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676B1 -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676B1
KR102227676B1 KR1020180134283A KR20180134283A KR102227676B1 KR 102227676 B1 KR102227676 B1 KR 102227676B1 KR 1020180134283 A KR1020180134283 A KR 1020180134283A KR 20180134283 A KR20180134283 A KR 20180134283A KR 102227676 B1 KR102227676 B1 KR 10222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vegetation
soil
gabion
fil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468A (ko
Inventor
김병구
Original Assignee
김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구 filed Critical 김병구
Publication of KR2019008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은 4각 철망 또는 5각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는 철망 개비온(110)과;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서 발아되거나 외부에서 식재되어 존재하는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고, 그 식물의 뿌리가 철망 개비온의 전면으로 뻗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식생보호부재(120)와;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전면 위치에 존재하는 제1 충진부(132)와 상대적으로 후면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충진부(134)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공현장의 토사와 흙으로 충진되어지는 토사충진부(130)와; 상기 토사충진부(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충진부(132)와 상기 제2 충진부(134)로 분할시켜 주며, 상기 제1 충진부(132)에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하는 영양비료상자(170)와;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 벽면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토사와 흙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포(180); 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Gavion Mattress for Veget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 Same}
본 발명은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방이나 축대, 옹벽, 절개지 등에서 시공되어지고, 식생용 식물의 초기 활착의 효율성을 높여줌으로써, 친환경적인 녹화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이나 축대, 옹벽, 절개지 등과 같은 경사면의 침식을 방지하고 녹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사용하고, 그것을 이용한 시공방법이 등장하였다.
제방 등의 경사면에 구조물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전석쌓기 공법, 호안 식생블럭 공법, 식생 보강매트 개비온 공법 등 다양한 방법이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석쌓기 공법은 주변의 자연석을 이용하는 장점은 있지만, 오히려 자연훼손을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고, 자연석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호안 식생블럭 공법은 규격화된 블럭을 사용하게 되므로 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이 양호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이며, 공극률이 크기 때문에 식생 활착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블럭을 제조하게 되므로, 제품 자체가 친환경성을 갖지 못한 단점이 있어서,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는 공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식생 보강매트 개비온 공법은 기존 개비온의 장점을 이용하여 수해나 급류지역의 제방을 보호할 수 있고, 성토변을 보강핀과 개비온 뚜껑을 이용 녹화 사면의 안정을 기할 수 있으며, 녹화 후 초본류의 뿌리와 개비온이 결합, 구조물의 안전성과 치수방재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타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공법은 개비온 철망의 내부에서 식생되는 식물이 잘 자라나지 못하고 있는 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개비온 철망의 내부에 식생용 씨앗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 식생용 씨앗이 최초 발아할 시점에서 최적의 조건을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경사면의 시공방법으로는 개비온 철망을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한 사례 중의 하나로 추천되고 있지만, 개비온 철망의 배부름 현상을 벗어나지 못하고, 경사면에 대한 식물의 식생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763476호 (2007. 9. 27.)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71162548호 (2012. 6. 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143357호 (2016. 12. 1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3398호 (2012. 5. 16.)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0-045288호 (2000. 2. 15.)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방이나 축대, 옹벽, 절개지 등에서 시공되어지고, 식생용 식물의 초기 활착의 효율성을 높여줌으로써, 친환경적인 녹화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은, 4각 철망 또는 5각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앞판과 뒤판과 좌옆판과 우옆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철망 개비온과;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서 발아되거나 외부에서 식재되어 존재하는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고, 그 식물의 뿌리가 철망 개비온의 전면으로 뻗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식생보호부재와; 상기 식생보호부재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전면 위치에 존재하는 제1 충진부와 상대적으로 후면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충진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공현장의 토사와 흙으로 충진되어지는 토사충진부와; 상기 식생보호부재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토사충진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의 경계를 만들어주며, 상기 제1 충진부에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하는 