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761B1 -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761B1
KR102201761B1 KR1020190027115A KR20190027115A KR102201761B1 KR 102201761 B1 KR102201761 B1 KR 102201761B1 KR 1020190027115 A KR1020190027115 A KR 1020190027115A KR 20190027115 A KR20190027115 A KR 20190027115A KR 102201761 B1 KR102201761 B1 KR 10220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outdoor unit
magnetic me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656A (ko
Inventor
성상진
기성현
김승엽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761B1/ko
Priority to US16/811,950 priority patent/US11428420B2/en
Priority to EP20161467.4A priority patent/EP3705795A1/en
Publication of KR2020010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성부재를 통해 실외기의 케이스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고, 실외기의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는 자성부재의 두께만큼의 빈 공간이 형성되며, 그 빈 공간에 공기나 방음재 또는 메타 물질이 채울 수 있고, 실외기의 케이스를 둘러싸는 커버를 레고(Lego)와 같이 여러 개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실외기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제외한 실외기의 나머지 외측 표면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외기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송풍팬과, 흡입된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흡입된 공기는 저온 또는 고온의 냉매와 열을 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것을 반복하는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써, 압축기와,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실외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실외기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실외팬과, 저온저압의 기체 냉매를 전달받아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가 설치된다.
공기조화기가 실내에 냉방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로 전달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며, 응축된 액체 상태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되고, 냉매에게 열을 빼앗긴 실내 공기는 냉각되어 다시 실내로 공급된다.
반대로, 공기조화기기 실내에 난방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경우, 압축기에서 생성된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로 전달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되며, 이때 실내 열교환기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가열된 상태로 실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실외기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와 실외팬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간편하게 설치 및 탈거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하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더라도 새롭게 제작할 필요 없이 여러 개의 커버를 실외기의 크기에 알맞도록 조립하여 설치 및 탈거할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의 유로를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성부재를 통해 실외기의 케이스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고, 실외기의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는 자성부재의 두께만큼의 빈 공간이 형성되며, 그 빈 공간에 공기나 방음재 또는 메타 물질이 채울 수 있고, 실외기의 케이스를 둘러싸는 커버를 레고(Lego)와 같이 여러 개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실외기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제외한 실외기의 나머지 외측 표면에 커버를 부착할 수 있는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에 열교환실과 기계실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외부 공기가 열교환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와,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유입구를 통해 열교환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다시 열교환실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와, 유입구와 토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 및 케이스의 외측 표면과 커버의 사이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자력(magnetic force)을 통해 커버를 케이스에 부착시키는 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케이스와 커버는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 자성부재로 인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는 케이스와 자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attractive force)보다 큰 힘이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케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는 제1 서브 커버와 제2 서브 커버를 포함하고, 제1 서브 커버는 케이스의 일부를 둘러싸며, 제2 서브 커버는 케이스의 다른 일부를 둘러싸되, 제1 서브 커버와 제2 서브 커버 중 어느 하나는 케이스의 측면을 둘러싸고, 제1 서브 커버와 제2 서브 커버 중 다른 하나는 케이스의 측면과 상면을 둘러싸며, 제1 서브 커버와 제2 서브 커버는 탈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성부재는 커버의 내측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성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와 커버의 사이에서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와 커버의 사이에서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소음과 진동을 저감하는 방음재와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음재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재와,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음재는 커버의 내측 표면에 결합되되, 케이스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음재와 케이스의 사이에서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음재는, 커버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커버와 상 케이스의 부착 시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타 물질은 커버의 내측 표면에 결합되되, 케이스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타 물질과 케이스의 사이에서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타 물질은, 커버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커버와 케이스의 부착 시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와 커버의 사이에서 재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 설치되되, 케이스에서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음재와 상기 메타 물질이 교번적으로 적층되며, 케이스와 커버의 사이에 공기가 채워지는 복수개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에 열교환실과 기계실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외부 공기가 열교환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와,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유입구를 통해 열교환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다시 열교환실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와, 유입구와 토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와, 케이스의 외측 표면과 커버의 사이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자력을 통해 커버를 케이스에 부착시키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실외기와 냉매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 뒤 냉매를 다시 상기 실외기로 전달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케이스와 커버는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 자성부재로 인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실내기는 실내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할 경우 실내에 냉방을 공급하고, 실내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내 공기에 열을 공급할 경우 실내에 난방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실외기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커버를 간편하게 실외기의 케이스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어 사용자와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외기의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는 자성부재의 두께만큼의 빈 공간이 형성되고, 그 빈 공간에 공기나 방음재 또는 메타 물질이 채워짐으로써 실외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의 케이스를 둘러싸는 커버를 레고(Lego)와 같이 여러 개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외기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새롭게 커버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버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여러 개의 커버를 실외기의 크기에 알맞도록 조립하여 실외기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으므로 커버를 범용적(versatile)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 실외기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제외한 실외기의 나머지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커버를 부착함으로써 실외기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의 유로를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설치 가능한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외기와 실외기에 부착 가능한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외기와 커버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와 4에 도시된 커버가 실외기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와 실외기가 결합된 모습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커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실외기와 커버의 절단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외기와 커버 및 자성부재의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예로써, 커버의 내측 표면에 방음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방음재의 다른 변형예로써, 방음재가 실외기의 케이스 외측 표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실외기와 커버 및 자성부재의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예로써,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서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 메타 물질이 개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12는 방음재와 메타물질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다공성(porous)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다공성 구조체가 실외기의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설치 가능한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140)가 설치된 공기조화기(50)는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를 포함한다.
