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520B1 -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 Google Patents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520B1
KR102201520B1 KR1020200069456A KR20200069456A KR102201520B1 KR 102201520 B1 KR102201520 B1 KR 102201520B1 KR 1020200069456 A KR1020200069456 A KR 1020200069456A KR 20200069456 A KR20200069456 A KR 20200069456A KR 102201520 B1 KR102201520 B1 KR 10220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toxic chemicals
storage
spac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우
Original Assignee
정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우 filed Critical 정동우
Priority to KR102020006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15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 B60P3/222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includin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35Anti-slos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5Ventil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8Measuring or indicating means, e.g. of level, volum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4Tank vehicles compartmented
    • B60P3/243Tank vehicles compartmented divided by rigid w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에 관한 것으로, 운전공간의 후방에 설치되며, 소정의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이 구비된 복수 개의 저장탱크가 구획되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저장탱크 유닛; 및 상기 운전공간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 유닛이 상측으로부터 안착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저장탱크 각각의 상하 움직임을 탄성 지지하는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저장탱크 몸체의 너비방향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은, 상기 안착 다리부가 상부에서 안착 가능하게 하방으로 함입된 안착홈을 갖추도록 상기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부; 상기 안착홈에 상기 안착 다리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 다리부 및 안착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부분과 상기 볼트부분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는 너트부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 및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완충부재로서, 상기 볼트부분 각각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안착 다리부와 상기 볼트부분에 연결된 너트부분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TANK LORRY FOR TRANSPORTING TOXIC CHEMICALS}
본 발명은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의 수송을 위해 마련된 탱크로리에 관한 것이다.
탱크로리는 액체 운반을 목적으로 하는 화물용 자동차로서, 저장 및 수송하고자 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제작되고 있으며 단순히 물질을 저장 및 수송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을 수송하기 위해 제작되는 탱크로리를 비롯한 각종 특수 차량들의 경우 물질을 다룸에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이를 저장 및 수송하는 과정이 더욱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개량되어야 할 필요성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을 수송하기 위해 저장된 상태를 얼마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수송시킬 것인가, 혹은 만약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노출 시 위험할 수 있는 해당 저장물질의 누수가 발생할 경우 어떻게 안전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그 외에도 기존의 탱크로리가 지니고 있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적 발전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독성 화학물질을 수송하기 위한 특수차량를 운행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3494호의 "위험물 관리를 위한 차량 관제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유독성 화학물질의 수송을 위한 특수차량들의 경우, 차량이 운행되는 과정에서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의 흔들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와 같은 저장물질의 누수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유독성 화학물질의 수송을 위한 특수차량들의 경우,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를 저장 공간의 용량에 대한 압력 수준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압력상태의 제어를 수행함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 뿐만 아니라 해당 압력 상태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성이 유독성 화학물질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유독성 화학물질의 수송을 위한 특수차량들의 경우, 저장된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반복 진행하는 과정에서 펌프 구성을 가동시키는 장치가 쉽게 기능성의 저하를 겪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차량이 운행되는 과정에서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의 흔들림이 안정적으로 제어되고, 이와 같은 저장물질의 누수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대처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기술을 갖춘 살수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를 저장 공간의 용량에 대한 압력 수준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압력상태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지속 수행함은 물론이고, 해당 압력 상태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성이 유독성 화학물질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부식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살수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 저장된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반복 진행하는 과정에서 펌프 구성을 가동시키는 장치가 쉽게 기능성의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갖춘 살수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는, 운전공간의 후방에 설치되며, 소정의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이 구비된 복수 개의 저장탱크가 구획되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저장탱크 유닛; 및 상기 운전공간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 유닛이 상측으로부터 안착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저장탱크 각각의 상하 움직임을 탄성 지지하는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저장탱크 몸체의 너비방향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은, 상기 안착 다리부가 상부에서 안착 가능하게 하방으로 함입된 안착홈을 갖추도록 상기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부; 상기 안착홈에 상기 안착 다리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 다리부 및 안착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부분과 상기 볼트부분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는 너트부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 및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완충부재로서, 상기 볼트부분 각각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안착 다리부와 상기 볼트부분에 연결된 너트부분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저장탱크의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에 보관된 유독성 화학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 펌프; 복수 개의 상기 저장탱크 각각의 하면과 상기 가압 펌프를 연결하여 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을 위한 이동경로를 마련하여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이동관;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 각각의 내부 이동경로를 통한 유독성 화학물질의 이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이동조절밸브; 상기 운전공간 내 설치되며, 상기 가압펌프 및 복수 개의 상기 이동조절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작동 제어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은,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착홈에 놓여 상기 안착 다리부의 하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완충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저장탱크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일체가 되는 한 쌍의 제1유동 방지부; 및 상기 저장탱크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일체가 되는 한 쌍의 제2유동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유동방지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에 대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 