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576B1 -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576B1
KR102202576B1 KR1020140179356A KR20140179356A KR102202576B1 KR 102202576 B1 KR102202576 B1 KR 102202576B1 KR 1020140179356 A KR1020140179356 A KR 1020140179356A KR 20140179356 A KR20140179356 A KR 20140179356A KR 102202576 B1 KR102202576 B1 KR 102202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ntent
windows
sound
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785A (ko
Inventor
장주연
유양선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576B1/ko
Priority to US14/941,758 priority patent/US20160170709A1/en
Priority to EP15198466.3A priority patent/EP3032839B1/en
Priority to CN201510924309.4A priority patent/CN105700848B/zh
Publication of KR2016007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디바이스는,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SOUND OUPUT}
본 개시는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윈도우에 복수의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의 음향 출력과 자막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멀티 윈도우 기능을 제공하는 추세이다. 멀티 윈도우 기능은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동시에 복수의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최근 멀티 윈도우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시청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윈도우에 복수의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의 음향 출력과 자막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각각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영상과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를 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와 구별되는 다른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키고, 상기 다른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서브 윈도우로 설정하고 상기 서브 윈도우와 구별되는 윈도우 중 하나를 메인 윈도우로 설정하며, 상기 서브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각각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영상과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를 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윈도우와 구별되는 다른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키고, 상기 다른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서브 윈도우로 설정하고 상기 서브 윈도우와 구별되는 윈도우 중 하나를 메인 윈도우로 설정하며, 상기 서브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 윈도우와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윈도우의 개수가 변경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의 이동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콘텐츠’는 소정의 동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은, TV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스트림,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수신 가능한 동영상 파일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콘텐츠는 해당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막 정보란, 해당 콘텐츠의 음향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막 정보는 콘텐츠의 영상에 추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자막 정보가 콘텐츠의 영상에 겹쳐 보이게 표시되거나, 영상과 겹쳐지지 않도록 특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21)는 멀티 윈도우(multi-wiondow)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멀티 윈도우(multi-window)란,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동시에 복수의 콘텐츠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멀티 윈도우를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 각각에 복수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재생 중인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하나의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하고, 나머지 윈도우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음향 정보를 보다 정확히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음향 정보를 출력 중인 콘텐츠 이외의 다른 콘텐츠에 대해서는 자막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멀티 윈도우를 통해 복수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하나의 콘텐츠의 음향 정보를 획득하고, 동시에 나머지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복수의 콘텐츠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의 (a)는 복수의 윈도우(w11, w12, w13, w14)에 각각 소정의 콘텐츠가 재생 중 일 때, 제1 윈도우(w11)가 선택된 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는 제1 윈도우(w1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정보를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윈도우(w11) 상에 도시된 화살표 형태의 아이콘(ta1)은 제1 윈도우(w11)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며,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제1 윈도우 상에 표시된 제1 아이콘(s11)은, 제1 윈도우(w1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정보가 출력 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음향 정보가 출력 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바이스(100)는 제1 윈도우(w11)가 선택된 경우, 나머지 윈도우(w12, w13, w14)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1 윈도우(w11)가 선택된 경우, 제1 윈도우를 제외한 나머지 윈도우(w12, w13, w14)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각각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t11, t12, t13)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의 (b)는 복수의 윈도우(w11, w12, w13, w14)에 각각 소정의 콘텐츠가 재생 중 일 때, 제4 윈도우(w14)가 선택된 예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는 제1 윈도우(w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정보를 출력하던 중, 제4 윈도우(w14)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제1 윈도우(w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키고, 제4 윈도우(w14)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정보를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제1 윈도우(w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제1 윈도우(w1)상의 일부 영역(t14)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제1 윈도우(w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킨 후, 자막 정보를 통해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제4 윈도우(w14)상에 표시된 화살표 형태의 아이콘(ta2)은 제4 윈도우(w14)가 음향이 출력될 윈도우로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또한, 제4 윈도우(w14) 상에 표시된 아이콘(s18)은 제4 윈도우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이 출력 중임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 중 음향을 출력시키고자 하는 콘텐츠가 재생 중인 윈도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TV에 대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컨 컨트롤러를 입력 수단으로 한 신호이거나, 컴퓨터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마우스, 키보드 등을 입력 수단으로 한 신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일 수도 있다.
