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750B1 -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 - Google Patents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750B1
KR102202750B1 KR1020200072108A KR20200072108A KR102202750B1 KR 102202750 B1 KR102202750 B1 KR 102202750B1 KR 1020200072108 A KR1020200072108 A KR 1020200072108A KR 20200072108 A KR20200072108 A KR 20200072108A KR 102202750 B1 KR102202750 B1 KR 10220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mber
vertical
coupling
scaffold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조
Original Assignee
정훈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조 filed Critical 정훈조
Priority to KR1020200072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 비계 프레임의 조립시, 수직부재의 수평 받침판 위에 수평부재의 끝단부를 거치하고, 결합구멍 안에 결합돌기를 끼우는 것에 의해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견고하게 결합(조립)됨으로써,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계 프레임의 조립성은 물론 해체 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비계 프레임(수평 및 수직부재)의 단면구조가 팔각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다른 비계 프레임과 구조상 서로 쉽게 결합(연결)될 수 있으며, 비계 프레임 단면형상을 팔각형상으로 하고 그 외주면에 장홈(요홈)을 형성하여서 비계 프레임 전체 무게를 대략 20% 이상 감소하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SYSTEM SCAFFOLD HAVING WEIGHT LIGHTENING AND STRUCTURAL STABILITIES}
본 발명은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비계 프레임의 조립시, 수직부재의 수평 받침판 위에 수평부재의 끝단부를 거치하고, 결합구멍 안에 결합돌기를 끼우는 것에 의해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견고하게 결합(조립)됨으로써,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계 프레임의 조립성은 물론 해체 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며, 비계 프레임(수평 및 수직부재)의 단면구조가 팔각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다른 비계 프레임과 구조상 서로 쉽게 결합(연결)될 수 있으며, 비계 프레임 단면을 팔각 형상으로 형성하여서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건설 현장, 건축 공사 현장, 조선소 등의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 가설물을 가리키며, 작업자가 각종 자재를 운반하거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비계는 일반 비계와 시스템 비계로 구분하게 되는데, 일반 비계는 보통 비계용 파이프라 불리는 강관과 연결 철물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강관 비계라 불리기도 하며, 건축물의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부분이 아니다 보니 설치시에 소홀한 경향이 있어 안전 발판이나 계단, 난간 등의 안전장치가 부족하거나 불완전한 구조로 인한 붕괴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일반 비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스템 비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시스템 비계는 수직재, 수평재, 계단,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철물을 규격화하고, 안전 발판과 계단 설치가 기본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 비계에 비해 견고하고 안전한 것이 특징이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
종래 시스템 비계는 조립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장치, 예를 들어 클램프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조립성이 떨어짐은 물론 해체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 시스템 비계는 비계 프레임(수평 및 수직부재)의 단면 구조가 사각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다른 비계 프레임과는 구조상 서로 체결될 수 없고, 비계 프레임 자체가 너무 무거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시스템 비계는 발판 등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과 기존의 삼각형 형태의 아웃트리거 등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아웃트리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체결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시스템 비계는 수직부재를 지면에만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취부구조가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자재의 결합구조와 배치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 비계의 설치는 물론 해체 작업시 소음을 줄이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자재들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낭비를 막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활용도가 높은 시스템 비계에 관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100846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5-010084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계 프레임의 조립시, 수직부재의 수평 받침판 위에 수평부재의 끝단부를 거치하고, 결합구멍 안에 결합돌기를 끼우는 것에 의해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견고하게 결합(조립)됨으로써,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계 프레임의 조립성은 물론 해체 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계 프레임(수평 및 수직부재)의 단면구조가 팔각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다른 비계 프레임과 구조상 서로 쉽게 결합(연결)될 수 있으며, 비계 프레임 단면형상을 팔각형상으로 하고 그 외주면에 장홈(요홈)을 형성하여서 비계 프레임 전체 무게를 대략 20% 이상 감소하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 등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과 삼각형 형태의 아웃트리거 등을 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수직부재 사이에 발끝 막이판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는 복수개가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수평 받침판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쪽 끝단부가 상기 수평 받침판 위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구멍 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비계 높이 조절수단;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 중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수직부재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수직부재의 사이에 연결용 수직부재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수직부재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가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를 서로 수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의 중간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단면은 팔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는,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는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아웃트리거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는, 다수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평판; 상기 수평 받침판 위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구멍 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상기 평판을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평판의 양단부에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제1 걸고리와 제2 걸고리의 이중 걸고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 안으로 수직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상하 이동 바; 및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 바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 