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249B1 -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 Google Patents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249B1
KR102203249B1 KR1020170129129A KR20170129129A KR102203249B1 KR 102203249 B1 KR102203249 B1 KR 102203249B1 KR 1020170129129 A KR1020170129129 A KR 1020170129129A KR 20170129129 A KR20170129129 A KR 20170129129A KR 102203249 B1 KR102203249 B1 KR 10220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attery
connection plate
electrode terminal
battery cel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411A (ko
Inventor
유재욱
강달모
김수창
문정오
유재민
윤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2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49B1/ko
Priority to US16/603,450 priority patent/US11296390B2/en
Priority to EP18865434.7A priority patent/EP3637494A4/en
Priority to PCT/KR2018/011710 priority patent/WO2019074234A1/ko
Priority to CN201880031675.9A priority patent/CN110651379B/zh
Priority to JP2019560142A priority patent/JP7045563B2/ja
Publication of KR2019004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01M50/56Cup 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1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인 원통형 전지셀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은, 상단 외주부와 중심부에 각각 극성이 서로 다른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가 형성된 원통형 전지셀로서, 전극 조립체; 전지 케이스; 캡 조립체; 및 상기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캡 조립체의 상부에 탑재되고 절연성 소재를 구비한 캡 하우징, 및 상기 캡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제2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접속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Connection Cap}
본 발명은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인 원통형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세퍼레이터/음극의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크게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는데, 디바이스의 소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적합한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로 구성된 배터리 모듈의 제조 분야에서는, 공정 단순화 및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해, 원통형 전지셀의 상단면에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모두를 버스바와 접속 연결하는 구조로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원통형 전지셀의 일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원통형 전지셀(1)은, 음극(3), 양극(5), 이러한 음극(3) 및 양극(5) 사이에 세퍼레이터(7)가 배치된 구조의 전극 조립체(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극 조립체(9)를 전지 케이스(15) 내부에 위치시키고 전해질(도시하지 않음)을 주입하여 음극(3), 양극(5) 및 세퍼레이터(7)가 전해질에 함침되도록 함으로써, 원통형 전지셀(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음극(3) 및 양극(5)에는 전지 작용시 발생하는 전류를 집전하기 위한 도전성 리드 부재(10, 13)가 각기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리드 부재(10, 13)는 각각 양극(5) 및 음극(3)에서 발생한 전류를 양극 단자(6) 및 음극 단자(8)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통형 전지셀(1)의 상단의 외주변에 형성된 전극 단자(8)의 폭이 매우 좁아서, 전도체 금속 부재인 버스바 등과의 용접 공정이 매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하는 접합 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불량률이 높아지는 원인이 되었고, 이에 따라, 제조 비용 상승에 큰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높인 원통형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은,
상단 외주부와 중심부에 각각 극성이 서로 다른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가 형성된 원통형 전지셀로서,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전해액을 함침한 상태로 내장되어 있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캡 조립체의 상부에 탑재되고 절연성 소재를 구비한 캡 하우징, 및 상기 캡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제2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접속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면이 하부 방향으로 만입 되도록 구성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를 수납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1 탑재부;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를 수납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탑재부; 및 상기 제1 탑재부 및 상기 제2 탑재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1 탑재부 및 제2 탑재부 사이에 형성된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외주부에 형성된 제1 전극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외주변 노출부; 및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제2 전극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중앙 노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는, 하면이 상기 전극 단자의 외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 각각에 위치된 전극 단자 용접부; 및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면이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버스바 용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속 캡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의 상면의 일부를 덮어 고정하도록 상기 캡 하우징에 결합 고정된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고정 커버의 고정 위치를 가이드 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커버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의 전극 단자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외주변 용접홈;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의 전극 단자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중앙 용접구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캡 하우징의 수용부에는, 상기 고정 커버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하우징의 외벽에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 복수개의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 배열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열 가이드부는, 상기 캡 하우징의 좌우 방향의 양측 외벽에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 복수개의 좌우 방향의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좌우 방향의 일면이 평탄한 평탄 융기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하우징의 전후 방향의 외측벽에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 복수개의 전후 방향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 삼각 돌기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을 