단계 S1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1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해서만 음향을 출력하고, 나머지 윈도우에 대해서는 음향 출력을 정지시킴으로써,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음향 정보만을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2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각각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음향 출력 중인 윈도우를 제외한 나머지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해서는, 음향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한 자막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함으로써,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각 윈도우 별로,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표시할 영역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각 윈도우 별로 자막 정보가 표시될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소정의 아이콘 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해당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자막 정보는, 해당 윈도우 상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해당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와 중첩되지 않는 해당 윈도우의 외부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단계 S3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윈도우 중 음향을 출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에 대해서, 음향 출력과 함께, 자막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는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콘텐츠가 재생 중일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100)는 음향 정보와 자막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전체 영역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응하여 자막을 표시할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상기 선택된 윈도우 상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거나, 선택된 윈도우의 외부 영역에 표시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의 전체 영역 중 사용자의 가독성이 높은 영역에 자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음향이 출력되도록 선택된 제1 윈도우(w2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제1 윈도우(w21)의 외부 영역(t2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제1 윈도우(w21) 상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영상을 가리지 않는 영역에 자막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콘텐츠의 영상을 가리지 않으면서 자막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단계 S401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복수의 윈도우 중 음향을 출력하도록 선택된 윈도우에 대해, 윈도우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윈도우 중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콘텐츠가 재생 중인 윈도우에 대해 사용자에게 더 높은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윈도우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제1 윈도우(w3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선택된 경우, 제1 윈도우(w31)의 크기가 확대되고, 제2 윈도우(w32)의 윈도우는 축소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윈도우(w41, w42, w43, w44) 중 제2 윈도우(w42)가 선택된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2 윈도우(w42)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s41)함과 동시에, 자막 정보를 제2 윈도우(w41)의 외부 영역(t41)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2 윈도우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제2 윈도우의 외부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제2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영상을 가리지 않을 수 있고, 자막에 대한 사용자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윈도우(w44)의 크기는 축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 표시하는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복수의 윈도우(w51, w52, w53, w54) 중 제1 윈도우(w51)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선택된 예를 도시한다.
도 9의 (b)는 복수의 윈도우 중 제2 윈도우(w52)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선택된 경우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는 제1 윈도우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키고, 제2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2 윈도우를 확대 표시하고(w52-1), 나머지 윈도우(w51-1, w53-1, w54-1)를 축소하면서 디스플레이부(121)의 좌측 영역에 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제2 윈도우(w52-1)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제2 윈도우의 외부 영역(t51)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 표시하고, 자막 정보를 콘텐츠와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 있는 콘텐츠에 대해 보다 높은 가독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메인 윈도우와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PIP 기능은, 메인 화면과 별도로 작은 화면을 메인 화면 위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서브 윈도우(w62)로 설정하고 상기 서브 윈도우(w62)와 구별되는 윈도우 중 하나를 메인 윈도우(w61)로 설정하며, 상기 서브 윈도우(w62)를 상기 메인 윈도우(w61)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서브 윈도우(w6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윈도우(w62)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윈도우(w61, w62)의 외부 영역(t62)에, 서브 윈도우(w62)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의 윈도우의 개수가 변경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 상에 복수의 윈도우의 개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두 개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한 예이고, 도 11의 (b)는 네 개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한 예이다.
도 11의 (a)는 제1 윈도우(w71)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선택된 경우, 제1 윈도우(w71)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 정보가 제1 윈도우(w71)의 외부 영역(t71)에 표시된 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b)는 윈도우의 개수가 네 개로 증가된 경우를 도시한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선택된 제1 윈도우(w71-7)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정보를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제1 윈도우(w71-1)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제1 윈도우(w71-1)에 표시되는 영상을 가리지 않도록, 제1 윈도우(w71-1)의 외부 영역(t7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윈도우(w71-1)를 제외한 나머지 윈도우(w72-1, w73, w74)의 경우, 미리 설정된 각 윈도우 별 대응하는 영역에 자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윈도우의 개수가 증가된 경우, 새롭게 추가된 윈도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의 정보는, 각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되는 자막 정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상기 새롭게 추가된 윈도우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출력 중인 윈도우에 대응하는 음향 출력을 정지시키고,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대응하는 음향 정보를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동작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 음향출력부(122), 통신부(15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 음향출력부(122), 통신부(150) 및 제어부(13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A/V 입력부(160) 및 메모리(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통신부(150)를 통한 유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외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리모컨 컨트롤러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제어부(13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향 출력부(122), 진동 모터(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1)는, 멀티 윈도우를 구성하는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윈도우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복수의 윈도우를 재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윈도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윈도우의 외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하나의 윈도우 상에 또 다른 윈도우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은 디스플레이부(1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122)는 재생 중인 콘텐츠(예컨대, 동영상)의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음향 출력부(122)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 중,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 모터(1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을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1) 상의 각각의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선택된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영상과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상기 선택된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를 재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중 하나를 서브 윈도우로 설정하고 상기 서브 윈도우와 구별되는 윈도우 중 하나를 메인 윈도우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서브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서브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서브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센싱부(14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디바이스(100)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100)와 서버(미도시)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51), 이동 통신부(152),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가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디바이스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과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디바이스 121 : 디스플레이부
122 : 음향출력부 130 : 제어부

Claims (18)

  1.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윈도우에 제1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윈도우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윈도우에 제2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제1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2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제2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제2 윈도우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 외부의 제3 영역에 표시하기 시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제1 콘텐츠의 영상과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하는,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1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1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를 재 배치하는, 디바이스.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2 윈도우 중 하나를 서브 윈도우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2 윈도우 중 다른 하나를 메인 윈도우로 설정하며, 상기 서브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디바이스.
