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939B1 -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Google Patents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939B1
KR102212939B1 KR1020170165221A KR20170165221A KR102212939B1 KR 102212939 B1 KR102212939 B1 KR 102212939B1 KR 1020170165221 A KR1020170165221 A KR 1020170165221A KR 20170165221 A KR20170165221 A KR 20170165221A KR 102212939 B1 KR102212939 B1 KR 102212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oxide
silicon metal
reduced product
dispersion solution
metal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747A (ko
Inventor
정승열
이건웅
박종환
정수연
서선희
정희진
한중탁
양선혜
이혜정
김익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939B1/ko
Priority to CN201880078601.0A priority patent/CN111433153B/zh
Priority to CN202311443857.6A priority patent/CN117410467A/zh
Priority to PCT/KR2018/013677 priority patent/WO2019112194A1/ko
Publication of KR20190065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747A/ko
Priority to US16/891,179 priority patent/US117424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8Graphene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01B32/19Preparation by exfol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3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02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에 있어서, 그래파이트를 산화하여 산화그래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분산 및 박리하여 산화그래핀을 형성하는 단계와;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산화그래핀을 포함하는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환원시켜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수용성 폴리머 및 실리콘 금속입자와 혼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액을 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저결함/고순도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이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형성하고, 이를 실리콘 금속입자와 분산하기 위한 수용성 폴리머에 접목시킨 후 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차전지용 전극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Reduced graphene oxide - silicon metal particle composit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and fabrication of electrodes for secondary battery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저결함/고순도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이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형성하고, 이를 실리콘 금속입자와 분산하기 위한 수용성 폴리머에 접목시킨 후 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형화, 경량화된 각종 전자기기와 더불어 초대형 전력저장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해 전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친환경적이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지니고 급속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리튬이차천지의 음극활물질로 사용되는 탄소계, 금속계, 산화물계 물질들은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고출력, 고밀도 에너지 전력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많은 연구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음극활물질로 언급되는 탄소계 물질 중 흑연(graphite)은 매우 안정적이고 부피팽창을 수반하지 않는 매우 우수한 재료이지만, 이론적인 용량의 한계로 인해 고용량을 요구하는 모바일 기기에 부응하는 음극활물질로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음극활물질로 새로운 고용량 소재를 요구하고 있는데 그 중 실리콘(Si)이 높은 이론용량을 가지고 있다. 실리콘은 리튬(Li)과 합금화(alloying), 합금부식화(dealloying)을 통하여 리튬 이온의 충방전이 가능한 금속 원소로서, 기존 음극활물질 재료인 흑연에 비하여 무게당, 부피당 용량에 월등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차세대 고용량 리튬이차전지 재료로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실리콘이 높은 이론용량 특성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상용화가 쉽지 않은 이유는, 리튬 이온을 흡수 및 저장시 결정구조의 변화에 의해 300% 이상의 큰 부피팽창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계속된 부피변화로 인해 실리콘의 구조가 와해되는 현상이 야기된다. 이를 통해 초기 효율 및 사이클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리튬 이차전지의 가역성을 향상시키며, 고용량을 유지하는 기술이 필수적이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기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5-0116238호 그래핀-금속나노입자복합체,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복합체 및 상기 탄소나노입자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634723호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실리콘-카본-그래핀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같이 금속입자의 표면을 개질하고 이를 산화그래핀과 반응시켜 그래핀이 랩핑된 금속입자를 만드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금속입자를 표면개질하는 단계와, 산화그래핀이 금속입자를 랩핑한 후 환원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산화그래핀을 환원하는 과정에서 열처리에 의해 금속입자가 산화되는 등 상태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도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15-0116238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63472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저결함/고순도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이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형성하고, 이를 실리콘 금속입자와 분산하기 위한 수용성 폴리머에 접목시킨 후 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그래파이트를 산화하여 산화그래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분산 및 박리하여 산화그래핀을 형성하는 단계와;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산화그래핀을 포함하는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환원시켜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수용성 폴리머 및 실리콘 금속입자와 혼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액을 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브로디법을 이용하여 그래파이트 플레이크를 산처리를 통해 합성하며, 상기 산처리는 상기 그래파이트 플레이크에 농질산(fuming nitric acid) 또는 황산(sulfuric acid)에 소듐클로레이트(NaClO4) 또는 포타슘퍼망가네이트(KMnO4)를 첨가하여 