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332B1 -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 Google Patents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332B1
KR102203332B1 KR1020200174769A KR20200174769A KR102203332B1 KR 102203332 B1 KR102203332 B1 KR 102203332B1 KR 1020200174769 A KR1020200174769 A KR 1020200174769A KR 20200174769 A KR20200174769 A KR 20200174769A KR 102203332 B1 KR102203332 B1 KR 102203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trim
head
trim member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696A (ko
Inventor
이선구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4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3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Panel 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는, Z축 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차단된 제1 트림부재와 제2 트림부재를 포함하고, 제1 트림부재에는, 제2 트림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돌출부와 이격된 이격리브; 및 돌출부와 연결된 제1 연결리브가 형성되며, 제2 트림부재에는, 이격리브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경계를 형성하는 제1 구속부; 및 제1 연결리브의 X축 방향 유동을 차단하는 제2 구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DOOR TRIM ASSEMBLY WITH STRUCTURAL CONSTRAINTS}
본 발명은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어 트림(door trim)은 도어 패널을 감싸는 부재(部材)를 이른다. 패널 전체를 감싸는 풀 트림과 패널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하프 트림이 있다. 구조에 따라는 도어 패널에 트림을 붙이기만 한 넓적한 도어 트림과 암 레스트 등을 일체로 성형한 성형(成形) 도어 트림으로 나누어진다. 도어 트림은 실내 장식뿐 아니라 차음(遮音), 흡읍(吸音), 충돌시 승객 보호 등의 기능을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32963호는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도어트림을 개시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732963호는, 차량의 도어패널에 결합되는 도어트림으로서, 메인트림; 메인트림의 하부에 결합되는 로어트림; 및 메인트림과 일체로 형성되고, 로어트림과 도어패널 사이에서 로어트림과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사출임팩트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732963호를 참조하면, 메인트림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보스가 구비되고, 로어트림에는 보스가 삽입되는 다수의 홀부가 형성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스는 홀부의 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열융착지그에 의해 용해되어 홀부와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66878호는 이중 지지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융착구조를 개시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566878호는, 제1 모재와 제2 모재가 상호 융착하여 결합되는 도어트림 융착구조에 있어서, 제1 모재에서 돌출형성되는 보스; 제2 모재에 형성되어 보스가 끼워지는 체결공; 보스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지지체; 보스 하단 주변 및 체결공 주변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제2 지지체; 및 보스 하단 주변 및 체결공 주변 중 나머지 하나에 꼭 맞게 형성되어 제2 지지체가 끼워지는 지지홈을 포함하고, 체결공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보스의 단부가 용융된 후 경화되어 제1 모재와 제2 모재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566878호는, 상호 보완적인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형태의 이중 지지구조를 통해 제1,2 모재 간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협소한 영역에서도 해당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의 증대에 따른 외관품질의 향상이 기대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사출 성형성이 확보될 수 있고, 이중으로 유격발생을 저감시킴에 따라 진동에 의한 소음 및 파손을 저감할 수 있으며, 보스 단부의 열융착 상태와 무관한 이중 구조로 인해 보스 단부가 불완전하게 열융착되더라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566878호에서, 제2 지지체는 후술할 지지홈에 꼭 맞게 끼워짐으로써 제1 지지체와 함께 체결공과 보스 사이의 유격 발생을 2차적으로 방지하여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의 수평,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을 이중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의 상대 회전까지도 억제하나, 제2 지지체가 단순히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를 형성하므로 차량의 운행시간이 경과하면서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 유동이 꾸준히 반복되는 경우 쉽게 마모되어 유동에 대한 구속구조를 쉽게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32963호 (등록일: 2017.04.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66878호 (등록일: 2015.11.02)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차단된 제1 트림부재와 제2 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림부재에는, 상기 제2 트림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이격된 이격리브; 및 상기 돌출부와 연결된 제1 연결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트림부재에는, 상기 이격리브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경계를 형성하는 제1 구속부; 및 상기 제1 연결리브의 X축 방향 유동을 차단하는 제2 구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트림부재에는,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리브와 이격된 제2 연결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트림부재에는, 상기 제2 연결리브의 X축 방향 유동을 차단하는 제3 구속부; 및 상기 제2 구속부와 상기 제3 구속부를 연결하는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격리브는, 상기 제1 연결리브와 Y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이격부; 상기 제2 연결리브와 Y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이격부; 및 상기 돌출부와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이격부와 상기 제2 이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속부에는, 