실외기(100)는 난방 운전 시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101)와, 실외 열교환기(101)의 일측에 구비되는 실외팬(102)과, 실외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1 팽창밸브(103)와, 실외 열교환기(101)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00)는 난방 운전 시 압축기(104)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실내 열교환기(201)와, 실내 열교환기(201)의 일측에 구비되는 실내팬(202)과, 제상 운전 시 실내 열교환기(201)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 팽창밸브(203)를 구비할 수 있다.
압축기(104)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압축기(104)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104)는 공기조화기(5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압축기(104)가 공기조화기(5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압축기(104)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201)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내 열교환기(201)는 실내 공기와 실내 열교환기(201)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201)는 공기조화기(5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201)는 하나의 실내기 내에 복수 개가 구비되거나, 복수 개의 실내기 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 열교환기(101)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외 열교환기(101)는 실외 공기와 실외 열교환기(101)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열교환기(101)는 공기조화기(5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101)는 하나의 실외기 내에 복수 개가 구비되거나, 복수 개의 실외기 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 열교환기(101) 및 실내 열교환기(201)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101) 측에는 실외팬(102)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201) 측에는 실내팬(202)이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50)는 압축기(104)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분리기(105)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분리기(105)는 압축기(104)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104)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분리기(105)로 유입된 혼합기에서 분리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01)와 실내 열교환기(201)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04)로부터 토출된 혼합기는 공급유로(106)를 통해 오일분리기(105)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분리기(105)에서 분리된 액상 오일은 회수유로(107)를 통해 다시 압축기(104)로 공급되고, 오일분리기(105)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5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108)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108)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밸브(108)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4)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100)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4)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200)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팽창밸브(103)는 실외기(100)에 구비되어, 공기조화기(50)가 난방모드로 운전될 때 실외 열교환기(101)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형성 및 배치되고, 공기조화기(50)가 제상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될 때 완전히 개방(full open)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팽창밸브(203)는 실내기(200)에 구비되어, 공기조화기(50)가 난방모드로 운전될 때 실외온도 및 난방 설정 온도 등에 따라서 실내기(200)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팽창밸브(203)는 공기조화기(50)가 제상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운전될 때, 실내 열교환기(201)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고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도 3의 140 참조)가 설치될 수 있는 기계 장치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후술하겠으나 커버(140)는 실외기(100)의 외측 표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분명히 도 1에 표시하기 위해, 실외기(100)의 참조부호 후미에 참조부호 140을 함께 병기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2를 함께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실내기(200)와 냉매 배관(300)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의 공급 및 회수가 가능하게 설치되며, 실외공간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외기(100)는 전체적으로 케이스(1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케이스(110)는 송풍팬(11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릴(112)이 형성되며, 열교환실(114)을 차폐하는 프론트 판넬(110f)과, 기계실(116)의 전면을 형성하는 판넬(110p), 그리고 실외기(100)의 상하면을 형성하는 상면판(110u)과 하면판(110b), 그리고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좌측판(110l)과 우측판(110r), 그리고 배면을 형성하는 리어 판넬(110e)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서로 연결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은 서로 결합되어 실외기(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의 내부는 배리어(11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배리어(11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실외 열교환기(101)가 설치되는 열교환실(114)과, 압축기(104)와 냉매 배관(300) 및 컨트롤 박스(115)가 설치되는 기계실(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실(114)과 대응하는 케이스(110)의 일부에는 실외 열교환기(101)와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0)와 실외 열교환기(101)를 지난 실외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30)와 그릴(112)이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릴(112)과 대응하는 열교환실(114)의 내부에는 송풍팬(111)과 팬모터(미도시)로 구성되는 팬모터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11)의 회전에 의해 실외 공기는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어 실외 열교환기(101)를 지나 열교환실(114)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때 실외 열교환기(101)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기계실(116)과 대응하는 케이스(110)의 다른 일부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기계실(116)은 판넬(110p)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기계실(116)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115)의 수리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나 작업자는 케이스(110)에서 판넬(110p)을 분리하여 컨트롤 박스(115)에 접근이 가능하다.
