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654B1 -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654B1
KR102207654B1 KR1020190170713A KR20190170713A KR102207654B1 KR 102207654 B1 KR102207654 B1 KR 102207654B1 KR 1020190170713 A KR1020190170713 A KR 1020190170713A KR 20190170713 A KR20190170713 A KR 20190170713A KR 102207654 B1 KR102207654 B1 KR 10220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washing machine
pop
l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하
송지헌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휠체어 사용자를 위해 캐비닛(cabinet)의 전면에 세탁조로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door)가 구비되며, 도어를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닫힘(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열리고, 다시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잠금 상태로 바뀌면서 닫히는 방식의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OPERATING DEVICE FOR POP-UP SLIDING TYPE DOOR OF DRUM WASHER}
본 발명은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세탁기의 도어를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닫힘(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열리고, 다시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잠금 상태로 바뀌면서 닫히는 방식의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수와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을 화학적인 분해작용과 내조(inner basket)의 기계적인 충격작용으로 분리 및 제거하는 것으로, 세탁 방식에 따라 교반식, 와류식 및 드럼식으로 분류한다.
교반식 세탁기는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하고, 와류식 세탁기는 회전조 하부의 펄세이터를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하며, 드럼식 세탁기는 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프트로 세탁물을 들어올렸다가 낙하시킴으로써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한다.
일반적으로 교반식 세탁기와 와류식 세탁기는 위쪽으로 세탁물을 세탁조에 넣는 탑 로딩(top-loading) 방식이며, 드럼식 세탁기는 앞쪽으로 세탁물을 세탁조에 넣는 프론트 로딩(front-loading) 방식이다.
이 중에서 드럼식 세탁기는 교반식이나 와류식 세탁기에 비해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세탁물이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옷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럼식 세탁기는 대개 본체(Cabinet)의 전면에 세탁조로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고, 도어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 로크(door lock)가 장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의 가운데 부분에는 세탁조에 담긴 세탁물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창이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도어와 드럼 사이의 틈에 세탁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 및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탁기 본체의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 도어는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세탁기의 설치 장소가 협소하면 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아 그 볼록한 창 부분이 세탁물 투입구 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거나 빼낼 때 간섭이 발생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개폐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세탁물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부(11)가 형성된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도어(30)의 상단부가 프론트 커버(15)의 전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수직안내기구(40)와, 상기 도어(30)가 수평방향으로 열리도록 지지하는 도어지지기구(50) 및 상기 도어(30)를 자동으로 승강시켜 개폐하는 자동개폐조작기구(60)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드럼세탁기는 도어(30)가 전방으로 비스듬히 누우면서 튀어나오는 구조적 특성상 휠체어 사용자의 경우 도어(30)가 열릴 때 한 발짝 뒤로 물러서거나 한쪽으로 비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수밖에 없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10-0600762 B1(2006.07.06) KR10-0673444 B1(2007.01.17) KR10-0673445 B1(2007.01.17) KR10-0680203 B1(2007.02.01) KR10-2012-0073585 A(2012.07.0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드럼세탁기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으로, 휠체어 사용자가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근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도어의 개폐 시 방해가 되지 않게 뒤로 피하여 옮겨 서거나 한쪽으로 자리를 옮길 필요가 없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드럼세탁기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휠체어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 시 물러서거나 비킬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캐비닛(cabinet)의 전면에 세탁조로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door)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에 장치하는 것으로, 상기 캐비닛(cabinet)의 상부에 내장되고, 중심축선 상에 태핏(tappet)이 형성되고, 상기 태핏의 외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브(lobe)가 형성되며, 상기 로브의 선단에 캠면이 후단에 스토퍼가 형성된 래치(latch), 상기 래치에 