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717B1 -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717B1
KR102201717B1 KR1020200095977A KR20200095977A KR102201717B1 KR 102201717 B1 KR102201717 B1 KR 102201717B1 KR 1020200095977 A KR1020200095977 A KR 1020200095977A KR 20200095977 A KR20200095977 A KR 20200095977A KR 102201717 B1 KR102201717 B1 KR 10220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vehicle
amoun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구
Original Assignee
한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구 filed Critical 한정구
Priority to KR102020009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상태에서 주행중인 차량에 전력이 필요한 상태인 교통 시설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과잉 생산된 전력을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이 무선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어 주행중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로 구성되는 전력 생산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력 생산량 및 소비량 그리고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량을 종합하여 전력의 과잉 생산을 판단하는 판단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과잉 생산되는 전력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 및,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력 요청신호을 전송하고, 전력 전송부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using vehicles}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따라 설치된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상태에서 주행중인 차량에 전력이 필요한 상태인 교통 시설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과잉 생산된 전력을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이 무선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을 위한 용도로 건설되는 도로 또는 도로의 주변에는 신호등, 가로등, 안내판 등의 다양한 교통 시설물이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통 시설물에는 점멸 또는 점등 그리고 신호의 표시를 위한 전력의 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용도로 버스의 도착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안내 장치, 계절에 따라 상판 표면의 온도가 조절되는 스마트 벤치 그리고 버스가 도착할 때 자동으로 개폐되는 스크린 도어 등의 다양한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버스 정류장마다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의 총량이 이전보다 대폭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되어, 차량과 시설물 간의 전력 공유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7144호의 “차량의 전력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8438호의 “교통 시설물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 및 방법”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6359호의 “교통 시설물을 활용하는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등의 발명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7144호에는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전기 차량에 충전된 전력을 요금이 비싼 시간대에 각 가정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 가정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8438호에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동 가능한 거리 내의 충전소의 위치를 고려하여 전력 공급의 필요성을 판단한 후, 교통 시설물을 활용하여 전력 공급이 필요한 전기 자동차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6359호에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설치된 교통 시설물을 활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가 설치된 상태로 주행 중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실시간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모두 전기 자동차만을 대상으로 하여 주행중인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정차중인 전기 자동차에 충전된 전력을 여전히 정차중인 상태에서만 시설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전기 자동차가 아닌 일반 차량은 대상으로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발생하며, 오히려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의 총량을 가중시킬 뿐 이전보다 대폭 증가한 교통 시설물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는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도로를 따라 설치된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있어, 전력의 사용량이 이전보다 대폭 증가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나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7144호(2015. 07. 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8438호(2019. 08. 2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6359호(2019. 12. 10.)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은 도로를 따라 설치된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있어, 전력의 사용량이 이전보다 대폭 증가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이와 관련된 종래의 발명들은 모두 전기 자동차만을 대상으로 하여 주행중인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정차중인 전기 자동차에 충전된 전력을 여전히 정차중인 상태에서만 시설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명이므로,
전기 자동차가 아닌 일반 차량은 대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의 총량을 가중시킬 뿐 이전보다 대폭 증가한 전력의 사용량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는 없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차량에 구비되어 주행중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로 구성되는 전력 생산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력 생산량 및 소비량 그리고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량을 종합하여 전력의 과잉 생산을 판단하는 판단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과잉 생산되는 전력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 및,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력 요청신호을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전송부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은,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전기 자동차만이 아닌 엔진, 발전기 및 축전지가 구비되는 모든 일반 차량을 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주행중인 차량에서 생산되는 전력 중 과잉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므로 낭비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필요한 전력의 상당량을 충당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전력 생산부의 기본 구성도.
