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852B1 -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 - Google Patents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852B1
KR102230852B1 KR1020190015711A KR20190015711A KR102230852B1 KR 102230852 B1 KR102230852 B1 KR 102230852B1 KR 1020190015711 A KR1020190015711 A KR 1020190015711A KR 20190015711 A KR20190015711 A KR 20190015711A KR 102230852 B1 KR102230852 B1 KR 10223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ct
impurities
hood
dus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073A (ko
Inventor
홍준호
이상환
김효섭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1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2D45/005Evacuation of fumes, dust or waste gases during manipulations in the found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에 관한 것으로,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들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을 흡입하는 이중 집진후드와, 상기 이중 집진후드와 결합되어 흡입된 상기 불순물을 이동시키는 덕트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덕트유닛을 통해 상기 이중 집진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이중 집진후드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덕트유닛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불순물을 포집하는 챔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유닛의 하단부가 상기 이중 집진후드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동형 집진기의 집진후드에서 불순물을 집진하는 집진덕트의 끝단부를 집진후드 내부로 하향 돌출시키는 이중 구조로 제공하여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DOUBLENESS DUST COLLECTING HOOD FOR PORTABL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이동형 집진기의 집진후드에서 불순물을 집진하는 집진덕트의 끝단부를 집진후드 내부로 하향 돌출시키는 이중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주조공정에 있어 용융된 금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은 결과물에 대한 신뢰를 담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용융된 금속(즉, 용탕)을 이송하는 레이들(ladle)에서 배출되는 분술물을 실시간으로 흡입 및 집진하는 다양한 집진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집진기는 용탕이 수용되어 있는 레이들의 상부에 구비된 집진후드를 통해 그 불순물을 집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이들과 함께 이동하면서 용탕으로부터 발생되는 불순물을 집진하는 집진기의 경우 작업자의 건강 등과 같은 보건 문제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과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집진후드의 형상 등에 대한 최적 설계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관련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7632호(2015.06.18.공개)
본 발명은 이동형 집진기의 집진후드에서 불순물을 집진하는 집진덕트의 끝단부를 집진후드 내부로 하향 돌출시키는 이중 구조로 재공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들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을 흡입하는 이중 집진후드와, 흡입된 불순물을 이동시키는 덕트유닛과, 덕트유닛을 통해 이중 집진후드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불순물을 포집하는 챔버유닛을 포함하되, 덕트유닛의 하단부가 이중 집진후드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덕트유닛과 집진후드의 결합부분이 이중 구조로 최적화되어 불순물 흡입 효율 및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들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을 흡입하는 이중 집진후드와, 상기 이중 집진후드와 결합되어 흡입된 상기 불순물을 이동시키는 덕트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덕트유닛을 통해 상기 이중 집진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이중 집진후드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덕트유닛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불순물을 포집하는 챔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유닛의 하단부가 상기 이중 집진후드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측부에 상단부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을 흡입 및 배출하는 집진덕트와, 상기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챔버유닛의 하부와 상기 집진덕트의 측부가 바이패스되어 연결되는 바이패스덕트를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중 집진후드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부공간보다 하부공간이 커지는 경사진 다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집진덕트의 하단부가 상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기 설정된 길이만큼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상부몸체부와, 상기 레이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로 연장 구비되는 하부몸체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유닛을 통해 상기 이중 집진후드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흡입단에 구비되어 흡입된 상기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흡입된 상기 불순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상기 불순물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제 1 에어펄스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불순물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제 2 에어펄스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불순물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상기 덕트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형 집진기의 집진후드에서 불순물을 집진하는 집진덕트의 끝단부를 집진후드 내부로 하향 돌출시키는 이중 구조로 재공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들에서 발생하는불순물을 흡입하는 이중 집진후드와, 흡입된 불순물을 이동시키는 덕트유닛과, 덕트유닛을 통해 이중 집진후드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불순물을 포집하는 챔버유닛을 포함하되, 덕트유닛의 하단부가 이중 집진후드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덕트유닛과 집진후드의 결합부분이 이중 구조로 최적화되어 불순물 흡입 효율 및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집진후드가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종래의 집진후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집진후드의 유동장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집진후드가 구비된 이동형 집진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는 이동형 집진기(100)와. 이동형 집진기(100)에 결합되는 이중 집진후드(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집진기(100)는 이송레일(1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이들(20)에서 발생하는 불순물(30)을 흡입 및 포집하는 것으로, 챔버유닛(110), 덕트유닛(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유닛(110)은 이송레일(1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덕트유닛(120)을 통해 이중 집진후드(200)와 연결되어 이중 집진후드(200)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덕트유닛(120)을 통해 이동되는 불순물(30)을 포집하는 것으로, 본체부(111), 구동부(112), 필터부(113), 저장부(114), 제 1 에어펄스부(115), 제 2 에어펄스부(16), 차단부(1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부(111)는 이송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태의 함체로 제공되며, 이송레일(1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12)는 본체부(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덕트유닛(120)을 통해 이중 집진후드(20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흡입모터, 흡입펌프 등을 포함하여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중 집진후드(200)에 전달함으로써, 이중 집진후드(200)를 통해 흡입된 불순물(30)을 흡입하여 덕트유닛(120)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3)는 덕트유닛(120)을 통해 흡입된 불순물(30)을 필터링할 수 있는데, 구동부(112)의 흡입단에 구비되어 덕트유닛(120)로부터 유입되는 불순물(30)이 구동부(1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장부(114)는 본체부(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부(111)의 내부로 흡입된 불순물(30)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부(111)는 덕트유닛(120)의 집진덕트(121)와 연통되면서 불순물(30)이 유입되는 흡입영역과 덕트유닛(120)의 바이패스덕트(122)와 연통되어 저장된 불순물(30)이 배출되는 저장부(114)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는 격벽(111a)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격벽(111a)은 일정 영역에만 구비되어 흡입된 불순물(30)이 저장부(114)에 원활하게 저장(포집)될 수 있다.