한쪽 끝이 고정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도어를 닫힘 해제 상태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spring), 상기 스프링의 다른 쪽 끝을 지지하고 상기 래치와 상기 스프링이 회전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스프링 베어링(spring bearing), 상기 래치와 인접하는 상기 캐비닛(cabinet)의 상부에 내장되고, 상기 캠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로브의 선단이 끼워져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홈과 상기 래치가 미끄러짐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곡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로브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캠 플로우 가이드(cam follower guide)가 형성되며, 안쪽의 둘레에 가이드홈이 다수 형성된 중공관형 가이드 슬리브(guide sleeve), 상기 래치의 회전 및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안쪽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래치의 캠면과 마주하는 면에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로브와 물려 상기 래치를 밀면서 회전시켜 상기 로브의 선단이 상기 정지홈에 끼워져 걸린 상태를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릴리즈(release)가 형성되며, 바깥쪽 둘레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된 레버(lever), 상기 레버의 선단에 고정되고, 벨트가 바퀴를 돌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캐터필러 트랙(caterpillar track) 및 상기 도어에 세로로 설치되고, 상기 캐터필러 트랙의 벨트와 맞물려 상기 도어를 승강 및 고정시키는 랙 슬라이드(rack slide)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휠체어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 시 방해가 되지 않게 뒤로 피하여 옮겨 서거나 한쪽으로 자리를 옮길 필요가 없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근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랙 슬라이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캐터필러 트랙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립(lip)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터필러 트랙의 양쪽에 세로 방향으로 상기 립이 끼워져 벗어나지 않고 미끄러지게 하는 레일홈(rail groove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태핏은 상기 로브의 선단보다 앞쪽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 중 상기 태핏과 마주하는 면의 중심축선 상에 상기 태핏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래치의 안정적인 전후 운동을 유도하는 태핏 가이드(tappet guide)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캐비닛의 전면 중 상기 투입구의 주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전후 폭이 넓고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기울어진 경사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면 중 상기 도어의 하부는 휠체어에 앉은 사용자의 무릎 부위가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가 상체나 휠체어를 돌리는 불편함 없이 드럼세탁기의 정면을 향해 똑바로 앉은 상태로 근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도어의 전면에는 도어의 누르는 위치를 표시하는 누름버튼(push button)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은, 도어를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닫힘(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열리고 다시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잠금 상태로 바뀌면서 닫히며, 아울러 도어를 밀어서 올리거나 내리는 조작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휠체어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 시 물러서거나 비킬 필요없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근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의 하부에 휠체어에 앉은 사용자의 무릎 부위가 들어가는 공간이 있으므로 휠체어 사용자가 상체나 휠체어를 돌리는 불편함 없이 세탁기의 정면을 향해 똑바로 앉은 상태로 근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를 적용한 드럼세탁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의 잠금 해제 전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의 잠금 전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는 캐비닛(10)의 전면에 세탁조(20)로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도어(30)가 투입구(11)를 개폐하는 구조의 드럼세탁기 내에 좌우 한 쌍으로 장치되는 것으로, 크게 래치(40), 스프링(50), 스프링 베어링(60), 가이드 슬리브(70), 레버(80), 캐터필러 트랙(90) 및 랙 슬라이드(100)를 포함하고 있다.
래치(4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내장되어 도어(30)를 누르는 조작에 따라 전후 운동하는 것으로, 중심축선 상에는 레버(80)의 태핏 가이드(83)에 끼워져서 안정적인 전후 운동을 유도하는 원기둥 형상의 태핏(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태핏(41)의 바깥쪽 둘레 일부에는 가이드 슬리브(70)의 정지홈(71) 또는 캠 플로우 가이드(73)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로브(42)가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로브(42)의 선단에는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캠면(43)이 형성되어 있다.
즉, 태핏(41)은 로브(42)의 선단보다 앞쪽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40)의 후단에는 스프링 베어링(60)에서 벗어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50)은 탄성 변형에 의해 도어(30)를 닫힘 해제 상태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스프링 베어링(60)과 가이드 슬리브(70)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그 한쪽 끝이 래치(40)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스프링 베어링(60)에 고정되어 있다.