도 3은 판단부의 판단 알고리즘.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의 부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따라 설치된 교통 시설물을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차량에 구비되어 주행중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102)로 구성되는 전력 생산부(100);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력 생산량 및 소비량 그리고 축전지(102)에 저장된 전력량을 종합하여 전력의 과잉 생산을 판단하는 판단부(110);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과잉 생산되는 전력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120); 및,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력 요청신호을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전송부(12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상기 전력 생산부(100)는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 또는 부가적으로 필요한 전력을 생산 및 저장하는 장치의 집합이며, 전력의 생산에 있어 엔진의 구동을 반드시 필요로 하므로 차량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그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룸의 내부에 구비되어야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생산부(100)는 차량에 구비되어 그 차량의 주행중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01)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102)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력 생산부(100)를 구성하는 발전기(101)의 종류로는 엔진의 저속 회전이나 공회전시에도 발전이 가능하고, 출력에 비해 중량이 가벼운 편이며, 비교적 수명이 긴 교류 발전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제외한 발전기(101) 및 축전지(102)의 용량 등에 다른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전력 생산부(100)에서 생산되어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 또는 부가적으로 필요한 전력이라 함은 엔진의 시동이나 차량의 계기판, 전조등, 후미등, 실내 전등, 네비게이션, TV, 에어컨, 라디오, 시거잭 그리고 각종 센서 등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의미하며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 즉, 시동된 엔진의 지속적인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력은 대상에서 제외한다.
따라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과 그 도로를 따라 설치된 주변 시설물 간의 전력 송수신에 관한 종래의 발명들이 모두 전기 자동차를 대상으로 한정되게 구성되는 것임에 반해,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제한없이 엔진, 발전기 및 축전지가 구비되는 모든 차량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기 판단부(110)는 상기 전력 생산부(100)에 의한 전력의 과잉 생산을 판단하는 장치로써,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의 연산이 가능한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판단에는 실시간으로 계산 또는 측정되는 전력 생산량 및 소비량 그리고 축전지(102)에 저장된 전력량을 종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판단부(1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발전기(101)의 용량에 따라 계산되는 단위 시간당 전력 생산량,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차량의 전력 사용량과 대기 전력량을 모두 포함한 전력 소비량 그리고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축전지(102)의 저장 전력량을 모두 종합하여 전력의 과잉 생산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판단부(110)의 기능을 위해, 대기 전력량의 측정을 위한 대기 전력계, 전력 소비량의 측정을 위한 전력계 그리고 축전지(102)에 저장된 전력량의 측정을 위한 측정기 등의 구비를 전제 조건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단부(110)는 단위 시간당 전력 생산량이 전력 소비량에 미달되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전력의 과잉 생산을 판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단위 시간당 전력 생산량이 전력 소비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축전지(102)가 완충되거나 기 설정된 일정비율 이상 충전된 상태를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력의 과잉 생산을 판단하기 위한 축전지(102)의 일정비율은 그 축전지(102)의 용량에 따라 70%, 80%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단부(110)는 축전지(102)가 완충된 상태라도 단위 시간당 전력 생산량이 전력 소비량에 미달되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전력의 과잉 생산을 판단하지 않거나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상태로 판단하지 않으며, 단위 시간당 전력 생산량이 전력 소비량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축전지(102)에 저장된 전력량을 고려하여 전력의 과잉 생산을 합리적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 또는 부가적으로 필요한 전력이 충분하게 확보된 상태에서만 추가로 과잉 생산되는 전력을 외부로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력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상태에서도 단위 시간당 전력 생산량이 전력 소비량에 미달되거나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주행중인 차량의 안전성을 우선하여 전력의 무선 전송을 즉시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전송부(120)는 상기 전력 생산부(100)로부터 과잉 생산되는 전력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전력 전송부(120)는 도로를 따라 설치된 교통 시설물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과잉 전력을 그 교통 시설물을 향해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방식으로는 공지의 다양한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전력 전송부(120)는 차량과 교통 시설물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자기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 전송부(120)는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는 전력 수신부(130) 중 전력 요청신호를 전송한 전력 수신부(130)와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공진함으로써 그 전력 수신부(130)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력 전송부(120)와 상기 전력 수신부(130) 간에 발생하는 전력의 무선 전송이 반드시 일대일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전력 전송부(120)로부터 다수의 전력 수신부(130)에 동시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전력의 무선 전송의 대상이 되는 전력 