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유동방지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에 대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 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는, 상기 저장탱크 유닛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저장탱크 전체에 걸쳐 상기 복수 개의 저장탱크의 좌우 너비방향 양측 하부에 전후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에 대한 측방 노출 혹은 가림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림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는,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으로부터 누출되는 유독성 화학물질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설치 연결되는 감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유독성 화학물질의 접촉이 발생 시, 유독성 화학물질의 누출발생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감지부; 다수의 상기 감지부가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 아래에 전체 전후 길이방향에 걸쳐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저장탱크의 하부에 설치 연결되는 감지부 설치수단;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전공간에 설치된 경보부 또는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송하여 알림정보가 상기 경보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는, 상기 저장탱크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에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성분의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압력수준 변화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 벤트(Air vent);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벤트는, 상하가 개방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저장탱크 상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에어 교환홀이 구비된 벤트 몸체부; 상기 벤트 몸체부의 상측 개방공간을 덮는 상부 몸체부; 상기 벤트 몸체부의 상기 에어 교환홀이 구비된 높이보다 아래 일측에 마련된 스프링 설치용 단턱과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부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제1스프링부; 상기 벤트 몸체부의 하측 개방공간을 덮으며, 상하로 개방된 다수의 가스 배출홀이 구비된 하부 몸체부분과 상기 하부 몸체부분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기둥 형태를 갖추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몸체부에 연결되는 기둥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몸체부; 중앙에 마련된 개방공간에 상기 기둥부분이 끼워지고 상기 하부 몸체부 상면에 배치되되 외측 둘레가 상기 벤트 몸체부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스 배출홀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가스성분의 발생에 의한 내부 압력수준 변화에 따라 상기 기둥부분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개폐 몸체부; 및 상기 개폐 몸체부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부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제2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가스성분의 발생에 의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의 압력수준이 상기 저장탱크가 갖춘 용량을 넘어설 경우, 상기 하부 몸체부는 상기 가스 배출홀을 통해 밀어내져 나오는 가스성분의 압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여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가스성분 일부가 상기 가스 배출홀로부터 상기 개폐 몸체부 외측과 상기 벤트 몸체부 내측간의 틈을 거쳐 상기 에어 교환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에 의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의 압력수준이 상기 저장탱크가 갖춘 용량에 모자랄 경우, 압력차에 의해 상기 하부 몸체부 및 개폐 몸체부는 하강 이동하여 상기 에어 교환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벤트 몸체부 내부로 이동된 공기가 상기 벤트 몸체부의 하측 개방공간과 상기 하부 몸체부 간의 틈을 통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부 및 제2스프링부는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벤트 몸체부, 상부 몸체부, 하부 몸체부, 개폐 몸체부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코팅이 처리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는, 상기 가압 펌프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풀리와 상기 저장탱크 하부 일측에 설치된 가압 펌프 가동장치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2풀리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 펌프와 상기 가압 펌프 가동장치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벨트를 상측에 하방 혹은 하측에서 상방으로 밀어 상기 벨트의 팽팽한 정도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텐션조절수단은, 텐션조절용 롤러부; 상기 텐션조절용 롤러부가 일단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조절용 암부; 및 상기 저장탱크 하부 일측에 상기 가압 펌프를 설치하기 위하 마련된 가압 펌프 설치대 일측에 설치 연결되며, 상기 각도조절용 암부가 상기 벨트의 상측 혹은 하측에서 각도조절을 통해 일단에 설치된 상기 텐션조절용 롤러부가 회전 가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개방된 소정의 회전 안내홀 내에서 상기 벨트에 접촉되어 하방 혹은 상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설치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이 운행되는 과정에서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의 흔들림이 안정적으로 제어되고, 이와 같은 저장물질의 누수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대처하여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둘째,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을 저장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스를 저장 공간의 용량에 대한 압력 수준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압력상태의 제어를 효과적으로 지속 수행함은 물론이고, 해당 압력 상태의 제어에 이용되는 구성이 유독성 화학물질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부식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저장된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을 배출시키는 과정을 반복 진행하는 과정에서 펌프 구성을 가동시키는 장치가 쉽게 기능성의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의 가림판을 올린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의 구조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내 감지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내 감지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내 에어 벤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내 에어 벤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내 에어 벤트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내 텐션조절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의 구성요소 및 제어형태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100)는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의 수송을 위해 마련된 특수차량으로, 운전공간(110);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 저장탱크 유닛(120);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130); 가압 펌프(140); 가림막(150); 이동관(160); 이동조절밸브(165); 작동 제어반(미도시); 감지유닛(170); 에어벤트(180); 및 텐션조절수단(190);을 포함한다.
저장탱크 유닛(12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공간(1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소정의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이 구비된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가 구획되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운전공간(110)은 운전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운전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추후 설명될 감지유닛(170)의 감지 결과 알림 제공을 위한 소리, 이미지, 영상, 진동 등의 알림 형태를 출력할 수 있는 알림부(17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운전공간(110)에는 추후 설명될 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 상태 제어를 위한 작동 제어반(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 유닛(1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는 각자 개별적인 저장공간을 갖추고 있어 상호 내부 공간이 이어지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130)은 운전공간(1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저장탱크 유닛(120)이 상측으로부터 안착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저장탱크 각각의 상하 움직임을 탄성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체로서,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별로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의 이동상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움직임이 거의 없도록 하기 위해 안착부(131), 연결부(132), 완충부(133) 및 보조 완충판부(134)를 포함한다.
