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244B1 -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244B1
KR102227244B1 KR1020200026864A KR20200026864A KR102227244B1 KR 102227244 B1 KR102227244 B1 KR 102227244B1 KR 1020200026864 A KR1020200026864 A KR 1020200026864A KR 20200026864 A KR20200026864 A KR 20200026864A KR 102227244 B1 KR102227244 B1 KR 10222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r
terminal
location
sh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한별
Original Assignee
황한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별 filed Critical 황한별
Priority to KR102020002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검색한 결과를 출력하고, 공유 차량을 선택받아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피공유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저장부, 피공유 단말로부터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포함하는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리스트를 피공유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부, 피공유 단말에서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선택된 종류, 기간 및 위치의 차량을 공유 가능 차량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AR SHARING SERVICE}
본 발명은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유경제를 위한 차량 공유 플랫폼을 제공한다.
카 쉐어링(Car Sharing)은 공동으로 이용이 가능한 차량을 개인이 필요할 때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이다. 렌터카와는 달리 등록회원을 대상으로 단시간 이용이 가능하고 도심 여러 곳에서 간편하게 대여할 수 있어서 경제성, 이동성, 편리성이 향상된 차량 임대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카 쉐어링의 운영 방식은 개인공유의 카 쉐어링과 기업주도의 카 쉐어링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자는 P2P(Peer-to-Peer) 방식으로 개인 소유의 자가용을 유휴 시간대에 주변 사용자들에게 대여하고, 주변 사용자들은 짧은 시간 동안 차를 빌려 용무를 보는 시스템으로 발전시킨 모델이다. 후자는, 기업주도의 카 쉐어링 방식으로 B2C 방식(Business to Consumer)이며 개인 공유 카 쉐어링의 수익에 자극을 받아 자동차 관련 업계가 뛰어들면서 발전하였고, 최근 가장 보편적인 방식으로 해당 사업체가 차량구입을 포함한 모든 운영과 서비스 전체를 담당한다.
이때, 장기 렌터카의 유휴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을 공유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43773호(2015년08월11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8-0037445호(2018년04월12일 공개)에는 렌터카 업체에서 렌트한 차량을 계약자의 선택에 따라 유휴 기간을 설정하여 공유 차량으로 전환하고, 공유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카쉐어링 업체는 렌탈 서비스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영세 렌터카 업체의 공유 차량을 등록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해당 렌터카 업체의 유휴 중인 공유 차량을 대여하는 구성과, 렌터카에 대한 공유 가능 기간 정보 및 공유 가능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쉐어링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공유 기간 및 공유 대상 렌터카를 지정하는 공유 예약 요청을 수신하고, 쉐어링 예약 요청에 따른 쉐어링 결제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쉐어링 결제정보를 기초로 장기 렌터카 이용자에게 이윤 중 일부를 지급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유휴시간이나 유휴기간을 사용자가 직접 등록해야 하고, 유휴기간을 설정했다고 할지라도 예측불가 상황이 발생하여 다시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 개인의 차량 중 주차시간으로 인한 유휴시간이 90%가 넘는다는 점 또한 공유경제의 의미를 보다 잘 실행하고 있는 P2P 방식이 주류로 성장해야 계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공유경제와 함께 증가하고 있는 캠핑 열풍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카 쉐어링 방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캠핑카에는 적용되고 있지 않고 있어 캠핑카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B2C 서비스에 기반한 장기 렌트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유휴차량도 B2C 서비스로 플랫폼 내에서 중개 및 관리함으로써, 유휴차량에 대한 공유율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캠핑카를 카쉐어링에 포함시켜 캠핑카 렌탈의 활성화를 제공하며, 캠핑카를 공유받은 피공유자에게 캠핑장소를 추천하고 캠핑장소의 예약까지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하고, 원격에서 차량고장진단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고장이 나기 이전에 관리가 될 수 있도록 담당자를 배정하여 수리하며, 비대면으로 차량을 빌리고 또 반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검색한 결과를 출력하고, 공유 차량을 선택받아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피공유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저장부, 피공유 단말로부터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포함하는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리스트를 피공유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부, 피공유 단말에서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선택된 종류, 기간 및 위치의 차량을 공유 가능 차량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B2C 