수신부(130)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 전송부(120)와 상기 전력 수신부(130) 간의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항상 동일한 주파수이며, 이와 동일한 이유로 전력 수신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요청신호에는 다른 신호와의 식별을 위한 식별 신호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전력 전송부(120)는 가장 인접한 상기 전력 수신부(13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그 거리에 따라 전력의 전송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력 전송부(120)는 상기 전력 수신부(130)를 향해 전력을 전송할 때 차량의 구조물 등에 의한 간섭 또는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차량의 루프 측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력 수신부(130)는 상기 전력 전송부(120)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때 차량 등에 의한 간섭 또는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도로를 따라 인도에 설치되는 신호등,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로 차량이 도시 내에서 주행하는 상태를 전제로 하나, 고속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로등 등의 교통 시설물에도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다수의 전력 수신부(130)를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 레일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력 수신부(130)의 형태가 다각화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곡선 등의 구간에서도 전력의 수신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130)는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 전송부(12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며, 전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는 전력 전송부(120)와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공진하는 자기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 수신부(130)가 구비되는 교통 시설물에는 상기 전력 전송부(120)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전력 소비량의 측정을 위한 전력계와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량의 측정을 위한 측정기 등이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전력 수신부(130)는 전력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만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력 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력의 과잉 공급에 따른 전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교통 시설물 각각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특정의 교통 시설물에만 전력의 공급이 집중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는 그 교통 시설물의 시간당 에너지 소비량,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량 등의 운용정보를 종합하여 전력 요청신호의 전송을 결정하는 운용부(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력 요청신호의 전송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은 각 교통 시설물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수신부(130)가 구비된 교통 시설물은 그 도로의 통행량에 따라 차량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량이 충분하거나 불충분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통행량이 부족한 도로에 구비된 교통 시설물은 차량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항시 발생하거나 비교적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하되, 상대적으로 통행량이 충분한 도로에 구비된 교통 시설물은 차량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비교적 드물게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 수신부(130)를 통해 과잉 수신되는 전력을 외부로 유선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150)와 상기 전력 송신부로부터 유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력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전력 수신부(130)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력 요청신호를 항시 전송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전력 수신부(130)에 수신되는 전력은 배터리의 충전에 선사용되나 그 배터리가 완충된 이후에는 상기 전력 송신부(150)를 통해 상기 전력 저장부(160)로 유선 전송됨으로써 비상시 교통 시설물의 운용에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저장부(160)는 상기 전력 송신부(150)로부터 전송되어 저장된 전력을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 중 전력이 부족하여 전력 요청신호을 전송중인 교통 시설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통행량이 급감하는 심야 또는 새벽 시간대에는 전력의 충전량이 동반하여 급감하게 되나, 가로등과 같은 교통 시설물은 운용은 차량의 통행량과 무관하게 계속되므로 전력의 사용량에 비해 배터리의 잔량이 매우 부족하게 되는 상황을 대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전력 저장부(160)는 교통 시설물마다 하나씩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전력 저장부(160)가 여러 전력 송신부(150)와 연결되어 전력을 상호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의 차량 통행량이 증가하여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대와 차량 통행량이 급감하는 시간대를 구분하여, 차량 통행량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대에는 상기 운용부(140)가 교통 시설물의 시간당 에너지 소비량, 저장된 전력량 등의 운용정보를 종합하여 전력 요청신호의 전송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되, 차량 통행량이 급감하는 시간대에는 상기 전력 수신부(130)를 통한 전력 요청신호의 전송이 항시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로의 차량 통행량이 증가하여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대는 오전 6시로부터 자정까지의 시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차량 통행량이 급감하는 시간대는 자정으로부터 오전 6시까지의 시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시간대의 구성은 각 도로의 차량 통행량을 고려하여 각 도로마다 상이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차량 통행량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 시간대에는 각 교통 시설물이 설치된 위치에 따른 전력 충전량의 차등을 최소화하되, 차량 통행량이 급감하는 시간대에는 전력의 충전 또는 확보에 중점을 두고자 하는 것이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전력 생산부 → 101 : 발전기