영양비료상자와;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 벽면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토사와 흙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포;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의 사용방법은, 4각 철망 또는 5각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앞판과 뒤판과 좌옆판과 우옆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철망 개비온을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 PET 그리드와 코이어네트와 코이어펠트의 순서대로 배치하고 결합시켜서 식생보호부재를 만들고, 상기 식생보호부재를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 전면부에 배치하고, 이어서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 토사와 흙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직포를 배치하고 결합시키는 철망 개비온의 내부 결합단계(S 220)와;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 토사 또는 흙을 투입하되, 상기 철망 개비온의 높이(H)의 아래에서 상기 영양비료상자를 배치할 공간을 남겨두고 진행하는 토사의 1차충진단계(S 230)와; 상기 토사의 1차 충진단계(S 230)에 의해 충진된 토사 또는 흙의 층 위에, 영양비료상자를 배치하되, 상기 영양비료상자는 목재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배면 밑면 좌측면과 우측면에 의한 몸체와 그 내부의 빈공간부와 상기 전면에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은 개방되어 있는 영양비료상자를 배치하는 영양비료상자의 배치단계(S 240)와; 상기 영양비료상자의 빈공간부에 흙과 토사와 비료영양성분으로 구성된 토사혼합비료를 투입하는 영양비료상자 충진단계(S 250)와; 상기 철망 개비온의 상면을 덮개로 덮어서 마무리하는 마무리 단계(S 2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무리 단계(S 260)를 마치게 되면, 그 철망 개비온을 이용하여 옹벽이나 절개지에서 하나의 층 또는 하나의 단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개의 층 또는 여러 개의 단을 형성한 다음, 각 단 또는 각 층을 형성하고 있는 식생용 개비온에 대하여, 그 전면에서 내부로 발아된 씨앗을 투입시키되, 그 발아된 씨앗이 상기 제1 충진부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하거나, 또는 그 전면에서 내부로 꺾꽂이식물을 꽂아 넣어주되, 그 꺾꽂이식물의 끝단부가 상기 제1 충진부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하는 사후 식생보충단계(S 27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생용 개비온을 이용할 경우, 그 내부에 식물의 씨앗이 발아하여 형성된 초기의 뿌리 또는 외부에서 투입된 식물의 뿌리가 철망 내부에서 쉽게 자라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므로, 식물의 초기 활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개의 층 또는 여러 개의 단에 대하여 사후 식생보충단계(S 270)를 진행할 경우, 각 층 또는 각 단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점은 시공되는 지역의 지역 특성을 감안하여 진행하거나,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미적 감각을 보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의 식물 뿌리가 쉽게 활착하여 생존하게 되므로, 친환경 제품으로서의 성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품 중의 하나인 철망 개비온(110)의 바람직한 전개도에 관한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품 중의 하나인 철망 개비온(110)의 바람직한 조립 사시도에 관한 실시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품들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실시예로서, 도 3a는 영양비료상자(170)를 설치하기 이전의 개략도이고, 도 3b는 영양비료상자(170)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식생용 개비온(100)을 시공하기 위한 조립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식생용 개비온(100)의 사용방법에 관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은, 4각 철망 또는 5각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앞판과 뒤판과 옆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철망 개비온(1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철망 개비온(110)은 기본적으로 4각 철망 또는 5각 철망으로 형성된 박스형 개비온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매트리스형 개비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스형 개비온 또는 매트리스형 개비온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 1 a, 또는 도 1b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망 개비온(110)은 앞판과 옆판과 바닥판의 폭과 높이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로 폭이나 세로 폭은 50 센티미터 내지 2 미터의 범위에서 조절되어지고, 높이는 50 센티미터 내지 1 미터의 범위에서 조절되어지게 된다. 첨부된 도면 2에서는 가로폭과 세로폭이 1 미터이고, 높이는 50 센티미터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은,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식생보호부재(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식생보호부재(120)는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서 발아되거나 외부에서 식재되어 존재하는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고, 그 식물의 뿌리가 철망 개비온의 전면으로 뻗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상기 식생보호부재(120)는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앞판의 바로 안쪽에 존재하는 PET 그리드(122)와, 상기 PET 그리드(122)의 안쪽에 존재하는 코이어네트(124)와, 상기 코이어네트(124)의 안쪽에 존재하고 보온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코이어펠트(126)를 포함하여 형성되어진다.
상기 PET 그리드(122)는 매우 촘촘한 망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철망의 앞판이 5각 개비온의 철망 구조가 매우 듬성 듬성하게 형성된 것으로 인한 점을 보완해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PET 그리드(122)는 그 내부에 장착되어지는 부재들이 상기 앞판의 철망 구조를 통하여 앞쪽으로 삐져 나오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상기 코이어네트(124)는 식물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망상구조물로서, 시공 초기에는 그 내부에서 발아된 식물의 뿌리가 날 경우, 자연분해되어서 그 씨앗의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유기물 비료성분으로 전환되어지게 된다. 상기 코이어네트(126)의 망상구조의 크기는 상기 PET 그리드(122)의 망 구조보다 작다.