도2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저장탱크 유닛(1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 각각은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측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 다리부(122)를 갖추게 되는데 쌍을 이루어 양측에 하나씩 대응되는 위치에 균형을 갖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착부(131)는 저장탱크 유닛(1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 각각이 연장 형성한 복수 개의 안착 다리부(122)의 개수와 대응되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위치 역시 안착 가능하게 도2와 같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안착부(131)는 안착 다리부(122)가 상부에서 안착 가능하게 하방으로 함입된 안착홈(131T)을 갖추도록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13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안착 다리부(122)의 받침에 해당하는 구조체이다.
다음으로, 연결부(132)는 안착홈(131T)에 안착 다리부(122)가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 다리부(122) 및 안착부(131)를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부분(132B)과 볼트부분(132B) 각각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부분(132N)을 포함하는 연결수단의 조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볼트부분(132B)과 너트부분(132N)의 체결 구조는 안착 다리부(122) 및 안착부(131)를 동시에 관통하되, 도2와 같이 사이에 아래 설명될 완충부(133)를 끼워 완충 기능이 저장탱크(121) 별로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완충부(133)는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스프링과 같은 완충부재로서, 볼트부분(132B) 각각을 내측에 수용하여 안착 다리부(122)와 볼트부분(132B)에 연결된 너트부분(132N)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저장탱크(121)를 기준으로 전방 측 좌우에 안착 다리부(122)가 하나 씩, 후방 축 좌우에도 안착 다리부(122)가 하나 씩 형성되어 총 4군데에서 다리 구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어 안착부(131)가 마련되되 연결부(132) 및 완충부(133)는 이에 더해져 착 다리부(122) 및 안착부(131)를 기준으로 전방 측 중심에 하나 후방 측 중심에 하나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해 실시에 따라,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안착홈(131T)에 놓여 상기 안착 다리부의 하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완충판부(134)를 도2와 같이 추가 설치하여 완충 성능을 더욱 높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의 안착 다리부(122)와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130)의 안착부(131), 연결부(132), 완충부(133) 및 보조 완충판부(134) 구성을 통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은 수송을 위한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도 과도한 흔들림 및 물질 내 반응이 확연히 줄어들고 안정적인 저장 관리가 가능해진다.
더 나아가,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 각각의 내부에는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유동 방지부(123)를 통해 더욱 앞 서 설명한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의 저장 및 수송 안정성을 더욱 확실히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탱크(121)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 방지부(12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21)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저장탱크(121)와 일체가 되는 한 쌍의 제1유동 방지부(123A)와 저장탱크(121)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저장탱크(121)와 일체가 되는 한 쌍의 제2유동 방지부(123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제1유동방지부(123A)는 저장탱크(121)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에 대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저장탱크(121)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 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제2유동방지부(123B)는 저장탱크(121)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에 대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저장탱크(121)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 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제1유동방지부(123A) 및 한 쌍의 제2유동방지부(123B)의 설치 위치 및 실치 형태는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은 수송을 위한 차량의 운행 과정에서도 과도한 흔들림 및 물질 내 반응이 확연히 줄어들고 안정적인 저장 관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외에도,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 각각의 상부에는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부에 유독성 화학물질은 공급 저장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개폐 가능한 주입부(124)와 아래 설명될 작동 제어반(미도시)의 의한 제어 명령에 기반을 두고 개폐되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 배출 작업 전에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부의 가스 혹은 공기층을 빼내 압력의 조절을 통해 배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에어 조절부(125)가 더 설치되어 있다.
가압 펌프(140)는 저장탱크(121)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의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보관된 유독성 화학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가압 펌프(140)와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간의 연결은 이동관(160) 및 이동조절밸브(165)를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동관(160)은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 각각의 하면과 가압 펌프(140)를 연결하여 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을 위한 이동경로를 마련하여 저장탱크(121)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배관구조이다.
다음으로, 이동조절밸브(165)는 복수 개의 이동관(160)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를 통해 복수 개의 이동관(160) 각각의 내부 이동경로를 통한 유독성 화학물질의 이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이러한 가압 펌프(140)의 가동은 물론이고 이동조절밸브(165)의 개폐를 비롯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보관된 유독성 화학물질을 배출과 관련한 각종 기능적 동작의 제어를 위해 별도의 작동 제어반(미도시)이 운전공간(110) 또는 운전공간(110) 후방 가압 펌프(140)의 설치를 위해 저장탱크(121) 하부 일측에 마련된 가압 펌프 설치대(142)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동 제어반(미도시)는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 에어 조절부(125) 가압 펌프(140) 및 복수 개의 이동조절밸브(110)의 작동 상태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이와 같은 가압 펌프(140)의 가동은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와 연동되어 있다.
여기서,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는 차량 엔진에 의해 가동되는 엔진 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엔진에 연동되는 별도의 구동장치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는 차량의 엔진 가동 및 가동 명령 신호의 입력에 의해 동작하여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의 구동축(117)을 회전 운동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의 구동축(117)의 일단에 연결된 제2풀리(119)까지도 회전 운동에 연동된다.