102 : 축전지
110 : 판단부
120 : 전력 전송부
130 : 전력 수신부
140 : 운용부
150 : 전력 송신부
160 : 전력 저장부
A : 차량
B : 교통 시설물

Claims (4)

  1. 차량에 구비되어 주행중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101)와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102)로 구성되는 전력 생산부(100);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전력 생산량 및 소비량 그리고 축전지(102)에 저장된 전력량을 종합하여 전력의 과잉 생산을 판단하는 판단부(110);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전력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과잉 생산되는 전력을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120);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전력 요청신호을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전송부(12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 수신부(130); 및,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고, 그 교통 시설물의 시간당 에너지 소비량, 저장된 전력량 등의 운용정보를 종합하여 전력 요청신호의 전송을 결정하는 운용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 수신부(130)를 통해 과잉 수신되는 전력을 외부로 유선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150); 및,
    상기 전력 송신부(150)로부터 유선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력 저장부(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저장부(160)는,
    저장된 전력을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가로등, 버스 정류장 등의 교통 시설물 중 전력이 부족하여 전력 요청신호을 전송중인 교통 시설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0200095977A 2020-07-31 2020-07-31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20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77A KR102201717B1 (ko) 2020-07-31 2020-07-31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77A KR102201717B1 (ko) 2020-07-31 2020-07-31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717B1 true KR102201717B1 (ko) 2021-01-12

Family

ID=7412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977A KR102201717B1 (ko) 2020-07-31 2020-07-31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7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089A (ja) * 2001-06-21 200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エネルギー回生利益分配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20110036458A (ko) * 2009-10-01 2011-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6005A (ko) * 2012-02-21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50077144A (ko)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의 전력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6006057A1 (ja) * 2014-07-09 2016-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授受システムおよび電力授受方法
KR102018438B1 (ko) 2017-11-30 2019-09-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6359A (ko) 2018-05-30 2019-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을 활용하는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089A (ja) * 2001-06-21 200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エネルギー回生利益分配システムおよび装置
KR20110036458A (ko) * 2009-10-01 2011-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의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6005A (ko) * 2012-02-21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50077144A (ko)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의 전력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6006057A1 (ja) * 2014-07-09 2016-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授受システムおよび電力授受方法
KR102018438B1 (ko) 2017-11-30 2019-09-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6359A (ko) 2018-05-30 2019-12-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을 활용하는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9105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01797B1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471844B2 (en)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charging method of the same
US8698642B2 (en) Electric power amount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system
US10730504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10041783A (ko) 전기 구동 이동체의 에너지 절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40207363A1 (en) Energy Consumption Calculation Device, and Energy Consumption Calculation Method of Same
KR101601222B1 (k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잔여주행거리 산출 장치 및 방법
JP5186287B2 (ja) 車両運行制御システム
KR20120006538A (ko) Gps 기반 주유소 예약 기능을 가진 전기차
KR20130024790A (ko) 차량 구동 장치, 차량 충전 시스템 및 자동차
CN103660978A (zh) 车辆
CN110053498B (zh) 一种电动汽车智能充放电物联网云综合集成***
US10435008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4053989A (ja) バッテリ充放電システム
JP2017125803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923046B1 (ko) 전기자동차를 위한 효율적 차등 충전 시스템
JP5442088B1 (ja) 電動車両管理システム
CN103010028A (zh) 电力切换设备
KR102201717B1 (ko) 차량을 이용한 교통 시설물 무선 충전 시스템
CN104040604A (zh) 中心侧***及车辆侧***
JP2013064606A (ja) 移動車両及び移動車両給電方法
KR101524254B1 (ko) 배터리 구동형 대중교통차량의 배터리 에너지 관제시스템
KR20200091519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03095042A (ja) 発電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