이동 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임너트형 핸들; 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비계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수직부재 안으로 수직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지면과 접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상하 이동 바; 및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 바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 이동 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임너트형 핸들; 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에는 발끝 막이 판이 마련되며, 상기 발끝 막이 판의 양 단부에는 상기 수직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 사이에 상기 발끝 막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평 받침판의 하부에 상기 결합구멍 안에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 로커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에는 로킹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로커의 외주에는 상기 로킹 홀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로킹 핀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 핀에는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계 프레임의 조립시, 수직부재의 수평 받침판 위에 수평부재의 끝단부를 거치하고, 결합구멍 안에 결합돌기를 끼우는 것에 의해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견고하게 결합(조립)됨으로써,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계 프레임의 조립성은 물론 해체 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비계 프레임(수평 및 수직부재)의 단면구조가 팔각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다른 비계 프레임과 구조상 서로 쉽게 결합될 수 있으며, 비계 프레임 단면구조를 팔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장홈을 형성하여서 비계 프레임 전체 무게를 대략 20% 이상 감소하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셋째, 발판 등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과 삼각형 형태의 아웃트리거 등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수직부재 사이에 발끝 막이판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직부재의 하부에 지지 브라켓을 더 구비함으로써, 비계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자재의 결합구조와 배치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 비계의 설치는 물론 해체 작업시, 소음을 줄이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자재들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낭비를 막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의 1단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의 2단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8은 도 1의 a'-a'선 종단면도
도 9는 도 1의 b'-b'선 종단면도
도 10은 도 1의 c'-c'선 종단면도
도 11은 도 4의 요부발췌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의 아웃트리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요부 확대도
도 14 및 도 15는 비계 높이 조절수단 및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에서, 환형 로커의 로킹과 언로킹을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시스템 비계는 수직 및 수평 부재의 단면구조를 팔각 형상으로 구성하여서 기존의 원형의 부재와도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비계 전체 무게를 약 2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시스템 비계는 알루미늄 합금, 스틸 등의 금속은 물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결합함에 있어서, 수직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구멍을 갖는 수평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와 상응하여 수평부재의 양 끝단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수평 받침판 위에 수평부재의 양 끝단부를 지지한 후에, 결합구멍 안에 결합돌기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이하게 조립(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해체 작업도 매우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시스템 비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비계(100)는 복수개가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받침판(111)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수평 받침판(111)에 결합구멍(112)이 형성된 수직부재(110); 수직부재(110)를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쪽 끝단부가 수평 받침판(111) 위에 지지되고 결합구멍(112) 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21)를 구비하는 수평부재(120); 및 수직부재(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직부재(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비계 높이 조절수단(130);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10)는 다수개의 파이프, 예를 들어 3개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수직부재(113)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수직부재(114) 사이에 연결용 수직부재(11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115)의 상단부는 제1 수직부재(113)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연결용 수직부재(115)의 하단부는 제2 수직부재(114)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연결용 수직부재(115)가 제1 수직부재(113)와 제2 수직부재(114)를 서로 수직으로 연결하며, 연결용 수직부재(115)의 중간부에는 스토퍼(115a)가 형성되어, 제1 수직부재(113)와 제2 수직부재(114)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연결용 수직부재(115)는 제1 수직부재(113)와 제2 수직부재(11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은 구조로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수직부재(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10)와 수평부재(120)는, 그 단면이 팔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부재(110) 및 수평부재(120)는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10)와 수평부재(120)의 단면이 팔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장홈(H)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원형의 부재와도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비계 전체 무게를 약 2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시스템 비계에서는, 상기 수직부재(110)와 수직부재(110) 사이에는 트러스(T)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부재(120) 위에는 안전 발판(125)과 경사 계단(127)이 설치될 수 있다. 안전 발판(125)은 알루미늄이나 스틸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는 지지 브래킷(129)이 설치되어 시스템 비계(1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비계는 수직부재(110)의 측면에 아웃트리거(14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140)는, 다수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프레임(141); 프레임(141) 하부에 설치되는 평판(142); 수평 받침판(111) 위에 지지되고 결합구멍(112) 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44)를 구비하는 결합부(143); 및 프레임(14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145);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145)은 프레임(141) 안으로 수직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46a)가 형성되고 하단에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46b)를 구비하는 상하 이동 바(146); 및 내주면에 나사부(147a)가 형성되며, 상하 이동 바(146)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하 이동 바(146)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임너트형 핸들(147); 을 구비한다.