이와 더불어 가압 펌프(140)의 구동축의 일단에는 제1풀리(140P)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풀리(140P)와 제2풀리(119)간에는 도10과 같이 별도의 벨트(119B)에 의해 동시에 끼워져 상호 연동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결과적으로, 가압 펌프(140)의 구동을 통한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보관된 유독성 화학물질을 배출을 위해서는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의 가동을 통해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의 구동축(117) 일단에 연결된 제2풀리(119)의 회전을 시작으로 벨트(119B)로 연동된 제1풀리(140P)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가압 펌프(140)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한다.
이와 같은 가압 펌프(140)의 구동이 반복적으로 지속 진행될 경우, 자연적으로 벨트(119B)의 노후화 및 기능성 저하가 가장 먼저 유발되게 되는데, 벨트(119B)가 늘어나며 효과적으로 가압 펌프(140)의 제1풀리(140P)의 회전운동과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의 구동축(117) 일단에 연결된 제2풀리(119)의 회전운동이 연동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가압 펌프(140)의 구동축에 연결된 제1풀리(140P)와 저장탱크(121) 하부 일측에 설치된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의 구동축(117)에 연결된 제2풀리(119)에 설치되어 가압 펌프(140)와 가압 펌프 가동장치(115)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벨트(119B)를 상측에 하방 혹은 하측에서 상방으로 밀어 벨트(119B)의 팽팽한 정도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19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텐션조절수단(190)은 설치판부(191), 텐션조절용 롤러부(192) 및 각도조절용 암부(193)를 포함한다.
우선, 텐션조절용 롤러부(192)는 원판형으로 외주면이 벨트(119B)의 상측 혹은 하측으로부터 접촉하여 밀어 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의 구성이다.
다음으로, 각도조절용 암부(193)는 텐션조절용 롤러(192)가 일단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팔 형태의 구조로 일단은 텐션조절용 롤러(192)가 설치되고, 타단은 설치판부(191)에 회전을 통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설치판부(191)는 저장탱크(121) 하부 일측에 가압 펌프(140)를 설치하기 위하 마련된 가압 펌프 설치대(140) 일측에 설치 연결되는 프레임 구조체이다.
구체적으로, 설치판부(191)는 각도조절용 암부(192)가 벨트(191B)의 상측 혹은 하측에서 각도조절을 통해 일단에 설치된 텐션조절용 롤러(192)를 회전 가동 범위 제한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소정의 회전 안내홀(191H) 내에서 벨트(191B)에 접촉되어 하방 혹은 상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텐션조절용 롤러(192)는 회전 안내홀(191H)의 가동 범위 내에서 설치판부(191)에 연결된 각도조절용 암부(192)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올려지거나 내려지면서 늘어진 벨트(191B)를 밀어 팽팽하게 텐션이 긴장된 상태를 지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에 따라 각도조절용 암부(192)에 의한 텐션조절용 롤러(192)의 각도가 일정 수준에서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고정수단을 비롯해, 회전 안내홀(191H)의 구조 상에 별도의 단계별 걸림 구조의 추가를 통해 각도조절용 암부(192)에 의한 텐션조절용 롤러(192)의 각도 단계별로 변화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도 있다.
가림막(150)은 저장탱크 유닛(1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 전체에 걸쳐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의 좌우 너비방향 양측 하부에 전후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을 통해 복수 개의 이동관(160)에 대한 측방 노출 혹은 가림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판 부재이다.
여기서, 가림막(15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 차량의 운송 중에는 내려져 있어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의 좌우 너비방향 양측 하부를 가리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가림막(150)을 통해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 하부에 설치된 가압 펌프(140), 이동관(160) 및 이동조절밸브(165)의 구성이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필요 시에는 가림막(150)을 들어올려 가압 펌프(140), 이동관(160) 및 이동조절밸브(165)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가압 펌프(140) 및 이동조절밸브(16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이용 가능하다.
감지유닛(170)은 복수 개의 이동관(160)으로부터 누출되는 유독성 화학물질을 감지하기 위해 저장탱크(121) 하부에 설치 연결되는 센싱 모듈로서, 감지부(171), 감지부 설치수단(172, 172F, 173, 174, 174F, 175), 제어부(176) 및 알림부(177)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지부(171)는 유독성 화학물질의 접촉이 발생 시, 유독성 화학물질의 누출발생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센서이다.
실시에 따라, 감지부(171)는 이동관(160)으로부터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이 누수되어 접촉이 발생할 시, 해당 성분을 감지하여 이동관(160) 외부에 유독성 화학물질이 존재함을 알리기 위한 기초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감지부(171)는 아래 설명될 감지부 설치수단(172, 172F, 173, 174, 174F, 175)에 의해 복수 개의 이동관(160) 전체 전단에서 후단 까지 모든 배관 구조 아래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감지부 설치수단(172, 172F, 173, 174, 174F, 175)은 다수의 감지부(171)가 복수 개의 이동관(160) 아래에 전체 전후 길이방향에 걸쳐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감지부(171)를 수용하여 복수 개의 저장탱크(121)의 하부에 설치 연결된다.
이를 위해, 감지부 설치수단(172, 172F, 173, 174, 174F, 175)은 받침부(172), 받침 고정수단(172F), 포집부(173), 연결판부(174), 연결판 고정수단(174F), 관찰창부(175)을 포함한다.