컨트롤 박스(115)는 실외기(1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계실(116)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박스(115)는 기계실(116)의 내부 다른 구성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기계실(116)의 일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15)는 기계실(116)의 최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컨트롤 박스(115)는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사용자나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113)에 의해 구획되는 기계실(116)의 내부 컨트롤 박스(115)와의 별도의 공간에는 압축기(104)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기(104)는 실외기(100)가 작동하는 내내 열과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컨트롤 박스(115)의 발열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104)는 컨트롤 박스(115)와는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104)는 냉매 배관(300)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101) 및 실내기(200)와 연결되므로, 기계실(116)의 내측에는 실외 열교환기(101)와 실내기(20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300)의 일부가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 배관(300)은 케이스(110)를 통해 실내기(200)와 연결되는 액관(310)과 기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액관(310)과 기관(320)에는 서비스 밸브(33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서비스 밸브(33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실외기(100) 측의 실외 열교환기(101)와 실내기(200) 측의 실내 열교환기(201)를 연결하는 액관(310)과 기관(32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밸브(330)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비스 밸브(33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냉매 배관(300)의 내부에 냉매를 주입하여 충전하거나, 냉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밸브(330)는 개폐 조작의 용이 및 실내기(200) 측과 연결되는 액관(310) 및 기관(320)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실외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판넬(110p)에는 서비스 밸브(33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121)에는 커버(122)가 설치되어 사용자나 작업자는 커버(122)를 조작하여 개구부(121)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계실(116) 각종 밸브와 드라이어, 어큐뮬레이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공기조화기(50)를 구성하는 실외기(100)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기계실(116)에는 제1 팽창밸브(103)와 압축기(104)를 비롯하여 다수의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개의 전선(미표시)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14를 참조하여 실외기(100)에 설치되는 커버(140)와, 실외기(100)의 케이스(110) 및 커버(140)의 결합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실외기와 실외기에 부착 가능한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외기와 커버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와 4에 도시된 커버가 실외기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와 실외기가 결합된 모습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유입구(120)와 토출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140)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과 커버(1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자력(magnetic force)를 통해 커버(140)를 케이스(110)에 덮인 상태로 고정시키는 자성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일부"라 함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0)는 유입구(120)와 토출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 중 일부를 둘러싸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40)는 유입구(120)와 토출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 전체를 둘러싸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40)는 케이스(110)의 상면판(110u) 표면 전체를 모두 덮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140)가 유입구(120)와 토출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 일부, 즉 프론트 판넬(110f)과 우측판(110r) 및 상면판(110u)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자성부재(150)는 케이스(110)나 커버(140)와는 별도의 구성품으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나 작업자가 자성부재(150)를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에 부착시키고, 그 이후 자성부재(150)에 커버(140)를 부착하여 커버(140)를 케이스(110)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자성부재(150)는 커버(140)의 내측 표면에 결합된 상태로 제조되어 사용자나 작업자가 커버(140)를 곧바로 케이스(110)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커버(140)를 케이스(110)에 "부착"시킨다는 것은(또한, 명세서 전반적으로) 커버(140)와 케이스(110)가 직접적으로 접촉(contact)하는 구조뿐만 아니라, 케이스(110)와 커버(140)의 사이에 개재되는 자성부재(150)의 자력을 통해 커버(140)가 케이스(110)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커버(140)는 케이스(110)와 자성부재(150)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attractive force)보다 더 큰 힘이 케이스(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커버(140)는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 대로, 커버(140)가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고 하는 것은(또한, 명세서 전반적으로) 케이스(110)와 커버(140)가 직접적으로 접촉한 구조만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140)가 자성부재(150)를 통해 케이스(110)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케이스(110)의 외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140)와 자성부재(150)가 함께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자성부재(15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6의 경우, 토출구(130)가 공기를 토출시키는 방향을 실외기(100)의 폭 방향으로, 폭 방향과 교차하되 수평 방향을 실외기(100)의 길이 방향, 그리고 실외기(100)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할 경우, 제1 방향은 실외기(100)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은 실외기(100)의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자성부재(150)는 실외기(100)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길이 및 폭 방향과 교차하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방향은 실외기(100)의 높이 방향을, 제2 방향은 실외기(100)의 길이 및 폭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자성부재(150)는 