교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그래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알칼리 용매에 분산시켜 산화그래파이트 분산용액을 만들고, 상기 분산용액 내에서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박리시켜 산화그래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그래핀을 알칼리 용매에 분산 및 박리하여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 내에 탄소 원자들이 2차원 상에서 sp2결합에 의해 연결된 배열의 중심에 양이온을 위치시킴에 의해, 양이온과 sp2영역의 파이구조와의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양이온반응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양이온반응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용매에 중화시킨 후 제조된 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습식공정을 통해 환원시킴으로써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제조하며, 상기 환원제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수산화암모늄(NH4OH), 수산화붕소나트륨(NaBH4), 히드라진(N2H4), 하이드로아이오닉산(Hydroionic acid), 아스코빅산(Ascovic acid)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과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가 물에서 분산성이 우수하도록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추가하여 혼합하며,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아마이드아민(Polyamideamine), 폴리비닐포름아미드(Polyvinyl formam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스티렌설폰산(Polystyrenesulfonic acid), 폴리규산(Polysilicic acid), 폴리인산(Polyphosphoric acid), 폴리에틸렌설폰산(Polyethylenesulfonic acid), 폴리-3-비닐록시프로펜-1-설폰산(Poly-3-vinyloxypropane-1-sulfonic acid), 폴리-4-비닐페놀(Poly-4-vinylphenol), 폴리-4-비닐페닐설폰산(Poly-4-vinylphenyl sulfuric acid), 폴리에틸렌포스포릭산(Polyethyleneohosphoric acid), 폴리말릭산(Polymaleic acid), 폴리-4-비닐벤조산(Poly-4-vinylbenzoic acid),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cellulose),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전분(Starch)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는 코어로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은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의 외부 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액을 분무건조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와 물은 증발되고,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 표면을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이 둘러싸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무건조는 여러 번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이 둘러싸며, 상기 분무건조는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의 사이즈가 상이한 분산용액을 각각 준비한 후, 이를 번갈아가면서 분무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산화그래핀을 환원시킨 산화그래핀환원물과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과 혼합된 실리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분무건조하여,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는 코어로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은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의 외부 쉘 구조로 이루어지는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또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를 갖는 음극활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는,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산화그래핀을 환원시킨 산화그래핀환원물과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과 혼합된 실리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분무건조하여,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는 코어로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은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의 외부 쉘 구조로 이루어지는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저결함/고순도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이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형성하고, 이를 실리콘 금속입자와 분산하기 위한 수용성 폴리머에 접목시킨 후 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산화그래핀을 형성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과 달리 복합체 제조 후 환원공정을 수반하지 않고, 일액형 산화그래핀환원물- 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용액을 제조하여 복합체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차전지용 전극에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실리콘 금속입자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의 표면 형상을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통해 측정하고 이에 대한 원소분석을 EDS를 통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산화그래핀환원물 및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를 라만 분광법을 통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리튬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평가를 위하여 음극용 슬러리에 첨가제를 넣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아세틸렌블랙을 넣은 경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를 넣은 경우에 대한 사이클 특성에 따른 비용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의 coverage를 평가하기 위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을 1번, 2번 및 3번 코팅한 경우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는,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산화그래핀을 환원시킨 산화그래핀환원물과, 산화그래핀환원물과 혼합된 실리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분무건조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실리콘 금속입자는 코어로 내부에 존재하고 산화그래핀환원물은 실리콘 금속입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의 외부 쉘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은, 집전체와, 집전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를 갖는 음극활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는,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산화그래핀을 환원시킨 산화그래핀환원물과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과 혼합된 실리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분무건조하여 얻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그래파이트를 산화하여 산화그래파이트를 형성한다(S1).