복수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원통형 전지셀은,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제2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접속 캡을 구비함으로써, 전극 단자와 버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용접 공정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통형 전지셀은, 제조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량률을 효과적을 줄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제조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캡 하우징은,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제2 접속 플레이트를 원통형 전지셀 상부에 탑재하기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탑재 후에도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탑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를 원통형 전지셀 또는 버스바와 접합하는 공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캡 하우징은,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제2 접속 플레이트 각각이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배치를 가이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공정시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가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어, 용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고정 커버는, 상기 캡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맞춰 고정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캡 하우징에는 고정 커버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커버를 상기 캡 하우징의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턱에 형성된 스토퍼가 고정 커버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어, 추후 용접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원통형 전지셀에 형성된 배열 가이드부를 이용하여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원통형 전지셀들의 배열을 바르고 손쉽게 정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원통형 전지셀의 일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의 일부 구성인 고정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통형 전지셀(100)은, 전지 케이스(130), 전극 조립체(120), 캡 조립체(140), 및 접속 캡(15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지 케이스(13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경량의 전도성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지 케이스(130)는, F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상단이 개방된 개방부와 그와 대향하는 밀폐된 원통형 바닥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내면과 외면에는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 후, 좌, 우, 상, 하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관측자의 위치나 대상의 놓여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F 방향으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하여,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의 방향을 구분하여 나타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지 케이스(130)의 내부 공간에는 전해액을 함침한 상태로 전극 조립체(12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120)는,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조립체(120)는 젤리 롤 형태로 권취되어 배치되므로 젤리 롤이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 조립체(120)의 전극판들은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및 가소제 등이 용매에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극 조립체(120)에는, 전극판들이 감기는 방향으로 집전체의 시작단과 끝단에는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는 무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무지부에는 각각의 전극판에 대응되는 전극 리드(도 4에는 양극 리드(146)만이 도시되어 있음)가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양극 리드(146)는 전극 조립체(120)의 개방 상단에 장착된 캡 조립체(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 리드(도시하지 않음)는 전극 조립체(120)와 연결되어 전지 케이스(130)에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된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140)는 탑 캡(141), 가스켓(142), 안전벤트(143), 안전소자, 전류차단부재, 및 절연부재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전지 케이스(130)의 상단에는 클림핑 부분(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림핑 부분(145)은, 캡 조립체(140)를 전지 케이스(130)의 개방 상단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림핑 부분(145)은 내측면에 위치하는 가스켓(14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 조립체(140)를 상기 전지 케이스(130) 상부에 장착하기 위해 클림핑(crimping) 및 프레싱 공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전지 케이스(130)의 클림핑 부분(145)의 상면은 제1 전극 단자(111)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상단 외주부는 제1 전극 단자(111)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상단의 원형의 외주변부는 전극 조립체(130)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전극 단자(111)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 캡(141)은, 캡 조립체(140)의 최상부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120)의 양극과 전기적 연결되어 외부와 전류를 전도할 수 있는 제2 전극 단자(112)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극 단자(112)는, 상기 캡 조립체(140)의 탑 캡(14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 캡(141)은 전극 조립체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2 전극 단자(112)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탑 캡(141)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100)은,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고,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기타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음극은 또한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재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여기서, 상기 접속 캡(150)은, 캡 하우징(151),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하우징(151)은 절연성 소재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캡 하우징(151)은, 상기 전지 케이스(130), 상기 캡 조립체(140),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와 접촉하는 부위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캡 하우징(151)은 전체적으로 전기 절연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캡 하우징(151)은, 상기 전지 케이스(130) 및 상기 캡 조립체(140)의 상부에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는 상기 캡 하우징(15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 하우징(151)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면이 하부 방향으로 만입 