상기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145)의 조임너트형 핸들(147)을 회전시키면서 조이거나 풀어서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41)에 평판(142)을 거치하기 위하여 평판(142)의 양단부에는 거치부(148)가 형성되며, 거치부(148)는 제1 걸고리(148a)와 제2 걸고리(148b)의 이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 걸고리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평판(142)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계 높이 조절수단(130)은 수직부재(110) 안으로 수직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131a)가 형성되고 하단에 지면(地面)과 접하는 베이스(132b)를 구비하는 상하 이동 바(131); 및 내주면에 나사부(132a)가 형성되며, 상하 이동 바(131)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하 이동 바(13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임너트형 핸들(132); 을 구비한다.
상기 비계 높이 조절수단(130)의 조임너트형 핸들(132)을 회전시키면서 조이거나 풀어서 비계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10)와 수직부재(110) 사이에는, 발끝 차단막(150)이 판이 마련되며, 발끝 차단막(150)의 양 단부에는 수직부재(11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51)이 형성되고, 수직부재(110) 사이에 발끝 차단막(150)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체결장치(예를 들어, 클램프 또는 볼트) 없이도 수직부재(110) 사이에 발끝 차단막(150)을 끼워서 설치하므로, 발끝 차단막(150)은 외부 진동이나 충격 시에도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에서, 환형 로커의 로킹과 언로킹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에서는, 수평 받침판(111)의 하부에 결합구멍(112) 안에 결합된 결합돌기(121)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 로커(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121)의 끝단에는 로킹 홀(121a)이 형성되고, 환형 로커(160)의 외주에는 로킹 홀(121a)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로킹 핀(161)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킹 핀(161)에는 스프링(162)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1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165)이 형성되고, 이와 상응하여 환형 로커(160)의 내주에는 삽입돌기(167)가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환형 로커(160)가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수평부재(120)의 끝단에는 러버(R)와 같은 탄성부재를 형성하여서 외부 충격을 완충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에 로킹 홀(121a) 안에 로킹 핀(161)을 끼워져서 결합구멍(112) 안에 결합된 결합돌기(121)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부재(110)와 수평부재(12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 시에 로킹 홀(121a)에서 로킹 핀(161)을 빼내어 수직부재(110)와 수평부재(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계 프레임의 조립시, 수직부재의 수평 받침판 위에 수평부재의 끝단부를 거치하고, 결합구멍 안에 결합돌기를 끼우는 것에 의해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견고하게 결합(조립)됨으로써,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비계 프레임의 조립성은 물론 해체 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둘째, 비계 프레임(수평 및 수직부재)의 단면구조가 팔각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다른 비계 프레임과 구조상 서로 쉽게 결합될 수 있으며, 비계 프레임 단면구조를 팔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장홈을 형성하여서 비계 프레임 전체 무게를 대략 20% 이상 감소하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셋째, 발판 등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과 삼각형 형태의 아웃트리거 등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수직부재 사이에 발끝 막이판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직부재의 하부에 지지 브라켓을 더 구비함으로써, 비계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이와 같이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자재의 결합구조와 배치를 견고하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시스템 비계의 설치는 물론 해체 작업시, 소음을 줄이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비계를 구성하는 자재들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낭비를 막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시스템 비계
110: 수직부재
111: 수평 받침판
112: 결합구멍
113: 제1 수직부재
114: 제2 수직부재
115: 연결용 수직부재
115a: 스토퍼
120: 수평부재
121: 결합돌기
121a: 로킹 홀
125: 안전 발판
127: 경사 계단
129: 지지 브래킷
130: 비계 높이 조절수단
131: 상하 이동 바
131a: 나사부
132: 조임너트형 핸들
132a: 나사부
132b: 베이스
140: 아웃트리거
141: 프레임
142: 평판
143: 결합부
144: 결합돌기
145: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
146: 상하 이동 바
146a: 나사부
146b: 베이스
147: 조임너트형 핸들
147a: 나사부
148: 거치부
148a: 제1 걸고리
148b: 제2 걸고리
150: 발끝 차단막
151: 결합홈
160: 환형 로커
161: 로킹 핀
162: 스프링

Claims (10)

  1. 복수개가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수평 받침판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쪽 끝단부가 상기 수평 받침판 위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구멍 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비계 높이 조절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 사이에는 발끝 차단막이 판이 마련되며, 상기 발끝 차단막이 판의 양 단부에는 상기 수직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 사이에 상기 발끝 차단막이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 중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수직부재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수직부재의 사이에 연결용 수직부재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수직부재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가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를 서로 수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용 수직부재의 중간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부재와 상기 제2 수직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단면은 팔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는,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아웃트리거를 마련하되,