서비스에 기반한 장기 렌트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유휴차량도 B2C 서비스로 플랫폼 내에서 중개 및 관리함으로써, 유휴차량에 대한 공유율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캠핑카를 카쉐어링에 포함시켜 캠핑카 렌탈의 활성화를 제공하며, 캠핑카를 공유받은 피공유자에게 캠핑장소를 추천하고 캠핑장소의 예약까지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하고, 원격에서 차량고장진단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고장이 나기 이전에 관리가 될 수 있도록 담당자를 배정하여 수리하며, 비대면으로 차량을 빌리고 또 반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은, 카쉐어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을 공유받는 피공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은,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접속하여 자신의 위치 또는 피공유 단말(100)에서 입력한 위치를 기준으로 공유가능한 차량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은, 차량의 종류 및 기간을 검색어 또는 태그로 필터링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은, 어느 하나의 종류의 차량을 선택하고 선택된 차량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단말일 수 있고, 기 예약된 시간에 차량의 제어권을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부여받고, 기 예약된 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제어권이 회수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쉐어링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로부터 공유가능기간, 위치, 종류 등의 정보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의 종류가 캠핑카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캠핑장의 리스를 제공하고, 캠핑장의 예약을 중개하는 서버일 수 있고, 캠핑용품을 대여해주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 단말(100)에서 카쉐어링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피공유 단말(100)의 위치를 기준으로 또는 피공유 단말(100)에서 지정한 위치를 기준으로 공유가능한 차량의 리스트를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 단말(100)에서 필터 또는 태그 지정으로 차량 검색 조건을 설정한 경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결과를 필터링하여 피공유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 단말(100)에서 어느 하나의 종류의 차량을 기간 및 위치를 지정하여 선택 및 결제한 경우, 결제된 기간, 위치 및 종류의 차량이 해당 기간 및 위치에 표시되지 않도록 업데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 단말(100)에서 장기 렌트카를 선택한 경우, 장기 렌트카를 공유한 공유 단말(400)로 수익을 분배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은, 카쉐어링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을 공유하는 공유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은 개인 또는 기업의 단말일 수 있고, 이미 렌트를 받은 장기 렌트카의 유휴시간을 이용하여 공유를 하고자 하는 사람의 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은, 공유할 차량, 위치, 기간 등의 정보를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고, 공유 차량에 대한 피공유 단말(100)의 선택 및 결제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고 수익을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거맥부(320), 업데이트부(330), 지도표시부(340), 원스톱예약부(350), 수익분할부(360) 및 제어권관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로 카쉐어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은, 카쉐어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로부터 공유될 차량의 종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업로드받고, 적어도 하나의 피공유 단말(100)에서 결제한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10)는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공유 가능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 등을 수신할 수 있는데, 이때 개인은 자신의 자차를 공유하려는 사람과, 장기 렌트카를 공유하려는 사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과천-양재를 왕복하면서 양재에 위치한 회사로 출근하며, 평균적으로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양재역 부근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해놓는다고 가정하면, 공유자는 평일 오전 9시부터 6시까지, 양재역 부근 주차장으로 자신의 차량을 업로드해둘 수 있다. 후자의 경우도 전자와 마찬가지인데, 다른 점은 자차가 아니므로 매달 납부하는 렌트비 또는 리스비에서 공제하거나 수익을 배분받는 것을 조건으로 차량을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때, 공유 단말(400)에서 직접 설정을 하여 등록을 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10)에서 공유 단말(400)로부터 공유 승인을 받는 경우, 자동으로 유휴 시간대 및 지역을 검색하고, 패턴을 파악하여 공유 단말(400)로 공유를 제안하며, 공유 단말(400)에서 허용을 하는 경우 파악된 유휴 시간대 및 지역의 공유 가용 차량으로 자동등록할 수도 있다. 수동으로 등록하는 경우에는 공유자가 적극적으로 등록을 하는 과정, 즉 청약을 하는 과정이 필요했다면, 자동으로 등록하는 경우에는 공유자는 소극적으로 청약의 유인을 받는 입장이고 결과만 보고를 받는 입장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 및 공유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유될 차량과 공유 단말(400)을 연동시키고, 공유 단말(400)을 AP(Access Point)로 또는 주변의 WIFI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10)와 연동시킬 수 있다.