상기 코이어펠트(126)는 식물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펠트구조물로서, 시공 초기에는 그 내부의 습기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서 식물의 씨앗이 발아하게 될 시점에 이르러서는, 자연분해되어서 그 씨앗의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유기물 비료성분으로 전환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코이어펠트(126)의 안쪽에 존재하고 식물 씨앗을 부착하고 있는 식생지(1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지(150)는 식물의 씨앗을 부착하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식생용 개비온(100)을 호안이나 경사면에 시공하였을 때, 내부의 적절한 온도와 습도에 의해, 식물의 씨앗이 발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개비온 철망이 경사면의 녹화 내지 식생에 의한 환경 친화적인 구축물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줌을 의미한다. 상기 식생지(150)를 통하여, 식물의 씨앗이 어느 한 곳에 몰려 있거나 비어 있는 곳이 존재하지 않도록 해주고, 식물이 필요한 부분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식물의 씨앗은 한해 살이 식물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이어펠트(126) 등의 배치구조를 상기 식생지(150)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상기 PET 그리드(122)의 망상구조의 크기는 상기 코이어네트(124)의 망상구조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코이어네트(124)의 망상구조의 크기는 상기 코이어펠트(126)의 망상구조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작은 망상구조를 가진 식물성 재질이 상기 식생지(150)에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식생지(150)를 사용할 경우, 그 후면에 황마 매트(16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은, 상기 식생보호부재(120)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는 토사충진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토사충진부(130)는 시공현장의 토사와 흙으로 충진되어지는 부분으로서, 상기 식생보호부재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전면 위치에 존재하는 제1 충진부(132)와 상대적으로 후면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충진부(134)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사충진부(130)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영양비료상자(170)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배치위치에 의하여 제1 충진부(132)와 제2 충진부(134)로 구분되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충진부(132)는 영양비료상자(170)의 전면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로부터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받게 된다.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받게 되는 제1 충진부(132)는 내부에서 발아된 씨앗의 뿌리 또는 외부에서 투입된 씨앗의 뿌리 등이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내부 씨앗의 뿌리 또는 외부에서 투입된 식물의 뿌리가 영양성분을 충분히 공급받아, 초기 활착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뿌리의 초기 활착영역이다.
상기 제2 충진부(134)는 외부에서 투입된 토사와 흙으로 구성된 토사충진부(130)의 일부로 되어 있지만,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로부터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받지 못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이는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배면 위치와 그 저면 위치에 해당하는 곳이다. 상기 제2 충진부(134)는 별도의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받지 못하지만, 1차적으로 상기 제1 충진부(132)에서 생존하게 된 식물의 뿌리가 계속 뻗어나와서 생존하거나, 더욱 뻗어나와서 경사면이나 절개지의 지면으로 향하여 지나가는 영역으로서, 식물의 뿌리가 존속하여 살아가는 뿌리의 생존영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부(132)와 상기 제2 충진부(134)는 식물의 초기 활착 및 나중 생존에 필수적인 영역으로서, 종래의 선행발명들에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임을 밝혀둔다. 상기 제1 충진부(132)와 상기 제2 충진부(134)의 비율은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1 충진부(132)의 길이(L1) : 상기 제2 충진부(134)의 길이(L2)는 5 ~ 30 : 70 ~ 95 의 비율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비율이 5 : 95 의 경우, 상기 제1 충진부(132)의 영역이 너무 비좁아서 뿌리의 활착영역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어렵고, 그 비율이 30 : 70의 경우, 상기 제1 충진부(132)의 영역이 너무 넓어서 영양비료 성분이 고르게 퍼지지 못하고, 역시 식물 뿌리의 초기 활착영역으로서 기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토사충진부의 전체 길이는 상기 제1 충진부(132)의 거리(L1)와 상기 제2 충진부의 거리(L2)를 합한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생보호부재(120)의 후면에 위치하고 있는 영양비료상자(1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는 1차적으로 상기 토사충진부(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충진부(132)와 상기 제2 충진부(134)의 경계를 만들어주고, 2차적으로 상기 제1 충진부(132)에 대해서만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개비온 철망(11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토사와 흙 등에 대하여,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하되, 이것을 엄격히 통제하여, 식물의 뿌리가 최초로 발아하여 활착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하는 것으로 하고, 식물의 뿌리가 일단 활착하여 초기 생존이 가능하게 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초기 활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는, 목재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배면 밑면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구성된 몸체(17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172)는 목재로 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되면서,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분이 되어진다. 