실외기(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실외기(100)의 길이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케이스(110)와 커버(140)의 사이에서 자성부재(15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재나 메타 물질이 설치되어 실외기(100)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실외기(100)의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는 자성부재(150)의 두께만큼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빈 공간에 공기나 방음재 또는 메타 물질이 채워짐으로써 실외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나 작업자는 실외기(100)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커버(140)를 간편하게 실외기(100)의 케이스(110)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0)와, 유입구(120)를 통해 실외기(100)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외부로 다시 토출되는 토출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커버(140)를 부착함으로써 실외기(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외기(100)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실외기(100)의 소음과 진동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8 내지 1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커버(140)의 범용적인 사용성(versatile utility)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커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140)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서브 커버(140a)와 제2 서브 커버(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커버(140a)는 케이스(110)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고, 제2 서브 커버(140b)는 케이스(110)의 다른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커버(140a)와 제2 서브 커버(140b) 중 어느 하나는 케이스(110)의 측면을 둘러싸고, 제1 서브 커버(140a)와 제2 서브 커버(140b) 중 다른 하나는 케이스(110)의 측면과 상면을 둘러쌀 수 있다. 도면에 의하면, 제1 서브 커버(140a)는 케이스(110)의 측면과 상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제2 서브 커버(140b)는 케이스(11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커버(140)는 유입구(120)와 토출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을 둘러쌀 수 있으므로, 제1 서브 커버(140a)와 제2 서브 커버(140b)가 둘러싸는 케이스(110)의 일부 영역 또한 도 3 내지 6에 도시된 커버(140)가 둘러싸는 케이스(110)의 일부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제1 서브 커버(140a)와 제2 서브 커버(140b)를 합친 크기가 도 3 내지 6에 도시된 커버(140)의 크기와 동일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140)는 복수개의 서브 커버(미도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2개의 서브 커버들은 커버(140)가 레고(Lego)와 같이 여러 개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실외기(100)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새롭게 커버(140)를 설계하여 제작할 필요 없이, 여러 개의 서브 커버들을 실외기(100)의 크기에 알맞도록 조립하여 실외기(100)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커버(140a)와 제2 서브 커버(140b)는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3 서브 커버(미도시)와 제4 서브 커버(미도시)와 같이 케이스(110)의 측면이나 상면을 둘러쌀 수 있는 추가적인 서브 커버들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서브 커버들이 몇 개가 구비되는가와 상관 없이, 서브 커버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이루는 하나의 커버 조립체(미도시)는 도 3 내지 6의 커버(14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실외기(100)의 유입구(120) 및 토출구(130)를 제외한 케이스(110)의 나머지 외측 표면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실외기(100)의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커버(140)를 레고와 같이 여러 개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 필요한 냉방이나 난방의 용량에 따라 실외기(100)가 다른 크기로 설계되더라도, 이에 맞춰 커버(140)를 새롭게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커버(140)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여러 개의 커버(140), 즉 제1 서브 커버(140a) 및 제2 서브 커버(140b)를 실외기(100)의 크기에 알맞도록 조립하여 실외기(100)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으므로 커버(140)를 범용적으로 사용(versatile utility)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14를 참조하여 케이스(110)와 커버(140)의 사이 자성부재(150)가 개재되는 공간의 구조와 그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실외기와 커버의 절단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외기(100)의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자성부재(150)가 개재될 수 있다. 자성부재(150)의 연장 방향과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웃하는 자성부재(150)들 사이의 공간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110)와 커버(140)의 사이에서 자성부재(15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즉, 케이스(110)와 커버(140)는 자성부재(150)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되며, 케이스(110)와 커버(140)가 자성부재(150)로 인해 이격된 공간에는 공기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160)은 실외기(100)의 내부 공간, 특히 기계실(116)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104)와 냉매 배관(300)의 절곡 구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외기와 커버 및 자성부재의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예로써, 커버의 내측 표면에 방음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서 자성부재(15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방음재(17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음재(170)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재와,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음재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물질이며, 차음재는 소음을 차단하여 투과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물질로서, 흠음재와 차음재를 초함하는 방음재(170)를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실외기(1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방음재(170)는 커버(140)의 내측 표면에 결합되되, 케이스(110)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스(110)와 방음재(170) 사이에도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빈 공간에는 공기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실외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은 공기층(160)과 방음재(170)를 통해 순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110)와 