차량 연동 기술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차량 내부 기술로써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및 정보에 기반을 둔 기술이나 서비스가 해당하며 예를 들면 CAN(Controller Area Network) 및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 및 진단 통신일 수 있다. 두 번째는 외부 연동으로 차량 내 통신 모듈을 활용한 외부 서비스와의 송수신 기술이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 기기 또는 oneM2M, OCF에서 제안하는 표준 플랫폼 프로토콜 기반 스트리밍과 음성 인식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차량-외부 연동 서비스로써 차량 정보 기반 외부 플랫폼 연동 기술이나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가능하고 나열된 것들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위치를 파악한 후에는 위치와 시간을 매핑하여 로그를 로우데이터(RawData)로 변환하고, 유휴패턴을 추출하기 위하여 시맨틱 네트워크에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빈발하는 유휴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Apriori 알고리즘이란 빈번하게 발생하는 노드의 집합을 찾기 위해 규칙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규칙의 효용성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는 지지도,신뢰도, 향상도가 있다. 규칙 p → q 에 대해 지지도는 조건절이 일어날 확률로 정의된다. 신뢰도는 노드 집합 간의 연관성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계산되며 조건절이 주어졌을 때 결과절이 일어날 조건부확률로 정의된다. 향상도는 조건절과 결과절이 서로 독립일 때와 비교하여 두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빈도를 비율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조건절이 양재동 및 평일 근무시간이라면, 결과절은 차량 주차상태(유휴상태), 조건절이 양재동 및 평일 출퇴근시간이라면, 결과절은 차량 이용상태(공유불가상태), 조건절이 과천, 평일 근무 외 시간 및 주말이라면, 결과절은 차량 주차상태(유휴상태) 등으로 빈발하는 패턴 간의 규칙을 찾아낼 수 있다. 이때, 최소지지도는 다양하게 설정가능한데, 예를 들어, 0.2로 설정하면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연관규칙을 찾을 수 있다. 이렇게 유휴상태의 패턴이 추출되었으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로 유휴상태의 패턴이 추출된 시간 및 장소에서 차량을 공유하자는 제안을 할 수 있고, 공유 단말(400)은 적극적으로 등록을 하지 않더라도, YES OR NO의 결정만을 하면 된다. YES의 결정을 한다고 할지라도 공유자가 할 일은 없다. 자동으로 데이터가 업로드되기 때문이다.
검색부(320)는, 피공유 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포함하는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리스트를 피공유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색부(320)는,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 등에 대응하는 검색어를 피공유 단말(100)로부터 수신하고,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지만,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피공유 단말(100)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된 태그를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검색부(320)는, 피공유 단말(100)의 위치를 백그라운드 모드로 수집하여 검색하기 이전부터 피공유 단말(100)에서 공유가능한 차량의 리스트를 지도상에 출력할 수도 있다.
업데이트부(330)는, 피공유 단말(100)에서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선택된 종류, 기간 및 위치의 차량을 공유 가능 차량 리스트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공유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검색한 결과를 출력하고, 공유 차량을 선택받아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은, 장기 렌트카, 일반 렌트카, 캠핑카 및 개인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차량의 종류(브랜드, 배기량 등)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지도표시부(340)는, 피공유 단말(100)의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로의 엑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피공유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GPS 기반으로 백그라운드 모드로 독출하고, 피공유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이 위치하는 위치가 가까운 순으로 나열하여 지도상에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때, 지도표시부(340)는, 피공유 단말(100)의 현위치로부터 피공유자가 공유받을 차량이 위치한 지점까지의 경로를 네비게이션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공유받을 차량이 자율운행차량인 경우, 피공유자의 위치로 차량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공유자가 현재 차에 실을 짐이 많은데, 이를 들고 가서 차량을 픽업하거나 또는 차량 지점까지 간 후 차량만 픽업하고 다시 집으로 돌아와 짐을 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대부분 차량을 픽업할 때에는 자신의 집 위치를 중심으로 한 정거장 이내의 거리에서 차량을 빌리게 되는데, 자율주행차량을 제어하여 피공유자의 위치까지 자율주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자율주행은 스스로 판단하여 주행을 한다기보다는,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이미 정해진 경로, 즉 현재 차량의 위치에서 피공유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추종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피공유 단말(100)을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을 원격에서 제어하여 무인차량의 방법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프로그램(Vehicle Control Program)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OBD 포트를 통해서 전장 시스템 내부 상태를 모니터하고, 조향 휠, 가속 및 감속 페달, 기어 스틱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는 센싱, 판단, 실행의 3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 원격 제어는 판단 부분만을 원격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피공유 단말(100)은, 차량 센서들로부터 읽어들인 센서 값들을 실시간으로 가져오고, 이를 기반으로 사람 또는 소프트웨어가 판단 작업을 수행한 후에 다시 차량 제어 프로그램이 관리하는 액츄에이터들에게 전달할 명령들을 실시간으로 전송해야 한다. 이때,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센서의 값, 특정 모터에게 전달되는 명령 등은 모두 파라미터(Parameter)로 모델링될 수 있다.