상기 몸체(172)의 내부는 빈공간부(174)를 형성하고 있고, 빈공간부의 상면에는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외부에서 토사와 흙과 비료성분을 투입하여, 상기 빈공간부(174)를 채워넣게 된다.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몸체(172)를 이루고 있는 전면에는 다수의 작은 투수공(17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수공(176)은 몸체의 전면에만 형성되어 있고, 그 배면이나 측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시공과정에서 물을 뿌려주거나, 시공 이후 비가 내릴 경우, 물 또는 빗물이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내부의 영양비료 성분이 녹아서, 상기 투수공(176)을 통하여 흘러나오게 되고, 그 영양비료 성분은 상기 제1 충진부(132)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투수공(176)은 그 배면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제2 충진부(134)에는 영양비료 성분이 흘러갈 수 없게 된다. 영양비료 성분은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유기물과 무기물 성분의 영양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은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 벽면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는 부직포(1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부직포(180)는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토사와 흙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직포(180)는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안쪽에 위치하고, 이를 가는 철선 등으로 결합시켜서 사용하며, 앞면을 제외한 다른 면들을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은 상기 철망 개비온(110)을 덮어서 결합시키는 철망 덮개(19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망 덮개(190)는 상기 철망 개비온(110)을 덮어주는 기능과, 본 발명의 식생용 개비온(100)을 층을 지어 쌓아 올릴 때, 이를 붙잡아주고 경사면의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후자의 경사면 고정 기능을 원만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철망 덮개(190)를 X형 고정핀(192)으로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의 사용방법은, 4각 철망 또는 5각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앞판과 뒤판과 좌옆판과 우옆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철망 개비온(110)을 제조하는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단계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100)의 사용방법은,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 결합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 결합단계(S 220)는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 PET 그리드(122)와 코이어네트(124)와 코이어펠트(126)를 순서대로 배치하고 결합시켜서 식생보호부재(120)를 만든다. 상기 식생보호부재(120)를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 전면부에 배치하고 결합시킨다. 이어서,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 토사와 흙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직포(180)를 배치하고, 철망 개비온(110)에 결합시킨다. 상기 부직포(180)는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 전체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고, 일부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 토사 또는 흙을 투입하되, 상기 철망 개비온의 높이(H)의 아래에서 토사충진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를 배치할 공간을 남겨두고, 투입하여 진행하는 토사의 1차충진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토사의 1차충진단계(S 230)는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 흙 또는 토사를 투입하여 충진하는 것이지만, 통상적인 방식과는 달리, 다음 단계에서 진행될 영양비료상자(170)를 배치할 공간을 별도로 남겨두고 진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를 흙과 토사로 구성된 채움재로 완전히 채워넣기 이전에,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철망개비온(110)의 높이(H)에 비하여 더 낮은 위치에서 토사충진부(130)를 형성하고, 상기 토사충진부(130)의 층이 상기 높이(H)에 이르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철망개비온(110)의 높이(H) 만큼 상기 토사충진부(130)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그 토사충진부(130)의 일부를 파내고,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토사충진부(130)의 층 위에 또는 상기 토사충진부(130)의 파낸 위치에, 영양비료상자(17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토사충진부(130)를 제1 충진부(132)와 제2 충진부(134)로 분할하는 영양비료상자의 배치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영양비료상자의 배치단계(S 240)는, 전단계에서 진행된 토사충진부(130)를 제1 충진부(132)와 제2 충진부(134)로 분할하는 기준점이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를 배치하게 되면, 그 전면부에서는 영양비료 성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지는 제1 충진부(132)가 되지만, 그 후면부에서는 영양비료 성분이 공급되지 않는 제2 충진부(134)가 되어지므로, 그 배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는 이미 흙과 토사를 채워넣은 채움재의 층 위에, 배치하되, 상기 제1 충진부(132)의 거리(L1) : 상기 제2 충진부의 거리(L2) = 5 : 95 내지 상기 제1 충진부(132)의 거리(L1) : 상기 제2 충진부의 거리(L2) = 30 : 70 의 범위에 속하는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토사충진부의 전체 길이는 상기 제1 충진부(132)의 거리(L1)와 상기 제2 충진부의 거리(L2)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는 목재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배면 밑면 좌측면과 우측면에 의한 몸체(172)와 그 내부의 빈공간부(174)와 상기 전면에 다수의 투수공(17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빈공간부(174)에 흙과 토사와 비료영양성분으로 구성된 토사혼합비료를 투입하는 영양비료상자 충진단계(S 250)를 포함하고 있다.