되도록 구성된 수용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하우징(151)은, 상기 전지 케이스(130)의 외측벽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 외측벽(151C)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캡 하우징(151) 상단의 원형의 외주변부는 상기 캡 하우징(151)의 외측벽(151C)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52)는, 제1 탑재부(152A), 제2 탑재부(152B), 및 구획부(15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탑재부(152A)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를 수납 고정하도록 구획부(152C)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탑재부(152A)는 상기 구획부(152C)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낮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탑재부(152A)의 상부면과 상기 구획부(152C)의 상부면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탑재부(152A)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의 적어도 일부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 내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탑재부(152B)는,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를 수납 고정하도록 상기 구획부(152C)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탑재부(152B)는 상기 구획부(152C)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낮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탑재부(152B)의 상부면과 상기 구획부(152C)의 상부면은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탑재부(152B)는,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적어도 일부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 내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구획부(152C)는, 상기 제1 탑재부(152A) 및 상기 제2 탑재부(152B)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1 탑재부(152A) 및 상기 제2 탑재부(152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152C)는, 상기 제1 탑재부(152A) 및 상기 제2 탑재부(152B)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탑재부(152A) 및 상기 구획부(152C) 사이에는 격벽(W)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를 상기 캡 하우징(151)의 수용부(152)에 탑재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탑재 후에도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탑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를 원통형 전지셀(100) 또는 버스바와 접합하는 공정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캡 하우징(151)은, 외주변 노출부(153A) 및 중앙 노출부(153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주변 노출부(153A)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외주부에 형성된 제1 전극 단자(11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외주변 노출부(153A)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가 상기 제1 전극 단자(111)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접촉)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주변 노출부(153A)는, 상기 제1 전극 단자(111)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부(152C)의 전후 방향의 양단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탑재부(152A)에 탑재된 제1 접속 플레이트(155A)의 일부위는 상기 구획부(152C)의 간섭 없이 상기 제1 전극 단자(11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노출부(153B)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상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제2 전극 단자(1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중앙 노출부(153B)는,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가 상기 제2 전극 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중앙 노출부(153B)는, 상기 제2 전극 단자(112)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구획부(152C)의 중앙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탑재부(152B)에 탑재된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일부위는 상기 구획부(152C)의 간섭 없이 상기 제2 전극 단자(112)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 노출부(153B)와 상기 제2 탑재부(152B) 사이에는 격벽이 없고, 상기 제2 전극 단자(112)의 상부면과 상기 제2 탑재부(152B)의 상부면이 서로 나란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전극 단자(112)의 상부면이 상기 제2 탑재부(152B)의 상부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캡 하우징(151)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 각각이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공정시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가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어, 용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는, 전극 단자 용접부(156) 및 버스바 용접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156)는, 하면이 상기 제1 전극 단자(111) 또는 상기 제2 전극단자(112)의 외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전극 단자(111) 또는 상기 제2 전극단자(1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용접부(157)는,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156)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면이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버스바 용접부(157)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 복수개를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는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상단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버스바 용접부(157)는, 상기 제1 탑재부(152A) 또는 상기 제2 탑재부(152B)의 상면에 위치되는 부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의 버스바 용접부(157)는 상기 제1 탑재부(152A) 상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156)는, 상기 버스바 용접부(157)의 전후 방향의 양단부 각각에서 우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는 상기 제1 전극 단자(111)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전극 단자(111)의 상면과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버스바 용접부(157)는 상기 제2 탑재부(152B) 상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버스바 용접부(157)의 중앙에서 좌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전극 단자 용접부(15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156)는 상기 제2 전극 단자(112)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전극 단자(112)의 상면과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는 전극 단자 용접부(156) 및 버스바 용접부(157)를 구비함으로써, 전극 단자와 접속 플레이트 간의 용접 공정 및 버스바 등의 외부 도전체와 상기 접속 플레이트 간의 용접 공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제1 전극 단자(111)의 폭(너비)이 좁아 발생될 수 있는 용접 불량 내지 용접 작업이 까다로워지는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의 