즉, 차량의 현재 속도는 "Actual Velocity"라는 파라미터 값을 차량 제어 프로그램이 가져오는 것이고, 차량의 목표 속도를 설정하는 명령은 "Target Velocity"라는 파라미터 값을 피공유 단말(100)에서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센서로부터 파생되는 파라미터들을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동적 파라미터로 정의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파라미터들은 모두 정적 파라미터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피공유 단말(100)과 통신하게 되는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입장에서는 차량 내부에서 동작하는 자율 주행 프로그램도 클라이언트이고, 피공유 단말(100)에서 동작하는 차량 제어 애플리케이션도 클라이언트이다. 따라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주고받는 메세지 형식을 직렬화 형식으로 정의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각기 다른 언어로 작성 및 호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직렬화 형식은 구글의 Protobuf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예를 들어, C++ 언어, Java 언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 객체는 로그로 저장되어 이후 분석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 제어 프로그램은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할 때 항상 응답 메세지를 받을 수 있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내부 오류가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공유자는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부의 문제를 최대한 빨리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량 제어 프로그램은 OS(Operating System) 플랫폼 위에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통신을 담당하는 에이전트 서비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액티비티로 분리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에이전트 서비스는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항상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관리하는 파라미터 값들의 복사본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더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에이전트 서비스는 주기적으로 파라미터 복사본을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부 파라미터들과 동기화하게 된다. 만약 에이전트와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사이에 통신 오류가 발생하면 에이전트는 연결 복구를 시도하게 된다. 그러나 수 차례 복구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에는,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 다른 클라이언트가 정해진 규칙에 의해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제어의 우선순위를 자연스럽게 상속받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차량 원격 제어 도중 다른 제어가 없다면 사고의 위험이나 차량 손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이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완전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원격제어는 필요없겠지만 이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무인차량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스톱예약부(350)는, 피공유 단말(100)이 선택한 차량의 종류가 캠핑카인 경우,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오토캠핑장 리스트를 피공유 단말(100)로 전송하고, 피공유 단말(100)의 오토캠핑장 선택 및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선택된 오토캠핑장으로 결제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수익분할부(360)는, 피공유 단말(100)이 선택한 차량의 종류가 장기 렌트카인 경우, 피공유 단말(100)이 결제한 결제금액 중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장기 렌트카를 공유한 공유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개인 차량이라도 수수료나 이용료가 존재하므로, 수익분할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어권관리부(370)는, 현재 시간이 피공유 단말(100)이 선택한 공유 시간보다 기 설정된 준비 시간 이전인 경우, 결제를 완료한 피공유 단말(100)로 피공유 단말(100)이 선택한 차량의 제어권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물리적인 자동차 키가 없어도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제어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물론, 사람이 수동으로 자동차 키를 피공유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때, 차량 원격 제어를 시행해야 하는데, 차량 원격 제어는 차량과 연동되어 있는 통신 유닛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차량이 제어되는 기능이다. 이때, 차량 연결 모델 및 플랫폼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인 텔레매틱스(Telematics Multimedia System) 서버, 즉 TMS 서버와 차량 내 TMS(Telematics Multimedia System)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MS 유닛은 차량 내 정보 송수신을 위한 단말 기기로써 TMS 서버를 통해 외부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TMS 서버와 TMS 유닛간의 인터페이스로써 HTT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MS(Short Message Service) 적용이 가능하며,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TMS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TMS 서버와의 접속을 통하 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차량 네트워크에서 외부 연결 게이트 역할을 맡고 있다. 