상기 제1 이격부와 상기 제2 이격부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트림부재와 상기 제2 트림부재는 결합부재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차단되고, 상기 제1 트림부재에는 제1 암나사부와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트림부재에 걸리는 헤드; 상기 헤드와 함께 정방향 회전하여 상기 제1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고,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결합몸체; 및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몸체과 상기 이동몸체 간 상대회전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면에 의해 구속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암나사부의 리드는 상기 제2 암나사부의 리드보다 길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이동몸체를 상기 헤드와 반대쪽으로 미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몸체의 상기 헤드와 반대쪽 슬라이드 이동을 막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제2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헤드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헤드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상기 헤드와 반대쪽 슬라이드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헤드의 역방향 회전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결합몸체에 장착된 환형장착부; 및 상기 환형장착부에서 상기 이동몸체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헤드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몸체에는 상기 팁부의 끝단이 걸리는 홈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구속부가 이격리브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경계를 형성하고, 제2 구속부가 상기 제1 연결리브의 X축 방향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제1 트림부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제2 트림부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도 8은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결합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는,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제1 트림부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제2 트림부재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10)는,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트림부재(100), 제2 트림부재(200) 및 제3 트림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어 트림(door trim)은 도어 패널을 감싸는 부재를 가리킨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329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 트림은 메인트림, 로어트림, 사출임팩트패드 등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제1732963호에 개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 트림은 추가적인 패드, 브래킷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제1 트림부재(100), 제2 트림부재(200) 및 제3 트림부재(300)는 상술한 메인트림, 로어트림, 사출임팩트패드, 추가적인 패드, 브래킷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은 제1 트림부재(100)와 제2 트림부재(200)의 구속구조 보강기술에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채로운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제3 트림부재(300)를 더 도시하였다. 즉, 제3 트림부재(300)는 본 발명의 주요한 기술과 연관성이 낮으므로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제1 트림부재(100)와 제2 트림부재(200) 간 상대이동 차단을 3차원 상에서 의미가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서, 3차원 직교좌표의 서로 직교하는 3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림부재(100), 제2 트림부재(200) 및 제3 트림부재(300)는 결합부재(400)의 체결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일반적인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트림부재(100)에는 암나사부(N)가, 제2 트림부재(200)에는 관통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400)는 헤드(410)가 제2 트림부재(200)에 걸린 상태에서 관통홀(201)을 통해 암나사부(N)에 나사결합된다. 제3 트림부재(300)에도 결합부재(400)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림부재(100), 제2 트림부재(200) 및 제3 트림부재(300)는 보스(B)의 열융착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트림부재(100)에는 보스(B)가 구비되고, 제2 트림부재(200)에는 보스(B)가 삽입되는 보스홀(BH)이 형성될 수 있다. 보스(B)는 보스홀(BH)을 통과한 상태에서 열융착지그(미도시)에 의해 용해되어 제2 트림부재(200) 및 제3 트림부재(300)와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제3 트림부재(300)에도 보스(B)와 보스홀(BH)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P는 도어트림 조립체(10)를 도어 패널에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패스너를 의미하고, 미설명된 도면부호 PB는 패스너가 끼움결합되는 패스너 브래킷을 의미한다. 패스너와 패스너 브래킷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942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림부재(100)에는 돌출부(100P), 이격리브(110), 제1 연결리브(120) 및 제2 연결리브(130)가 형성된다. 돌출부(100P)는 제1 트림부재(100)의 상면에서 제2 트림부재(200)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리브(110), 제1 연결리브(120) 및 제2 연결리브(130)도 제1 트림부재(100)의 상면에서 제2 트림부재(200)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격리브(110)는 돌출부(100P)와 이격되고, 제1 연결리브(120) 및 제2 연결리브(130)는 각각 돌출부(100P)와 연결된다.
이격리브(110)는 제1 이격부(111), 제2 이격부(112) 및 연결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이격부(111)는 제1 연결리브(120)와 Y축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2 이격부(112)는 제2 연결리브(130)와 Y축 방향으로 이격된다. 연결부(113)는 돌출부(100P)와 반대쪽에서 제1 이격부(111)와 제2 이격부(112)를 연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격부(111)와 제1 연결리브(120)의 하부는 제1 바텀리브(R1)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이격부(112)와 제2 연결리브(130)의 하부는 제2 바텀리브(R2)에 의해 연결된다.