외주에는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156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록부(156B)는, 상기 캡 하우징(151)의 외주변 노출부(153A) 또는 중앙 노출부(153B)에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156)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156B)는 양측 외주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와 함께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의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156) 외주에는 외주변 노출부(153A) 사이에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156)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2개의 볼록부(156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캡 하우징(151)의 외주변 노출부(153A) 또는 중앙 노출부(153B)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 각각과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 간의 용접 접합 공정의 신뢰도를 높이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와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 캡(150)은, 상기 캡 하우징(151)에 결합 고정된 고정 커버(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커버(158)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상면의 일부를 덮어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하우징(151)은, 상기 고정 커버(158)의 고정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51B)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하우징(151)의 구획부(152C)에는 2개의 가이드 돌기(151B)가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커버(158)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5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고정구(H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커버(158)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51B)가 삽입되도록 2개의 고정구(H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 커버(158)는, 상기 캡 하우징(151)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51B)를 맞춰 고정구(H1)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커버(158)는, 외주변 용접홈(H2) 및 중앙 용접구(H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주변 용접홈(H2)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주변 용접홈(H2)은, 상기 고정 커버(158)의 상기 캡 하우징(151)과 접하고 있는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용접구(H3)는,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용접구(H3)는 상기 고정 커버(158)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 커버(158)는, 효과적으로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제2 접속 플레이트(155B)를 캡 하우징(151)의 수용부(152)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주변 용접홈(H2) 및 중앙 용접구(H3) 등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와 상기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 간의 용접 작업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일부 구성들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캡 하우징(151)의 수용부(152)에는, 상기 수용부(15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걸림턱(151D)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턱(151D)은, 상기 캡 하우징(151)의 수용부(152)의 내면에서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턱(151D)은, 상기 캡 하우징(151) 상단의 외주부와 접하고 있는 상기 수용부(15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걸림턱(151D)은, 상기 캡 하우징(151)의 수용부(152)의 원형의 외주의 상단에서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커버(158)는, 상기 캡 하우징(151)의 수용부(152)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턱(151D)의 하부에 고정되어 위치하도록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51D)의 일측단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회전 이동을 저지하도록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151E)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캡 하우징(151)에는 고정 커버(158)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걸림턱(151D)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 커버(158)를 상기 캡 하우징(151)의 수용부(152)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151E)가 고정 커버(158)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가 있어, 추후 용접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의 일부 구성인 고정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과 함께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커버(158)의 하면에는 고정 돌기(158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돌기(158B)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의 일부위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 돌기(158B)는,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의 일부위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돌기(158B)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에 접하도록 복수의 고정 돌기(158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에 접하도록 복수의 고정 돌기(158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 돌기(158B)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의 전극 단자 용접부(156)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와 제1 전극 단자(111) 및 제2 전극 단자(112)가 서로 밀착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155A)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155B)와 상기 제1 전극 단자(111)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112) 간의 용접 접합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7과 함께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0)은,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 104, 105, 106)은 상기 캡 하우징(151)에 형성된 배열 가이드부(159)를 통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캡 하우징(151)의 외측벽에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 104, 105, 106)의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 배열 가이드부(159)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열 가이드부(159)는, 상기 캡 하우징(151)의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된 평탄 융기 구조(159A) 및 삼각 돌기 구조(159B)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탄 융기 구조(159A)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 복수개의 좌우 방향의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 융기 구조(159A)는, 상기 캡 하우징(151)의 좌우 방향의 외측벽에서 좌우 방향의 일면이 평탄하게 융기된 평탄 융기 구조(159A)일 수 있다.