차량 내 기능들을 특성별로 분류하고 기능별 최적화된 통신 프로토콜 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차량과 외부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MS 유닛에서 내부 장착 부품들과의 연동을 위해서 CAN 및 Ethernet 네트워크와의 호환성을 둔 변환 모듈을 탑재하여 내외부를 연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유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하여, SAL(Secure Access Lock)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공유 서비스를 위한 도어 개폐 장치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SAL 모듈은, 기존 도어락이나 제품 잠금 장치의 교체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안정성과 효율성 재고를 위하여 물리적 잠금 보안 장치에 연결이 가능하다. SAL 모듈은 이종 자원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스마트 기기의 유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며, 사용자 스마트 기기와 SAL 모듈간 디바이스 근접 또는 원격 제어를 위한 고정 인터페이스 모듈일 수 있다. SAL 모듈은 스마트 도어락 및 제품 잠금장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유무선 통신(BLE, WiFi, NFC, LAN, PLC) 기능, 기계적 개폐기능, 수동 개폐기능이 가능하며, 다양한 센서(Gyro, Vibrator, touch) 장착을 통해 사용자 편의 중심 동작 인터페이스와 도난 파손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제어권관리부(370)는 차량의 반납이 이루어진 경우 피공유 단말(100)의 제어권을 회수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권관리부(370)는, 단순히 제어권을 회수하는 역할에서 그치지 말아야 한다. 즉, 어느 한 곳에서 배차받고, 다른 한 곳에서 차량을 반차하는 경우, 각 주차장 내의 차량의 수에 불균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어권관리부(370)에서 피공유 단말(100)로부터 제어권을 회수하고 차량 데이터를 업데이트했는데 해당 주차장에 차량이 한 대도 없거나, 다른 주차장에 몰려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권관리부(370)는 차량의 재배치를 진행해야 하는데, 이때 주차장의 적정재고량을 충족하기 위하여는, 차량 재배치가 어느 시점에 어느 주차장에서 몇 대의 차량을 어느 주차장으로 옮겨야 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이 고려되어야 한다. 차량 재배치는, 정적 재배치와 동적 재배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정적 재배치는 하루에 한번 재배치하는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이용자의 수가 적은 밤 시간대에 진행할 수 있다. 동적 재배치는 하루에 다수회 재배치를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최적의 동적 재배치 운영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정적 재배치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때, 각 주차장에서 적정 재고 수준을 벗어나는 불균형 상태를 최소화하면서, 시간 제약 하에 배달과 수거를 수행하는 차량 경로 문제를 고려할 수 있다.
재배치 차량의 경로 문제는 외판원 문제(Travelling Salesman Problem)에 기반하는데, 각 고객 지점(Node)의 배달(Delivery) 혹은 수거(Pick-up), 수요 고객이 존재하는 TSPDP(Travelling Salesman Problem with Delivery and Pickup) 모델이다. 이에 따르면, 외판원은 각 고객 지점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창고(depot)에서 출발하여 각 노드를 한 번씩 방문하여 창고로 돌아오는 순회(tour) 중간에 배달 혹은 수거 동작을 수행한다는 이론이다. 이때, 배달과 수거가 혼합된 차량 경로 결정 문제(Vehicle Routing Problem with Simultaneous Pickup and Delivery)나, 시간 제약(Time Window)이 있는 배달과 수거가 혼합된 차량 경로를 메타 휴리스틱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메타 휴리스틱 방법론 중 타부 탐색(Tabu Search) 알고리즘과 모의 담금질(Simulated Annealing)의 기법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배달과 수거를 수행하는 차량의 총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차량의 최적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예를 들어, 큰 크기의 문제를 무게중심 개념을 이용하여 작은 클러스터로 나눈 후 최적 경로를 구하는 CRA, FCSO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주차장이 비어있거나 완전히 채워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VND(Variable Neighborhood Descent)가 내장된 VNS(Variable Search)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 메타 휴리스틱은, 차량의 불균형이 발생한 주차장을 방문할 수 있는 후보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차량 재배치 외에도, 고객이 스스로 재배치에 참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차량이 B 주차장으로 가야 하는 경우, B 주차장이 목적지인 고객에게 프라이빗 할인가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금전적 인센티브를 대가로 제공할 때, 크라우드 소싱(Crowd Sourcing) 매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후회 최소화의 접근법을 사용하여 최적의 가격 정책을 채택하는 인센티브 시스템인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차량의 경로 뿐 아니라 각 주차장의 적정 재고를 관리하는 방안으로 재배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UDF(User Dissatisfaction Function) 모델을 이용할 수도 있고, 특정 패턴을 따르는 이용자의 수요를 확률론적인(Stochastic)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각 주차장에서 재배치가 필요한 긴급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매겨 재배치하는 단기적 재배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요와 공급의 조절, 이에 더하여 플랫폼이 공유자와 피공유자의 니즈까지 부합하는 경우 공유경제의 활성화 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술한 OBD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고장진단을 수행하고, 고장진단된 차량을 추출하여 기사 단말(500)로 고장종류 및 차량의 위치를 전달함으로써 빠른 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차량에는 성능과 안전·편의성 향상을 위해 ECU(Electric Control Unit),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ACU(Airbag Control Unit), ABS(Anti-lock Braking System) 등과 같은 제어 모듈이 설치되어 있는데, 각 제어 모듈은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의 데이터 값을 공유함으로써 전체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ECM)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CAN(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을 이용한다. 