한편, 제 1 에어펄스부(115)는 필터부(113)에 잔류하는 불순물(30)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고, 제 2 에어펄스부(116)는 저장부(114)에 저장된 불순물(30)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데, 제 1 에어펄스부(115)에서는 압축공기 공급기(A)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필터부(113)로 분사하여 필터링되어 표면에 잔류하는 불순물(30)을 필터부(113)으로부터 이격(탈착)시켜 저장부(114)로 저장(포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에어펄스부(116)에서는 압축공기 공급기(A)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저장부(114) 영역에서 차단부(117)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덕트유닛(120)의 바이패스덕트(122)를 통해 불순물(30)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117)는 저장부(114)에 저장된 불순물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저장부(114)와 덕트유닛(120) 사이에 구비되는데, 불순물(30)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차단부(117)를 통해 덕트유닛(120)의 바이패스덕트(122)가 폐쇄되어 저장부(114)에 불순물(30)이 저장될 수 있고, 불순물(30)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차단부(117)를 통해 덕트유닛(120)의 바이패스덕트(122)가 개방되어 저장부(114)에 저장된 불순물(30)이 바이패스덕트(122)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117)는 집진덕트(121)를 통해 불순물(30)을 흡입하는 중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불순물(30)의 집진 중에 집진덕트(121)를 통해 불순물(30)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부(114)는 포집된 불순물(30)을 바이패스덕트(122)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바이패스덕트(122) 방향으로 바닥면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에어펄스부(115) 및 제 2 에어펄스부(116)는 불순물(30)이 배출되는 중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필터부(113)를 비롯한 본체부(111) 내부의 불순물(30)을 저장부(114)로 이동시키면서 저장부(114)에 포집된 불순물(30)을 바이패스덕트(122)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챔버유닛(110)의 클리닝 작업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덕트유닛(120)은 이중 집진후드(200)와 결합되어 흡입된 불순물(3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집진덕트(121), 바이패스덕트(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집진덕트(121)는 챔버유닛(110)의 측부에 상단부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불순물(30)을 흡입 및 배출할 수 있고, 바이패스덕트(122)는 불순물(30)을 배출하기 위해 챔버유닛(110)의 하부와 집진덕트(121)의 측부가 바이패스되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진덕트(121)는 레이들(20)로부터 발생되는 불순물(30)을 흡입하는 역할과, 챔버유닛(110)에 포집 저장된 불순물(30)을 배출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흡입 통로와 배출 통로를 일체화하여 이동형 집진기(100)를 소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단순화하여 경량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집진덕트(121)는 일정 영역에 자바라 형태 등을 구비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중 집진후드(20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하부로 기 설정된 길이만큼 돌출 구비될 수 있고, 그 하단부는 전단부보다 후단부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집진덕트(121)에는 불순물(30)의 유동을 제어하는 개폐밸브(도시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는데, 불순물(30)이 포함된 공기가 집진덕트(121)를 통해 흡입된 후 구동부(112)의 작동이 중지될 경우 개폐밸브가 폐쇄되어 불순물(30)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불순물(30)을 배출하기 위한 위치에 이동할 경우 해당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불순물(30)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바이패스덕트(122)는 챔버유닛(110)의 저장부(114)와 집진덕트(12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그 연결부분에는 차단부(117)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저장부(114)가 불순물(30)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바이패스덕트(12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바이패스덕트(122) 또한 저장부(114)와 연결된 부분보다 집진덕트(121)와 연결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를 갖도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패스덕트(122)를 