제1 바텀리브(R1)는 제1 이격부(111)와 제1 연결리브(120)의 하부를 연결하여 이격리브(110)에 인가되는 외력을 분산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2 바텀리브(R2)는 제2 이격부(112)와 제2 연결리브(130)의 하부를 연결하여 이격리브(110)에 인가되는 외력을 분산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트림부재(200)에는 제1 구속부(210), 제2 구속부(220), 제3 구속부(230) 및 보강부(240)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속부(210)는 이격리브(110)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경계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X축 및 Y축 방향에서 이격리브(110)의 주위를 에워싸는 형태를 형성한다.
제1 구속부(210)에는, 제1 이격부(111)와 제2 이격부(112) 사이에서 연결부(113)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부는 제1 이격부(111), 제2 이격부(112) 및 연결부(113)에 의해 둘러싸여 유동이 제한된다.
제2 구속부(220)는 제1 연결리브(120)의 X축 방향 유동을 차단하고, 제3 구속부(230)는 제2 연결리브(130)의 X축 방향 유동을 차단한다. 보강부(240)는 제2 구속부(220)와 제3 구속부(230)를 연결하여 제2 구속부(220)와 제3 구속부(230)의 강성을 강화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속부(220)는 X축 방향에서 제1 연결리브(120)의 양쪽 면과 접촉면을 형성하고, 제3 구속부(230)는 X축 방향에서 제2 연결리브(130)의 양쪽 면과 접촉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이격부(111)와 제1 구속부(210), 제1 연결리브(120)와 제2 구속부(220), 제2 연결리브(130)와 제3 구속부(230)는 각각 Y방향으로 접촉면을 형성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566878호에서, 제2 지지체는 후술할 지지홈에 꼭 맞게 끼워짐으로써 제1 지지체와 함께 체결공과 보스 사이의 유격 발생을 2차적으로 방지하여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의 수평,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을 이중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의 상대 회전까지도 억제하나, 제2 지지체가 단순히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를 형성하므로 차량의 운행시간이 경과하면서 제1 몸체와 제2 몸체 간 유동이 꾸준히 반복되는 경우 쉽게 마모되어 유동에 대한 구속구조를 쉽게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10)는, 이격리브(110)와 제1 구속부(210), 제1 연결리브(120)와 제2 구속부(220), 제2 연결리브(130)와 제3 구속부(230)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접촉면을 형성하여 서로 유동을 구속하는 한편, 제1 구속부(210)가 이격리브(110)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경계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견고히 유지함에 따라,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은 도 1의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결합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400)는 헤드(410), 결합몸체(420), 이동몸체(430), 탄성부재(440) 및 차단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헤드(410)는 제2 트림부재(200)에 걸리는 구성으로서, 공지된 볼트의 헤드(4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림부재(100)에는 제1 암나사부(N1)와 제2 암나사부(N2)가 형성된다. 제1 암나사부(N1)는 결합몸체(420)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제2 암나사부(N2)는 이동몸체(430)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를 형성한다. 제2 암나사부(N2)는 제1 암나사부(N1)의 안쪽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결합몸체(420)는 제1 암나사부(N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헤드(410)와 일체로 이루어져 헤드(410)와 함께 회전한다. 결합몸체(420)는 헤드(410)의 정방향 회전시 제1 암나사부(N1)에 나사결합된다. 즉, 결합몸체(420)는 헤드(410)의 역방향 회전시 제1 암나사부(N1)에서 풀린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몸체(420)에는 슬라이드홈(421)이 형성된다. 슬라이드홈(421)은 이동몸체(4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분으로, 비대칭 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421)은 사각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몸체(420)과 이동몸체(430) 간 상대회전은 슬라이드홈(421)의 내면에 의해 구속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몸체(430)는 슬라이드홈(421)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2 암나사부(N2)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이동부(431), 나사부(432) 및 홈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부(431)는 슬라이드홈(4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슬라이드홈(421)의 형태에 대응하는 비대칭 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도 8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421)이 사각 단면 형태로 형성된 경우, 이동부(431)는 사각 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부(431)는 형태적 구속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드홈(421)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432)는 제2 암나사부(N2)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이동부(431)에서 제2 암나사부(N2)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형성한다. 홈부(433)는 차단부재(450)에 의해 걸리는 구성으로서, 이동부(431)와 나사부(432)를 연결하는 형태를 형성한다. 홈부(433)는 차단부재(450)의 팁부(452)의 끝단이 걸리는 복수의 홈을 형성한다.