이때, ECM은, 차량 운행중 배출가스 제어 부품이나 차량 전자 제어 시스템을 자가진단하게 되며, 고장으로 판정되면 고장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저장하고 고장 경고등(MIL)이 켜지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OBD-II(On-Board Diagnosis)시스템이라 한다. 이때, OBD-II는 OBD에서 배기가스규제가 추가된 시스템인데, 이를 본 발명에서 이용하게 되면, 진단 기능 및 차량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차량의 진단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에 문제가 생겼을 때 원격에서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때, 진단 기능은, ELM 실행, 유틸리티 실행, 센서 출력, 데이터 파형, 데이터 출력, 고장진단 출력 등을 포함하고, 차량 접속 기능은, 차량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OBD는, OBD 커넥터에 연결되어 차량의 OBD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AP를 경유하여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OBD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P는 차량의 OBD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받은 OBD 정보를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OBD는 차량에서 시동을 거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면서 작동이 시작된다. 이때, OBD는 포팅된 코드에 의해 엔진 RPM과, 차량의 속도정보를 차량으로부터 획득하고, 이동거리는 S=VT라는 공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3 가지의 차량 OBD 정보를 구분하기 위하여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기기 간 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OBD의 작동을 확인하기 이전에, 시리얼 통신의 정상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도 있으며, OBD에서 진단하는 차량진단모드는 이하 표 1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ode Description
MODE 1 Show current data
MODE 2 Show freeze frame data
MODE 3 Show stored Diagnostic Trouble Codes
MODE 4 Clear Diagnostic Trouble Codes and stored values
MODE 5 Test result, oxygen sensor monitoring
MODE 6 Test results, other component/system monitoring
MODE 7 Show pending Diagnostic Trouble Codes
MODE 8 Control operation of on-board component/system
MODE 9 Request vehicle information
OBD의 송신단에서 OBD 정보를 전송하고, OBD의 수신단에서는 에코 코드를 포팅(Porting)하여 수신한 정보를 그대로 다시 보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OBD의 수신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와, 송신단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시리얼 통신의 동작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기 간 통신을 할 경우에, 송신단으로부터 취득된 OBD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수신단에서는 데이터를 구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취득된 정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정보는 프레임의 OP코드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데이터는 프레임 내에 채워져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수신측의 과부하를 막기 위하여,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송신단에서 OBD 정보를 송신할 때 딜레이를 주어 정상적으로 수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 바이트씩 전송하더라도 수신측에서는 전체적으로 프레임 구조가 유지되고, 각각의 정보가 순서대로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또, AP 이전에 와이파이 모듈이 더 구비되는 경우, OBD와 와이파이 모듈 간 UDP 소켓 설정을 통하여 기 정의된 통신을 설정해야 한다. 이때, 와이파이 모듈은 스테이션으로 설정되고, 기 설정된 SSID 암호에 따라 일반 AP와 연결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소켓 설정이 끝나면, 시리얼 통신 설정을 통하여 OBD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설정이 끝나면, 와이파이 모듈은, OBD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의 정상유무를 확인한 후, 정상적인 데이터만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파이 모듈은, 버퍼에 저장된 각각의 OBD 정보를 헤더를 붙여 프레임 구조로 AP로 전송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OP코드 뒤에 실려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프레임 구조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정보가 어디에 저장되었는지를 확인 및 추출할 수 있고, 고장진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로부터 차량의 종류, 유휴기간 및 위치 등의 정보를 개인 또는 업체로부터 등록받고, (b) 등록된 정보를 기 설정된 포맷의 레이아웃 내에 입력하여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업로드한다. 이때, 태그를 설정하여 태그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검색어 입력을 대체할 수도 있다. 그리고, (c) 피공유 단말(100)에서 캠핑카를 검색하는 경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 종류 및 기간에 따라 필터링을 수행하고, 결과 리스트를 피공유 단말(100)로 제공하며, (d) 결제가 완료된 경우 예약된 시간부터 제어권을 피공유 단말(100)로 부여하고 기간 또는 시간의 만료가 도래하는 경우, 제어권을 회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단말(400)로부터 공유가능기간, 위치, 차량의 종류 등을 입력받고(S4100), 차량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S4200).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 단말(100)로부터 검색어가 수신되면(S4300), 검색결과리스트를 피공유 단말(100)로 제공하고(S4400), 피공유 단말(100)에서 지도상으로 차량의 종류, 가격, 위치 등이 오버레이되며, 차량의 외관은 썸네일로, 가격은 텍스트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공유 단말(100)에서 차량을 선택 및 결제를 수행한 경우(S4600), 공유 단말(400)로 이를 전달할 수 있고(S4610), 차량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여, 피공유자가 선택한 시간, 위치 및 종류의 차량이 중복예약되지 않도록 한다(S4630).