즉, 상기 하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일측에 상기 평탄 융기 구조(159A)의 일면이 다른 원통형 전지셀(100)의 캡 하우징(151)의 평탄 융기 구조(159A)의 일면과 대면하도록, 다른 하나의 원통형 전지셀(100)을 배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 각각은 캡 하우징(151)의 양측에 평탄 융기 구조(159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은 각각의 평탄 융기 구조(159A)가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각 돌기 구조(159B)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 복수개의 전후 방향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삼각 돌기 구조(159B)는, 상기 캡 하우징(151)의 전후 방향의 외측벽에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하우징(151)의 전후 방향의 외측벽에는 하나의 삼각 돌기 구조(159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 융기 구조(159A)에는 전후 방향 배열되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측부가 대면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경사면(159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후 방향의 일측에는, 상기 전후 방향에 배열되는 다른 하나의 원통형 전지셀(100)에 형성된 상기 삼각 돌기 구조(159B)의 일면과, 상기 다른 하나의 원통형 전지셀(100)에 형성된 평탄 융기 구조(159A)의 경사면(159C1)이 서로 대면하도록, 다른 하나의 원통형 전지셀(104)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배터리 모듈(1000)은, 모듈 하우징(300) 및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 104, 105, 1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하우징(300) 내부에는 4개의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4개의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의 후 방향으로 3개의 원통형 전지셀들(104, 105, 106)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원통형 전지셀들(104, 105, 106)은, 상기 삼각 돌기 구조(159B)의 일면과, 상기 하나의 원통형 전지셀(100)에 형성된 평탄 융기 구조(159A)의 경사면(159C)이 서로 대면하도록 가이드 되어, 상기 4개의 원통형 전지셀들(100, 101, 102, 103)의 후방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원통형 전지셀(100)에 형성된 배열 가이드부(159)를 사용하여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원통형 전지셀들의 배열을 균일하고 손쉽게 정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원통형 전지셀 155A: 제1 접속 플레이트
111: 제1 전극 단자 155B: 제2 접속 플레이트
112: 제2 전극 단자 156: 전극 단자 용접부
120: 전극 조립체 157: 버스바 용접부
130: 전지 케이스 158: 고정 커버
140: 캡 조립체 H1: 고정구
150: 접속 캡 H2: 외주변 용접홈
151: 캡 하우징 H3: 중앙 용접구
152: 수용부 159: 배열 가이드부
153A: 외주변 노출부 159A: 평탄한 융기 구조
153B: 중앙 노출부 159B: 삼각 돌기 구조
151B: 가이드 돌기 159C: 경사면
151E: 걸림턱

Claims (12)

  1. 상단 외주부와 중심부에 각각 극성이 서로 다른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가 형성된 원통형 전지셀로서,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권취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전해액을 함침한 상태로 내장되어 있는 전지 케이스;
    상기 전지 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캡 조립체; 및
    상기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캡 조립체의 상부에 탑재되고 절연성 소재를 구비한 캡 하우징, 및 상기 캡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제2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접속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면이 하부 방향으로 만입 되도록 구성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를 수납 고정하도록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외형과 대응되는 내입된 형상을 가진 제1 탑재부;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를 수납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외형과 대응되는 내입된 형상을 가진 제2 탑재부; 및
    상기 제1 탑재부 및 상기 제2 탑재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1 탑재부 및 상기 제2 탑재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탑재부 및 상기 제2 탑재부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부면을 가진 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외주부에 형성된 제1 전극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외주변 노출부; 및
    상기 중심부에 형성된 제2 전극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중앙 노출부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는,
    하면이 상기 전극 단자의 외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 각각에 위치된 전극 단자 용접부; 및
    상기 전극 단자 용접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면이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버스바 용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캡은,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의 상면의 일부를 덮어 고정하도록 상기 캡 하우징에 결합 고정된 고정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고정 커버의 고정 위치를 가이드 하도록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고정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커버는,
    상기 제1 접속 플레이트의 전극 단자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외주변 용접홈; 및
    상기 제2 접속 플레이트의 전극 단자 용접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된 중앙 용접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의 수용부에는, 상기 고정 커버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의 외벽에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 복수개의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 배열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가이드부는,
    상기 캡 하우징의 좌우 방향의 양측 외벽에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 복수개의 좌우 방향의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좌우 방향의 일면이 평탄한 평탄 융기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캡 하우징의 전후 방향의 외측벽에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 복수개의 전후 방향 배열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 삼각 돌기 구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전지셀.
