 710 : 어댑터부
720 : 어댑터 체결구 721 : 어댑터 결합홈
722 : 나사홀 723 : 걸림홈
730 : 어댑터 취부관 731 : 가이드 볼트
740 : 어댑터 741 : 결합부
742 : 걸림돌기 743 : 착탈 가이드홈
744 : 회전 가이드홈 745 : 결합볼트 관통홀
750 : 어댑터 결합볼트 770 : 회전 방지부
771 : 회전방지 결합홈 772 : 회전방지 결합핀
S110 : 리프트 암 장착공정 S120 : 전선 장악공정
S130 : 전선 분리공정 S140 : 전선 이선공정
S150 : 완철 변경공정 S160 : 전선 복귀공정
S170 : 긴선공정 S180 : 장주 변경공정
S190 : 철거공정
S210 : 리프트 암 장착공정 S220 : 전선 장악공정
S230 : 전선 이선공정 S240 : 할입주 신설공정
S250 : 완철 신설공정 S260 : 전선 복귀공정
S270 : 전선 고정공정 S280 : 철거공정
S310 : 리프트 암 장착공정 S320 : 전선 장악공정
S330 : 전선 분리공정 S340 : 전선 이선공정
S350 : 전주 교체공정 S360 : 완철 교체공정
S370 : 전선 복귀공정 S380 : 전선 고정공정
S390 : 철거공정
S401 : 리프트 암 장착공정 S420 : 전선 장악공정
S430 : 전선 분리공정 S440 : 전선 이선공정
S450 : 완철 교체공정 S460 : 전선 복귀공정
S470 : 전선 고정공정 S480 : 철거공정

Claims (21)

  1. 상부는 수평으로 관통되는 가이드관(1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110)의 하부에는 하부로 개방되는 파이프 장착부(120)가 형성된 바디(100);
    수직 상태를 이루어 상단이 상기 바디(100)의 파이프 장착부(120)에 장착되는 절연파이프(200);
    상기 바디(100)의 가이드관(110)을 수평 관통하여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바디(100)로부터 수평 이동 조절되는 수평 가이드부(300);
    상기 바디(100)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며, 상단에는 상부 절연롤러(401)가 형성된 절연 수직 연장대(400); 및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에 형성되며, 자체 구동력에 의해 수평 가이드부(300)를 따라 수평 이동되며, 수평 절연롤러(501)가 형성된 복수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는,
    바디(100)의 가이드관(110)을 관통하는 관체로 된 수평 지지바(310);
    상기 수평 지지바의 상부에 적층 형성 및 상기 가이드관(110)을 관통하는 가이드바(320); 및
    상기 가이드바(320)의 상부에 적층 형성 및 상기 가이드관(110)을 관통하며, 상부면에 기어부를 이루는 랙크(33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바(320)는,
    상기 수평 지지바(310)와 랙크(330)의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어 양측에 가이드홈(321)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에는,
    상기 가이드관(110)의 내주면에는 관통되는 수평 가이드부(300)를 보호하는 보호패드(111)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110)의 하부 양측에는 너트체(131)를 통해 나사 결합 및 가이드관(110)을 관통하여 보호패드(111)를 가압 및 수평 가이드부(300)를 가압 고정하는 양측 한 쌍의 수평바 가압볼트(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수평바 가압볼트(130)에는 회전 조작이 가능한 작동고리(130a)가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파이프(200)에는,
    하부에 윈치의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연결공(210)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상기 랙크(330)가 관통되고, 하단 양측이 가이드홈(321)에 슬라이딩 걸림되는 이동블록(510);
    상기 이동블록(510) 내측 상부에 축설되며, 상기 랙크(330)와 치합되는 구동기어(520);
    상기 이동블록(510)의 내측 상부에서 구동기어(520) 일측에 축설되는 가이드기어(530);
    상기 이동블록(510)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기어(520)와 결합되어 그 구동기어(5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롤러 동력부(5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동력부(540)는,
    이동블록(5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동력부 하우징(541);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내측에 수평 축설 및 상기 구동기어(520)가 구동축(542a)으로 연결 결합되는 웜휠(542);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내측에서 상기 웜휠(542)과 치합되는 웜(543a)이 형성되며,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롤러 조작부(543b)가 형성된 동력축(543)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은 상기 이동블록(510)의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이동블록(510)에는 상기 구동축(542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이동블록 고정공(511)을 더 형성하고,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블록 고정공(511)에 삽탈되어 동력부 하우징(541)의 고정 및 회전을 단속하는 인덱스 플런져(541a)가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하중 지지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하중 지지부(600)는,
    상기 절연파이프(200)가 슬라이딩 관통 및 볼트 고정되며, 양측에는 힌지부(611)가 형성된 승강블록(610);
    상기 수평 지지바(310)가 관통되고, 상단 양측이 상기 가이드홈(321)에 슬라이딩 걸림되며, 저면 일측에는 수평 지지바(310)를 가압 고정하는 블록 고정볼트(622)가 관통 형성되며, 저면 타측에는 지지바 걸이핀(621)이 형성된 양측 한 쌍의 지지블록(620); 및
    각각의 하단이 상기 승강블록(610)의 힌지부(611)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바 걸이핀(621)에 걸림 지지되는 양측 한 쌍의 지지바(6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걸이핀(621)은,
    상하 폭이 좌우 폭보다 좁은 폭을 이루게 구성하고,
    상기 지지바(630)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바 걸이핀(621)의 상하 폭은 진입하고, 좌우 폭은 진입이 불가능한 걸이핀 결합홈(63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부(300)는,
    수평 지지바(310)와, 가이드바(320)와, 랙크(330)를 이루는 복수의 수평 가이드부(300)를 가이드부 연결수단(700)을 통해 연결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가이드부 연결수단(700)은,
    양측 수평 가이드부(300)를 결합하는 어댑터부(710); 및
    양측 수평 가이드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7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710)는,
    어느 한 측의 수평 지지바(310) 내측 단부에 결합 고정되며, 일측에는 단부로 개방되며 내측 단부에는 나사홀(722)이 형성된 어댑터 결합홈(721)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걸림홈(723)이 형성된 어댑터 체결구(720);
    다른 한 측의 수평 지지바(310) 내측 단부에 가이드 볼트(731)로 결합되는 관체로 된 어댑터 취부관(730);
    후방이 상기 어댑터 취부관(73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며, 선단에는 수평 지지바(310) 선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어댑터 체결구(720)의 어댑터 결합홈(721)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741)가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결합부(741)의 후방 둘레에는 상기 걸림홈(723)에 걸림되어 회전 방지되는 걸림돌기(742)가 돌출 형성되며, 후방 둘레에는 후단으로 개방되는 수평상의 착탈 가이드홈(743)이 형성되고, 후방 둘레에는 상기 착탈 가이드홈(743)으로부터 90° 각도로 가이드 볼트(731)가 삽입 가이드 되는 회전 가이드홈(744)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전후로 관통되어 상기 나사홀(722)과 연통되는 결합볼트 관통홀(745)이 관통 형성된 어댑터(740);