분말상태의 그래파이트 플레이크(graphite flake)로부터 분말상태의 산화그래파이트 분말을 합성한다. 산화그래파이트 분말은 분말상태의 99.9995%의 고순도 그래파이트 플레이크를 산처리를 통해 합성한 후 수용액의 반복 세척과정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산처리는 고순도 그래파이트 플레이크에 농질산(fuming nitric acid) 또는 황산(sulfuric acid) 등과 같은 강산에 소듐클로레이트(NaClO4) 또는 포타슘퍼망가네이트(KMnO4)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48시간 교반을 통해 산화시킨다. 그리고 증류수를 사용하여 중화시킨 후 필터링(filtering) 및 워싱(washing)을 반복한다. 산화된 그래파이트 용액은 건조과정을 거친 후 그라인딩(grinding)을 이용하여 산화그래파이트 분말을 얻는다.
여기서 산처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타우덴마이어법(L. Staudenmaier, Ber. Dtsch. Chem. Gas., 31, 1481-1499, 1898), 험머스법(W. Hummers 외 1명, J.Am. Chem. Soc., 80, 1339, 1958)이 아닌 브로디법(B. C. Brodie Ann. Chim.Phys., 59, 466-472, 1860)을 사용한다. 험머스법을 통해 얻어지는 산화그래파이트 플레이크는 추후에 박리가 잘 일어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산화그래핀을 제조하는 데 있어 험머스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험머스법은 산화그래파이트의 박리가 잘 일어나는 대신에 산화작용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순도가 낮고 이로 인해 산화그래핀 품질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브로디법의 경우 산화그래파이트의 박리가 힘들지만 제조된 산화그래핀이 고순도, 저결함으로 품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험머스법이 아닌 브로디법을 이용하여 산화그래핀을 제조한다.
산화그래파이트를 분산 및 박리하여 산화그래핀을 형성한다(S2).
S1 단계에서 제조된 산화그래파이트 분말을 용매에 분산시켜 산화그래파이트 분산용액을 만들고, 분산용액 내에서 산화그래파이트를 박리시켜 저결함/고순도 산화그래핀을 형성한다.
산화그래파이트 분말을 분산시키 위한 용매는 알칼리 용매가 바람직한데, 알칼리 용매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수산화칼륨(KOH) 수용액, 수산화암모늄(NH4H) 수용액, 수산화리튬(LiOH) 수용액, 수산화칼슘(Ca(OH)2) 수용액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며, 용매의 pH는 8 이상부터 분산이 가능하며 가장 바람직한 pH는 10 이상이다.
산화그래파이트 분산용액에 초음파 분쇄(sonication),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 고압균질기(high pressurehomogenizer)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산화그래파이트의 분산 및 박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분산 및 박리시 필요한 시간은 10분 내지 5시간으로, 10분 미만일 경우 분산 및 박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5시간을 초과하여 처리를 실시할 경우 결함 형성이 많아져 고품질 산화그래핀을 얻을 수 없다.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단일층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제조한다(S3).
분산 및 박리된 산화그래핀을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양이온반응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산화그래핀을 알칼리 용매 와 산화그래핀을 분산 및 박리하여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산화그래핀 분산용액 내에 탄소 원자들이 2차원 상에서 sp2결합에 의해 연결된 배열의 중심에 양이온을 위치시킴에 의해, 양이온과 sp2영역의 파이구조와의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양이온반응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양이온반응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은 초음파 분쇄 등과 같은 외부의 물리적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상온에서 1분 내지 10시간 정도의 반응시간을 유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의 농도 범위가 1mg/L 내지 50g/L인 상태에서 상온에서 10분 정도의 반응 시간을 유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산화그래핀 분산용액 농도의 범위가 1mg/L 미만일 경우 고농도 산화그래핀 형성이 어려우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의 농도 범위가 50g/L을 초과할 경우 산화그래핀의 뭉침현상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반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에 포함된 알칼리 용매를 통하여 나트륨(Na+), 칼륨(K+), 암모늄(NH4 +), 리튬(Li+)과 같은 일가 양이온과 육각형 sp2 영역의 파이 구조와의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서, 알칼리 용매의 약환원반응을 통한 산화그래핀의 산소작용기 제거 및 양이온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반응시간의 유지를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첨가된 용매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며, 양이온은 나트륨이온이다.