즉, 스프링(50)은 탄성 작용에 의해 도어(30)를 한번 가압하여 누를 때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되면서 래치(40)의 로브(42)가 가이드 슬리브(70)의 정지홈(71)에 탄력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시키고, 도어(30)를 다시 한번 가압하여 누를 때 탄성 작용으로 래치(40)의 로브(42)를 가이드 슬리브(70)의 정지홈(71)에서 이탈시키면서 캠 플로우 가이드(73)를 따라 밀어서 전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프링(50)으로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탄성고무 등과 같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코일스프링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스프링 베어링(60)은 스프링(50)의 다른 쪽 끝을 지지하고 래치(40)와 스프링(50)이 회전 및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받쳐주기 위해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스프링 베어링(60)의 구멍에는 래치(40)를 지지하면서 부드럽게 회전시키는 베어링 메탈(bearing metal)이 끼워져 있고, 이 베어링 메탈에 스프링(50)의 다른 쪽 끝이 고정되어 있고, 아울러 베어링 메탈의 내면(구멍)에 래치(4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 슬리브(70)는 래치(40)와 레버(80)의 전후 왕복 운동을 유도하고 래치(40)의 회전에도 레버(80)는 회전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공관형으로 이루어져 래치(40)와 인접하는 캐비닛(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가이드 슬리브(70)의 래치(40)의 캠면(43)과 마주하는 면 테두리에는 로브(42)의 선단이 끼워져 걸리는 한 쌍의 정지홈(71)이 그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래치(40)가 미끄러짐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곡선면(72)이 그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지홈(71)과 곡선면(72)은 로브(42)의 캠면(4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브(42)가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한 쌍의 캠 플로우 가이드(73)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슬리브(70)의 안쪽 둘레에는 레버(80)가 회전하지 않고 전후로 왕복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홈(74)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레버(80)는 도어(30)의 누름 조작에 따라 래치(40)를 밀어주고, 래치(40)의 회전 및 전후 이동에 따라 가이드 슬리브(70)의 안쪽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80)의 후면, 즉 래치(40)의 캠면(43)과 마주하는 면에는 도어(30)의 누름 조작에 따라 로브(42)와 물려 래치(40)를 밀면서 회전시켜 로브(42)의 선단이 가이드 슬리브(70)의 정지홈(71)에 끼워져 걸린 상태를 해제시키는 다수의 릴리즈(81)가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80)의 바깥쪽 둘레에는 가이드 슬리브(70)의 가이드홈(74)에 끼워져 레버(80)가 회전하지 않고 가이드 슬리브(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회전방지돌기(82)가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80)의 태핏(41)과 마주하는 면의 중심축선 상에는 태핏(41)이 끼워지는 태핏 가이드(83)가 형성되어 있다.
즉, 태핏 가이드(83)는 래치(40)의 전후 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태핏(41)의 지름보다 약간 큰 안지름을 갖는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터필러 트랙(90)은 도어(30)가 저절로 밀리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외력을 받으면 도어(3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으로, 트레드(tread) 부분에 요철을 갖는 벨트(91)가 바퀴(92)를 무한궤도 방식으로 돌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레버(8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캐터필러 트랙(90)의 양쪽에는 세로 방향으로 랙 슬라이드(100)의 립(101)이 끼워져 벗어나지 않고 미끄러지게 하는 레일홈(93)이 형성되어 있다.
랙 슬라이드(100)는 도어(30)를 승강 및 고정시키기 위해 도어(30)에 세로로 설치되는 것으로, 캐터필러 트랙(90)의 벨트(91)와 맞물리게 일정한 길이를 갖는 곧고 평평한 채널 내에 톱니형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랙 슬라이드(100)의 가장자리에는 캐터필러 트랙(9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립(10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캐비닛(10)의 전면 중 투입구(11)의 주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전후 폭이 넓고 비스듬히 기울어지진 경사면(12)으로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도어(30)는 캐비닛(10)의 기울어진 경사면(12)을 따라 승강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캐비닛(10)의 전면 중 도어(30)의 하부는 휠체어에 앉은 사용자의 무릎 부위가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어(30)의 전면에는 팝업, 즉 도어(30)를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닫힘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닫히는 조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레버(80)와 동일한 높이에 누름버튼(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의 주요 작용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잠금 상태에서는 래치(40)의 로브(42) 선단이 가이드 슬리브(70)의 정지홈(71)에 끼워져 걸리므로 도어(30)는 캐비닛(10)의 투입구(1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50)은 래치(40)가 스프링 베어링(6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므로 압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 시에는 도어(30)의 누름버튼(31)을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캐터필러 트랙(90)과 랙 슬라이드(100)를 매개로 도어(30)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80)가 래치(40)를 후방으로 약간 이동시키므로 래치(40)의 로브(42) 선단이 가이드 슬리브(70)의 정지홈(71)에서 이탈되게 된다.