    상기 결합볼트 관통홀(745)을 관통 및 어댑터 체결구(720)의 나사홀(722)에 체결되는 어댑터 결합볼트(7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회전 방지부(770)는,
    어느 한 측의 가이드바(320)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방지 결합홈(771); 및
    다른 한 측의 가이드바(320) 단부에 스프링 탄설되어 상기 회전방지 결합홈(771)에 삽탈되는 회전방지 결합핀(77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11.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장주 변경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윈치를 갖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S110);
    고소작업용 장비를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가이드부(300)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S120);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에 고정된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S130);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시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S140);
    전주로부터 핀장주를 철거하고 현수애자와 데드엔드클램프가 설치되는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하는 완철 변경공정(S150);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완철 하부로 하강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선 복귀공정(S160);
    상기 데드엔드클램프에 장선기를 설치하고,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면서 장선기의 전선클립으로 전선을 파지 고정하고, 장선기를 조작 및 전선의 적정 이도를 조정하는 긴선공정(S170);
    간접활선용 피박기로 전선을 피박 하고, 전선 벤딩기로 전선을 벤딩하여 데드엔드클램프에 체결하여 고정하며, 점퍼선을 구성 및 커버를 취부하고 테이핑 마감하는 장주 변경공정(S180); 및
    장선기를 철거 및 전선으로부터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S190)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주 변경공정(S180)에서 점퍼선의 구성은,
    전선의 양측 데드엔드클램프에 물리는 위치를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피박 및 벤딩하여 전선을 데드엔드클램프에 체결하되,
    양측 데드엔드클램프의 사이 전선의 위치가 점퍼선을 구성하고,
    상기 데드엔드클램프가 체결된 위치는 데드엔드클램프용 커버를 취부 및 테이핑하여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주 변경공정(S180)에서 점퍼선의 구성은,
    양측 데드엔드클램프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선에 대하여 점퍼선을 구성하고자 하는 위치를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피박하고,
    양측 피박된 전선에 바이패스 점퍼케이블 양단을 케이블 헤드로 연결하고, 양측 데드엔드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은 절단 분리하여 적정한 길이의 별도 전선을 슬리브로 압축 연결하여 점퍼선을 구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점퍼케이블의 철거 및 슬리브용 커버를 이용하여 연결 위치를 취부 및 테이핑하여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주 변경공정(S180)에서 점퍼선의 구성은,
    양측 데드엔드클램프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선에 대하여 점퍼선을 구성하고자 하는 위치를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피박하고,
    양측 피박된 전선에 적정한 길이의 별도 전선 양단을 슬리브로 압축 연결하고, 양측 데드엔드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은 절단 분리하여 점퍼선을 구성하고,
    상기 슬리브가 압축된 위치는 데드엔드클램프용 커버 또는 슬리브용 커버를 취부 및 테이핑하여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또는 경간분리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경우, 활선상태로는 장주 일측만 긴선작업을 수행하고 전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 내측은 사선상태로 다른 일측의 긴선작업을 수행하여 장주 변경공정 작업을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6.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윈치를 갖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S210);
    고소작업용 장비를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가이드부(300)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에 전선을 고정하고, 절연 수직 연장대(400)의 상부 절연롤러(401)에 가공지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S220);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시켜 안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는 위치로 전선 및 가공지선을 안전한 위치로 이선하는 전선 이선공정(S230);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는 할입주 신설공정(S240);
    신설한 할입주에 가공지선 지지대 및 완철, 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신설공정(S250);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하강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한 할입주의 완철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는 전선 복귀공정(S260);
    신설된 할입주의 애자에 전선을 고정하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S270); 및
    전선 및 가공지선으로부터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S280)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 신설공정(S250)에서는,
    완철의 상부에 LP애자를 설치하고,
    상기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전선을 신설한 할입주의 LP애자에 안착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며,
    상기 전선 고정공정(S270)에서는,
    신설된 할입주의 LP애자에 전선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 신설공정(S250)에서는,
    완철의 양측에 현수애자를 설치하고,
    상기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전선을 완철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전선 고정공정(S270)에서는,
    상기 완철을 중심으로 양측 전선을 데드엔드클램프를 이용하여 현수애자에 고정하고 점퍼선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9.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전주를 교체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윈치를 갖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S310);