양이온반응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제조는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위해서 회전증발법, 원심분리법, 교반법 등과 같은 용매휘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약환원을 통하여 양이온이 흡착할 수 있는 그래핀의 육각형 sp2영역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하여 온도와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국부적인 산화작용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용매휘발법을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킴으로서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며 고농도 분산용액을 제조한다.
단일층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환원시켜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제조한다(S4).
양이온반응 단일층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용매에 중화시킨 후 제조된 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습식공정을 통해 환원시킴으로써 산화그래핀 환원물 분산용액을 얻게 된다. 여기서 환원제는 통상적인 환원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수산화암모늄(NH4OH), 수산화붕소나트륨(NaBH4), 히드라진(N2H4), 하이드로아이오닉산(Hydroionic acid), 아스코빅산(Ascovic acid)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수용성 폴리머 및 실리콘 금속입자와 혼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제조한다(S5).
표면에 개질이 이루어지지 않은 순수한 상태의 실리콘 금속입자를 준비하고 S4 단계를 통해 제조된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수용성 폴리머 및 실리콘 금속입자와 혼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제조한다.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의 경우 물을 포함하고 있으나 산화그래핀환원물 및 실리콘 금속입자는 물에 골고루 분산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산화그래핀환원물과 실리콘 금속입자가 물에서 분산성이 우수하도록 수용성 폴리머를 추가하여 혼합하고, 이를 통해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폴리아마이드아민(Polyamideamine), 폴리비닐포름아미드(Polyvinyl formam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스티렌설폰산(Polystyrenesulfonic acid), 폴리규산(Polysilicic acid), 폴리인산(Polyphosphoric acid), 폴리에틸렌설폰산(Polyethylenesulfonic acid), 폴리-3-비닐록시프로펜-1-설폰산(Poly-3-vinyloxypropane-1-sulfonic acid), 폴리-4-비닐페놀(Poly-4-vinylphenol), 폴리-4-비닐페닐설폰산(Poly-4-vinylphenyl sulfuric acid), 폴리에틸렌포스포릭산(Polyethyleneohosphoric acid), 폴리말릭산(Polymaleic acid), 폴리-4-비닐벤조산(Poly-4-vinylbenzoic acid),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cellulose),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전분(Starch)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한다(S6).
S5 단계를 통해 제조된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건조하여 실리콘 금속입자는 코어(core)로 내부에 존재하고 산화그래핀환원물은 실리콘 금속입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의 외부 쉘(shell) 구조로 이루어진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분무건조가 가장 바람직한데, 분무건조의 경우 한 번만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실리콘 금속입자의 주위를 산화그래핀환원물이 완벽하게 둘러싸기 위해서는 두, 세 번 이상으로 분무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무건조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여러 번 분무시키나, 필요에 따라서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분무시킨 후 산화그래핀환원물만 존재하는 분산용액을 분무건조하여 실리콘 표면을 둘러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분무건조 중 수용성 폴리머와 물은 증발되고 산화그래핀환원물과 실리콘 금속입자 만이 남게되어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여러 번 분무건조할 때에 산화그래핀환원물의 사이즈가 상이한 분산용액을 각각 준비한 후, 이를 번갈아가며 분무건조하여 실리콘 금속입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산화그래핀환원물로 감싸게 된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포함하는 분산용액을 먼저 분무건조하고 여기에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포함하는 분산용액을 분무건조하여 실리콘 금속입자의 표면에 산화그래핀환원물을 코팅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포함하는 분산용액을 먼저 분무건조 한 후 사이즈가 작은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포함하는 분산용액을 분무건조하여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순수 그래파이트(순도 99.9995%, -200메쉬, Alfar Aesar 제조) 10g, 발연질산 350㎖ 및 소듐 클로라이드 옥사이드 74g을 실온에서 순차적으로 37g씩 나누어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중화 과정과 세척, 여과 및 클리닝, 건조과정을 거쳐 산화그래핀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산화그래핀은 300mg/L 농도로 KOH가 녹아있는 증류수(pH 10)에 호모게나이저를 15,000rpm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균일한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만들었다.