즉, 도어(30)를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레버(80)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81)가 로브(42)의 캠면(43) 일부분과 밀착되면서 래치(40)를 후방으로 약간 이동시키고, 이렇게 되면 로브(42)의 선단이 가이드 슬리브(70)의 정지홈(71)에서 빠져나와 그 캠면(43)이 가이드 슬리브(70)의 곡선면(72)과 나란하게 위치되어 잠금 해제 전 상태가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0)이 탄성 작용으로 래치(40)를 전방으로 밀어주고, 로브(42)의 캠면(43)이 가이드 슬리브(70)의 곡선면(72)과 서로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면서 모나지 않고 부드럽게 구부러진 형태로 인해 로브(42)의 캠면(43)이 가이드 슬리브(70)의 곡선면(72)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지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50)은 스프링 베어링(60)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래치(40)의 로브(42)가 가이드 슬리브(70)의 캠 플로우 가이드(73)를 따라 안내되면서 접촉 간섭이 해제되어 그 선단의 캠면(43) 일부분이 레버(80)의 릴리즈(81)를 밀어서 일정 거리 이동시켜 도어(30)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레버(80)의 회전방지돌기(82)가 가이드 슬리브(70)의 가이드홈(74)에 끼워져 안내되기 때문에 회전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미끄러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를 다시 한번 가압하여 누르면 레버(80)가 래치(4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스프링(50)의 탄성 작용으로 레버(80)를 자연스럽게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40)의 로브(42) 선단이 가이드 슬리브(70)의 정지홈(71)에 끼워져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캐비닛(10)의 앞으로 밀려 튀어나온 상태에서 도어(30)를 손으로 밀어서 올리면 랙 슬라이드(100)가 캐터필러 트랙(90)의 안내에 따라 상승하여 도어(30)가 개방되게 된다.
이후, 도어(30)를 손으로 내리면 랙 슬라이드(100)가 캐터필러 트랙(90)의 안내에 따라 하강하고, 이 상태에서 도어(30)를 눌러서 밀면 닫히게 된다.
따라서 휠체어 사용자가 도어(30)를 개폐 시 물러서거나 비킬 필요없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근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캐비닛 11: 투입구
20: 세탁조 30: 도어
40: 래치 41: 태핏
42: 로브 43: 캠면
44: 스토퍼 50: 스프링
60: 스프링 베어링 70: 가이드 슬리브
71: 정지홈 72: 곡선면
73: 캠 플로우 가이드 74: 가이드홈
80: 레버 81: 릴리즈
82: 회전방지돌기 83: 태핏 가이드
90: 캐터필러 트랙 91: 벨트
92: 바퀴 93: 레일홈
100: 랙 슬라이드 101: 립

Claims (6)

  1. 캐비닛(cabinet)의 전면에 세탁조로 세탁물을 넣고 뺄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door)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에 장치하는 것으로,
    상기 캐비닛(cabinet)의 상부에 내장되고, 중심축선 상에 태핏(tappet)이 형성되고, 상기 태핏의 외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브(lobe)가 형성되며, 상기 로브의 선단에 캠면이 후단에 스토퍼가 형성된 래치(latch);
    상기 래치에 한쪽 끝이 고정되고,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도어를 닫힘 해제 상태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spring);
    상기 캐비닛(cabinet)의 상부에 내장되고, 상기 스프링의 다른 쪽 끝을 지지하고 상기 래치와 상기 스프링이 회전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스프링 베어링(spring bearing);
    상기 래치와 인접하는 상기 캐비닛(cabinet)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캠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로브의 선단이 끼워져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지홈과 상기 래치가 미끄러짐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곡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로브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캠 플로우 가이드(cam follower guide)가 형성되며, 안쪽의 둘레에 가이드홈이 다수 형성된 중공관형 가이드 슬리브(guide sleeve);
    상기 래치의 회전 및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리브의 안쪽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래치의 캠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도어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로브와 물려 상기 래치를 밀면서 회전시켜 상기 로브의 선단이 상기 정지홈에 끼워져 걸린 상태를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릴리즈(release)가 형성되며, 바깥쪽 둘레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된 레버(lever);
    상기 레버의 선단에 고정되고, 벨트가 바퀴를 돌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캐터필러 트랙(caterpillar track); 및
    상기 도어에 세로로 설치되고, 상기 캐터필러 트랙의 벨트와 맞물려 상기 도어를 승강 및 고정시키는 랙 슬라이드(rack slide);