방음재(17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는 공기층(160) 대신 방음재(170)나 메타 물질(도 10의 참조부호 180)이 채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방음재의 다른 변형예로써, 방음재가 실외기의 케이스 외측 표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방음재(170)는 커버(140)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커버(140)와 케이스(110)의 부착 시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140)와 방음재(170)의 사이에서 자성부재(15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실외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은 방음재(170)와 공기층(160)을 통해 순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버(140)와 방음재(170)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는 공기층(160) 대신 방음재(170)나 메타 물질(도 10의 참조부호 180)이 채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실외기와 커버 및 자성부재의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예로써,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서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 방음재 또는 메타 물질이 개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외기(100)의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 자성부재(150)가 개재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 전체에는 방음재(170) 또는 메타 물질(180)이 채워질 수 있다. 즉, 도 11은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구조와는 달리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 자성부재(150)가 개재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 공기층(160) 없이 방음재(170)나 메타 물질(180)이 모두 채워지는 구조를 개시한다.
도 12는 방음재와 메타물질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다공성(porous)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다공성 구조체가 실외기의 케이스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12 및 13를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케이스(110)와 커버(140)의 사이에서 자성부재(15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 설치되되, 케이스(110)에서 커버(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방음재(170)와 메타 물질(180)이 교번적으로 적층되며, 케이스(110)와 커버(140)의 사이에 공기가 채워지는 복수개의 공기층(160)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체(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실외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은 방음재(170)와 메타 물질(180)의 연속적인 적층체를 통과하며 저감될 수 있는 동시에, 공기층(160)에 의해서도 저감될 수 있다.
이상, 도 3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케이스(110)와 커버(140), 자성부재(150), 공기층(160), 방음재(170), 메타 물질(180) 및 다공성 구조체(190)의 결합 구조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외기(100)에 적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50)는,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에 열교환실(114)과 기계실(116)을 구비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외부 공기가 열교환실(114)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120)와, 케이스(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유입구(120)를 통해 열교환실(114)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다시 열교환실(114)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130)와, 유입구(120)와 토출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140)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과 커버(140)의 사이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자력을 통해 커버(140)를 케이스(110)에 부착시키는 자성부재(150)를 포함하는 실외기(100)와, 실외기(100)와 냉매 배관(300)를 통해 연결되고, 실외기(100)를 통해 냉매를 전달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 뒤 냉매를 다시 실외기(100)로 전달하는 실내기(200)를 포함하고, 케이스(110)와 커버(140)는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 개재된 자성부재(150)로 인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실내기(200)는 실내기(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할 경우 실내에 냉방을 공급하고, 실내기(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내 공기에 열을 공급할 경우 실내에 난방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외기(100)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50)에 의하면, 실외기(100)의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커버(140)를 간편하게 실외기(100)의 케이스(110)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어 사용자와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0)의 케이스(110)와 커버(140) 사이에는 자성부재(150)의 두께만큼의 빈 공간이 형성되고, 그 빈 공간에 공기층(160)이나 방음재(170) 또는 메타 물질(180)이 채워짐으로써 실외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100)의 케이스(110)를 둘러싸는 커버(140)를 레고(Lego)와 같이 여러 개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외기(100)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새롭게 커버(140)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버(140)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여러 개의 커버(예컨대, 140a 및 140b) 실외기(100)의 크기에 알맞도록 조립하여 실외기(100)에 부착 및 탈거할 수 있으므로 커버(140)를 범용적(versatile)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0)와, 유입구(120)를 통해 실외기(100)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30)를 제외한 실외기(100)의 나머지 케이스(110)의 외측 표면에 커버(140)를 부착함으로써 실외기(100)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의 유로를 간섭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외기(100)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공기조화기 130: 토출구
100: 실외기 140: 커버
101: 실외 열교환기 140a: 제1 서브 커버
102: 실외팬 140b: 제2 서브 커버
103: 제1 팽창밸브 150: 자성부재
104: 압축기 160: 공기
105: 오일분리기 170: 방음재
106: 공급유로 180: 메타 물질
107: 회수유로 190: 다공성 구조체
108: 유로전환밸브 200: 실내기
110: 케이스 201: 실내 열교환기
111: 송풍팬 202: 실내팬
112: 그릴 203: 제2 팽창밸브
113: 배리어 300: 냉매 배관
114: 열교환실 310: 액관
115: 컨트롤 박스 320: 기관
116: 기계실 330: 서비스 밸브
120: 유입구

Claims (18)