이후,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인가시키기 위해서 상온에서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의 반응시간을 1시간 이상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은 10시간 이상의 동결건조를 통하여 분말형태의 산화그래핀을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정확한 산화그래핀의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분말형태의 산화그래핀을 분산시키기 위한 용매로 증류수를 이용하였으며 1g/ℓ농도의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에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1wt%와 요드화수소산(HI aicd) 40㎕를 넣고 60℃로 10시간 동안 400rpm으로 교반하여 환원시켰다. 이때, 고농도로 분산되어진 산화그래핀환원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의 산화그래핀환원물의 사이즈는 5 내지 10㎛로 이루어진다. 이후 과량의 요드화수소산을 제거하기 위해 수산화칼륨(KOH)을 첨가하고, 교반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첨가물들을 제거한다.
<실시예 2>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에 10 내지 20㎛ 사이즈의 실리콘 금속입자를 혼합하기 위하여 500rpm으로 stirring 한다. 이후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약 3wt% 첨가하여 분산을 유도시킨다. 분산된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분산용액을 분무 건조하여 파우더화 시킨다. 이때 실리콘의 coverage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조된 복합체를 3번 이하 분무 건조를 재실시한다. 또한, 그래핀의 크기에 따른 coverage 향상을 위해 5㎛ 이하의 작은 사이즈를 코팅 후 10㎛ 이상의 큰 사이즈를 갖는 산화그래핀환원물의 도포를 반복한다. 이때, 큰 사이즈의 산화그래핀환원물을 코팅 후 작은 사이즈를 코팅하는 경우도 실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에 실리콘 금속입자를 수용성 폴리머를 이용하여 분산시키고, 분무건조를 통한 분말을 형성시키는 실험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균일하게 분산된 저결함/고전도성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조하고, 이에 수용성 폴리머 및 실리콘 금속입자를 혼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된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분무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한다. 이에 대한 분산용액, 실리콘 금속입자 및 복합체 분말에 대한 이미지는 각 처리과정으로부터 제조된 결과물을 나타낸다.
도 3은 실리콘 금속입자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와,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분말에 대한 형상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이미지다. 이 중 복합체 분말의 경우 실리콘 금속입자에 산화그래핀환원물이 코팅되어 코어-쉘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도 4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분말의 형상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이미지이며, 기존 실리콘 금속입자의 경우 실리콘 금속입자끼리 서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산화그래핀환원물을 분무건조를 통하여 코팅한 후 마이크로 사이즈의 볼을 형성하고 있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이는 그래핀에 의한 코어-쉘 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용매 내의 균일한 분산을 유도하였으므로, 분무건조시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뭉침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입자를 형성한다. 이에 대한 EDS 결과를 통하여 복합체의 원소 성분을 측정한 결과 탄소와 실리콘의 비중이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공명라만분광 측정을 통한 산화그래핀환원물 및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분말의 특성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라만스펙트럼 측정시 그래핀의 경우 대략 1594cm-1 전후에서 G 피크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그래핀이 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복합체 형성 후 실리콘 피크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의 결정화도 및 형상변화에 대한 결과는 D밴드/G밴드의 피크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합체 형성 후 피크비가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이며, 이는 기존 산화그래핀환원물의 경우 이차원 나노소재이므로 기판에 편평하게 도포된다. 하지만 실리콘 금속입자와 같은 3차원 구조물에 도포될 때에는 구조의 변형이 일어나면서 코팅이 되기 대문에 스트레인에 의한 구조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D/G 피크비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산화그래핀환원물이 실리콘 금속입자 위에 쉘 구조로 균일한 도포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비교예로서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에 사용되는 전극물질을 제조시 첨가제를 넣지 않는 경우 기존 상용화되고 있는 아세틸렌블랙(Acetylene black)과, 산화그래핀환원물 기반 복합체(rGO composite)를 형성한 경우에 대한 전기화학특성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사용된 전극은 하프셀로 제작하여 양극은 리튬메탈, 음극은 세 가지 다른 종류의 소재를 이용하여 전극을 제작하였다. 