통해 저장부(114)에 포집된 불순물(30)이 집진덕트(121)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개폐밸브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중 집진후드(200)는 이송레일(1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들(20)에서 발생하는 불순물(30)을 흡입하는 것으로, 상부몸체부(210), 하부몸체부(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집진후드(200)에서는 덕트유닛(120)의 하단부가 이중 집진후드(20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상부몸체부(2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부공간보다 하부공간이 커지는 경사진 다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집진덕트(121)의 하단부가 상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기 설정된 길이만큼 하부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몸체부(220)는 레이들(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몸체부(210)의 하부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집진후드(200)는 정면에서 보면 경사진 형태의 상부몸체부(210)와 대체적으로 수직 형태의 하부몸체부(220)를 갖도록 구비되며, 측면에서 보면 전단은 수직 형태이면서 후단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이중 집진후드(200)의 형상에 따른 집진 효과는 아래에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형 집진기의 집진후드에서 불순물을 집진하는 집진덕트의 끝단부를 집진후드 내부로 하향 돌출시키는 이중 구조로 재공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들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을 흡입하는 이중 집진후드와, 흡입된 불순물을 이동시키는 덕트유닛과, 덕트유닛을 통해 이중 집진후드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불순물을 포집하는 챔버유닛을 포함하되, 덕트유닛의 하단부가 이중 집진후드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덕트유닛과 집진후드의 결합부분이 이중 구조로 최적화되어 불순물 흡입 효율 및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은 종래의 집진후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집진후드의 유동장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한 도면으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집진후드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집진후드를 비교 설명한다.
먼저, 유동장 시뮬레이션에 의한 후드 형상을 최적화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도 7은 전면부가 사각형 모양인 후드 형상에 대한 유동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데, 집진덕트의 유속을 17 m/s로 지정하여 계산하였다.
여기에서, 후드의 측면 모양을 사다리꼴 형태로 설계한 이유는 레이들에 설치되는 접종제 주입통과의 간섭을 막기 위함이고, 흡입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유동 속도의 부위별 관찰이 매우 중요하다.
이 경우 속도 벡터 해석 결과와 위치별 유동 속도 관찰 결과에 의한 유속 변화를 살펴보면, 후드 상부 흡입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흡입 선단이라 할 수 있는 하부면의 유속이 거의 0.1 m/s까지 감속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흡입구와 가까운 정면 상면 개구부의 유속은 약 15 m/s로 관찰되었고, 정 중앙부를 절단하여 위치별 유속 변화를 살펴보면 후드 중간 부분까지는 3 m/s 이상의 유속을 유지하지만, 하부로 내려가면 상부 흡입구의 흡입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8에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는 후드 하부 즉 흡입 선단부의 유속 감소를 개선하기 위해, 사각 형상을 오각 형상(즉, 경사진 형태의 상부몸체부와 대체적으로 수직 형태의 하부몸체부를 가짐)으로 변경하여 후드 내부 부피를 줄여 계산한 결과인데, 전체적 유속 변화를 살펴보면 사각 전면부 형상 유속 결과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량은 단면적과 유속의 곱으로 계산되고, 본 형상에서는 후드 상부의 국부적 단면적을 줄여주었으므로 상부의 유속이 증가되어 하부의 유속 감소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전면의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유량이 지배적인 영향을 미쳐 하부의 유속 감소를 줄이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현재의 후드 형상과 같이 폭이 매우 넓어 상대적으로 전면 개구부가 크게 개방되어있는 형상에서는 상부 후드로부터 흡입하는 효과가 하부로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알게 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진덕트를 후드 내부로 하향 설치하였다.
즉, 후드 내부에 또 다른 후드가 설치된 것과 같은 이중 후드의 형상을 설계하고 그 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관찰하였는데,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집진덕트를 하부로 내려 설치하였기 때문에 흡입 유속을 15 m/s로 줄여서 계산하였다.