    고소작업용 장비를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가이드부(300)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에 전선을 고정하고, 절연 수직 연장대(400)의 상부 절연롤러(401)에 가공지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S320);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고정된 바인드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데드앤드클램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S330);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시켜 안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는 위치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S340);
    기설치된 전주를 철거하고, 신설 전주를 설치하는 전주 교체공정(S350);
    철거되는 전주의 장주를 철거하고, 신설 전주에 완철 및 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교체공정(S360);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하강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된 완철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안착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는 전선 복귀공정(S370);
    신설된 완철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전선을 고정하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S380); 및
    전선 및 가공지선으로부터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S390)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20.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완철을 교체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윈치를 갖는 고소작업용 장비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S410);
    고소작업용 장비를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가이드부(300)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S420);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고정된 바인드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데드앤드클램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S430);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시켜 안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는 위치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S440);
    전주로부터 기존 완철을 철거하고, 기존 완철이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완철을 설치 및 LP애자 또는 현수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교체공정(S450);
    윈치를 작동하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하강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좌우로 이동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된 완철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안착시키는 전선 복귀공정(S460);
    신설된 완철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S470); 및
    전선으로부터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S480)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21. 제 11항, 제 16항, 제 19항,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540)의 롤러 조작부(543b)를 조작 및 동력축(5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가이드부(300)의 랙크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0200135620A 2020-10-20 2020-10-20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23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20A KR102232560B1 (ko) 2020-10-20 2020-10-20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PCT/KR2021/012375 WO2022085943A1 (ko) 2020-10-20 2021-09-10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620A KR102232560B1 (ko) 2020-10-20 2020-10-20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560B1 true KR102232560B1 (ko) 2021-03-29

Family

ID=7524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620A KR102232560B1 (ko) 2020-10-20 2020-10-20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2560B1 (ko)
WO (1) WO2022085943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1258A (zh) * 2021-12-21 2022-03-2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电力塔架绝缘子检修施工架
WO2022085943A1 (ko) * 2020-10-20 2022-04-2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CN115021148A (zh) * 2022-06-01 2022-09-06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一种用于电力架空线路铺设的装置
CN115473159A (zh) * 2022-08-22 2022-12-13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昆明供电局 一种带电紧固引流线夹辅助工具
KR20230001953A (ko) * 2021-06-29 2023-01-05 한국전력공사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KR102539791B1 (ko) * 2022-05-30 2023-06-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장력조절이 가능한 배전선로의 애자 링거장치
KR102549108B1 (ko) * 2022-12-12 2023-06-3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KR20230121368A (ko) * 2022-02-11 2023-08-1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CN117886206A (zh) * 2024-03-18 2024-04-16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明县供电公司 一种柱式绝缘子辅助更换装置
KR102657726B1 (ko) 2023-10-16 2024-04-1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CN117937128A (zh) * 2024-01-09 2024-04-26 深圳带电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移动调整的引流接地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8126B (zh) * 2022-12-28 2023-10-24 东台市新杰科机械有限公司 一种电塔架的铁构件安装固定结构
CN116799704B (zh) * 2023-06-28 2024-04-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跨越架的杆件连接结构及跨越架
CN117007227B (zh) * 2023-09-28 2023-12-15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 一种配电网架承载力在线监测***