첨가제를 넣지 않은 경우 사이클 특성에 따른 비용량의 변화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이는 실리콘의 부피팽창으로 인하여 실리콘 결정구조가 와해되기 때문에 사이클을 반복함에 따라 비용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기존의 아세틸렌블랙을 첨가한 경우에는 개선된 사이클 특성을 보이지만, 사이클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코어-쉘 구조의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복합체의 경우 매우 안정적인 특성을 보이며, 이는 그래핀에 의해 실리콘의 부피팽창에 의한 결정구조 와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보다 효과적인 산화그래핀환원물 도포를 위해 분무건조시 조건 변화를 통해 효과적인 그래핀 코팅을 유도할 수 있는 결과이다. 기존 1회 분무건조를 통한 복합체 분말형성도 특성 개선의 효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상용화되어 있는 실리콘 금속입자의 경우 사이즈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균일한 그래핀 코팅을 통한 복합체 분말 형성을 위하여 분무건조 횟수를 증가시켜 기존 1회 분무건조 후 제조된 복합체 분말을 수거하고, 이를 다시 산화그래핀환원물에 분산시켜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실리콘 금속입자의 도포 및 복합체의 코어-쉘 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2)

  1.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그래파이트를 산화하여 산화그래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분산 및 박리하여 산화그래핀을 형성하는 단계와;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산화그래핀을 포함하는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환원시켜 물을 포함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수용성 폴리머 및 실리콘 금속입자와 혼합하여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액을 분무건조하여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는 코어로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은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의 외부 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과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가 물에서 분산성이 우수하도록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추가하여 혼합하며,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에틸렌이민 (Polyethyleneimine), 폴리아마이드아민(Polyamideamine), 폴리비닐포름아미드 (Polyvinyl formam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폴리스티렌설폰산(Polystyrenesulfonic acid), 폴리규산 (Polysilicic acid), 폴리인산(Polyphosphoric acid), 폴리에틸렌설폰산 (Polyethylenesulfonic acid), 폴리-3-비닐록시프로펜-1-설폰산 (Poly-3-vinyloxypropane-1-sulfonic acid), 폴리-4-비닐페놀 (Poly-4-vinylphenol), 폴리-4-비닐페닐설폰산(Poly-4-vinylphenyl sulfuric acid), 폴리에틸렌포스포릭산(Polyethyleneohosphoric acid), 폴리말릭산 (Polymaleic acid), 폴리-4-비닐벤조산(Poly-4-vinylbenzoic acid), 메틸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 ethyl 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 methyl cellulose),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 propyl cellulose),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전분(Starch)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브로디법을 이용하여 그래파이트 플레이크를 산처리를 통해 합성하며,
    상기 산처리는 상기 그래파이트 플레이크에 농질산(fuming nitric acid) 또는 황산(sulfuric acid)에 소듐클로레이트(NaClO4) 또는 포타슘퍼망가네이트(KMnO4)를 첨가하여 교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그래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알칼리 용매에 분산시켜 산화그래파이트 분산용액을 만들고, 상기 분산용액 내에서 상기 산화그래파이트를 박리시켜 산화그래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그래핀을 알칼리 용매에 분산 및 박리하여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 내에 탄소 원자들이 2차원 상에서 sp2결합에 의해 연결된 배열의 중심에 양이온을 위치시킴에 의해, 양이온과 sp2영역의 파이구조와의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을 통해 양이온반응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양이온반응 상기 산화그래핀 분산용액을 용매에 중화시킨 후 제조된 용액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습식공정을 통해 환원시킴으로써 산화그래핀환원물 분산용액을 제조하며,
    상기 환원제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수산화암모늄(NH4OH), 수산화붕소나트륨(NaBH4), 히드라진(N2H4), 하이드로아이오닉산(Hydroionic acid), 아스코빅산(Ascovic acid)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구조의 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분산액을 분무건조하여 상기 수용성 폴리머와 물은 증발되고,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 표면을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이 둘러싸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건조는 여러 번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실리콘 금속입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이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건조는 상기 산화그래핀환원물의 사이즈가 상이한 분산용액을 각각 준비한 후, 이를 번갈아가면서 분무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 또는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12. 이차전지용 음극에 있어서,