    를 포함하는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핏은 상기 로브의 선단보다 앞쪽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 중 상기 태핏과 마주하는 면의 중심축선 상에 상기 태핏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래치의 전후 운동을 유도하는 태핏 가이드(tappet guide)가 형성된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 슬라이드의 가장자리에 상기 캐터필러 트랙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립(lip)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캐터필러 트랙의 양쪽에 세로 방향으로 상기 립이 끼워져 벗어나지 않고 미끄러지게 하는 레일홈(rail grooved)이 형성된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 중 상기 투입구의 주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전후 폭이 넓고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의 기울어진 경사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장착된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 중 상기 도어의 하부는 휠체어에 앉은 사용자의 무릎 부위가 들어가는 공간이 형성된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에 누름버튼(push button)이 형성된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KR1020190170713A 2019-12-19 2019-12-19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KR10220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13A KR102207654B1 (ko) 2019-12-19 2019-12-19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713A KR102207654B1 (ko) 2019-12-19 2019-12-19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654B1 true KR102207654B1 (ko) 2021-01-26

Family

ID=7431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713A KR102207654B1 (ko) 2019-12-19 2019-12-19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65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762B1 (ko) 2004-10-22 200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하 자동 개폐식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
KR100673445B1 (ko) 2004-10-2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측 개방형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0673444B1 (ko) 2004-10-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0680203B1 (ko) 2004-10-25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20120073585A (ko)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도어 개폐장치
KR20160057730A (ko) * 2014-11-14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KR20160079441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810826B1 (ko) * 2016-10-12 2017-12-20 주식회사 씨원에스 진열장용 전면유리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762B1 (ko) 2004-10-22 200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하 자동 개폐식 도어를 갖는 드럼 세탁기
KR100673444B1 (ko) 2004-10-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0673445B1 (ko) 2004-10-2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측 개방형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100680203B1 (ko) 2004-10-25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KR20120073585A (ko)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도어 개폐장치
KR20160057730A (ko) * 2014-11-14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KR20160079441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810826B1 (ko) * 2016-10-12 2017-12-20 주식회사 씨원에스 진열장용 전면유리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3137B1 (en) Washing machine
US956770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471991B1 (en) Washing machine
KR101821208B1 (ko) 의류처리장치
CN107254763B (zh)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US2017000939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40159559A1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102207654B1 (ko)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US10988891B2 (en) Washing machine
CN107177961B (zh)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KR100444954B1 (ko) 도어 잠금장치를 갖춘 세탁기
CN107287835B (zh) 一种推弹式洗涤剂盒及洗衣机
JP406842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438066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CN117365195A (zh) 具有自修复功能的门锁
JP200911894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311406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JP4337601B2 (ja) 脱水機
KR101933834B1 (ko) 문설치용 안전바
JP4474819B2 (ja) 食器洗浄機
JP2008178577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KR20150137663A (ko) 세탁기
KR102350183B1 (ko) 세탁기
KR10071984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