영양비료상자 충진단계(S 250)는 흙과 토사와 비료영양성분으로 구성된 토사혼합비료를 준비한 이후, 상기 토사혼합비료를 영양비료상자(170)의 위쪽에서 그 빈공간부(174)로 서서히 쏟아 붓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토사는 상기 비료영양성분이 물이나 수분에 녹아지게 될 경우, 그 비료영양성분이 흘러갈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흙은 토사와 영양비료성분들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담체로서의 기능과 결합제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상기 비료영양성분은 유기질 성분과 무기질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양비료상자 충진단계(S 250)를 지나게 되면, 상기 토사 충진부(130)는 제1 충진부(132)와 제2 충진부(134)로 구분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상면을 덮개로 덮어서 마무리하는 마무리 단계(S 2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무리 단계(S 260)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철망 개비온(110)의 위쪽에 철망 덮개(190)를 펼쳐서 덮고 경사면 내지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위쪽에 펼쳐져서 덮어 있는 철망 덮개(190)를 경사면의 터파기에 의해 형성된 내면 깊숙이로 끌어놓고, 그 위에 X형 고정핀(192)을 박아준다. 이후, 작업이 완료된 철망 개비온(110)의 위쪽에 물을 살짝 뿌려주는 것이 좋다.
상기 마무리 단계(S 260)를 마치게 되면, 그 철망 개비온(110)을 이용하여 옹벽이나 절개지에서 하나의 층 또는 하나의 단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개의 층 또는 여러 개의 단을 형성한 다음, 각 단 또는 각 층을 형성하고 있는 식생용 개비온(100)에 대하여, 그 전면에서 내부로 발아된 씨앗을 투입시키되, 그 발아된 씨앗이 상기 제1 충진부(132)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하거나, 또는 그 전면에서 내부로 꺾꽂이식물의 줄기를 꽂아 넣어주되, 그 꺾꽂이식물의 줄기 끝단부가 상기 제1 충진부(132)의 위치에 존재하도록 하는 사후 식생보충단계(S 27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생지(150)를 사용할 경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서 식물이 발아하여 성장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방법으로, 외부에서 발아된 씨앗을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전면부에 있는 제1 충진부(132)에 투입하는 것이다. 투입하는 방식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외부에서 발아된 씨앗을 사용하는 이유는, 일단 외부에서 발아시켜 싹눈을 틔운 상태에서 투입할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최소한 2 배 내지 3배의 성장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발아된 씨앗은 토종 야생종으로 여러해 살이 식물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여러해 살이 식물로서는 갈대, 부들, 창포, 억새, 수커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발아된 씨앗을 사용하는 이외에, 꺾꽂이 식물을 이용하여 식재할 수 있다. 상기 꺾꽂이 식물로서는 버드나무, 갯버들, 키버들, 애기버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개의 층 또는 여러 개의 단에 대하여 사후 식생보충단계(S 270)를 진행할 경우, 각 층 또는 각 단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점은 시공되는 지역의 지역 특성을 감안하여 진행하거나,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미적 감각을 보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을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을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시공대상이 되는 지역의 경사면을 구축하거나 터파기하는 준비단계(S 3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준비단계(S 310)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을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시공대상이 되는 지역의 경사면에 사용하기 위한 식생용 개비온(100)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시공자재 준비단계(S 3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공자재 준비단계(S 320)는 5각 개비온 철망을 이용하여 철망 개비온(110)을 제조하고, 그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 부직포(180)를 밀착시키고 가는 철선으로 부착시킨다. 상기 철망 개비온(110)을 시공현장으로 운반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PET 그리드(122)와 상기 코이어네트(124)와 상기 코이어펠트(126)와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를 준비하여 시공현장으로 운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을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은, 시공대상이 되는 지역의 경사면에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을 배치하고, 주변의 흙과 토사를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의 내부에 충진한 다음, 철망 덮개(190)를 이용하여 상기 식생용 개비온(100)을 경사면 내지 지면에 고정하는 바닥면 시공단계(S 3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닥면 시공단계(S 330)는 철망 개비온(110)을 바닥면에 배치하는 제 1 단계와;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 식생보호부재(120)와 부직포(180)를 결합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 주변의 흙과 토사 등을 채워넣는 제 3 단계와;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위쪽에 영양비료상자(170)를 배치하고, 그 내부에 흙과 토사와 영양비료성분을 혼합하여 충진하는 제 4 단계와; 다시 흙과 토사 등을 채워넣고, 철망 덮개(190)를 펼쳐서 덮고 경사면 내지 지면에 고정하는 제 5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제 5 단계는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위쪽에 펼쳐져서 덮어 있는 철망 덮개(190)를 경사면의 터파기에 의해 형성된 내면 깊숙이로 끌어놓고, 그 위에 X형 고정핀(192)을 박아준다. 