    집전체와;
    상기 집전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 또는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를 갖는 음극활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KR1020170165221A 2017-12-04 2017-12-04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KR10221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21A KR102212939B1 (ko) 2017-12-04 2017-12-04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CN201880078601.0A CN111433153B (zh) 2017-12-04 2018-11-12 氧化石墨烯还原物质-硅金属粒子复合体、复合体的制造方法以及包含复合体的二次电池用电极
CN202311443857.6A CN117410467A (zh) 2017-12-04 2018-11-12 氧化石墨烯还原物质-硅金属粒子复合体、复合体的制造方法以及包含复合体的二次电池用电极
PCT/KR2018/013677 WO2019112194A1 (ko) 2017-12-04 2018-11-12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US16/891,179 US11742473B2 (en) 2017-12-04 2020-06-03 Reduced graphene oxide-silicon metal particle complex, complex manufacturing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electrode comprising comple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221A KR102212939B1 (ko) 2017-12-04 2017-12-04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747A KR20190065747A (ko) 2019-06-12
KR102212939B1 true KR102212939B1 (ko) 2021-02-04

Family

ID=6675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221A KR102212939B1 (ko) 2017-12-04 2017-12-04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42473B2 (ko)
KR (1) KR102212939B1 (ko)
CN (2) CN111433153B (ko)
WO (1) WO20191121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818A (ko) 2021-02-26 2022-09-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한 이온 전도성 및 자가 치유 능력을 갖는 가교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실리콘 음극용 바인더, 상기 실리콘 음극용 바인더를 포함하는 실리콘 음극 및 상기 실리콘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142B1 (ko) * 2020-02-21 2023-04-06 한국전기연구원 나노 실리콘-그래핀 마이크로 볼 복합음극재 및 이의 제조방법, 마이크로 볼 복합음극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KR102318653B1 (ko) 2021-03-05 2021-10-28 (주)비엠티 전극판 제조방법 및 전극판
KR20230154008A (ko) * 2021-03-15 2023-11-07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호쿠리쿠 센단 가가쿠 기쥬츠 다이가쿠인 다이가쿠 리튬이온 이차 전지 음극용 바인더 조성물, 리튬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및 리튬이온 이차 전지
CN112935243A (zh) * 2021-04-02 2021-06-11 上海津湾科技有限公司 一种用共振分散制备石墨烯/金属基复合粉末的方法
CN113209950A (zh) * 2021-04-22 2021-08-06 福州大学 一种中空还原氧化石墨烯/硅酸镁复合微球及应用
KR102587556B1 (ko) * 2021-08-30 2023-10-11 주식회사 나노실리텍 다공성 나노실리콘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나노실리콘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CN114314576B (zh) * 2021-11-30 2024-03-29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氧化石墨烯羧基功能化改性的方法
CN114613971B (zh) * 2022-03-31 2023-04-07 南京工业大学 一种致密稳定的石榴状硅-石墨烯复合电极材料的制备方法和应用
CN115286952B (zh) * 2022-08-30 2023-10-03 广东一纳科技有限公司 应用于电泳漆的石墨烯复合粉体及其制备方法、以及电泳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393B1 (ko) * 2017-02-09 2017-08-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리콘-탄소-그래핀 복합체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체 및 이를 적용한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5063B2 (en) * 2011-06-30 2018-11-20 Northwestern University Crumpled graphene-encapsulated nanostructures and lithium ion battery anodes made therefrom
KR20130015719A (ko) * 2011-08-04 2013-02-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조동공구조 실리콘 산화물/그래핀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7423B1 (ko) * 2011-11-30 2013-08-14 한국전기연구원 양이온-파이 상호작용에 의해 고농도 분산된 산화 그래핀 환원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2086B1 (ko) * 2012-01-09 2015-03-12 주식회사 예일전자 이차전지 음극재용 실리콘 산화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음극재
KR20140096581A (ko) * 2013-01-28 2014-08-06 (주)월드튜브 코어쉘 구조의 나노 실리콘과 그래핀이 결합된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활물질로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594836B1 (ko) 2014-04-07 2016-02-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금속나노입자복합체,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복합체 및 상기 탄소나노입자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650184B1 (ko) * 2014-12-12 2016-08-2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리콘입자의 회수방법 및 이차전지 음극재의 제조방법