CN117595178B (zh) * 2024-01-19 2024-03-19 沈阳涵兮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用架线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86Y1 (ko) 2001-06-12 2001-11-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KR20180051298A (ko) * 2016-11-08 2018-05-16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101946206B1 (ko) 2018-08-20 2019-02-11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에 설치되는 간접활선작업용 리프트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안전 이격공법
KR101955155B1 (ko)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KR102079472B1 (ko) * 2019-06-14 2020-02-20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936B1 (ko) * 2012-12-21 2018-05-28 양희성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KR101864309B1 (ko) * 2017-01-19 2018-06-05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101977011B1 (ko) * 2019-02-27 2019-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선 피박 및 테이핑 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피박공법 및 간접활선 전선 테이핑공법
KR102232560B1 (ko) * 2020-10-20 2021-03-2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86Y1 (ko) 2001-06-12 2001-11-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KR20180051298A (ko) * 2016-11-08 2018-05-16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101955155B1 (ko)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KR101946206B1 (ko) 2018-08-20 2019-02-11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에 설치되는 간접활선작업용 리프트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안전 이격공법
KR102079472B1 (ko) * 2019-06-14 2020-02-20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43A1 (ko) * 2020-10-20 2022-04-28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582039B1 (ko) 2021-06-29 2023-09-25 한국전력공사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KR20230001953A (ko) * 2021-06-29 2023-01-05 한국전력공사 입상케이블용 간접활선 방식의 무정전 작업장치
CN114221258B (zh) * 2021-12-21 2023-07-21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电力塔架绝缘子检修施工架
CN114221258A (zh) * 2021-12-21 2022-03-2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电力塔架绝缘子检修施工架
KR20230121368A (ko) * 2022-02-11 2023-08-1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KR102641637B1 (ko) 2022-02-11 2024-02-2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KR102539791B1 (ko) * 2022-05-30 2023-06-08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장력조절이 가능한 배전선로의 애자 링거장치
CN115021148A (zh) * 2022-06-01 2022-09-06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一种用于电力架空线路铺设的装置
CN115021148B (zh) * 2022-06-01 2024-04-05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一种用于电力架空线路铺设的装置
CN115473159A (zh) * 2022-08-22 2022-12-13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昆明供电局 一种带电紧固引流线夹辅助工具
CN115473159B (zh) * 2022-08-22 2024-04-0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昆明供电局 一种带电紧固引流线夹辅助工具
KR102549108B1 (ko) * 2022-12-12 2023-06-3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개폐조작그립 가이드 기능을 갖는 관절 슬라이딩 레버 링크형 전선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방법
KR102657726B1 (ko) 2023-10-16 2024-04-1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CN117937128A (zh) * 2024-01-09 2024-04-26 深圳带电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移动调整的引流接地装置
CN117886206A (zh) * 2024-03-18 2024-04-16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明县供电公司 一种柱式绝缘子辅助更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943A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560B1 (ko)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1955155B1 (ko)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CN100380758C (zh) 电线杆内的换线装置和非掉电的配电方法
KR102196649B1 (ko)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1344289B1 (ko)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1757195B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101873712B1 (ko) 절연인상기능 케이블클램프 접속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WO2018097357A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이동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AU2002304197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20150087785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N101803134A (zh) 能安装到悬臂的机械臂
KR101948724B1 (ko) 전력 케이블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바이패스 공법
KR20070112594A (ko)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KR101117490B1 (ko)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101616484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JP5065814B2 (ja) 電線張替工法
CN102110958A (zh) 35kv线路撤、紧线可旋转式操作平台
JP7194913B2 (ja) 電線仮支持具
KR101275111B1 (ko)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JP7013992B2 (ja) 架線の撤去方法及び架線撤去用具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842282B1 (ko) 무정전 바이패스 주상 배전장치 및 방법
KR200252786Y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KR102641637B1 (ko)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