이후, 작업이 완료된 철망 개비온(110)의 위쪽에 물을 살짝 뿌려주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바닥면 시공단계(S 330)를 완료하게 되면, 다음 단계로 이행되어진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 제 1 단을 형성한 철망 개비온(110)의 위쪽에, 새로운 철망 개비온(110)을 배치하고, 위에서 언급한 바닥면 시공단계(S 3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는 제 1 단 시공단계(S 3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단 시공단계(S 340)는 바닥면 대신에 제 1 단의 개비온 철망(110)이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순서 및 작업 방식은 상기 바닥면 시공단계(S 330)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서 시작하여 경사면의 필요한 정도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 1 단 시공단계(S 340)를 반복하여 시행하는 반복적인 시행단계(S 3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반복적인 시행단계(S 350)는 제 1 단에서 제 2 단으로, 제 2 단에서 제 3 단으로, 제 3 단에서 제 4 단으로와 같이 반복적으로 동일한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인 단계에 이르기까지 수행되는 작업이다. 상기 반복적인 시행단계(S 350)의 최종 마무리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식생용 개비온, 110 : 철망 개비온,
122 : PET 그리드, 124 : 코이어네트,
126 : 코이어펠트, 150 : 식생지,
160 : 황마 네트, 170 : 영양비료 상자,
180 : 부직포, 190 : 철망 덮개

Claims (10)

  1. 4각 철망 또는 5각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앞판과 뒤판과 좌옆판과 우옆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있는 철망 개비온(110)과;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 전면에 배치되어 있고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서 발아되거나 외부에서 식재되어 존재하는 식물의 뿌리를 보호하고, 그 식물의 뿌리가 철망 개비온의 전면으로 뻗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ET 그리드(122)와 코이어네트(124)와 코이어펠트(126)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고 결합되어 있는 식생보호부재(120)와; 상기 식생보호부재(120)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 시공현장의 토사와 흙으로 충진되어지는 토사충진부(130)와; 상기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 벽면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철망 개비온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토사와 흙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부직포(180); 를 포함하고 있는 식생용 개비온에 있어서,
    상기 토사충진부(130)는 상대적으로 전면 위치에 존재하는 제1 충진부(132)와 상대적으로 후면 위치에 존재하는 제2 충진부(134)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보호부재(120)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토사충진부(13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충진부(132)와 상기 제2 충진부(134)로 분할시켜 주며, 상기 제1 충진부(132)에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하는 영양비료상자(17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는,
    목재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배면 밑면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구성된 몸체(172)와, 상기 몸체(172)의 내부에 형성된 빈공간부(174)와, 상기 몸체(172)의 전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투수공(17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72)의 상면에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생용 개비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비료상자(170)는 그 몸체(172)의 전면에 다수의 투수공(176)을 형성하고 있는 바,
    시공과정에서 물을 뿌려주거나, 시공 이후 비가 내릴 경우, 물 또는 빗물이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내부의 영양비료 성분이 녹아서, 상기 투수공(176)을 통하여 흘러나와서, 상기 영양비료 성분이 상기 제1 충진부(132)로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생용 개비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충진부(130)는 상기 영양비료상자(170)에 의해 제1 충진부(132)와 제2 충진부(134)로 분할되어지고,
    상기 제1 충진부(132)는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서 식물의 뿌리가 초기에 활착하는데 필요한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함으로써, 뿌리의 초기 활착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뿌리의 초기 활착영역으로 활용되어지고,