탄성부재(440)는 이동몸체(430)를 헤드(410)와 반대쪽으로 미는 구성으로서,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440)는 슬라이드홈(4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몸체(430)를 헤드(410)와 반대쪽으로 미는 탄성 회복력을 형성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450)는 이동몸체(430)의 헤드(410)와 반대쪽 슬라이드 이동을 막는 구성으로서, 환형장착부(451) 및 팁부(4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형장착부(451)는 결합몸체(420)에 장착되는 부분으로, 글자그대로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몸체(420)에는 환형장착부(451)를 장착하기 위한 캡부재(460)가 조립된다.
캡부재(460)는 슬라이드홈(421)의 입구에 나사결합된다. 환형장착부(451)는, 캡부재(460)가 슬라이드홈(421)의 입구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캡부재(460)와 결합몸체(420)의 단턱 사이에 고정된다.
팁부(452)는 환형장착부(451)에서 이동몸체(430)를 향해 돌출되되 헤드(410)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다. 따라서, 팁부(452)는, 이동몸체(430)가 헤드(410)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홈부(433)에 밀려 쉽게 휨 변형된다. 반면 팁부(452)는, 이동몸체(430)가 헤드(410)와 반대쪽으로 이동하려 할 때에는 끝단이 홈부(433)에 걸려 이동몸체(430)의 이동을 차단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410)의 정방향 회전시 결합몸체(420)는 제1 암나사부(N1)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이동부(431)는 결합몸체(420)와 함께 회전하므로, 나사부(432)는 제2 암나사부(N2)에 나사결합된다.
제1 암나사부(N1)의 리드는 제2 암나사부(N2)의 리드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410)의 정방향 회전시 이동몸체(430)는 제2 암나사부(N2)에 나사결합되면서 헤드(41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40)는 압축변형된다.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헤드(410)의 역방향 회전시 이동몸체(430)는 차단부재(450)에 의해 헤드(410)와 반대쪽 슬라이드 이동이 차단되어 헤드(410)의 역방향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결합몸체(420)와 이동몸체(430)는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결합몸체(4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려면, 이동몸체(430)도 역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제1 암나사부(N1)의 리드는 제2 암나사부(N2)의 리드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결합몸체(4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몸체(430)는 슬라이드홈(421) 내에서 헤드(410)와 반대쪽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동몸체(430)의 헤드(410)와 반대쪽 슬라이드 이동은 차단부재(450)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차량의 진동에너지 등에 의해 결합부재(400)에 역방향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결합부재(400)는 풀리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결합부재(400)의 풀림현상이 견고하게 방지된다.