  12.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을 복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70129129A 2017-10-10 2017-10-10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KR102203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129A KR102203249B1 (ko) 2017-10-10 2017-10-10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US16/603,450 US11296390B2 (en) 2017-10-10 2018-10-02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connection cap
EP18865434.7A EP3637494A4 (en) 2017-10-10 2018-10-02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CONNECTING CAP
PCT/KR2018/011710 WO2019074234A1 (ko) 2017-10-10 2018-10-02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CN201880031675.9A CN110651379B (zh) 2017-10-10 2018-10-02 具有连接帽的圆柱形电池单体
JP2019560142A JP7045563B2 (ja) 2017-10-10 2018-10-02 接続キャップを備える円筒状電池セ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129A KR102203249B1 (ko) 2017-10-10 2017-10-10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411A KR20190040411A (ko) 2019-04-18
KR102203249B1 true KR102203249B1 (ko) 2021-01-13

Family

ID=6610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129A KR102203249B1 (ko) 2017-10-10 2017-10-10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6390B2 (ko)
EP (1) EP3637494A4 (ko)
JP (1) JP7045563B2 (ko)
KR (1) KR102203249B1 (ko)
CN (1) CN110651379B (ko)
WO (1) WO2019074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4690B (zh) * 2019-09-06 2022-07-12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极耳固定装置、极耳盖帽、电池及焊接方法
KR102537232B1 (ko) * 2020-02-20 2023-05-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1573914A (zh) * 2020-05-14 2020-08-25 西安长岭依水生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净化功能的饮用水微型电解反应器
WO2021253358A1 (zh) * 2020-06-18 2021-12-2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及具有所述电池的用电装置
US20230344089A1 (en) * 2020-07-31 2023-10-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ic power storage module
US11929514B2 (en) * 2020-08-14 2024-03-12 Glen R Stevick End cap for battery or cylindrical rechargeable cell
WO2022107712A1 (ja) * 2020-11-19 2022-05-27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形電池
KR20220120331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SE544360C2 (en) 2021-04-22 2022-04-19 Northvolt Ab Cylindrical secondary cell
CN115603013B (zh) * 2021-07-09 2024-01-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隔离部件、电池组及能源装置
CN113394507A (zh) * 2021-07-21 2021-09-14 星恒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圆柱电池组及pack方法
CN116014262A (zh) * 2021-10-22 2023-04-25 株式会社Lg新能源 圆筒形电池、包括该圆筒形电池的电池组及汽车
CN116014309A (zh) * 2021-10-22 2023-04-25 株式会社Lg新能源 圆筒形电池、应用于其的集电板、包括其的电池组及汽车
EP4311018A1 (en) * 2022-02-04 2024-01-2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CN114583413A (zh) * 2022-02-28 2022-06-03 徐苗 一种基于温度熔断器防止锂电池包爆燃的装置及其方法
CN217788688U (zh) * 2022-04-12 2022-11-11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一种电芯安装座及电池模组
KR102619896B1 (ko) * 2022-10-04 2024-0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830U (ko) * 1977-06-29 1979-01-27
JPS582893B2 (ja) 1977-06-30 1983-01-19 株式会社リコー エア−式シ−ト給送装置
JPH0963552A (ja) * 1995-08-24 1997-03-07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WO2003096472A1 (en) 2002-05-09 2003-11-20 Mobypower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0070653A (ko) 2002-05-09 2002-09-10 (주) 모비파워 충전지 팩
KR100542677B1 (ko) 2004-06-25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845362B2 (ja) 2004-09-22 2011-12-28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
KR20060037595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694278B2 (ja) * 2005-04-28 2011-06-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構造
KR100778983B1 (ko) 2006-02-20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용 캔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리튬이차전지
JP2007265846A (ja) 2006-03-29 2007-10-11 Sanyo Electric Co Ltd 円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548411A (zh) * 2006-05-11 2009-09-30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有限责任公司 模块电池***
EP2022110B1 (en) * 2006-05-11 2011-10-12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Modular battery system