또한,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예약시간이 도래한 경우(S4700), 피공유 단말(100)로 제어권을 부여하고(S4710), 원격 차량 모니터링을 시작하고(S4730), 고장신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S4750)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근접하면서도 현재 스케줄이 비어있는 기사를 추출하여 고장수리업무를 할당한다(S4770).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사 단말(500)로부터 처리완료 이벤트를 수신한 후에 고장처리완료를 등록하고(S4790) 해당 차량에 대한 고장히스토리에 고장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또,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시간이나 기간이 도래한 경우(S4800), 피공유 단말(100)로 반납 리마인더를 전송하고(S4810), 피공유 단말(100)에서 반납 이벤트가 전송되면(S4830), 피공유 단말(100)로 부여했던 제어권을 회수한다(S4900). 그리고,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주기로 또는 실시간으로 공유 단말(400)로 수익 분배를 위한 정산을 실시한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S5100).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피공유 단말로부터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포함하는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리스트를 피공유 단말로 전송하고(S5200), 피공유 단말에서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선택된 종류, 기간 및 위치의 차량을 공유 가능 차량 리스트에서 제외시킨다(S5300).
이와 같은 도 5의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검색한 결과를 출력하고, 공유 차량을 선택받아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피공유 단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저장부, 상기 피공유 단말로부터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포함하는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 리스트를 상기 피공유 단말로 전송하는 검색부, 상기 피공유 단말에서 차량의 종류, 기간 및 위치를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종류, 기간 및 위치의 차량을 공유 가능 차량 리스트에서 제외시키는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공유될 차량의 종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업로드하는 공유 단말;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 단말은 개인 또는 기업의 단말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은, 장기 렌트카, 일반 렌트카, 캠핑카 및 개인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피공유 단말의 상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로의 엑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피공유 단말의 현재 위치를 GPS 기반으로 백그라운드 모드로 독출하고, 상기 피공유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이 위치하는 위치가 가까운 순으로 나열하여 지도상에 오버레이하는 지도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피공유 단말이 선택한 차량의 종류가 캠핑카인 경우,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오토캠핑장 리스트를 상기 피공유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피공유 단말의 오토캠핑장 선택 및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오토캠핑장으로 결제정보를 전달하는 원스톱예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피공유 단말이 선택한 차량의 종류가 장기 렌트카인 경우, 상기 피공유 단말이 결제한 결제금액 중 기 설정된 비율의 금액을 상기 장기 렌트카를 공유한 공유 단말로 전송하는 수익분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현재 시간이 상기 피공유 단말이 선택한 공유 시간보다 기 설정된 준비 시간 이전인 경우, 상기 결제를 완료한 피공유 단말로 상기 피공유 단말이 선택한 차량의 제어권을 부여하는 제어권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310)는, 상기 공유 단말(400)를 통해 등록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차량의 공유 가능 기간 및 공유 가능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상기 공유 단말을 AP(Access Point) 또는 주변의 WIFI를 이용하여 유휴 시간대 및 지역을 검색하고, 유휴패턴을 파악하여 공유 가용 차량으로 자동등록하며, 상기 유휴패턴은 상기 공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한 후, 그 파악된 위치와 시간을 매핑하여 로그를 로우데이터(RawData)로 변환하고, 시맨틱 네트워크에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하며,
    상기 지도표시부는, 공유받을 차량이 자율운행차량인 경우, 현재 공유받을 차량의 위치에서 피공유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추종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피공유자의 위치로 차량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되, 공유받을 차량인 자율운행차량의 차량 제어 프로그램(Vehicle Control Program)을 이용하고,
    상기 제어권관리부는, 차량 원격 제어를 통해, 물리적인 자동차 키가 없어도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제어권을 부여하되, 상기 차량 원격 제어는 차량과 연동되어 있는 통신 유닛을 통해서 수신된 제어 명령을 기반으로 차량이 제어되도록, 텔레매틱스(Telematics Multimedia System) 서버와 차량 내 TMS(Telematics Multimedia System)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TMS 유닛은 차량 내 정보 송수신을 위한 단말 기기로써 TMS 서버를 통해 외부와의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어관리부는, 차량의 반납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피공유 단말의 제어권을 회수한 후, 각 주차장 내의 반납된 차량의 수에 불균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적 재배치 또는 동적 재배치를 기반으로, 각 주차장 내의 반납된 차량의 재배치가 수행되게 제어하고,