  1. 실내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에 열교환실과 압축기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외부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열교환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다시 상기 열교환실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자력(magnetic force)을 통해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덮인 상태로 고정시키는 자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자성부재로 인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 중 상기 기계실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표면을 둘러싸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소음과 진동을 저감하는 방음재와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자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attractive force)보다 큰 힘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질 경우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실외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서브 커버와 제2 서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2 서브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부를 둘러싸되,
    상기 제1 서브 커버와 상기 제2 서브 커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1 서브 커버와 상기 제2 서브 커버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상면을 둘러싸는, 실외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커버의 내측 표면에 결합되는, 실외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실외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실외기.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는 흡음재와,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재를 포함하는, 실외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는 상기 커버의 내측 표면에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실외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실외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는,
    상기 커버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부착 시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접촉하는, 실외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방음재의 사이에서 상기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실외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물질은 상기 커버의 내측 표면에 결합되되, 상기 케이스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실외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물질과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실외기.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물질은,
    상기 커버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부착 시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에 접촉하는, 실외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메타 물질의 사이에서 상기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실외기.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커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방음재와 상기 메타 물질이 교번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 공기가 채워지는 복수개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 다공성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실외기.
  18.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에 열교환실과 압축기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외부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유입구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열교환실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다시 상기 열교환실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토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과 상기 커버의 사이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자력을 통해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부착시키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와 냉매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전달받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 뒤 상기 냉매를 다시 상기 실외기로 전달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개재된 상기 자성부재로 인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 중 상기 기계실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 표면을 둘러싸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의 사이에서 상기 자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빈 공간에는 소음과 진동을 저감하는 방음재와 음의 굴절률을 갖는 메타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냉매가 상기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할 경우 실내에 냉방을 공급하고, 상기 실내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냉매가 상기 실내 공기에 열을 공급할 경우 실내에 난방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27115A 2019-03-08 2019-03-08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20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15A KR102201761B1 (ko) 2019-03-08 2019-03-08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16/811,950 US11428420B2 (en) 2019-03-08 2020-03-06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EP20161467.4A EP3705795A1 (en) 2019-03-08 2020-03-06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115A KR102201761B1 (ko) 2019-03-08 2019-03-08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656A KR20200107656A (ko) 2020-09-16
KR102201761B1 true KR102201761B1 (ko) 2021-01-12

Family

ID=6984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115A KR102201761B1 (ko) 2019-03-08 2019-03-08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8420B2 (ko)
EP (1) EP3705795A1 (ko)
KR (1) KR1022017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8794A (ja) * 2011-10-24 2013-05-13 Inoac Corp 制音構造体
JP2014040931A (ja) * 2012-08-21 2014-03-06 User Kk エアコン室外機用断熱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0327A (en) * 1932-12-24 1938-09-13 Baldwin Southwark Corp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236111A (en) * 1938-10-21 1941-03-25 Nash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IT8252918V0 (it) * 1982-02-11 1982-02-11 Fiat Auto Spa Apparato per la produzione combinata di energia elettrica e di calore