    상기 아웃트리거는,
    다수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평판;
    상기 수평 받침판 위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구멍 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시스템 비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평판을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평판의 양단부에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제1 걸고리와 제2 걸고리의 이중 걸고리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트리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 안으로 수직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상하 이동 바; 및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 바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 이동 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임너트형 핸들; 을 구비하는 시스템 비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수직부재 안으로 수직으로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지면과 접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상하 이동 바; 및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 이동 바의 높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 이동 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임너트형 핸들; 을 구비하는 시스템 비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받침판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구멍 안에 결합된 상기 결합돌기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형 로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끝단에는 로킹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로커의 외주에는 상기 로킹 홀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로킹 핀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 핀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

KR1020200072108A 2020-06-15 2020-06-15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 KR10220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08A KR102202750B1 (ko) 2020-06-15 2020-06-15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08A KR102202750B1 (ko) 2020-06-15 2020-06-15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750B1 true KR102202750B1 (ko) 2021-01-13

Family

ID=7414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08A KR102202750B1 (ko) 2020-06-15 2020-06-15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7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846A (ko) 2004-04-16 2005-10-20 유양기술 주식회사 구형 탱크의 외부 검사 및 보수용 조립식비계시스템에서의 작업대 흔들림 방지장치
KR20050100844A (ko) 2004-04-16 2005-10-20 유양기술 주식회사 구형 탱크의 외부 검사 및 보수용 조립식 비계시스템에서의 작업대 좌우 회전장치
KR101454687B1 (ko) * 2013-06-19 2014-11-03 한국가설산업(주) 버팀부재가 구비된 비계 구조체
KR20170011274A (ko) *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창건 비계베이스
KR101884626B1 (ko) * 2017-09-28 2018-08-02 유남호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KR101968222B1 (ko) * 2018-06-25 2019-04-11 백종균 건축용 시스템 비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846A (ko) 2004-04-16 2005-10-20 유양기술 주식회사 구형 탱크의 외부 검사 및 보수용 조립식비계시스템에서의 작업대 흔들림 방지장치
KR20050100844A (ko) 2004-04-16 2005-10-20 유양기술 주식회사 구형 탱크의 외부 검사 및 보수용 조립식 비계시스템에서의 작업대 좌우 회전장치
KR101454687B1 (ko) * 2013-06-19 2014-11-03 한국가설산업(주) 버팀부재가 구비된 비계 구조체
KR20170011274A (ko) *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창건 비계베이스
KR101884626B1 (ko) * 2017-09-28 2018-08-02 유남호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KR101968222B1 (ko) * 2018-06-25 2019-04-11 백종균 건축용 시스템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418B1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KR200437303Y1 (ko) 조립식 난간
KR101805361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KR102202750B1 (ko) 경량화 및 구조적 안정성이 개선된 시스템 비계
AU2010100013A4 (en) Temporary edge protection for scaffolding
WO2011005087A1 (en) Forkhead for use in a modular scaffolding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scaffold frame using the same
KR102190118B1 (ko) 교량 점검로 및 그 설치 공법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CA2268946A1 (en) Securing device for a supporting bar
KR102210981B1 (ko) 교량용 점검로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IE64192B1 (en) Formwork system
KR100397522B1 (ko) 건축물 시공용 작업대
KR101567301B1 (ko) 점검시설용 발판 설치구조
GB2253877A (en) Handrail system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KR101036707B1 (ko) 난간포스트 어셈블리
CN219316368U (zh) 新型附着式脚手架
GB2432623A (en) A scaffold stair unit which uses scaffolding tubes as stringers
AU2021424267B2 (en) Arrangement of scaffolding components
KR102153547B1 (ko) 달비계 수직재
CN214575654U (zh) 一种板面安全早拆支撑结构
GB2382614A (en) Scaffold system mountable on window sill or ledge
CN216405973U (zh) 一种制式楼梯临边防护栏杆
CN217205236U (zh) 电梯井道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