우선, 받침부(172)는 내부에 함입되어 감지부(171)의 센서가 놓이고 전기전 연결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받침을 위한 구조체로서, 이 역시 복수 개의 이동관(160) 전체 전단에서 후단 까지 모든 배관 구조 아래에 감지부(171)가 배치될 수 있는 전후 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포집부(173)는 너비방향 좌우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기울어진 한쌍의 전후 방향으로 긴 판 형상의 구조체로서, 다수의 감지부(171)가 수용 설치된 받침부(172)를 좌우 너비방향 기준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도4와 같이 받침 고정수단(172F)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호 고정 결합된다.
이를 통해, 이동관(160)으로부터 염산 또는 황산과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이 누수되어 포집부(173)에 떨어지더라도 결과적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따라 중앙의 받침부(172) 측으로 누수 물질이 이동되어 감지부(171)가 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연결판부(174)는 중앙에 위치하는 다수의 감지부(171)가 수용 설치된 받침부(172)를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 연결된 포집부(173)의 외측 양 단부를 저장탱크(121) 하부에 설치 연결시키기 위한 판 부재로서 중앙측에서 소정의 개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판부(174)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개방된 프레임 형태의 사각 판으로 복수 개의 이동관(160)을 사이에 두고 너비방향 좌우 양측에서 상단은 저장탱크(121)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은 포집부(173)의 외측 단부와 연결판 고정수단(174F)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호 고정 결합된다.
이에 더해, 연결판부(174)의 내측에는 중앙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사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이동관(160)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창부(175)가 고정 결합되어, 닫힌 공간을 제공하되 내부 공간의 상태를 언제든지 운전자 혹은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추어 복수 개의 이동관(160) 전체 전단에서 후단 까지 모든 배관 구조 아래에 배치된 감지부(171)에 유독성 화학물질을 감지될 경우, 감지부(171)는 감지정보를 생성하여 아래 설명될 제어부(176)에 전송한다.
그 다음으로, 제어부(176)는 감지부(171)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운전공간(110)에 설치된 경보부(177A) 또는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송하여 알림정보가 경보부(177A) 또는 사용자 단말기(T)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6)가 생성하는 제어명령 형태의 알림정보는 알림부(177)에 전송되어 일정 형태로 정보가 출력됨으로써 운전자 혹은 관리자가 유독성 화학물질의 복수 개의 이동관(160)으로부터의 누수가 발생하였음을 즉각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처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된다.
알림정보가 알림부(177)를 통해 출력되는 형태는 운전공간(110)에 설치된 경보부(177A)를 통해 기 설정된 소리가 나거나, 문자, 이미지 혹은 영상 형태의 알림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되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알림정보가 알림부(177)를 통해 출력되는 형태는 미리 번호등록을 통해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T)에 문자, 이미지 혹은 영상 형태의 알림 메시지를 보내거나 연동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푸시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에 따라 경고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감지부(171)가 생성하는 감지정보에는 유독성 화학물질을 감지 사실과 더불어 해당 감지 행위가 발생한 감지부(171) 위치 혹은 위치를 대변하는 일련번호와 같은 위치 식별정보 또한 포함되어 있어, 이를 수신하는 제어부(176)는 복수 개의 이동관(160) 어떤 이동관(160) 주변에서 유독성 화학물질의 누수가 발생되었는지를 바로 알려 더욱 정확하고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에어벤트(180)는 저장탱크(121)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성분의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 압력수준 변화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 구성이다.
이러한, 에어벤트(180)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몸체부(181), 벤트 커버부(182), 하부 몸체부(183), 상부 몸체부(184), 개폐 몸체부(185), 제2스프링부(186) 및 제1스프링부(187)를 포함한다.
여기서, 벤트 몸체부(181)는 상하가 개방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21) 상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에어 교환홀(181H)이 구비된다.
이러한 벤트 몸체부(181)는 에어벤트(180)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몸체로서 동작 상태에 상관없이 저장탱크(121) 상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벤트 몸체부(181) 내부 공간에 수용 설치되는 아래 설명될 몸체부 구성들의 작동 상태에 따라 에어 교환홀(181H)을 통한 가스 혹은 외부공기의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부 몸체부(184)는 벤트 몸체부(181)의 상측 개방공간을 덮는 몸체부분으로 벤트 몸체부(181)의 상하로 개방된 중공의 공간 내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수용 설치된다.
또한, 제1스프링부(187)는 벤트 몸체부(181)의 에어 교환홀(181H)이 구비된 높이보다 아래 일측에 마련된 스프링 설치용 단턱과 상부 몸체부(184)의 하부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스프링 부재이다.