    상기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차량에 탑재된 OBD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고장진단을 수행하고, 고장진단된 차량의 내역을 추출하여 기사 단말로 고장종류 및 차량의 위치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26864A 2020-03-03 2020-03-03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2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864A KR102227244B1 (ko) 2020-03-03 2020-03-03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864A KR102227244B1 (ko) 2020-03-03 2020-03-03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244B1 true KR102227244B1 (ko) 2021-03-12

Family

ID=7517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864A KR102227244B1 (ko) 2020-03-03 2020-03-03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2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417A (ko) * 2021-07-19 2023-01-26 장문성 차박 앱 기반의 차박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3865A (ko) * 2021-07-20 2023-01-27 장문성 캠핑카 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24B1 (ko) * 2014-08-29 2014-12-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맨틱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상황인지 기반 사용자 관심정보 검색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037445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쏘카 개인화된 차량 셰어링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57904A (ko) * 2016-11-23 2018-05-31 이준영 여행지 정보 제공이 가능한 렌터카 관리시스템
KR101906236B1 (ko) * 2018-01-15 2018-12-05 주식회사 에너지세븐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가상 계좌 연계 인공지능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18744B1 (ko) * 2018-05-11 2019-02-08 함영주 캠핑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24B1 (ko) * 2014-08-29 2014-12-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맨틱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상황인지 기반 사용자 관심정보 검색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037445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쏘카 개인화된 차량 셰어링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57904A (ko) * 2016-11-23 2018-05-31 이준영 여행지 정보 제공이 가능한 렌터카 관리시스템
KR101906236B1 (ko) * 2018-01-15 2018-12-05 주식회사 에너지세븐 자율주행차량을 이용한 가상 계좌 연계 인공지능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18744B1 (ko) * 2018-05-11 2019-02-08 함영주 캠핑차량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417A (ko) * 2021-07-19 2023-01-26 장문성 차박 앱 기반의 차박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0211B1 (ko) * 2021-07-19 2023-12-05 인준테크 주식회사 차박 앱 기반의 차박 관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3865A (ko) * 2021-07-20 2023-01-27 장문성 캠핑카 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7908B1 (ko) * 2021-07-20 2023-10-10 장문성 캠핑카 렌트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202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CN109690606B (zh) 基于远程信息处理的***及其相应的方法
US11842302B2 (en) Method, device, cloud servic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smart parking a connected vehicle
US113863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US11392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CN107074200A (zh) 使用软件狗的用于去往和来自交通工具的服务递送的端到端***
JP6869822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管理システム
CN112313695A (zh) 共享车辆管理***和共享车辆管理方法
US20200219179A1 (en) Vehicle rental management apparatus
CN110753946B (zh) 车辆控制***、车辆控制方法及存储介质
JP6841729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2227244B1 (ko) 카쉐어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7032134A (ja) レンタカー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会社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42485A1 (en) Prob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prob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b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20220207450A1 (en) Integrating vehicle data for provider and personal rental vehicles into a vehicle-fleet platform and fleet management interface
US20120116825A1 (en) Methods and system making it possible to place an individual public vehicle at the disposal of a user
CN110782052A (zh) 车辆预约***、车辆预约方法和存储程序的存储介质
US20190362457A1 (en) Smart parking locator and reservation systems
KR102540147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ai 골프 여행 서비스 시스템
JP6778152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管理システム
KR102227254B1 (ko) 공유경제 기반 캠핑카 대여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99281B1 (ko) 차량 대여 시스템 및 방법
JP7161908B2 (ja) 移動体予約装置、移動体予約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5633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on and optimization of services offered by company for goods transport on road
KR20030075071A (ko) 실시간 자동차 예약/대여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