KR101826391B1 (ko) * 2015-03-31 2018-0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실리콘-실리콘옥사이드-탄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4723B1 (ko) 2015-12-30 2016-06-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실리콘-카본-그래핀 복합체의 제조방법
JP6930196B2 (ja) * 2016-04-21 2021-09-01 東レ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リチウムイオン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393B1 (ko) * 2017-02-09 2017-08-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실리콘-탄소-그래핀 복합체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체 및 이를 적용한 이차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818A (ko) 2021-02-26 2022-09-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한 이온 전도성 및 자가 치유 능력을 갖는 가교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실리콘 음극용 바인더, 상기 실리콘 음극용 바인더를 포함하는 실리콘 음극 및 상기 실리콘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747A (ko) 2019-06-12
CN111433153B (zh) 2024-01-05
CN111433153A (zh) 2020-07-17
WO2019112194A1 (ko) 2019-06-13
US20200295344A1 (en) 2020-09-17
CN117410467A (zh) 2024-01-16
US11742473B2 (en)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939B1 (ko)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KR102241526B1 (ko) 산화그래핀 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고밀도 음극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음극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Jiang et al. A high-performance anode for lithium ion batteries: Fe 3 O 4 microspheres encapsulated in hollow graphene shells
TWI694053B (zh) 石墨烯/有機溶劑分散液及其製造方法、以及鋰離子電池用電極的製造方法
TWI483449B (zh)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with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JP6807233B2 (ja) バッテリー電極を形成する方法、及び、バッテリーを形成する方法
TW201711960A (zh) 石墨烯分散液及其製造方法、石墨烯-活性物質複合體粒子的製造方法以及電極用糊的製造方法
JP5853850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材粒子の製造方法
TW201711959A (zh) 石墨烯分散液及其製造方法、石墨烯-活性物質複合體粒子的製造方法以及電極糊的製造方法
US11217792B2 (en) Graphene-enabled metal fluoride and metal chloride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batteries
JP2017518621A (ja) 多孔質シリコン製でナノ構造を有する電極および方法
US10381641B2 (en) Hollow silicon structures for use as anode active materials in lithium-ion batteries
Abbas et al. One-pot synthesis of a composite of monodispersed CuO nanospheres on carbon nanotubes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KR102212969B1 (ko) 폴리머가 첨가된 산화그래핀 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복합체 및 복합체를 이용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재
CN111446431B (zh) 一种氧转移反应增强锂离子电池硅氧碳负极材料的界面接触的方法
KR101751787B1 (ko)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 복합재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JP5888762B2 (ja) 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正極活物質、正極、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442633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複合体又はナトリ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複合体、これらを用いた二次電池、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Zhang et al. Enhanced cyclic stability of Ga2O3@ PDA-C nanospheres as pseudocapacitive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JP2014179176A (ja) 電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444415B1 (ko) 광조사를 통해 형성된 산화그래핀환원물-실리콘 금속입자 복합체, 복합체 제조방법 및 복합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KR20140023858A (ko) 리튬이차전지용 실리콘 복합재 음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Lee et al. Dispersant‐Free Colloidal and Interfacial Engineering of Si‐Nanocarbon Hybrid Anode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Li‐Ion Batteries
KR20180039456A (ko) 산화그래핀 고형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2518142B1 (ko) 나노 실리콘-그래핀 마이크로 볼 복합음극재 및 이의 제조방법, 마이크로 볼 복합음극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