이와 연계되어, 하부 몸체부(183)는 벤트 몸체부(181)의 하측 개방공간을 덮으며, 상하로 개방된 다수의 가스 배출홀(183H)이 구비된 하부 몸체부분과 하부 몸체부분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기둥 형태를 갖추어 연장 형성되어 상부 몸체부(184)에 연결되는 기둥부분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부(183)의 하부 몸체부분은 원통형 구조에 상하로 개방된 다수의 가스 배출홀(183H)이 중심을 기준으로 이격된 위치에 방사형으로 형성되 있는데, 이와 같은 원통형 구조는 벤트 몸체부(181)의 하측 개방공간을 덮되 벤트 몸체부(181)의 하측 개방공간 안으로 상승 이동하여 수용되지는 못하고 벤트 몸체부(181)의 하측 개방공간의 개구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상승 이동시 걸려 이동이 제한되고 하강 이동은 가능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벤트 몸체부(181)를 기반으로 한 상부 몸체부(184), 제1스프링부(187) 및 하부 몸체부(183)의 결합 구조는 저장탱크(121) 내부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의 압력 상태가 외부 공기압에 비해 낮을 경우 하부 몸체부(183)가 하강 이동하며 하부 몸체부(183)의 기둥부분을 통해 상부 몸체부(184) 또한 제1스프링부(187)의 압축과 함께 압력의 균형 시점까지 벤트 몸체부(181)의 상측 개방공간을 시작으로 해당 공간 안에서 하강 이동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A)가 에어 교환홀(181H)을 통해 벤트 몸체부(181) 내부 개방공간을 거쳐 저장탱크(121) 내부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이동되게 합니다.
또한, 개폐 몸체부(185)는 중앙에 마련된 개방공간에 하부 몸체부(183)의 기둥부분이 끼워지고 하부 몸체부(183)의 상면에 배치되되 외측 둘레가 벤트 몸체부(181)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 몸체부(185)는 가스 배출홀(183H)의 상측을 덮으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 가스성분의 발생에 의한 내부 압력수준 변화에 따라 하부 몸체부(183)의 기둥부분을 중앙 개방공간에 둔 상태에서 해당 부분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제2스프링부(186)는 개폐 몸체부(185)의 상부면과 상부 몸체부(184)의 하부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스프링부재로, 제1스프링부(187)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내부에 하부 몸체부(183)의 기둥부분이 수용된다.
이와 같은 벤트 몸체부(181)를 기반으로 한 개폐 몸체부(185) 및 제2스프링부(186)의 결합 구조는 저장탱크(121) 내부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의 압력 상태가 외부 공기압에 비해 높을 경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성분(G)이 외부로 배출되어 압력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가스 배출홀(183H)을 거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프링부(186)의 압축과 함께 개폐 몸체부(185)를 상측으로 밀게 되고 하부 몸체부(183)의 하부 몸체부분은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승 이동이 제한되어 그대로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이 경우, 개폐 몸체부(185)의 상승 이동에 의해 하부 몸체부(183)의 하부 몸체부분과 개폐 몸체부(185) 사이에 생긴 틈을 통해 도8과 같이 저장탱크(121) 내부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서 발생된 가스성분(G)은 다수의 가스 배출홀(183H)을 시작으로 해당 틈을 거쳐 에어 교환홀(181H)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외부 공기(A)는 에어 교환홀(181H)을 시작으로 해당 틈을 거쳐 다수의 가스 배출홀(183H)을 통해 최종적으로 저장탱크(121) 내부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도8과 같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 가스성분(G)의 발생에 의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의 압력수준이 저장탱크(121)가 갖춘 용량을 넘어설 경우, 하부 몸체부(183)는 가스 배출홀(183H)을 통해 밀어내져 나오는 가스성분(G)의 압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여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 가스성분(G) 일부가 가스 배출홀(183H)로부터 개폐 몸체부(185) 외측과 벤트 몸체부(181) 내측간의 틈을 거쳐 에어 교환홀(181H)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도9와 같이 가압펌프(140)의 작동에 의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에 의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의 압력수준이 저장탱크(121)가 갖춘 용량에 모자랄 경우, 압력차에 의해 하부 몸체부(183) 및 개폐 몸체부(185)는 하강 이동하여 에어 교환홀(181H)을 통해 외부로부터 벤트 몸체부(181) 내부로 이동된 외부 공기(A)가 벤트 몸체부(181)의 하측 개방공간과 하부 몸체부(183) 간의 틈을 통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무엇보다,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100)의 저장탱크(121) 각각에 설치되는 에어벤트(180)는 구성별 재질 및 코팅 방식에 차등을 둬 차량의 특수환경을 고려한 재질적 특성을 지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에어벤트(180)를 구성하는 제1스프링부(187) 및 제2스프링부(186)는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재질로 마련되어 최소한의 금속 재질만을 이용하도록 제한하되, 탄성 압축 및 해제의 작동 방식이 제대로 제공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비교해, 에어벤트(180)를 구성하는 벤트 몸체부(181), 상부 몸체부(184), 하부 몸체부(183), 개폐 몸체부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코팅이 처리된 상태로 마련됨이 구성의 부식성을 고려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100)는 저장탱크(121) 각각에 저장 및 수송되는 물질로서 유독성 화학물질을 한정하여 채택하고 있는 만큼, 유독성 화학물질이 지속 발생시키는 가스 성분(G)에 의해 에어벤트(180)의 세부 구성들이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121T)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작동 시 가스 성분(G)이 거치게 되어 산 성분의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시간의 경과 및 반복적인 작업 수행에 의해 에어벤트(180)의 세부 구성들이 녹이 생기거나 부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소한의 구성만을 금속 재질로 하되 나머지 구성들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코팅이 처리된 상태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110 : 운전공간 115 : 가압 펌프 가동장치
117 : 가압 펌프 가동장치의 구동축
119 : 제2풀리 119B : 벨트
120 : 저장탱크 유닛
121 : 저장탱크 121T :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122 : 안착 다리부 123 : 유동 방지부
124 : 주입부 125 : 에어 조절부
130 :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
131 : 안착부 131T : 안착홈
132 : 연결부 132B : 볼트부분
132N : 너트부분 133 : 완충부
134 : 보조 완충판부
140 : 가압 펌프 140P : 제1풀리
150 : 가림막
160 : 이동관 165 : 이동조절밸브
170 : 감지유닛
171 : 감지부 172 : 받침부
172F : 받침 고정수단 173 : 포집부
174 : 연결판부 174F : 연결판 고정수단
175 : 관찰창부 176 : 제어부
177 : 알림부 177A : 경보부
180 : 에어 벤트
181 : 벤트 몸체부 182 : 벤트 커버부
183 : 하부 몸체부 184 : 상부 몸체부
185 : 개폐 몸체부 186 : 제2스프링부
187 : 제1스프링부 181H : 에어 교환홀
183H : 가스 배출홀
190 : 텐션조절수단
191 : 설치판부 191H : 회전 안내홀