차단부재(450)는 소모성 부재로서, 얇은 금속 판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정비시와 같이 결합부재(400)를 분리시켜야 할 경우, 작업자가 공구를 통해 헤드(4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팁부(452)가 소성 변형되면서 결합부재(400)는 제1 암나사부(N1) 및 제2 암나사부(N2)에서 풀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구속부가 이격리브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경계를 형성하고, 제2 구속부가 상기 제1 연결리브의 X축 방향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도어트림 조립체
100 : 제1 트림부재 300 : 제3 트림부재
100P : 돌출부 400 : 결합부재
110 : 이격리브 410 : 헤드
111 : 제1 이격부 420 : 결합몸체
112 : 제2 이격부 421 : 슬라이드홈
113 : 연결부 430 : 이동몸체
R1 : 제1 바텀리브 431 : 이동부
R2 : 제2 바텀리브 432 : 나사부
120 : 제1 연결리브 433 : 홈부
130 : 제2 연결리브 440 : 탄성부재
N : 암나사부 450 : 차단부재
N1 : 제1 암나사부 451 : 환형장착부
N2 : 제2 암나사부 452 : 팁부
200 : 제2 트림부재 460 : 캡부재
210 : 제1 구속부 B : 보스
220 : 제2 구속부 BH : 보스홀
230 : 제3 구속부
240 : 보강부
201 : 관통홀
211 : 돌기부

Claims (3)

  1. 결합부재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차단된 제1 트림부재와 제2 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림부재에는, 상기 제2 트림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이격된 이격리브; 및 상기 돌출부와 연결된 제1 연결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트림부재에는, 상기 이격리브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경계를 형성하는 제1 구속부; 및 상기 제1 연결리브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평면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연결리브의 X 및 Y축 방향 유동을 차단하는 제2 구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트림부재에는,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리브와 이격된 제2 연결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트림부재에는, 상기 제2 연결리브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평면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연결리브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을 차단하는 제3 구속부; 및 상기 제2 구속부와 상기 제3 구속부를 연결하는 보강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리브는, 상기 제1 연결리브와 Y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1 이격부; 상기 제2 연결리브와 Y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2 이격부; 및 상기 돌출부와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이격부와 상기 제2 이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평면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구속부는, 상기 이격리브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이격부와 상기 제2 이격부 사이에서 상기 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격리브의 X축 및 Y축 방향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1 트림부재에는, 제1 암나사부와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트림부재에 걸리는 헤드;
    상기 헤드와 함께 정방향 회전하여 상기 제1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고, 슬라이드홈이 형성된 결합몸체; 및
    상기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이동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몸체과 상기 이동몸체 간 상대회전은 상기 슬라이드홈의 내면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나사부의 리드는 상기 제2 암나사부의 리드보다 길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이동몸체를 상기 헤드와 반대쪽으로 미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몸체의 상기 헤드와 반대쪽 슬라이드 이동을 막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제2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헤드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상기 헤드의 역방향 회전시,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상기 헤드와 반대쪽 슬라이드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헤드의 역방향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결합몸체에 장착된 환형장착부; 및
    상기 환형장착부에서 상기 이동몸체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헤드 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몸체에는 상기 팁부의 끝단이 걸리는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KR1020200174769A 2020-12-14 2020-12-14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KR10220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69A KR102203332B1 (ko) 2020-12-14 2020-12-14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69A KR102203332B1 (ko) 2020-12-14 2020-12-14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209A Division KR102194535B1 (ko) 2018-12-18 2018-12-18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96A KR20210000696A (ko) 2021-01-05
KR102203332B1 true KR102203332B1 (ko) 2021-01-18

Family

ID=7414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769A KR102203332B1 (ko) 2020-12-14 2020-12-14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3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9939A1 (ja) 2013-06-13 2014-12-1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イニング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878B1 (ko) 2014-12-23 2015-11-10 덕양산업 주식회사 이중 지지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KR101732963B1 (ko) 2015-11-04 2017-05-10 덕양산업 주식회사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9939A1 (ja) 2013-06-13 2014-12-1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イニング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96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517B2 (en) Front grille for a vehicle
JP5870991B2 (ja) 車両用部材の取付け構造及びリヤスポイラの取付け構造
CN100406329C (zh) 罩顶封板
JP2008254635A (ja) 衝撃吸収部材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US9738241B2 (en) Bumper absorber attachment structure
KR102203332B1 (ko)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KR102194535B1 (ko) 구속구조 보강형 도어트림 조립체
JP5772440B2 (ja) バッテリ載置構造
EP2441650B1 (en) Cowl louver sealing structure
KR20060016346A (ko) 글로브 박스용 니 볼스터 장착구조
JP6540529B2 (ja) 車両用内装部品
KR102331674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에 fmh를 장착하는 구조
US9366385B2 (en) Telescopic-cover fixture
JP2003212070A (ja) 車両用バンパの取付構造
JP2012144125A (ja) 車両用導風ガイド構造
KR100740772B1 (ko) 차량용 온도조절기의 충격 흡수 장치
JP2016168890A (ja) バンパアブソーバ構造
JP2014012471A (ja) スポイ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150885A (ja) 車両のバンパフェイシア構造
US10766432B2 (en) Door trim
JP5698174B2 (ja) 車両用内装材
KR20170062885A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흡수부재 조립구조
JP5966739B2 (ja) フロントバンパ用グリル取付構造
JP2006290280A (ja) 車両用吸気ダクト
KR102279604B1 (ko) 블록타입 차체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