그 결과, 흡입 유속을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면 개구부로 빼앗기던 흡입 유동 에너지의 감소가 줄어든 효과로 하부 후드 흡입 선단의 유속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선에 의한 유동장 가시화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후드 측면부에 커다란 선회류(Vortex)가 발생되어 사수역(Dead Water Region)이 생겼음을 알 수 있고, 하부의 유속을 올리기 위해 측면 부위를 희생시킨 형상이 되었으나, 선회류에 의해 다시 돌아 나온 오염 공기가 중앙부의 강력한 흡입 유속에 의해 다시 빨려 들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 형상이 두가지 형상에 비해 흡입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 후드 형상에서 전면 개구부 하단에 흡입 속도가 매우 낮은 부분이 관찰되어,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전면 개구부 방향으로 내부 후드를 경사면으로 절단한 상기 모양의 후드를 설계하고 그 효과를 유동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 결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개구부 방향으로 흡입하는 유속 증가 효과는 있으나 이러한 효과가 하부까지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이송레일 20 : 레이들
30 : 불순물 100 : 이동형 집진기
110 : 챔버유닛 111 : 본체부
112 : 구동부 113 : 필터부
114 : 저장부 115 : 제 1 에어펄스부
116 : 제 2 에어펄스부 117 : 차단부
120 : 덕트유닛 121 : 집진덕트
122 : 바이패스덕트 200 : 이중 집진후드
210 : 상부몸체부 220 : 하부몸체부

Claims (6)

  1.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이들에서 발생하는 불순물을 흡입하는 이중 집진후드와,
    상기 이중 집진후드와 결합되어 흡입된 상기 불순물을 이동시키는 덕트유닛과,
    상기 이송레일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덕트유닛을 통해 상기 이중 집진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이중 집진후드에 흡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덕트유닛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불순물을 포집하는 챔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유닛의 하단부가 상기 이중 집진후드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이송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덕트유닛을 통해 상기 이중 집진후드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흡입단에 구비되어 흡입된 상기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흡입된 상기 불순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필터부에 잔류하는 상기 불순물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제 1 에어펄스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불순물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제 2 에어펄스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 바닥면은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덕트유닛은,
    상기 챔버유닛의 측부에 상단부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을 흡입 및 배출하는 집진덕트와,
    상기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의 일측과 상기 집진덕트의 측부가 바이패스되어 연결되는 바이패스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덕트유닛의 상기 집진덕트와 연통되면서 상기 불순물이 유입되는 흡입영역과, 상기 덕트유닛의 바이패스덕트와 연통되어 저장된 상기 불순물이 배출되는 저장부 영역으로 구획되되,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는 일정 영역에 격벽이 구비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집진후드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부공간보다 하부공간이 커지는 경사진 다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집진덕트의 하단부가 상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기 설정된 길이만큼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상부몸체부와,
    상기 레이들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몸체부의 하부로 연장 구비되는 하부몸체부
    를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유닛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불순물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상기 저장부와 상기 덕트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집진기용 이중 집진후드.
KR1020190015711A 2019-02-11 2019-02-11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 KR10223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711A KR102230852B1 (ko) 2019-02-11 2019-02-11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711A KR102230852B1 (ko) 2019-02-11 2019-02-11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73A KR20200098073A (ko) 2020-08-20
KR102230852B1 true KR102230852B1 (ko) 2021-03-23

Family

ID=7224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711A KR102230852B1 (ko) 2019-02-11 2019-02-11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00B1 (ko) * 2013-07-10 2013-09-12 이경옥 집진기용 분진제거장치
KR101520022B1 (ko) * 2014-08-01 2015-05-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029A (ko) * 2000-09-30 2002-04-06 이구택 스테인레스강의 노외정련설비
KR101549242B1 (ko) * 2013-07-31 2015-09-03 주식회사 한성더스트킹 집진기용 백필터의 분진 탈진장치
KR20150067632A (ko) 2013-12-10 2015-06-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확장부가 형성된 집진후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00B1 (ko) * 2013-07-10 2013-09-12 이경옥 집진기용 분진제거장치
KR101520022B1 (ko) * 2014-08-01 2015-05-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들용 집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73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404611U (zh) 手持式吸尘器、手持式吸尘器组合件、推杆式吸尘器
US10980379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WO2016197546A1 (zh) 一种具有螺旋式二级***尘气分离结构的手持式吸尘器
WO2015078092A1 (zh) 一种气液分离装置以及具有该气液分离装置的硬质表面清洁器
KR101235893B1 (ko) 절삭유 흡입청소기
CN109893034B (zh) 回收桶及其清洁设备
CN108704763A (zh) 机械加工的金属粉尘收集装置
CN113694659B (zh) 一种除尘装置及除尘方法
KR101379054B1 (ko) 집진 장치 및 진공 청소기
US6368373B1 (en) Air and liquid separator for a carpet extractor
CN106002462A (zh) 一种机床除屑装置
CN103961029A (zh) 用于真空吸尘器的脏物分离器
KR102230852B1 (ko) 이동형 집진기의 이중 집진후드
CN103982218A (zh) 一种矿井用定向除尘风机
KR102083354B1 (ko) 다기능 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봉인식 터널 환기방법
CN215502760U (zh) 一种具有基站的清洁机***
JP2002089380A (ja) 建設機械
CN205817438U (zh) 一种机床除屑装置
CN209186551U (zh) 手持清洁设备
CN115153368B (zh) 集尘基站
CN216417046U (zh) 尘盒组件、清洁机器人及其***
TWM576911U (zh) Oil mist recovery machine
CN208601153U (zh) 机械加工的金属粉尘收集装置
CN208222600U (zh) 抽油烟机
KR100405980B1 (ko) 이젝터가 구비된 진공 청소기의 유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