192 : 텐션조절용 롤러부 193 : 각도조절용 암부
T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1)

  1. 운전공간의 후방에 설치되며, 소정의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이 구비된 복수 개의 저장탱크가 구획되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저장탱크 유닛;
    상기 운전공간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 유닛이 상측으로부터 안착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저장탱크 각각의 상하 움직임을 탄성 지지하는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
    상기 저장탱크 하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저장탱크의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에 보관된 유독성 화학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 펌프;
    복수 개의 상기 저장탱크 각각의 하면과 상기 가압 펌프를 연결하여 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을 위한 이동경로를 마련하여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이동관;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개폐를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 각각의 내부 이동경로를 통한 유독성 화학물질의 이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이동조절밸브;
    상기 가압펌프 및 복수 개의 상기 이동조절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작동 제어반;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으로부터 누출되는 유독성 화학물질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 하부에 설치 연결되는 감지유닛; 및
    상기 저장탱크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에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성분의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압력수준 변화에 의해 개폐되는 에어 벤트(Air vent);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저장탱크 몸체의 너비방향 양측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안착 다리부;
    상기 저장탱크 상부 내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일체가 되는 한 쌍의 제1유동 방지부; 및
    상기 저장탱크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일체가 되는 한 쌍의 제2유동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유동방지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에 대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 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유동방지부는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에 대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 상하 높이방향 기준선 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되며,
    상기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은,
    상기 안착 다리부가 상부에서 안착 가능하게 하방으로 함입된 안착홈을 갖추도록 상기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부;
    상기 안착홈에 상기 안착 다리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 다리부 및 안착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부분과 상기 볼트부분 각각의 상단에 연결되는 너트부분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연결부; 및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완충부재로서, 상기 볼트부분 각각을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안착 다리부와 상기 볼트부분에 연결된 너트부분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유닛은,
    유독성 화학물질의 접촉이 발생 시, 유독성 화학물질의 누출발생에 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다수의 감지부;
    다수의 상기 감지부가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 아래에 전체 전후 길이방향에 걸쳐 배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저장탱크의 하부에 설치 연결되는 감지부 설치수단;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전공간에 설치된 경보부 또는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송하여 알림정보가 상기 경보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 설치수단은,
    상면 상에 내측으로 함입되어 상기 감지부가 놓여 수용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 구조체로 마련되고, 상기 이동관 아래에 전체 전후 길이방향에 걸쳐 배치되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긴 판 형상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좌측과 우측 각각에 고정수단에 의에 하단이 고정 결합되며, 중앙에 위치한 상기 받침부를 향해 기울어져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한 쌍의 긴 판 형상의 포집부;
    중앙이 개방된 사각 판 형태로 마련되어, 상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은 포집부의 상단과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판부; 및
    상기 연결판부의 중앙에 개방된 공간에 설치되어 한 쌍의 상기 연결판부 사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을 관찰 가능하도록 하는 창 형태의 관찰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유독성 화학물질의 감지 사실 및 감지가 발생한 감지부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에 관한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알림정보를 상기 경보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시켜 유독성 화학물질의 누수가 발생한 위치를 알릴 수 있으며,
    상기 에어벤트는,
    상하가 개방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저장탱크 상부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에어 교환홀이 구비된 벤트 몸체부;
    상기 벤트 몸체부의 상측 개방공간을 덮는 상부 몸체부;
    상기 벤트 몸체부의 상기 에어 교환홀이 구비된 높이보다 아래 일측에 마련된 스프링 설치용 단턱과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부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제1스프링부;
    상기 벤트 몸체부의 하측 개방공간을 덮으며, 상하로 개방된 다수의 가스 배출홀이 구비된 하부 몸체부분과 상기 하부 몸체부분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기둥 형태를 갖추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몸체부에 연결되는 기둥부분을 포함하는 하부 몸체부;
    중앙에 마련된 개방공간에 상기 기둥부분이 끼워지고 상기 하부 몸체부 상면에 배치되되 외측 둘레가 상기 벤트 몸체부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스 배출홀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가스성분의 발생에 의한 내부 압력수준 변화에 따라 상기 기둥부분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개폐 몸체부; 및