JPH0267823U (ko) * 1988-07-27 1990-05-23
US5158486A (en) * 1991-03-11 1992-10-27 Tamame Antonio N Debris and weather protector for air conditional compressor cabinets
US5274200A (en) * 1992-12-22 1993-12-28 Carrier Corporation Sound attenuating enclosure for compressors
US5669232A (en) * 1994-11-22 1997-09-23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ing unit
US5965851A (en) * 1997-01-28 1999-10-12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Acoustically insulated apparatus
US6397617B1 (en) * 2000-09-22 2002-06-04 Shannon Wayne Johnson Protective cover for air conditioning unit
CN2553292Y (zh) 2002-06-18 2003-05-28 李春武 磁吸式空调室外机盖
KR20060086761A (ko) * 2005-01-2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겸용 공조장치
US7490697B1 (en) * 2006-06-02 2009-02-17 Williamson Jr Clifford Portable acoustic diffuser for portable generators
US20080099274A1 (en) * 2006-10-31 2008-05-01 Robert Vaughan Seel Sound Attenuation Enclosure
US20090145153A1 (en) * 2007-12-11 2009-06-11 Moynihan John P Air conditioner cover
JP2009168305A (ja) * 2008-01-15 2009-07-30 Daikin Ind Ltd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US9063405B2 (en) * 2008-07-10 2015-06-23 Open Air Cinema Llc Blower noise muffler apparatus and system
US8357031B2 (en) * 2008-09-29 2013-01-22 Dinicolas Michael Outdoor air conditioner cover assembly
US8833510B2 (en) * 2011-05-05 2014-09-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hononic metamaterials for vibration isolation and focusing of elastic waves
CN103137118B (zh) * 2011-11-30 2016-07-06 香港科技大学 声能吸收超材料
US20130174882A1 (en) * 2012-01-09 2013-07-11 Jeffrey Dale Ellenbecker Retractable cover for air conditioning unit
KR101964644B1 (ko) * 2012-05-10 2019-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부가 구비된 가전기기
US9163398B2 (en) * 2013-05-17 2015-10-20 Purdue Research Foundation Sound barrier systems
US10443884B2 (en) * 2013-07-16 2019-10-15 Carrier Corporation Cabinet for air handler units
FR3033870B1 (fr) * 2015-03-18 2018-08-31 Carrier Corporation Panneau pour une centrale de traitement d'air, methode d'assemblage d'un tel panneau et centrale de traitement d'air comprenant un tel panneau
US10145570B2 (en) * 2015-08-18 2018-12-04 David Johnson Air conditioner condenser coil covering and filtering device
EP3147582A1 (de) * 2015-09-28 2017-03-29 Solflex HandelsgmbH Schalldämmgehäuse
KR101887740B1 (ko) * 2016-03-31 2018-08-1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 스케일링을 이용한 소리 차단 방법 및 장치
US9762994B2 (en) * 2016-12-02 2017-09-12 AcoustiX VR Inc. Active acoustic meta material loudspeaker system and the process to make the same
EP3354819A1 (en) * 2017-01-27 2018-08-01 Rvt Group Limited Acoustic curtain
JP6732110B2 (ja) * 2017-04-18 2020-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空気調和機、及び、室外機の製造方法
JPWO2019082300A1 (ja) * 2017-10-25 2020-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用ユニット、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電気機器
US10982864B2 (en) * 2018-05-14 2021-04-20 Ahmad Almaoula Condenser covering device
US11821638B2 (en) * 2018-05-25 2023-11-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pressor unit,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N208419009U (zh) * 2018-06-19 2019-01-22 青岛源隆空调冷暖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前面板结构
US11105516B2 (en) * 2019-06-03 2021-08-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Panel for an HVAC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8794A (ja) * 2011-10-24 2013-05-13 Inoac Corp 制音構造体
JP2014040931A (ja) * 2012-08-21 2014-03-06 User Kk エアコン室外機用断熱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28420B2 (en) 2022-08-30
KR20200107656A (ko) 2020-09-16
US20200284446A1 (en) 2020-09-10
EP3705795A1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208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1703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1022336B2 (en) Switching device for multi-split air conditioner and multi-split air conditioner having same
JP2008039276A (ja) 冷媒流路切換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EP3385626B1 (en) Outdoor machine
US20160076789A1 (en) Decorative panel and air-conditioner indoor unit provided with same
EP2597384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WO2018198726A1 (ja) 冷媒流路切換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6269717B2 (ja) 熱源ユニット
JP2017053501A (ja) 空調室内機
KR102201761B1 (ko) 실외기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WO2021059912A1 (ja) 冷媒流路切換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US11566797B2 (en) Heat pump
JP6925534B2 (ja) 防音部材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4152004A (zh) 空调机
JP2017156038A (ja) 防音カバー及びそれを備えた室外ユニット
JP2005214615A (ja) 空調機の配管構造
KR101899824B1 (ko) 실외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WO2024069693A1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5968166B2 (ja) 冷却装置
JPS60175941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JP718686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WO2021001925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210026612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H0460322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