    상기 제2 충진부(134)는 철망 개비온(110)의 내부에서 영양비료 성분을 공급받지 못하는 부분이지만, 상기 제1 충진부(132)에서 생존하게 된 식물의 뿌리가 계속 뻗어나와서 생존하거나, 더욱 뻗어나와서 경사면이나 절개지의 지면으로 향하여 지나가는 영역으로서, 식물의 뿌리가 존속하여 살아가는 뿌리의 생존영역으로 활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생용 개비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부(132)와 상기 제2 충진부(134)의 비율은,
    상기 제1 충진부(132)의 길이(L1) : 상기 제2 충진부(134)의 길이(L2)가 5 ~ 30 : 70 ~ 95 의 비율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생용 개비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이어펠트(126)의 안쪽에 존재하고 식물 씨앗을 부착하고 있는 식생지(1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생용 개비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지(150)는 호안이나 경사면에 시공하였을 때, 내부의 적절한 온도와 습도에 의해, 식물의 씨앗이 발아할 수 있도록 해주고,
    상기 코이어펠트(126)의 배치구조를 상기 식생지(150)와 관련하여 살펴볼
    때, PET 그리드(122)의 망상구조의 크기는 상기 코이어네트(124)의 망상구조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코이어네트(124)의 망상구조의 크기는 상기 코이어펠트(126)의 망상구조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작은 망상구조를 가진 식물성 재질이 상기 식생지(150)에서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생용 개비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지(150)는 그 후면에 황마 매트(160)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생용 개비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34283A 2018-01-10 2018-11-05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2227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259 2018-01-10
KR20180003259 2018-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468A KR20190085468A (ko) 2019-07-18
KR102227676B1 true KR102227676B1 (ko) 2021-03-16

Family

ID=6746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283A KR102227676B1 (ko) 2018-01-10 2018-11-05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825B1 (ko) * 2022-03-21 2023-05-26 우현명 흙과 재이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식생 및 인조잔디 개비온 옹벽구조물 및 이를 위한 드레인보드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88A (ja) * 1998-07-24 2000-02-15 Nisshoku Corp 緑化工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636A (ja) * 1996-12-26 1998-07-14 Masanori Ono 護岸法面などの緑化工法
KR100763476B1 (ko) 2007-04-16 2007-10-08 성지금속산업 주식회사 보강 개비온
KR200461490Y1 (ko) 2010-11-08 2012-07-16 최연재 식생매트
KR20160143357A (ko) 2015-06-05 2016-12-14 노정협 식생 개비온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CN107162548A (zh) 2017-05-16 2017-09-15 舒城县文禾种植专业合作社 一种混凝土加气砖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88A (ja) * 1998-07-24 2000-02-15 Nisshoku Corp 緑化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468A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111B1 (ko) 습지식물의 근경을 이용한 부유형 매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방법
CN105706821A (zh) 一种库岸消落带梯级植树方法
KR100654174B1 (ko) 녹화용 씨줄 네트
KR20100136795A (ko)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블록 및 식생 개비온 블록의 제조방법
KR101043361B1 (ko) 식생용 망태기 및 이를 이용한 생태 호안 조성방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101698719B1 (ko) 식생을 이용한 경사면 친환경사석매트 녹화공법
KR102227676B1 (ko)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JP3602500B2 (ja) 苗竹生産方法
JP4079386B2 (ja) 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100671902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의 시공방법
KR100628034B1 (ko) 식생매트
KR102395350B1 (ko) 식재망태를 이용한 토낭사면 시공방법
KR100518943B1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08315B1 (ko)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복합형 식생 개비온 어셈블리
KR102089980B1 (ko)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해안침식 방지 해안 녹화방법
KR20160024568A (ko) 사면 녹화용 블록 매트 조립체
KR20100042044A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KR100814749B1 (ko)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08333735A (ja) 法面の緑化工法
JP3262719B2 (ja) 硬質法面の緑化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柵状体
CN212896141U (zh) 一种河道生态护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