    상기 개폐 몸체부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 몸체부의 하부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제2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안착 프레임은,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안착홈에 놓여 상기 안착 다리부의 하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완충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4. 삭제
  5.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는,
    상기 저장탱크 유닛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저장탱크 전체에 걸쳐 상기 복수 개의 저장탱크의 좌우 너비방향 양측 하부에 전후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회전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이동관에 대한 측방 노출 혹은 가림이 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가스성분의 발생에 의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의 압력수준이 상기 저장탱크가 갖춘 용량을 넘어설 경우, 상기 하부 몸체부는 상기 가스 배출홀을 통해 밀어내져 나오는 가스성분의 압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여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가스성분 일부가 상기 가스 배출홀로부터 상기 개폐 몸체부 외측과 상기 벤트 몸체부 내측간의 틈을 거쳐 상기 에어 교환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9.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가압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 저장된 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에 의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의 압력수준이 상기 저장탱크가 갖춘 용량에 모자랄 경우, 압력차에 의해 상기 하부 몸체부 및 개폐 몸체부는 하강 이동하여 상기 에어 교환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벤트 몸체부 내부로 이동된 공기가 상기 벤트 몸체부의 하측 개방공간과 상기 하부 몸체부 간의 틈을 통해 상기 유독성 화학물질 저장공간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69456A 2020-06-09 2020-06-09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KR10220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456A KR102201520B1 (ko) 2020-06-09 2020-06-09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456A KR102201520B1 (ko) 2020-06-09 2020-06-09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520B1 true KR102201520B1 (ko) 2021-01-11

Family

ID=7412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456A KR102201520B1 (ko) 2020-06-09 2020-06-09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5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589B1 (ko) * 2021-01-13 2021-12-31 울산테프론 주식회사 압력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유출 감지장치
KR102443118B1 (ko) 2022-05-31 2022-09-14 탱크코리아(주)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KR20230027607A (ko) 2021-08-19 2023-02-28 탱크코리아(주)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188A (ko) * 1989-09-26 1991-04-27 카타리나 룬트블라드 판네스 요 분말 세라믹 재료로된 대상물의 제조방법
JPH1095499A (ja) * 1996-09-20 1998-04-14 Showa Aircraft Ind Co Ltd タンクローリ
KR19980043894U (ko) * 1996-12-26 1998-09-25 윤원석 L.p.g 탱크로리에 형성된 비상레버 자동 작동 시스템
KR101131522B1 (ko) * 2011-09-06 2012-04-04 대지정공주식회사 에프알피 저장탱크가 구비된 탱크로리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188A (ko) * 1989-09-26 1991-04-27 카타리나 룬트블라드 판네스 요 분말 세라믹 재료로된 대상물의 제조방법
JPH1095499A (ja) * 1996-09-20 1998-04-14 Showa Aircraft Ind Co Ltd タンクローリ
KR19980043894U (ko) * 1996-12-26 1998-09-25 윤원석 L.p.g 탱크로리에 형성된 비상레버 자동 작동 시스템
KR101131522B1 (ko) * 2011-09-06 2012-04-04 대지정공주식회사 에프알피 저장탱크가 구비된 탱크로리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5589B1 (ko) * 2021-01-13 2021-12-31 울산테프론 주식회사 압력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유출 감지장치
KR20230027607A (ko) 2021-08-19 2023-02-28 탱크코리아(주)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KR102443118B1 (ko) 2022-05-31 2022-09-14 탱크코리아(주) 탱크로리 자동승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520B1 (ko)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EP1295747B1 (en) Float operated fuel tank vapor vent valve
JP3931291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US20030230288A1 (en) Dual float valve for fuel tank vent with liquid carryover filter
AU641330B2 (en) Double containment and leak detection apparatus
US6810900B2 (en) Composite type air vent valve of fuel tank and air vent mechanism
US200400070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US7543597B2 (en) Vent valve assembly with lever arrangement
EP0773128A2 (en) Vehicle refueling valve
US20090165869A1 (en) Valve for the venting circuit of a liquid tank
KR102217461B1 (ko) 에어 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US10384866B2 (en) Floating roof monitoring with laser distance measurement
KR102217460B1 (ko) 텐션조절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독성 화학물질 수송용 탱크로리
US6742550B2 (en) Secondary containment cap apparatus for either permanent or removable attachment to a primary chlorine container turret
CN1868779A (zh) 燃料电池机动车的氢传感器
US6029718A (en) Chemical delivery system employing containment crate
US6003540A (en) Device for confining gas leaks from a gas cylinder
KR20150032408A (ko) 차량용 캐니스터 검사장치
US20140034147A1 (en) Pressure equalizing valve for a fuel tank or secondary fluid tank on a motor vehicle
JP2008128687A (ja) 車載用ガス検出装置
US5758792A (en) Floating roof
US90452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vapor emission from floating roof storage vessels
US20090308876A1 (en) Aboveground Rectangular Secondary Containment Generator Base Tank with Internal Flexible Bladder
JP4283842B2 (ja) 弁装置
JP2005291960A (ja) 燃料キャスクの保管装置および同保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