JP4974734B2 (ja) 2006-10-10 2012-07-1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0874055B1 (ko) * 2007-01-25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인터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직렬 전지
JP5153230B2 (ja) 2007-06-28 2013-02-2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0922352B1 (ko) 2007-10-02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54037B1 (ko) 2007-11-19 2010-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481183B2 (en) 2008-12-23 2013-07-0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016816B1 (ko) 2008-12-23 2011-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1944633B (zh) 2010-09-29 2012-11-07 广东正飞移动照明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应用该锂离子电池的充电器
KR101175014B1 (ko) * 2010-10-18 2012-08-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12128955A (ja) 2010-12-13 2012-07-05 Hitachi Vehicle Energy Ltd 円筒形二次電池
KR101299139B1 (ko) * 2011-03-21 201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335285B1 (ko) 2011-05-31 2013-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KR20140090459A (ko) 2013-01-09 2014-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US9738976B2 (en) 2013-02-27 2017-08-22 Ioxus, Inc. Energy storage device assembly
KR101711993B1 (ko) * 2013-09-10 2017-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퓨즈를 갖는 이차 전지
KR102084098B1 (ko) 2013-09-23 2020-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JP6267810B2 (ja) 2015-02-13 2018-01-24 株式会社ゼネラル・オイスター カキの陸上養殖方法
KR102340111B1 (ko) 2015-03-03 2021-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상부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102361705B1 (ko) * 2015-03-03 2022-0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60108857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수의 양극 탭들과 음극 탭들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KR101958762B1 (ko) 2015-07-17 2019-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이차전지
US10673033B2 (en) 2015-08-24 2020-06-02 Tesla, Inc. Gasket and diaphragm for electrochemical cell
JP6694690B2 (ja) 2015-10-08 2020-05-20 Fdk株式会社 組電池の並列固定用部品および組電池
EP3605649B1 (en) 2015-09-30 2021-06-02 FDK Corporation Battery pack protection element attachment tab, battery pack parallel fixing component, and battery pack
CN205429070U (zh) 2015-11-26 2016-08-03 惠州市国圭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
CN206685445U (zh) * 2017-03-27 2017-11-28 肖立峰 电池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411A (ko) 2019-04-18
CN110651379B (zh) 2022-06-21
EP3637494A1 (en) 2020-04-15
JP7045563B2 (ja) 2022-04-01
JP2020518976A (ja) 2020-06-25
US11296390B2 (en) 2022-04-05
US20200395587A1 (en) 2020-12-17
EP3637494A4 (en) 2020-04-15
WO2019074234A1 (ko) 2019-04-18
CN110651379A (zh)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249B1 (ko) 접속 캡을 구비한 원통형 전지셀
CN204720485U (zh) 电池组和车辆
US20180159096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1254886B1 (ko) 이차 전지
US20150037664A1 (en)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KR20120106539A (ko)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팩
US20220037747A1 (en) Secondary battery
KR20200114784A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US10211446B2 (en) Rechargeable battery
JP2020514983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170083311A (ko) 배터리 팩
US11367929B2 (en) Electrical assemb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electrical assembly
KR20210011813A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US9692034B2 (en) Secondary battery
CN112582662A (zh) 二次电池
KR102005489B1 (ko) 배터리 팩
KR20210025995A (ko)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10049327A (ko) 방식 부재가 구비된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1545705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80101939A (ko) 이차 전지
KR102569937B1 (ko) 전극 리드 연결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102411730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20180035510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EP3671942A1 (en) Terminal case having improved secondary battery state estimation function
KR20210076770A (ko)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