  10. 디스플레이부의 제1 윈도우에 제1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윈도우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윈도우에 제2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제1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2 콘텐츠의 음향 출력을 정지하고 상기 제2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제2 윈도우의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콘텐츠의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제1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윈도우 외부의 제3 영역에 표시하기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텐츠의 자막을 표시하기 시작하는 단계는,상기 제1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1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제1 콘텐츠의 영상과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1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윈도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1 윈도우를 제외한 윈도우를 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윈도우 중 하나를 서브 윈도우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2 윈도우 중 다른 하나를 메인 윈도우로 설정하며, 상기 서브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윈도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서브 윈도우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전체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179356A 2014-12-12 2014-12-12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2202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356A KR102202576B1 (ko) 2014-12-12 2014-12-12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14/941,758 US20160170709A1 (en) 2014-12-12 2015-11-16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EP15198466.3A EP3032839B1 (en) 2014-12-12 2015-12-08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CN201510924309.4A CN105700848B (zh) 2014-12-12 2015-12-14 用于控制声音输出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356A KR102202576B1 (ko) 2014-12-12 2014-12-12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785A KR20160071785A (ko) 2016-06-22
KR102202576B1 true KR102202576B1 (ko) 2021-01-13

Family

ID=5507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356A KR102202576B1 (ko) 2014-12-12 2014-12-12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70709A1 (ko)
EP (1) EP3032839B1 (ko)
KR (1) KR102202576B1 (ko)
CN (1) CN1057008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367B1 (ko) 2014-12-26 202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10157638B2 (en) 2016-06-24 2018-12-18 Google Llc Collage of interesting moments in a video
KR102391965B1 (ko) * 2017-02-23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690072B (zh) * 2017-04-19 2019-02-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和装置
CN108093310B (zh) * 2017-11-30 2019-11-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的分享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JP7220724B2 (ja) * 2018-12-18 2023-02-10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
US10965888B1 (en) * 2019-07-08 2021-03-30 Snap Inc. Subtitle presentation based on volume control
US11184672B2 (en) * 2019-11-04 2021-1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nchronizing content progress
CN111711843A (zh) * 2020-06-09 2020-09-2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多媒体设备及投屏播放方法
CN111988653A (zh) * 2020-08-25 2020-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多视频投屏信息的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51506A (ko) * 2020-10-19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3225614A (zh) * 2021-04-20 2021-08-06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服务器以及存储介质
US11857877B2 (en) * 2021-12-23 2024-01-02 Ati Technologies Ulc Automatic in-game subtitles and closed cap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7925A1 (en) * 2010-01-29 2011-08-04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output apparatus and video output method
US20140245148A1 (en) * 2013-02-25 2014-08-28 Savant Systems, Llc Video til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3864A (ja) * 1991-10-22 1993-05-07 Canon Inc マルチウインドウ動画表示方法及び装置
JP3326628B2 (ja) * 1992-12-02 2002-09-24 ソニー株式会社 多重映像テレビ受像機
US6097442A (en) * 1996-12-19 2000-08-0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formatting auxiliary information included in a television signal
WO2002078328A1 (fr) * 2001-03-26 2002-10-03 Fujitsu Limited Processeur d'informations multicanal
JP4081772B2 (ja) * 2005-08-25 2008-04-3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3953506B2 (ja) * 2005-10-18 2007-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381127B2 (en) * 2006-02-02 2013-02-19 Scenera Technologie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playing window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relative priorities associated with the windows
JP4458094B2 (ja) * 2007-01-05 2010-04-28 船井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US8817188B2 (en) * 2007-07-24 2014-08-26 Cyberlink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adjustment of text
US8121409B2 (en) * 2008-02-26 2012-02-21 Cyberlink Corp. Method for handling static text and logos in stabilized images
CN101897178B (zh) * 2008-10-10 2014-09-2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视频输出设备和视频输出方法
US9324093B2 (en) * 2010-10-28 2016-04-26 Yahoo! Inc. Measuring the effects of social sharing on online content and advertising
KR101919787B1 (ko) * 2012-05-09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7925A1 (en) * 2010-01-29 2011-08-04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output apparatus and video output method
US20140245148A1 (en) * 2013-02-25 2014-08-28 Savant Systems, Llc Video t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2839B1 (en) 2018-10-17
US20160170709A1 (en) 2016-06-16
CN105700848B (zh) 2019-10-08
EP3032839A1 (en) 2016-06-15
CN105700848A (zh) 2016-06-22
KR20160071785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576B1 (ko)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2444920B1 (ko)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509492B2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10416786B2 (en) Method of displaying pointing informatio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203359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ark information related to image, and terminal therefor
US11281313B2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2162828B1 (ko) 베젤에 프로그램 가능한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107890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ES2724423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de representación de imágenes
US108171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tem
KR20170117843A (ko) 멀티 스크린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9811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2322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EP331283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378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제공방법
US10719132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US1179710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24000448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502125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 by using adjective
CN111492646A (zh) 电子设备以及其操作方法
KR201700395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